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354U -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354U
KR20090012354U KR2020080007095U KR20080007095U KR20090012354U KR 20090012354 U KR20090012354 U KR 20090012354U KR 2020080007095 U KR2020080007095 U KR 2020080007095U KR 20080007095 U KR20080007095 U KR 20080007095U KR 20090012354 U KR20090012354 U KR 200900123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ase
locking
main body
console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2020080007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354U/ko
Publication of KR200900123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35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에 장착되는 멀티단자 등과 같은 주변기기의 착탈 구조를 개선한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케이스와 캡으로 구성되며 자동차의 센터 페이시아(center facia) 또는 콘솔 등에 장착 가능하도록 록킹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절개된 절취홈이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부로 구성되어 하단을 기준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자동차의 센터 페이시아(center facia) 또는 콘솔 등에 장착이 용이하고, 또한 A/S 등을 위해 차량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외부에서 간편하게 록킹수단의 록킹을 해제시킬 수 있어 탈거가 용이할 뿐 아니라, 탈거시 주변 매칭 부품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에 관한 것이다.
멀티단자, 걸림부, 본체케이스

Description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A housing unit for parts of automobile}
본 고안은 차량에 장착되는 멀티단자 등과 같은 주변기기의 착탈 구조를 개선한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케이스와 캡 및 록킹수단으로 구성하되, 상기 록킹수단은 센터 페이시아 또는 콘솔 등의 외측에서도 간편하게 록킹을 해제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장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센터 페이시아나 콘솔 등에 장착된 상태에서 탈거가 간편하며 탈거시 주변 매칭 부품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 전방의 센터 페이시아(center facia)나 콘솔 등에 장착되는 멀티단자 등과 같은 자동차용 주변기기들은 본체케이스와 캡으로 구성되는 하우징에 내장되어 차량에 장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에는 센터 페이시아나 콘솔 등에 착탈 가능하도록 록킹수단이 구비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주변기기가 내장되는 부품 하우징의 사시도를 나타 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0)와 캡(110)으로 구성되며, 본체케이스(100)의 양측면에는 상기 센터 페이시아나 콘솔 등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록킹수단(120)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록킹수단(120)은 상단을 기준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U' 자 형태의 절취공(125)을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걸림턱(126)이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센터 페이시아나 콘솔 등에 형성되는 주변기기 장착공(도시하지 않음)에 본체케이스(100)를 삽입하여 본체케이스(100)가 록킹수단(120)의 걸림턱(126)에 의해 상기 장착공에 탄성 결합되게 함으로써 차량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주변기기의 부품 하우징은 차량에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록킹수단이 센터 페이시아나 콘솔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A/S 등을 위해 탈거를 실시해야 하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상기 록킹수단의 록킹을 해제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강제로 인출하여 탈거를 실시하게 됨으로써, 센터 페이시아나 콘솔 등과 같은 주변 매칭 부품에 손상을 주거나 심지어 파손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케이스와 캡 및 록킹수단으로 구성하되, 상기 록킹수단은 센터 페이시아 또는 콘솔 등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단을 기준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걸림부를 상기 본체케이스 양측 상단부에 각각 구비하여 센터 페이시아나 콘솔 등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간편하게 록킹수단의 걸림부를 가압하여 록킹을 해제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장착이 용이하고, A/S 등을 위해 탈거가 필요한 경우에도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탈거시 주변부품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케이스와 캡으로 구성되며 자동차의 센터 페이시아 또는 콘솔에 장착 가능하도록 록킹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본체케이스의 양측 상단부에 각각 설치하되, 상부를 가압하여 변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절개된 절개홈이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부로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의 상기 걸림부는 상부에 가압면이 형성되도록 중앙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가압면을 외부에서 가압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걸림턱의 상부면은 착탈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센터 페이시아나 콘솔 등에 장착되는 주변기기가 내장된 부품하우징을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어 장착이 용이할 뿐 아니라, A/S 등이 필요한 경우에도 간편하게 탈거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탈거시 주변 매칭 부품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하우징 유닛은 본체케이스(10)와 캡(30)으로 구성된다.
본체케이스(10)는 멀티단자 등과 같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이 내장되는 것으로서, 상단부에는 캡(30)이 결합될 수 있게 다수개의 후크부(15)가 형성되며 또한 양측면 상단에는 별도의 록킹수단(20)이 구비된다.
록킹수단(20)은 부품하우징 유닛이 센터 페이시아(center facia)나 콘솔(50)(도3에 도시함) 등에 장착될 때 부품하우징 유닛을 고정 지지하여 결합된 상 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절취홈(21)이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부(23)로 구성된다.
걸림부(23)는 본체케이스(1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와 폭으로 하향 절개되어 형성된 절취홈(23)이 양측부에 구비됨으로써, 하단을 기준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걸림부(23)는 중앙부에 횡 방향으로 걸림턱(27)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가압면(24)이 형성되며, 걸림턱(27)의 상부면은 착탈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캡(30)은 본체케이스(10) 상부에 탄성 결합되는 것으로서, 본체케이스(10)의 후크부(15)에 탄성 결합되는 다수개의 걸림구(35)가 하향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캡(30)은 본체케이스(10) 상부에서 가압되어 결합되며, 이때 걸림구(35)는 후크부(15)에 탄성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캡(30)이 본체케이스(10) 상부에 결합되면 캡(30)의 저면(38)은 본체케이스(10)의 걸림턱(27)의 상부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게 되며, 이때 상기 이격 거리는 콘솔(50) 등의 두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한편 걸림부(23)의 가압면(24)에 대응되는 캡(30)의 양측면에는 일정 폭으로 삽입홈(36)이 형성된다.
삽입홈(36)은 콘솔(50) 등에 장착된 부품하우징을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핀셋(60)(도 3에 도시함)이나 가압용구(도시하지 않음)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삽입홈(36)은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원형 또는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캡(30)은 삽입홈(36) 대신에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캡(30)의 걸림구(35)와 본체케이스(10)의 후크부(15)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한정되는 아니며, 후크부(15)는 캡(30)에 형성되고 걸림구(35)는 이에 대응되게 본체케이스(10)에 형성되어 서로 반대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결합구조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부품하우징 유닛이 콘솔(50)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부품하우징 유닛은 본체케이스(10)를 콘솔(50) 등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장착공(55)에 삽입 결합하여 장착시키는 것으로서, 본체케이스(10)를 콘솔(50)의 장착공(55)에 삽입하게 되면, 걸림부(23)의 걸림턱(27) 하측부에 형성된 경사면(26)은 콘솔(50)의 장착공(55)의 측면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 변형되게 되고, 장착공(55)이 슬라이딩 되어 걸림턱(27)의 상부면에 위치하게 되면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걸림부(23)는 탄성적으로 원위치됨으로써 본체케이스(10)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부품하우징 유닛은 본체케이스(10)가 콘솔(50)에 결합되면, 콘솔(50)의 장착공(55)의 저면은 걸림부(23)의 걸림턱(27)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면은 캡(30)의 저면(38)에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걸림부(23)의 가압면(24)은 캡(30)의 삽입홈(36)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 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부품하우징 유닛이 콘솔(50)에 장착된 상태에서 부품하우징 유닛을 콘솔(5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캡(30)의 삽입홈(36)에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핀셋(60)이나 가압용구를 이용하여 화살표와 같이 걸림부(23)의 가압면(24)을 가압하여 걸림부(23)가 내측으로 변형되게 함으로써, 걸림턱(27)이 장착공(55)의 저면으로부터 이탈되게 한 후, 상부로 잡아당겨 분리시키면 되는 것이다.
한편 삽입홈(36)이 없는 경우에는 캡(30)의 저면(38)과 콘솔(50) 사이로 진입될 수 있는 충분히 얇은 핀부재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부품하우징 유닛이 센터 페이시아나 콘솔(50) 등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간편하게 록킹수단(20)의 걸림부(23) 상부를 가압하여 록킹을 해제시킬 수 있어 장착이 용이할 뿐 아니라, 간편하게 탈거시킬 수 있어 탈거시 주변부품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기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서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부품하우징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부품 하우징 유닛이 콘솔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0 : 본체케이스 15 : 후크부
20,120 : 록킹수단 21 : 절취홈
23,126 : 걸림부 24 : 가압면
26 : 경사면 27 : 걸림턱
30,110 : 캡 35 : 걸림구
36 : 삽입홈 38 : 저면
50 : 콘솔 55 : 장착공
60 : 핀셋 125 : 절취공

Claims (3)

  1. 본체케이스와 캡으로 구성되며 자동차의 센터 페이시아 또는 콘솔에 장착 가능하도록 록킹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본체케이스의 양측 상단부에 각각 설치하되, 상부를 가압하여 변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절개된 절개홈이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부에 가압면이 형성되도록 중앙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캡에는 상기 가압면을 외부에서 가압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상부면은 착탈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
KR2020080007095U 2008-05-30 2008-05-30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 KR200900123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095U KR20090012354U (ko) 2008-05-30 2008-05-30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095U KR20090012354U (ko) 2008-05-30 2008-05-30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354U true KR20090012354U (ko) 2009-12-03

Family

ID=4929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095U KR20090012354U (ko) 2008-05-30 2008-05-30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35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1951A (zh) * 2021-12-31 2022-05-24 常州华森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的胸骨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1951A (zh) * 2021-12-31 2022-05-24 常州华森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的胸骨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6837B2 (ja) 連結装置
US8904607B2 (en) Fastening device
JP5061780B2 (ja) リヤバンパカバーの構造
JP2008512285A5 (ko)
US10471909B2 (en) Clip and mounting structure of door trim
JP6193204B2 (ja) 自動取り付け構造を持つハウジング
WO2014065179A1 (ja) サンバイザホルダ
KR20090012354U (ko) 자동차용 부품하우징 유닛
WO2019006278A1 (en) JUNCTION BOX ASSEMBLY WITH GATE-SHAPED TERMINAL COVER RESTRAINT SYSTEM AND REMOVABLE GATE-SHAPE TERMINAL COVER
CN214138455U (zh) 用于方向盘安全气囊的印刷电路板固定组件
KR20090050682A (ko) 운전석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장착구조
JP2001171438A (ja) 自動車用部品の取付装置
KR200320758Y1 (ko) 자동차의 커넥터 고정클립
JPH05238324A (ja) 車載用機器の取付け装置
CN212084940U (zh) 一种保险丝盒的螺栓底座安装结构
KR19990009857U (ko) 자동차 조립라인의 자동인식장치장착구성
JPH11145636A (ja) 筐体の嵌合構造
WO2009024948A2 (en) Flagpole mounting
KR101382824B1 (ko) 스위치 조립체
CN217260441U (zh) 一种摩托车的车体盖结构
JP4577468B2 (ja) クリップ
JP4991603B2 (ja) 端子ホルダ付きコネクタ
JP2002025522A (ja) バッテリパック着脱装置
JP5088120B2 (ja) 電気接続箱
KR200391766Y1 (ko) 고정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