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387A - 스팀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스팀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6387A
KR20230106387A KR1020220002219A KR20220002219A KR20230106387A KR 20230106387 A KR20230106387 A KR 20230106387A KR 1020220002219 A KR1020220002219 A KR 1020220002219A KR 20220002219 A KR20220002219 A KR 20220002219A KR 20230106387 A KR20230106387 A KR 20230106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passage
flow path
nozzle
main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진
서응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6387A/ko
Priority to PCT/KR2022/018067 priority patent/WO2023132465A1/ko
Publication of KR20230106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8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06F39/4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 케이스,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 장치, 이너 케이스에 결합되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노즐 및 스팀 생성 장치와 스팀 노즐을 연결하는 스팀 호스를 포함하고, 스팀 노즐은, 의류 수용 공간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구, 스팀 호스로부터 스팀 분사구로 직접적으로(directly) 연결되는 메인 유로 및 스팀 노즐의 내부에서 스팀 중 적어도 일부가 선회하도록 메인 유로에서 분기되는 사이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팀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STEAM SPRAY AND CLOTHES CARE APPARATUS COMPRISING OF THE SAME}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스팀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관리 장치는 의류 수용 공간에 의류를 수용하여 의류를 케어(care) 또는 관리(management)하는 장치로, 의류 관리 장치는 의류의 주름, 먼지 또는 냄새를 제거하거나, 의류를 건조 또는 살균한다. 최근에는 의류 관리 장치는 가정용으로 이용되며, 셔츠, 바지, 코트와 같은 의류를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의류 관리 장치는 팬 및 유로 구조를 포함하여 의류 수용 공간에 거치된 의류를 향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거나, 스팀 분사 장치를 포함하여 의류로 스팀을 배출한다.
의류 관리 장치가 포함하는 스팀 분사 장치는 스팀을 의류에 분사하여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거나, 의류에 잔류하는 오염원을 제거한다. 예를 들면, 스팀과 오염원이 접촉하면 오염원은 고온의 액체 상태인 스팀에 의하여 용해되고, 스팀과 함께 의류 수용 공간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배출구로 집수되며 제거된다.
스팀 분사 장치의 스팀 노즐은 의류 수용 공간에서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의류로 스팀을 분사한다. 의류 수용 공간에 거치되는 의류의 수, 의류의 크기, 의류의 종류 또는 의류 수용 공간에서 의류가 거치되는 위치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의류의 일부 영역에는 스팀이 고르게 분사되지 않을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스팀의 주름 펴짐 효과가 감소하거나 살균 및 탈취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스팀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는 스팀 노즐이 고정된 위치에서 넓은 방향으로 분사되며, 또한 높은 분사 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팀 노즐의 구조 설계에 대한 기술적 요구가 존재하였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스팀 노즐은 메인 유로 및 사이드 유로를 통하여 스팀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넓은 방향으로 퍼지고, 동시에 높은 분사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문서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의 의류 관리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 케이스,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 장치, 상기 이너 케이스에 결합되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노즐 및 상기 스팀 생성 장치와 상기 스팀 노즐을 연결하는 스팀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 노즐은, 상기 의류 수용 공간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구, 상기 스팀 호스로부터 상기 스팀 분사구로 직접적으로(directly) 연결되는 메인 유로 및 상기 스팀 노즐의 내부에서 스팀 중 적어도 일부가 선회하도록 상기 메인 유로에서 분기되는 사이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의 스팀 분사 장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 장치, 상기 스팀 생성 장치에 연결되는 스팀 호스 및 상기 스팀 호스에 연결되어 스팀을 전달받고, 외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 노즐은, 상기 외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구, 상기 스팀 호스로부터 상기 스팀 분사구로 직접적으로(directly) 연결되는 메인 유로, 상기 스팀 노즐의 내부에서 스팀 중 적어도 일부가 선회하도록 상기 메인 유로에서 분기되는 사이드 유로 및 상기 메인 유로를 마주보는 제1 측벽 및 상기 사이드 유로를 마주보는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유로 및 상기 사이드 유로를 구획하는 월(wall)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스팀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는, 메인 유로 및 사이드 유로를 포함하여 스팀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고, 또한, 스팀 노즐의 분사 압력을 높게 제공하여, 스팀 노즐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넓은 방향으로 분사되며 의류에 골고루 스팀이 분사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팀 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팀 노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팀 노즐의 X 방향 분사 속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팀 노즐이 스팀을 분사하는 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팀 노즐이 스팀을 분사하는 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팀 노즐이 스팀을 분사하는 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팀 노즐이 스팀을 분사하는 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 "제2 ",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 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 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 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d를 참고하여 본 개시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0)는 아우터 케이스(10) 및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의류 관리 장치(100)는 의류(C)를 관리하거나 세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의류 관리 장치(100)는 의류(C)를 수용하는 이너 케이스(50)와 이너 케이스(50)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고, 의류 수용 공간(51)에 의류(C)를 수용할 수 있다. 의류 관리 장치(100)는 이너 케이스(50)에 수용된 의류(C)로 바람, 열풍, 스팀 또는 착향료 중 적어도 일부를 분사하여, 의류(C)의 주름을 제거하거나, 먼지 또는 냄새를 제거하고, 의류(C)를 건조 및 살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의류 관리 장치(100)의 일 실시 예로 가정용으로 설치되는 의류 관리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실제 구현 시에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건조기 또는 세탁기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의류 관리 장치(100)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의류 관리 장치(100)에 의한 처리 대상을 '의류(C)'로 지칭하나, 실제 구현 시에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수건, 이불 또는 커튼과 같은 다양한 처리 대상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아우터 케이스(10)는 의류 관리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의류(C)를 수용하는 의류 수용 공간(51)을 제공하는 이너 케이스(50)와, 의류(C)를 처리하기 위한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아우터 케이스(10)는 아우터 케이스(10)가 외부 지지면(예: 지면 또는 실내 거치면)과 마주보는 방향(예: -Z 방향)의 제1 면(10a), 도어(20)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20)와 마주보는 방향(예: +Y 방향)을 바라보는 제2 면(10b), 제1 면(10a)에 반대되며 천장 방향(예: +Z 방향)을 바라보는 제3 면(10c), 제1 면(10a)으로부터 제3 면(10c)으로 이어지는 양 방향(예: +/-X 방향)의 복수의 측면(10d)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어(20)는 이너 케이스(50)를 개폐하고, 도어(20)가 개방되면 아우터 케이스(10) 내부의 이너 케이스(50)로 의류(C)를 넣고 꺼낼 수 있다. 도어(20)는 닫힌 상태에서 이너 케이스(50)를 바라보는 면에 결합되는 제1 도어 부재(21) 및 제2 도어 부재(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도어 부재(21)는 유리, 거울 또는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도어 부재(25)는 도어(20)의 프레임일 수 있고, 도어 가이드가 형성되어 도어(20)에 형성되는 응축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도어(20)의 구조와 역할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너 케이스(50)는 의류(C)를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30)는 의류(C)를 지지하도록 옷걸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30) 내부는 개방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고, 지지 부재(30)에 거치된 의류(C)의 내부로 공기가 유동하여 먼지 내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아우터 케이스의 제1 면(10a) 방향에는 아우터 케이스(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물받이통(40)이 마련될 수 있다. 물받이통(40)은 스팀 생성 장치(예: 도 2의 스팀 생성 장치(114))로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통이거나, 열교환기(예: 도 2의 열교환기(118))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통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물받이통(40)의 배면에는 기계실이 마련되고, 기계실에는 의류 관리 장치(100)의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기계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너 케이스(50)의 내부에는 제1 흡기구(61)가 마련되어 의류 수용 공간(51)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스팀 노즐(116)의 스팀 분사구(70)가 결합되어 이너 케이스(50)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제1 흡기구(61) 및 스팀 분사구(70)에 대하여는 도 3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의류 관리 장치(100)는 구동부(110), 센서 모듈(120) 및 프로세서(130) 중 적어도 일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110)는 의류 관리 장치(100)의 전반적인 기계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며,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른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공급 장치(111)는 의류 관리 장치(100)의 구동부(110) 및 다른 부품들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111)는 팬 어셈블리(112)에 전력을 공급하고, 팬 어셈블리(11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공급 장치(111)는 프로세서(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제어 방식 또는 주파수 변환 방식을 사용하여 팬 어셈블리(112)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공급 장치(111)는 스위칭 디바이스로서 구성된 지능형 전력 모듈 (Intelligent Power Module: IPM)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지능형 전력 모듈은 전력 장치 또는 구동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기능을 부가한 전원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열교환기(118)를 제어하는 전력 공급 장치(111)에 있어서는 부하량 증가에 의한 과열에 의하여 전력 공급 장치(111) 및 의류 관리 장치(100)의 구성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팬 어셈블리(112)는 순환 유로(예: 도 3의 제2 순환 유로(65))에 설치되고, 의류 수용 공간(51)의 공기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12)가 구동되면 의류 수용 공간(51)의 공기가 순환 유로(65)를 따라 순환하며, 먼지가 제거되거나, 공기가 가열 및/또는 건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팀 분사 장치(113)는 스팀을 생성하고 이를 분사할 수 있다. 스팀 분사 장치(113)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생성 장치(114), 스팀 생성 장치(114)에 연결되어 스팀을 전달받는 스팀 호스(115) 및 스팀 호스에 연결되어 스팀을 전달받고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노즐(11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팀 분사 장치(113)는 스팀을 의류(C)에 분사하여, 의류(C)에 부착된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팀은 오염원과 접촉하면 오염원은 고온의 액체 상태인 스팀에 의하여 용해되거나, 스팀이 응결되며 이너 케이스(50)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배출구로 집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팀 생성 장치(114)는 물받이통(40)을 통하여 물을 공급받고, 이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스팀 생성 장치(114)는 스팀 호스(115)를 통하여 스팀을 스팀 노즐(116)로 전달하고, 스팀 노즐(116)은 이너 케이스(50)의 의류 수용 공간(51) 방향으로 개방된 스팀 분사구(예: 도 1의 스팀 분사구(70))를 통하여 이너 케이스(50)에 거치된 의류(C)로 고온의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스팀 노즐(116)은 스팀 외에도, 세척액, 착향료와 같은 다양한 액체류를 이너 케이스(50)로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팀 노즐(116)은 세척액 공급 장치(미도시) 및/또는 착향료 공급 장치(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고, 세척액을 분사하여 의류(C)에 잔류하는 오염원을 세척할 수 있고, 착향료를 분사하여 의류(C)의 냄새를 제거하거나 향을 입힐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수 모듈(117)은 의류 관리 장치(100)에서 발생하는 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수 모듈(117)은 물받이통(예: 도 1의 물받이통(40))에 연결될 수 있고, 열교환기(118)에서 발생하는 응축수 및/또는 의류 수용 공간(51)에서 집수된 오염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열교환기(118)는 이너 케이스(50)로부터 전달받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거나, 가열할 수 있다. 예컨대, 열교환기(118)는 냉매가 응축 또는 팽창하며 열교환기(118)를 통과하는 공기를 건조시키거나 가열시키고, 고온 건조해진 공기를 이너 케이스(50)로 제공할 수 있다. 열교환기(118)의 구성 및 동작 대하여는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 모듈(120)은 의류 관리 장치(100)의 동작 상태나 주변 환경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 결과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20)은 전기적 신호를 프로세서(130)로 전달하거나, 감지 결과를 의류 관리 장치(100)의 메모리(135) 또는 외부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 모듈(120)은 건조 코스가 수행되는 동안 의류 관리 장치(100)의 동작 상태나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거나 데이터를 획득하고, 프로세서(130)가 센서 모듈(120)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 모듈(120)에 포함된 각각의 센서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개의 장치로 구현되거나 각각의 센서들이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센서 모듈(120)은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센서 모듈(120)은 감지 값을 프로세서(130)에 전달하며, 프로세서(130)는 전달받은 감지 값을 기초로 의류 관리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진단 정보로서 메모리(135)에 저장하거나, 통신 모듈(133)을 통해 외부 장치(예: 서버, 스마트폰)로 전송하여 외부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센서 모듈(120)은 습도 센서(121), 온도 센서(122) 및 가스 센서(123), 먼지 센서(124) 및 풍량 센서(12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습도 센서(121) 및 온도 센서(122) 각각은 의류 관리 장치(100)의 의류 수용 공간(51), 또는 의류 관리 장치(100)의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습도 센서(121)는 다공성 세라믹 또는 고분자막과 같은 흡습성 부재를 포함하고, 흡습성 부재는 주변의 공기를 흡수하여 저항 또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중량 변화에 따른 공진 주파수 변화에 기초하여 주변 공기의 상대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온도 센서(122)는 온도에 따라 물질의 저항이 변화하는 성질을 이용한 저항기의 일종인 서미스터(thermisto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서미스터는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이 감소하고, 온도가 내려가면 저항이 증가되는 부저항온도계수(NTC: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온도 센서(122)는 온도 조절 장치(예: thermostat)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온도 조절 장치는 열교환기(118)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을 검출하여, 이너 케이스(50)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특정한 온도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스 센서(123) 및 먼지 센서(124)는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스 센서(123)는 VOCs 센서일 수 있고, 의류 수용 공간(51)의 공기 중의 수소, 황화수소, 암모니아, 에탄올, 일산화탄소, 메탄, 프로판과 같은 가스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먼지 센서(124)는 의류 수용 공간(51) 공기의 미세 먼지 및 초미세 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풍량 센서(126)는 팬 어셈블리(112)의 풍량을 측정할 수 있고, 프로세서(130)는 이를 전달받아 팬 어셈블리(112)의 구동력을 높이거나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풍량 센서(126)는 순환 유로(예: 도 3의 제1 순환 유로(60) 또는 제2 순환 유로(65)) 또는 이너 케이스(50)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의 풍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센서 모듈(120)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세제의 종류 또는 잔량을 감지하는 필터(예: 도 4의 필터(68))의 상태를 검출하는 필터 센서(미도시), 도어(2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미도시) 및 의류 관리 장치(100)가 진동하는 정도를 감지하는 진동 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의류 관리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복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버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30)와 메모리(135)는 각각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성으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130)가 메모리(135)를 포함하는 것과 같이 단일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단일 구성 또는 복수의 구성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135) 또한 단일 구성 또는 복수의 구성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30)는 명령이 수신되면, 입력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구동부(110)를 동작시키며 복수의 코스(course)를 단계별로,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의류(C) 관리 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의류 관리 장치(100)가 구동되는 동안, 센서 모듈(120)을 통해 의류 관리 장치(100)에 구동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프로세서(130)는 의류 관리 장치(100)의 구동을 피드백하거나, 진단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131)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1)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센서 모듈(120)을 통해 획득된 진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1)는 의류 관리 장치(100)의 도어(20)에 배치되어, 사용자는 의류 관리 장치(100)의 구동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31)는 의류 관리 장치(100) 내부에 내장된 것이 아닌 외장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의류 관리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장 디스플레이에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피커(132)는 의류 관리 장치(100)에 내장된 것으로 오디오 처리부(미도시)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직접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 모듈(133)은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외부 기기(예: 서버, 스마트폰)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133)은 센서 모듈(120)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서버(또는 스마트폰)로 전송하거나, 의류 관리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서버(또는 스마트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 모듈(133)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칩, 와이 파이 칩, 무선 통신 칩 및 NFC 칩,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이더넷 모듈 및 USB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이더넷 모듈 및 USB 모듈은 입출력포트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 모듈(134)은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방식의 사용자 명령(command)을 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며, 수신된 사용자 명령을 프로세서(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 모듈(134)은 터치 패널 또는 키, 복수의 조작 버튼 및 회전 노브과 같은 입력 장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135)에는 의류 관리 장치(100) 또는 프로세서(13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명령어(instruction),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35)에는 센서 모듈(120)에 의해 획득된 정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135)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3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135), 프로세서(130) 내의 RAM, ROM 또는 의류 관리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135)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의 휘발성 메모리와, Flash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의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0)는 제1 순환 유로(60), 제2 순환 유로(65) 및 스팀 분사 장치(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너 케이스(50)의 바닥면(50a)을 포함할 수 있고, 바닥면(50a)과 아우터 케이스(10) 사이에는 의류 관리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예: 도 2의 구동부(110))의 다양한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로 어셈블리(60, 65)는 이너 케이스(50)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처리한 후 다시 이너 케이스(50)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연통될 수 있다. 유로 어셈블리(60, 65)는 이너 케이스(50)의 공기가 순환시키며, 이너 케이스(50)에 수용된 의류(C)에 지속적으로 강한 바람 또는 열풍을 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유로 어셈블리(60, 65)는 제1 순환 유로(60) 및 제2 순환 유로(6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순환 유로(60)는 이너 케이스(50)의 바닥면(50a)에 마련되는 제1 흡기구(61) 및 제1 배기구(6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흡기구(61)는 이너 케이스(50)로부터 하부 방향(예: -Z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제1 순환 유로(60)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118)를 통과하여 가열 및/또는 건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열 및/또는 건조된 공기는 제1 배기구(62)를 통하여 이너 케이스(50) 내부로 배출될 수 있고, 제1 순환 유로(60)는 의류 수용 공간(51)의 공기를 가열 및/또는 건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열교환기(118)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제1 순환 유로(60)에 연통되고, 제1 흡기구(61)로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 및/또는 제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열교환기(118)는 제1 순환 유로(60)에 설치되거나, 제1 순환 유로(60)에 연통될 수 있고, 전달받은 공기를 가열 및/또는 제습하여 제1 배기구(62)로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순환 유로(60)를 통과한 공기는 가열 및 제습되어 고온 건조한 상태가 될 수 있고, 고온 건조한 공기를 제1 배기구(62)를 통과하여 이너 케이스(50)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고온 건조한 공기는 의류(C)의 주름을 제거하거나 의류(C)를 살균할 수 있고, 젖은 의류(C)를 건조하거나 의류(C)에 분사된 스팀에 의하여 형성되는 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순환 유로(60)는 기계실과 물받이통(40)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41)는 물받이통(40)으로부터 물을 전달받고, 스팀 생성 장치(114)에 연결되어 스팀 생성 장치(114)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열교환기(118)에 연결되어 열교환기(118)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물받이통(40)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순환 유로(65)는 이너 케이스(50)의 도어(20)와 마주보는 일 면에 마련되는 제2 흡기구(67) 및 이너 케이스(50)의 천장면(50b)에 마련되는 제2 배기구(6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흡기구(67)는 이너 케이스(50)로부터 정면 방향(예: +Y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68)는 제2 순환 유로(65)에 마련되고, 제2 흡기구(67)로 흡입되는 공기의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68)는 제2 흡기구(67)에 설치될 수 있고, 이너 케이스(50)에서 발생하는 먼지 내지 미세 먼지를 걸러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68)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먼지, 미세 먼지, 초미세 먼지, 세균, 고분자 물질 또는 바이러스 중 적어도 일부를 걸러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배기구(66)는 이너 케이스(50)의 내부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고, 배출된 공기는 의류 수용 공간(51)에 거치된 의류(C)에 붙은 이물질을 의류(C)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물질 중 상대적으로 가벼운 먼지 또는 미세 먼지는 공기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너 케이스(50)의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흡기구(67)로 흡입되며 필터(68)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걸러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열교환기(118)는 증발기(118a), 응축기(118b), 압축기(118c) 및 팽창기(미도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열교환기(118)의 각각의 구성의 구동에 의하여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증발기(118a)는 팽창기(미도시)에서 팽창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증발기(118a)는 저온 저압의 개체 냉매를 압축기(118c)로 복귀시킬 수 있다. 증발기(118a)는 저압의 액체 냉매를 기체 냉매로 변화시키는 증발 과정을 통해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증발기(118a)는 증발 과정에서 증발기(118a)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증발기(118a)에 의하여 주변 공기가 냉각되고, 주변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보다 낮아지면 증발기(118a) 주변 공기는 응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증발기(118a) 주변에서 응결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증발기(118a)를 통과하는 공기의 절대 습도는 낮아질 수 있다. 예컨대, 증발기(118a)를 통과하는 공기가 포함하는 수증기의 양이 감소할 수 있다. 증발기(118a) 주변에서의 응결을 이용하여 의류 관리 장치(100)는 의류 수용 공간(51)의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 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의류(C)를 건조 및 살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응축기(118b)는 압축된 기체 냉매를 액체로 응축할 수 있다. 응축기(118b)는 냉매의 응축 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응축기(118b)는 냉매의 응축 과정에 발생된 열을 통하여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응축기(118b)에서 응축된 액체 냉매는 팽창기(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팽창기(미도시)는 응축기(118b)에서 응축된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체 냉매로 팽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창기(미도시)는 냉매의 압력 차이를 조절하는 팽창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압축기(118c)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상태로 압축하고,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배출할 수 있다. 배출된 냉매는 응축기(118b)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팀 발생 장치(113)는 물받이통(4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형성할 수 있다. 스팀 발생 장치(113)는 연결 부재(41)를 통하여 물받이통(4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 장치(114), 스팀 생성 장치(114)에서 생성된 스팀을 스팀 노즐(116)로 안내하는 스팀 호스(115) 및 스팀 호스(115)에 연결되어 의류 수용 공간(51)으로 스팀을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스팀 노즐(11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팀 노즐(116)은 스팀 호스(115)의 단부에 연결되어 스팀 분사구(70) 방향으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팀 노즐(116) 및 스팀 분사구(70)는 이너 케이스(50)의 상부 방향(예: +Z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의류 수용 공간(51)에 거치되는 의류(C) 방향으로 고온 및/또는 고압의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팀 노즐(116)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팀 노즐(116)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팀 노즐(116)은 제1 유로 부분(150), 제2 유로 부분(180), 메인 유로(165) 및 사이드 유로(17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유로 부분(150), 제2 유로 부분(180), 메인 유로(165) 및 사이드 유로(175)는 스팀 노즐(116) 내부에서 스팀의 이동 방향에 관한 요인(예를 들면, 스팀이 이동하는 방향, 스팀을 전달받는 대상 또는 스팀을 전달하는 대상)을 기준으로 스팀 노즐(116)의 내부를 가상으로 구획한 것으로, 실제 구현 시에는 제1 유로 부분(150), 제2 유로 부분(180), 메인 유로(165) 및 사이드 유로(175)가 하나의 몸체로 구현될 수 있고, 각각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중첩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팀 노즐(116)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스팀의 주된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용어를 정의하여 설명하며, 실제 구현 시에는 스팀의 이동 방향은 주된 이동 방향 외에 다양한 이동 방향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의 스팀 노즐(116)은, 실제 구현 시에 도면과 상이한 형상을 갖더라도, 용어적으로 동일하거나 당업자가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범위로 변형되었다면,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균등한 구성으로 취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유로 부분(150)은 스팀 호스(115)에 연결되어 스팀 생성 장치(114)에서 생성된 스팀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유로 부분(150)은 스팀 호스(115)와 연통되는 제1 유입구(151) 및 메인 유로(165)와 연통되는 제1 유출구(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 부분(150)은 스팀 호스(115)로부터 스팀을 전달받아 메인 유로(165)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유로 부분(150)은, 스팀이 이동하는 관로인 이동 영역(152)을 포함할 수 있고, 이동 영역(152)은 스팀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 영역(152)은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부 및 후반부인 제1 영역(152a) 및 제2 영역(152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영역(152a)은 제1 유입구(151)로부터 스팀을 전달받아 제2 영역(152b)으로 가이드하고, 제2 영역(152b)은 제1 영역(152a)으로부터 스팀을 전달받아 제1 유출구(153)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영역(152a)은 제1 유로 부분(150) 중 스팀 호스(115)가 연결되는 제1 유로 부분(150)의 전단부일 수 있고, 일 방향(예: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팀을 실질적으로 직선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영역(152b)은 제1 유로 부분(150) 중 제1 영역(152a)을 메인 유로(165)로 연결하는 제1 유로 부분(150)의 후단부일 수 있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절곡되고, 스팀의 이동 방향을 곡선 또는 꺾은 선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스팀의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영역(152b)은 내부로 이동하는 스팀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도록 절곡되는 제3 측벽(1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벽(154)은 제1 영역(152a)이 연장되는 방향(예: -X 방향)과 적어도 일부 영역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측벽(154)은 제1 영역(152a)을 통과한 스팀의 적어도 일부를 다른 방향(예: -Y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스팀의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팀 노즐(116)은, 제3 측벽(154)과 제2 유로 부분(180) 사이에 마련되고, 스팀 노즐(116)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된 제1 개방 영역(179a)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 영역(179a)은 제1 유로 부분(150)의 제2 영역(152b)을 메인 유로(165)로부터 구획하고, 스팀의 이동을 제한하며 스팀의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팀 노즐(116)은 제1 유로 부분(150)에서 제3 측벽(154)에 반대되는 측벽과 제2 유로 부분(180) 사이에 마련되고, 스팀 노즐(116)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된 제2 개방 영역(179b)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스팀 노즐(116)은 개방 영역(179a, 179b)을 포함하지 않고, 개방 영역(179a, 179b)의 위치에는 댐퍼 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스팀의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영역(152b)은 제1 영역(152a)과 상이한 방향(예: +/-Y 방향)으로 스팀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영역(152b)은 제1 영역(152a)으로부터 일 방향(예: -X 방향)으로 전달받은 스팀을 다른 방향, 예를 들면 의류 수용 공간(51) 방향(예: -Y 방향)으로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영역(152a)과 제2 영역(152b)의 스팀의 이동 방향은 상이할 수 있고, 제1 유로 부분(150)은 제1 영역(152a) 및 제2 영역(152b)을 통하여 스팀 호스(115)로부터 전달받는 스팀의 이동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152a)은 스팀을 제1 방향(예: -X 방향)으로 가이드하고, 제2 영역(152b)은 스팀을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예: -Y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영역(152b)은 제1 영역(152a)에서 제1 유출구(153) 방향(예: -Y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고압의 유체가 흐르는 상태에서 유로의 단면적이 감소하면, 해당 영역에서는 유체의 이동 속도가 감소하고, 이를 통과한 후 단면적이 증가하면 유체의 속력은 증가하며, 넓은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유로(165)로 이동하는 스팀은 제2 영역(152b)을 통과하며 이동 속도가 감소하고, 제1 유출구(153)를 통과하면 다시 속력이 증가하며 넓은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영역(152b)은 제3 측면 및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통하여 스팀의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고, 제1 유출구(153)를 통과한 스팀은 중심 방향(예: -Y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퍼지며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유로 부분(180)은 메인 유로(165)로부터 스팀을 전달받고, 스팀 분사구(70)를 통하여 의류 수용 공간(51) 방향으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제2 유로 부분(180)은 메인 유로(165)와 연통되는 제2 유입구(183) 및 스팀 분사구(70)의 분사 영역(71)과 연통되는 제2 유출구(18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유로(165)는 스팀 호스(115)로부터 스팀 분사구(70)로 직접적으로(directly) 연결될 수 있고, 사이드 유로(175)는 스팀 노즐(116)의 내부에서 스팀 중 적어도 일부가 선회하도록 메인 유로(165)에서 분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유로(165)는 이너 케이스(50)의 바닥면(50a, 도 3 참조)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예: X-Y 평면 방향)으로 배치되어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3 영역(165a) 및 이너 케이스(50)의 바닥면(50a)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4 영역(165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유로(165)의 스팀은 제3 영역(165a)을 거치며 바닥면(50a)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예: X-Y 평면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4 영역(165b)을 거치며 바닥면(50a)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유로 부분(180)의 제2 유입구(183)는 메인 유로(165)의 제4 영역(165b)과 연통될 수 있다. 제2 유로 부분(180)은 제4 영역(165b)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유출구(181)는 이너 케이스(50)로 바닥면(50a)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수직 방향(예: +Z 방향)으로 경사지게 스팀을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유로 부분(150)의 제2 영역(152b)이 스팀을 가이드 하는 제2 방향(예: -Y 방향)을 기준으로, 메인 유로(165)의 제4 영역(165b) 및 제2 유로 부분(180)은 제2 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예: +Z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스팀을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팀 분사구(70)는 이너 케이스(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예: +/-Z 방향)으로 치우쳐서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기계실과 가까운 이너 케이스(50)의 바닥면(50a)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2 유로 부분(180) 및 메인 유로(165)가 바닥면(50a)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되면, 스팀 노즐(116)은 의류(C)가 위치하는 수직 방향(예: +Z 방향)으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고, 의류(C) 관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유로 부분(180)은 제2 유입구(183)에서 제2 유출구(181)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유로(165)는 제4 영역(165b)에서 제2 유로 부분(18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제2 유로 부분(180)으로 유입되는 스팀은 메인 유로(165)를 통과하며 이동 속도가 감소하고, 제2 유로 부분(180)을 통과하면 다시 이동 속도가 증가하며 넓은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유로 부분(180) 및 메인 유로(165)는 단면적이 감소 및 증가하는 형상을 통하여 스팀의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고, 제2 유출구(181)를 통과한 스팀은 중심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퍼지고, 스팀은 의류 수용 공간(51)에서 넓은 방향으로 확산되며 의류 수용 공간(51)으로 고르게 분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유로(165)는 제1 유로 부분(150)으로부터 스팀을 전달받고 제2 유로 부분(180)으로 스팀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유로(165)는 메인 유로(165)의 내부에서 스팀이 이동하는 관로인 메인 유로(165) 및 사이드 유로(17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유로(165)는 메인 유로(165)의 외부로 스팀이 전달하거나 전달받는 제3 유입구(161) 및 제3 유출구(16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메인 유로(165) 및 사이드 유로(175)는 메인 유로(165) 내부에서 스팀이 이동하는 방향, 스팀을 전달받거나 전달하는 대상, 스팀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는 역할과 같이 다양한 요인을 기준으로 메인 유로(165)의 내부를 가상으로 구획한 것으로, 실제 구현 시에는 메인 유로(165) 및 사이드 유로(175)가 하나의 몸체로 구현될 수 있고, 각각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중첩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유로(165)는 제1 유로 부분(150)에서 제2 유로 부분(180)으로 스팀이 이동하는 중심 유로일 수 있고, 메인 유로(165)는 직접적으로(directly) 제1 유로 부분(150) 및 제2 유로 부분(180)에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유입구(161)는 제1 유로 부분(150)의 제1 유출구(153)에 연통되어 스팀을 전달받을 수 있고, 제3 유출구(163)는 제2 유로 부분(180)의 제2 유입구(183)에 연통되어 스팀을 전달할 수 있고, 제3 유입구(161) 및 제3 유출구(163) 사이에는 메인 유로(165)가 위치하여, 메인 유로(165)가 스팀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이드 유로(175)는 메인 유로(165)에서 제2 유로 부분(180)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팀 중 일부를 전달받고, 제1 유로 부분(150) 방향으로 스팀을 가이드하여 다시 메인 유로(165)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이드 유로(175)와 메인 유로(165) 사이에는 상호 스팀을 전달하는 복수의 연결 영역(171, 17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연결 영역(171)은 메인 유로(165)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3 유입구(161)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연결 영역(173)은 메인 유로(165)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3 유출구(163)에 인접한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결 영역(171)에서, 사이드 유로(175)를 통과한 스팀은 메인 유로(165)로 이동할 수 있고, 제2 연결 영역(173)에서, 메인 유로(165)를 통과한 스팀 중 적어도 일부는 사이드 유로(175)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유로(165)는 제1 유로 부분(150)에서 제2 유로 부분(180)으로 이동하는 스팀 중 적어도 일부를 메인 유로(165) 및 사이드 유로(175)에서 순환시키며, 스팀의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사이드 유로(175)는 메인 유로(165)를 통과하는 스팀 중 적어도 일부를 전달받고, 이를 특정 방향(예: +/- X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다시 메인 유로(165)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유로(165)가 제1 유로 부분(150)에서 일 방향(예: -Y 방향)으로 스팀을 전달받고, 메인 유로(165)가 제2 유로 부분(180)으로 일 방향(예: -Y 방향)으로 스팀을 전달하면, 메인 유로(165)의 메인 유로(165)는 주로 일 방향(예: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코스로 스팀을 전달할 수 있다. 사이드 유로(175)는 메인 유로(165)에서 적어도 일부의 스팀을 전달받고, 메인 유로(165)와 반대 방향(예: +Y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동 방향을 변경시켜, 새로운 방향(예: +X 및 -Y)으로 스팀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여 다시 메인 유로(165)로 전달할 수 있다. 메인 유로(165)는 사이드 유로(175)로부터 특정 방향(예: +X 방향)의 이동하는 스팀을 전달받고, 이를 메인 유로(165)로 전달하여, 스팀 노즐(116)은 특정 방향(예: +X 방향)으로 넓게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스팀 노즐(116)이 사이드 유로(175)를 배제하고 메인 유로(165)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메인 유로(165) 내부의 스팀의 다수는 제1 유로 부분(150)에서 제2 유로 부분(180) 방향으로 일 방향(예: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코스로 이동하게 되고, 스팀 노즐(116)에서 분사되는 스팀은 직선 코스 방향으로 분사되어, 다른 방향(예: +/- X 방향)으로 스팀의 분사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유로(165)는 내부에 감압 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직선 코스 상의 이동 방향을 제한하거나, 제1 유로 부분(150) 및 제2 유로 부분(180)의 배치 방향으로 변경하여 메인 유로(165)의 스팀 전달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 메인 유로(165)를 통과하며 스팀의 압력이 감소하고, 스팀의 분사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의 스팀 노즐(116)은, 제1 유로 부분(150)에서 제2 유로 부분(180)으로 직선 코스를 갖는 메인 유로(165)와, 메인 유로(165)를 이동하는 스팀 중 적어도 일부가 우회하도록 가이드하여 다시 메인 유로(165)로 공급하는 사이드 유로(175)를 포함하고, 스팀 노즐(116)을 통하여 분사되는 스팀은 분사 압력이 유지 또는 향상되고, 넓은 범위로 분사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의 스팀 노즐(116)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100)는 스팀이 넓은 범위로 분사됨에 따라 의류(C)에 고르게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유로(165)는 메인 유로(165) 및 사이드 유로(175)를 물리적으로 구획하는 월(176)을 포함할 수 있다. 월(176)은 메인 유로(165)의 내부에 마련되는 벽면일 수 있다. 월(176)은 스팀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고, 메인 유로(165) 및 사이드 유로(175)를 상호 분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월(176)은 메인 유로(165)를 마주보는 제1 측벽(177a, 177b) 및 사이드 유로(175)를 마주보는 제2 측벽(178a, 178b)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측벽(177a, 177b) 및 제2 측벽(178a, 178b) 사이에 마련되는 중심 영역(176a, 176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측벽(177a, 177b) 및 제2 측벽(178a, 178b) 사이의 중심 영역(176a, 176b)은 스팀 노즐(116)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측벽(177a, 177b)은 제1 유로 부분(150)에서 제2 유로 부분(180) 방향(예: -Y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면 방향(예: +/-X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벽(177a, 177b)은 메인 유로(165)를 통과하는 스팀이 측면 방향으로 넓게 퍼지도록 가이드하고, 스팀의 적어도 일부는 측면 방향에 마련되는 사이드 유로(175)로 진행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측벽(178a, 178b)은 제2 유로 부분(180)에서 제1 유로 부분(150) 방향(예: +Y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절곡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측벽(178a, 178b)은 제3 유출구(163)에 인접하여 사이드 유로(175)로 가이드된 스팀을 다시 제3 유입구(161)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곡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유로(165)는 제1 유로 부분(150)에서 제2 유로 부분(180)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유로(165)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측벽(177a, 177b)이 측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예를 들면 제3 유로(165)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메인 유로(165)의 단면적이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유로(165)를 통과하는 스팀은 단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내부 압력이 증가하고, 메인 유로(165)를 통과하는 스팀은 이동 속도가 더 빨라지고, 스팀은 넓은 범위로 분산되며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이드 유로(175)는, 제2 유로 부분(180)에서 제1 유로 부분(150) 방향(예: +Y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절곡되어 메인 유로(165)가 연장되는 방향(예: +/- Y 방향)과 다른 방향(예: +/- X 방향)으로 스팀을 우회(detour)시킬 수 있다. 사이드 유로(175)는 내부로 스팀이 이동하며 메인 유로(16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예: +/- X 방향)으로 스팀을 우회하도록 가이드하여, 스팀의 이동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사이드 유로(175)를 통과하여 다시 메인 유로(165)로 합류하는 스팀은, 메인 유로(165)의 진행 방향(예: -Y 방향)에 추가로 다른 방향(예: +/- X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고, 스팀의 이동 범위는 넓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팀 노즐(116)은 사이드 유로(175)를 복수로 포함하고, 복수의 사이드 유로(175a, 175b)는 메인 유로(165)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제1 사이드 유로(175a) 및 메인 유로(165)의 일 측면에 반대되는 타 측면에 위치하는 제2 사이드 유로(175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사이드 유로(175a, 175b)는 메인 유로(165)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메인 유로(165)를 통과하는 스팀이 양 측면 방향(예: +/- X 방향)으로 넓게 분사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월(176)은 메인 유로(165)와 제1 사이드 유로(175a)를 구획하는 제1 월(177a, 178a) 및 메인 유로(165)와 제2 사이드 유로(175b)를 구획하는 제2 월(177b, 178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사이드 유로(175a)는 메인 유로(165)와 상호 스팀을 전달하는 복수의 연결 영역(171a, 173a)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사이드 유로(175a)와 메인 유로(165)는 제1 월(177a, 178a)을 통하여 구획될 수 있다. 제1 월(177a, 178a)은 메인 유로(165)를 마주보는 제1 측벽(177a) 및 제1 사이드 유로(175a)를 마주보는 제2 측벽(178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77a)과 제2 측벽(178a) 사이의 중심 영역(176a)은 스팀 노즐(116)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사이드 유로(175b)는 메인 유로(165)와 상호 스팀을 전달하는 복수의 연결 영역(171b, 173b)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사이드 유로(175a)와 메인 유로(165)는 제2 월(177b, 178b)을 통하여 구획될 수 있다. 제2 월(177b, 178b)은 메인 유로(165)를 마주보는 제1 측벽(177b) 및 제2 사이드 유로(175b)를 마주보는 제2 측벽(178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77b)과 제2 측벽(178b) 사이의 중심 영역(176b)은 스팀 노즐(116)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팀 노즐(116)은 메인 유로(165) 및 복수의 사이드 유로(175a, 175b)를 통하여 메인 유로(165) 내부를 통과하는 스팀의 적어도 일부가 와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팀 노즐(116)은, 제1 사이드 유로(175a)를 통과한 스팀의 일부는 메인 유로(165)를 통과하여 제2 사이드 유로(175b)로 전달될 수 있고, 제2 사이드 유로(175b)를 통과한 스팀의 일부는 메인 유로(165)를 통과하여 제1 사이드 유로(175a)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의 스팀 노즐(116)은, 상술한 다양한 구조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여, 스팀의 분사 범위를 확대하고, 스팀의 분사 압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유로 부분(150)은 제2 영역(152b)으로부터 제1 유출구(153)로 스팀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영역(152b)은 제1 유출구(153)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단면적이 감소하고, 제1 유출구(153)를 통과하여 메인 유로(165)로 전달된 스팀은 분사 압력이 높아지고, 분사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유로 부분(150)은 제3 측벽(154)을 포함하여 스팀의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3 측벽(154)을 통하여 스팀은 제1 유로 부분(150)의 제1 유출구(153), 메인 유로(165)의 메인 유로(165), 제2 유로 부분(180)의 제2 유입구(183)로 직선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고, 스팀의 진행 속도를 높이고 분사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유로 부분(180) 및 메인 유로(165)의 제4 영역(165b)은 이너 케이스(50)의 바닥면(50a)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스팀이 이너 케이스(50)의 수직 방향(예: +Z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스팀을 가이드하여 스팀의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고, 이너 케이스(50) 상부에 위치한 영역까지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팀 노즐(116)은 메인 유로(165) 및 사이드 유로(175)를 포함하고, 메인 유로(165) 및 사이드 유로(175)를 물리적으로 구획하도록 메인 유로(165)를 마주보는 제1 측벽(177a, 177b) 및 사이드 유로(175)를 마주보는 제2 측벽(178a, 178b)을 포함하는 월(17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월(176)은 메인 유로(165) 및 사이드 유로(175)를 구획하며 메인 유로(165) 내부에서 스팀이 이동하는 코스를 형성하고, 메인 유로(165) 및 사이드 유로(175)의 스팀 이동 방향을 변경하거나, 스팀이 이동하며 스팀의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팀 노즐(116)은 사이드 유로(175)를 복수로 포함하고, 복수의 사이드 유로(175a, 175b) 중 하나를 통과한 스팀의 일부는 메인 유로(165)를 통과하여 복수의 사이드 유로(175a, 175b) 중 다른 하나로 전달하여, 내부로 스팀이 이동하며 적어도 일부가 와류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유로(165)는 주로 제1 유로 부분(150)으로부터 제2 유로 부분(180)으로 직선 코스로 스팀을 전달할 수 있고, 직선 코스를 통하여 곡선 또는 꺾은 선 코스와 비교할 때 스팀의 분사 압력을 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이드 유로(175)는 메인 유로(165)의 스팀의 일부를 전달받아 직선 코스의 방향(예: -Y 방향)과 함께 측면 방향(예: +/- X 방향)으로도 확산되도록 이동 방향을 변경하여 다시 메인 유로(165)로 스팀을 전달하여, 메인 유로(165)는 스팀의 분사 압력을 높이고 스팀의 분사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팀 노즐(116)의 X 방향 분사 속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팀 노즐(116)이 스팀을 분사하는 다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스팀 분사 장치(113)의 스팀이 시간에 따라 X 방향(예: 도 5의 +/-X 방향)으로 분사되는 속도를 프로파일한 그래프이다. 도 6에 있어서, L0는 도 5와 상이한 일반적인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스팀 분사 장치(113)의 그래프이고, L1은 도 5의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스팀 분사 장치(113)의 그래프이다.
도 6의 시간 축에 있어서, t1 내지 t6은 1초 이하의 시간 단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스팀 분사 장치(113)가 스팀을 분사하기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t1은 2초, t2는 2.2초, t3는 2.4초, t4는 2.6초, t5는 2.8초, 그리고 t6는 3초가 경과한 시간일 수 있다. X 방향 속도 축에 있어서, 속도 단위는 m/s일 수 있고, 스팀 분사 장치(113)의 스팀 분사구(70)의 분사 영역(71) 또는 스팀 노즐(116)의 제3 유출구(163)를 기준으로 스팀의 분사 속도를 측정한 결과일 수 있다. 분사 영역(71)에서 분사 속도가 빠른 경우, 분사 압력이 높을 수 있고, 상대적으로 분사 방향으로 더 멀리 분사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스팀 분사 장치(113)에 대한 그래프인 L1은, 시간에 따른 X 방향의 스팀 분사 속도가 L0보다 크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L0는 X 방향으로 +/- 5의 속도 범위 이내로 제한되는 반면, L1은 X 방향으로 +/- 10 속도까지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스팀 분사 장치(113)는 스팀이 주로 분사되는 직선 방향으로부터 양 측면 방향까지 넓게 스팀을 분사할 수 있고, 의류 관리 장치(100)는 넓은 범위에 위치한 의류(C)의 다양한 부위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6의 L1 그래프의 스팀 분사 장치(113)가 스팀을 분사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ta 내지 td은 0.1초 이하의 시간 단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6의 t5에서 t6 사이의 시간 동안 스팀 노즐(116)이 스팀을 분사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스팀 분사 장치(113)가 스팀을 분사하기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ta은 2.87초, tb는 2.88초, tc는 2.89초, 그리고 td는 2.90초가 경과한 시간일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고하면, ta에서 td 시간까지 스팀이 중심 방향(예: -Y 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면 방향(예: +/-X 방향) 각각으로 순차적으로 기울어지게 스팀을 분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의 스팀 분사 장치(113)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단위로 X 방향의 스팀 분사 속도가 변경되며, 넓은 범위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스팀의 진행 방향을 참고하여, 도 6 내지 도 7d의 스팀 분사 장치(113)의 스팀 분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유로 부분(150)에서 제2 유로 부분(180)으로 스팀이 진행하는 방향을 메인 방향(예: -Y 방향)으로 설정하면, 제1 유로 부분(150)으로부터 메인 유로(165)로 전달되는 스팀은, 제3 측벽(154)에 의하여 메인 방향으로부터 수직한 측면 방향(예: +/- X 방향) 중 한 방향(예: + X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가이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유로 부분(150)에서 메인 유로(165)로 통과하는 스팀은, 일부는 제2 유로 부분(180)으로 전달되고, 다른 일부는 복수의 사이드 유로(175a, 175b)로 전달될 수 있고, 스팀의 적어도 일부는 제3 측벽(154)에 의하여 기울어진 방향(예: + X 방향)에 위치한 제2 사이드 유로(175b)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유로(175b)는, 스팀의 진행 방향을 다른 측면 방향(예: -X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변경하여, 다시 메인 유로(165)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사이드 유로(175b) 및 메인 유로(165)를 통과한 스팀은, 일부는 제2 유로 부분(180)으로 전달되고, 다른 일부는 복수의 사이드 유로(175a, 175b)로 전달될 수 있고, 스팀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사이드 유로(175b)에 의하여 기울어진 방향(예: -X 방향)에 위치한 제1 사이드 유로(175a)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유로(175a)는, 스팀의 진행 방향을 다른 측면 방향(예: +X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변경하여, 다시 메인 유로(165)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스팀 노즐(116)은 메인 유로(165) 내부에서 스팀이 이동하며 양 측면 방향(예: +/- X 방향) 중 하나의 방향과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더 강한 압력으로 이동하고, 스팀 노즐(116)은 시간에 따라 스팀의 분사 방향이 변화하며, 양 측면 방향으로 진동하며 분사되고, 넓은 범위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50), 아우터 케이스(5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 수용 공간(51)을 제공하는 이너 케이스(50),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 장치(114), 이너 케이스(50)에 결합되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노즐(116) 및 스팀 생성 장치(114)와 스팀 노즐(116)을 연결하는 스팀 호스(115)를 포함하고, 스팀 노즐(116)은, 의류 수용 공간(51)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구(70), 스팀 호스(115)로부터 스팀 분사구(70)로 직접적으로(directly) 연결되는 메인 유로(165) 및 스팀 노즐(116)의 내부에서 스팀 중 적어도 일부가 선회하도록 메인 유로(165)에서 분기되는 사이드 유로(17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스팀 노즐(116)은, 메인 유로(165) 및 사이드 유로(175)를 물리적으로 구획하는 월(176)을 포함하고, 월(176)은, 메인 유로(165)를 마주보는 제1 측벽(177a, 177b) 및 사이드 유로(175)를 마주보는 제2 측벽(178a, 178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월(176)은, 제1 측벽(177a, 177b) 및 제2 측벽(178a, 178b) 사이의 중심 영역(176a, 176b)은 스팀 노즐(116)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측벽(177a, 177b)은, 메인 유로(165)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2 측벽(178a, 178b)은, 사이드 유로(175)의 내부의 스팀이 선회하도록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절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메인 유로(165)는, 스팀 호스(115)로부터 스팀 분사구(70)로 전개되며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스팀 노즐(116)은, 사이드 유로(175)를 복수로 포함하고, 복수의 사이드 유로(175a, 175b)는, 메인 유로(165)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제1 사이드 유로(175a) 및 메인 유로(165)의 일 측면에 반대되는 타 측면에 위치하는 제2 사이드 유로(175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스팀 노즐(116)은, 내부로 스팀이 이동하며 적어도 일부가 와류하도록, 제1 사이드 유로(175a)를 통과한 스팀의 일부를 메인 유로(165)를 통과하여 제2 사이드 유로(175b)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스팀 노즐(116)은, 스팀 호스(115)에 연결되어 스팀을 전달받고 메인 유로(165)로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1 유로 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유로 부분(150)은, 스팀 호스(115)와 연통되는 제1 유입구(151), 제1 유입구(151)로부터 스팀을 전달받아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1 영역(152a), 제1 영역(152a)으로부터 스팀을 전달받고, 제1 영역(152a)과 상이한 방향으로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2 영역(152b) 및 제2 영역(152b)으로부터 스팀을 전달받고, 메인 유로(165)와 연통되는 제1 유출구(15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2 영역(152b)은, 내부로 이동하는 스팀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도록 절곡되는 제3 측벽(15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2 영역(152b)은, 제1 영역(152a)에서 제1 유출구(153)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메인 유로(165)는, 이너 케이스(50)의 바닥면(50a)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3 영역(165a) 및 이너 케이스(50)의 바닥면(50a)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4 영역(165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스팀 노즐(116)은, 메인 유로(165)로부터 스팀을 전달받고 스팀 분사구(70)로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2 유로 부분(180)을 포함하고, 제2 유로 부분(180)은, 메인 유로(165)의 제4 영역(165b)과 연통되는 제2 유입구(183) 및 이너 케이스(50)의 바닥면(50a)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스팀을 배출하는 제2 유출구(18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스팀 분사 장치(113)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 장치(114), 스팀 생성 장치(114)에 연결되는 스팀 호스(115) 및 스팀 호스(115)에 연결되어 스팀을 전달받고, 외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노즐(116)을 포함하고, 스팀 노즐(116)은, 의류 수용 공간(51)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구(70), 스팀 호스(115)로부터 스팀 분사구(70)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메인 유로(165), 스팀 노즐(116)의 내부에서 스팀 중 적어도 일부가 선회하도록 메인 유로(165)에서 분기되는 사이드 유로(175) 및 메인 유로(165)를 마주보는 제1 측벽(177a, 177b) 및 사이드 유로(175)를 마주보는 제2 측벽(178a, 178b)을 포함하고, 메인 유로(165) 및 사이드 유로(175)를 구획하는 월(176)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측벽(177a, 177b)은, 메인 유로(165)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제2 측벽(178a, 178b)은, 사이드 유로(175)의 내부의 스팀이 선회하도록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절곡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스팀 노즐(116)은, 사이드 유로(175)를 복수로 포함하고, 내부로 스팀이 이동하며 적어도 일부가 와류하도록, 복수의 사이드 유로(175a, 175b) 중 하나를 통과한 스팀의 일부는 메인 유로(165)를 통과하여 복수의 사이드 유로(175a, 175b) 중 다른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스팀 노즐(116)은, 스팀 호스(115)에 연결되어 스팀을 전달받고 메인 유로(165)로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1 유로 부분(150) 및 메인 유로(165)로부터 스팀을 전달받고 스팀 분사구(70)로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2 유로 부분(18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유로 부분(150)은, 스팀 호스(115)와 연통되는 제1 유입구(151), 제1 유입구(151)로부터 스팀을 전달받아 스팀을 제1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 영역(152a), 제1 영역(152a)으로부터 스팀을 전달받고,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2 영역(152b) 및 제2 영역(152b)으로부터 스팀을 전달받고, 메인 유로(165)와 연통되는 제1 유출구(15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2 유로 부분(180)은, 메인 유로(165) 연통되는 제2 유입구(183) 및 제2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스팀을 배출하는 제2 유출구(18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 상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20)

  1. 의류 관리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 케이스;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 장치;
    상기 이너 케이스에 결합되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노즐; 및
    상기 스팀 생성 장치와 상기 스팀 노즐을 연결하는 스팀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 노즐은
    상기 의류 수용 공간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구;
    상기 스팀 호스로부터 상기 스팀 분사구로 직접적으로(directly) 연결되는 메인 유로; 및
    상기 스팀 노즐의 내부에서 스팀 중 적어도 일부가 선회하도록 상기 메인 유로에서 분기되는 사이드 유로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노즐은,
    상기 메인 유로 및 상기 사이드 유로를 구획하는 월(wall)을 포함하고,
    상기 월은,
    상기 메인 유로를 마주보는 제1 측벽 및
    상기 사이드 유로를 마주보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월은,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 사이의 중심 영역은 상기 스팀 노즐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의류 관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메인 유로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의류 관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사이드 유로의 내부의 스팀이 선회하도록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절곡되는, 의류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로는
    상기 스팀 호스로부터 상기 스팀 분사구로 전개되며 단면적이 증가하는, 의류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노즐은, 상기 사이드 유로를 복수로 포함하고,
    복수의 사이드 유로는,
    상기 메인 유로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제1 사이드 유로 및
    상기 메인 유로의 상기 일 측면에 반대되는 타 측면에 위치하는 제2 사이드 유로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노즐은,
    내부로 스팀이 이동하며 적어도 일부가 와류하도록, 상기 제1 사이드 유로를 통과한 스팀의 일부를 상기 메인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사이드 유로로 전달하는, 의류 관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노즐은,
    상기 스팀 호스에 연결되어 스팀을 전달받고 상기 메인 유로로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1 유로 부분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부분은,
    상기 스팀 호스와 연통되는 제1 유입구;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스팀을 전달받아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스팀을 전달받고, 상기 제1 영역과 상이한 방향으로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스팀을 전달받고, 상기 메인 유로와 연통되는 제1 유출구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내부로 이동하는 스팀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도록 절곡되는 제3 측벽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유출구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단면적이 감소하는, 의류 관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로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바닥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3 영역 및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4 영역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노즐은,
    상기 메인 유로로부터 스팀을 전달받고 상기 스팀 분사구로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2 유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로 부분은,
    상기 메인 유로의 상기 제4 영역과 연통되는 제2 유입구; 및
    상기 이너 케이스로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스팀을 배출하는 제2 유출구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15. 스팀 분사 장치에 있어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 장치;
    상기 스팀 생성 장치에 연결되는 스팀 호스; 및
    상기 스팀 호스에 연결되어 스팀을 전달받고, 외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 노즐은,
    상기 외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구;
    상기 스팀 호스로부터 상기 스팀 분사구로 직접적으로(directly) 연결되는 메인 유로;
    상기 스팀 노즐의 내부에서 스팀 중 적어도 일부가 선회하도록 상기 메인 유로에서 분기되는 사이드 유로; 및
    상기 메인 유로를 마주보는 제1 측벽 및 상기 사이드 유로를 마주보는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유로 및 상기 사이드 유로를 구획하는 월(wall)을 포함하는, 스팀 분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메인 유로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사이드 유로의 내부의 스팀이 선회하도록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절곡되는, 스팀 분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노즐은,
    상기 사이드 유로를 복수로 포함하고,
    내부로 스팀이 이동하며 적어도 일부가 와류하도록, 복수의 사이드 유로 중 하나를 통과한 스팀의 일부를 상기 메인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사이드 유로 중 다른 하나로 전달하는, 스팀 분사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노즐은,
    상기 스팀 호스에 연결되어 스팀을 전달받고 상기 메인 유로로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1 유로 부분 및
    상기 메인 유로로부터 스팀을 전달받고 상기 스팀 분사구로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2 유로 부분을 포함하는, 스팀 분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부분은,
    상기 스팀 호스와 연통되는 제1 유입구;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스팀을 전달받아 스팀을 제1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스팀을 전달받고,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스팀을 가이드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스팀을 전달받고, 상기 메인 유로와 연통되는 제1 유출구를 포함하는, 스팀 분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 부분은,
    상기 메인 유로와 연통되는 제2 유입구; 및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스팀을 배출하는 제2 유출구를 포함하는, 스팀 분사 장치.
KR1020220002219A 2022-01-06 2022-01-06 스팀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KR20230106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219A KR20230106387A (ko) 2022-01-06 2022-01-06 스팀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PCT/KR2022/018067 WO2023132465A1 (ko) 2022-01-06 2022-11-16 스팀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219A KR20230106387A (ko) 2022-01-06 2022-01-06 스팀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387A true KR20230106387A (ko) 2023-07-13

Family

ID=8707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219A KR20230106387A (ko) 2022-01-06 2022-01-06 스팀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06387A (ko)
WO (1) WO202313246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273B1 (ko) * 2007-08-03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708315B1 (ko) * 2015-06-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120268B (zh) * 2016-07-29 2018-10-1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用于蒸汽发生器的喷嘴组件、蒸汽发生装置及干衣装置
KR20210015349A (ko) * 2019-08-01 202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장치
KR102231663B1 (ko) * 2019-10-18 2021-03-2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분무 인젝터가 구비된 수중 마사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2465A1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639200B (zh) 衣物护理设备及其控制方法
US11585032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430477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9670613B2 (en)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KR101243727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옷장
US20220034023A1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000142A1 (en) Drying Apparatus
JP4665654B2 (ja) 衣類脱臭システム
JP2005040580A (ja) 衣類乾燥機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90199424A1 (en) Laundry Dryer
KR102370123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0893217B1 (ko) 의류관리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150085728A (ko) 히트펌프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100902900B1 (ko) 건조기
US20090248206A1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210012460A (ko)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49458A (ko) 의류관리기
KR20210009680A (ko)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06387A (ko) 스팀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KR20230106244A (ko) 의류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23053092A (ja) 衣類処理装置
JP2021531848A (ja) ドアの内側の水滴付着防止のための多機能収納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てドアの内側を乾燥させる方法
KR20170068820A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62207B1 (ko) 다기능 건조 수납 시스템
KR100830513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