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216B1 - 판넬 지지부재가 구비된 이중바닥재 - Google Patents

판넬 지지부재가 구비된 이중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216B1
KR101372216B1 KR1020130058663A KR20130058663A KR101372216B1 KR 101372216 B1 KR101372216 B1 KR 101372216B1 KR 1020130058663 A KR1020130058663 A KR 1020130058663A KR 20130058663 A KR20130058663 A KR 20130058663A KR 101372216 B1 KR101372216 B1 KR 101372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upled
head
double floor
floo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정진
이승룡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30058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부자재 중 받침대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판넬 지지부재의 간단한 교체만으로 무기질, 스틸콘 등과 같이 재질 및 안착면의 형상이 서로 다른 판넬을 용이하게 설치시공할 수 있도록 한 판넬 지지부재가 구비된 이중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120)를 구비한 복수의 받침대(100); 상기 헤드(12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판넬 지지부재(200); 및 상기 판넬 지지부재(200)의 상면에 네 모서리부가 각각 안착되는 판넬;을 포함하되, 상기 판넬 지지부재(200)는, 저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판넬(310)을 지지해주는 평탄형 부재(210);와 상부 테두리가 단차지게 형성된 판넬(320)을 지지해주는 단차형 부재(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시공되는 판넬의 종류에 따라 상기 평탄형 부재(210)와 단차형 부재(220)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헤드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판넬 지지부재의 간단한 교체만으로 안착면의 형상이 서로 다른 판넬을 용이하게 설치시공할 수 있고, 복수의 부자재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제조단가 및 조립공수 등을 줄일 수 있으며, 부자재의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판넬 지지부재가 구비된 이중바닥재{Access floor having a panel supporting head}
본 발명은 이중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질 및 안착면의 형상이 서로 다른 판넬을 용이하게 설치 시공할 수 있는 판넬 지지부재가 구비된 이중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클린룸, 학교, 전산실, 병원, 각종 공장 등의 구조체 바닥 위에는 또 다른 바닥을 이격되게 시공하여 그 사이에 정보 및 동력 케이블, 공조시스템 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중바닥재(Access floor)가 활용되고 있다. 즉 배선 및 공기정화 등의 시스템화를 통해 쾌적한 사무환경을 유도하고 배선의 안전 및 융통성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이중바닥재는 액세스 플로어(Access floor)와 사무용 플로어(OA Floor)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 액세스 플로어는 대규모배선 및 바닥내 공조시설, 배수설비가 수용가능하고 방음·방진시설물, 특수시설물, 대형시설물에 적용하는 것이며, 마감재는 주로 대전방지타일과 전도성 타일 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사무용 플로어는 하중이 적고 배선 용량이 적은 일반사무실이나 개보수건물에 주로 사용하는 것이며, 마감재는 주로 카펫타일을 사용한다.
한편, 이중바닥재의 상판으로 사용되는 판넬은 내구성 및 경도의 향상, 방음성, 화재예방 등의 목적에 따라 우드, 무기질, 스틸콘 판넬 등 다양한 재질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에 무기질 판넬을 적용한 이중바닥재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에 스틸콘 판넬을 적용한 이중바닥재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무기질 판넬 설치용 이중바닥재(10)는 저면이 평탄한 복수의 무기질 판넬을 조합하여 시공한 것이다. 이러한 이중바닥재(10)는 지지대(11)와, 지지대(11)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형상의 헤드(13)와, 헤드(13)의 상측에 결합되되 상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기(15a)에 의해 안착홈이 구획 형성되는 가스켓(15)과, 가스켓(15)의 상면에 안착 시공되는 무기질 판넬(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스틸콘 판넬 설치용 이중바닥재(20)는 저면에 복수의 오목홈이 형성된 스틸콘 판넬을 복수장 조합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스틸콘 판넬 설치용 이중바닥재(20)는 지지대(21)와, 지지대(21)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 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안착부(23a)를 구비하는 헤드(23)와, 상기 안착부(23a)의 상면에 가스켓(25)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되 외곽 모서리부에 형성된 단차부(27a) 및 저면이 대응되게 안착 시공되는 스틸콘 판넬(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기 스틸콘 판넬(27)은 스틸 재질의 케이스 내부에 경량발포성 콘크리트 등의 무기질이 충진되는 방식으로 형성된 것으로, 규격의 불변성, 방음성, 내화성 등의 기술적 특성을 가진 판넬이다.
즉 상기 무기질 판넬(17)과 스틸콘 판넬(27)은 그 재질 및 형상이 서로 다른 것으로, 특히 판넬의 저면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스틸콘 판넬(27)은 저면이 계란판 형상과 같은 복수의 오목홈(27b)으로 형성된다.따라서, 스틸콘 판넬(27)의 주 몸체를 이루는 케이스 내부에 충진되는 무기질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높은 내구성 및 하중력을 부여해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오목홈(27b)은 스틸콘 판넬(27) 내부에 마련된 수납공간을 줄여줌으로써 충진되는 무기질의 양을 줄여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스틸콘 판넬(27)이 필요 이상의 무게가 나가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이중바닥재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진 무기질 판넬(17) 및 스틸콘 판넬(27)의 시공시 이에 맞는 복수의 부자재(지지대, 헤드, 가스켓 등)를 각각 구비해야 한다. 즉, 무기질 판넬(17) 및 스틸콘 판넬(27)에 모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부자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복수의 부자재를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제작 비용이 증가하게 됨은 물론, 이를 제각기 보관 및 관리해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부자재 중 받침대 상부에 결합되는 판넬 지지부재의 간단한 교체만으로 무기질, 스틸콘 등과 같이 재질 및 안착면의 형상이 서로 다른 판넬을 용이하게 설치시공할 수 있도록 한 판넬 지지부재가 구비된 이중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판넬 지지부재가 구비된 이중바닥재는,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를 구비한 복수의 받침대; 상기 헤드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판넬 지지부재; 및 상기 판넬 지지부재의 상면에 네 모서리부가 각각 안착 지지되는 판넬;을 포함하되, 상기 판넬 지지부재는, 저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판넬을 지지해주는 평탄형 부재; 또는 상부 테두리가 단차지게 형성된 판넬을 지지해주는 단차형 부재;로 이루어져, 시공되는 판넬의 종류에 따라 상기 평탄형 부재와 단차형 부재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헤드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받침대는, 내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체결관이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판; 및 상기 나사공에 대응되게 나사결합되는 지주봉이 일체로 구비되며, 회전조작에 의해 승하강되는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는, 사각의 판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탄형 부재는, 상기 헤드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에 결합부가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 상기 판넬의 안착공간을 구획해줌과 아울러, 상기 조합되는 판넬이 소정의 틈새를 유지해줄 수 있도록 '+' 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획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차형 부재는, 상기 헤드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에 결합부가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 상기 판넬의 단차부를 지지해줄 수 있도록 '+'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 및 상기 돌기부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상기 조합되는 판넬의 저면 모서리부를 지지해주는 안착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차형 부재는, 상기 판넬이 결합되지 않는 안착홈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평탄면을 형성해주는 메움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착홈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메움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 결합되는 결합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넬 지지부재가 결합된 받침대는, 가로 세로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바를 매개로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바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외곽테두리에는, 상기 판넬 지지부재의 상면 및 외측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결합되는 마감용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과 판넬의 면접부위에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기밀유지용 가스켓이 개재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넬 지지부재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또는 PVC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의 부자재 중 받침대 상부에 결합되는 판넬 지지부재의 간단한 교체만으로 무기질, 스틸콘 등과 같이 재질 및 안착면의 형상이 서로 다른 판넬을 용이하게 설치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부자재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제조단가 및 조립공수 등을 줄일 수 있으며, 부자재의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무기질 판넬을 적용한 이중바닥재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에 스틸콘 판넬을 적용한 이중바닥재의 설치상태도,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넬용 지지부재를 갖는 이중바닥재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기질 판넬용 지지부재의 결합상태도,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평탄형 부재의 다른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틸콘 판넬용 지지부재의 결합상태도,
도 10은 도 9의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바닥재의 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A'부분 상세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차형 부재에 메움부재가 결합된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외곽테두리에 결합되는 마감용 부재의 결합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상면에 가스켓이 설치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넬용 지지부재를 갖는 이중바닥재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무기질 판넬용 지지부재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평탄형 부재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틸콘 판넬용 지지부재의 결합상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바닥재는, 승하강되는 헤드(120)를 구비한 받침대(100)와, 상기 헤드(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판넬 지지부재(200)와, 상기 판넬 지지부재(200)의 상부에 안착되는 판넬(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받침대(100)는 구조체 바닥(G)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측에 안착되는 판넬(300)을 구조체 바닥(G)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100)는 내부에 나사공(미도시)이 형성된 체결관(111)이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판(110)과, 상기 나사공에 대응되게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지주봉(121)이 일체로 구비되며 지주봉(121)의 회전조작에 의해 승하강되는 헤드(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지주봉(121)의 상단은 헤드(12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주봉(121)의 회전조작시 헤드(120)가 동시에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헤드(120)는 상부에 결합되는 판넬 지지부재(200)가 유동하지 않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각의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헤드(12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고정판(110)에는 구조체 바닥(G)에 비스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를 매개로 소정의 위치에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체결관(111)을 회전중심으로 복수의 체결공(113)이 일정각도 이격되게 형성된다.
판넬 지지부재(200)는 저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무기질 판넬(310) 또는 우드 판넬(이하, 무기질 판넬의 경우를 일례로 들기로 함)을 지지해주는 평탄형 부재(210), 또는 상부 테두리가 단차지게 형성된 스틸콘 판넬(320)을 지지해주는 단차형 부재(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판넬 지지부재(200)는 ABS 또는 PVC 재질 등 다양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는 일반용 폴리스티렌의 뛰어난 투명성, 가공성,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유성, 내후성 등을 개선한 것으로, 판넬 지지부재(200)의 용도로 적합하다.
이러한 상기 판넬 지지부재(200)는 시공되는 판넬의 종류에 따라 상기 평탄형 부재(210)와 단차형 부재(220) 중 어느 하나를 헤드(12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다시 말해, 판넬의 종류 및 형상 따라 종래와 같이 헤드(120)를 교체하지 않고 상부에 결합되는 판넬 지지부재(200) 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평탄형 부재(210)는 헤드(1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에 결합부(213)가 구비되는 정육면체 형상의 몸체(211)와, 상기 몸체(211)의 상면에 조합되는 무기질 판넬(310)의 안착공간을 마련해줄 수 있도록 '+' 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획돌기(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러한 평탄형 부재(210)는 후술할 지지바(230)를 매개로 받침대(100)가 설치되는 위치, 즉 프레임이 수평면에서 'ㄱ' 자형, '+'자형, 'T'자형 등으로 조합될 수 있도록 (a), (b)와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절단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단차형 부재(220)는 헤드(1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에 결합부(223)가 구비되는 몸체(221)와, 상기 몸체(221)의 상면에 스틸콘 판넬(320)의 단차부(321)를 지지해줄 수 있도록 '+'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225)와, 상기 돌기부(225)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오목홈(323)이 형성된 스틸콘 판넬(320)의 저면 모서리부를 지지해주는 안착홈부(2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판넬 지지부재(200)가 결합된 받침대(100)는 가로 세로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바(230)를 매개로 이중바닥재의 주된 프레임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바(23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단면이 'ㄷ'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바(230)의 양단에는 관통공(231)이 구비된다.
평탄형 부재(210)의 경우에는 받침대(100)의 헤드(120)에 체결부재(미도시)를 매개로 지지바(230)를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관통공(231)과 대응되는 나사공(123)이 구비된다. 나사공(123)은 지지바(230)가 설치되는 방향과 대응되도록 지주봉(121)을 회전중심으로 일정각도 이격되게 형성된다. (도 5 참조)
도 12를 참조하면, 단차형 부재(220)의 경우에는 체결부재(미도시)를 매개로 지지바(230)를 돌기부(225)에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관통공(231)과 대응되는 나사공(225a)이 구비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중바닥재의 모서리 부위나 측면에 배치되는 받침대(100)의 경우에는 스틸콘 판넬(320)이 모두 결합되지 않는다. 즉 하나의 단차형 부재(220)에 스틸콘 판넬(320)이 한 장 또는 두 장만이 결합되고 나머지 안착홈부(227)가 비워진 채로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비워진 안착홈부(227)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단차형 부재(220)의 상부를 평탄면으로 형성해줄 수 있도록 메움부재(229)가 구비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움부재(229)는 결합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해줄 수 있도록 안착홈부(22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안착홈부(227)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227a)가 형성되고 메움부재(229)의 저면에는 결합돌기(227a)에 대응 결합되는 결합공(229a)이 구비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의 외곽테두리에는 지지바(230) 대신 결합될 수 있도록 마감용 부재(240)가 구비된다. 즉 이중바닥재의 테두리 측면에는 케이스(미도시)가 결합되어 마감되는데, 이러한 측면 테두리 부분에 받침대(100) 연결용으로 지지바(230)를 사용하게 되면 지지바(230)와 케이스가 접하는 부위에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중바닥재의 외곽 테두리에는 지지바(230)에 비해 넓은 너비로 형성되어 사이 틈새를 막아줄 수 있는 마감용 부재(240)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마감용 부재(24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단면이 'ㄷ'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마감용 부재(240)는 결합시 판넬 지지부재(200)의 상면 및 외측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지지바(230) 및 마감용 부재(240)를 단차형 부재(220)에 적용설치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평탄형 부재(210)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중바닥재를 구성하는 주된 프레임과 그 상면에 안착되는 판넬(300)의 면접부위에는 그 사이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실리콘 패드 등) 재질의 가스켓(250)이 개재된다. 가스켓(250)은 유동 방지를 위해 일면에 접착면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마감용 부재(240) 및 가스켓(250) 등이 프레임과 판넬(300) 사이의 틈새를 용이하게 막아줌으로써 이중바닥재 내에 하부공조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 효율적으로 기밀을 유지해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판넬 지지부재가 구비된 이중바닥재는, 시공되는 판넬(300)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부자재를 구비하지 않아도, 받침대(100)의 헤드(120)에 결합되는 판넬 지지부재(200)의 간단한 교체 장착만으로 재질 및 안착면의 형상이 서로 다른 판넬을 용이하게 설치시공 할 수 있다.
예컨대, 저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무기질 판넬(310)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시공대상 바닥(G)에 배치되는 받침대(100)의 헤드(120)에 평탄형 부재(210)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중바닥재를 시공설치한다.
스틸콘 판넬(320)을 적용한 이중바닥재를 설치하는 경우, 전체적인 이중바닥재의 시공과정은 상기 무기질 판넬(310)을 설치하는 과정과 대부분 동일하다. 다만, 스틸콘 판넬(320) 특성상 저면 형상이 무기질 판넬(310)과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이를 지지해주는 판넬 지지부재(200)를 평탄형 부재(210) 대신 단차형 부재(220)로 변경 적용한다. 나머지 부자재는 공용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스틸콘 판넬(320)을 적용한 이중바닥재를 용이하게 시공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받침대 110 : 고정판
111 : 체결관 113 : 체결공
120 : 헤드 121 : 지주봉
200 : 판넬 지지부재 210 : 평탄형 부재
211 : 몸체 213 : 결합부
215 : 구획돌기 220 : 단차형 부재
221 : 몸체 223 : 결합부
225 : 돌기부 227 : 안착홈부
229 : 메움부재 230 : 지지바
240 : 마감용 부재 250 : 가스켓
310 : 무기질 판넬 320 : 스틸콘 판넬
321 : 단차부 323 : 오목홈

Claims (11)

  1.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120)를 구비한 복수의 받침대(100);
    상기 헤드(12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판넬 지지부재(200); 및
    상기 판넬 지지부재(200)의 상면에 네 모서리부가 각각 안착되는 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판넬 지지부재(200)는,
    저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판넬(310)을 지지해주는 평탄형 부재(210); 또는
    상부 테두리가 단차지게 형성된 판넬(320)을 지지해주는 단차형 부재(220);로 이루어져,
    시공되는 판넬의 종류에 따라 상기 평탄형 부재(210)와 단차형 부재(220)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헤드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단차형 부재(220)는,
    상기 헤드(1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에 결합부(223)가 구비되는 몸체(221)와, 상기 몸체(221)의 상면에 상기 판넬(320)의 단차부(321)를 지지해줄 수 있도록 '+'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225)와, 상기 돌기부(225)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상기 조합되는 판넬(320)의 저면 모서리부를 지지해주는 안착홈부(227)와, 상기 판넬(320)이 결합되지 않는 안착홈부(227)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평탄면을 형성해주는 메움부재(229);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홈부(227)에는 결합돌기(227a)가 형성되고, 상기 메움부재(229)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227a)에 대응 결합되는 결합공(229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0)는,
    내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체결관(111)이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판(110); 및
    상기 나사공에 대응되게 나사결합되는 지주봉(121)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지주봉(121)의 회전조작에 의해 승하강되는 헤드(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20)는,
    사각의 판체 형상의 금속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형 부재(210)는,
    상기 헤드(1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에 결합부(213)가 구비되는 몸체(211);
    상기 몸체(211)의 상면에 상기 판넬(310)의 안착공간을 구획해줌과 아울러, 상기 조합되는 판넬(310)이 소정의 틈새를 유지해줄 수 있도록 '+' 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획돌기(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재.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 지지부재(200)가 결합된 받침대(100)는,
    가로 세로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바(230);를 매개로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이중바닥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230)는,
    단면이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곽테두리에는,
    상기 판넬 지지부재(200)의 상면 및 외측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결합되는 마감용 부재(240);를 더 포함하는 이중바닥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판넬의 면접부위에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기밀유지용 가스켓(250);이 개재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이중바닥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 지지부재(200)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또는 PVC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재.
KR1020130058663A 2013-05-23 2013-05-23 판넬 지지부재가 구비된 이중바닥재 KR101372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663A KR101372216B1 (ko) 2013-05-23 2013-05-23 판넬 지지부재가 구비된 이중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663A KR101372216B1 (ko) 2013-05-23 2013-05-23 판넬 지지부재가 구비된 이중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216B1 true KR101372216B1 (ko) 2014-03-07

Family

ID=50648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663A KR101372216B1 (ko) 2013-05-23 2013-05-23 판넬 지지부재가 구비된 이중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2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548A (ja) * 1992-07-16 1994-05-27 Sumitomo Rubber Ind Ltd 二重床のストリンガ固定機構
KR100654577B1 (ko) * 2005-10-07 2006-12-08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클린룸 바닥판넬용 패드 고정구조
JP2008156900A (ja) 2006-12-24 2008-07-10 Om Kiki Corp 床パネルの支持構造
KR100919686B1 (ko) * 2008-08-26 2009-10-06 (주)원광티에프에스 내진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악세스 플로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548A (ja) * 1992-07-16 1994-05-27 Sumitomo Rubber Ind Ltd 二重床のストリンガ固定機構
KR100654577B1 (ko) * 2005-10-07 2006-12-08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클린룸 바닥판넬용 패드 고정구조
JP2008156900A (ja) 2006-12-24 2008-07-10 Om Kiki Corp 床パネルの支持構造
KR100919686B1 (ko) * 2008-08-26 2009-10-06 (주)원광티에프에스 내진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악세스 플로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522885A (ja) 構造的に統合されたアクセス可能な床システム
KR200357517Y1 (ko) 고강성 샌드위치 상판을 적용한 주택용 이중바닥 시스템
KR100761955B1 (ko)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101627670B1 (ko) 공동주택의 건축용 바닥패널
KR101111699B1 (ko) 내진헤드가 구비된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JP6386968B2 (ja) 建物の断熱構造
KR101372216B1 (ko) 판넬 지지부재가 구비된 이중바닥재
KR20060094292A (ko) 층간차음재
JP2015010346A (ja) 防音床構造
KR100778524B1 (ko) 수평보강지지대가 구비된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및이를 이용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
KR101372107B1 (ko) 하부공조용 이중바닥재
KR200423553Y1 (ko) 수평보강지지대가 구비된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100750338B1 (ko) 보강 액세스 플로어
KR20130123127A (ko) 바닥 시공재
KR20090005500U (ko) 경량 칸막이용 벽체 구조
KR100778525B1 (ko) 보강지지부가 구비된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200423554Y1 (ko) 보강지지부가 구비된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200418670Y1 (ko)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JP7266385B2 (ja) 間仕切壁構造、及びこの間仕切壁構造の施工方法
JP6826406B2 (ja) 床構造および天井構造
KR200438190Y1 (ko) 악세스플로어 지지어셈블리
JP3176625U (ja) 床支持構造
JP2016148216A (ja) 建物の床構造及び床構造の製造方法
KR100923977B1 (ko) 내진헤드가 구비된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JP6491551B2 (ja) 建物の吸音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