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712Y1 - 보강 액세스 플로어 - Google Patents

보강 액세스 플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712Y1
KR200411712Y1 KR2020050035724U KR20050035724U KR200411712Y1 KR 200411712 Y1 KR200411712 Y1 KR 200411712Y1 KR 2020050035724 U KR2020050035724 U KR 2020050035724U KR 20050035724 U KR20050035724 U KR 20050035724U KR 200411712 Y1 KR200411712 Y1 KR 200411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loor
bottom panel
access floor
connec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태
황동연
Original Assignee
황기태
황동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기태, 황동연 filed Critical 황기태
Priority to KR2020050035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7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7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슬래브 위에 이중바닥을 형성하는 액세스 플로어에서, 바닥패널; 상기 바닥패널의 아래에서 상기 바닥패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각각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닥슬래브 또는 인접한 지지대에 연결되면서 고정되는 버팀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액세스 플로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로 바닥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수직 및 수평지지력이 증가한다. 즉 바닥패널 밑에서 지지하는 각각의 지지대를 서로 버팀지지대에 의해 지지하거나 지지대 및 버팀지지대를 연결편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지지대의 수직 및 수평지지력이 커지므로, 시공이 간단하고 하자가 적은 견고한 구조의 액세스 플로어를 구축할 수 있다.
액세스 플로어, 바닥패널, 지지대, 버팀지지대

Description

보강 액세스 플로어{Reinforced Access Floor}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 중에서 바닥패널과 지지대의 결합관계 및 지지대연결편 및 버팀지지대연결편이 결합되는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서 액세스 플로어의 연결 및 지지대와 버팀지지대의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바닥슬래브에 설치하는 버팀지지대연결편의 구체예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지지대 연결편과 버팀지지대의 연결을 나타내는 구체예의 측면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바닥패널의 조립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바닥패널 110:쿠션패드 120:패널몸통 ` 130:패널마감재 140:패널밑판 200:지지대(pedestal) 210:지지대머리(pedestal head) 220:지지대로드(pedestal rod) 230:높이조절너트 240:지지대파이프(pedestal pipe) 250:지지대기초 300:지지대연결편(pedestal connector) 400:버팀지지대(prop stick) 410:버팀지지대연결편 500:벽면 510:바닥슬래브 520:트레이 박스(tray box)
기술분야
본 고안은 전산실, 교통통제실 등과 같이 컴퓨터, 모니터, 팩스, 복사기 등이 많이 쓰이는 사무실에서 이들 기기들을 연결하는 데이터선 및 전원선 등의 처리를 위해 설치하는 액세스 플로어(Access Floor)에 관한 것이다.
액세스 플로어란 액세스(ACCESS: 접근, 컴퓨터용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정보를 넣거나 빼내는 일)와 플로어(FLOOR:마루,바닥)의 합성어이다. 따라서,이중마루, 이중바닥 또는 오에이 플로어(O/A floor)라고도 한다.
즉 액세스 플로어는 컴퓨터의 활용이 증대되는 정보화시대에 보다 쾌적하고 효율적인 사무공간 확보를 위해 제안된 이중마루를 말한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액세스 플로어로 시공되지 않은 일반 건물에서는 작은 몰드(쫄대)를 이용해서 전화 또는 전기선을 보호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는 한계가 있었고 컴퓨터의 활용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사무실은 케이블로 더 혼란스러워졌으므로 새로운 바닥구조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액세스 플로어는 위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평탄한 바닥 위에 일정한 높이의 공간을 두어 바닥을 하나 더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 공간에 케이블을 배치하고 케이블의 재배치를 위해 필요에 따라 바닥을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액세스 플로어의 설치가 요구되는 곳은 다음과 같다.
- 전산실 (관공서, 기업) - 전화교환실 (전화국)
- 반도체공장의 클린룸(clean room) - 화학실험실 (공기정화)
- 음향컨트롤 룸(녹음실,스튜디오의 케이블 보호,방진,방음)
- 강의실 (컴퓨터교육,시청각교육)
- 회의실 (화상회의실, 음향장비가 많은 회의실)
- 사무실 (컴퓨터를 많이 활용하는 관공서, 기업)
- 기타 첨단설비공장(먼지,균 발생억제)
액세스 플로어의 종류는 패널의 재료에 따라 스틸우드 복합형, 목재형, 철제형, 알루미늄형 등으로 분류되고 같은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제작형태나 제작방법에 따라 종류가 나뉜다.
1) 목재형 (Wood Core Panel)
목재형은 목재 특유의 보행감각을 유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흡음성이 뛰어나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켜 주는 특성이 있고 비용이 저렴하여 활용도가 높다. 방송실, 강의실, 회의실, 사무실, 연구실, 전화교환실, 금융기관이나 공공기관의 영업장, 전산실, 통신기계실, 컨트롤 룸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화재발생 위험을 없애기 위하여 고밀도 분자 보드(High Density Particle Board)를 채용하고 있다.
2) 철제형 (Steel Panel)
철제형은 상하 패널이 모두 강판(Steel)으로 되어 있으며 특히 아래쪽 패널은 역학적인 구조로 되어 있어 강도가 뛰어나다. 내하중성, 내구성, 견고성, 안전성, 내화성이 우수하여 중앙제어반(MDF)실, 기계실, 방제실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와 같은 철제형 패널의 단점을 보완하고 방진, 방음의 효과를 높이고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 강판 사이에 콘크리트를 채운 철제 시멘트 패널(Steel Cement Panel)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3) 알루미늄형 (Alminium Panel)
알루미늄형은 고순도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든 패널로 내부식성, 내구성이 매우 우수한 경량형 패널이다. 특히 무균, 정전기에 대한 도전성 및 정밀성이 요구 되는 반도체 공장이나 정밀측정기기실, 광학기기실, 시계조립실, 전자기기실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4) 복합형 (Steel & Wood)
목재형과 철제형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개발된 액세스 플로어이며 목재 특유의 보행성을 유지하면서 내하중성과 견고성을 충족시키고 있어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일반 목재형과 비교할때 하중성이 탁월하여(약30%이상) MDF실, 기계실, 전자교환실, 전산실(학교, 기업체, 공공기관), 영업장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액세스 플로어의 설치는 보통 바닥에서 30~40cm 정도의 공간이 생기게 가로세로 약 50cm 정도 되는 정사각형 판에 발을 이중바닥을 형성하고 이 액세스 플로어 밑의 공간에 데이터 선 등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한다.
다만, 종래의 액세스 플로어는 설치장소에서 수개의 지지대를 단독으로 세워 고정시키고 이 위에 바닥패널을 얹어 시공한다.이 경우 단독으로 고정되는 지지대를 사용하는 액세스 플로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각각의 지지대가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지지하는데, 지지대들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에는 구조적 약점이 되어 국소부위 붕괴가 일어나고 결국 전체 액세스 플로어의 구조붕괴로의 위험이 있다.
둘째, 단독으로 고정됨으로 인해 지지대의 수평방향의 전단력에 대한 지지력이 약하다.
세째, 마찬가지고 지지대의 수직방향의 압축력에 대한 지지력도 약하다.
즉 종래의 액세스 플로어에 수평으로 전단력(지진력)이 작용할 때의 전도양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종래의 액세스 플로어는 단독지지대 위에 바닥패널을 올려놓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방식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대에 작용하는 수평전단력에 약하다. 따라서 건물 내부에서 수평력이 액세스 플로어에 전단되면 바닥패널이 옆으로 밀려 오르면서 수평전단력을 견디지 못한 지지대가 쓰러지고 결국 바닥패널이 지지대에서 탈락하게 되어 액세스 플로어 구조의 붕괴를 가져 온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액세스 플로어는 시공 전후에 하자가 발생할 우려가 많고 실제로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액세스 플로어 위에 과도한 하중이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도 단독으로 지지하는 지지대의 지지력을 한계가 있으므로 국부적인 침하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액세스 플로어 구조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지대를 버팀지지대에 의해 연결하거나 지지대와 버팀지지대를 지지대연결편으로 연결함으로써 수직 및 수평지지력이 보강되어 내진성능이 보강된 액세스 플로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바닥슬래브 위에 이중바닥을 형성하는 액세스 플로어에서, 바닥 패널; 상기 바닥패널의 아래에서 상기 바닥패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각각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닥슬래브 또는 인접한 지지대에 연결되면서 고정되는 버팀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액세스 플로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버팀지지대가 바닥슬래브에 고정되는 경우로서,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각각의 버팀지지대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면서 바닥슬래브에 고정시키는 버팀지지대연결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액세스 플로어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각각의 버팀지지대의 일단을 연결해 주는 지지대 연결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액세스 플로어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바닥패널은 밑면에 십자형의 결합부위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대는 그 상단에 상기 바닥패널과 대응하도록 십자형의 결합부위가 볼록하게 형성된 지지대머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액세스 플로어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지지대머리와 상기 바닥패널 사이에 삽설되는 쿠션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액세스 플로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보강 액세스 플로어의 실시예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 중에서 지지대(200)사이를 버팀지지대연결편(410)을 이용하여 버팀지지대(400)에 의해 연결하고 지지대(200)와 버팀지지대(400)를 지지대연결편(300)에 의해 연결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의 구성상의 특징은 버팀지지대연결편(410)을 바닥슬래브(510)에 고정하여 연결하는 방식에 있다. 하지만 실제 액세스플로어 구조의 경우 지지대(200) 사이의 바닥슬래브(510)에는 전선케이블 또는 데이타선케이블의 통로인 트레이 박스(520)를 설치하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전선케이블 등이 지나가는 통로가 되는 바닥슬래브(510)에서는 버팀지지대(400)를 지지대(200)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함으로써 지지대(200)를 지지해주면서 통로를 만들도록 했다. 즉 시공현장의 트레이 박스(520)의 설치위치에 따라 편의대로 실시할 수 있다.
이들 각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의 첨부된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부분상세도로서, 본 고안의 실시중 바닥패널(100)과 지지대(200)의 결합관계 및 지지대연결편(300) 및 버팀지지대연결편(410)이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바닥패널의 유형으로서 철제형, 목재형, 알루미늄형 및 혼합형 등 앞서 설명했는바, 본 고안이 실시되는 시공목적에 적합한 바닥패널을 선택, 구성하여 시공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대(200)를 지지대파이프(240), 높이조절너트(230), 지지대로드(220)로 구성하였다. 먹줄로 표시한 지지대(200)의 설치위치에 지지대기초(250)를 고정한 다음 높이조절너트(230)를 이용하여 지지대(200)의 수평높이를 맞춘다. 이 작업은 액세스 플로어 시공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이 된다. 왜냐하면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 액세스 플로어 위의 하중이 특정부위로 집중하게 됨으로써 액세스 플로어 구조의 내구성에 위해를 주어 하자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지대(200)는 상부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성이 큰 재질이어야 한다. 다만 지지대는 자성을 띠지 않아야 한다. 왜냐하면 바닥패널 위에는 각종 전기관련 기기들이 있으므로 누전 및 감전의 위험이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바닥패널(100)과 지지대머리(210) 사이에 쿠션패드(110)를 삽설함으로써 바닥패널(100)상부의 진동 및 소음의 전달을 감소하거나 막을 수 있다. 즉 바닥패널(1000과 연결되는 지지대머리(210)사이에 상부의 진동 및 소음을 완화시키는 완충장치로서 흡수성이 좋은 쿠션패드(110)를 삽설하여 진동이 적고 조용한 사무실을 구축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액세스플로어를 구축한 사무실은 물론 아랫층의 사무실도 진동 및 소음의 전달이 차단 내지 감소됨으로써 본래 액세스플로어 구축목적에 부합하게 된다.
상기 쿠션패드(110)는 인열강도 와 충격강도, 우수한 복원력 및 부력성을 갖추고 있고 가공이 용이한 일용잡화, 스포츠 레저용 및 산업전반에 걸쳐 용도에 따라 사용되는 쿠션재료을 이용하여 사용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쿠션패드(110) 를 지지대머리(210)와 바닥패널(100)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설하였다. 여기에서 삽설목적은 진동 및 소음의 방지 및 감소에 있으므로 쿠션패드(110)의 삽입량은 바닥패널(100) 상부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도록 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종래의 액세스 플로어와 다른 구성상의 특징은 도 2과 같이 지지대(200)를 고정함에 있어 지지대기초(250)외에 버팀지지대(400)를 더 추가한 점이다. 즉 도 7과 같이 장방형으로 놓인 인접한 지지대(200) 사이마다 버팀지지대(400)를 설치하여 지지대(200)의 수직 및 수평지지력을 강화하여 지지대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버팀지지대(400)의 지지대(200)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높이조절너트(230)의 하부에 지지대연결편(300)을 더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지지대연결편(300)은 제작현장의 여건에 따라 복수개의 버팀지지대(400)와 연결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구체예는 도 5에 나타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지지대(200)에 4개의 직각방향으로 4개의 버팀지지대(400)를 설치하였고, 지지대연결편(300)은 4개의 버팀지지대(400)와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지지대연결편(300)과 버팀지지대(400)의 연결은 볼트결합 또는 핀결합 등으로 구성한다. 즉 버팀지지대(400)의 지지대연결편(300)과 연결되는 끝단을 볼트결합이 가능한 형태로 만들고, 지지대연결편(300)의 연결부위를 너트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양자를 연결할 수 있고, 또한 지지대연결편(300)의 연결부위에 핀고정장치를 만들어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지지대(200)로부터 하향의 사선방향으로 바닥슬래브에 내 려오는 버팀지지대(400)를 바닥에 고정시키거나 별도의 버팀지지대연결편(410)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버팀지지대연결편(410)을 지지대(200)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양 지지대(200)에 연결되어 바닥으로 내려오는 버팀지지대(400)의 타단을 연결하는 실시예를 보였다. 하지만, 예를 들어 액세스 플로어의 양끝단에 있는 지지대(200)의 경우는 더 이상 측면에 지지대(200)를 설치할 수 없으므로 벽면 또는 바닥슬래브에 버팀지지대(400)를 바로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버팀지지대(400)는 설치목적이 지지대(200)의 지지력을 보완해주는 것에 있으므로 지지대(200)사이에서는 바닥슬래브(510)에 고정하고, 벽면(500)에서는 바로 지지대(200)에서 수평으로 벽면에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을 구성하였다
이와 별도로 버팀지지대연결편(410)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보다 안정적인 액세스 플로어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즉, 버팀지지대연결편(410)을 인접한 지지대(200)들 사이에 고정ㆍ설치한 다음, 버팀지지대(410)의 일단을 지지대(200)에 연결하고 타단을 버팀지지대연결편(410)에 연결하여 고정시킨다면 전체로 보았을 때 지지대(200) 모두가 연결되므로 이들이 일체로 거동하는 효과가 생기므로 그만큼 지지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생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지지대(200)와 바닥패널(100) 사 이의 구체적인 조립예와 상기 지지대(200)의 지지를 도와주는 버팀지지대(400)의 연결의 예를 나타내는 구체예의 사시도이다.
먼저 바닥패널(100)과 지지대(200)의 조립은 도 3과 같이 볼트결합에 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조립순서는 먼저 지지대기초(250)를 도 3과 같이 볼트에 의해 고정시킨다. 그 다음 지지대(200)간의 수평높이를 같게 맞춘 다음 마지막으로 바닥패널(100)을 지지대(200)의 머리와 결합시키는 순서로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200)의 머리를 십자형으로 볼록하게 형성하고 바닥패널(100)의 패널밑판(140)을 십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하였다. 즉 지지대머리(210)부분이 오목하게 파인 패널밑판(140)에 결합됨으로써 마치 일체로 제작된 것과 같은 느낌을 주는 동시에 바닥패널(100)과 지지대(200)의 연결을 보다 효과적으로 만들어 주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쿠션패드(110)를 삽입하여 볼트로 조여주어 결합한다면 종래의 액세스 플로어와 비교할 때 지지대(200)와 바닥패널(100)의 결합력이 높아지고 충격 및 진동흡수에 있어서도 유리해 진다.
또한 도 3에는 도 7과와 같이 장방형으로 늘어서 있는 복수의 지지대(200)의 지지를 도와 주는 버팀지지대(400)의 연결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서는 지지대연결편(300) 및 버팀지지대연결편(410)을 이용하여 지지대(200)와 버팀지지대(400)를 연결하고 있지만 이들 지지대연결편(300)없이도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생산단계 또는 설치단계에서 용접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도 4는 바닥슬래브(510)에 설치하는 버팀지지대연결편(410)의 구체예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먼저 버팀지지대연결편(410)을 4개의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바닥슬래브(510)에 고정한다. 그리고 버팀지지대(400)의 타단을 버팀지지대연결편(410)의 연결구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연결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버팀지지대연결편(410)의 연결구의 형상을 원형으로 하였으나 이것은 버팀지지대(400)의 단면을 원형으로 실시하는 경우이므로 버팀지지대연결편(410)의 단면형상에 따라 버팀지지대연결편(410)의 연결구의 형태도 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등 자유로이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5는 지지대연결편(300)과 버팀지지대(400)의 연결을 나타내는 구체예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연결편(300)과 버팀지지대(400)의 일단을 볼트결합을 하는것으로 하였다. 그 이유는 다른체결방식에 비해 볼트결합이 간단하고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바닥패널(100)의 조립도이다.
상기 바닥패널(100)은 패널마감재(130), 패널몸통(120), 패널밑판(140)으로 구분할 수 있다.
패널마감재(130)는 사무실바닥이 되는 부분으로 설치되는 사무실의 용도에 따라 카펫타일, 비닐무석면타일, 전도성타일 등으로 설치할 수 있다.
패널몸통(12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목재, 철재, 알루미늄, 시멘트 등으로 구 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멘트로 바닥패널(100)을 구성하여 내력을 확보하였다.
패널밑판(140)은 지지대머리(210)와 결합을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지지대머리(210)의 형태에 따라 자유로이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지지대머리(210)와의 결합부분을 십자형으로 오목하게 파놓은 실시예를 보였다. 그리고 쿠션패드(110)를 밑판(140)과 지지대머리(210)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진동을 막을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즉 복수의 지지대(200)를 장방형의 형태로 고정시키고 이들을 버팀지지대(400)로 지지한 다음 이 위에 상기 바닥패널(100)을 얹은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들의 구성상의 특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고안의 설치순서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먼저 액세스 플로어의 시공장소(사무실)를 먼지가 없도록 깨끗이 청소한다.
두번째, 지지대(200), 버팀지지대(400) 등이 설치되는 위치 등을 먹줄을 이용하여 먹내기로 표시한다.
세번째, 먹줄이 표시된 위치마다 지지대(200)를 놓고 지지대기초(250)를 바닥슬래브(510)에 앵커 또는 볼트로 고정한다. 그리고 각각 고정된 지지대(250)의 높이를 모두 수평이 되게 조절한다.
네번째, 도 3과 같이 지지대(200) 사이에 버팀지지대(400)의 일단을 지지대(200) 또는 지지대연결편(300)에 연결하고 버팀지지대(400)의 타단을 바닥슬래브(510), 벽면(500) 또는 버팀지지대연결편(410)에 연결하여 고정한다.
다섯번째, 고정된 지지대(200)위에 바닥패널(100)을 얹는다.
여섯번째, 상기 바닥패널(100)의 위 또는 아래로 설치되는 각종 기기들의 연결을 위한 배선작업을 한다.
본 고안의 실시로 바닥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수직 및 수평지지력이 증가한다. 즉 바닥패널 밑에서 지지하는 각각의 지지대를 서로 버팀지지대에 의해 지지하거나 지지대 및 버팀지지대를 연결편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지지대의 수직 및 수평지지력이 커지므로, 시공이 간단하고 하자가 적은 견고한 구조의 액세스 플로어를 구축할 수 있다.

Claims (5)

  1. 바닥슬래브 위에 이중바닥을 형성하는 액세스 플로어에서,
    바닥패널;
    상기 바닥패널의 아래에서 상기 바닥패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각각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닥슬래브 또는 인접한 지지대에 연결되면서 고정되는 버팀지지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액세스 플로어
  2. 제 1항에서,
    상기 버팀지지대가 바닥슬래브에 고정되는 경우로서,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각각의 버팀지지대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면서 바닥슬래브에 고정시키는 버팀지지대연결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액세스 플로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각각의 버팀지지대의 일단을 연결해 주는 지지대 연 결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액세스 플로어.
  4. 제 3항에서,
    상기 바닥패널은 밑면에 십자형의 결합부위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대는 그 상단에 상기 바닥패널과 대응하도록 십자형의 결합부위가 볼록하게 형성된 지지대머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액세스 플로어.
  5. 제 4항에서,
    상기 지지대머리와 상기 바닥패널 사이에 삽설되는 쿠션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액세스 플로어.
KR2020050035724U 2005-12-20 2005-12-20 보강 액세스 플로어 KR200411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724U KR200411712Y1 (ko) 2005-12-20 2005-12-20 보강 액세스 플로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724U KR200411712Y1 (ko) 2005-12-20 2005-12-20 보강 액세스 플로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989A Division KR100750338B1 (ko) 2005-12-20 2005-12-20 보강 액세스 플로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712Y1 true KR200411712Y1 (ko) 2006-03-20

Family

ID=4176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724U KR200411712Y1 (ko) 2005-12-20 2005-12-20 보강 액세스 플로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71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525B1 (ko) 2006-05-24 2007-11-22 황기태 보강지지부가 구비된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102112964B1 (ko) 2019-10-21 2020-05-19 주식회사 참솔테크 장비영역에 지주보강이 필요 없는 내진이중마루
KR20220018217A (ko) * 2020-08-06 2022-02-15 (주)엘엑스하우시스 트러스 보강 구조를 가진 내진 이중마루
KR20220095462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참솔테크 탄성소재를 구비한 지주 보강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525B1 (ko) 2006-05-24 2007-11-22 황기태 보강지지부가 구비된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102112964B1 (ko) 2019-10-21 2020-05-19 주식회사 참솔테크 장비영역에 지주보강이 필요 없는 내진이중마루
KR20220018217A (ko) * 2020-08-06 2022-02-15 (주)엘엑스하우시스 트러스 보강 구조를 가진 내진 이중마루
KR102450504B1 (ko) * 2020-08-06 2022-10-05 (주)엘엑스하우시스 트러스 보강 구조를 가진 내진 이중마루
KR20220095462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참솔테크 탄성소재를 구비한 지주 보강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955B1 (ko)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US5459968A (en) Office floor system
KR200411712Y1 (ko) 보강 액세스 플로어
KR101111699B1 (ko) 내진헤드가 구비된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100750338B1 (ko) 보강 액세스 플로어
KR100966090B1 (ko) 내진성능을 갖춘 이중바닥 구조물
KR100871412B1 (ko) 악세스 후로아 판넬 구조
KR100778524B1 (ko) 수평보강지지대가 구비된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및이를 이용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
KR200423553Y1 (ko) 수평보강지지대가 구비된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200418670Y1 (ko)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100778525B1 (ko) 보강지지부가 구비된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JP2003221924A (ja) 電子機器の転倒防止装置
KR200423554Y1 (ko) 보강지지부가 구비된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100923977B1 (ko) 내진헤드가 구비된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20090009452U (ko) 일체형 액세스 플로어
KR101982672B1 (ko) 내진 기능이 부가된 이중 바닥 패널
KR101400768B1 (ko) 방진지지구조체
KR200152420Y1 (ko) 건축물의 바닥이나 외벽에 적용되는 조립식 판넬
TWM594633U (zh) 米字形支撐腳架
KR101295932B1 (ko) 이중마루의 지주와 지주를 곡선 또는 다각형의 보강대로 연결하여 지주를 보강하기 위한 내진 보강장치
KR20210014026A (ko) 시공이 용이한 내진구조를 갖는 마루틀 시스템
JPS6355256A (ja) フロアパネル
JPH0547703B2 (ko)
JPS63255461A (ja) フリ−アクセスフロアの機器据付装置
JP3095409B2 (ja) システムフロ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