KR20090013949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13949A KR20090013949A KR1020070078121A KR20070078121A KR20090013949A KR 20090013949 A KR20090013949 A KR 20090013949A KR 1020070078121 A KR1020070078121 A KR 1020070078121A KR 20070078121 A KR20070078121 A KR 20070078121A KR 20090013949 A KR20090013949 A KR 200900139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am
- accommodation space
- injection unit
- condensed water
- alo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003—Fluid separating traps or v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115—Gas pressure storage over or displacement of liquid
- Y10T137/3121—With return of liquid to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캐비넷; 상기 캐비넷의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 상기 캐비넷의 수용공간으로 분사되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장치;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분사하며, 상기 스팀의 이동 중에 응축된 응축수는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회수하는 스팀분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에 의하면, 의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리프레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의류, 처리, 리프레쉬, 스팀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리프레쉬(refresh)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의류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시키는 드럼타입의 건조기, 의류를 걸어두고 건조시키는 캐비넷 타입의 건조기 및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리프레셔 등이 개발되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리프레셔, 또는 건조기 등은 주로 히터를 사용하여 공기를 가열하여 의류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히터는 가스를 연소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가스식 히터와, 전기저항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식 히터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설치가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한 전기식 히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전기식 히터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게 되면, 히터의 고온의 열이 직접 의류로 전달될 수 있어 의류가 손상되거나, 나아가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식 히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게 되므로, 원하는 온도까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서는 전기 소모량이 많아져서 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전기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를 리프레쉬하기 위하여 스팀을 분사하는 경우에 응축수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캐비넷; 상기 캐비넷의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 상기 캐비넷의 수용공간으로 분사되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장치;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분사하며, 상기 스팀의 이동 중에 응축된 응축수는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회수하는 스팀분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팀분사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스팀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팀분사유닛은 상기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공급유로; 및 상기 응축수가 회수되는 회수유로;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회수유로와 상기 스팀공급유로는 서로 만나지 않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팀분사유닛은 상기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에서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응축수가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회수유로를 형성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연결된 스팀호스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내측 중앙부를 따라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공급유로가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응축수가 흐르는 회수유로가 형성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에서 상기 분사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응축수가 회수되는 회수유로를 형성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저장턱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공은 상기 경사부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응축수는 상기 경사부 및 연결부의 내주면을 따라 회수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 및 스팀호스의 내주면을 따라 회수유로를 형성하여 응축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연결부 및 스팀호스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상기 스팀호스 연결부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분사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공급유로를 형성하는 스팀공급호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히트펌프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전기 에너지 소모를 현저하게 줄이면서 의류를 리프레쉬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팀을 공급하는 경우에 스팀이 응축된 응축수를 회수함으로써, 응축수가 수용공간으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처리장치로써 의류를 리프레쉬하며 열풍을 공급하는 리프레셔(refresher)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후술하는 히트펌프 및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할 수 있는 기타 의류처리장치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내부에 의류(1)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된 캐비넷(10), 수용공간(12)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도 2 참조, 22), 수용공간(12)으로 선택적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발생장치(도 2 참조, 30) 및 스팀발생장치(30)에서 생성된 스팀을 수용공간(12)으로 분사하며, 스팀의 이동 중에 응축된 응축수는 스팀발생장치(30)로 다시 회수하는 스팀분사유닛(도 2 참조, 40)을 포함한다.
캐비넷(10)에는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12)은 도어(14)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와 연통된다. 또한, 수용공간(12)에는 의류(1)를 걸어둘 수 있는 각종 지 지대(16) 등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의류(1)를 지지하는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캐비넷(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2)으로 열풍 및 스팀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22) 및 스팀발생장치(30)가 수용되는 기계실(20)이 형성된다. 기계실(20)은 바람직하게 수용공간(12)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전술한 열풍공급장치(22) 및 스팀발생장치(30) 등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계실(20)이 하부에 위치하는 이유는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열풍 및 스팀 등은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게 되므로, 기계실(20)이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를 향하여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도 2는 기계실(20) 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히트펌프(22) 및 스팀발생장치(30)의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배관라인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2를 참조하면, 기계실(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도 1 참조, 12)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로써 히트펌프(22) 및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30)가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열풍공급장치에 해당하는 히트펌프(22)는 공기조화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히트펌프와 유사하다. 즉, 히트펌프(22)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24), 압축기(26), 응축기(28)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구비하게 되며, 이에 의해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게 된다. 즉, 증발기(24)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 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26)를 거쳐 응축기(28)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24)와 응축기(28)가 열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4)와 응축기(28)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습 및 가열되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22)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종래의 히터를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에 비하여 온도는 다소 낮을 수 있지만, 별도의 제습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제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히트펌프(22)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다시 공급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 건조공기'에 해당하게 된다(여기서, '저온'이란 절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열된 공기에 해당하지만 종래의 가열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히트펌프(22)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열풍에 비하여 온도는 낮지만, 별도의 제습장치 없이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의류를 용이하게 건조시키며 리프레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기계실(20)의 전단 상부에는 수용공간(12)의 공기가 기계실(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1)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21)와 증발기(24), 응축기(28) 및 팬(32)을 연결하는 덕트(29)에 의해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덕트(29)에 의해 공기유입구(21)를 통해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히트펌프(22)를 지나면서 제습 및 가열되어 팬(32)에 의해 다시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유입구(21)에는 바람직하게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21)에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수용공간(12)에서 기계실(20)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이물질 등을 여과하여 신선한 공기만을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기계실(20)에는 수용공간(12)으로 스팀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30)를 구비하게 된다. 스팀발생장치(30)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스팀을 공급함에 따라 의류 등에 생길 수 있는 주름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의 효과와 함께 의류 옷감의 부풀림 등에 의한 리프레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팀발생장치(30)에 의해 스팀을 분사하는 시기는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히트펌프(22)에 의해 열풍을 공급하기에 앞서서 스팀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고 난 후,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스팀발생장치(30)는 내부에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구비하게 되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게 된다. 스팀발생장치(3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으로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이 사용되거나, 또는 기계실(20)의 일측에 제공되는 컨테이너(container) 타입의 물공급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타입의 물공급원은 바람직하게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물공급원을 기계실(20)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다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팀발생장치(3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호스(36) 및 스팀분사유 닛(40)을 통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스팀호스(36)를 따라 스팀이 이동하는 중에 스팀의 온도가 내려가거나, 또는 스팀이 응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팀호스(36)의 길이는 짧을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계실(20)이 수용공간(12)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팀분사유닛(40)은 기계실(20)의 상부, 즉 수용공간(12)의 하부를 통해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계실(20)의 배면부에는 순환팬(34)을 구비할 수 있다. 순환팬(34)은 기계실(20) 외부의 공기를 기계실(2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전술한 히트펌프(22) 및 스팀발생장치(30)가 구동을 하여 기계실(20)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의류처리장치에서 스팀호스(36)의 길이를 짧게 하더라도, 스팀호스(36)를 따라 스팀이 이동하는 중에 스팀이 응축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스팀발생장치(30)에서 발생된 스팀은 스팀호스(36)를 따라 이동 중에 적어도 일부가 응축되어 응축수로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스팀이 응축된 응축수가 스팀과 함께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면 의류를 적시게 되어 리프레쉬 효과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수분을 공급하게 되어 미생물 등이 번식하게 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따라서, 스팀을 공급하는 경우에 스팀이 응축된 응축수는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지 않고 다시 스팀발생장치(30)로 회수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원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스팀발생장치(30)에서 생성된 스팀을 수용공간(12)으로 분사하며, 스팀의 이동 중에 응축된 응축수는 스팀발생장치(30)로 다시 회수하는 스팀분사유닛(40)을 포함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스팀분사유닛(4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스팀분사유닛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분사유닛(40)은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부(42), 분사부(42)에서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회수유로(54)가 형성된 경사부(44) 및 경사부(44)에서 연장 형성되어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공급유로(52) 및 응축수가 회수되는 회수유로(54)를 구비하는 연결부(46)를 포함한다.
분사부(42)에서는 스팀이 분사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사부(42)는 수용공간(12)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를 향해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한편, 경사부(44)는 분사부(42)의 단부에서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연장 형성되어, 경사부(44)의 내주면을 따라 응축수가 흐르는 회수유로(54)를 구비하게 된다. 즉, 분사부(42) 및 경사부(44)의 영역에서 스팀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형성되는 경우, 응축수는 경사부(44)의 경사진 내주면을 따라 흐르게 되며, 이에 의해 경사부(44)의 내주면을 따라 응축수가 흐르는 회수유로(54)가 형성된다.
경사부(44)의 하방 단부에는 스팀발생장치(30)의 스팀호스(36)와 연결되는 연결부(46)가 형성된다. 연결부(46)는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공급유로(52)와 응축수가 회수되는 회수유로(54)를 모두 구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스팀호스(36)를 따라 공급되는 스팀은 연결부(46)의 중앙부를 따라 상승하게 되어, 연결부(46)의 중앙부를 따라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공급유로(52)가 형성된다. 또한, 경사부(44)에서 내주면을 따라 회수유로(54)를 따라 흐르는 응축수는 연결부(46)에서도 내주면을 따라 흐르게 되어 스팀발생장치(30)로 회수된다. 따라서, 연결부(46)의 내주면을 따라 응축수가 흐르는 회수유로(54)가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분사유닛(40)에서 스팀이 이동하는 스팀공급유로(52)와 응축수가 회수되는 회수유로(54)는 서로 만나지 않도록 형성되어, 스팀공급유로(52)로 응축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스팀분사유닛(40)을 통해 응축수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스팀분사유닛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분사유닛은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경사부(44)에 저장턱(160)을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경사부(44) 및 연결부(46)의 내주면을 따라 회수유로(54)가 형성되는 경우, 응축수의 양이 소량인 경우에는 회수유로(54)를 따라 응축수가 흐르게 되지만, 응축수의 양이 다량이 경우에는 경사부(44)와 연결부(46)의 연결영역에서 응축수가 연결부(46)의 중앙부로 유입되어 스팀공급유로(52)로 공급될 수 있다. 응축수가 스팀공급유로(52)로 공급되면 스팀과 함께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따라서,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사 부(144)에 저장턱(160)을 구비한다. 저장턱(160)은 경사부(144)에서 분사부(142)를 향하여 소정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응축수가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162)이 형성된다. 따라서, 경사부(144)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소량인 경우에는 저장턱(160)에 형성된 관통공(162)을 따라 흐르게 되어 응축수가 스팀공급유로(152)로 공급되지 않는다. 한편, 경사부(144)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다량인 경우에는 저장턱(160)의 관통공(162)을 동시에 통과하지 못하고, 일부는 저장되고 일부는 관통공(162)을 통하여 흐르게 된다. 따라서, 관통공(162)을 통과하는 유량 만큼의 응축수는 회수유로(154)를 따라 흐르게 되고, 나머지는 저장턱(160)에 의해 임시적으로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사용자는 저장턱(160)의 위치 및 관통공(162)의 크기에 따라 회수유로(154)를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저장턱(160)은 경사부(144)의 어느 위치에도 형성이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연결부(146)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저장턱(160)에 의해 저장할 수 있는 응축수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한편, 사용자는 관통공(162)의 크기를 조절하여 관통공(162)을 통해 흐르는 응축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관통공(162)의 크기는 한정되지 않으며, 경사부(144) 및 연결부(146)의 내주면을 따라 응축수가 유동하며, 스팀공급유로로 응축수가 공급되지 않을 정도의 응축수가 흐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공(162)은 저장턱(160)에서 하부, 즉 경사부(144)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공(162)이 경사부(144)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면, 관통공(162)을 통해 흐르는 응축수가 낙하하여 튀게 되어 스팀공급유로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스팀분사유닛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분사유닛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연결부(246)의 내주면에 응축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가이드수단은 연결부의 내주면을 따라 응축수가 유동하는 경우에 연결부의 중앙부를 향해 응축수가 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246)의 내주면을 따라 응축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으로서 나선형 홈(248)을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경사부(244)의 내주면을 따라 연결부(246)로 공급된 응축수는 연결부(246)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 홈(248)을 따라 흐르게 되어, 중앙부의 스팀공급유로(252)로 응축수가 튀지 않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스팀분사유닛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분사유닛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스팀발생장치(30)에서 스팀호스(36)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분사부(342)로 스팀을 공급하여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공급유로(352)를 형성하는 스팀공급호스(360)를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346)의 중앙부를 따라 형성된 스팀공급유 로(352)로 응축수가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부(346) 및 스팀호스(36)의 내측을 따라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공급호스(352)를 더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스팀발생장치(3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공급호스(352)의 내부를 따라 분사부(324)로 공급되어 수용공간(12)의 내부로 분사된다. 또한, 경사부(344) 및 연결부(346)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스팀공급호스(352)의 외부와 스팀호스(36)의 내측을 따라 형성되는 회수유로(354)를 따라 유동하여 스팀발생장치(30)로 다시 회수된다. 결국,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공급유로(352)를 형성하는 스팀공급호스(360)를 별도로 구비하여 스팀공급유로(352)로 응축수가 튀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실시예들을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을 서로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팀분사유닛이 제2, 제3, 제4 실시예를 서로 조합하거나, 제3 및 제4 실시예를 서로 조합하거나, 제2 및 제4 실시예를 서로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의류처리장치(100)를 구동시키게 되면, 먼저, 물공급원의 물이 스팀발생장치(30)로 공급되어, 스팀이 생성되어 수용공간(12)으로 분사된다. 이 경우, 스팀이 응축된 응축수는 회수유로를 따라 다시 스팀발생장치로 회수되어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팀을 분사함으로써, 의류 등에 생길 수 있는 주름 등이 제거되며 부풀림 효과 및 살균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소정시간 동안 스팀을 분사한 다음, 히트펌프(22)에 의해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즉, 히트펌프(22)는 증발기(24) 및 응축기(28)에 의해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여 다시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한다.
열풍에 의해 의류의 건조가 완료되면 열풍공급을 마치고 의류의 리프레쉬 과정을 마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기계실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스팀분사유닛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도 2에서 스팀분사유닛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도 2에서 스팀분사유닛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및
도 6은 도 2에서 스팀분사유닛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Claims (11)
-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캐비넷;상기 캐비넷의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상기 캐비넷의 수용공간으로 분사되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장치; 및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분사하며, 상기 스팀의 이동 중에 응축된 응축수는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회수하는 스팀분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스팀분사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스팀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스팀분사유닛은 상기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공급유로; 및 상기 응축수가 회수되는 회수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회수유로와 상기 스팀공급유로는 서로 만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스팀분사유닛은,상기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부;상기 분사부에서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응축수가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회수유로를 형성하는 경사부; 및상기 경사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연결된 스팀호스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내측 중앙부를 따라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공급유로가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응축수가 흐르는 회수유로가 형성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경사부에서 상기 분사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응축수가 회수되는 회수유로를 형성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저장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관통공은 상기 경사부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응축수는 상기 경사부 및 연결부의 내주면을 따라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상기 연결부 및 스팀호스의 내주면을 따라 회수유로를 형성하여 응축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연결부 및 스팀호스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상기 스팀호스 연결부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분사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공급유로를 형성하는 스팀공급호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상기 스팀호스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분사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호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8121A KR101366273B1 (ko) | 2007-08-03 | 2007-08-03 | 의류처리장치 |
PCT/KR2008/004510 WO2009020319A2 (en) | 2007-08-03 | 2008-08-04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US12/320,705 US8230613B2 (en) | 2007-08-03 | 2009-02-02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8121A KR101366273B1 (ko) | 2007-08-03 | 2007-08-03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3949A true KR20090013949A (ko) | 2009-02-06 |
KR101366273B1 KR101366273B1 (ko) | 2014-02-20 |
Family
ID=4034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8121A KR101366273B1 (ko) | 2007-08-03 | 2007-08-03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230613B2 (ko) |
KR (1) | KR101366273B1 (ko) |
WO (1) | WO2009020319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99223A1 (en) * | 2014-12-19 | 2016-06-23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2369B1 (ko) * | 2004-11-30 | 2007-0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열풍공급용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
DE102007007354B4 (de) | 2006-02-20 | 2013-10-10 | Lg Electronics Inc. |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
KR100830514B1 (ko) | 2006-06-12 | 2008-05-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US7997006B2 (en) * | 2007-01-12 | 2011-08-16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TW200914675A (en) * | 2007-09-27 | 2009-04-01 | Fu Kuang Huan | Flow-dividing device of blowing model for drying and ironing clothing |
DE102007052839A1 (de) * | 2007-11-06 | 2009-05-07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Trockner mit Wärmepumpenkreis |
EP3779026A1 (en) | 2010-03-03 | 2021-02-17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DE102014225086A1 (de) * | 2014-12-08 | 2016-06-09 | BSH Hausgeräte GmbH |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Elektroniktasche |
KR101597108B1 (ko) * | 2014-12-19 | 2016-02-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USD801604S1 (en) * | 2015-09-15 | 2017-10-31 | Lg Electronics Inc. | Dehumidifying sterilizing and deodorizing machine forgarments |
KR102650961B1 (ko) | 2018-09-12 | 2024-03-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의류 관리기 |
GB2579145B (en) * | 2018-10-18 | 2020-12-02 | Nanjing Enwell Tech Service Co Ltd | An Intelligent wardrobe |
CN109008272B (zh) * | 2018-10-18 | 2023-07-11 | 南京英维尔科技服务有限公司 | 一种智能衣橱 |
USD1025526S1 (en) * | 2021-08-17 | 2024-04-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lothing care machine |
USD1030161S1 (en) * | 2021-10-07 | 2024-06-04 | Lg Electronics Inc. | Clothing care machine with showcase |
KR20230106387A (ko) * | 2022-01-06 | 2023-07-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팀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
KR20240121103A (ko) * | 2023-02-01 | 2024-08-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의류 관리기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96876A (en) * | 1976-07-02 | 1978-06-27 | Armstrong Machine Works | Condensate controller |
US5000765A (en) * | 1989-08-18 | 1991-03-19 | Dri-Steem Humidifier Company | Condensate inhibiting outlet pipe for water-steam separator |
US5203258A (en) * | 1990-09-12 | 1993-04-20 | Tippmann Vincent P | Apparatus for heating food articles |
US5369892A (en) * | 1993-06-04 | 1994-12-06 | Dhaemers; Gregory L. | Armoire |
JP3048520B2 (ja) * | 1996-04-05 | 2000-06-05 | 直本工業株式会社 | 業務用アイロン |
ES2178538B1 (es) * | 2000-03-13 | 2004-11-16 | Fagor, S. Coop. | Armario para el secado y desarrugado de ropa. |
WO2004091359A2 (en) | 2003-04-15 | 2004-10-28 | Kleker Richard G | Apparatus for washing and drying garments |
ES2281239B1 (es) * | 2005-03-23 | 2008-08-16 | Ibai, S. Coop. | Armario de desarrugado y secado de ropa. |
KR101235193B1 (ko) | 2005-06-13 | 2013-02-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GB2428692A (en) * | 2005-07-28 | 2007-02-07 | Claudia Newbury | Steaming and drying apparatus |
US20080034813A1 (en) * | 2006-08-09 | 2008-02-14 | Tobias Andrew J | Drip-free garment steamer |
EP1923499B1 (en) * | 2006-11-15 | 2018-02-28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Nozzle and additive supply arrangement for a textiles treatment apparatus |
US20080155757A1 (en) * | 2006-12-29 | 2008-07-03 | Jong Seok Kim | Method for controlling a fabric treatment apparatus |
-
2007
- 2007-08-03 KR KR1020070078121A patent/KR10136627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
- 2008-08-04 WO PCT/KR2008/004510 patent/WO2009020319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
- 2009-02-02 US US12/320,705 patent/US8230613B2/en active Active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99223A1 (en) * | 2014-12-19 | 2016-06-23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CN105714536A (zh) * | 2014-12-19 | 2016-06-29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US9938657B2 (en) | 2014-12-19 | 2018-04-10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US10676860B2 (en) | 2014-12-19 | 2020-06-09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US11136709B2 (en) | 2014-12-19 | 2021-10-05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US11453972B2 (en) | 2014-12-19 | 2022-09-27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US11499263B2 (en) | 2014-12-19 | 2022-11-15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US11505891B2 (en) | 2014-12-19 | 2022-11-22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US11674260B2 (en) | 2014-12-19 | 2023-06-13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US11674261B2 (en) | 2014-12-19 | 2023-06-13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US11739473B2 (en) | 2014-12-19 | 2023-08-29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US12091811B2 (en) | 2014-12-19 | 2024-09-17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9020319A2 (en) | 2009-02-12 |
US20090260250A1 (en) | 2009-10-22 |
US8230613B2 (en) | 2012-07-31 |
KR101366273B1 (ko) | 2014-02-20 |
WO2009020319A3 (en) | 2010-08-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627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435797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435798B1 (ko) | 의류처리장치 | |
US9194076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machine | |
KR20090105083A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101443614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2018509996A (ja) | 衣類乾燥機用凝縮水の捕集・蒸発装置、衣類乾燥機及びその制御方法 | |
KR10115500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191205B1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101119120B1 (ko) | 의류 처리장치 | |
KR20090105085A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387524B1 (ko) | 의류처리장치 | |
US20120246839A1 (en) |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KR101295381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486358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461947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366275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430458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39703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177460B1 (ko) | 의류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 |
KR101542375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090100804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10127426A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0987454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20132768A (ko) | 의류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