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480U -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480U
KR20090011480U KR2020080006023U KR20080006023U KR20090011480U KR 20090011480 U KR20090011480 U KR 20090011480U KR 2020080006023 U KR2020080006023 U KR 2020080006023U KR 20080006023 U KR20080006023 U KR 20080006023U KR 20090011480 U KR20090011480 U KR 200900114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ight
unit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132Y1 (ko
Inventor
백성호
김정한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6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132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4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4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1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정전 용량 스위치 배선 전극을 구비하는 정전 용량 스위치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라이트 램프와, 상기 라이트 램프에 의하여 생성된 빛을 차량 실내로 출사시키기 위한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를 구비하는 라이트 램프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ROOM LAMP UNIT FOR A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룸램프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작동 모드를 수행하도록 하고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빛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 및 안전 장치의 기능 탑재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근래 다양한 편의 장치들의 부착으로 차량의 대시보다는 운전자의 주행 주의력을 분산시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이에 장치의 단순화 및 컨버전스를 통하여 단일의 장치로 다양한 장치들을 축약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는 단순한 차량 도어 개폐에 따른 조명 출력 여부를 수행하는 조명 장치로 구현되었을뿐 복합적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설계 상의 상당한 제약이 존재하였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따른 로터리식 스위치가 구비되는 스위치 장치류의 경우 사용자가 조작을 위하여 스위치 노브 등을 집중 주 시하여야 함으로 운전자의 운전 주의력을 분산시켜 안전 운행 상태를 유지함에 있어 상당한 문제점이 되었다. 또한, 스위치의 조작 여부를 즉각적으로 인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수반되었다.
본 고안은 운전자의 주행 주의력을 분산시키지 않고 단순하면서도 컴팩트한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를 제공하고, 빛에 의한 즉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하여 주행 주의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정전 용량 스위치 배선 전극을 구비하는 정전 용량 스위치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라이트 램프와, 상기 라이트 램프에 의하여 생성된 빛을 차량 실내로 출사시키기 위한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를 구비하는 라이트 램프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용량 스위치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극을 구비하는 스크롤 정전 용량 스위치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고 폐곡선을 이루는 전극을 구비하는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의 내부에는 내부 영역이 구획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를 향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엔터 광 근접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한 일면에는 상기 엔터 광 근접 스위치를 수용하는 스위치 수용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램프부는 상기 라이트 램프로부터 생성된 빛을 상기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로 전달하기 위한 라이트 도광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차량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라이트 램프부 및 상기 온도 센서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는, 주행 주의력을 분산시키지 않고 컴팩트화된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는,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빛을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작동 모드의 즉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는, 차량 실내 온도에 대응하여 사전 설정된 모드의 빛을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체감 온도의 조절 및 알람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1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1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10)의 인쇄회로기판(2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 스위치부(500)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로서, 도 3의 도면부호 A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10)는 하우징(100)과 인쇄회로기판(200)과 정전 용량 스위치부(500) 및 라이트 램프부(300,400)를 포함는데,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10)는 차량(미도시)의 전방 루프 등과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하우징(100)은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를 포함하는데, 하우 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는 서로 취합되어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 상에는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 장착부(111,113)가 구비되는데,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 장착부(111,113)는 하우징 커버(1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구로 구현된다.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 장착부(111,113)에는 하기되는 라이프 램프부(300,400)의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320,420)이 배치된다.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 상에는 하기되는 정전 용량 스위치부(500)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정전 용량 스위치 표시부(130)가 구비되는데, 정전 용량 스위치 표시부(130)는 단순한 정전 용량 스위치 표시부(130)의 위치를 아이콘 타입으로 표시하기 위한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표시부(131)가 구비된다. 이러한 아이콘 타입의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버튼 표시부(131)는 레이저 에칭 등을 통하여 반투명 상태로 형성되고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램프(미도시) 등으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외부로 출력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정전 용량 스위치 표시부(130)는 돌기 구조의 스크롤 정전 용량 스위치 표시부(131)가 구비되는데, 돌기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가 취하는 스크롤 정도를 촉각을 통하여 체감할 수 있다. 돌기 구조의 스크롤 정전 용량 스위치 표시부(131)는 스크롤 정전 용량 스위치 표시부(131)의 작동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적절한 돌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데,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200)은 외부 전기 요소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인쇄회로기판(200)에는 각종 회로 배선과 전기 소자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정전 용량 스위치부(50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정전 용량 스위치부(500)는 정전 용량 스위치 배선 전극을 구비한다. 정전 용량 스위치부(500)는 사용자의 손가락등이 접근하여 하우징(100)의 하우징 커버(110)에 형성되는 정전 용량 스위치 표시부(131)에 접촉하는 경우 정전 용량 스위치부(500)의 정전 용량 스위치 배선 전극(513a,513b,531, 도 3 및 도 4 참조)에 가해지는 정전기에 의하여 정전 용량 스위치 배선 전극에 전기적 신호 변화가 발생하고 이는 제어부(30, 도 8 참조)로 전달되고 제어부(30)는 저장부(40)와 소통을 이루어 소정의 전기적 신호 변화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다른 장치로 전달하여 소정의 제어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정전 용량 스위치부(500)는 스크롤 정전 용량 스위치(530)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520)를 구비할 수 있다. 스크롤 정전 용량 스위치(530)는 복수 개의 전극, 즉 스크롤 정전 용량 배선 전극(531)을 구비하는데, 스크롤 정전 용량 배선 전극(531)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정전 용량 배선 전극(531)은 서로 등간격을 이루며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일렬 배치되는데, 각각의 스크롤 정전 용량 배선 전극(531)은 인쇄회로기판(200)을 통하여 제어부(30)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예를 들어, 차량 룸램프 유니트(10)의 빛의 밝기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일렬 배치되는 스크롤 정전 용량 스위치 전극(531)으로 구성되는 스크롤 정전 용량 스위치(530)를 손가락을 사용하여 일방향 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하며 접촉 상태를 이루는 경우 각각의 스크롤 정전 용량 스위치 전극(531)은 손가락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기적 신호 변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신호 변화가 제어부(30)로 전달되고 제어부(30)는 변화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10)의 하기되는 라이트 램프부(300,40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생성되는 빛의 밝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도 7 참조).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520)는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되는 단일 전극으로 구성되는데,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520)는 설계 사양에 따라 스크롤 정전 용량 스위치(530)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크롤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20)와, 스크롤 정전 용량 스위치(510)의 상단에 배치되는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스크롤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20)는 스크롤 정전 용량 스위치(5230)에 의한 동작을 완료하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는 핸즈프리의 작동, 썬루프 작동 등과 같은 대상 작동 유니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도 8 참조).
한편, 정전 용량 스위치부(500)는 스위치 기능의 보다 정확한 동작을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는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배선 전극(513a,b,c)을 구비하는데,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배선 전극(513a,b,c)은 도전성 라인으로 인쇄회로기판 상의 배선 라인과 동일한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배선 전극(513a,b,c)은 내부 영역을 구획할 수 있다. 즉,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배선 전극(513a,b,c)은 폐곡선을 이루는 복수 개의 라인으로 구비되는데,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내부 배선 전극(513b)과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외부 배선 전극(511a)과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연결 배선 전극(511c)를 포함한다.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내부 배선 전극(513b)과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외부 배선 전극(511a)은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연결 배선 전극(531c)을 통하여 연결되는데,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내부 배선 전극(513b)은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외부 배선 전극(511a)의 내부에 배치된다.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는 사용자에 의한 손가락 등이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으로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배선 전극(513a,b,c)의 배치 위치 상부에 접촉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는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배선 전극(513a,b,c)의 전기적 신호 변화를 유도하고 이러한 변화된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30)로 전달되어 사용자에 의한 접촉 여부 및 작동 상태 변화 명령을 인지하고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내부 배선 전극(513b)은 내부 영역(515)을 구획하는데, 내부 영역(515)의 내측에는 엔터 광 근접 스위치(511)가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내부 배선 전극(513b)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엔터 광 근접 스위치(511)는 근접 스위치 하우징(511a)과, 근접 스위치 발광부(512a)와, 근접 스위치 수신부(514a)를 포함하는데, 근접 스위치 하우징(511a)과 엔터 광 근접 스위치(511)의 대응되는 하우징 커버(110)에는 광의 외부 출력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 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전 용량 스위치 배선 전극으로 구성되는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는 사용자, 특히 운전자의 손가락을 통한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운전자의 체내에 존재하는 정전 용량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의 변화가 감지되고 이는 제어부(30)로 전달되어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의 작동 상태 여부가 결정된다. 즉, 사용자가 장갑등을 착용하고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를 조작하는 경우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의 접촉에 의한 전기적 신호의 변화는 작동 상태 변화로 인식하도록 사전 설정된 기준 신호 변화 값보다 작아 사용자에 의한 작동 상태 변화 명령이 적절하게 수행되지 않는데, 엔터 광 근접 스위치(511)의 존재로 인하여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의 오동작이 방지 내지 저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와 엔터 광 근접 스위치(511)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 및 엔터 광 근접 스위치(511)는 스위치 기능이 요하는 각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데, 복수 개의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엔터 광 근접 스위치(511)는 등간격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각각의 이격 거리는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간격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엔터 광 근접 스위치(300)는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되는데, 엔터 광 근접 스위치(511)는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엔터 광 근접 스위치(511)는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의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내부 배선 전극(513b)에 의하여 구획되는 내부 영역(515)에 배치되는 데,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되되 일단이 하우징 커버(110)를 향하여 장착된다. 근접 스위치 하우징(511a)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단이 외부와의 빛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재료 내지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 특히 운전자의 손가락이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10)의 일면(111)으로 각각의 엔터 광 근접 스위치(511)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근접 스위치 발신부(512a)로부터 출력되는 빛은 손가락에 의하여 반사되고, 반사된 빛은 근접 스위치 발신부(512a)에 인접한 근접 스위치 수신부(514a)에 수신된다. 따라서, 근접 스위치 수신부(514a)에 수신된 빛의 신호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가 변화하고 이러한 전기적 신호의 변화는 인쇄회로기판(200)의 회로 배선(미도시)을 통하여 외부/내부 전기 장치로서의 제어부(30)로 전달되고, 제어부(30)는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변화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의한 스위치 조작 여부 및 해당 조작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각각의 작동 장치(예를 들어, 차량 스피커, 핸즈프리, MP3 등)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엔터 광 근접 스위치(511)가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의 내부 영역(515)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보다 정확하게 반응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는, 휠 광 근접 스위치는 보다 정확한 작동을 위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커버(110)의 내면에는 스위치 수용부(117)가 구비된다. 즉, 하우징 커버(110)의 내면으로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한 배면에는 요홈 구조의 스위치 수용부(117)가 형성되는데, 스위치 수용부(117)는 엔터 광 근접 스위치(51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가 체결되는 경우 하우징 커버(110)의 배면과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하우징 커버(110)와 인쇄회로기판(200) 상의 간극을 사전 설정된 간극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하우징 커버(110)의 배면은 요홈 구조의 스위치 수용부(117)에 의하여 단차 형성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보다 두께가 큰 엔터 광 근접 스위치(511)가 배치되는 구조로 인하여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의 작동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터 광 근접 스위치(511)의 일단은 스위치 수용부(117)에 수용됨으로써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510)의 버튼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 배선 전극(513a,b,c)가 하우징 커버(110)의 배면에 밀착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라이트 램프부(300,400)는 라이트 램프(310,410)와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320,420)을 포함한다. 라이트 램프부(300,400)는 메인 램프부(300)와 사이드 램프부(400)를 구비하는데, 이들은 동시 동작을 이룰 수도 있고 개별적인 동작 모드로 제어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메인 램프부(300)는 메인 라이트 램프(310)와 메인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320)를 구비하고, 사이드 램프부(400)는 사이드 라이트 램프(410)와 사이드 램프 광출력부(420)를 포함한다. 메인 라이트 램프(310)와 사이드 라이트 램프(410)는 LED와 같은 발광 소자로 구현될 수 있는데, 메인 라이트 램프(310)와 사이드 라이트 램프(410)는 복수 개의 색상의 빛을 출력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메인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320)와 사이드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420)는 빛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프리즘, 렌즈 등과 같은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320)는 하우징 커버(110)에 형성되는 메인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 장착부(111)에 배치되고, 사이드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420)는 사이드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 장착부(113)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320,420)를 통하여 라이트 램프(310,410)로부터 생성된 빛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출력하여 차량 실내의 조명과, 핸즈프리 등의 작동 모드에 따른 빛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한 인지와 더불어 차량 실내의 색채적 미감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라이트 램프부는 빛을 보다 효율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 램프부의 사이드 라이트 램프부(400)는 사이드 라이트 램프(410)와 사이드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420) 사이에 라이트 도광부(43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라이트 도광부(430)는 사이드 라이트 램프(410)로부터 생성된 빛을 하우징 내부에 분산시키기 않고 보다 효율적으로 사이드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420)로 전달하여 외부로 출력되는 빛의 광출력율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10)는 단순한 차량 실내 조명 이외에 다양한 작동 모드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6에 본 고안의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의 작동 제어를 위한 개략적인 블록 선도가 도시되는데, 제어부(30) 및 저장부(40)는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의 외부 및/또는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메인 라이트 램프는(310)는 차량 도어의 열림/닫힘 등과 같은 차량 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온/오프되는 구조를 취하는 룸램프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하되,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10)는 제어부(30)를 구비하여 정전 용량 스위치부 등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한 라이트 램프부 및 다른 작동 유니트(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라이트 램프부가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예로서,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10)의 내부에는 온도 센서(6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온도 센서(60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은 하우징 외부의 차량 실내 공기와의 유동을 위한 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 센서(60)는 차량 실내 온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30)로 전달되며, 제어부(30)는 저장부(40)와 소통을 이루어 입력받은 온도 신호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광출력 모드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고 제어부(30)는 해당하는 광출력 모드에 대한 빛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라이트 램프부(300,400)로 전달하여 소정의 색상의 빛 및/또는 온도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정전 용량 스위치(510) 등은 다양한 작동 모도, 예를 들어 핸즈프리, 썬루프, MP3 등과 같은 작동 유니트(50)를 가동시키기 위한 선택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는데, 터치 정전 용량 스위치(510)와 스크롤 정전 용량 스위치(520), 그리고 상기한 온도 센서(600) 등을 통하여 입력된 신호는 제어부(30)로 전달되고, 제어부(30)는 저장부(40)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한 소정의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메인 라이트 램프(310), 사이드 라이트 램프(410) 및 핸즈프리 등과 같은 작동 유니트(5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빛의 출력은 색상, 세기, 출력 시간 등의 조합을 통하여 다양한 시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 온도에 대응하여 소정의 색상의 빛, 예를 들어 온도가 높은 경우 반대되는 색상의 출력 내지 온도에 상응하는 사전 설정된 색상의 빛의 출력 등을 통하여 시각적 인지 온도의 하강 내지 현재 실내 온도 등의 직접적이면서도 즉각적인 인지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제어 작동 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지 않고, 휠 정전 용량 스위치와 휠 광 근접 스위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를 제공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면 부호 A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100...하우징
200...인쇄회로기판 300...메인 라이트 램프부
400...사이드 라이트 램프부 500...정전 용량 스위치부

Claims (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정전 용량 스위치 배선 전극을 구비하는 정전 용량 스위치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라이트 램프와, 상기 라이트 램프에 의하여 생성된 빛을 차량 실내로 출사시키기 위한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를 구비하는 라이트 램프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용량 스위치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극을 구비하는 스크롤 정전 용량 스위치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고 폐곡선을 이루는 전극을 구비하는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엔터 정전 용량 스위치의 내부에는 내부 영역이 구획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를 향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엔터 광 근접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한 일면에는 상기 엔터 광 근접 스위치를 수용하는 스위치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램프부는 상기 라이트 램프로부터 생성된 빛을 상기 라이트 램프 광출력부로 전달하기 위한 라이트 도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차량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라이트 램프부 및 상기 온도 센서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KR2020080006023U 2008-05-07 2008-05-07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KR200471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023U KR200471132Y1 (ko) 2008-05-07 2008-05-07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023U KR200471132Y1 (ko) 2008-05-07 2008-05-07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480U true KR20090011480U (ko) 2009-11-11
KR200471132Y1 KR200471132Y1 (ko) 2014-02-05

Family

ID=4293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023U KR200471132Y1 (ko) 2008-05-07 2008-05-07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13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237Y1 (ko) * 2011-08-26 2013-04-09 (주)엘이디스튜디오 무드등이 구비된 실내등
KR200472446Y1 (ko) * 2011-12-15 2014-04-3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룸램프 유니트
WO2018074733A1 (ko) * 2016-10-17 2018-04-26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
CN108571680A (zh) * 2017-11-23 2018-09-25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内触摸控制的室内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2153B2 (ja) * 1998-07-22 2009-01-21 日東樹脂工業株式会社 複合型光源装置
JP2000272409A (ja) 1999-03-23 2000-10-03 Kojima Press Co Ltd オーバーヘッドモジュール
JP4368878B2 (ja) 2000-07-07 2009-11-18 矢崎総業株式会社 ランプ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4451862B2 (ja) * 2006-06-19 2010-04-14 ヤック株式会社 Led光源ユニッ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237Y1 (ko) * 2011-08-26 2013-04-09 (주)엘이디스튜디오 무드등이 구비된 실내등
KR200472446Y1 (ko) * 2011-12-15 2014-04-3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룸램프 유니트
WO2018074733A1 (ko) * 2016-10-17 2018-04-26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
CN108571680A (zh) * 2017-11-23 2018-09-25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内触摸控制的室内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132Y1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3119B2 (ja) 自動車モジュールのための光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
EP2402840B1 (en) Touch controlled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s using same
JP6633105B2 (ja) タッチスイッチ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る車両室内照明装置
JP5108602B2 (ja) 車室内照明装置
US20100238677A1 (en) Led illumination module with touch sensitive controls and overhead console using the module
KR101198497B1 (ko) 차량용 램프 모듈 및 그 제어방법
JP5753515B2 (ja) 自動車用照明装置
KR101780907B1 (ko) 스위치 장치
KR200471132Y1 (ko)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KR200457304Y1 (ko)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스위치 장치
KR20180073792A (ko)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KR101305602B1 (ko) 차량 스위치용 모션 인식장치
JP2014162289A (ja) 操作装置
JP5763582B2 (ja) 自動車用照明装置
KR102119664B1 (ko) 차량용 램프 모듈
JP2018052224A (ja) 照明装置
US20230136017A1 (en) Motion gesture sensing device and vehicle-mounted unit manipulation system having same
KR101116997B1 (ko) 스위치 장치
KR101421739B1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JP2012040970A (ja) 車両用室内灯
KR20090111977A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20100049953A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5293487A (ja) 入力装置
KR100942098B1 (ko) 전자기기의 조종 장치
KR200472446Y1 (ko) 룸램프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