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768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768A
KR20220132768A KR1020210037712A KR20210037712A KR20220132768A KR 20220132768 A KR20220132768 A KR 20220132768A KR 1020210037712 A KR1020210037712 A KR 1020210037712A KR 20210037712 A KR20210037712 A KR 20210037712A KR 20220132768 A KR20220132768 A KR 20220132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aundry treatment
refrigerant
heat exchanger
condens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495B1 (ko
Inventor
김재상
박현익
최인용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7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495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의류처리실 내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가 인출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로 재공급되는 공기토출구,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토출구를 상호 연통시키는 순환공기유로, 상기 순환공기유로 내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증발기 및 응축기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 간에 냉매가 순환냉매유로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냉매를 가압하기 위한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장치 - 상기 히트펌프장치는, 상기 순환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 중 적어도 일부경사구간을 하향 경사지도록 함 -, 및 상기 경사구간의 하부에 상기 경사구간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를 저수하기 위한 응축수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의류에 대하여 세탁, 건조, 탈취, 구김제거 등의 각종 처리를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젖은 의류를 건조하거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거나, 의류의 주름을 개선하는 등 의류에 대한 각종 처리를 하기 위한 장치이다.
최근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개선시키는 스티머(steamer) 등이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되도록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여기서, 리프레셔는 의류의 상태를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개선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가리키고, 스티머는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다리미와 다르게 의류에 직접 열을 가하지 않으면서 의류의 구김을 개선 및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가리킬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된 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는데 통상 히트펌프장치를 이용하며, 이때 히프펌프장치는 주변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냉매를 응축시켜 주변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로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히트펌프장치에서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은 주변의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냉매관의 외면에는 응축수가 형성될 수 있다.
종래 히트펌프장치의 순환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의 외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처리 없이 기계실의 저면에 낙하하였고, 이는 결국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바닥을 젖게하는 문제를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히트펌프장치의 냉매관의 외면에 형성되는 응축수를 처리하기 위한 필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150949 B1
본 발명은, 히트펌프장치의 순환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의 외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처리 없이 기계실의 저면에 낙하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의 설치 장소가 물로 젖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의류처리실 내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가 인출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로 재공급되는 공기토출구,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토출구를 상호 연통시키는 순환공기유로, 상기 순환공기유로 내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증발기 및 응축기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 간에 냉매가 순환냉매유로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냉매를 가압하기 위한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장치 - 상기 히트펌프장치는, 상기 순환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 중 적어도 일부경사구간을 하향 경사지도록 함 -, 및 상기 경사구간의 하부에 상기 경사구간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를 저수하기 위한 응축수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를 포함한 열교환기하우징, 상기 열교환기의 하류측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순환공기유로를 따라 상기 의류처리실 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팬, 및 상기 열교환기하우징과 상기 팬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덕트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덕트의 일단에 형성된 중간덕트유입구의 높이는, 상기 중간덕트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중간덕트배출구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는, 상기 열교환기하우징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경사구간은, 상기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서 냉매가 유동하는 석션파이프 중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석션파이프는, 상기 증발기 측으로부터 유출된 냉매가 하향 유동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압축기 측으로 냉매가 유입되는 제2 구간과, 상기 제1 및 제2 구간 사이에 상호 연통하도록 연결하는 상기 경사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경사구간은, 냉매의 하류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되, 경사각은 3° ~ 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응축수조는, 상기 경사구간 중 하류측단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면에 개구부를 가진 함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응축수조의 내부 수용공간에 저수된 응축수는, 주변에 위치한 상기 압축기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자연증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응축수조는, 상기 개구부의 상측말단부는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개구면적을 확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응축수조의 상기 개구부에 마련되어, 낙하하는 응축수가 안착되는 직물부재를 가진 자연증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자연증발수단은, 상기 직물부재에 연결되되, 상기 응축수조에 수용된 응축수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수부재는, 상기 흡수된 응축수를 상기 직물부재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트펌프장치의 순환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의 외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처리 없이 기계실의 저면에 낙하하여, 설치된 의류처리장치의 바닥을 젖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냉매관의 외면에 형성되는 응축수를 한 곳에 저수하고 신속히 자연증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매관의 외면에 형성되는 응축수를 저수하기 위한 수조에 응축수가 낙하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실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 내 공기유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덕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튐방지커버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a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튐방지커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파이프 전체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증발수단이 설치된 응축수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11)과, 의류처리실(11)의 하부에 분리되어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습, 가열 또는 순환시켜, 의류에 잔류하는 먼지,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구비되는 기계실(20)을 포함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의류처리실(11)과 기계실(20)은 하나의 캐비넷(10)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의류처리실(11)의 전방에는 의류처리실(11) 개폐를 위한 도어(140)가 마련될 수 있다.
캐비넷(10)이나 도어(40)의 외면에는 의류처리장치(1)의 각 구성요소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알려주기 위한 표시부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작동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실(11)은 내부에 의류를 수용 또는 거치하기 위한 공간을 갖되,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유입구(12a)과, 공기유입구(12a)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다시 의류처리실(11) 내부로 재공급하기 위한 공기토출구(12b)가 의류처리실(11)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공기유입구(12a)와 공기토출구(12b)는 기계실(20)과 근접한 의류처리실(11)의 바닥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면은 의류처리실(11)과 기계실(20)을 구분하는 가로면으로서 반드시 수평의 편평한 형태만을 가리키진 않는다.
공기유입구(12a)와 공기토출구(12b)의 의류처리실(11) 내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12a)는 의류처리실(11)의 전방 도어(40)측에 위치할 수 있고, 공기배출구(12b)는 의류처리실(11)의 후방 배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실(11) 내부,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실(11)의 내측 후면에는 기계실(20) 내부에 마련된 스팀발생장치(미도시)에 의해 발생된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스팀분사부(13)가 위치하여,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된 의류를 향하여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와 스팀분사부(13)는 호스로 서로 연결되어, 스팀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된 스팀은 호스를 따라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스팀분사부(13)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실(11)의 하부, 그리고 기계실(20)의 전방에는 스팀발생장치가 스팀을 발생할 수 있도록 스팀발생장치에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급수통(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급수통(31)은 대략 사각의 상자형태로 의류처리장치(1)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가 물채움알림시 급수통(31)을 탈착 분리하여 물을 보충한 후 케이싱에 다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의류처리장치(1)는 급수통(31)에서 스팀발생장치의 급수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급수펌프장치는 급수통(31)의 일면에 연결된 급수호스를 통해 스팀발생장치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급수통(31)에는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제어부(미도시)는 급수통(31)에 마련된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급수통(31) 내 물이 소정높이 이상 채워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 또는 판단하고, 저수위인 경우 외부로 물채움알림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의류처리실(11)의 하부, 그리고 기계실(20)의 전방에는 상기 급수통(31) 이외에 응축수가 집수되는 배수통(32)이 마련될 수 있다. 의류처리실(11) 내부나 기계실(20) 내부에 스팀공급 등으로 발생된 응축수를 섬프에 집수하고, 섬프에 집수된 응축수는 응축수펌프장치에 의해 배수통(32)으로 유도될 수 있다.
배수통(32)은 급수통(31)과 마찬가지로, 대략 사각의 상자형태로 의류처리장치(1)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가 응축수배출알림시 배수통(32)을 탈착 분리하여 물을 버린 후 케이싱에 다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수통(32) 역시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제어부는 배수통(32)에 마련된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배수통(32) 내 물이 소정 높이 이상 채워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 또는 판단하고, 고수위인 경우 외부로 응축수배출알림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계실(20)의 내부에는 의류처리실(11)에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히트펌프장치(100)(또는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히트펌프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트펌프장치(100)는 공기조화장치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히트펌프장치와 유사하게 증발기(110), 응축기(120), 압축기(130), 및 유량조절밸브(140)를 포함하여, 의류처리실(11)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여 의류처리실(11)로 재공급할 수 있다.
냉매는 증발기(110), 응축기(120), 압축기(130) 및 유량조절밸브(140)를 순환하고, 의류처리실(11)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통과하여 의류처리실(11)로 재공급되는 순환공기유로를 따라 순환함으로써, 의류처리실(11)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 내 습기는 제거되고 가열될 수 있다. 이때, 공기가 히트펌프장치(100) 내 열교환장치인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통과하는 흐름을 갖도록 증발기(110) 또는 응축기(120) 주변, 구체적으로 열교환장치인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의 전단 또는 후단, 즉 공기 흐름 기준으로 상류측단 또는 하류측단에 팬(105)이 마련될 수 있다.
증발기(110)는 순환공기유로(101)로 유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수단으로, 증발기(110)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각되고, 증발기(110)를 통과하는 냉매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따라서, 공기가 증발기(110)를 통과할 때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제거된다.
압축기(130)는 증발기(110)와 응축기(120) 사이에 위치하여 냉매가 순환냉매유로(102)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냉매를 가압할 수 있다. 압축기(130)는 순환냉매유로(102)를 통해 증발기(110)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12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응축기(120)는 증발기(110)를 통과한 공기와 냉매 간 열교환시키는 수단으로, 응축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가열되고 응축기(120)를 통과하는 냉매는 공기로 열을 방출하여 응축될 수 있다.
압축기(130)를 거쳐 응축기(120)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증발기(110)와 응축기(120)는 주변 공기에 대한 열교환장치의 기능을 하게 되어, 의류처리실(11)의 공기유입구(12a)로부터 인출되어 히트펌프장치(100)의 공기유입구(101a)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4)와 응축기(28)를 거침으로써 제습 및 가열되어 공기배출구(101b)를 통해 의류처리실(11) 내부로 재공급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140)는 순환냉매유로(102)를 통해 응축기(120)에서 증발기(110)로 이송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개도율(開度率)을 조절하여 이송되는 냉매의 유량이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히트펌프장치(100)는 의류처리실(11) 내 공기를 가열함과 동시에 공기 내 습도를 제거함으로써, 의류처리실(11) 내 의류를 건조하거나 리프레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실(11) 내의 공기는 기계실(20)의 전단 상부에 위치한 공기유입구(12a)를 통해 기계실(20) 내 흡입덕트(151)를 통해 공기유입구(101a)로 유입되고, 공기유입구(101a)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거쳐, 배기덕트(153)를 통해 공기배출구(101b) 및 이와 연통되는 공기토출구(12b)로 배출되는 유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공기 흐름은 공기유로 상에 마련된 팬(105)의 구동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실(11)로부터 인출되어 다시 의류처리실(11)로 공급되는 공기 유로 상, 특히 의류처리실(11)에서 기계실(20)로 유입되는 흡입덕트(151) 상에는 필터가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의류처리실(11) 내 공기 중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기계실(20)로 유입되지 않도록 여과함으로써, 정화된 공기가 의류처리실(11)로 재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사용자가 도어 등에 마련된 입력부를 통해 의류처리장치(1)에 건조코스나 실내제습코스 등과 같은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는 팬(105)을 구동시켜, 의류처리실(11) 내 공기를 순환공기유로(101)(또는 순환공기유로)를 따라 순환케하되, 이때 순환공기유로(10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거쳐 열교환됨으로써 제습 및 가열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 내 공기유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0)는, 팬(105)의 구동으로 형성되는 공기 흐름에 따라 상류측에서 하류측 방향으로 흡입덕트(151)와,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포함한 열교환기하우징(115)과, 중간덕트(152)와, 팬(105)과, 배기덕트(153)가 순차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0)는, 팬(105)이 흡입덕트(151)가 마련된 상류측단이 아닌 배기덕트(153)가 마련된 하류측단, 즉 배기덕트(153)의 하부에 마련되어, 공기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흡입덕트(151)는 양단이 개구된 관로를 형성함으로써, 일단에 마련된 공기유입구(101a)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타단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된 열교환기하우징(115)으로 유도할 수 있다.
흡입덕트(151)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단이 의류처리실(11) 저면의 공기유입구(12a)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팬(105)을 향하여 굽어진 형상을 가져, 흡입덕트(151)의 타단은 열교환기하우징(115)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덕트(151)는, 공기유입구(12a)와 연결되는 흡입덕트유입부와, 열교환기하우징(115)와 연결되는 흡입덕트배출부를 갖되, 상기 흡입덕트유입부와 상기 흡입덕트배출부 간을 연결하는 덕트는 직선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흡입덕트의 일단부인 상기 흡입덕트유입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덕트체결부재(191)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는 체결돌기를 마련할 수 있을 정도만 짧은 길이를 가져, 흡입덕트유입부가 위로 돌출됨으로써 전반적으로 기계실(20)의 높이가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공기유입구(12a)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곧바로 직선형태의 덕트를 따라 유동하고, 흡입덕트배출부를 통해 열교환기하우징(115)로 유도될 수 있다. 즉, 흡입덕트유입부를 통해 흡입덕트배출부로 흐르는 기류는 곡선이 아닌 직선으로서, 흡입덕트유입부에서 흡입덕트배출부로 공기가 흐를 때 최단 거리로 유동토록 하고, 곡선의 기류를 형성함으로써 공기가 우회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공기가 우회 유동함으로써 공기가 이동하는 거리는 길어지고, 이는 전체 순환공기유로(101)의 유속 및/또는 유량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열교환기하우징(115)은 양단이 개구된 관로를 형성함으로써, 일단은 흡입덕트(151)의 타단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중간덕트(152)의 일단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열교환기하우징(115)은 사각 단면을 가진 관로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열교환기하우징(115)의 내부에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115b)에는 증발기(11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하여 지지하기 위해 돌출형성된 제1 지지돌기(1151)와, 응축기(12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해 돌출형성된 제2 지지돌기(115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지지돌기(1151, 1152)는 각각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그 개수나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흡입덕트(151)를 통해 유입되거나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경사진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115b)을 따라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하류측단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지지돌기(1151, 1152)는 유로를 확보하기 위한 개구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은, 타단, 즉 하류측단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도 6 참조). 사각 단면을 가진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상면이 수평선과 나란하다고 가정하면,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은 수평선과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유입구(101a)를 통해 유입되거나 열교환기하우징(115) 내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경사진 저면(115b)을 따라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타단, 즉 하류측단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115b)에는 천공된 배수구(미도시)를 가질 수 있고,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115b)에 잔류된 응축수는 경사진 저면(115b)을 따라 흘러 상기 배수구로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는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타단, 즉 하류측단의 저면(115b)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구로 응축수가 모일 수 있도록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115b)은 상기 배수구를 중심 저점으로 한 경사면일 수 있다.
이렇게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115b)에 형성된 배수구로 유도된 응축수는 배수구를 통해 빠져나가 섬프에 집수될 수 있으며, 섬프에 집수된 응축수는 응축수펌프장치에 의해 배수통(32)으로 유도될 수 있다.
한편, 중간덕트(152)는 양단이 개구된 관로를 형성함으로써, 일단은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타단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팬(105)의 흡기구(160a)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덕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덕트(152)는 열교환기하우징(115) 보다 길이가 짧을 수 있으나, 열교환기하우징(115)을 통과하는 기류의 방향을 하향시킬 수 있다. 즉, 중간덕트(152) 일단에 형성되는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높이와, 중간덕트(152) 타단에 형성되는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7a의 종단도를 나타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 형성된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중간 높이(C1)와 개구 형성된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중간 높이(C2)를 비교해 보면,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중간 높이(C1)는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중간 높이(C2)보다 Δh 만큼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덕트유입구(152a)를 통해 중간덕트(152)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중간덕트유입구(152a)보다 밑에 위치한 중간덕트배출구(152b)를 통해 배출되도록 기류를 하향 유도케할 수 있다.
다만, 중간덕트(152)를 통과하는 기류가 하향 유도되더라도, 전체 순환공기유로(101)의 유속 및/또는 유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중간덕트유입구(152a)와 중간덕트배출구(152b)는 일부분이 서로 대향하여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중간 높이(C2)가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개구된 범위 내에 속하도록, 즉 단면 기준으로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절반 이상이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개구된 부분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0)는 기류를 하향 유도케 하는 중간덕트(152)를 포함함으로써, 팬(105)의 설치 위치는 전체적으로 낮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쇄적으로 히트펌프장치(100)의 높이와, 기계실(20) 전체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의류처리실(11)의 공간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의류처리실(11)의 저면으로부터 히트펌프장치(100)의 열교환기까지의 깊이가 낮아지기 때문에, 작업자는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11)에서 흡입덕트(151)를 통해 열교환기, 구체적으로 증발기(110)를 청소 등을 하기 위한 접근이 매우 용이해질 수 있다.
종래 히트펌프장치(100)의 증발기(110)에 대한 청소를 위해서는 히트펌프장치(100)를 포함한 기계실(20) 전체를 인출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트펌프장치(100)를 포함한 기계실(20) 전체를 인출하지 않더라도 작업자는 흡입덕트(151)를 통해 증발기(110)에 직접 접근하여 청소가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형상이 사각 단면을 가진 관로인 경우, 열교환기하우징(115)과 연결되는 중간덕트(152)의 일단은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타단과 연결하기 위해 사각 형상으로 개구된 중간덕트유입구(152a)가 마련될 수 있고, 또 팬(105)의 흡기구(160a)가 원형인 경우, 중간덕트(152)의 타단은 팬(105)의 흡기구(160a)와 연결하기 위해 원형으로 개구된 중간덕트배출구(152b)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간덕트유입구(152a)와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형상이 다른 경우, 중간덕트(152)를 통과하는 기류 중 일부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중간덕트(152)의 일단에는 공기차단판(171)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차단판(171)은 중간덕트유입구(152a)와 중간덕트배출구(152b) 중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넓은 중간덕트배출구(152b)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원형인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차단판(171)은, 중간덕트(152)의 일단에 마련되되,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하측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일부 형상과 상응하는 대략 반원의 판상일 수 있다.
결국, 사각 형상으로 개구된 중간덕트유입구(152a)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원형으로 개구된 중간덕트배출구(152b)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향 유도되되, 그 과정에서 공기차단판(171)은, 대향하고 있는 중간덕트유입구(152a)와 중간덕트배출구(152b)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중간덕트배출구(152b)와 대향하는 중간덕트(152)의 일단에 마련됨으로써, 공기 중 일부가 새지 않도록 차단하여 기류를 하향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튐방지커버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차단판(171)의 상측에는 사각 형상으로 개구된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틀(172)이 마련될 수 있다. 중간덕트(152)의 일단에 마련된 결합틀(172)을 매개로 중간덕트(152)는 열교환기하우징(115)과 연통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물튐방지커버(170)는 공기차단판(171)과 결합틀(17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공기차단판(171)과 결합틀(17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물튐방지커버(170)는 열교환기를 포함한 열교환기하우징(115)과 팬(105) 사이, 구체적으로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하류측 후단 가장자리에 결합틀(172)이 결합되어, 열교환기 측의 응축수가 팬(105)의 구동으로 팬(105)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틀(172)은 내측 하단부에 응축수가 중간덕트유입구(152a)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차수판(173)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0)는 팬(105)이 기류의 상류측단이 아닌 하류측단에 마련되기 때문에,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에 저류된 응축수는, 후단에 위치한 팬(105)의 구동으로 형성되는 음압에 의하여 공기와 함께 중간덕트(152) 및 팬(105)으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팬(105)으로 응축수가 유입되는 경우, 팬(105)의 구동에 의해 소음 및 악취가 발생할 수 있고, 나아가 응축수가 공기토출구(12b)를 통해 의류처리실(11) 내로 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차수판(173)은 응축수가 중간덕트(152) 및 팬(105)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튐방지커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틀(172)의 내측 하단부에는 소정 높이의 차수판(173)이 마련되어,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에 저류된 응축수가 중간덕트(152) 및 팬(105)으로 튀거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차수판(173)에 의해 기류가 함께 차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차수판(173)은 소정 크기로 다수 타공된 망(mesh)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에 따른 차수판(173)은 응축수에 대한 차수 기능은 갖되, 통기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판(173)에 타공된 구멍은 그 형상, 크기 또는 개수 등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중간덕트(152)의 타단에는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팬(105), 구체적으로 팬(105)의 흡기구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105)은 원심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105)은, 회전축 및 회전축이 마련된 흡기구가 전방에 마련될 수 있고, 또 회전축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마련된 다수의 블레이드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원심력을 부여함으로써, 팬(105)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는 상방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팬(105)의 구동에 의해 전방 열교환기측으로부터 흡입되어 배출되는 공기는, 팬(105)의 배기구를 통해 팬(105)의 배기구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배기덕트(153) 및 공기토출구(12b)를 거쳐, 의류처리실(11)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공기토출구(12b)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그릴부재(195)가 마련되어, 의류처리실(11) 내 이물질 따위가 공기토출구(12b)를 통해 팬(105) 및/또는 히트펌프장치(10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후방그릴부재(미도시)는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슬릿을 가짐으로써, 공기토출구(12b)를 통해 공기가 의류처리실(11) 내로 토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의류처리실(11) 내 각종의 이물질은 소정 크기의 슬릿을 통해 공기토출구(12b)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다만, 후방그릴부재는 의류처리실(11)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구(12b)에 마련되기 때문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2a)에 마련된 전방그릴부재(19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이물질의 부착이 덜 하지만, 후방그릴부재(195)는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교체나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상응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입구(12a)에는 후방그릴부재(195)와 상응하게 전방그릴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12a)에 마련된 전방그릴부재 역시, 다수의 슬릿이 마련되어, 의류처리실(11) 내 공기가 공기유입구(12a)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때, 의류처리실(11) 내의 이물질이 소정 크기의 슬릿을 통해 공기유입구(12a)를 통해 히트펌프장치(10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그릴부재는 상면에 사용자나 작업자가 이를 잡을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립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나 작업자는 그립돌기(1942a, 1942b)를 잡고 들어 올림으로써 전방그릴부재를 탈착할 수 있다.
한편, 히트펌프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130)에 의해 가압된 냉매가 순환냉매유로(102)를 따라 응축기(120), 유량조절밸브(140) 및 증발기(110)를 순차로 유동하고, 다시 압축기(130)로 회귀할 수 있다.
순환냉매유로(102)를 따라 순환하는 냉매는, 압축기(130)에 의해 고온·고압 상태가 되고, 유량조절밸브(140)를 통과하며 저온·저압의 상태가 된다.
증발기(110)를 지나면서 주변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은 냉매는 증발기(110)와 압축기(130) 사이를 연결하는 석션파이프(1021)를 통과하여 압축기(13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석션파이프(1021)를 포함한 순환냉매유로(102)를 형성하는 관로는 통상 주변 공기와 열전도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동관, 동합금관, 알루미늄관, 알루미늄 합금 관 등과 같은 소재의 관로를 사용하되, 의류처리실(11) 내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는 히트펌프장치(100)의 열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저온·저압의 냉매가 유동하는 석션파이프(1021)를 감사싸도록 그 외주에는 단열부재(1022)가 마련될 수 있다.
저온·저압의 냉매는 증발기(110)를 지나면서 주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증발기(110)는 물론 상기 석션파이프(1021)의 표면에는 응축수가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110)에서 형성된 응축수 이외에, 석션파이프(1021)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는 기계실(20)의 저면에 처리 없이 그대로 낙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0)는 순환냉매유로(102)를 형성하는 냉매관 중 특히 석션파이프(1021)의 적어도 일부 경사구간을 하향 경사지도록 하고, 경사구간의 하부에 경사구간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를 저수하기 위한 응축수조(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파이프(1021)는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전방측에 위치한 증발기(110)와 압축기(130)를 연결하는 냉매가 흐르는 관로로서, 압축기(130)와 석션파이프(1021)는 압축기(130)보다 상대적으로 위에 위치한 증발기(1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기(130)는 기계실(20) 또는 히트펌프장치(100)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100a) 위에 안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압축기(130)가 운전시 발생하는 진동이 기계실(20) 및/또는 의류처리장치(1)에 전달되지 않도록, 압축기(130)는 베이스플레이트(100a) 상에 마련된 진동완충부재(131a, 131b) 위에 안착될 수 있다. 진동완충부재(131a, 131b)는 압축기(130)를 베이스플레이트(100a) 상에 이격하도록 모서리마다 하나씩(일 예로 4개) 배치될 수 있으며, 진동완충부재(131a, 131b)는 압축기(130)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이 베이스플레이트(100a)에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는 탄성부재이면 소재나 형태, 개수 등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석션파이프(1021)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석션파이프(1021)는 압축기(130)보다 상대적으로 위에 위치한 증발기(110)와 압축기(13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증발기(110)측의 제1 구간(s1)과, 압축기(130)측의 제2 구간(s2), 그리고 제1 및 제2 구간(s1, s2) 사이의 경사구간(s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간(s1)은 증발기(110) 측에 연결되는 관로로서, 증발기(110)보다 아래에 위치한 압축기(130)를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증발기(110) 측으로부터 유출된 냉매를 하향 유도할 수 있다.
제2 구간(s2)은 압축기(130) 측에 연결되는 관로로서, 소정 높이를 가진 압축기(130)의 냉매유입구(미도시)에서 경사구간(s3)의 타측단을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관로 내 냉매를 압축기(130)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경사구간(s3)은 제1 구간(s1)의 관로로부터 압축기(130)를 향하여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구간(s3)의 일측단은 제1 구간(s1)에 연결될 수 있고, 타측단은 제2 구간(s2)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구간(s1, s2)을 상호 연통시킬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경사구간(s3)은 타측단, 즉 냉매의 하류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석션파이프(1021)의 외면에 응축수가 형성되면, 응축수는 제1 구간(s1)과 소정의 경사각을 가진 경사구간(s3)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각(θ)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이상 그리고 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경사각(θ)이 3° 미만이면, 석션파이프(1021)의 외면에서 지속하여 생성되는 응축수에 의해 응축수가 경사구간(s3)의 외면을 따라 경사구간(s3)의 타측단까지 흐르지 않고 도중에 베이스플레이트(100a)로 낙하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이와 반대로 경사각(θ)이 5° 초과이면, 제2 구간(s2)이 전방으로 연장되어야 하거나, 전방되는 연장되는 길이가 길어져, 경사구간(s3)과 제2 구간(s2) 사이에 마주하여 접하는 부분에 응축수가 모이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제2 구간(s2)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길어지면 제2 구간(s2)의 외면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해 후술하는 응축수조(180)의 크기 또는 면적이 넓어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구간(s3)의 경사각(θ)은, 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응축수조(180)는 위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해 상면에 개구부를 가진 함체이다.
응축수조(180)는 베이스플레이트(100a) 상에 마련되되, 상면의 개구부가 경사구간(s3)과 제2 구간(s2)이 마주 접하는 부분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응축수조(180)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상면이 개구된 응축수조(180)는 압축기(130)의 주변에 위치하여, 압축기(130)가 구동 중 발생하는 열이 직간접적으로 내부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으로 발생하여 응축수조(180) 내에 저수되는 응축수를 압축기(130)의 구동으로 압축기(130)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자연증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조(180)는 위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저수하기 위하여 내부에 저수공간을 마련한 함체이면 그 형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응축수조(180)는 개구부의 개구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해, 상측말단부에 상측으로 그리고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도입확장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입확장부(181)를 가진 응축수조(180)는 담수하기 위한 응축수의 낙하범위를 확장하여, 경사구간(s3)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가 도중에 낙하하더라도 응축수조(180) 내에 집수할 수 있고, 또 응축기(130)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도입확장부(181)의 상면을 타고 응축수조(18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여 자연증발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히트펌프장치(100)의 순환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의 외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기계실(20)의 저면 또는 베이스플레이트(100a)에 낙하함으로써 발생하는 부식이나 누전 등과 같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30) 구동시 압축기(13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도 응축수조(180) 내 담수된 응축수를 신속히 자연증발시킬 수 있다.
한편, 응축수조(180)는 소정 높이의 석션파이프(1021)의 외면에서 응축수가 낙하하기 때문에, 낙수에 의해 소정 강도를 가진 응축수조(180)에 부딪히거나, 저수된 응축수에 부딪힘으로써, 각종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조(18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수조(180)의 개구부에 마련되어 낙하하는 응축수가 안착될 수 있는 직물부재(183)를 가진 자연증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연증발수단은, 응축수조(180)의 상측에 안착되어 결합 가능한 결합테두리(182)와, 상기 결합테두리(182)의 내주면에 마련된 직물부재(18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결합테두리(182)는 응축수조(180)의 상측 테두리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되, 직물재로 이루어진 직물부재(183)가 결합테두리(182)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직물부재(183)는 응축수를 흡수할 수 소재이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습기에 자주 노출되기 때문에 곰팡이균 등이 생성되지 않도록, 항균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응축수조(180)에 결합된 자연증발수단은, 소정 높이의 석션파이프(1021)의 외면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낙하할 때, 직물부재(183)가 낙수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낙수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석션파이프(1021)의 외면에 생성되는 응축수의 양이 매우 적을 경우, 응축수 전부는 직물부재(183)에 흡수될 수 있고, 직물부재(183)에 흡수된 응축수는 압축기(130)에 직접 노출되기 때문에 압축기(130)로부터 발생하는 구동열에 의해 신속히 자연증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은 자연증발수단은, 직물부재(183)에 연결되되 응축수조(180)에 수용된 응축수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1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수부재(184)는 직물재로 이루어진 실 따위와 같은 형태로, 액체 따위의 피흡수물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부재(184)는 직물부재(183)와 마찬가지로 습기에 자주 노출되기 때문에 곰팡이균 등이 생성되지 않도록, 항균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흡수부재(184)는 흡수부재(184)의 일부가 응축수조(180)에 수용된 응축수에 담지되도록, 일 예로 흡수부재(184)의 말단부가 응축수조(180)의 내측 저면(또는 내측 측면)에 닿도록 마련됨으로써, 흡수부재(184)가 응축수조(180)에 저수된 응축수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응축수조(180)에 저수된 응축수는 일련하여 흡수부재(184)를 따라 직물부재(183)에 흡수될 수 있고, 결국 압축기(130)의 구동열에 직접 노출되는 영역이 외부로 이끌어내지기 때문에, 응축수조(180) 내 수용된 응축수는 더욱 신속히 자연증발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넷
11: 의류처리실 12a: 공기유입구
12b: 공기토출구 13: 스팀분사부
20: 기계실 31: 급수통
32: 배수통 40: 도어
100: 히트펌프장치 100a: 베이스플레이트
101: 순환공기유로 101a: 공기유입구
101b: 공기배출구 102: 순환냉매유로
1021: 석션파이프 1022: 단열부재
105: 팬 110: 증발기
115: 열교환기하우징 120: 응축기
130: 압축기 131a, 131b: 진동완충부재
140: 유량조절밸브 151: 흡입덕트
152: 중간덕트 152a: 중간덕트유입구
152b: 중간덕트배출구 153: 배기덕트
161: 팬하우징 170: 물튐방지커버
171: 공기차단판 172: 결합틀
173: 차수판 180: 응축수조
181: 도입확장부 182: 결합테두리
183: 직물부재 184: 흡수부재
S1: 제1 구간 S2: 제2 구간
S3: 경사구간

Claims (10)

  1.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의류처리실 내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가 인출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로 재공급되는 공기토출구;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토출구를 상호 연통시키는 순환공기유로;
    상기 순환공기유로 내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증발기 및 응축기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 간에 냉매가 순환냉매유로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냉매를 가압하기 위한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장치 - 상기 히트펌프장치는, 상기 순환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 중 적어도 일부경사구간을 하향 경사지도록 함 -; 및
    상기 경사구간의 하부에 상기 경사구간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를 저수하기 위한 응축수조;
    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를 포함한 열교환기하우징;
    상기 열교환기의 하류측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순환공기유로를 따라 상기 의류처리실 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팬; 및
    상기 열교환기하우징과 상기 팬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덕트;
    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덕트의 일단에 형성된 중간덕트유입구의 높이는, 상기 중간덕트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중간덕트배출구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는, 상기 열교환기하우징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간은,
    상기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서 냉매가 유동하는 석션파이프 중 적어도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파이프는, 상기 증발기 측으로부터 유출된 냉매가 하향 유동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압축기 측으로 냉매가 유입되는 제2 구간과, 상기 제1 및 제2 구간 사이에 상호 연통하도록 연결하는 상기 경사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간은,
    냉매의 하류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되, 경사각은 3° ~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조는,
    상기 경사구간 중 하류측단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면에 개구부를 가진 함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조의 내부 수용공간에 저수된 응축수는, 주변에 위치한 상기 압축기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자연증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조는,
    상기 개구부의 상측말단부는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개구면적을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조의 상기 개구부에 마련되어, 낙하하는 응축수가 안착되는 직물부재를 가진 자연증발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증발수단은, 상기 직물부재에 연결되되, 상기 응축수조에 수용된 응축수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수부재는, 상기 흡수된 응축수를 상기 직물부재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037712A 2021-03-24 2021-03-24 의류처리장치 KR102505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712A KR102505495B1 (ko) 2021-03-24 2021-03-24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712A KR102505495B1 (ko) 2021-03-24 2021-03-2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768A true KR20220132768A (ko) 2022-10-04
KR102505495B1 KR102505495B1 (ko) 2023-03-02

Family

ID=8360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712A KR102505495B1 (ko) 2021-03-24 2021-03-2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4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894U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냉장고의 증발장치
JP2011247461A (ja) * 2010-05-25 2011-12-08 Toshiba Corp 冷蔵庫
KR101150949B1 (ko) 2009-10-21 2012-05-2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히트펌프식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77040A (ko) * 2013-12-27 2015-07-07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장치
KR20170082048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894U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냉장고의 증발장치
KR101150949B1 (ko) 2009-10-21 2012-05-2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히트펌프식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1247461A (ja) * 2010-05-25 2011-12-08 Toshiba Corp 冷蔵庫
KR20150077040A (ko) * 2013-12-27 2015-07-07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장치
KR20170082048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495B1 (ko)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822B1 (ko) 의류처리장치
US8418509B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36627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5810B1 (ko) 의류처리장치
CA2659256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EP2213781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3907325B1 (en) Air inlet assembly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43045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0549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033601B1 (ko) 열풍 공급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
KR20190128529A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48635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6194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0548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693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0549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045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39703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4446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0548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05479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
KR20220121591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
KR2022013819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0315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40436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