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961B1 -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961B1
KR101049961B1 KR1020110048155A KR20110048155A KR101049961B1 KR 101049961 B1 KR101049961 B1 KR 101049961B1 KR 1020110048155 A KR1020110048155 A KR 1020110048155A KR 20110048155 A KR20110048155 A KR 20110048155A KR 101049961 B1 KR101049961 B1 KR 101049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box
adjusting member
extension rod
nut
power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흠
Original Assignee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8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3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 H02G3/12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with supporting means for mounting on a single wall stu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8Special adaptations of floors for incorporating ducts, e.g. for heating or ventila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콘크리트 타설 이전 배전박스의 정확한 위치조절을 통해 배전박스 내부로 콘크리트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벽면과 수평하게 배전박스가 고정되도록 하여 미관상으로도 양호한 느낌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전박스(10)와, 배전박스(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재(20)와, 배전박스(10)의 각도조절을 위한 각도조절부재(30)와, 길이조절부재(20) 및 각도조절부재(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패널(40)과, 지지패널(40) 및 거푸집용 철근(1)간의 거리를 보상하기 위한 폭조절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FIXING DEVICE OF POWER DISTRIBUTING BOX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타설 이전 배전박스의 정확한 위치조절을 통해 배전박스 내부로 콘크리트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벽면과 수평하게 배전박스가 고정되도록 하여 미관상으로도 양호한 느낌을 주기 위한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동주택인 아파트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아파트는 실내에 모든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주택의 한 형태가 되고 있는데, 기존 공동주택의 벽면 내부에는 옥내배선을 위한 전선이 매설되고, 이 전선을 벽면 밖으로 인출한 후 스위치, 콘센트 등에 접속시키기 위해 배전박스가 거푸집의 내측면에 밀착시되도록 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킨 다음 거푸집을 제거함으로써 배전박스를 매설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배전박스의 매립 방식에 따르면, 거푸집과 배전박스간에 틈이 발생할 경우 그 사이로 콘크리트가 침투되어 전선과 스위치, 콘센트 등을 연결하는 작업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 이유로 현장에서 배전박스의 위치를 보다 간단하게 조절 및 고정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이전 배전박스의 정확한 위치조절을 통해 배전박스 내부로 콘크리트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벽면과 수평하게 배전박스가 고정되도록 하여 미관상으로도 양호한 느낌을 줄 수 있는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면 중앙부에 볼(ball)이 고정되고 각 모서리에 내부가 천공된 원통부가 구비되는 배전박스와; 상기 배전박스의 볼을 1/2 초과하여 둘러싸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나선이 형성된 연장봉으로 이루어진 길이조절부재와; 상기 배전박스의 원통부에 핀고정되고 연장봉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나선이 형성된 각도조절부재와; 상기 길이조절부재의 연장봉 및 각도조절부재가 관통되는 제1 통공이 각각 중앙부 및 모서리에 형성되고 대향 배치되는 거푸집용 철근이 끼움고정되는 제1 탄발브라켓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봉 및 각도조절부재와 결합되는 너트의 조임 또는 풀림 조절에 의해 배전박스의 위치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지지패널과; 상기 철근과 동일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 일측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1 탄발브라켓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탄발브라켓으로 이루어져 지지패널 양측으로 설치가능한 폭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너트를 커버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봉 및 각도조절부재가 관통되는 제2 통공이 수용홈에 형성된 너트덮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는 거푸집용 철근에 설치되는 지지패널과 길이조절부재 및 각도조절부재간의 위치변화를 통해 배전박스가 거푸집에 견고히 밀착되도록 할 수 있어 배전박스 내부로 콘크리트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벽면과 수평하게 배전박스가 고정되도록 하여 미관상으로도 양호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는 기본적으로 배전박스(10)와, 배전박스(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재(20)와, 배전박스(10)의 각도조절을 위한 각도조절부재(30)와, 길이조절부재(20) 및 각도조절부재(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패널(40)과, 지지패널(40) 및 거푸집용 철근(1)간의 거리를 보상하기 위한 폭조절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전박스(10)는 옥내배선을 위해 벽면 내부에 매설되는 전선과 스위치, 콘센트 등을 연결 및 설치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배면 중앙부에 볼(ball)(11)이 고정되고 각 모서리에 내부가 천공된 원통부(12)가 구비되는데, 여기서 볼(11)은 길이조절부재(20)와 연결된 상태에서도 각도조절부재(30)에 의해 배전박스(10)가 특정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원통부(12)는 각도조절부재(30)와 체결되는 부위로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배전박스(10)의 볼(11) 또는 원통부(12)는 그 배전박스(10)와 함께 사출 성형되거나 차후에 용접과 같은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길이조절부재(20)는 배전박스(10)의 볼(11)을 1/2 초과하여 둘러싸는 연결부(21)와, 연결부(2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나선이 형성된 연장봉(22)으로 이루어져, 연장봉(22) 부분이 거푸집용 철근(1)에 고정되는 지지패널(40)에 관통된 상태에서 너트(2)와 결합되어지고 그 너트(2)의 조임 또는 풀림 조절에 따라 배전박스(10)가 수평하게 이동하는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30)는 배전박스(10)의 원통부(12)에 핀고정되고 연장봉(22)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나선이 형성된 것으로, 거푸집용 철근(1)에 고정되는 지지패널(40)에 관통된 상태에서 너트(2)와 결합되어져 너트(2)의 조임 또는 풀림 조절에 따라 배전박스(10)의 특정 모서리를 가압할 시에 볼(11)을 중심으로 그 배전박스(1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음에 따라 길이조절부재(20)와 함께 벽면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내측면에 배전박스(10)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재(30)는 4개 모서리의 특정방향을 가압하기 위해 사용되는 나머지를 제외하고는 배전박스(10)가 거푸집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지지패널(40)을 기준으로 각도조절부재(30) 양측에 설치되는 너트(2)의 조절을 통해 각도조절부재(3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배전박스(10)를 지지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상기 지지패널(40)은 길이조절부재(20)의 연장봉(22) 및 각도조절부재(30)가 관통되는 제1 통공(41)이 각각 중앙부 및 모서리에 형성되고 대향 배치되는 거푸집용 철근(1)이 끼움고정되는 제1 탄발브라켓(42)이 양측에 구비되어, 연장봉(22) 및 각도조절부재(30)와 결합되는 너트(2)의 조임 또는 풀림 조절에 의해 배전박스(10)의 위치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으로, 제1 탄발브라켓(42) 단독으로 철근(1)에 고정되거나 제1 탄발브라켓(42) 및 와이어에 의해 철근(1)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통공(41)으로 관통되는 연장봉(22)에 체결되는 너트(2)를 조절할 시에 배전박스(10)를 잡아 당기거나 연장봉(22)을 거푸집측으로 밀기 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배전박스(10)의 수평방향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해지며 연장봉(22)의 위치조절 완료 후 이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지패널(40)을 기준으로 연장봉(22) 양측에 설치되는 너트(2)의 조절을 통해 그 연장봉(22)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한편, 제1 통공(41)으로 관통되는 4개의 각도조절부재(30)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너트(2)를 조절할 시에 볼(11)을 중심으로 그 배전박스(1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음에 따라, 결과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통해 배전박스(10)의 수평방향에 따른 위치와 각도가 전체적으로 조절될 수 있어 거푸집에 배전박스(10)를 견고히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폭조절부재(50)는 철근(1)과 동일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체결부(51)와, 체결부(51) 일측에 일체로 고정되고 제1 탄발브라켓(42)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탄발브라켓(52)으로 이루어져 지지패널(40) 양측으로 설치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폭조절부재(50)에 따르면, 배전박스(10)가 설치될 곳에 대향 배치되는 철근(1)간 이격거리가 지지패널(40) 길이보다 더 긴 경우 폭조절부재(50)가 철근(1)과 지지패널(40)간 틈 사이를 메꿀 수 있는 이유로 철근(1) 시공 시에 지지패널(40) 설치를 위해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지지패널(40)에 고정된 너트(2), 즉 배전박스(10)의 위치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너트(2)를 커버하기 위한 수용홈(61)이 형성되고 연장봉(22) 및 각도조절부재(30)가 관통되는 제2 통공(62)이 수용홈(61)에 형성된 너트덮개(60)를 설치하여 외부적인 충격이 직접 너트(2)에 가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전박스(10)의 위치변동 요인을 감소시키게 되며, 여기서 너트덮개(60)는 연장봉(22) 및 각도조절부재(30)에 걸쳐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어 별도로 고정시키는 작업이나 수단을 요구하지 않게 된다.

Claims (2)

  1. 배면 중앙부에 볼(ball)(11)이 고정되고 각 모서리에 내부가 천공된 원통부(12)가 구비되는 배전박스(10)와;
    상기 배전박스(10)의 볼(11)을 1/2 초과하여 둘러싸는 연결부(21)와, 상기 연결부(2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나선이 형성된 연장봉(22)으로 이루어진 길이조절부재(20)와;
    상기 배전박스(10)의 원통부(12)에 핀고정되고 연장봉(22)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나선이 형성된 각도조절부재(30)와;
    상기 길이조절부재(20)의 연장봉(22) 및 각도조절부재(30)가 관통되는 제1 통공(41)이 각각 중앙부 및 모서리에 형성되고 대향 배치되는 거푸집용 철근(1)이 끼움고정되는 제1 탄발브라켓(42)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봉(22) 및 각도조절부재(30)와 결합되는 너트(2)의 조임 또는 풀림 조절에 의해 배전박스(10)의 위치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지지패널(40)과;
    상기 철근(1)과 동일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체결부(51)와, 상기 체결부(51) 일측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1 탄발브라켓(42)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탄발브라켓(52)으로 이루어져 지지패널(40) 양측으로 설치가능한 폭조절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2)를 커버하기 위한 수용홈(61)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봉(22) 및 각도조절부재(30)가 관통되는 제2 통공(62)이 수용홈(61)에 형성된 너트덮개(6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
KR1020110048155A 2011-05-20 2011-05-20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 KR101049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155A KR101049961B1 (ko) 2011-05-20 2011-05-20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155A KR101049961B1 (ko) 2011-05-20 2011-05-20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961B1 true KR101049961B1 (ko) 2011-07-15

Family

ID=44923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155A KR101049961B1 (ko) 2011-05-20 2011-05-20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9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807B1 (ko) 2011-11-22 2011-12-29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옥내 배전용 접속함 고정장치
KR101234813B1 (ko) 2012-12-18 2013-02-19 주식회사 신원기술단 공동주택용 매립형 배전박스의 고정 장치
KR101446010B1 (ko) 2014-08-22 2014-09-29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102234611B1 (ko) 2020-11-18 2021-04-01 이광흠 공동주택 건축물의 배전박스 고정장치
KR102423033B1 (ko) * 2022-04-29 2022-07-20 (주)케이앤지씨씨 매립형 전선박스용 벽걸이 거치대의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881B1 (ko) 2006-09-21 2006-12-11 (주)에이텍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100675522B1 (ko) 2006-09-01 2007-01-30 주식회사 티씨엠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 단자함 고정구조
KR100760639B1 (ko) 2007-07-10 2007-09-20 (주)공간이. 엔. 지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100845437B1 (ko) 2008-02-05 2008-07-10 주식회사 정우종합기술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회전관절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522B1 (ko) 2006-09-01 2007-01-30 주식회사 티씨엠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 단자함 고정구조
KR100655881B1 (ko) 2006-09-21 2006-12-11 (주)에이텍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100760639B1 (ko) 2007-07-10 2007-09-20 (주)공간이. 엔. 지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100845437B1 (ko) 2008-02-05 2008-07-10 주식회사 정우종합기술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회전관절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807B1 (ko) 2011-11-22 2011-12-29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옥내 배전용 접속함 고정장치
KR101234813B1 (ko) 2012-12-18 2013-02-19 주식회사 신원기술단 공동주택용 매립형 배전박스의 고정 장치
KR101446010B1 (ko) 2014-08-22 2014-09-29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102234611B1 (ko) 2020-11-18 2021-04-01 이광흠 공동주택 건축물의 배전박스 고정장치
KR102423033B1 (ko) * 2022-04-29 2022-07-20 (주)케이앤지씨씨 매립형 전선박스용 벽걸이 거치대의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961B1 (ko)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
US6578321B2 (en) Embeddable mounting device
US8153910B1 (en) Junction and outlet boxes for in floor wiring systems
KR101220128B1 (ko)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모듈
KR100760639B1 (ko)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100740917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CN205355726U (zh) 一种接线暗盒预埋组件
KR200445323Y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회전관절구조
KR20130130919A (ko) 지관을 이용한 중공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4813B1 (ko) 공동주택용 매립형 배전박스의 고정 장치
KR20110009362U (ko)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셔
KR20160101427A (ko) 조적 벽체용 배전함 지지대
JP3165719U (ja) 設備用基礎構造物
KR101386405B1 (ko) 슬래브 매입형 콘크리트 박스
KR101980665B1 (ko) 도어설치용 모듈러 유닛구조
JP2009102896A (ja) Pc柱接続部における電気的接続構造とその接続方法
KR101049047B1 (ko)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
KR20160000364U (ko) 거푸집 시공 공정 중의 배선함과 철근간의 고정 구조
KR20230123137A (ko) 단열벽체의 높이연장연결박스에서 슬라이드조절장치로 높이를 조절하는 인출구박스
CN108612222A (zh) 装配式复合墙板
JP2015048655A (ja) 太陽光発電装置における太陽光発電パネル架設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87668B1 (ko) 공동주택용 가변식 단자함 고정구
JP3242069U (ja) フェンス
JP2530330Y2 (ja) 横付け用手摺の支柱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