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446Y1 - 룸램프 유니트 - Google Patents

룸램프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446Y1
KR200472446Y1 KR2020110011163U KR20110011163U KR200472446Y1 KR 200472446 Y1 KR200472446 Y1 KR 200472446Y1 KR 2020110011163 U KR2020110011163 U KR 2020110011163U KR 20110011163 U KR20110011163 U KR 20110011163U KR 200472446 Y1 KR200472446 Y1 KR 2004724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lamp
unit
light
disposed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781U (ko
Inventor
곽병훈
김태형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1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44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7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7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4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B60Q3/66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for distributing light among several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천장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차량 실내로 빛을 출력하는 룸램프부를 구비하고, 상기 룸램프부는: 상기 기판부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는 룸램프 광원과, 상기 룸램프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전달하는 룸램프 광전달부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룸램프 광전달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빛을 차량 실내로 투과시키는 룸램프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램프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룸램프 유니트{SWITCHING UNIT}
본 고안은 룸램프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성을 개선시킨 구조의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근래 다양한 편의 장치들의 부착으로 차량의 대시보다는 운전자의 주행 주의력을 분산시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이에 장치의 단순화 및 컨버전스를 통하여 단일의 장치로 다양한 장치들을 축약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는 단순한 차량 도어 개폐에 따른 조명 출력 여부를 수행하는 조명 장치로 구현되었을뿐 제조 및 유지 보수에 상당한 제약이 존재하였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따른 룸램프는 렌즈 커버로 기능하는 룸램프 커버를 볼트 등을 통하여 고정 장착하는 구조를 통하여 작업자의 제조 시간을 상당히 더디게 하여 공정 속도를 상당히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또한, 운전자 등이 원활하게 사용하기 어려운 구조를 취할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로의 빛의 전달 효율성이 낮은 구조를 취한다는 문제점도 수반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작 버튼을 전후좌우 4방향 누름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되 부품수를 최소화하고 오동작을 방지하는 구조의 사용자에 의한 간편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더욱 안전한 주행 성능을 제공하는 룸램프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의 천장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차량 실내로 빛을 출력하는 룸램프부를 구비하고, 상기 룸램프부는: 상기 기판부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는 룸램프 광원과, 상기 룸램프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전달하는 룸램프 광전달부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룸램프 광전달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빛을 차량 실내로 투과시키는 룸램프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램프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룸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상기 룸램프 커버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메인 기판과, 상기 메인 기판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메인 기판과 연결되는 서브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룸램프 광원은 상기 서브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룸램프 광전달부는: 상기 룸램프 광원의 외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광전달 도광부와, 상기 광전달 도광부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기판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외주면을 통하여 빛을 출사시키는 광전달 광섬유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룸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 광섬유의 양단에는 상기 룸램프 광원과 상기 광전달 도광부가 각각 마주하며 쌍을 이루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룸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판의 일면으로 상기 광전달 광섬유를 향한 일면에는 상기 광전달 광섬유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상기 룸램프 커버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룸램프 반사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룸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룸램프 광원의 온/오프 상태를 조정하도록, 상기 룸램프 커버의 하면에 배치되는 룸램프 터치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룸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차량 실내 천장에 배치되는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와 맞물리어 상기 기판부 및 상기 룸램프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상기 메인 기판과 연결되는 조도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룸램프부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조도를 조정하기 위한 룸램프 조도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룸램프 조도부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하면으로 상기 조도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조도 정전용량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룸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조도 정전용량 스위치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 커버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조도 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룸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조도 돌기는 일렬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크기가 순차적으로 변화, 즉 순차적으로 증대되거나 내지 순차적으로 감소될 수도 있다.
상기 룸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일측에는 푸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서브 램프 스위치 노브와, 상기 서브 램프 스위치 노브에 의하여 가동되고, 상기 메인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서브 램프 스위치와, 상기 메인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 램프 스위치에 의하여 온/오프 가동되는 서브 램프 광원과, 상기 하우징 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 램프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차량 실내로 투과시키는 서브 램프 커버를 포함하는 서브 램프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 실내로의 빛의 전달 효율성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의 룸램프 광전달부를 구비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룸램프 유니트는 룸램프 광전달부 등의 구조를 토하여 내구성과 원가 절감 및 유지보수가 원활한 간단한 구조의 차량 실내 조명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룸램프 유니트는 터치 구조의 룸램프 터치부를 통하여 운전자 등의 탑승자가 전방 주의력을 상실하지 않고 원활하게 조작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룸램프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룸램프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룸램프 유니트의 도 2의 선 I-I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 II-II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선 III-III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룸램프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룸램프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룸램프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룸램프 유니트의 도 2의 선 I-I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도 2의 선 II-II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2의 선 III-III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룸램프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룸램프 유니트(10)는 하우징(100)과, 기판부(200)와, 룸램프부(300)를 구비한다.
하우징(100)은 차량(미도시)의 천장에 장착되는데, 하우징(100)은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커버(110)를 포함한다. 하우징 바디(120)는 차량의 실내 천장(미도시)에 위치 고정되어 장착되는데, 하우징 바디(120)는 차량 실내 천장에 매입되는 구조를 취한다. 하우징 커버(110)는 하우징 바디(110)와 맞물리어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하기되는 기판부(200)와 룸램프부(300)가 내부 장착되는 구조를 취한다.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 상에는 하기되는 룸램프부(300)의 룸램프 커버(310)가 배치된다.
기판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데, 기판부(200)는 커넥터(미도시)를 통하여 제어부(미도시) 또는 전원부(미도시) 등의 외부 전기 장치와 연결된다. 기판부(200)는 일반적인 pcb가 사용될 수도 있고, 하기되는 룸램프부의 룸램프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발산시키기 위하여 메탈 기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기판부(200)는 메인 기판(210)과 서브 기판(220)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기판부(200)는 조도 기판(230)을 더 구비하는 구조를 취한다. 메인 기판(210)은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커버(11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메인 기판(210)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커넥터(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 연결되는데, 메인 기판(210)은 차량의 실내 천장과 평행하게, 즉, 하기되는 룸램프부(300)의 룸램프 커버(31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서브 기판(220)은 메인 기판(210)에 수직하게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서브 기판(220)은 메인 기판(210)의 일면 상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 기판(220)은 쌍으로 구비되고,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조도 기판(230)은 하우징 커버(110)의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데, 조도 기판(230)은 메인 기판(210)과 배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조도 기판(230)에는 하기되는 조도 정전용량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룸램프부(300)는 기판부(200)와 전깆거으로 연결되고 차량 실내로 빛을 출력하는데, 룸램프부(300)는 룸램프 광원(320)과 룸램프 광전달부(330)와 룸램프 커버(310)를 구비한다. 룸램프 광원(320)은 기판부(200), 즉 메인 기판(210)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서브 기판(220)의 일면 상에 배치 연결되는데 입력되는 전깆거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한다. 룸램프 광원(320)은 LED 등의 광원 소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룸램프 커버(310)는 하우징(100), 즉 하우징 커버(110)에 배치되고 룸램프 광원(320)으로부터 생성되어 하기되는 룸램프 광전달부(330)를 통하여 전달되는 빛을 차량 실내로 투과시킨다. 룸램프 커버(310)는 PMMA, PP와 같은 투광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룸램프 광전달부(330)는 룸램프 광원(320)으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외부로 전달하는데, 룸램프 광전달부(330)는 광전달 도광부(331)와 광전달 광섬유(333)를 포함한다. 광전달 도광부(331)는 소정의 도광 블록으로 형성되는데, 일측면에서 룸램프 광원(320)을 포획하도록 형성되어 룸램프 광원(320)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가능한 최대로 입사되도록 한다. 광전달 도광부(331)는 룸램프 커버(310) 측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상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일측은 룸램프 광원(320)으로부터의 빛을 전달받고 타측에 연결되는 광전달 광섬유(333)와의 연결을 위하여 이와 같은 기하적 형상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전달 광섬유(333)는 일단이 광전달 도광부(331)와 연결되는데, 광전달 광섬유(333)는 측면 발광 방식의 광섬유로 형성된다. 즉, 일단으로부터 입력된 빛을 광전달 광섬유(333)의 외주면을 통하여 출사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룸램프 광원(320)으로부터 생성되어 광전달 도광부(331)로 입력된 빛은 광전달 광섬유(333)의 외주를 통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본 실시예서, 광전달 도광부(331)와 룸램프 광원(320) 및 서브 기판(220)은 한 쌍이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즉, 메인 기판(210)의 일면 상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서브 기판(22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각의 서브 기판(220)에 룸램프 광원(320)이 배치되고, 룸램프 광원(320)에 인접하여 각각의 룸램프 광원(320)으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최대한 포획하기 위하여 광전달 도광부(331)의 일측이 룸램프 광원(320)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서로 마주하여 이격되는 한 쌍의 광전달 도광부(331)의 사이에 광전달 광섬유(333)가 배치되는데, 광전달 광섬유(333)의 각각의 단부에서 광전달 도광부(331)가 연결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룸램프 유니트(10)는 광전달 광섬유(333), 즉 외주면을 통하여 빛을 출사키시는 측면 출사 구조의 광전달 광섬유(333)를 통하여 출사된 빛이 차량 실내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룸램프 반사부(3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룸램프 반사부(340)는 메인 기판(210)의 일면으로 광전달 광섬유(333)를 향함 일면에 배치되는데, 룸램프 반사부(340)는 광전달 광섬유(333)의 외주면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룸램프 커버(310) 측으로 반사하여 전달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빛의 출력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룸램프 유니트(10)는 탑승자에 의한 신속한 온/오프 동작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룸램프 유니트(10)의 작동을 위한 스위치로가 구비되는데, 스위치는 터치센서로서의 룸램프 터치부(350)로 구현될 수 있다. 룸램프 터치부(350)는 정전용량 센서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룸램프 터치부(350)는 룸램프 커버(310)의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탑승자의 손이 룸램프 커버(310)에 접하는 경우 룸램프 터치부(350)에서의 전기적 신호가 변화하고 이를 통하여 온/오프 신호를 절환함으로써 룸램프 광원(320)으로 입력되는 전원의 허용 내지 차단을 이루로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터치 센서 타입의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자 내지 탑승자 등이 특정 스위치 위치에 국한되지 않고 신속하게 손을 뻗어 접촉함으로써 차량 실내 조명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룸램프 유니트(10)는 예를 들어 좌우 분할된 대칭적 배치 구조를 취하여 각각의 공간에 대한 조명 상태 변화를 조정할 수도 있다. 즉, 하우징 바디(12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격벽(130)이 배치되고, 격벽(130)을 기준으로 서로 쌍을 이루며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여 빛의 조사 영역을 분할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룸램프 유니트(10)는 룸램프 광원(320)에 인가되는 빛의 출력 상태, 즉 조도 상태를 변화시키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룸램프 유니트(10)는 룸램프 조도부(400)를 더 구비하는데, 룸램프 조도부(400)는 조도 정전용량 스위치(420)를 포함한다. 조도 정전용량 스위치(420)는 조도 기판(23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조도 정전용량 스위치(4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정전용량 스위치로 구현된다. 이와 같이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정전용량 스위치 구조의 조도 정전용량 스위치(420)를 통한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통하여 룸램프 광원(320)에 인가되는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차량 실내 조도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룸램프 조도부(400)는 운전자 등의 탑승자가 룸램프 조도부(400)를 조정함에 있어 조도 상태 변화시키기 위한 스위칭 상태 변화를 촉각적으로 감지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룸램프 조도부(400)는 조도 돌기(410)를 더 구비하는데, 조도 돌기(410)는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 상으로 조도 정전용량 스위치(420)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조도 돌기(410)는 조도 정전용량 스위치(420)와 같이 복수 개가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조도 돌기(410)는 일렬 배치되고 각각의 조도 돌기의 크기가 일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 내지 감소하는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은 조도 돌기를 통하여 탑승자가 손으로 하우징 커버(310)의 일면 상을 따라 손가락을 이동시키는 경우 조도 돌기의 크기 변화를 통하여 현재 조도 상태 변화량 정도를 촉각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도 돌기의 일렬 배치되는 일예로서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조도 돌기가 순차적으로 원을 그리며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룸램프 유니트(10)는 룸램프부(300) 이외 별도의 보조적인 서브 램프부(5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서브 램프부(500)는 서브 램프 스위치 노브(510)와 서브 램프 스위치(520)와 서브 램프 광원(530)과 서브 램프 커버(540)를 포함하는데, 서브 램프 스위치 노브(510)는 하우징 커버(110)의 일측에 배치된다. 서브 램프 스위치 노브(510)는 하우징 커버(110)에 대하여 푸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서브 램프 스위치(520)는 메인 기판(210)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 서브 램프 스위치(520)를 위한 별도의 기판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서브 램프 스위치 노브(510)의 하면에는 서브 램프 스위치 노브 가동부(511)가 구비되는데, 서브 램프 스위치 가동부(511)는 서브 램프 스위치(520)를 가동시켜 소정의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생성한다. 경우에 따라 서브 램프 스위치 노브와 서브 램프 스위치 사이에 별도의 플런저를 통하여 가동 연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서브 램프 스위치(520)는 택트 스위치로 구현되나 별도의 러버 패드 스위치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푸시 스위치 구조를 이루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서브 램프 스위치(520)의 전기적 신호의 변화에 의하여 서브 램프 광원(530)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가 변화하여 서브 램프 광원(530)의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진다. 서브 램프 광원(530)은 메인 기판(21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서브 램프 광원(530)은 LED 등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 램프 광원(530)의 대응되는 위치에 서브 램프 커버(540)가 배치되는데, 서브 램프 커버(540)를 통하여 서브 램프 광원(530)의 빛이 차량 실내로 전달된다. 경우에 따라 서브 램프 광원과 서브 램프 커버 사이에 누광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서브 램프 광원은 운전자 내지 조수석을 향하여 빛을 출력하는 구조를 취하도록 배향되는 배치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200...기판부
300...룸램프부 400...룸램프 조도부
500..서브 램프부

Claims (9)

  1. 차량의 천장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차량 실내로 빛을 출력하는 룸램프부를 구비하고, 상기 룸램프부는: 상기 기판부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는 룸램프 광원과, 상기 룸램프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전달하는 룸램프 광전달부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룸램프 광전달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빛을 차량 실내로 투과시키는 룸램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상기 룸램프 커버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메인 기판과, 상기 메인 기판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메인 기판과 연결되는 서브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룸램프 광원은 상기 서브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룸램프 광전달부는: 상기 룸램프 광원의 외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광전달 도광부와, 상기 광전달 도광부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기판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외주면을 통하여 빛을 출사시키는 광전달 광섬유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램프 유니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 광섬유의 양단에는 상기 룸램프 광원과 상기 광전달 도광부가 각각 마주하며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램프 유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판의 일면으로 상기 광전달 광섬유를 향한 일면에는 상기 광전달 광섬유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상기 룸램프 커버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룸램프 반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램프 유니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룸램프 광원의 온/오프 상태를 조정하도록, 상기 룸램프 커버의 하면에 배치되는 룸램프 터치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램프 유니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차량 실내 천장에 배치되는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와 맞물리어 상기 기판부 및 상기 룸램프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상기 메인 기판과 연결되는 조도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룸램프부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조도를 조정하기 위한 룸램프 조도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룸램프 조도부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하면으로 상기 조도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조도 정전용량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램프 유니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정전용량 스위치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 커버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조도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램프 유니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돌기는 일렬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크기가 순차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램프 유니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일측에는 푸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서브 램프 스위치 노브와,
    상기 서브 램프 스위치 노브에 의하여 가동되고, 상기 메인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서브 램프 스위치와,
    상기 메인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 램프 스위치에 의하여 온/오프 가동되는 서브 램프 광원과,
    상기 하우징 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 램프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차량 실내로 투과시키는 서브 램프 커버를 포함하는 서브 램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램프 유니트.



KR2020110011163U 2011-12-15 2011-12-15 룸램프 유니트 KR2004724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163U KR200472446Y1 (ko) 2011-12-15 2011-12-15 룸램프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163U KR200472446Y1 (ko) 2011-12-15 2011-12-15 룸램프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781U KR20130003781U (ko) 2013-06-26
KR200472446Y1 true KR200472446Y1 (ko) 2014-04-30

Family

ID=51489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163U KR200472446Y1 (ko) 2011-12-15 2011-12-15 룸램프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44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411Y2 (ja) * 1990-01-31 1995-05-17 東急車輌製造株式会社 乗物客室内ディスプレイ装置
JP4097927B2 (ja) 2001-11-01 2008-06-1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KR20090011480U (ko) * 2008-05-07 2009-11-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JP2010517237A (ja) 2007-01-30 2010-05-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発光床表面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411Y2 (ja) * 1990-01-31 1995-05-17 東急車輌製造株式会社 乗物客室内ディスプレイ装置
JP4097927B2 (ja) 2001-11-01 2008-06-1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2010517237A (ja) 2007-01-30 2010-05-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発光床表面
KR20090011480U (ko) * 2008-05-07 2009-11-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781U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3105B2 (ja) タッチスイッチ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る車両室内照明装置
CN100452262C (zh) 电子按钮开关
KR101198497B1 (ko) 차량용 램프 모듈 및 그 제어방법
US11801752B2 (en) Motor vehicle control device
WO2011021233A1 (ja) 表示装置
US9140442B2 (en) Low-profile illuminated switch assembly
JP4390284B2 (ja) 車両用室内灯
EP2943374A2 (en) A thin overhead console for a vehicle
CN210390939U (zh) 用于车辆的非接触式室内灯装置
KR200472446Y1 (ko) 룸램프 유니트
KR20180073792A (ko)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KR200471132Y1 (ko)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WO2018038291A1 (ko)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JP5763582B2 (ja) 自動車用照明装置
KR102119664B1 (ko) 차량용 램프 모듈
KR101155265B1 (ko) 다방향 스위치 장치
JP2012040970A (ja) 車両用室内灯
CN104321496A (zh) 用于机动车辆的操作元件
JP2018041690A (ja) 電子機器スイッチおよび弾性体
CN210891554U (zh) 一种灯及汽车
KR102515107B1 (ko) 차량용 터치 스위치 유닛
CN107147384B (zh) 用于传感器开关按钮的具有符号照明的启动板
KR200456907Y1 (ko) 미러 스위치 장치
KR200250021Y1 (ko) 원텃치온오프스위치를구비한차내조명기구
JP2023016568A (ja) スイッチ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