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806U - 음식물 성형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성형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806U
KR20090009806U KR2020080003893U KR20080003893U KR20090009806U KR 20090009806 U KR20090009806 U KR 20090009806U KR 2020080003893 U KR2020080003893 U KR 2020080003893U KR 20080003893 U KR20080003893 U KR 20080003893U KR 20090009806 U KR20090009806 U KR 200900098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molding
plate
shap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동기
Original Assignee
민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동기 filed Critical 민동기
Priority to KR2020080003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9806U/ko
Publication of KR200900098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806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에 관통 홀이 형성된 성형판을 평평한 밑판 위에 올려놓고, 그 관통홀에 음식물 재료를 놓고 하나의 평판을 사용하여 상부로부터 압력을 가하여 음식물의 형상을 성형하는 음식물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재료에 압착을 가해 음식물의 형상을 성형하는 음식물 성형기는, 임의의 형상을 갖는 평판으로서 상기 평판의 중앙에는 임의의 형상의 관통 홀이 형성되며 이 관통 홀에 음식물 재료가 놓이게 되는, 성형판; 및 상기 관통홀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나의 평판으로서 상기 관통홀에 놓인 음식물 재료를 상부에서 압착하여 상기 관통홀의 형상에 따라서 음식물의 형상을 성형하는, 성형 압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성형 압착기의 상면 중앙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성형압착기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손잡이는 수직, 수평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음식물 재료와 접촉하는 성형 압착기의 하면에는 음식물의 상면의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성형 압착기는, 상기 성형 압착기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될 때 상기 성형 압착기와 상기 관통홀의 측벽 사이에 일정 간격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성형판 외측 일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는 성형판의 측면에 평행하게 접히도록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성형기{FOOD FORMER}
본 고안은 음식물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에 관통 홀이 형성된 성형판을 평평한 밑판 위에 올려놓고, 그 관통홀에 음식물 재료를 놓고 하나의 평판을 사용하여 상부로부터 압력을 가하여 음식물의 형상을 성형하는 음식물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리는 음식물 재료를 일정한 형상으로 만들어서 조리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음식물 재료에 모양을 내는 별다른 도구가 없어서 요리사가 음식물 재료를 손으로 만져가면서 일일이 형상을 만들었다.
요리사가 직접 형상을 만들게 되면, 요리사의 솜씨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신속하면서도 대량으로 음식물을 성형해야 하는 경우에는 효율이 저감되며, 인건비 또한 큰 부담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는 대량 생산용 음식물 성형기가 제작되었지만 단가가 높으며 새로운 형상으로 음식물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성형기을 제작해야 하므로 비용이 만만치 않아서 공장이나 음식점 등에는 적합할지 몰라도 일반 가정에서 활용하기에는 부담이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그리고 특별한 기술이 없더라도, 음식물 재료를 쉽고 빠르게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음식물 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라서, 음식물 재료에 압착을 가해 음식물의 형상을 성형하는 음식물 성형기는, 임의의 형상을 갖는 평판으로서 상기 평판의 중앙에는 임의의 형상의 관통 홀이 형성되며 이 관통 홀에 음식물 재료가 놓이게 되는, 성형판; 및 상기 관통홀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나의 평판으로서 상기 관통홀에 놓인 음식물 재료를 상부에서 압착하여 상기 관통홀의 형상에 따라서 음식물의 형상을 성형하는, 성형 압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 압착기의 상면 중앙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압착기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손잡이는 수직, 수평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음식물 재료와 접촉하는 성형 압착기의 하면에는 음식물의 상면의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 압착기는, 상기 성형 압착기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될 때 상기 성형 압착기와 상기 관통홀의 측벽 사이에 일정 간격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판 외측 일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는 성형판의 측면에 평행하게 접히도록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착판의 하면에 형성된 성형홈은 하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착판의 하면에 형성된 성형홈은 단풍잎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착판의 하면에 형성된 성형홈은 강아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착판의 하면에 형성된 성형홈은 토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판 및 성형 압착기의 재질은 나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판 및 성형 압착기의 재질은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판 및 성형 압착기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성형기를 실시함으로서, 음식물 재료를 성형하는데 별도의 기술이 필요치 않으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쉽고 빠르게 제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성형기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성형기에서 성평판의 중앙 홈에 음식물 반죽을 올려 놓은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성형기에서 성형 압착기를 이용하여 성평판에 놓인 음식물을 압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고안에 따라 성형이 완성된 음식물을 음식물 성형기에서 분리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테두리가 있는 음식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성형 압착기의 분해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성형 압착기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음식물 성형기
100: 성형 압착기
32: 관통홀
30: 성형판
20, 34: 손잡이
10, 11: 압착판
12: 성형홈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본 실시예는 고안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지 이 실시예에 고안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됨을 알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성형기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성형기(10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평판 형상을 갖으며 중앙에는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음식물 재료, 예를 들면, 반죽 등이 이 관통홀에 놓여서 홀의 형상에 따라서 음식물의 형상이 성형되는, 성형판(30)과, 이 관통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조되어 음식물 반죽 등을 상부에서 압착하여 관통홀의 형상에 따라서 음식물이 성형되도록 하는 성형 압착기(100)로 이루어진다.
한편, 성형판(30)은 평평한 밑판(40) 위에 놓여서 사용된다. 따라서 성형판(30)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음식물 재료를 담으면 이 재료는 밑판 상에 놓이게 된다. 또한, 상기 성형판(30)의 외부 일측면에는 손잡이(34)가 부착된다. 사용자는 이 손잡이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는 음식물 재료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밑판(40)의 상면에는 상기 성형판(30)의 외측 형상의 모서리에 일치하게 고정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성형판(30)을 고정부(50)에 맞추어 놓고서 작업을 하면 성형판(3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성형 압착기(1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성형판(3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의 형상과 일치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성형판(30)에서는 중앙의 관통홀이 원형을 갖으므로 성형 압착기도 원형을 갖게 된다. 만일 성형판의 관통홀이 사각형을 갖으면 성형 압착기 역시 동일하게 사각형을 갖을 수 있다.
성형 압착기(100)에는 상면의 중앙에 돌출된 손잡이(20)가 있다. 이 손잡이(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서 성형판(30)의 관통홀에 음식물 재료가 놓일 때 성형 압착기(30)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압착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성형 압착기(30)의 하면 즉, 음식물과 직접 접하는 면에는 여러 가지 무늬가 성형될 수 있다. 후술되겠지만, 이 무늬에 따라서 성평판의 관통홀에 놓인 음식물 재료의 상면 형상이 결정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성형기에서 성평판의 관통홀에 음식물 재료를 올려놓은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밑판(40)의 상면에 성형판(30)을 올려놓고, 상기 성형판(30)의 관통홀(32)에 음식물 재료를 일정량 넣게 된다. 이때 성형판(30)은 상기 밑판(40)의 상편에 돌출 형성된 고정부(50)에 밀착시켜서, 성평판에 어느 정도의 외력을 가해도 움직이지 않게 된다. 그 후, 상기 성형 압착기(100)를 사용하여 상기 관통홀(32)에 놓인 음식물 재료를 상부에서 하부로 압착하게 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성형기에서 성형 압착기를 이용하여 성형판에 놓인 음식물을 압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성형 압착기(100)를 사용하여 관통홀(32)에 놓여진 음식물 재료를 압착하게 되면, 음식물 재료가 밑판 상에서 납짝하게 퍼지면서 상기 관통홀(32)의 내측 측면에까지 도달하게 되어 음식물 재료의 전체적인 형상이 성형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3의 (b)에서 예측할 수 있듯이 납짝한 원형의 음식물이 만들어진다.
한편, 상기 성형판의 관통홀에 놓인 음식물 재료에 압착을 가할 때 상기 성형 압착판(10)의 하면에 형성된 무늬 모양으로 생성된 성형홈(12)이 음식물 재료의 상면에 압착을 가해 다양한 형상을 찍어낼 수 있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라 성형이 완성된 음식물을 음식물 성형기에서 분리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관통홀(32)에 삽입되어 성형이 완성된 음식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성형 압착기(100)의 상방에 형성된 손잡이(20)를 잡고 들어올려서 상방으로 분리시킨다. 그 후, 상기 성형판(3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성형판 손잡이(34)를 한 손으로 잡고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밑면으로부터 분리시키면, 관통홀의 형상과 동일하게 성형된 음식물이 밑판 위에 남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성형판(3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성형판 손잡이(34)는 직각으로 선회가 가능하여 보관시에 접어서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성형판의 측면과 평행하게 접어서 보관이나 이동시에는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테두리가 있는 음식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에서 볼 수 있듯이,상기 관통홀(32)보다 직경이 작게 제작된 상기 성형 압착기(100)로 음식물 재료를 상부에서 하부로 압착하되 관통홀의 정중앙 상부에서 압착하게 되면, 상기 관통홀(32) 내의 음식물 재료가 상기 압착판(11)에 의해서 압착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의 중앙 부분에서는 압착판(11)에 의해 음식물 재료가 납짝하게 압착 성형되며, 압착판과 관통홀의 측면 사이에는 음식물이 압착되지 않고 압착판에 의해서 밀려나게 된다. 사용자가 압착판에 더 힘을 주어 압착시키게 되면, 압착판의 외측에서는 음식물 재료가 밀어 올려져서 압착판의 평면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자연스럽게 피자의 반죽을 성형할 수 있으며, 압착판의 외측에 형성된 음식물 반죽을 안쪽으로 말아 올리면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확실한 피자 반죽이 될 수 있다.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성형 압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성형 압착기(100)의 상면에는 손잡이 지지대(24)가 일체형으로 결합 된다. 그 손잡이 지지대(24)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관통 형성된 지지대 홈(25)에 스프링 밑대(28)가 결합되는데, 이 스프링 밑대는 원구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원형으로 돌출되어 봉의 끝단에 스프링 받침대를 갖는다. 이때, 상기 손잡이 지지대(24)의 상방에 결합된 상기 손잡이(22)의 내측 상면에는 상기 스프링 밀대(28)가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22)를 상방으로 밀어주며, 상기 손잡이(22) 하면과 상기 스프링 밀대(28)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받침대의 하면 사이에 스프링(26)이 결합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0) 상방에 결합된 손잡이(22)는 수평,수직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음식물에 압착을 가할 때 상기 손잡이(22)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성형 압착기(100)의 상면을 압착하게 되면 압착력이 상승된다.
또한, 음식물을 압착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손잡이(22)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된다.
도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성형 압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7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성형 압착기(100)는, 상면에서 관통 형성되어 나사산 형상을 갖는 결합홈(14)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 지지대(24) 끝단에 나사산 형상을 갖는 결합 나사(23)와 결합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0)는 상기 압착판(10)의 결합홈(14)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상의 압착판(10)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성형 압착기의 압착판 하면에 형성된 성형홈은 하트, 단풍잎, 강아지, 토끼 등의 형상을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판 및 성형 압착기의 재질은 나무,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스틸 등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 또는 여러 예에 불과하고, 이 예들 외에도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며, 본 고안의 사상은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됨을 알 수 있다.

Claims (14)

  1. 음식물 재료에 압착을 가해 음식물의 형상을 성형하는 음식물 성형기에 있어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평판으로서 상기 평판의 중앙에는 임의의 형상의 관통 홀이 형성되며 이 관통홀에 음식물 재료가 놓이게 되는, 성형판; 및
    상기 관통홀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나의 평판으로서 상기 관통홀에 놓인 음식물 재료를 상부에서 압착하여 상기 관통홀의 형상에 따라서 음식물의 형상을 성형하는, 성형 압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물 성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압착기의 상면 중앙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성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압착기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손잡이는 수직, 수평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성형기.
  4. 제1항에 있어서,
    음식물 재료와 접촉하는 성형 압착기의 하면에는 음식물의 상면의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성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압착기는, 상기 성형 압착기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될 때 상기 성형 압착기와 상기 관통홀의 측벽 사이에 일정 간격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성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판 외측 일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성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성형판의 측면에 평행하게 접히도록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성형기.
  8. 제1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의 하면에 형성된 성형홈은 하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성형기.
  9. 제1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의 하면에 형성된 성형홈은 단풍잎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성형기.
  10. 제1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의 하면에 형성된 성형홈은 강아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성형기
  11. 제1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의 하면에 형성된 성형홈은 토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성형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판 및 성형 압착기의 재질은 나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성형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판 및 성형 압착기의 재질은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성형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판 및 성형 압착기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성형기.
KR2020080003893U 2008-03-25 2008-03-25 음식물 성형기 KR200900098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893U KR20090009806U (ko) 2008-03-25 2008-03-25 음식물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893U KR20090009806U (ko) 2008-03-25 2008-03-25 음식물 성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806U true KR20090009806U (ko) 2009-09-30

Family

ID=41533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893U KR20090009806U (ko) 2008-03-25 2008-03-25 음식물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980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148B1 (ko) * 2013-01-10 2014-08-13 (주)이티앤제우스 구이용 패티 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148B1 (ko) * 2013-01-10 2014-08-13 (주)이티앤제우스 구이용 패티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9806U (ko) 음식물 성형기
KR100726831B1 (ko) 압착형 음식물 성형 기구
CN105494506B (zh) 一种包饺子机
KR101813571B1 (ko)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 및 그 김의 제조방법
KR20190098385A (ko) 누룽지 제조장치
JP3122037U (ja) 生麺押出機
CN205362408U (zh) 一体锅冲压模具
KR20090009807U (ko) 음식물 성형기
CN202960185U (zh) 一种新型面包机
KR200443512Y1 (ko) 어묵 제조기
CN206994385U (zh) 一种手工制作食品的模具
KR101666134B1 (ko) 밥버거 성형장치
EP2781168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cosmetic product for make-up
CN215397529U (zh) 一种高密度涤纶面料的加压复合装置
CN205871151U (zh) 一种肩章烫托成型机
CN204431444U (zh) 装饰角线模具
KR200394819Y1 (ko) 삼각김밥 제조장치
CN110181936A (zh) 一种益智玩具加工用印花设备
CN213187854U (zh) 一种甜点皮成型机
CN213534256U (zh) 一种文化用品本子书背弧度成型结构
CN207208634U (zh) 泡罩机用成型机构
KR101574013B1 (ko)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CN216874745U (zh) 一种馅饼简易制作装置
CN204305956U (zh) 一种手动挤压面机
CN209136329U (zh) 一种片状食品药品成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