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436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436A
KR20230140436A KR1020230041022A KR20230041022A KR20230140436A KR 20230140436 A KR20230140436 A KR 20230140436A KR 1020230041022 A KR1020230041022 A KR 1020230041022A KR 20230041022 A KR20230041022 A KR 20230041022A KR 20230140436 A KR20230140436 A KR 20230140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iron
module
water
machin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호
이재명
신우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417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91492A1/ko
Publication of KR20230140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20Arrangements for discharging the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28Arrangements for attaching, protecting or supporting the electric supply ca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6Cas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8Operation mode; Program pha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를 거치하는 이너케이스 하부에 보관되되 상기 이너케이스 하부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팀다리미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스팀과 열풍을 의류에 공급하여 의류의 살균, 구김제거, 탈취, 건조 등 리프레쉬(refresh)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는 의류를 물과 세제로 세탁하지 않고 열풍과 스팀의 공급을 통해 의류의 살균, 탈취, 건조 등의 의류관리(리프레쉬)를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57545호, 제10-2011-0067832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물과 세제 없이도 의류를 관리할 수 있어 의류의 손상이 없고, 의류를 관리하고 다시 의류를 착용할 수 있는 시간이 세탁기 및 건조기의 의류처리보다 더 빠르다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접지 않고 그대로 거치한 상태에서 의류를 관리하기 때문에, 의류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의류에 주름이 생기지 않고 구김이 제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다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젖지 않은 상태에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의류에 구김이 완벽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었다. 또한, 의류의 리프레쉬 없이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구동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구비되어 있어도, 의류의 표면에 열과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다리미를 각 가정마다 추가로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상기 다리미가 스팀을 분사할 수 있는 스팀다리미로 구비되는 경우, 의류를 옷걸이 등에 거치한 상태에서 의류의 열과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할 수 있다.
젖지 않은 의류를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리미와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공통점이 있음에도, 상기 스팀다리미와 의류처리장치를 함께 구매하는 것은 비효율적이으며, 상기 스팀다리미와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각각 따로 배치되어야 하므로 공간활용도를 낮추는 문제가 있었다.
근자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팀다리미를 구비하며 의류를 관리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65602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56090호 참조.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접지 않은 상태로 이너케이스(고내)에 거치한 뒤에 필요에 따라 열풍과 스팀을 공급하여 리프레쉬 행정을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스팀다리미로 상기 의류의 표면에 열과 스팀을 공급하여 구김을 제거도 할 수 있도록 구비되었다.
이러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별도의 스팀다리미를 구매할 필요가 없고, 상기 스팀다리미를 별도로 보관할 장소가 필요하지 않다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스팀다리미를 이너케이스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류를 이너케이스에 거치한 뒤에, 스팀다리미를 이너케이스 쪽으로 인출하여 의류의 표면에 열과 스팀을 공급할 수 있었다. 이 경우, 스팀다미리로 의류를 처리하기 위해 이너케이스 외에 별도의 공간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이너케이스는 리프레쉬를 수행하게 되면 외부와 밀폐되어 열풍과 스팀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다리미가 상기 이너케이스에 연통되거나 노출되도록 구비되면, 상기 이너케이스에 공급되는 열풍과 스팀에 스팀다리미가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너케이스 내부에 의류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잔류하는 경우, 상기 이물질이 스팀다리미에 노출되어 상기 스팀다리미가 오히려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팀다리미를 캐비닛의 측면으로 인출하여 이너케이스와 연통하지 않도록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중국특허공보 제112826234호 참조.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스팀다리미가 이너케이스 내부에 공기, 스팀, 이물질에 노출되지 않아 부식, 오염 등이 문제가 없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다리미를 사용하기 위해 의류를 거치해야 하는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측면에 스팀다리미를 인출하거나 의류를 지지하는 거치부재를 배치하기 위해, 별도의 가전제품을 배치할 수 없거나 벽 근처에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배치하지 못하는 제약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기존의 의류처리장치에 스팀다리미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스팀다미리가 함께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재 구매해야 된다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의 살균, 탈취, 건조 등의 리프레쉬를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다리미모듈을 함께 배치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다리미모듈이 의류처리장치에서 공급되는 열풍과 스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다리미모듈이 리프레쉬 행정 과정에서 분리된 이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다리미모듈이 설치되지 않은 모델에도 상기 다리미모듈만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다리미모듈이 설치된 의류처리장치의 양측에 가전제품이나 벽이 배치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처리장치에 보관되되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팀다리미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다리미는 의류가 거치되는 이너케이스 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공급되는 열풍이나 스팀에 노출되는 것이 차단되고, 상기 의류에서 토출되는 이물질에도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스팀다리미는 이너케이스를 닫는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만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도어가 닫히면 기계실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다.
상기 도어는 이너케이스를 닫았을 경우, 이너케이스 내부의 공기가 이너케이스 외부로 토출되지 않도록 밀폐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팀다리미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더라도, 이너케이스 내부의 유체에 의해 오염되거나 누전 되는 가능성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이너케이스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거나 연장되어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를 따라 흐르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공급부와, 상기 순환덕트에 장착되어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스팀공급부를 포함하는 리프레쉬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리프레쉬 모듈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의류의 표면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다리미를 포함하는 다리미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스팀다리미는 상기 다리미모듈의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다리미모듈은 상기 순환덕트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다리미를 수용하는 하우징바디와, 상기 하우징바디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다리미가 상기 기계실 전방으로 인출되는 개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면은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외부에 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은 상기 하우징바디에 수용되어 상기 스팀다리미를 인출시키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개방면을 닫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부는 상기 하우징바디에서 상기 개방면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하우징바디에서 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팀다리미를 상기 개방면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너케이스의 전방면에 접촉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이너케이스와 상기 기계실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내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너케이스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돌출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면은 상기 실링부재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면은 상기 도어가 닫히는 경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너케이스의 바닥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도어의 내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면의 너비는 이너케이스의 개구부 너비와 같거나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스팀다리미는 구동 가능하게 설정되고, 상기 리프레쉬모듈은 구동이 차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스팀다리미는 구동이 정지되거나 차단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리프레쉬모듈은 구동 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은 상기 순환덕트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다리미에 공급하는 스팀을 생성하는 가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은 상기 스팀다리미 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다리미는 상기 가열모듈에서 연장되어 열과 스팀이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말단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기계실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열과 스팀을 상기 의류의 표면에 공급할 수 있는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스팀다리미는 상기 기계실의 전방으로 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팀다리미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기계실 전방으로 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다리미는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기계실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은 상기 순환덕트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다리미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팀다리미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기계실의 전방으로 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전체가 상기 이너케이스의 바닥면 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다리미모듈은 상기 순환덕트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상기 스팀다리미를 수용하는 하우징바디와, 상기 하우징바디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다리미를 상기 기계실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개방면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바디는 상부, 양측면으로 상기 스팀다리미가 인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팀다리미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공급부와,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와, 상기 순환덕트 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공급부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급수통과, 상기 순환덕트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고 상기 급수통의 타측에 배치되는 배수통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급수통과 상기 배수통은 모두 상기 순환덕트 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다리미모듈은 상기 순환덕트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통과 상기 배수통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다리미모듈은 상기 급수통 및 상기 배수통 중 어느 하나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은 상기 배수통 보다 상기 급수통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은 상기 급수통에서 물을 공급받아 상기 스팀다리미에 공급하는 스팀을 생성하는 가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은 상기 배수통 보다 상기 급수통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의 살균, 탈취, 건조 등의 리프레쉬를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다리미모듈을 함께 배치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다리미모듈이 의류처리장치에서 공급되는 열풍과 스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다리미모듈이 리프레쉬 행정 과정에서 분리된 이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다리미모듈이 설치되지 않은 모델에도 상기 다리미모듈만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다리미모듈이 설치된 의류처리장치의 양측에 가전제품이나 벽이 배치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리미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의 전방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상기 기계실의 후방을 도시한 것이다.
도6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 중 순환덕트 및 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덕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에 구비된 제어부 설치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급배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급수통에서 물을 공급받는 스팀공급부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1는 상기 스팀공급부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스팀공급부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상기 스팀공급부에 물을 공급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4은 상기 스팀노즐의 유로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배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배수통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역류부 구조를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18은 이너케이스의 바닥면의 하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19는 상기 다리미모듈의 구조를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20은 상기 가열모듈에 급배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1은 상기 급수구조와 상기 급수부가 연통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2는 배수구조와 배수부가 연통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3은 상기 배수구조와 상기 배수부가 연통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4은 본 발명 다리미모듈(I)이 기계실에 설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5는 상기 스팀다리미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6는 상기 스팀다리미가 인출되는 방향의 특징을 도시한 것이다.
도27은 상기 스팀다리미가 이물질에 보호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8은 다리미모듈과 제어부의 구조와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29은 상기 제어부의 배치를 도식화 한 것이다.
도30는 상기 다리미모듈이 드로워 방식으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1은 상기 인출부에 스팀다리미가 보관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2는 도30의 스팀다리미가 보관되고 인출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3은 상기 인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4은 도33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5는 도33의 스팀다리미가 보관되고 인출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X축은 의류처리장치의 전후방향을 의미하며, Y축은 의류처리장치의 너비방향을 의미하고, Z축은 의류처리장치의 높이방향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20)는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본체바디(121)와, 상기 본체바디(12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바디(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는 높이가 좌우방향의 너비 전후방향의 두께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긴 의류도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바디(122)는 상기 본체바디(121)에서 상기 캐비닛(100)의 후방을 향하여 단차를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설치바디(122)는 상기 본체바디(122)와 다른 재질 또는 다른 색깔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바디(122)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발광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반투명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바디(122)와 상기 본체바디(121)가 단차진 영역에 핸들(1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123)은 상기 본체바디(121)의 일면에서 상기 본체바디(121)와 나란하게 상기 설치바디(122)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핸들(123)은 상기 설치바디(122)와 전후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과 상기 도어(120)는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는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20)을 구비하며 전방에 의류가 투입되는 개구부(210)를 형성하는 이너케이스(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전방에 개구면을 가진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상기 캐비닛(100)의 높이보다는 높이가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캐비닛(100) 하부에 후술하는 기계실(300)이 설치될 수 있는 영역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높이가 너비와 두께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가 접히거나 구겨지지 않는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220) 내부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플라스틱 수지 계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온의 공기 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이하, 열풍)과 스팀 또는 수분에도 변형되지 않는 강화플라스틱 수지계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내부면 상부에는 상기 의류를 수용공간(220)에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옷걸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로 인해 상기 의류는 상기 수용공간(220) 내에서 접히지 않은 상태 및 공중에 부유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너비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복수의 의류가 서로 이격되어 거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서 너비방향으로 왕복이동하거나, 왕복회전하는 무빙행어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거치부로 인해 의류를 이너케이스 내부에서 흔들 수 있고, 상기 의류는 상기 수용공간(220) 내부에서 가진되면서 이물질과 먼지 등이 털어질 수 있고, 의류에 생긴 주름도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용공간(220)에 고온의 공기, 가열된 공기(이하 열풍)을 공급하거나, 상기 수용공간(220)에 스팀을 하나 이상을 공급하거나, 상기 캐비닛(100)의 외부공기를 정화하거나 제습할 수 있는 각종 장치들이 설치되는 기계실(3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분리 또는 구획되어 배치되되, 상기 수용공간(220)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비중이 작은 열풍과 스팀이 상기 이너케이스(200)로 공급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열풍과 스팀이 상기 수용공간(220)에서 상승하면서 거치된 의류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바닥면(230)을 통해 상기 기계실(300)과 구획될 수 있고,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바닥면(230)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배치되어 상기 기계실(300)과 연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기계실(300)과 연통하는 복수의 관통홀(2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30)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220)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300)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기계실(300)에서 생성된 열풍 또는 스팀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수용공간(2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3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230)을 관통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300)로 배출 또는 흡입되는 유입홀(232)과,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기계실(300)에서 생성된 열풍이 토출되는 배출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231)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 중 후방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홀(232)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 중 전방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230)에서 상기 유입홀(231)과 상기 배출홀(232)의 이격된 간격이 확보될 수 있고, 상기 배출홀(232)에서 공급된 열풍이 바로 유입홀(231)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30)은 후술하는 스팀공급부(800)에서 생성된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홀(2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홀(232)보다 상기 배출홀(231)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팀홀(233)은 상기 배출홀(23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스팀홀(233)에서 배출된 스팀이 바로 유입홀(23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120)는 상기 캐비닛(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0)의 높이는 상기 캐비닛(100)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도어(120)는 상기 개구부(210)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기계실(300)도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0)가 닫히면 상기 개구부(210)와 상기 기계실(300)은 전방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0)는 본체를 형성하는 도어바디(121)와 상기 도어바디(121)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210)를 밀폐하는 실링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123)는 상기 도어바디(121)의 내면 중 상기 개구부(210)의 둘레와 마주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210)를 밀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바디(121)는 상기 개구부(210)를 밀폐하는 실링부재(123)의 하부에서 상기 기계실(300)를 차폐하고 상기 기계실(300)을 보호하는 보호패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123)는 상기 개구부(210) 보다 하부로 더 연장되어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 둘레도 밀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120)는 상기 도어바디(121)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개구부(21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5)는 상기 도어(120)가 상기 개구부(210)를 닫을 경우 상기 유입홀(232)의 전방에 배치될 정도로 상기 도어바디(121)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5)은 상기 개구부(210)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5)는 상기 도어바디(121)의 상단 보다 상기 개구부(210)의 하부 또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230)과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너케이스의 수용공간(220)에 배치된 열풍과 스팀이 상기 유입홀(232)로 유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고, 상기 개구부(210)의 외부로 유출되어 기계실(300)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5)의 높이는 이너케이스(200)의 높이의 1/3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125)이 상기 도어바디(121)에서 돌출된 두께는 상기 바닥면(230)의 전방 모서리에서 상기 유입홀(232)까지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바디(120)는 내면에 상기 돌출부(125)을 향하여 연장되는 곡선면(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선면(124)은 아래로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곡선면(124)은 상기 수용공간(220)에 공급되는 열풍과 스팀이 수용공간(220) 내부에서 순환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바디(121)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의류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130)와, 상기 가압부(130) 보다 상부에 상기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고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도어(120)의 너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140)에 거치된 의류를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정부(140)에 거치된 의류를 상기 가압부(130)로 가압하여 상기 의류의 구김을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의류에 의도한 주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곡선면(124)은 상기 가압부(130)의 하부에서 상기 돌출부(125)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정부(140)에 거치된 의류에서 응축된 물이 상기 가압부(130) 또는 상기 도어바디(121)의 내면을 따라 흐르는 경우 상기 곡선면(124)을 따라 흘러 상기 바닥면(230)으로 안내되고 상기 개구부(210) 또는 실링부재(123)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기계실(300)이 물, 스팀, 열풍, 이물질 등에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5)는 노출면이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배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노출면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하부면이 이너케이스의 바닥면(23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5)의 노출면은 관통되어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관통면(126)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125)과 상기 곡선면(124) 및 상기 도어바디(121)가 형성하는 공간에는 상기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덕트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바디(121)는 내면 중 상기 가압부(130)와 대응된 영역에 상기 덕트와 연통하는 연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이너케이스(200)에 유동하는 열풍과 스팀이 상기 관통홀(126)로 유입되어 상기 연통홀로 배출되면서 상기 가압부(130)에 거치된 의류를 건조하거나,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도 있다.
도3은 상기 기계실(300)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열풍과 스팀 중 하나이상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물을 공급받아야 하며,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공급된 스팀이나 의류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기계실(300)은 스팀에 사용되는 물을 저장하는 급수통(301)과,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배수통(3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통(301)과 상기 배수통(302)은 기계실(3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급수통(301)에 물을 채우거나, 상기 배수통(302)의 물을 비우는 것이 용이할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가 급수원과 하수구의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기계실에서 생성된 열과 스팀 중 하나 이상을 의류에 공급하는 다리미모듈(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의류의 표면에 열과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의류의 표면에 열과 스팀 중 하나 이상을 분사하거나 공급할 수 있는 스팀다리미(1300)와,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기계실(300) 내부에 보관하는 하우징(1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0)은 상기 기계실(300)에 장착되어 상기 스팀다리미(1300)가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바디(1210)와, 상기 하우징바디(12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다리미(1300)가 인출입되는 개방면(1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하우징바디(1210)의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기계실(300)에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고정부(140) 또는 거치부에 거치된 의류의 표면까지 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높이의 절반 보다 더 상부, 상기 도어(120)의 가압부(130) 상단까지 열과 스팀을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의류의 표면에 접촉되거나 의류에 가깝게 배치되어, 열과 스팀을 직접 의류의 표면에 분사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고정부(140) 까지 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하우징(1200)에서 인출되면 상기 수용공간(220)의 상부면 또는 상기 도어(120)의 내면의 상단까지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의류의 표면에 열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의류의 표면에 스팀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일반 스팀다리미 또는 일반 스티머로 구비될 수 있다. 의류에 발생한 구김을 제거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면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거치부 또는 고정부(140)에 고정된 의류(L)는 상기 도어(120)의 내면 또는 이너케이스(200) 내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스팀다리미(1300)에서 공급되는 열과 스팀 중 하나 이상에 노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의류(L)가 리프레쉬 되거나, 구김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스팀다리미(1300)가 상기 기계실(300)에서 이너케이스(200) 또는 도어(120)에 거치된 의류까지 인출되어야 하므로, 상기 기계실(300) 전방면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다리미모듈(S)의 전방면은 상기 급수통(301) 또는 상기 배수통(302)의 일측에 배치되고, 양측면은 상기 기계면(3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는 수용공간(220)에 거치된 의류에 열풍과 스팀을 공급하거나,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하거나, 캐비닛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구비되는 리프레쉬모듈(T)과,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포함하는 다리미모듈(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레쉬모듈(T)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열풍과 스팀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모든 장치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레쉬모듈(T)은 상기 기계실(300)는 전술한 각종 장치들을 지지하거나 설치되는 공간을 배치하는 베이스부(310)와, 상기 베이스부(310)에 설치되거나 연장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 또는 상기 캐비닛(200) 외부의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순환덕트(320)와, 상기 순환덕트(320)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송풍부(350)와, 상기 순환덕트(32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냉각하고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열공급부(340)와, 상기 베이스부(310)에 지지되거나 상기 순환덕트(320)에 장착되어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각종 장치들이 설치되는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또는 상기 캐비닛(100)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340)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를 냉각하여 수분을 응축하고 상기 공기를 재가열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순환덕트(320)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냉매를 공급받거나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레쉬 모듈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전방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로 안내하는 외기덕트(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외기덕트(370)와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외부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통과 상기 배수통도 상기 리프레쉬모듈(T)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의 전면에는 상기 급수통과 배수통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급수통(301)과 배수통(302)은 상기 외기덕트(370)의 상부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베이스부(310)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베이스부(31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베이스부(310)와 상기 순환덕트(320)가 사출성형되어 동시에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리프레쉬모듈(T)은 상기 순환덕트(320)와 상기 유입홀(232)을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커버(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홀(232)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을 차폐하여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의 하부와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유로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내부에 상기 유입홀(232)과 상기 순환덕트(320)를 연통하는 유입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362)는 덕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순환덕트(320)에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를 전달하는 흡기덕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급수통(301)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프레쉬모듈(T)은 상기 스팀공급부(800)에서 스팀을 전달받아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노즐(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900)은 상기 스팀공급부(800)와 상기 스팀홀(2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900)에서 스팀홀(233)로 배출되지 못하고 응축된 물은 다시 스팀공급부(900)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송풍부(350)는 상기 순환덕트(320)와 상기 배출홀(231)을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서 상기 리프레쉬모듈(T)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순환덕트(320)를 흐르는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베이스부(310)의 일측에서 상기 순환덕트(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5는 상기 기계실의 후방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송풍부(350)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의 공기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송풍팬(353)과, 상기 송풍팬(353)을 수용하며 상기 순환덕트(320)에 결합되거나 연장되는 팬하우징(3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350)는 상기 순환덕트(320)와 상기 배출홀(232)를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배출덕트(3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352)는 상기 팬하우징(351)에서 단면이 상기 배출홀(232)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상기 배출홀(232)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베이스커버(360)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순환덕트(320)를 통과한 다음 상기 팬설치부(350)를 통해 다시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340)는 상기 베이스부(310)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덕트(320)를 흐르는 공기와 열교환 하는 압축기(3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43)는 순환덕트(3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순환덕트(320)와 상기 다리미모듈(S)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6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 중 순환덕트 및 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바닥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바닥부(311)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베이스바닥부(311)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하도록 별도로 구비된 캐비닛(100)의 바닥면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순환덕트(320)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에서 연장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바디(321)와 상기 덕트바디(321) 내부에 증발기(341) 또는 응축기(343)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열교환기 설치부(3212)과, 상기 덕트바디(321)의 후방에 구비되어 덕트바디(321)의 공기를 송풍부(350)로 배출하는 공기배출부(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은 상기 덕트바디(32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의 직경은 상기 덕트바디(321)의 너비 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은 상기 송풍부 (350)과 연결될 수 있다. 공기배출부(323)에서 배출된 공기는 송풍부 (350)을 통해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덕트바디(321)의 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외기흡입부(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기흡입부(322)는 상기 외기덕트(370)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기흡입부(322)의 전방에 상기 외기덕트(370)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외기흡입부(322)를 개폐하는 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의 개폐를 통해 외기가 순환덕트(3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압축기(343)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압축기 설치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베이스바닥부(31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압축기(343)를 지지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베이스부(310)의 후방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 설치부(312)는 공기배출부(323)과 너비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압축기(343)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는 완충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돌기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열교환기(341,343)에 냉매를 공급하는 상기 압축기(343)가 설치되는 압축기 설치부(3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설치부(313)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압축기설치부(312) 또는 상기 베이스부(310)의 일측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베이스부(310)에 안착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베이스바닥부(311)는 상기 순환덕트(320)에서 상기 기계실(300)의 양측면 모서리까지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다리미모듈(S)은 베이스바닥부(311)의 상부에 안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기계실(30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바닥부(311)는 상기 기계실(300)의 바닥면 보다는 면적이 작게 구비되고, 상기 다리미모듈(S)이 기계실(300)의 나머지 바닥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덕트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베이스바닥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340)는 상기 순환덕트(32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냉각하여 응축하는 증발기(341)와, 상기 증발기(341)에서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여 가열하는 압축기(343)와, 상기 압축기(343)에서 냉매를 공급받아 상기 순환덕트(320)를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340)는 상기 응축기(342)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하여 냉매의 온도를 떨어뜨리는 팽창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340)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덕트(320)에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되는 증발기(341)와, 상기 증발기(3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형성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되는 응축기(343)와, 상기 응축기(343)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를 공급하며 상기 순환덕트(320) 외부에 배치되는 압축기(343)와, 상기 응축기(343)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켜 냉각시키는 팽창밸브(3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341)와 응축기(342)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343)는 상기 순환덕트(32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증발기(341)와 응축기(342)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열교환기 설치부(3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는 상기 덕트바디(321)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바디(321)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바디(321)의 개구부를 통해 응축기(343) 및 증발기(341)가 투입되어 설치 수 있다.
상기 덕트바디(321)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의해 개구부가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커버(360)와 상기 덕트바디(321)는 순환유로(320)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덕트바디(321)의 전방면은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베이스바닥부(311)는 상술한 급수통(30) 또는 배수통(40) 및 외기덕트(370)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지지되는 지지면(3111)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바디(321)가 베이스부(310)에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열교환기 설치부(3212)의 높이도 더 길게이 확보될 수 있고, 응축기(343) 및 증발기(341)의 높이도 그만큼 더증가될 수 있다.
그 결과, 응축기(343) 및 증발기(341)의 전후방향의 폭을 축소할 수도 있어, 응축기 및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매배관의 수를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응축기 및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한편, 증발기(341) 길이와 응축기(343) 길이의 합은 열교환기 설치부(3212) 의 길이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의 전후방향 길이는 덕트바디(321)의 길이의 절반과 같거나 절반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부(350)는 응축기(343) 또는 증발기(341)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341) 및 응축기(343)를 통과한 공기는 유로의 꺾임 없이 상기 송풍부(350)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순환덕트(32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부(350)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유로의 꺾임이 없으므로 유동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의 길이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에 구비된 제어부 설치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리프레쉬모듈(T)은 상기 열공급부(340)와 상기 스팀공급부(800)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열공급부(340)와 상기 스팀공급부(800)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부피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베이스부(31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순환덕트(3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좌측 또는 우측 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제어부(7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어부설치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메인제어부(700)가 설치되는 제어부 설치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설치부(313)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순환덕트(3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순환덕트(320)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 설치부(313)는 순환덕트(320)의 하부에서 전방과 후방 중 어느 하나 개방된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외부전원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되머, 상기 압축기(343), 상기 스팀공급부(800), 상기 송풍팬(353) 등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모든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압축기(343), 상기 스팀공급부(800), 상기 송풍팬(353) 등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모든 구성을 제어하도록 구비되어, 의류를 처리하는 각종 코스 및 옵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700)가 상기 제어부설치부(312)에 삽입되어 지지되면, 상기 메인제어부(700)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700)가 리프레쉬모듈(T)을 구성하는 전장품과 가깝게 배치되므로 노이즈 등의 제어오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에 스팀공급부가 배치되며, 순환덕트(320)의 하부에는 메인제어부(700)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덕트(320)가 상기 스팀공급부(800)과 상기 메인제어부(700) 사이에서 직선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덕트(3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에 상기 순환덕트(320), 상기 외기덕트(370), 스팀공급부(800), 메인제어부(700), 열공급부(340)가 모듈 형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베이스부(310)가 상기 기계실(300)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인출입 되면서 용이하게 설치 및 유지보수 될 수 있다.
도8(a)는 상기 메인제어부(700)가 상기 제어부설치부(313)에 설치되는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PCB기판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를 위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어부설치부(313)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은 제어부 설치부(313)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 설치부(313)는 공기배출부(323) 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설치부(313)는 상기 베이스부(310)에 순환덕트(32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순환덕트의 하부에 함몰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제어부 설치부(313)에서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700)의 표면에는 제어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브라켓(3131) 더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3131)은 제어부의 상하에 배치되어 제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3131)은 메인제어부(700)에 열 또는 진동이 전달되어 메인제어부(700) 내부의 회로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라켓(3131)은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8(b)는 제어부 설치부에 제어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과 같이 메인제어부(700)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설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저수부(326)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메인제어부(700)의 상부에 물이 유출되는 경우 상기 물이 상기 메인제어부(700)를 신속하게 이탈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서포터(3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는 설치부의 양측면에서 돌출되는 리브(3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서포터(3132)는 상기 리브(3134)의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서포터(3132)는 메인제어부(700) 전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제어부의 서포터(3132)가 상기 리브(3134)의 상측에 지지되면,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리브(3134)는 베이스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3134)는 베이스부(310)가 사출 성형될 때 함께 성형되어 베이스바닥부(311), 순환덕트(320) 등의 구성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700)의 전방면에는 돌출 형성된 돌기(313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설치부(313)의 내측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는 가이드와 결합될 수 있다. 돌기는 가이드에 삽입될 수 있다. 제어부를 제어부 설치부에 인입할 때, 돌기를 가이드에 결합시키는 방식을 통해 제어부를 정위치에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의 양측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포터가 리브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과정을 이용하여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제어부를 제어부 설치부의 정위치에 결합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급배수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공급부(90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통(301)과 상기 순환덕트(320) 또는 다리미모듈(S)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배수통(3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통(301)과 상기 배수통(302)은 상기 기계실(300)에서 선택적으로 분리되어야 사용자가 용이하게 급수통(301)에 물을 충전하고, 배수통(302)에 수집된 물을 버릴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리프레쉬모듈(T)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통(301)과 상기 배수통(302)을 지지하는 착탈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부(380)는 상기 급수통(301) 및 상기 배수통(302)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착탈부(38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기계실(300)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부(380)의 하부에는 배수펌프(330) 등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착탈부(380)의 후방에는 순환덕트(3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일부가 상기 착탈부(380)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급수통(301)과 상기 배수통(302)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급수통(301)과 상기 배수통(302) 사이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다리미모듈(S)의 전후방향 길이를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배수통(302) 보다 상기 급수통(301)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급수통(301)에서 물을 용이하게 공급받아 가열하여 상기 스팀다리미(1300)에 전달할 수 있고, 상기 급수통(301)에서 물을 급수받는 구조를 간략하게 설계할 수 있고, 상기 구조가 차지하는 부피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10은 급수통에서 물을 공급받는 스팀공급부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베이스커버(36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상기 순환덕트(320)를 연통시키는 유입바디(361)와, 상기 유입바디(361)에서 연장되어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을 차폐하는 차폐바디(3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는 덕트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의 유입홀(231)과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는 상기 차폐바디(363) 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는 상기 증발기(341)와 상기 응축기(343)와 마주하지 않도록 상기 증발기(341)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공기를 상기 순환덕트(320)로 이동시키는 유입덕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는 내부에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입부(3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362)는 복수개로 구획되어 구비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구획에는 필터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바디(363)은 상기 증발기(341)와 상기 응축기(343)를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스팀공급부(800)를 지지하는 차단패널(3631)과, 상기 차단패널(3631) 또는 상기 유입바디(361)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팀공급부(8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3632), 상기 스팀공급부(800)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보호패널(36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패널(3632)의 외면에는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리브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이너케이스(200) 또는 기계실(300)에서 발생한 진동이나 충격이 상기 스팀공급부(8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물을 저장하는 스팀케이스(8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스팀케이스(810)를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고정할 수 있는 설치브라켓(8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베이스커버(360)에 결합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스팀케이스(81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하부패널(871)과 상기 하부패널(871)에서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면패널(8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하부패널(871)에서 단차지게 확장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패널(8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하부패널(871)은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바닥면 일부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 보다 하부에는 상기 압축기(34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 또는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스팀공급부(80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상기 압축기(343)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화재가 스팀공급부(800)로 전이되는 것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차폐바디(363)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공급부(8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36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631)는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하부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에 물이 다량으로 수용되어 있어도 상기 스팀케이스(810)는 안정적으로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케이스(810)가 상기 순환덕트(320) 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와의 거리가 더 짧아지므로, 상기 스팀케이스(810)에서 생성된 스팀이 이너케이스(200)에 도달하기전에 응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11는 상기 스팀공급부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스팀을 생성할 물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는 스팀케이스(810)와,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수용되어 상기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케이스(810)는 상부가 개구된 케이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부(840)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결합되어 상기 히터부(84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스커버(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820)는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850)와,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에 스팀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스팀센서(860)가 설치될 수 있다.
도12는 스팀공급부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팀케이스(810)는 상기 물을 저장하고 히터부(84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바디(8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바디(811)는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케이스바디(811) 내부에 각종 부품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바디(811)는 일측이 관통되어 상기 히터(840)가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는 히터삽입홀(8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바디(811)는 내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잔수관(8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수관(813)는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의 잔수를 제거할 때만 개방되도록 잔수마개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바디(811) 내부에는 상기 히터부(840)를 지지하거나 고정할 수 있는 히터고정부(812)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물을 공급받는 회수관(8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수관(824)는 상기 급수통(301)에 연통되어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되며, 상기 스팀노즐(900)을 통해 급수통(30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회수관(824)는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케이스(800)에 전체적으로 물이 저장될 수 있고, 상기 회수관(824)을 통해 물이 다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히터부(840)가 구동하여 발생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관(8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23)도 상기 케이스커버(820)의 상부에 구비되어 물이 스팀관(823)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23)는 상기 스팀노즐(9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850)는 상기 수위센서홀(854)에 삽입되어 물에 침지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하나이상의 접촉돌기를 구비하는 센서바디(851)와, 상기 센서바디(851)를 케이스커버(82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852)를 포함할 수있다.
상기 스팀센서(860)는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에 온도 또는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861)와, 상기 감지부(861)를 지지하는 지지판(862)과, 상기 지지판(862)를 케이스커버(820)에 고정하는 체결부재(86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결합되어 상기 히터부(840)를 고정하는 고정판(871)과, 상기 고정판(871)을 케이스커버(820)에 고정하는 결합부재(8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820)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결합될 수 있는 커버후크(8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부(840)는 상기 히터삽입홀(815)에 삽입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수용되며 전력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840)는 시스히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메인제어부(700)에 의해 구동과 정지가 반복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부(840)는 제1전력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는 제1히터(841)와, 제1전력 보다 더 작은 전력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는 제2히터(842)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히터(841)는 상기 제2히터(842) 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을 가열하여 더 많은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의류처리장치에서 히터부(840)에 허용되는 최대 히터전력량을 나누어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히터(841)가 최대 히터전력량의 일부를 소모하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제2히터(842)는 상기 최대 히터전력량의 나머지를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히터부(840)에 허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최대 히터전력량이 1500w 인 경우, 상기 제2히터(842)는 600w를 소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히터(841)는 880w를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20w는 오차 등을 고려하여 더 적게 배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히터부(840)는 3개 이상의 히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히터(841), 상기 제2히터(842), 상기 제3히터(843)를 포함하며, 상기 제1히터(841), 상기 제2히터(842), 상기 제3히터(843)는 최대 히터전력량을 나누어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히터부(340)가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로 구비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u자 형태의 금속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840)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를 고정하고 상기 히터관통홀(8111)을 실링할 수 있는 히터실러(8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같은 수위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발생하는 스팀량, 소모되는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13은 상기 스팀공급부에 물을 공급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은 상기 스팀관(823)을 통해 바로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팀관(823)을 통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스팀이 바로 공급되면,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수용된 물도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토출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가열된 물이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을 가열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가 열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스팀케이스(810)에서 발생한 스팀을 전달받아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공급하는 스팀노즐(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900)는 상기 스팀케이스(81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스팀케이스(810)에서 형성된 스팀만 공급받고,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수용된 물을 공급받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팀노즐(900)은 스팀케이스(810) 보다 상부에 배치되고, 스팀관(813)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생성된 스팀은 밀도 차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스팀관(833)을 따라 상기 스팀노즐(900)로 공급되고,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수용된 물은 중력에 의해 상기 스팀관(833) 또는 상기 스팀노즐(900)로 유입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9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과 상기 스팀케이스(8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스팀홀(233)에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급수통(301)에서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급수통(301)에 수용된 물을 상기 스팀공급부(800)에 공급하는 급수부(8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880)는 상기 급수통(301)에 공급되는 물을 스팀공급부(800) 또는 상기 스팀노즐(900)까지 공급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급수펌프(881)와, 상기 급수통(301)에 연통되어 상기 급수펌프(881)에 물을 전달하는 공급관(882)과, 상기 급수펌프(880)와 상기 스팀노즐(900)을 연결하는 연결관(88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관(882)은 상기 급수통(301)과 상기 급수펌프(881)를 연결하는 호스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결관(883)은 상기 급수펌프(881)에 결합되는 호스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급수통(301)에 수용된 물을 스팀케이스(810)가 아니라 상기 스팀노즐(900)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펌프(881)는 상기 스팀케이스(8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900)은 상기 연결관(883)을 통해 물을 공급받은 다음 급수관(884)을 통해 상기 스팀공급부(8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884)는 회수관(82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900)은 상기 스팀케이스(810) 보다 상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스팀노즐(900)에 공급된 물은 자동으로 급수관(884)을 통하여 상기 스팀케이스(81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900)로 스팀이 유입되는 스팀관(823)과, 상기 스팀노즐(900)에서 물이 배출되는 회수관(824)은 별개의 유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노즐(900)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스팀케이스(810)에서 공급되는 스팀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관(884)은 U자 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관(884)의 양단 보다 중간영역이 높이가 낮게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급수관(884)에 워터 트랩과 같은 물이 일정 고여 있을 수 있어, 상기 급수관(884)을 통해 상기 스팀케이스(810)에서 공급되는 스팀이나 물이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케이스(810)는 상기 급수펌프(881)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유입된 물이 상기 급수펌프(881)로 역류할 가능성도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펌프(810)를 통해 상기 스팀노즐(900)로 다량의 물이 상당한 압력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팀노즐(900)에 적체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번식되는 세균 등은 상기 스팀노즐(900)로 공급되는 물에 씻겨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로 내려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노즐(900)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노즐(900)에서 공급된 스팀이 응축되면 응축된 물은 상기 급수관(884)을 통해 상기 스팀케이스(810)로 재유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팀노즐(900)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상기 급수펌프(800)에서 공급되는 물의 이동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스팀케이스(810)로 회수될 수 있고,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물로 재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급수통(301)의 수위가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의 낭비도 방지할 수 있다.
도14은 상기 스팀노즐의 유로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팀노즐(900)은 상기 스팀케이스(810)에서 스팀을 공급받거나, 상기 급수펌프(881)에서 물을 공급받아 수용할 수 있는 공급용기(9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용기(910)는 물 또는 스팀을 전달받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883)은 상기 공급용기(910)의 바닥면 보다 높은 곳에서 상기 공급용기(91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공급용기(910)의 측면에 상기 상기 연결관(883)은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공급용기(910)로 공급된 물이 상기 연결관(883)로 역류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883)은 상기 회수관(824) 보다 높은 곳에서 상기 공급용기(9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회수관(824)은 일단이 상기 공급용기(910)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급수관(883)에 공급된 물을 자동으로 상기 회수관(824)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관(824)는 내부에 일정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U자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수관(824)은 상기 급수관(883)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급수관(883)으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공급용기(810)에 잔류하지 않고 신속하게 상기 스팀케이스(810)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관(823)은 일단이 상기 공급용기(9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상단 또는 스팀커버(8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케이스(810)에서 발생한 스팀이 밀도차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공급용기(91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23)은 상기 공급용기(910)에서 상기 회수관(815) 보다 높은 곳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관(823)은 상기 회수관(824) 보다 상기 급수관(883)에 더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공급용기(910)로 공급된 물이 상기 스팀관(823)으로 역류되지 않고 상기 회수관(824)으로 더 많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23)은 스팀호스(885)를 통해 상기 공급용기(910)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급용기(910)의 바닥면은 상기 회수관(824)이 구비된 부분이 낮고 상기 스팀호스(885)에 결합된 부분이 더 높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위해, 상기 공급용기(910)의 바닥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거나,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900)은 상기 공급용기(9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용기커버(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커버(920)는 상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스팀분사홀(9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분사홀(921)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용기(910)는 상부가 개구된 상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용기커버(920)는 상기 공급용기(910)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23)을 통해 공급된 스팀은 상기 스팀분사홀(921)을 통해 배출되어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13)은 상기 스팀분사홀(921)과 상기 공급용기(91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분사홀(921)은 상기 급수관(883)과 상기 스팀관(8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회수관(824)과 상기 스팀관(8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분사홀(921)로 배출되지 못하고 응축된 스팀은 상기 공급용기(910) 내부에 잔류하지 않고 상기 회수관(824)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분사홀(921)은 상기 용기커버(920)의 너비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용기(910)는 상부가 개구되어 구비되므로, 내부에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물을 설치하기 유리할 수 있고, 상기 용기커버(920)는 하부에 다양한 구조물을 설치하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900)은 상기 용기커버(920)와 상기 공급용기(910)를 결합하는 체결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분사홀(921)을 기준으로 상기 급수관(883)과 상기 회수관(824)은 상기 공급용기(9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관(823)은 상기 공급용기(910)의 타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급수관(883)과 상기 회수관(824)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스팀관(823)은 상기 회수관(8245) 보다 상기 급수관(883)에서 더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급수관(883)으로 이동하는 물은 I방향을 따라 상기 공급용기(91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급용기(910)에 공급되는 물은 즉시 II방향을 따라 회수관(824)으로 배출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23)에서 공급되는 스팀은 III 방향을 따라 상기 공급용기(910)로 공급되어 상기 스팀분사홀(921)로 배출될 수 있고, 응축된 물은 II방향을 따라 회수관(824)으로 배출되어 스팀케이스(810)에 재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급용기(910)는 상기 급수관(883)과 결합되어 물을 공급받는 투입관(912)과, 상기 스팀호스(883)에 결합되어 스팀을 공급받는 호스관(9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1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배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압축기(343)와 상기 송풍팬(352)이 구동하면, 상기 캐비닛(100)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와 상기 이너케이스(200)에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341)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증기는 응축된다.
상기 증발기(341)에서 응축된 물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하부면에 고일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증발기(341)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덕트바디(321)의 바닥면 중 일부가 함몰되어 구비되는 저수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부(326)는 상기 덕트바디(321)의 바닥면 중이 함몰되어 구비된 공간이며, 상기 제어부설치부(313)의 일측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저수부(326)은 순환덕트(320)의 바닥면에서 하부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수부(326)는 상기 순환덕트(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를 상기 베이스부(310)에 사출성형하면서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 일부를 함몰되게 성형하여 상기 저수부(326)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저수부(326)는 상면 중 적어도 일부가 열교환기 설치부(313)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저수부(326)에 수집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안내관(32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관(3263)은 상기 저수부(362)의 하부에서 상기 순환덕트(320)의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관 (3263)은 상기 저수부에 저장된 물을 베이스부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저수부(326)에 수집된 물이 부패하거나 다시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덕트바디(321)의 내면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상기 격벽(3211)을 구비한다. 상기 격벽(3211)은 순환덕트(320)의 내벽에서 내부로 돌출되거나, 순환덕트(320)의 외벽이 내부로 함몰형성되어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격벽(3211)은 열교환기(341,343)이 설치되는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으며, 열교환기에 진입하는 공기가 열교환기를 우회하여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격벽(3211)은 상기 저수부(326)에 구비될 수 있다.
도1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배수통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배수통(302)는 물을 저장하는 상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통(302)는 배면에 물을 공급받는 공급홀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공급홀은 상기 배수통(302)의 바닥면 보다 상단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착탈부(380)는 상기 배수통(302)과 상기 급수통(301), 상기 다리미모듈(S) 중 하나 이상이 지지될 수 있는 하중지지부(381)와, 상기 하중지지부(381)에서 상기 순환덕트(3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통(302)과 상기 급수통(301)이 안착될 수 있는 착탈지지부(3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지지부(381)는 판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급수통(301), 상기 배수통(302)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착탈지지부(382)도 판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급수통(301)과 상기 배수통(302)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탈부(380)는 상기 급수통(301)과 상기 배수통(302)을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중지지부(381)에서 돌출되는 착탈분리부(3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분리부(383)는 상기 급수통(301)과 상기 배수통(302)를 일정간격 이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급수통(301)과 상기 배수통(302) 중 어느 하나가 인출될 때 상기 급수통(301)과 상기 배수통(202) 중 나머지 하나를 임의로 인출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순환덕트(320)에 응축된 물을 배수통(302)으로 수집하는 배수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330)는 상기 안내관(3263)에서 물을 공급받는 배수펌프(331)와 상기 배수펌프(331)에서 물을 전달받아 배수통(301)으로 안내하는 배수호스(3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배수부(330)는 상기 배수호스(333)와 상기 배수통(301)을 연통하는 배출관(3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334)은 상기 배수호스(333)에서 물을 공급받아 상기 배수통(302)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관(334)는 배수호스(333)에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배수호스(333)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배수통(302) 내부에 물이 만수위가 되어도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배출관(334)을 상기 순환덕트(320)에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배출관(334) 또는 배수통(301)에서 역류하는 물을 다시 내부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순환덕트(320)와 저수부(326)가 일시적으로 배수통(302)의 역할을 수행하여 저수용적을 확대할 수 있다. 그 결과, 배수통(302) 외부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착탈부(380)는 상기 배수호스(333)와 상기 배수통(302)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착탈지지부(382)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착탈연통부(3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연통부(384)는 상기 배수통(301)이 상기 하중지지부(381)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배수통에 구비되는 공급홀과 마주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334)은 상기 순환덕트(320)에서 연장되어 구비되거나, 상기 착탈부(380)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334)는 사출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출관(334)은 상기 배수호스(333)의 말단을 안정적으로 고정할수 있고, 배수호스(333)가 급격하게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334)는 상기 순환덕트(320) 또는 상기 지지대(380)에 고정되는 파이프 형상의 사출물로 구비되어 설치위치가 항상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출관(334)의 말단과 상기 배수통(302)에 구비되는 공급홀이 항상 정위치로 배치되어 상기 배수펌프(331)에서 공급되는 응축수는 상기 배수통(302)으로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배수통(302) 내부에 수용된 물을 다시 순환덕트(320) 또는 잔수처리부(330)로 역류하도록 허용하는 역류부(3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류부(335)은 상기 배출관(334)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순환덕트(320)와 상기 배수통(302) 내부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역류부(335)는 상기 배수통(302) 내부의 물을 안내받아 순환덕트(320)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역류부 구조를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내부에 상기 증발기(341)와 상기 응축기(343)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발기(341)는 상기 순환덕트(320)에서 상기 응축기(343)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역류부(335)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역류부(335)에서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증발기(341) 등에 접촉되면 상기 증발기(341)가 불필요하게 부식 또는 오염될 수 있고, 상기 증발기(341)가 공기를 냉각하는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역류부(335)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증발기(341)를 향하는 공기를 따라 상기 증발기(341)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증발기(341)는 상기 역류부(335) 보다 상기 순환덕트(320)의 후방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역류부(335) 또는 상기 배출관(334)은 상기 착탈연통부(384)를 관통하여 상기 순환덕트(320)의 전방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배수통(302)이 상기 착탈지지부(382)에 안착되면, 상기 역류부(335) 또는 상기 배출관(334)의 말단은 상기 배수통(302)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배수펌프(331)를 통해 순환덕트(320) 외부로 토출된 물은 상기 배수호스(333)와 상기 배출관(334)을 따라 상기 배수통(302)에 수집될 수 있다.
상기 배수통(302)의 수위가 상기 배출관(334) 또는 상기 역류부(335)까지 도달하면, 상기 역류부(335)를 넘치는 물은 상기 역류부(335)를 따라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로 다시 유입되어 기계실(300) 외부로 누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안내유로(338)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전면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유로(338)의 일단은 상기 역류뷰(335)와 연통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저수조(326)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역류뷰(335)에서 유입되는 물을 상기 안내유로(338)로 안내하는 차단벽(3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18은 이너케이스의 바닥면의 하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바닥면(230)은 유입홀(232)을 통해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를 순환덕트(320) 내부에 유입시킬 수 있고, 상기 배출홀(231)을 통해 순환덕트(320)를 통과하면서 제습 및 가열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스팀홀(233)을 통해 스팀공급부(800)에서 공급된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만, 상기 바닥면(230)은 상기 관통홀들 외에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와 수분, 이물질이 상기 기계실(300)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 전방에는 착탈부(380)가 구비되어 외부 공기나 수분, 이물질이 상기 기계실(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기계실(300)에 상기 다리미모듈(S)을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다리미모듈(S)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와 수분, 이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300)은 전체 구성이 상기 바닥면(230) 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독립적으로 배치 및 설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기계실(300)은 모듈로 제작되어 캐비닛(1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기계실(300)에 모듈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리미모듈(S)도 상기 기계실(300) 및 상기 캐비닛(100) 내부 구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기계실(300)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다리미모듈(S)이 구비되지 않은 제품이라고 하더라도, 추후에 상기 다리미모듈(S)이 상기 기계실(3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기계실(300)의 양측면 중 일측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순환덕트(320) 등의 기존 구성과 간섭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의류에 열과 스팀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는 스팀다리미(1300)를 기계실(300)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보관모듈(1000)와, 상기 스팀다리미(1300)에 공급되는 열과 스팀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가열모듈(20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0)은 상기 보관모듈(13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관모듈(1000)은 상기 기계실(300) 전방에 노출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의류에 접근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탈부(380)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가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서 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지지하는 통과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보관모듈(1000)과 상기 가열모듈(2000)을 지지하는 베이스모듈(3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모듈(3000)은 상기 보관모듈(1000)과 상기 가열모듈(200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보관모듈(1000)과 상기 가열모듈(2000)의 위치 및 연결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모듈(3000)은 상기 베이스(310) 또는 캐비닛의 바닥면 보다 소정 높이 이상으로 상기 보관모듈(1000)과 상기 가열모듈(2000)을 배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보관모듈(1000)과 상기 가열모듈(2000)에 응축된 물이나 잔수가 중력에 의해 저절로 배출될 수 있고, 상기 보관모듈(1000)과 상기 가열모듈(2000)이 진동이나 충격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관모듈(1000)과 상기 가열모듈(2000)은 상기 베이스모듈(3000)에 장착되어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관모듈(1000)과 상기 가열모듈(2000)이 상기 기계실(300)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면 상기 베이스모듈(300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19는 상기 다리미모듈의 구조를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리미모듈(S)은 의류의 표면에 열과 스팀을 직접 공급할 수 있는 스팀다리미(1300)가 보관되는 보관모듈(1000)과, 상기 스팀다리미(1300)에 열과 스팀을 공급하는 가열모듈(2000), 상기 보관모듈(1000)과 가열모듈(2000)을 지지하는 베이스모듈(30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관모듈(1000)과 상기 가열모듈(2000), 상기 베이스모듈(3000)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각각 따로 제작되어 서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보관모듈(1000)과 상기 가열모듈(2000), 상기 베이스모듈(3000)이 독립적인 모듈로 구비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관모듈(1000)과 상기 가열모듈(2000), 상기 베이스모듈(3000)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상기 기계실(3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전체 다리미모듈(S) 보다 부피가 작은 상기 보관모듈(1000)과 상기 가열모듈(2000), 상기 베이스모듈(3000)이 상기 기계실(300)에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다리미모듈(S)이 상기 기계실(300)에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모듈(1000)과 상기 가열모듈(2000), 상기 베이스모듈(3000) 중 어느 하나가 파손,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특정 모듈만 교체하거나 수리하면 되므로, 상기 다리미모듈(S)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보관모듈(1000)은 상기 의류에 접근하여 상기 의류에 열과 스팀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할 수 있는 스팀다리미(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의류와 마주하는 표면이 열을 전달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의류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의류의 구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의류와 마주하는 표면에 스팀이 분사되는 분사홀이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표면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여 상기 의류의 구김제거 뿐만 아니라, 상기 의류의 살균, 탈취 등의 리프레쉬 행정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자체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열과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가열모듈(2000)로부터 열과 스팀 중 하나이상을 공급받아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스팀다리미(1300)가 열과 스팀 중 하나 이상을 공급받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스팀다리미(1300)의 무게 및 부피가 절감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거치부 또는 고정부에 거치된 의류의 표면까지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보관모듈(1000)은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수용하는 하우징(1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0)은 내부에 스팀다리미(1300)를 보관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0)은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스팀다리미(1300)가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서 임의로 보관되는 위치가 가변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0)의 너비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의 너비 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200)의 길이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의 길이 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하우징(1200)의 너비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의 너비보다 약 1~3cm 정도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하우징(1200)의 너비는 스팀다리미(1300)의 너비보다 5cm 이상으로 크게 구비되지는 않을 수 있다. 이는 스팀다리미(1300)가 상기 하우징(1200)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진동하거나 움직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0)은 전후방향의 길이가 좌우방향의 너비보다 길고, 상하방향의 높이가 좌우방향의 너비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하우징(1200) 내부에 안정적으로 투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0)은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수용하는 하우징바디(1210)와, 상기 하우징바디(12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다리미(1300)가 인출될 수 있는 개방면(1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바디(1210)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상기 기계실의 상부, 양측면, 후방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바디(1210)는 상기 개방면(1220)을 통해서만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수용하고 인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으로만 노출되고, 다른 방향으로는 노출되거나 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개방면(1220)은 상기 하우징바디(1210)의 전방 전체를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티다리미(1300)가 인출되고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면, 상기 하우징바디(1210)의 전방면 중 일부만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보관모듈(1300)은 상기 하우징(1200)의 전방으로 상기 스팀다리미(1300)을 노출시키는 인출부(1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부(1100)는 상기 하우징(1200) 내부에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인출부(1100)에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1200)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1100)은 상기 하우징(1200)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스팀다리미(1300)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하우징(1200)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1100)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상기 하우징(1200)의 전방으로 인출하여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상기 기계실(300) 또는 상기 착탈부(380)의 전방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하우징(1200)에 상기 스팀다리미(1300)가 보관되어 있어도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용이하게 상기 기계실(30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1100)는 상기 하우징(1200)에서 전방으로 인출되는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하우징(1200)의 전방에서 전방으로 회전되어 열리는 해치형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인출부(1100)는 상기 하우징(1200) 내부에서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보관하면서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상기 하우징(1200)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인출부(1100)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가 장착되는 지지부(1120)와, 상기 지지부(112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개방면(1220)을 차폐하는 커버(1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20)는 상기 하우징(1200)에 수용되어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20)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수용하는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스팀다리미(1300)의 하부를 지지하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120)는 상기 하우징바디(1210)에 수용되어 상기 개방면(1220)으로 인출입되는 드로워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120)가 상기 개방면(1220)에서 인출되면 상기 지지부(1120)에 장착된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하우징(120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1120)가 상기 개방면(1120)에 삽입되면 상기 지지부(1120)에 장착된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하우징(1200)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1110)는 상기 지지부(1120)의 전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개방면(1220)을 차폐하는 커버패널(1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패널(1130)은 상기 개방면(1220)으로 상기 하우징바디(1210) 내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하우징바디(1210)에 수용된 스팀다리미(1300) 뿐만 아니라, 상기 다리미모듈(S) 내부 전체가 이물질, 스팀, 공기에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커버패널(1130)은 상기 착탈부(380)에서 상기 인출부(1110)가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관통홀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관통홀로 인해 상기 기계실(300) 내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 이물질, 스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가 커버패널(1130)의 면적은 상기 지지부(1120)의 전방면 면적 보다 더 넓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패널(1130)의 면적과 형상은 상기 착탈부(380)에서 상기 다리미모듈(S)이 노출되는 공간을 전부 차폐할 수 있는 면적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패널(1130)의 너비는 상기 지지부(1120)의 너비 또는 상기 개방면(1220)의 너비와 동일할 수 있고, 상기 커버패널(1130)의 높이는 상기 지지부(1120)의 높이보다는 높고 상기 개방면(1220)의 높이와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커버패널(1130)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1150)와, 상기 함몰부(1150)의 상부에 배치되는 인출핸들(11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1100)는 상기 지지부(1120)의 하부에 상기 지지부(1120)가 좌우로 이동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홈(11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1110)은 상기 하우징바디(1210) 내부에 구비되는 레일이나, 상기 베이스모듈(30000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바디(1210)에 삽입되는 레일(330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1110)이 상기 레일(3300)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인출부(1100) 전체는 상기 개방면(1220)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바디(1210)는 배면 하부에 상기 레일(33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바디(1210)는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가열모듈(2000)에서 연장되는 케이블(1400)이 통과할 수 있는 개방홀을 구비할 수 도 있다.
상기 삽입홀과 상기 개방홀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삽입홀과 상기 개방홀로 상기 스팀다리미(1300)가 인출되거나 노출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삽입홀과 상기 개방홀은 상기 지지부(11120) 또는 스팀다리미(1300) 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0)은 상기 스팀다리미(1300)에 열과 스팀을 공급하는 가열생성부(2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생성부(2100)는 전력을 공급받아 전선을 가열하여 상기 케이블(1400)을 통해 상기 스팀다리미(1300)에 전달할 수도 있고,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한 뒤 상기 케이블(1400)을 통해 상기 스팀다리미(13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가열생성부(2100)는 전력과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생성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생성부(2100)는 기계실(300)에 안착된 스팀공급부(80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생성부(2100)는 물과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생성부(2100)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까지 스팀을 공급하고, 상기 스팀다리미(1300)까지 공급된 스팀이 의류에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스팀공급부(800) 보다 더 고압의 스팀을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생성부(2100)는 전력을 공급받는 커넥터(2800)가 결합될 수 있고, 내부에 발생한 스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생성부(2100)는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가열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스팀생성부(2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스팀용기와, 상기 스팀용기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가열하는 스팀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모듈(2000)은 상기 스팀생성부(2100) 내부의 압력을 높여 고압의 스팀을 생성하도록 유도하는 고압펌프(22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0)은 상기 보관모듈(1000)과 달리 상기 기계실(300)에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모듈(2000)은 상기 기계실(300)에 설치되면,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가열모듈(2000)은 상기 베이스모듈(3000)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0)은 전체 구성이 상기 보관모듈(1000) 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보관모듈(1000)이 상기 기계실(300) 전방에 노출되는 것, 상기 스팀다리미(1300)가 상기 기계실 전방으로 인출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모듈(1000)이 상기 기계실(300) 후방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0)은 상기 베이스모듈(3000) 또는 베이스부(310)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0) 전체 구성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가열모듈(2000)은 가열케이스(2700)에 전체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가열케이스(2700)는 전방에 상기 케이블(1400)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면을 구비할 수 있고, 양측면과 상부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상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케이스(2700) 내부에 상기 가열모듈(2000)의 대부분의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모듈(2000)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모듈(3000)은 상기 베이스부(310)와 나란하게 구비되는 베이스패널(3200)과, 상기 베이스패널(3200)에서 연장되어 상기 보관모듈(1000)과 상기 가열모듈(2000)이 안착되는 안착패널(3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패널(3200)은 상기 베이스부(310)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다리미모듈(S)이 순환덕트(320)와 독립적인 모듈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패널(3200)은 상기 베이스부(31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패널(3100)은 상기 보관모듈(1000)과 상기 가열모듈(2000)의 하부를 고정하되, 상기 보관모듈(1000)과 상기 가열모듈(2000)을 상기 베이스패널(3200)에서 일정높이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보관모듈(1000) 및 상기 가열모듈(2000)과 베이스패널(3200) 사이에 상기 케이블(1400) 또는 상기 가열모듈(2000)에 연결되어 가열모듈(200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조, 상기 가열모듈(2000)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조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안착패널(3100)로 인해, 상기 보관모듈(1000) 및 상기 가열모듈(2000)이 상기 배수구조 보다 상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보관모듈(1000) 및 상기 가열모듈(2000)에 형성되는 응축수 또는 잔수는 별도의 동력부재 없이도 상기 배수구조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패널(3100)은 상기 베이스패널(3200)의 양측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모듈(3000)은 상기 안착패널(310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인출부(1110)를 인출시키는 레일(3300)이 결합될 수 있다.
도20은 상기 가열모듈(2000)에 급배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0
상기 스팀생성부(2100)가 스팀을 생성하여 스팀다리미(1300)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물을 공급받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팀생성부(2100)은 급수원에 연결되어 물을 스팀생성부(2100)에 공급하는 고압펌프(2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압펌프(2200)는 급수통(301)과 연통되어 상기 급수통(301)에서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압펌프(2200)는 상기 급수통과 다른 별도의 급수원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상기 스팀생성부(2100)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압펌프(2200)는 단순히 물을 상기 스팀생성부(2100)에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스팀생성부(2100) 내부의 압력을 높이면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생성부(2100) 내부가 대기압 보다 높은 상태에서 물이 가열되어 고압 스팀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생성부(2100)는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230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압력센서(2300)와 스팀생성부(21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커넥터(28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2300)는 상기 스팀생성부(2100) 압력이 기준압력보다 낮을 경우 상기 고압펌프(2200)를 더 구동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스팀생성부(2100) 압력이 기준압력보다 높을 경우에는 스팀생성부(2100) 내부에 물 또는 스팀이 배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기준압력은 대기압보다 2bar 내지 3 bar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팀생성부(2100)는 베이스모듈(3000)에 안착되어 체결부재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고압펌프(2200)도 베이스모듈(300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0)은 상기 고압펌프(2200)와 상기 스팀생성부(2100)을 연결하는 펌프연결관(25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연결관(2540)은 고무호스 등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구비되어 고압의 물을 상기 스팀생성부(2100)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고압펌프(2200)는 물을 공급받아 배출하는 펌프배출관(2210)과, 상기 펌프배출관(2210)에서 연장되어 물을 상기 펌프연결관(2540)으로 공급하는 펌프공급관(2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공급관(2211)은 다양한 압력의 물 또는 고압의 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펌프배출관(2210)에서 분지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펌프연결관(2540)도 일단은 단일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나 타단은 상기 펌프공급관(2211)에 결합되도록 복수의 분지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구조(2500)는 상기 급수원에서 상기 스팀생성부(2100) 또는 고압펌프(220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연결관(2510)과, 상기 고압펌프(2200)에서 상기 물을 스팀생성부(2100)로 공급하는 분지공급관(25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생성부(2100)가 작동을 중단하거나, 상기 스팀생성부(2100)에서 발생한 스팀이 응축되어 물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스팀생성부(2100) 내부에 물을 배출하는 배수장치(2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장치(2400)는 펌프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단순한 밸브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배수장치(2400)는 상기 스팀생성부(2100) 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생성부(2100)에서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조(2600)는 상기 스팀발생부(2100)에서 응축되거나 상기 배수장치(2400)에 수집된 물을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조(2600)는 상기 배수장치(2400)에서 연장되는 배수연결관(2610)과, 상기 배수연결관(2610)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장치(2400)에서 배출되는 물을 배수통(302)으로 안내하는 투입관(2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장치(2400)는 상기 급수구조(2500)와 상기 배수구조(2600)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생성부(2100)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구조가 일원화 되어 유로가 단순해지고, 공간이 절약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치연결관(2520)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배수장치(2400)로 전달될 수 있고, 상기 배수연결관(2610)은 상기 장치연결관(2520)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장치(2400)는 상기 배수연결관(2610)과 상기 장치연결관(2520)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수장치(2400)가 상기 상기 배수연결관(2610)과 상기 장치연결관(2520) 중 하나이상을 잠그면 상기 펌프연결관(2540)에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장치연결관(2520)을 지나 스팅생성부(21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배수장치(2400)가 상기 상기 배수연결관(2610)과 상기 장치연결관(2520)를 모두 개방하면, 상기 스팀생성부(2100)에 수집되거나 응축된 물은 상기 배수연결관(2610)으로 전부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장치연결관(2520)은 상기 스팀생성부(2100)에 물을 공급하는 유로와 상기 스팀생성부(2100)에서 물이 배출되는 유로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배수장치(2400)는 후술하는 독립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21은 상기 급수구조와 상기 급수부가 연통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기계실(300)의 구조와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별도로 설치되지만, 상기 기계실(300)에 구비되는 급수부(880)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다리미모듈(S)이 급수통(301)에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리미모듈(S)이 별도의 급수원에 연결되거나, 추가적인 급수통이 배치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하나의 급수통(301)을 통해 이너케이스(200) 내부와 스팀다리미(1300)에 모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공급부(800)가 구동할 경우에는 스팀생성부(2100)는 구동하지 않고, 스팀생성부(2100)가 구동할 때는 상기 스팀공급부(800)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급수통(301)에 수용된 물을 선택적으로 상기 스팀공급부(800)와 상기 스팀생성부(2100)에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전환밸브(8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밸브(890)는 상기 급수펌프(881)와 상기 공급관(88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메인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전환밸브(890)는 3방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닫힘, 상기 리프레쉬모듈(T)이 구동 중 하나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전환밸브(890)은 상기 급수통(301)과 상기 급수펌프(881)를 연통하고, 상기 급수통(301)과 상기 급수구조(2500)는 연통을 차단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개방, 상기 리프레쉬모듈(T)이 작동 종료 중 하나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전환밸브(890)은 상기 급수통(301)과 상기 급수펌프(881)의 연통을 차단하고, 상기 급수통(301)과 상기 급수구조(2500)는 연통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전환밸브(890)가 상기 급수통(301)과 상기 급수구조(2500)를 연통하면, 상기 급수연결관(2510)은 상기 급수통(301)의 물을 공급받아 고압펌프(22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급수연결관(2510)은 일단이 상기 급수(250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압펌프(2200)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환밸브(890)는 유로를 변경하는 밸브가 아닌 단순한 T자형 관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급수펌프(881)가 구동하지 않고 상기 고압펌프(2200)만 구동하는 경우, 음압에 의해 상기 급수통(301)에 물은 상기 고압펌프(22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고압펌프(2200)에 유입된 물은 상기 펌프연결관(2540) 등을 통해 상기 스팀생성부(210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펌프(881)가 구동하고, 상기 고압펌프(2200)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 음압에 의해 상기 급수통(301)에 물은 상기 급수펌프(881)에 공급되어 연결관(833)을 따라 이동하여 스팀공급부(80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전환밸브(890)가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는 지와 무관하게, 상기 스팀생성부(2100)가 구동하여 스팀이 생성되면 상기 스팀은 상기 케이블(1400)을 따라 상기 스팀다리미(1300)로 전달되어 상기 스팀다리미(1300)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900)이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라면, 상기 급수펌프(88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상기 스팀노즐(900)에 공급된 후 상기 스팀공급부(800)로 공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급수통(301)에 수용된 물로 상기 스팀공급부(800)와 상기 스팀생성부(2100)에 모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다리미모듈(S)을 위해 별도의 급수통이 설치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도22은 상기 배수구조와 상기 배수부가 연통할 수 있는 전제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배수구조(2600)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저수조(260)로 안내하는 유입관(3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관(3264)이 구비되는 방향과, 상기 안내관(3263)이 구비되는 방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안내관(3263)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전방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3264)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3264)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측면 중 상기 저수조(326)의 측면에 해당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3264)은 상기 저수조(326) 내부와 상기 순환덕트(320)의 외부를 연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순환덕트(320)의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3264)은 상기 저수조(326)의 바닥면 또는 상기 안내관(3263) 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조(2600)가 상기 유입관(3264)으로 물을 배출하면, 물은 저수조(326)에 수집되고, 상기 안내관(3263)으로 배출되어 상기 배수부(330)와 연통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다리미모듈(S)을 위한 별도의 배수통을 생략할 수 있다.
도23은 상기 배수구조와 상기 배수부가 연통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기계실(300)의 구조와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별도로 설치되지만, 상기 순환덕트(320)를 통해 상기 리프레쉬모듈(T)의 배수부(330)와 연통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다리미모듈(S)은 배수통(302)으로 잔수를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리미모듈(S)이 추가적인 배수통(302)을 구비하거나 별도의 하수구와 연결되는 구조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하나의 배수통(302)으로 순환덕트(320)에 수집된 잔수와 상기 다리미모듈(S)에서 수집된 잔수를 모두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배수통(302)의 물을 버림으로써, 상기 순환덕트(320)와 상기 다리미모듈(S)에서 수집된 물을 모두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배수구조(2600)는 상기 순환덕트(320)를 통해 상기 배수부(330)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조(2600)는 배수장치(2400)에 연결되는 배수연결관(2610)과, 상기 배수연결관(2610)에서 연결되어 상기 배수부(330)에 연통하는 투입관(2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관(2620)은 상기 유입관(326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팀생성부(2100)에 응축된 물 및 잔수는 상기 배수장치(2400)에 수집될 수 있다. (II 방향) 상기 스팀다리미(1300)에서 응축된 물은 상기 케이블(140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스팀생성부(2100)를 통해 상기 배수장치(2400)에 수집될 수 있다.(I 방향) 상기 배수장치(2400)에 수집된 물은 상기 투입관(2620)을 따라 상기 유입관(326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통(302)에 수집될 수 있다. (III 방향) 즉, 상기 배수펌프(331)이 구동하면 음압에 의해 상기 배수장치(2400)에 수집된 물은 상기 배수통(302)에 수집될 수 있다.
상기 투입관(2620)은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수장치(2400)에 수집된 물은 전부 순환덕트(320) 내부에 수집된 후 상기 안내관(3263)을 통해 상기 배수펌프(331)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배수장치(2400)에 수집된 물이 다량이거나, 상기 배수장치(240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다량이라고 하더라도,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수집될 수 있어 상기 기계실(300) 외부로 물이 넘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장치(2400)는 상기 베이스모듈(3000)에 장착되어 상기 투입관(2620)의 말단 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배수장치(2400)가 특별한 동력을 발생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배수장치(2400)에 수집된 물을 상기 투입관(2620)을 따라 상기 저수조(326)에 수집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331)가 구동하면 상기 저수조(326)에 수집된 물은 배수통(302)에 저장될 수 있다.
도24은 본 발명 다리미모듈(S)이 기계실에 설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리미모듈(S)은 상기 기계실(300)이 이미 구비된 캐비닛(100)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기계실(300)에 순환덕트(320)와, 열공급부(340), 스팀공급부(800), 급수부(880), 배수부(330), 송풍부(350) 등이 전부 설치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상기 다리미모듈(S)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래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상기 다리미모듈(S)이 설치되지 않고 판매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다리미모듈(S)을 별도로 구매하여 상기 기계실(300)에 다리미모듈(S)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다리미모듈(S)이 설치된 의류처리장치와 상기 다미리모듈(I)이 생략된 의류처리장치가 독립적으로 생산될 수 있고, 다리미모듈(S)이 생략된 의류처리장치에 상기 다리미모듈(S)만 별도로 제작하여 장착할 수 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으며, 다리미모듈(S)이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작하기 위해 별도의 의류처리장치 모델을 설계, 제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24(a)를 참조하면,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는 다리미모듈(S)이 설치되는 공간(S)가 배치되고, 상기 다리미모듈(S)이 생략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공간(S)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S)은 급수통(301)과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S)은 상기 순환덕트(320) 외부에서 전후방향이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 또는 상기 베이스부(310)이 너비는 상기 기계실(300) 전체의 너비 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의 너비는 상기 순환덕트(320) 및 베이스부(310)이 너비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간(S)의 너비는 상기 다리미모듈(S)의 너비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착탈부(380)는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을 차폐하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착탈부(380)는 상기 다리미모듈(s)이 관통하거나 상기 스팀다리미(1300)가 인출입할 수 있는 관통홀(3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85)은 상기 급수통(30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24(b)를 참조하면, 상기 다리미모듈(S)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착탈부(380)를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공간(S)을 상기 기계실(300) 전방에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의 후방은 캐비닛(100)의 배면패널에 차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300)의 양측면은 모두 차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S)과 마주하는 캐비닛(100)의 측면패널만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기계실(S)은 상기 공간(S)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바닥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패널은 상기 베이스부(310)을 캐비닛(100)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24(c)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모듈(3000)에 상기 가열모듈(2000)이 상기 기계실(300) 외부에서 장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베이스모듈(3000)과 상기 가열모듈(2000)이 동시에 상기 기계실(300) 전방으로 투입되어 상기 공간(S)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모듈(3000)은 상기 바닥패널 또는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모듈(3000)이 상기 기계실(300) 전방으로 투입되어 상기 공간(S)에 안착되고, 이후 상기 가열모듈(2000)이 상기 기계실(300) 전방으로 투입되어 상기 베이스모듈(3000)에 안착될 수 있다.
도24(d)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모듈(3000)과 상기 가열모듈(2000)이 상기 공간(S)에 안착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열모듈(2000)을 급수부(880)와 배수부(330)에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모듈(2000)을 상기 메인제어부(700) 또는 전원공급부에 연결할 수 있다.
도24(e)를 참조하면, 상기 보관모듈(1000)이 상기 기계실(3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관모듈(1000)은 전체가 상기 기계실(300) 외부에 조립되어 일체로 상기 기계실(300)에 투입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편의에 따라 상기 보관모듈(1000)은 단계적으로 상기 기계실(300)에 투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0)은 상기 기계실(300)에 전방에 투입되어 상기 베이스모듈(3000)에 장착될 수 있다.
도24(f)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200)은 상기 베이스모듈(3000)에 장착될 수 있다.
도24(g)를 참조하면, 상기 인출부(1100)가 상기 하우징(1200)에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1100)에는 스팀다리미(1300)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스팀다리미(1300)와 상기 인출부(1100)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1200)에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스팀다리미(1300)와 연결된 케이블(1400)은 상기 인출부(1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가열모듈(2000)에 결합되도록 말단만 노출될 수 있다.
도24(h)를 참조하면, 상기 보관모듈(1000)까지 상기 기계실(300)에 설치되면 상기 착탈부(380)를 통해 상기 기계실(300) 전방을 차폐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기계실(300) 내부가 전방으로 노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도24(i)를 참조하면, 상기 착탈부(380)가 상기 기계실(300) 전방을 차폐하면,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착탈부(380)에 형성된 관통홀을 차폐할 수 있고, 상기 착탈부(380)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통(301)과 상기 배수통(302)이 차례로 상기 착탈부(380)에 안착되어 전체적인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리미모듈(S)은 모듈 방식으로 상기 기계실(300)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면서도, 각각의 구성이 모듈방식으로 상기 기계실(300)에 단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설치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다리미모듈(S)은 기계실(300) 외부에서 일체로 조립되어 전체가 상기 기계실(300)에 투입되어 상기 공간(S)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25는 상기 스팀다리미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케이블(140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헤드부(1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310)는 상기 의류의 표면에 물과 스팀 중 하나 이상을 분사 및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310)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핸들부분(1311)과, 상기 핸들(1311)의 상단에서 확장되는 확장부분(1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310)는 내부에 스팀이 통과할 수 있고 각종 구성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 (1310)의 말단으로 스팀과 열 중 하나 이상이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310)는 길이가 너비 또는 두께보다 길게 구비되어 상기 헤드부 (1310) 말단에서 토출되는 스팀과 열에 사용자의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310)는 파이프 형상 등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 등이 잡을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핸들부분(1311)와, 상기 핸들부분(1311)에서 절곡되는 절곡부분(1312), 상기 절곡부분(1312)에서 말단으로 연장되는 확장부분(1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분(1311)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1400)을 수용하도록 구비되고 길이가 직경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분(1312)은 상기 핸들부분(1311)의 말단에서 90도 이내로 절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분(1312)으로 인해 상기 핸들부분(1311)을 따라 이동하는 스팀과 열 중 하나 이상이 용이하게 의류와 마주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분(1313)은 상기 절곡부분(1312)과 상기 핸들부분(1311) 보다 단면적이 가장 넓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넓은 영역에 스팀과 열 중 하나 이상이 공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분(1313)에는 공급된 스팀과 열을 가열하는 가열장치 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310)는 내부 구성을 용이하게 설치하고 수용하기 쉽도록 2 piece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헤드부(1310)는 상기 헤드부(1310)의 하부면과 양측면 중 일부를 형성하는 하부헤드부(1310b)와, 상기 헤드부(1310)의 상부면과 양측면 중 나머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상부헤드부(131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310)는 상기 확장부(1313)에서 말단으로 더 연장되되 상기 확장부(1313) 보다 단면적이 작게 구비되는 수렴부(1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렴부(1314)는 상기 확장부(1313) 내부에 구성이 외부로 임의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렴부(1341)는 내부가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확장부(1313)까지 전달된 스팀과 열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스팀다리미(1300)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헤드부(1310)에 수용되어 상기 스팀생성부(2100)에서 공급된 물과 스팀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베이스(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베이스(1320)는 후술하는 독립제어부(4000)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케이블(1400)을 통해 전달된 스팀이 다시 가열되어 응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스팀다리미(1300)에 접촉되는 의류의 표면 구김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히터베이스(1320)는 상기 스팀생성부(2100)에서 공급받은 스팀 또는 물을 수용하는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스팀과 물을 추가로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이 히터베이스(1320)에서 물로 축되어도 다시 가열되어 스팀으로 분사될 수 있고, 스팀이 물로 응축되기 전이라도 재가열되어 물로 응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히터베이스(1320)는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헤드부(1310)는 상기 히터베이스(1320)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는 스티머패널(1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티머패널(1360)은 PCB 패널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베이스(1320)가 특정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히터베이스(1320)가 가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히터베이스(1320)는 상기 케이블(1400)에서 공급되는 스팀이 이동하는 히터이동홀(1323)과, 상기 케이블(1400)을 따라 이동하는 전력선이 이동하는 히터수신관(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이동홀(1323)과 상기 히터수신관(1322)는 상기 히터베이스(1320)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히터베이스(1320)는 비열이 낮은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베이스(1320)는 전방에 상기 스팀과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면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히터베이스(1320)에서 토출되는 열과 스팀 중 하나이상을 배출시키며 상기 히터베이스(1320)가 헤드부(1310)에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리미커버(1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미커버(1350)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의 말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리미커버(1350)는 상기 헤드부(1310)의 말단에 결합되는 결합면(1352)과 상기 결합면(1352)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팀다리미(1300)의 말단면을 형성하는 노출면(1351)과, 상기 노출면(1351)을 관통하여 스팀을 외부로 분사시키는 분사홀(1353)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다리미커버(1350)는 상기 헤드부(1310) 또는 내부 구성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체결부(135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분사홀(1353) 양측에 배치되는 안내리브(13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출면(1351)은 평평하게 구비되어 의류의 표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의류의 표면에 히터베이스(1320)에서 생성된 스팀과 열을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헤드부(1310)에 상기 히터베이스(1320)를 상기 헤드부(1310)의 말단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1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1340)는 상기 히터베이스(1320)의 전방면을 수용하는 수용둘레(1342)와, 상기 수용둘레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베이스(1320)에서 토출되는 스팀과 열중 하나 이상을 상기 다리미커버(1350)로 전달하는 전달홀(1343), 상기 수용둘레(1342)에서 확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합면(1352)과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확장바디(134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히터베이스(1320)를 수용하여 상기 히터베이스(1320)을 단열하는 단열수용부(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수용부(1330)는 상기 히터베이스(1320)를 수용하는 수용바디(1331)와, 상기 수용바디(1331)의 후방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블(1400)에서 공급되는 스팀이 통과되는 통과홀(1333)과, 상기 케이블(1400)에서 연장되는 전력선이 통과하는 전력홀(1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1331)는 상기 히터베이스(1320)의 전방면을 제외한 모든 면을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단열재질 또는 히터베이스(1320) 보다 비열이 매우 큰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히터베이스(1320)가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팀이 응축되거나, 스팀다리미(1300)의 열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310)에는 상기 히터베이스(1320)를 구동하거나, 상기 스팀다리미(1300) 자체를 작동시키는 작동입력부(13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입력부(1370)는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여 히터베이스(1320) 등의 on/off 를 결정하는 결정입력부(1371)와, 상기 결정입력부(1371)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13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입력부(1371)가 on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히터베이스(1320)가 구동하거나, 상기 히터베이스(1320)로 스팀과 열 중 하나이상이 통과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입력부(1371)가 off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히터베이스(1320)의 구동이 중단되거나, 상기 히터베이스(1320)로 스팀과 열 모두 통과되지 못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로써, 가열모듈(2000)이 구동하더라도 상기 스팀다리미(1300)에서 임의로 열과 스팀 중 하나 이상이 분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26는 상기 스팀다리미가 인출되는 방향의 특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기계실(300)에 전방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기계실(300)의 상부/측면/ 배면으로는 노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도어(120)가 개방되어야만 외부에 노출될 수 있고, 상기 도어(120)가 닫히면 상기 캐비닛(100)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에서 스팀다리미(1300)은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출부(1200)는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방면을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상기 기계실(300) 전방에 노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도어(120)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면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기계실(300)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양측면에 별도의 가전제품(R)이나 벽이 배치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도어(120)가 개방될 수 있는 공간만 확보된다면,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아무런 제한 없이 상기 기계실(300)에서 인출되고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다리미모듈(S)이 설치되더라도, 공간제한을 받지 않고 설치자유도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다리미모듈(S)은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으로만 노출되고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는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스팀다리미(1300)와 상기 인출부(1200)가 상기 기계실(300)에 수용되어 있다면,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상기 다리미모듈(S)은 서로 마주하거나 연통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존재할 수 있는 이물질, 수분이 상기 다리미모듈(S)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공기가 상기 다리미모듈(S)로 유입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계실(300)이 상기 다리미모듈(S)이 설치되거나, 상기 스팀다리미(1300)가 인출입될 수 있는 관통홀을 구비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관통홀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잔류할 수 있는 수분, 이물질,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다리미모듈(S) 뿐만 아니라 기계실(300) 전체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1200)의 내면에 부착된 실링부재(123)는 상기 개구부(220) 또는 이너케이스(210)의 전방면 하단면과 상기 기계실(300)의 상부면을 구획하는 구획부재(1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1232)는 상기 개구부(220)의 외면 중 하부면의 전방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220)의 하부면의 길이와 같거나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1232)는 막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진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200)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밀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수용된 유체는 상기 구획부재(1232)에 막혀 상기 기계실(300)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부재(123)는 구획부재(1231)의 양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220)의 양측면과 상부면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밀폐부재(12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부재(123)는 구획부재(1231)의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기계실(300)의 외주면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차단부재(12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에 배치된 유체가 상기 도어(120) 외부로 유출되는 것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도어(120) 외부의 유체가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으로 유입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1232)와, 상기 밀폐부재(1231), 상기 차단부재(1233)은 모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모두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도 있다.
도27은 상기 스팀다리미가 이물질에 보호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어(120)는 상기 실링부재(123)가 상기 개구부(210)의 둘레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1232)는 특히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230) 중 노출면과, 상기 기계실(300)의 상부면 사이에 너비방향으로 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상기 구획부재(1232)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1233)에 의해 상기 기계실(300) 전방면 둘레도 실링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상기 도어(120)가 상기 개구부(210)를 닫는 경우,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수용공간은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공급되는 열풍과 스팀은 상기 구획부재(1232) 및 상기 밀폐부재(1231)에 의해 상기 개구부(210)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수용공간(220)을 순환하면서 상기 유입홀(231)로 최종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거치된 의류에서 분리된 이물질도 상기 개구부(210)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수용공간(220)을 순환하면서 상기 유입홀(231)로 최종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도어(120)에 부착된 상기 구획부재(1232)에 의해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유체적으로 완벽히 구획 및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구획부재(1232)에 의해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존재하는 공기, 수분, 이물질에 접촉되는 것 자체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의 청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다리미모듈(S)이 열에 의해 손상되거나, 수분에 의해 부식 및 전기관련 사고가 발생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120)는 내면에 돌출되는 돌출부(125)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125)은 상기 개구부(210)의 바닥면에 가깝게 배치된다. 즉, 상기 돌출부(125)은 상기 도어내면(121)에서 돌출되어 상기 개구부(21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210)의 바닥면과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230)과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를 순환하거나 이동하는 공기와 수분, 이물질 등은 상기 돌출부(125)에 의해 상기 개구부(210)의 하부면으로 이동하는 것 자체가 방해를 받고, 상기 유입홀(232)로 배출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를 순환하거나 이동하는 공기와 수분, 이물질 등은 1차적으로 상기 돌출부(125)에 제한을 받고, 2차적으로 상기 구획부재(1232)에 차단되어 상기 개구부(210) 외부로 유출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300)에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는 스팀다리미(1300)를 포함한 다리미모듈(S)이 보호될 수 있다.
도28은 다리미모듈과 제어부의 구조와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열공급부(340)와, 상기 스팀공급부(800), 급수부(880), 배수부(330), 송풍부(350) 등 리프레쉬모듈(T)에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1)의 모든 전장품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다리미모듈(S)에도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다리미모듈(S)은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가열모듈(2000)에 전력을 공급해야 하며, 상기 스팀다리미(1300)에 구비되는 히터베이스(1320)에도 물을 끓일 수 있는 전력을 공급해야 한다. 또한,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가열모듈(2000), 상기 스팀다리미(1300), 급수구조(2500), 배수장치(2400)를 작동시킬 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제어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메인제어부(700)에서 다리미모듈(S)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다리미모듈(S)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메인제어부(700)의 크기가 순환덕트(320)의 면적보다 더 크게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스팀생성부(2100)를 포함하는 가열모듈(2000)과 상기 히터베이스(1320)를 포함하는 스팀다리미(1300), 급수구조(2500), 배수장치(2400) 중 하나 이상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독립제어부(4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독립제어부(4000)는 상기 스팀생성부(2100)를 포함하는 가열모듈(2000)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열모듈(2000)에 전력을 공급할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열모듈(2000)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면, 스팀다리미(1300)와 부피가 유사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독립제어부(4000)가 가열모듈(2000)를 고려할 필요 없이, 상기 스티머모듈(1300)에 장착된 히터베이스(1320)가 가열되는 전력을 공급하고 이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스팀다리미(1300)의 헤더부 면적과 유사한 면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독립제어부(4000)가 상기 스팀다리미(1300) 내부에 배치되면, 상기 스팀다리미(1300)가 비대해져서 사용자가 파지하기 어려울 수 있고, 상기 스팀다리미(1300)의 무게도 사용자가 파지하기 불가능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다리미모듈(S)은 상기 독립제어부(4000)를 상기 스팀다리미(1300)에 설치하지 않고, 상기 독립제어부(4000)를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팀다리미(1300)의 스티머패널(1360)은 상기 독립제어부(4000)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히터베이스(1320)에 단순 전달하고, 독립제어부(4000)에서 상기 히터베이스(1320)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히터베이스(1320)의 ON/OFF만 결정하도록 단순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티머패널(1360)은 소형화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케이블(1400)에 수용되어 상기 독립제어부(4000)와 상기 스티머패널(1350)과, 상기 히터베이스(1320) 중 하나 이상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력선(L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독립제어부(4000)는 상기 전력선(L2)을 통해 상기 스티머패널(1350) 및 상기 히터베이스(1320) 중 하나 이상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고, 상기 히터베이스(132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스티머패널(135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독립제어부(4000)는 상기 베이스모듈(30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모듈(2000)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전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이 상기 리프레쉬모듈(T)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므로, 상기 독립제어부(4000)도 상기 리프레쉬모듈(T)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거치된 의류를 리프레쉬 하는 행정을 수행하는 각종 리프레쉬모듈(T)과 독립적으로 구동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부(340)와 상기 스팀공급부(800), 급수부(880), 배수부(330), 송풍부(350)등의 리프레쉬모듈(T)은 상기 도어(120)가 개구부(210)를 닫았을 때 구동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도어(120)가 상기 개구부(210)를 개방하였을 때 구동하도록 제어된다.
그러므로, 상기 독립제어부(4000)는 상기 메인제어부(700)와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다리미모듈(S)의 전장품 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독립제어부(4000)는 외부전원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상기 메인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제어부(700)에서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다리미모듈(S)의 외부전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독립제어부(4000)와 상기 메인제어부(7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어선(L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독립제어부(4000)는 상기 제어선(L1)을 통해 상기 메인제어부(700)에서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독립제어부(4000)는 상기 제어선(L1)을 통해 상기 메인제어부(700)가 인식할 수 있는 상기 도어(120)가 상기 개구부(220)를 닫았는지에 관한 정보, 상기 리프레쉬모듈(T)이 작동 중인지에 관한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독립제어부(4000)는 상기 제어선(L1)을 통해 메인제어부(700)에서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독립제어부(4000)는 상기 제어선(L1)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가열모듈(2000)과 상기 스팀다리미(1300) 중 하나 이상에서 물을 끓일 수 있는 다량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독립제어부(4000)는 상기 스팀생성부(2100)와 상기 고압펌프(2200), 상기 배수장치(2400), 스팀다리미(1300) 내부 구성 중 하나 이상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종합하면, 상기 독립제어부(4000)가 상기 스팀생성부(2100)와 상기 고압펌프(2200), 상기 배수장치(2400), 스팀다리미(1300) 내부 구성 중 하나 이상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부피로 구성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부피와 무게로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독립제어부(4000)와 별도로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 다리미모듈(S)에서 상기 독립제어부(4000)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에서 분리 및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독립제어부(4000)는 상기 베이스모듈(3000)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독립제어부(4000)는 가열모듈(2000)과 보관모듈(10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독립제어부(4000)를 상기 가열모듈(2000) 및 스팀다리미(1300)와 연결하는 전력선(L2)을 가장 짧게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독립제어부(4000)가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노출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독립제어부(4000)로 인해 상기 리프레쉬모듈(T)의 제어상태와 무관하게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도어(120)가 개방된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120)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를 전제로 열공급부(340) 및 상기 스팀공급부(800)가 작동하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독립제어부(4000)는 제어선(L1)을 통해 상기 메인제어부(700)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것과 동시에 상기 메인제어부(700)와 통신하도록 구비되어, 도어(120)의 개구부 개방상태, 상기 열공급부(340) 및 상기 스팀공급부(800)의 작동상태를 인지하여 상기 다리미모듈(S)을 제어할 수 있다.
도29은 상기 제어부의 배치를 도식화 한 것이다.
상기 기계실(300) 중 상기 베이스부(310)에 안착된 구성을 공용화 기계실(300)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기계실(300) 내부구성은 상기 메인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에서 상기 독립제어부(4000)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에서는 분리되고, 메인제어부(700)와 분리되어 상기 베이스모듈(3000)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독립제어부(4000)는 전력선(L2)을 통해 상기 스팀다리미(1300)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다리미(1300)에서 스팀과 열 중 하나이상이 분사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독립제어부(4000)는 상기 히터베이스(1320) 등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독립제어부(4000)와 제어선(L1)으로 서로 연결되어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독립제어부(4000)는 하나 이상이 PCB 패널로 구비될 수 있고, 그 면적이 상기 스팀다리미(1300)의 면적보다 같거나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도30는 상기 다리미모듈이 드로워 방식으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계실(300) 중 상기 다리미모듈(S)은 배수통 보다는 급수통(301)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급수구조에 잔류하는 물이 최소화되어 물도 절약되고 물이 오염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조는 길이가 길게 구비되어도 중력에 의해 상기 순환덕트(320)로 안내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상기 배수통(302)은 상기 다리미모듈(S)과 멀리 떨어져도 있어도 무방하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급수통(301)의 일측에서 전방으로 인출되는 지지부(1120)와, 상기 지지부(1120)의 전방에 연장되어 상기 다리미모듈(S)의 내부 구성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커버(1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20)는 내부에 스팀다리미(1300)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커버(1130) 보다 높이가 낮게 구비될 수는 있으나 전후방향의 길이는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도31은 상기 인출부에 스팀다리미가 보관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하우징(1200)에서 인출되어 구김이 제거되기 위한 의류의 특정영역에 가깝게 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팀다리미(1300)와 상기 가열모듈(2000)을 연결하는 케이블(1400)은 상기 지지부(1120)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팀다리미(1300)의 작동이 중단되면, 상기 스팀다리미(1300)와 상기 케이블(1400)은 하우징(1200)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출부(1100)는 상기 케이블(1400)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안착공간을 구비한 지지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1400)이 전부 상기 지지부(1120) 수용되므로, 상기 케이블(1400)이 길게 구비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상기 지지부(1120)에 보관될 수 있고, 도어(120) 등이 닫히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부(1120)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 중 일부는 노출시킬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파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인출부(1100)는 상기 지지부(1120)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스팀다리미(13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구획패널(1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패널(1160)은 상기 지지부(1120)의 후방에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1120) 내부의 공간을 상부/하부로 구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1100)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의 핸들부(1311)을 고정하는 영역과, 상기 스팀다리미(1300)의 다리미커버(1350)을 지지하는 영역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1100)는 다리미커버(1350)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스팀다리미(1300)가 안착되면 상기 스팀다리미(1300)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1100)는 상기 구획패널(116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다리미커버(135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장착패널(1170)과, 상기 구획패널(1160)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1400)을 고정하는 고정패널(1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패널(1170)은 상기 다리미커버(1350)의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다리미커버(135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1180)은 상기 핸들부(1311)의 말단 또는 상기 케이블(1400)을 고정하는 후크 또는 고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패널(1160) 보다 하부에는 케이블(1400)이 상기 지지부(112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20)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1400)은 상기 구획패널(1160)에 가압되어 부피가 작아질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1180)은 상기 구획패널(1160)에서 하부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32는 상기 다리미의 인출입방식을 설명한다.
도32(a)를 참조하면,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장착패널(1170)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1400)은 상기 고정패널(118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패널(1160)은 상기 케이블(1400)을 가압하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케이블(1400)은 상기 지지부(112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도32(b)를 참조하면, 상기 인출부(1100)가 상기 하우징(1200)에서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일 경우, 상기 스팀다리미(1300)가 상부로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장착패널(1170)에서 분리되고, 상기 케이블(1400)이 상부로 들려 올려지면서 상기 고정패널(1180)이 상부로 들려 올려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구획패널(1160)과 상기 장착패널(1170)은 상기 지지부(1120)에서 상부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획패널(1160)이 상기 지지부(1120)를 개방하여 상기 케이블(1400)이 인출될 수 있다.
도32(c)를 참조하면, 상기 구획패널(1160)과 상기 장착패널(1170)은 완전히 상기 지지부(1120)를 개방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1180)은 무게에 의해 상기 구획패널(1160)에서 하부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상기 스팀다리미(1300)은 상기 케이블(1400)의 길이만큼 상기 지지부(1120)에서 완전히 인출될 수 있다.
도32(d)를 참조하면,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고정패널(118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1400)은 상기 지지부(1120)에 전부 수용될 수 있다.
도32(e)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상기 장착패널(1170)에 장착하도록 기울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패널(1180)은 상기 구획패널(1160)에서 멀어지도록 상부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장착패널(1170)과 상기 구획패널(1160)은 상기 지지부(1120)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획패널(1160)은 상기 케이블(1400)을 가압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인출부(1100)에 다시 삽입될 수 있다.
도33은 상기 인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다리미모듈(S)에서 상기 인출부(1100)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상기 하우징바디(1210) 내부에 보관하되,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선택적으로 상기 개방면(1220) 전방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모듈(S)은 상기 인출부(1100)가 상기 하우징바디(1200) 하부에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커버(1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130)는 상기 하우징바디(1210) 보다 전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방면(1220)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1130)는 단순 회전으로 상기 하우징바디(1210)에 수용되는 스팀다리미(1300)를 노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하우징(1200)에서 전방으로 인출입하는 드로워 등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커버(1130)는 상기 개방면(1220) 또는 상기 착탈부(380)에서 상기 다리미모듈(s)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상기 기계실(300) 전방에 노출시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개방면(1220) 또는 상기 관통홀을 차폐하는 경우, 상기 급수통(30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관모듈(1000)은 상기 하우징(1200)의 하부에 상기 스팀다리미(1300)의 다리미커버(1350)를 지지하는 다리미안착부(1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미안착부(1190)는 상기 다리미커버(135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다리미커버(135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안착부(1190)는 상기 하우징바디(1210)에 장착되는 안착바디(1191)와, 상기 안착바디(1191)의 상부면에 함몰되어 상기 다리미커버(1350)가 장착되는 안착홈(119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미안착부(1190)는 상기 개방면(1220)으로 인출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바디(1210)에 수용될 수 있다.
도34는 스팀다리미가 상기 하우징바디에 수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바디(1210)는 상기 베이스패널(3200)에 장착되는 제1바디(1211)와, 상기 제1바디(1211)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스팀다리미(1300)가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바디(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211)의 전방은 상기 개방면(1220)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바디(1212)의 전방은 상기 개방면(1220)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바디(1210) 내부에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지지하는 다리미안착부(11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모듈(3000)은 상기 베이스패널(320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11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대(3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대(3400)는 상기 다리미안착부(1190)와 상기 개방면(12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대(3400)는 상기 커버(1130)의 하단이 상기 관통홀(385)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는 높이로 상승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커버(1130)가 상기 관통홀(385)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거나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1130)는 상기 관통홀(385)을 개방하여 상기 개방면(1220)을 노출시킬 수 있고, 상기 스팀다리미(1300)를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1130)가 상기 관통홀(385)을 닫아 상기 개방면(1220)과 상기 스팀다리미(130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35는 스팀다리미가 인출입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35(a)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1130)는 전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관통홀(385)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방면(1220)과 상기 관통홀(385)을 통해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상기 하우징(1200)에서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인출되어 의류의 표면에 스팀을 분사한 다음, 다시 관통홀(385)에 삽입되고 상기 개방면(1220)에 투입되어 상기 다리미 안착부(1190)에 헤드부(1310) 부터 장착될 수 있다.
도35(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케이블(1400)을 말아서 상기 관통홀(385)에 투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1400) 중 일부는 상기 하우징바디(1210) 내부에 투입되지만, 나머지 일부는 상기 개방면(1220)과 상기 관통홀(38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35(c)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1130)은 상기 관통홀(385)을 닫을 수 있다. 상기 스팀다리미(1300)는 다리미커버(1350)가 상기 다리미장착부(1190)에 안착되고, 상기 핸들부분(1311)이 상기 커버(1310)의 배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1400)도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1310)의 배면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스팀다리미(1300)와 케이블(1400)을 용이하게 상기 관통홀(385) 내부에 투입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바디(1210)는 상기 다리미커버(1350)만 수용하면, 상기 스팀다리미(1300)의 일부와 상기 케이블(1400) 중 일부만 수용하는 공간만 제공해도 무방하다.
다시말해, 상기 개방면(1220)과 상기 관통홀(385) 사이 공간을 상기 스팀다리미(1300)와 상기 케이블(1400)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리미모듈(s)의 전체적인 길이와 부피가 축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0 캐비닛
T 리프레쉬모듈
S 다리미모듈
1000 보관모듈
2000 가열모듈
3000 베이스모듈
4000 독립제어부

Claims (26)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이너케이스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거나 연장되어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를 따라 흐르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공급부와, 상기 순환덕트에 장착되어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스팀공급부를 포함하는 리프레쉬모듈;
    상기 리프레쉬 모듈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의류의 표면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다리미를 포함하는 다리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다리미는 상기 다리미모듈의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모듈은
    상기 순환덕트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다리미를 수용하는 하우징바디와, 상기 하우징바디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다리미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개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면은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외부에 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모듈은
    상기 하우징바디에 수용되어 상기 스팀다리미를 인출시키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개방면을 닫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하우징바디에서 상기 개방면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하우징바디에서 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팀다리미를 상기 개방면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너케이스의 전방면에 접촉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이너케이스와 상기 다리미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내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돌출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은 상기 실링부재 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은 상기 도어가 닫히는 경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너케이스의 바닥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도어의 내면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의 너비는 상기 수용공간의 너비와 같거나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스팀다리미는 구동 가능하게 설정되고, 상기 리프레쉬모듈은 구동이 차단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스팀다리미는 구동이 정지되거나 차단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리프레쉬모듈은 구동 가능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모듈은
    상기 순환덕트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다리미에 공급하는 스팀을 생성하는 가열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모듈은 상기 스팀다리미 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다리미는
    상기 가열모듈에서 연장되어 열과 스팀이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말단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기계실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열과 스팀을 상기 의류의 표면에 공급할 수 있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이너케이스 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이너케이스 내부에 공기와 스팀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에 장착되고 상기 의류에 열과 스팀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는 스팀다리미가 설치되는 다리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다리미는 상기 기계실의 전방으로 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너케이스와 상기 기계실 중 하나 이상을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팀다리미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기계실 전방으로 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다리미는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기계실 내부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미모듈은
    상기 순환덕트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다리미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팀다리미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기계실의 전방으로 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체가 상기 이너케이스의 바닥면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이너케이스 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이너케이스 내부에 공기와 스팀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에 장착되어 상기 의류에 열과 스팀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는 스팀다리미가 설치되는 다리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계실은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미모듈은
    상기 순환덕트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상기 스팀다리미를 수용하는 하우징바디와,
    상기 하우징바디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다리미를 상기 기계실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개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바디는 상부, 양측면으로 상기 스팀다리미가 인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팀다리미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3.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이너케이스 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이너케이스 내부에 공기와 스팀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에 장착되어 상기 의류에 열과 스팀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는 스팀다리미가 설치되는 다리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계실은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공급부와,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와, 상기 순환덕트 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공급부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급수통과, 상기 순환덕트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고 상기 급수통의 타측에 배치되는 배수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통과 상기 배수통은 모두 상기 순환덕트 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다리미모듈은 상기 순환덕트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통과 상기 배수통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다리미모듈은 상기 급수통 및 상기 배수통 중 어느 하나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모듈은 상기 배수통 보다 상기 급수통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모듈은
    상기 급수통에서 물을 공급받아 상기 스팀다리미에 공급하는 스팀을 생성하는 가열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모듈은 상기 배수통 보다 상기 급수통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30041022A 2022-03-29 2023-03-29 의류처리장치 KR20230140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4174 WO2023191492A1 (ko) 2022-03-29 2023-03-29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194 2022-03-29
KR20220039194 2022-03-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436A true KR20230140436A (ko) 2023-10-06

Family

ID=882964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1022A KR20230140436A (ko) 2022-03-29 2023-03-29 의류처리장치
KR1020230041023A KR20230140437A (ko) 2022-03-29 2023-03-29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1023A KR20230140437A (ko) 2022-03-29 2023-03-29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140436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437A (ko) 202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82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50961B1 (ko) 의류 관리기
EP2191055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8196439B2 (en) Laundry machine including a support module with a drawer based detachable water supply
US8230613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20100005681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435810B1 (ko) 의류처리장치
US20100115784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084052A (zh) 蒸汽干衣机
EP1967640B1 (en) Fabric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EP2213781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090105085A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582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40436A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045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6194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8635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6777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03156A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045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0549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0315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1662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57288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1662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