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591A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591A
KR20220121591A KR1020210025855A KR20210025855A KR20220121591A KR 20220121591 A KR20220121591 A KR 20220121591A KR 1020210025855 A KR1020210025855 A KR 1020210025855A KR 20210025855 A KR20210025855 A KR 20210025855A KR 20220121591 A KR20220121591 A KR 20220121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aundry treatment
fan
fan housing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1333B1 (ko
Inventor
김재상
박현익
최인용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5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333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의류처리실 내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가 인출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로 재공급되는 공기토출구,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토출구를 상호 연통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내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장치, 및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상기 의류처리실 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흡기구와 배기구가 마련된 팬하우징과, 상기 흡기구에 마련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팬하우징은, 어느 일 면에 마련되어 외기를 내부로 도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질식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AND FAN OF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의류에 대하여 세탁, 건조, 탈취, 구김제거 등의 각종 처리를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젖은 의류를 건조하거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거나, 의류의 주름을 개선하는 등 의류에 대한 각종 처리를 하기 위한 장치이다.
최근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개선시키는 스티머(steamer) 등이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되도록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여기서, 리프레셔는 의류의 상태를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개선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가리키고, 스티머는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다리미와 다르게 의류에 직접 열을 가하지 않으면서 의류의 구김을 개선 및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가리킬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된 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는데 통상 히트펌프장치를 이용하며, 이때 히프펌프장치는 주변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냉매를 응축시켜 주변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로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 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여 다시 의류처리실로 재공급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시키기 위해, 열교환장치인 증발기 및 응축기의 전단 또는 후단, 즉 공기 흐름 기준으로 상류측단 또는 하류측단에는 팬이 마련될 수 있다.
통상, 의류처리실은 내부에 어린아이나 반려동물이 들어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가질 수 있어, 도어가 닫힌 상태의 의류처리실 내부는 밀폐되기 때문에, 어린아이나 반려동물이 의류처리실 내부에 갇혔을 때, 의류처리실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져 산소 부족 등으로 인한 질식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질식사고 발생 위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의 제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2010-0092764 A
본 발명은, 의류처리실 내에 어린아이나 반려동물이 갇혔을 때, 의류처리실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져 산소 부족으로 인한 질식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의류처리실 내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가 인출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로 재공급되는 공기토출구,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토출구를 상호 연통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내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장치, 및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상기 의류처리실 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흡기구와 배기구가 마련된 팬하우징과, 상기 흡기구에 마련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팬하우징은, 어느 일 면에 마련되어 외기를 내부로 도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질식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팬하우징의 어느 일 면에 일부 영역이 개구 형성된 개구부에 상기 질식방지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질식방지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외측 및 내측 각각에서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외기도입판 및 외기도입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외기도입판 및 상기 외기도입커버의 상측단은 자유단으로 상기 팬하우징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외기가 상기 팬하우징 내부로 도입될 수 있는 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팬은, 상기 회전축을 따라 상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회전축의 반경방향으로 배출되어 상기 팬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회전한 이후 상기 팬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배기구로 배기되는 제1 유로를 갖고, 상기 질식방지장치는, 상기 팬하우징의 일 측면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유로 중 상기 배기구를 향하여 상승하는 기류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팬하우징 내측에 마련되는 상기 외기도입커버는, 유선형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기도입커버의 상측단 높이는, 상기 외기도입판의 상측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기도입커버는, 하측단의 일측단부에 천공된 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개구부의 저면은 상기 배수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기도입판은, 상기 팬하우징의 상기 개구부 하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외기도입커버는, 상기 팬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체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외기가 도입되는 상기 틈을 형성하는 상기 팬하우징의 하단부 모서리를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져, 상기 경사면을 따라 외기가 내부로 도입될 때 하방으로 도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 내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가 인출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로 재공급되는 공기토출구를 상호 연통시키는 순환유로를 따라 상기 의류처리실 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팬에 있어서, 상기 팬은, 흡기구와 배기구가 마련된 팬하우징과, 상기 흡기구에 마련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팬하우징은, 어느 일 면에 마련되어 외기를 내부로 도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질식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팬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처리실 내에 어린아이나 반려동물이 갇혔을 때, 의류처리실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져 산소 부족으로 인한 질식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식방지장치는 외기를 팬하우징 내부로 도입시킬 수 있으나, 팬하우징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실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 내 공기유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덕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튐방지커버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a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튐방지커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종단면도이다.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공기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식방지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도입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도입커버가 팬하우징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11)과, 의류처리실(11)의 하부에 분리되어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습, 가열 또는 순환시켜, 의류에 잔류하는 먼지,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구비되는 기계실(20)을 포함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의류처리실(11)과 기계실(20)은 하나의 캐비넷(10)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의류처리실(11)의 전방에는 의류처리실(11) 개폐를 위한 도어(140)가 마련될 수 있다.
캐비넷(10)이나 도어(40)의 외면에는 의류처리장치(1)의 각 구성요소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알려주기 위한 표시부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작동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실(11)은 내부에 의류를 수용 또는 거치하기 위한 공간을 갖되,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유입구(12a)과, 공기유입구(12a)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다시 의류처리실(11) 내부로 재공급하기 위한 공기토출구(12b)가 의류처리실(11)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공기유입구(12a)와 공기토출구(12b)는 기계실(20)과 근접한 의류처리실(11)의 바닥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면은 의류처리실(11)과 기계실(20)을 구분하는 가로면으로서 반드시 수평의 편평한 형태만을 가리키진 않는다.
공기유입구(12a)와 공기토출구(12b)의 의류처리실(11) 내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12a)는 의류처리실(11)의 전방 도어(40)측에 위치할 수 있고, 공기배출구(12b)는 의류처리실(11)의 후방 배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실(11) 내부,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실(11)의 내측 후면에는 기계실(20) 내부에 마련된 스팀발생장치(미도시)에 의해 발생된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스팀분사부(13)가 위치하여,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된 의류를 향하여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와 스팀분사부(13)는 호스로 서로 연결되어, 스팀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된 스팀은 호스를 따라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스팀분사부(13)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실(11)의 하부, 그리고 기계실(20)의 전방에는 스팀발생장치가 스팀을 발생할 수 있도록 스팀발생장치에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급수통(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급수통(31)은 대략 사각의 상자형태로 의류처리장치(1)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가 물채움알림시 급수통(31)을 탈착 분리하여 물을 보충한 후 케이싱에 다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의류처리장치(1)는 급수통(31)에서 스팀발생장치의 급수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급수펌프장치는 급수통(31)의 일면에 연결된 급수호스를 통해 스팀발생장치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급수통(31)에는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제어부(미도시)는 급수통(31)에 마련된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급수통(31) 내 물이 소정높이 이상 채워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 또는 판단하고, 저수위인 경우 외부로 물채움알림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의류처리실(11)의 하부, 그리고 기계실(20)의 전방에는 상기 급수통(31) 이외에 응축수가 집수되는 배수통(32)이 마련될 수 있다. 의류처리실(11) 내부나 기계실(20) 내부에 스팀공급 등으로 발생된 응축수를 섬프에 집수하고, 섬프에 집수된 응축수는 응축수펌프장치에 의해 배수통(32)으로 유도될 수 있다.
배수통(32)은 급수통(31)과 마찬가지로, 대략 사각의 상자형태로 의류처리장치(1)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가 응축수배출알림시 배수통(32)을 탈착 분리하여 물을 버린 후 케이싱에 다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수통(32) 역시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제어부는 배수통(32)에 마련된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배수통(32) 내 물이 소정 높이 이상 채워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 또는 판단하고, 고수위인 경우 외부로 응축수배출알림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계실(20)의 내부에는 의류처리실(11)에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히트펌프장치(100)(또는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히트펌프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트펌프장치(100)는 공기조화장치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히트펌프장치와 유사하게 증발기(110), 응축기(120), 압축기(130), 및 유량조절밸브(140)를 포함하여, 의류처리실(11)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여 의류처리실(11)로 재공급할 수 있다.
냉매는 증발기(110), 응축기(120), 압축기(130) 및 유량조절밸브(140)를 순환하고, 의류처리실(11)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통과하여 의류처리실(11)로 재공급되는 순환유로를 따라 순환함으로써, 의류처리실(11)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 내 습기는 제거되고 가열될 수 있다. 이때, 공기가 히트펌프장치(100) 내 열교환장치인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통과하는 흐름을 갖도록 증발기(110) 또는 응축기(120) 주변, 구체적으로 열교환장치인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의 전단 또는 후단, 즉 공기 흐름 기준으로 상류측단 또는 하류측단에 팬(105)이 마련될 수 있다.
증발기(110)는 순환공기유로(101)로 유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수단으로, 증발기(110)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각되고, 증발기(110)를 통과하는 냉매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따라서, 공기가 증발기(110)를 통과할 때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제거된다.
압축기(130)는 증발기(110)와 응축기(120) 사이에 위치하여 냉매가 순환냉매유로(102)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냉매를 가압할 수 있다. 압축기(130)는 순환냉매유로(102)를 통해 증발기(110)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12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응축기(120)는 증발기(110)를 통과한 공기와 냉매 간 열교환시키는 수단으로, 응축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가열되고 응축기(120)를 통과하는 냉매는 공기로 열을 방출하여 응축될 수 있다.
압축기(130)를 거쳐 응축기(120)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증발기(110)와 응축기(120)는 주변 공기에 대한 열교환장치의 기능을 하게 되어, 의류처리실(11)의 공기유입구(12a)로부터 인출되어 히트펌프장치(100)의 공기유입구(101a)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4)와 응축기(28)를 거침으로써 제습 및 가열되어 공기배출구(101b)를 통해 의류처리실(11) 내부로 재공급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140)는 순환냉매유로(102)를 통해 응축기(120)에서 증발기(110)로 이송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개도율(開度率)을 조절하여 이송되는 냉매의 유량이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히트펌프장치(100)는 의류처리실(11) 내 공기를 가열함과 동시에 공기 내 습도를 제거함으로써, 의류처리실(11) 내 의류를 건조하거나 리프레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실(11) 내의 공기는 기계실(20)의 전단 상부에 위치한 공기유입구(12a)를 통해 기계실(20) 내 흡입덕트(151)를 통해 공기유입구(101a)로 유입되고, 공기유입구(101a)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거쳐, 배기덕트(153)를 통해 공기배출구(101b) 및 이와 연통되는 공기토출구(12b)로 배출되는 유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공기 흐름은 공기유로 상에 마련된 팬(105)의 구동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실(11)로부터 인출되어 다시 의류처리실(11)로 공급되는 공기 유로 상, 특히 의류처리실(11)에서 기계실(20)로 유입되는 흡입덕트(151) 상에는 필터(미도시)가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의류처리실(11) 내 공기 중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기계실(20)로 유입되지 않도록 여과함으로써, 정화된 공기가 의류처리실(11)로 재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사용자가 도어 등에 마련된 입력부를 통해 의류처리장치(1)에 건조코스나 실내제습코스 등과 같은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는 팬(105)을 구동시켜, 의류처리실(11) 내 공기를 순환공기유로(101)(또는 순환유로)를 따라 순환케하되, 이때 순환공기유로(10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거쳐 열교환됨으로써 제습 및 가열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 내 공기유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0)는, 팬(105)의 구동으로 형성되는 공기 흐름에 따라 상류측에서 하류측 방향으로 흡입덕트(151)와,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포함한 열교환기하우징(115)과, 중간덕트(152)와, 팬(105)과, 배기덕트(153)가 순차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0)는, 팬(105)이 흡입덕트(151)가 마련된 상류측단이 아닌 배기덕트(153)가 마련된 하류측단, 즉 배기덕트(153)의 하부에 마련되어, 공기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흡입덕트(151)는 양단이 개구된 관로를 형성함으로써, 일단에 마련된 공기유입구(101a)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타단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된 열교환기하우징(115)으로 유도할 수 있다.
흡입덕트(151)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단이 의류처리실(11) 저면의 공기유입구(12a)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팬(105)을 향하여 굽어진 형상을 가져, 흡입덕트(151)의 타단은 열교환기하우징(115)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열교환기하우징(115)은 양단이 개구된 관로를 형성함으로써, 일단은 흡입덕트(151)의 타단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중간덕트(152)의 일단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열교환기하우징(115)은 사각 단면을 가진 관로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열교환기하우징(115)의 내부에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115b)에는 증발기(11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하여 지지하기 위해 돌출형성된 제1 지지돌기(1151)와, 응축기(12)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해 돌출형성된 제2 지지돌기(115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지지돌기(1151, 1152)는 각각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그 개수나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흡입덕트(151)를 통해 유입되거나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경사진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115b)을 따라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하류측단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지지돌기(1151, 1152)는 유로를 확보하기 위한 개구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은, 타단, 즉 하류측단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도 6 참조). 사각 단면을 가진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상면이 수평선과 나란하다고 가정하면,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은 수평선과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유입구(101a)를 통해 유입되거나 열교환기하우징(115) 내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경사진 저면(115b)을 따라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타단, 즉 하류측단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115b)에는 천공된 배수구(미도시)를 가질 수 있고,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115b)에 잔류된 응축수는 경사진 저면(115b)을 따라 흘러 상기 배수구로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는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타단, 즉 하류측단의 저면(115b)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구로 응축수가 모일 수 있도록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115b)은 상기 배수구를 중심 저점으로 한 경사면일 수 있다.
이렇게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115b)에 형성된 배수구로 유도된 응축수는 배수구를 통해 빠져나가 섬프에 집수될 수 있으며, 섬프에 집수된 응축수는 응축수펌프장치에 의해 배수통(32)으로 유도될 수 있다.
한편, 중간덕트(152)는 양단이 개구된 관로를 형성함으로써, 일단은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타단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팬(105)의 흡기구(160a)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덕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덕트(152)는 열교환기하우징(115) 보다 길이가 짧을 수 있으나, 열교환기하우징(115)을 통과하는 기류의 방향을 하향시킬 수 있다. 즉, 중간덕트(152) 일단에 형성되는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높이와, 중간덕트(152) 타단에 형성되는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7a의 종단도를 나타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 형성된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중간 높이(C1)와 개구 형성된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중간 높이(C2)를 비교해 보면,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중간 높이(C1)는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중간 높이(C2)보다 Δh 만큼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덕트유입구(152a)를 통해 중간덕트(152)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중간덕트유입구(152a)보다 밑에 위치한 중간덕트배출구(152b)를 통해 배출되도록 기류를 하향 유도케할 수 있다.
다만, 중간덕트(152)를 통과하는 기류가 하향 유도되더라도, 전체 순환공기유로(101)의 유속 및/또는 유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중간덕트유입구(152a)와 중간덕트배출구(152b)는 일부분이 서로 대향하여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중간 높이(C2)가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개구된 범위 내에 속하도록, 즉 단면 기준으로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절반 이상이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개구된 부분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0)는 기류를 하향 유도케 하는 중간덕트(152)를 포함함으로써, 팬(105) 또는 팬하우징(161)의 설치 위치는 전체적으로 낮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쇄적으로 히트펌프장치(100)의 높이와, 기계실(20) 전체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의류처리실(11)의 공간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형상이 사각 단면을 가진 관로인 경우, 열교환기하우징(115)과 연결되는 중간덕트(152)의 일단은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타단과 연결하기 위해 사각 형상으로 개구된 중간덕트유입구(152a)가 마련될 수 있고, 또 팬(105)의 흡기구(160a)가 원형인 경우, 중간덕트(152)의 타단은 팬(105)의 흡기구(160a)와 연결하기 위해 원형으로 개구된 중간덕트배출구(152b)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간덕트유입구(152a)와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형상이 다른 경우, 중간덕트(152)를 통과하는 기류 중 일부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중간덕트(152)의 일단에는 공기차단판(171)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차단판(171)은 중간덕트유입구(152a)와 중간덕트배출구(152b) 중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넓은 중간덕트배출구(152b)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원형인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차단판(171)은, 중간덕트(152)의 일단에 마련되되,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하측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일부 형상과 상응하는 대략 반원의 판상일 수 있다.
결국, 사각 형상으로 개구된 중간덕트유입구(152a)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원형으로 개구된 중간덕트배출구(152b)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향 유도되되, 그 과정에서 공기차단판(171)은, 대향하고 있는 중간덕트유입구(152a)와 중간덕트배출구(152b)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중간덕트배출구(152b)와 대향하는 중간덕트(152)의 일단에 마련됨으로써, 공기 중 일부가 새지 않도록 차단하여 기류를 하향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튐방지커버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차단판(171)의 상측에는 사각 형상으로 개구된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틀(172)이 마련될 수 있다. 중간덕트(152)의 일단에 마련된 결합틀(172)을 매개로 중간덕트(152)는 열교환기하우징(115)과 연통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물튐방지커버(170)는 공기차단판(171)과 결합틀(17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공기차단판(171)과 결합틀(17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물튐방지커버(170)는 열교환기를 포함한 열교환기하우징(115)과 팬(160) 사이, 구체적으로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하류측 후단 가장자리에 결합틀(172)이 결합되어, 열교환기 측의 응축수가 팬(160)의 구동으로 팬(16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틀(172)은 내측 하단부에 응축수가 중간덕트유입구(152a)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차수판(173)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0)는 팬(105)이 기류의 상류측단이 아닌 하류측단에 마련되기 때문에,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에 저류된 응축수는, 후단에 위치한 팬(105)의 구동으로 형성되는 음압에 의하여 공기와 함께 중간덕트(152) 및 팬(105)으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팬(105)으로 응축수가 유입되는 경우, 팬(105)의 구동에 의해 소음 및 악취가 발생할 수 있고, 나아가 응축수가 공기토출구(12b)를 통해 의류처리실(11) 내로 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차수판(173)은 응축수가 중간덕트(152) 및 팬(105)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튐방지커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틀(172)의 내측 하단부에는 소정 높이의 차수판(173)이 마련되어,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에 저류된 응축수가 중간덕트(152) 및 팬(105)으로 튀거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차수판(173)에 의해 기류가 함께 차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차수판(173)은 소정 크기로 다수 타공된 망(mesh)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에 따른 차수판(173)은 응축수에 대한 차수 기능은 갖되, 통기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판(173)에 타공된 구멍은 그 형상, 크기 또는 개수 등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중간덕트(152)의 타단에는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팬(105), 구체적으로 흡기구(160a)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종단면도이며,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공기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160)은 원심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160)은 흡기구(160a)와 배기구(160b)가 마련된 팬하우징(161)과, 흡기구(160a)에 마련된 회전축(165)과, 회전축(165)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회전축(16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16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블레이드(166)는 회전축(165)의 어느 한 회전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굽어진 형상을 갖되, 익현의 길이는 짧고 깃의 폭은 넓을 수 있다.
다수의 블레이드(166)는, 회전축(165)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흡기구(160a)를 통해 회전축(165)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에 원심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원심력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회전축(165)의 반경방향으로 배출되고, 팬하우징(161)의 내면(또는 내주면)을 따라 유동함으로써, 배기구(160b)로 배기될 수 있다.
모터 따위와 같은 구동장치(167)의 구동축은 팬(160)의 구동축삽입구(161a)를 통해 회전축(165)에 결합됨으로써, 구동장치(167)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165)과 다수의 블레이드(166)는 회전축(16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회전축(165)의 전면에 마련된 흡기구(160a)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회전축(165)의 반경방향으로 배출하고, 팬하우징(161)의 상부에 개구 형성된 배기구(160b)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팬하우징(161)은 납작한 대략 원반의 형상을 갖되, 이때 팬하우징(161)의 전방, 즉 중간덕트(152)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축(165)은 편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회전축(165)의 회전에 의해 팬하우징(161) 내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 폭이 점점 넓어지도록 회전축(165)은 편심되어, 원심력을 받은 공기는 팬하우징(161)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점차 감속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기구(160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또는 풍량)을 더 많이 확보함과 동시에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팬하우징(161)은 상부에 마련된 배기구(160b)의 개구된 면적은 넓게 확보하면서, 전면 흡기구(160a)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팬하우징(161)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기구(160b)의 말단부로부터 상류측으로 갈수록 기류 폭이 좁아지도록, 해당 팬하우징(161)의 내벽에는 경사지게 마련된 와류유도판(1611)을 포함할 수 있다.
결국, 도 13a 및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진 와류유도판(1611)의 하측단부에서 배기구(160b)의 개구된 단면적은 와류유도판(1611)의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하우징(161)은, 하부에 응축수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 공간(1621)을 가진 응축수수용실(162)을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수용실(162)은, 응축수를 저수하기 위하여 팬하우징(161)의 내부 공간 이외에 별도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수용실(162)은 팬하우징(16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팬하우징(161)의 하부는 원심력을 받은 공기를 회전시키기 위해 전반적으로 라운드진 외관을 갖되, 응축수를 저수하기 위한 상자형의 응축수수용실(162) 부분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팬하우징(161)의 하부에는 응축수수용실(162)이 마련되되, 이에 대향하는 팬하우징(161)의 상부에는 배기구(160b)가 마련됨으로써, 의류처리실(11)의 공기토출구(12b)로부터 의류처리실(11) 내 응축수가 유입되거나 사용자의 실수 등으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 팬하우징(161)의 내벽을 타고 응축수수용실(162) 내부의 응축수저수공간(1621)에 저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히트펌프장치(100)의 구동으로 냉매가 공기와 열교환하는 과정에서 공기 내 습기로부터 형성된 응축수가 응축수저수공간(1621)에 저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응축수수용실(162)에 저수된 응축수는,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팬(l60)의 구동으로 제1 및 제2 및 제3 유로(f2, f3)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자연 증발되어 제거될 수 있다. 흡기구(160a)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가열 및 제습된 공기로서, 제2 및 제3 유로(f2, f3)를 따라 응축수수용실(162)을 거쳐 유동함으로써, 응축수수용실(162) 내 저수된 응축수는 자연증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축(165)을 따라 흡기구(160a)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회전축(165)의 반경방향으로 배출되어 팬하우징(161)의 내면을 따라 회전한 이후 배기구(160b)로 배기되는 제1 유로(f1)를 형성할 수 있다.
팬하우징(161) 내에서 고압 및 고속으로 제1 유로(f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하부에 추가로 응축수수용실(162)이 마련되더라도 압력 및 속도를 유지하고, 그 중 일부를 응축수수용실(162)의 응축수저수공간(1621)으로 분기시키기 위해, 응축수수용실(162)의 상부에는 라운드진 분기판(16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기판(1612)은 응축수수용실(162)의 상측 개구면을 덮되, 아래로 볼록한 라운드진 형상을 가져, 응축수수용실(162)의 내면의 제1 유로(f1)를 따라 회전 이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가이드하여, 응축수수용실(162)의 존재 여부와 무관하게 기류 변화없이 연속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분기판(1612)의 상면에는 배기구(160b)를 통해 낙하하는 등의 이유로 응축수가 저류될 수 있으며, 분기판(1612)의 상면에 저류된 응축수는 제1 유로(f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판(1612)은 응축수수용실(162) 이외에 응축수가 저수될 수 있는 또 다른 공간을 마련하되, 집수된 응축수를 제1 유로(f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분기판(1612)은 두께가 얇은 판상으로 응축수수용실(162)의 상부에 이격 배치됨으로써, 응축수수용실(162)의 양측 상단 각각에는 이격 배치된 분기판(1612)과의 사이에 분기유입구(162a)와 분기배출구(162b)가 형성될 수 있다(도 13a 참조). 다시 말해, 제1 유로(f1)를 기준으로 한 분기판(1612)의 상류측단 및 하류측단 각각에는 팬하우징(161)의 하부 내측면과 이격됨으로써, 분기유입구(162a)와 분기배출구(162b)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로(f1)를 따라 고압 및 고속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분기판(1612)의 일단부와 마주함으로써, 그 중 일부가 분기되어 분기유입구(162a)를 통해 응축수수용실(162)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분기판(1612)의 양측단부는 말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1 유로(f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에 대하여 제2 유로(f2)로 분기할 때 공기 저항을 낮추도록 하고, 이과 동시에, 분기판(1612)의 상면이 양측 말단부 각각에서 팬하우징(161)의 내면과 자연스러운 연속면이 형성되어, 주류(主流)인 제1 유로(f1)의 기류의 방향이 변화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분기유입구(162a)는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 유로(f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기유입구(162a)를 통과하는 제2 유로(f2)의 폭이 제1 유로(f1)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하되, 분기유입구(162a)를 통해 응축수수용실(162)로 유입된 공기가 자력으로 분기배출구(162b)로 배출되지 않고 응축수수용실(162) 내 저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분기판(1612)의 상류측단에서 제1 유로(f1)로부터 분기된 공기는 분기유입구(162a)를 통해 응축수수용실(162)로 유입되는 제2 유로(f2)를 형성하되, 제2 유로(f2)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은 제1 유로(f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보다는 상대적으로 느려, 가열 및 제습된 공기는 제2 유로(f2)를 따라 응축수수용실(162)로 공급될 수 있다.
응축수수용실(162) 내 공기는, 분기판(1612)의 하류측단에서 제1 유로(f1)를 따라 고속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분기배출구(162b)를 통해 흡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3 유로(f3)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분기배출구(162) 주변에 형성되는 음압에 의해 응축수수용실(162) 내 공기가 제1 유로(f1)로 흡입됨으로써, 제3 유로(f3)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응축수수용실(162)을 중심으로, 분기유입구(162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유로(f2)와, 분기배출구(162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제3 유로(f3)가, 주류인 제1 유로(f1)로부터 분기되거나 합류될 때, 회전하는 기류의 방향을 유지하며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응축수수용실(162)의 저면에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제2 및 제3 유로(f2, f3)의 유동 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복수의 제2 가이드날개(1622)를 포함할 수 있다(도 12 참조).
또, 분기판(1612)은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제1 가이드날개(1613)를 포함할 수 있다(도 12 참조).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날개(1613)의 길이는 분기판(161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날개(1613, 1622)는 각각 분기판(1612)의 상면과 응축수수용실(162)의 저면에 같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판 형태일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가이드날개(1613, 1622)는 제1 및 제2 가이드날개(1613, 1622)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정렬하여, 팬하우징(161) 내에서 회전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160)은, 팬하우징(161)에 적어도 하나의 질식방지장치(163, 1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160)의 전면, 후면 및/또는 어느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질식방지장치(163, 164)가 마련되어, 질식방지장치(163, 164)에 의해 형성된 외기도입구(163a, 164a)를 통해 도입된 외기가 팬하우징(161) 내부로 유입되고, 순차로 배기구(160b), 배기덕트(153) 및 공기토출구(12b)를 거쳐, 의류처리실(11)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질식방지장치(163, 164)는 팬하우징(161)의 일 측면에 마련되되, 제1 유로(f1) 중 배기구(160b)를 향하여 상승하는 기류 상에 마련되는 것이 좋다.
통상, 도어(40)가 닫힌 의류처리실(11) 내부는 밀폐되기 때문에, 어린아이나 반려동물이 의류처리실(11) 내부에 갇혔을 때, 좁은 의류처리실(11)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져 산소 부족 등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외기를 의류처리실(11) 내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160)의 팬하우징(161)은 질식방지장치(163, 1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식방지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질식방지장치(163, 164)는 팬하우징(161)의 일부 영역이 개구 형성된 개구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개구부에 상응하는 크기의 질식방지장치(163, 164)가 마련됨으로써, 외기는 팬하우징(16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되, 팬하우징(161)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팬하우징(161)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질식방지장치(163, 164)는 상기 팬하우징(161)의 개구부를 중심으로 외측 및 내측 각각에서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외기도입판(1631, 1641)과 외기도입커버(1632, 16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기도입판(1631, 1641)과 외기도입커버(1632, 1642) 각각은 상기 팬하우징(161)의 개구부 하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개구부의 전후면을 차단하되, 이때, 외기도입판(1631, 1641)과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상측단은 자유단으로 팬하우징(161)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외기가 팬하우징(161) 내부로 도입될 수 있는 틈을 형성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형성되는 외기도입구(163a, 164a)를 통해 외기는 팬하우징(161)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즉, 팬하우징(161)과 외기도입판(1631, 1641)의 상측단 사이의 틈으로 외기는 도입되고, 도입된 외기는 팬하우징(161)의 개구부를 경유하여 팬하우징(161)과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상측단 사이의 틈을 거쳐 팬하우징(16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외기가 도입되는 틈을 형성하는 팬하우징(161)의 하단부 모서리 및/또는 외기도입판(1631, 1641)의 상단부 모서리는 비스듬하게 형성됨으로써, 비스듬한 경사면을 따라 외부에서 내부로 도입되는 외기가 하방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하우징(161)의 내부에서 고속으로 유동하는 공기, 즉 주류인 제1 유로(f1)를 따라 고속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외기도입구(163a, 164a)로 도입된 외기는 흡입되어 제1 유로(f1)에 합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유로(f1)를 따라, 구체적으로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내측 외면을 따라 고속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팬하우징(161) 외부의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상측단 주변에는 상대적으로 음압이 형성되어 형성된 음압에 의해 외기도입구(163a, 164a)로 도입된 공기는 팬하우징(161)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여기서, 팬하우징(161) 내측에 마련되는 외기도입커버(1632, 1642)는 유선형의 외관을 가져, 제1 유로(f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내측 외면을 따라 유동할 때 외기도입커버(1632, 1642)에 의한 기류의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외기도입커버(1632, 1642)는 소정 높이에 팬하우징(161)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외면을 가질 수 있고, 볼록한 부분을 중심으로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상측단부와 하측단부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되, 외기가 도입되는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상측단부는 뾰족한 외관을 갖도록 말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얇아질 수 있다.
제1 유로(f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유선형의 외기도입커버(1632, 1642) 의 내측 외면을 타고 상측 방향으로 고속 유동함으로써, 외기도입구(163a, 164a)를 통해 외기도입커버(1632, 1642) 의 외측 외면으로 도입된 외기를 흡입할 수 있다.
한편,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상측단 높이(h1)는 외기도입판(1631, 1641)의 상측단 높이(h2)보다 더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1 유로(f1)를 따라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상방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외기도입구(163a, 164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이유로 팬하우징(161)의 내부에는 응축수가 있을 수 있으며, 팬하우징(161)의 내벽을 따라 아래로 흐르는 응축수는 이격하여 마련된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상측단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낙하하여, 외기도입판(1631, 1641)과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사이에 저수될 수 있다.
외기도입판(1631, 1641)과 외기도입커버(1632, 1642) 사이에 저수된 응축수는 팬하우징(161)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와 접하지 않아 자연증발될 수 없기 때문에, 외기도입판(1631, 1641)과 외기도입커버(1632, 1642) 사이에 저수된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한 일 방안으로서, 외기도입커버(1632, 1642)에 형성된 배수구(1644)를 통해 팬하우징(161) 내, 구체적으로 응축수수용실(162)로 유도케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도입커버(1632, 1642)는 하측단, 바람직하게는 하측단의 일측단부에 천공된 배수구(16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기도입판(1631, 1641)과 외기도입커버(1632, 1642) 사이에 저수된 응축수는 배수구(1644)를 통해 팬하우징(161) 내부로 유입되며, 라운드진 팬하우징(161)의 내벽을 따라 흘러 응축수수용실(162)의 응축수저수공간(1621)에 저수될 수 있고, 응축수저수공간(1621)에 저수된 응축수는 제2 및 제3 유로(f2, f3)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될 수 있다.
한편, 외기도입판(1631, 1641)과 외기도입커버(1632, 1642) 사이에 저수된 응축수를 배수구(1644)로 유도하기 위해, 질식방지장치(163, 164)가 마련되는 팬하우징(161)의 개구부 저면은 배수구(1644)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t2)을 가질 수 있다(도 16 참조).
물론, 팬하우징(161)의 개구부 저면에 상응하여, 배수구(1644)를 가진 외기도입커버(1632, 1642) 역시, 하측단부(t3)가 상기 배수구(1644)를 향하여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도입커버가 팬하우징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도입커버(1632, 1642)는 팬하우징(161)의 내측면에서 팬하우징(161)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결합할 수 있다.
팬하우징(161)의 내측면에서 결합된 외기도입커버(1632, 1642)는 상측단부만 팬하우징(161)의 내벽과 이격형성되고, 나머지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양측단부 및 하측단부는 팬하우징(161)의 내벽과 밀착하도록 결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기도입커버(1632, 1642)는 상측단부로만 외기가 도입되도록 하되, 팬하우징(161)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기도입커버(1632, 1642)를 팬하우징(161)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적어도 일측에는 결합공(1643a, 1643b)을 가진 결합편(1642a, 1642b)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체결수단을 결합공(1643a, 1643b)을 통해 팬하우징(161)의 내측면에 체결함으로써, 외기도입커버(1632, 1642)는 팬하우징(161)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한편, 외기도입커버(1632, 1642)와 대향하는 외기도입판(1631, 1641)은, 상기 팬하우징(161)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되, 외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외기도입판(1631, 1641)의 상측단부와 팬하우징(161) 사이에 외기가 도입될 수 있는 틈, 즉 외기도입구(163a, 164a)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기도입판(1631, 1641) 역시, 상측단부로만 외기가 도입될 수 있도록, 외기도입판(1631, 1641)의 좌우측단부 및 하측단부는 팬하우징(161)의 외측면과 이격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넷
11: 의류처리실 12a: 공기유입구
12b: 공기토출구 13: 스팀분사부
20: 기계실 31: 급수통
32: 배수통 40: 도어
100: 히트펌프장치 101: 순환공기유로
101a: 공기유입구 101b: 공기배출구
102: 순환냉매유로 105: 팬
110: 증발기 115: 열교환기하우징
120: 응축기 130: 압축기
140: 유량조절밸브 151: 흡입덕트
152: 중간덕트 152a: 중간덕트유입구
152b: 중간덕트배출구 153: 배기덕트
160: 팬 160a: 흡기구
160b: 배기구 161: 팬하우징
161a: 구동축삽입구 161b: 배기구상류측
1611: 와류유도판 1612: 분기판
1613: 제1 가이드날개 162: 응축수수용실
162a: 분기유입구 162b: 분기배출구
1621: 응축수저수공간 1622: 제2 가이드날개
163, 164: 질식방지장치 163a, 164a: 외기도입구
1631, 1641: 외기도입판 1632, 1642: 외기도입커버
1642a, 1642b: 결합편 1643a, 1643b: 결합공
1644: 배수구 165: 회전축
166: 블레이드 170: 물튐방지커버
171: 공기차단판 172: 결합틀
173: 차수판 f1: 제1 유로
f2: 제2 유로 f3: 제3 유로

Claims (11)

  1.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의류처리실 내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가 인출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로 재공급되는 공기토출구;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토출구를 상호 연통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내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장치; 및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상기 의류처리실 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팬;
    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흡기구와 배기구가 마련된 팬하우징과, 상기 흡기구에 마련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팬하우징은, 어느 일 면에 마련되어 외기를 내부로 도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질식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하우징의 어느 일 면에 일부 영역이 개구 형성된 개구부에 상기 질식방지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질식방지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외측 및 내측 각각에서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외기도입판 및 외기도입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외기도입판 및 상기 외기도입커버의 상측단은 자유단으로 상기 팬하우징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외기가 상기 팬하우징 내부로 도입될 수 있는 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회전축을 따라 상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회전축의 반경방향으로 배출되어 상기 팬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회전한 이후 상기 팬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배기구로 배기되는 제1 유로를 갖고,
    상기 질식방지장치는, 상기 팬하우징의 일 측면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유로 중 상기 배기구를 향하여 상승하는 기류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팬하우징 내측에 마련되는 상기 외기도입커버는, 유선형의 외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도입커버의 상측단 높이는, 상기 외기도입판의 상측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도입커버는, 하측단의 일측단부에 천공된 배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저면은 상기 배수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도입판은, 상기 팬하우징의 상기 개구부 하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외기도입커버는, 상기 팬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체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외기가 도입되는 상기 틈을 형성하는 상기 팬하우징의 하단부 모서리를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져, 상기 경사면을 따라 외기가 내부로 도입될 때 하방으로 도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 내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가 인출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로 재공급되는 공기토출구를 상호 연통시키는 순환유로를 따라 상기 의류처리실 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팬에 있어서,
    상기 팬은, 흡기구와 배기구가 마련된 팬하우징과, 상기 흡기구에 마련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팬하우징은, 어느 일 면에 마련되어 외기를 내부로 도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질식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팬.
KR1020210025855A 2021-02-25 2021-02-25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 KR102571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855A KR102571333B1 (ko) 2021-02-25 2021-02-25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855A KR102571333B1 (ko) 2021-02-25 2021-02-25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591A true KR20220121591A (ko) 2022-09-01
KR102571333B1 KR102571333B1 (ko) 2023-08-28

Family

ID=8328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855A KR102571333B1 (ko) 2021-02-25 2021-02-25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3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1098U (ja) * 1983-12-14 1985-07-10 株式会社東芝 乾燥機
JP2007270714A (ja) * 2006-03-31 2007-10-18 Max Co Ltd 送風装置
KR20090105085A (ko) * 2008-04-01 2009-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00092764A (ko) 2009-02-13 2010-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의 도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1098U (ja) * 1983-12-14 1985-07-10 株式会社東芝 乾燥機
JP2007270714A (ja) * 2006-03-31 2007-10-18 Max Co Ltd 送風装置
KR20090105085A (ko) * 2008-04-01 2009-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00092764A (ko) 2009-02-13 2010-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의 도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333B1 (ko) 202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961B1 (ko) 의류 관리기
KR101414635B1 (ko) 의류처리장치
AU2007277599B2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10324566A1 (en) Clothing care system
AU2007277518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2627701B1 (ko) 의류 관리기
KR100587360B1 (ko) 건조 장치
US20200392664A1 (en) Clothes care apparatus
US20090151188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20210310179A1 (en) Clothes care apparatus
KR10250550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0548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21591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
KR102505479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
KR20190128529A (ko) 의류 처리 장치
WO2021129475A1 (zh) 衣物处理装置
KR10148635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4446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05495B1 (ko) 의류처리장치
JP2021101788A (ja) 衣類処理装置
KR10154237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045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0548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11699A (ko) 의류 관리기
KR102505490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