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427U - 알루미늄 경량 액세스 플로어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경량 액세스 플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427U
KR20090012427U KR2020080007212U KR20080007212U KR20090012427U KR 20090012427 U KR20090012427 U KR 20090012427U KR 2020080007212 U KR2020080007212 U KR 2020080007212U KR 20080007212 U KR20080007212 U KR 20080007212U KR 20090012427 U KR20090012427 U KR 200900124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access
access floor
aluminum
ro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동렬
Original Assignee
황보동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동렬 filed Critical 황보동렬
Priority to KR2020080007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427U/ko
Publication of KR200900124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42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04F15/02411Floor panels with integrated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3/00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도체 생산을 위한 클린룸, 일반사무실, 전화국, 병원, 전산실, 교통 통제실 등과 같이 최첨단 전기, 전자 장비 및 컴퓨터, 모니터, 팩스, 복사기 등 일반사무용 전자기기 등이 많이 쓰이는 사무실에서 이들 기기들을 연결하는 데이터선 및 전원선 등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해 설치하는 액세스 플로어(Access Floor)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바닥패널(floor panel) 및 기타 부대설비(accessory) 즉, 프레임(stringer) 지지대(pedestal), 지지대머리(pedestal head), 지지대로드(pedestal rod), 지지대파이프(pedestal pipe), 지지대기초(pedestal base)를 갖는 기존 액세스플로어에 있어서 바닥패널의 재질 및 종류에 따라 크게 알루미늄(aluminium) 액세스플로어, 스틸(steel) 액세스플로어, 우드(wood)액세스플로어, 플라스틱(plastic)액세스플로어로 나눠지는데 이중 알루미늄 액세스플로어는 상기 언급된 여러 종류의 액세스플로어중 가장 뛰어난 재질적 특성 및 사용상 여러 이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알루미늄 액세스플로어를 꼭 필요로 한 곳 즉, 반도체 생산을 위한 클린룸, 병원 수술실,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전산실 등 특수한 장소에서만 사용되어졌고 기타 일반 사무실 및 고 하중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곳은 우드, 스틸, 플라스틱 등의 저 강도의 액세스플로어가 사용되어졌다. 시장점유율 또한 스틸 및 기타 액세스플로어에 비하여 사용이 1/10수준에 그쳤다.
따라서 기존 알루미늄 액세스플로어(aluminium access floor)가 우수한 품질에도 불구하고 고가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격적인 제약을 줄이기 위해 기존 알루미늄 액세스플로어 대비 강도는 우수 하면서 중량은 훨씬 감소 시켜 최종적으로 제품 가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경량화 함을 목적으로 하는 사출 및 다이캐스팅 성형 공법에 의한 알루미늄 경량 액세스플로어(Aluminium light weight access floor)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 경량 액세스 플로어는 가격은 저가이면서 성능은 고가의 제품에 절대 뒤지지 않기에 이러한 가격 및 성능상의 여러 이점으로 인하여 기존 고가시장(알루미늄 액세스플로어)뿐만 아니라 저가시장(스틸, 우드, 플라스틱 액세스플로어)의 양쪽 모두 공략가능 함으로서 고가 및 저가의 국내 시장은 물론 전 세계 시장에 수출 그리고 저가 시장의 수입대체 효과 등 여러 기대 효과를 가져온다.
액세스플로어, 경량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바닥패널, 격자무늬 살, 빗살무늬 살, 보조 살

Description

알루미늄 경량 액세스 플로어{Aluminium light weight access floor}
본 고안은 반도체 생산을 위한 클린룸, 일반사무실, 전화국, 병원, 전산실, 교통 통제실 등과 같이 최첨단 전기전자 장비 및 컴퓨터, 모니터, 팩스, 복사기 등 일반사무용 전자기기 등이 많이 쓰이는 사무실에서 이들 기기들을 연결하는 데이터선 및 전원선 등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해 설치하는 액세스 플로어(Access Floor)에 관한 것이다.
이중마루 또는 이중바닥이라고도 한다. 즉, 액세스 플로어는 컴퓨터의 활용이 증대되는 정보화 시대에 보다 쾌적하고 효율적인 사무 공간 확보를 위해 제안된 이중마루를 말한다.
종래의 액세스 플로어로 시공되지 않은 일반 건물에서는 각 종 전기, 전화, 인터넷 선들이 바닥에 그대로 노출된 채로 방치되거나 또는 선이 단선일 경우나 소수일 경우 몰드(쫄대)를 이용해서 전화 또는 전기선을 보호해 왔다.
그러나 컴퓨터 및 전기, 전자기기의 활용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사무실은 각 종 케이블로 더 혼란스러워졌으므로 새로운 바닥구조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액세스 플로어는 위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평탄한 바닥 위에 일정한 높이의 공간을 두어 그 속에 각 종 케이블이 지나갈 수 있도록 만든 바닥 구조물을 의미한다.
액세스 플로어의 설치가 요구되는 곳은 다음과 같다.
- 반도체 생산을 위한 공장
- 컴퓨터의 전력 케이블, 네트웍 케이블 보호 및 관리
- 각종 수술 장비의 케이블 보호, 정전기 방지
- 녹음실 등의 방진, 방음, 각종 기기의 케이블 보호 및 관리
- 각종 음향 및 영상장비 등의 보호 및 관리
- 멀티미디어실, 시청각 교육실의 케이블보호 및 관리
- 화상회의나 기타 음향장비가 많은 회의실
- 공기 정화를 위한 이중 바닥판
- 고도의 정밀성 확보를 위한 먼지, 균 발생 억제
- 전력 및 정보케이블 보호, 전화 교환실
- 모든 전력 및 케이블 보호
액세스 플로어의 종류는 패널의 재료에 따라 스틸우드 복합형, 목재형, 철제형, 알루미늄형 등으로 분류되고 같은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제작형태나 제작방법에 따라 종류가 나뉜다.
1) 목재형 (Wood Core Panel)
목재형은 목재 특유의 보행감각을 유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흡음성이 뛰어나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켜 주는 특성이 있고 비용이 저렴하여 활용도가 높다. 방송 실, 강의실, 회의실, 사무실, 연구실, 전화교환실, 금융기관이나 공공기관의 영업장, 전산실, 통신기계실, 컨트롤 룸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화재발생 위험을 없애기 위하여 고밀도 분자 보드(High Density Particle Board)를 채용하고 있다.
2) 철제형 (Steel Panel)
철제형은 상하 패널이 모두 강판(Steel)으로 되어 있으며 특히 아래쪽 패널은 역학적인 구조로 되어 있어 강도가 뛰어나다. 내하중성, 내구성, 견고성, 안전성, 내화성이 우수하여 중앙제어반(MDF)실, 기계실, 방제실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와 같은 철제형 패널의 단점을 보완하고 방진, 방음의 효과를 높이고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 강판 사이에 콘크리트를 채운 철제 시멘트 패널(Steel Cement Panel)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3) 알루미늄형 (Alminium Panel)
알루미늄형은 고순도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든 패널로 내부식성, 내구성이 매우 우수한 경량형 패널이다. 특히 무균, 정전기에 대한 도전성 및 정밀성이 요구되는 반도체 공장이나 정밀측정기기실, 광학기기실, 시계조립실, 전자기기실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4) 복합형 (Steel & Wood)
목재형과 철제형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개발된 액세스 플로어이며 목재 특유의 보행성을 유지하면서 내하중성과 견고성을 충족시키고 있어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일반 목재형과 비교할때 하중성이 탁월하여(약30%이상) MDF실, 기계실, 전자교환실, 전산실(학교, 기업체, 공공기관), 영업장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액세스 플로어의 설치는 보통 바닥에서 30∼40cm 정도의 공간이 생기게 가로세로 약 50cm 정도 되는 정사각형 판에 발을 이중바닥을 형성하고 이 액세스 플로어 밑의 공간에 데이터 선 등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한다.
다만, 종래의 알루미늄 액세스 플로어는 목재형, 철제형, 기타 액세스플로어 대비 3∼4배에 이르는 높은 가격적 제약으로 인하여 우수한 재질적 특성 및 고강도에도 불구하고 그 사용범위가 아주 많이 축소되었다.
따라서 알루미늄 액세스플로어(aluminium access floor)는 꼭 필요로 한 특수한 곳 즉, 반도체 생산을 위한 클린룸, 병원 수술실,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전산실 등에서만 사용되어졌고 그 밖의 기타 일반 사무실 및 고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곳에는 우드, 스틸, 플라스틱 액세스플로어가 사용되어졌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중마루 즉, 알루미늄 액세스 플로어를 형성함에 있어서 바닥패널(1)부에 기존 제품 대비 역학적 구조 해석에 따른 최적화 설계로 제품 중량은 최소화하고 적용 하중은 최대로 할 수 있는 구조의 바닥패널(1)을 갖는 알루미늄 액세스플로어(Aluminium access floor)를 제작함으로서 최종적으로 기존 알루미늄 액세스플로어에 비해 훨씬 가격이 저렴 한 우드, 철제형 액세스플로어 등과 경쟁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액세스플로어의 경량화 및 가격인하를 통한 기존 알루미늄 액세스플로어 진입 시장 범위 확대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패널(floor panel)(1) 및 기타 부대설비(accessory) 즉, 프레임(stringer) 지지대(pedestal)(3), 지지대머리(pedestal head), 지지대로드(pedestal rod), 지지대파이프(pedestal pipe), 지지대기초(pedestal base)(4)를 갖는 기존 액세스 플로어에서 바닥패널이외 기타 부속품의 변화는 없이 액세스플로어의 핵심부위로서 대부분의 중량을 차지하는 바닥패널(1)의 역학 구조를 재해석 및 최적 분석함으로서 기존제품 대비 경량 설계로 바닥패널(1)의 형상 및 중량 변화를 통해 최종적으로 제품의 생산 원가를 줄이기 위하여 고안된 경량화 된 바닥패널(1)로서 사출 및 다이캐스팅 성형공법에 의한 알루미늄 경량 액세스플로어(aluminium light weight access floor)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경량 알루미늄 액세스 플로어(access floor)의 효과를 살펴보면, 기존 알루미늄 액세스 플로어는 알루미늄의 여러 우수한 재질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높은 가격으로 인해 꼭 필요로 한 특수한 곳 즉, 반도체 생산을 위한 클린룸, 병원 수술실,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전산실 등에 만 사용되어졌고 기타 일반 사무실 및 고하중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곳은 스틸, 우드, 플라스틱 액세스플로어가 사용되어졌다. 따라서 기존 알루미늄 액세스플로어 대비 강도는 우수 하면서 중 량은 훨씬 감소시켜 최종적으로 가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위해 경량화시켜 개발함으로서 기존 고강도를 요구하는 고가시장과 그렇지 않은 저가시장으로 양분되어 형성된 액세스플로어의 시장 구조에 중간 가격대의 시장을 형성함으로서 상기와 같은 기존의 시장에 가격적 틈새시장을 새로이 형성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가 사양의 액세스플로어의 최대 단점인 장기적인 품질문제 즉, 저비용에 생산을 하려다보니 철제의 경우 철판의 두께가 얇아지고 기타 재질의 경우 적용 원재료가 나빠져 이들의 장기 사용 시 높은 하중부담으로 인한 바닥패널(1) 부위의 변형 및 훼손이 발생하여 잦은 유지 보수가 필요하고 얼마가지 않아 해체 및 재설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반면 본 고안은 스틸 및 기타 액세스플로어의 보다도 가벼운 저 중량임에도 불구하고 2~3배에 이르는 고 하중 분포의 특징을 가지며 제품 설치 시 기존 제품의 고 중량으로 인하여 건물 하중 부담에 따른 갈수록 더욱 경량화를 요구하는 초고층 빌딩 등에도 더욱 활발히 적용될 것이며 특히 저가 사양의 국내 판매분 대다수가 가격이 저렴한 중국 등지에서 수입하여 설치되는데 만약 알루미늄 경량 액세스 플로어(aluminium access floor)가 출시된다면 가격은 저가이면서 성능은 고가의 제품에 절대 뒤지지 않음으로서 결과적으로 이러한 가격 및 성능상의 여러 이점으로 인하여 고가 시장뿐만 아니라 저가 시장의 양쪽 모두 공략가능 함으로서 고가 및 저가의 국내 시장은 물론 전 세계 시장에 수출 그리고 저가 시장의 중국 수입대체 효과 등 여러 기대 효과를 가져온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닥패널(floor panel)(1) 및 기타 부대설비(accessory) 즉, 프레임(stringer) 지지대(pedestal)(3), 지지대머리(pedestal head), 지지대로드(pedestal rod), 지지대파이프(pedestal pipe), 지지대기초(pedestal base)를 갖는 기존 액세스 플로어에서 특히 알루미늄 소재의 바닥패널(1)의 형상 및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액세스플로어에 관한 것으로서 알루미늄 액세스플로어에 있어서 특수한 용도를 제외하고 개별적인 사용 장소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분산 하중이 각 각 달라짐에도 불구하고 획일적으로 최대 3Ton 이상의 높은 하중에도 견딜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바닥패널(1)의 하부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 1Cm에서 4Cm까지 다양한 높이의 살을 다중의 격자무늬 구조로 배열한 복잡한 형태의 알루미늄 패널이 공급되었으며 이러한 복잡한 바닥 구조를 형상화하기 위해서는 제품 중량은 상당하며 이로 인하여 제품 가격 또한 매우 높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실제 요구되어지는 분산하중이 1Ton 미만인 대다수의 사무실 및 일반 건출물 등에서는 알루미늄 패널(aluminium panel)은 전혀 사용되어질 수 없었고 결과적으로 저가사양인 스틸이나 우드의 액세스플로어가 대다수 장소에 설치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바닥패널(1)을 형상함에 있어서 4Cm 높이의 격자무늬 살(5) 구조를 바닥 전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그 사이에 2Cm 높이의 보조 살(7)을 한 번씩 줌으로서 바닥패널(1) 전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분산시켰고 특히 양 사방 꼭지점 부위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세선의 빗살무늬 살(6) 구조를 추가 형성함으로써 지지대(3)와 실질적으로 맞닿는 주변 부위의 하중을 더욱 보강시켜서 기존 알루미늄 액세스 플로어(aluminium access floor)에 비하면 중량은 훨씬 가벼 우면서 강도는 기존보다도 우수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바닥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알루미늄 경량 액세스 플로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알루미늄 경량 액세스 플로어의 정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의한 알루미늄 경량 액세스 플로어 바닥패널의 하측 평면도.
도 4은 본 고안에 의한 알루미늄 경량 액세스 플로어 바닥패널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바닥패널
2 : 패널마감재
3 : 지지대
4 : 지지대기초
5 : 격자무늬 살
6 : 빗살무늬 살
7 : 보조 살

Claims (1)

  1. 바닥슬래브 위에 이중바닥을 형성하는 액세스 플로어에 관한 것으로,
    바닥패널;
    상기 바닥패널 하부의 바닥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4Cm 높이의 격자무늬 살(5) 구조를 바닥 전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배열하고 그 사이에 2Cm 높이의 보조 살(7)을 한 번씩 줌과 동시에 특히 양 사방 꼭지점 부위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세선의 빗살무늬 살(6) 구조를 추가 형상함으로서 지지대(3)와 실질적으로 맞닿는 주변 부위의 하중을 집중적으로 강화하기위한 이러한 바닥패널(1) 하부에 보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및 다이캐스팅 성형 공법에 의한 알루미늄 경량 액세스 플로어(aluminium light weight access floor).
KR2020080007212U 2008-06-02 2008-06-02 알루미늄 경량 액세스 플로어 KR200900124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212U KR20090012427U (ko) 2008-06-02 2008-06-02 알루미늄 경량 액세스 플로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212U KR20090012427U (ko) 2008-06-02 2008-06-02 알루미늄 경량 액세스 플로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427U true KR20090012427U (ko) 2009-12-07

Family

ID=49299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212U KR20090012427U (ko) 2008-06-02 2008-06-02 알루미늄 경량 액세스 플로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42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4336A (zh) * 2013-03-28 2014-10-01 常州华通新立地板有限公司 一种钢结构活动地板块
KR102615525B1 (ko) 2023-06-13 2023-12-19 주식회사 에스앤와이시스템 스틸보강형 클린룸 알루미늄합금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4336A (zh) * 2013-03-28 2014-10-01 常州华通新立地板有限公司 一种钢结构活动地板块
CN104074336B (zh) * 2013-03-28 2016-12-28 常州华通新立地板有限公司 一种钢结构活动地板块
KR102615525B1 (ko) 2023-06-13 2023-12-19 주식회사 에스앤와이시스템 스틸보강형 클린룸 알루미늄합금 패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2427U (ko) 알루미늄 경량 액세스 플로어
KR101111699B1 (ko) 내진헤드가 구비된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CN102277948A (zh) 水泥装饰复合板及其施工方法
KR100778524B1 (ko) 수평보강지지대가 구비된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및이를 이용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
KR101049961B1 (ko)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
KR200411712Y1 (ko) 보강 액세스 플로어
KR20070065499A (ko) 보강 액세스 플로어
KR20090009452U (ko) 일체형 액세스 플로어
WO2019218177A1 (zh) 一种管线与主体结构分离的住宅的施工方法
KR100778525B1 (ko) 보강지지부가 구비된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CN2856250Y (zh) 带线槽网络活动地板
CN105442796A (zh) 一种大堂背景墙及其制作工艺
JP5013826B2 (ja) 建築物における床支持構造
KR200423554Y1 (ko) 보강지지부가 구비된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JPH0311346B2 (ko)
KR100923977B1 (ko) 내진헤드가 구비된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20100010131U (ko) 크기 및 설치장소에 따라 access floor와 oa floor 에 적용될 수 있는 내강재가 충진 된 이중바닥재
JP3066070U (ja) フリ―アクセスフロア
KR200303022Y1 (ko) 건축물의 사무용 이중 바닥재
JPS6098043A (ja) パネル
KR960001442B1 (ko) 사무용 바닥재
KR101372216B1 (ko) 판넬 지지부재가 구비된 이중바닥재
CN2550442Y (zh) 一种多功能网络架空活动地板
JP2594338Y2 (ja) 簡易型フリーアクセス床ユニット用ピース
CN210110226U (zh) 一种内五面沉浸式显示体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