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701A - 유기 el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유기 el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701A
KR20090009701A KR1020080062474A KR20080062474A KR20090009701A KR 20090009701 A KR20090009701 A KR 20090009701A KR 1020080062474 A KR1020080062474 A KR 1020080062474A KR 20080062474 A KR20080062474 A KR 20080062474A KR 20090009701 A KR20090009701 A KR 20090009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ayer
hole transport
emitting layer
transpor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히로 오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0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material in which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s embedd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 H10K2102/103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comprising indium oxides, e.g. ITO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21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 H10K85/324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comprising aluminium, e.g. Alq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발광층의 수명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한 유기 EL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유기 EL 장치(1)는, 양극(12)과, 음극(26)과, 양극(12)과 음극(26)의 사이에 배치된 발광층(20)과, 양극(12)과 발광층(20)의 사이에 배치된 정공 수송층(16)과, 정공 수송층(16)과 발광층(20)의 사이에 배치된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을 구비한다.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을 정공 수송층(16)과 발광층(20)의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정공 수송층(16)을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으로 변질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정공 수송층(16)이 변질했다고 하더라도 그 변질이 발광층(20)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발광층, 정공 수송층, 보호층

Description

유기 EL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전자 기기 {ORGANIC ELECTROLUMINESCENT UNIT,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유기 EL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박형이고 경량인 디스플레이를 실현할 수 있는 광원으로서, 유기 EL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즉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소자가 주목을 모으고 있다. 유기 EL 소자를 이용한 풀(full) 컬러 디스플레이에는, (1)높은 색순도가 얻어진다, (2)시야각 의존성이 적다, (3)소비 전력이 적다는 많은 장점이 있지만, 그 한편으로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유기 EL 소자의 수명이 짧은 것은 여러 가지 요인이 생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층은 산소 또는 수분에 의해 열화한다. 발광층의 형성 후, 전자 수송층을 형성 개시하기까지의 시간에 있어서도 발광층의 표면이 변질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발광층을 형성한 직후에 발광 보호층을 형성하여, 발광 보호층에 의해 유기 발광층의 표면 오염을 감소시키려고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335475호
그러나, 유기 EL 소자의 수명이 짧은 것에는 다른 요인도 있다. 본 발명자는, 정공 수송층의 형성 후, 발광층 형성 전의 시간이 지극히 짧은 경우와, 보다 긴 경우(예를 들면 30분의 경우)에서는, 유기 EL 소자의 수명에 상위(difference)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 이유는, 명확히는 알 수 없지만, 정공 수송층의 형성 후, 발광층 형성 전의 시간에 정공 수송층의 표면이 변질하고, 그 정공 수송층의 변질의 영향으로 발광층이 변질하는 것이 아닌가라고 본 발명자는 추정한다. 정공 수송층 및 발광층의 형성은, 예를 들면 증착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진공 중에서 행해지지만, 그래도 정공 수송층의 형성 후에 약간의 산소 또는 수분으로 정공 수송층이 변질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발광 보호층에 의해 발광층을 보호하지만, 이 기술에서는 정공 수송층의 형성 후의 정공 수송층의 변질 나아가서는 그것에 기인하는 발광층의 변질을 방지 또는 저감하는 것은 곤란하다.
저분자 재료의 발광층은, 호스트(host) 재료와 게스트(guest) 재료(도펀트)를 함유하고, 정공과 전자가 주로 도펀트 분자로 재결합하여 발광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호스트 재료와 도펀트는 공증착(co-deposition)에 의해 혼합되어지기 때문에, 이들 재료의 증착 레이트(rate)가 안정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이 때문에, 정공 수송층의 형성 후, 발광층을 반드시 곧바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발광층의 수명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한 유기 EL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장치는, 양극과, 음극과,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과의 사이에 배치된 발광층과, 상기 양극과 상기 발광층과의 사이에 배치된 정공 수송층과, 상기 정공 수송층과 상기 발광층과의 사이에 배치된 정공 수송층 보호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정공 수송층 보호층을 정공 수송층과 발광층의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정공 수송층을 정공 수송층 보호층으로 변질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정공 수송층이 변질했다고 하더라도 그 변질이 발광층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이 결과, 발광층의 수명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정공 수송층」은, 정공 수송층과 정공 주입층의 기능을 겸하는 층이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공 수송층 보호층의 재료는, 상기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이다. 상기와 같이, 저분자 재료의 발광층은, 호스트 재료와 게스트 재료(도펀트)를 함유하고, 정공과 전자가 주로 도펀트 분자로 재결합하여 발광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는, 정공 수송 재료에 비하여, 여기자 내성(exciton resistance)이나 전자(electron) 내성이 높다. 이 때문에, 호스트 재료로 이루어지는 정공 수송층 보호층의 표면이 변질하고, 그 변질한 부분에 트랩 사이트(trap site)가 형성되어, 발광층으로부터 이동해 온 전자나 여기자가 그 트랩 사이트에 포획되게 된 경우라도, 정공 수송 재료처럼은 열화가 진행되지 않는다. 또한, 정공 수송층 보호층에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발광층과 정공 수송층 보호층의 HOMO 준위 간 또는 LUMO 준위 간의 에너지 갭(gap)을 한없이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공 수송층 보호층과 발광층과의 계면에 전자나 정공이 쌓이기 어렵게 된다. 이것은 정공 수송층 보호층과 발광층과의 계면 열화를 방지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유기 EL 장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각각은, 양극과, 음극과,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과의 사이에 배치된 발광층과, 상기 양극과 상기 발광층과의 사이에 배치된 정공 수송층과, 상기 정공 수송층과 상기 발광층과의 사이에 배치된 정공 수송층 보호층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에는, 발광색이 적색인 제1 발광층을 갖는 제1 발광 소자, 발광색이 녹색인 제2 발광층을 갖는 제2 발광 소자 및, 발광색이 청색인 제3 발광층을 갖는 제3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색의 발광층을 갖는 형태에서는, 한번에 모든 발광층을 형성하는 것은 지극히 곤란하며, 대부분의 경우, 정공 수송층의 형성 후, 발광층을 발광색마다 순서대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맨 처음에 형성하는 발광색의 발광층은, 정공 수송층 형성 후, 단시간에 형성을 개시할 수 있지만, 2번째와 3번째로 형성하는 발광색의 발광층은, 정공 수송층 형성 후, 형성 개시까지 장시간을 요한다. 따라서, 정공 수송층을 정공 수송층 보호층으로 덮어 정공 수송층을 변질로부터 보호하는 것에 큰 이점이 있다.
상기 정공 수송층 보호층의 재료는, 발광색이 청색인 상기 제3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정공 수송층 보호층의 재료는, 발광색이 녹색인 상기 제2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정공 수송층 보호층의 재료 는, 발광색이 적색인 상기 제1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라도 좋다. 정공 수송층 보호층으로서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정공 수송층 보호층의 표면이 변질하고, 그 변질한 부분에 트랩 사이트가 형성되어, 발광층으로부터 이동해 온 전자나 여기자가 그 트랩 사이트에 포획되게 된 경우에도, 정공 수송 재료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급속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공 수송층 보호층으로서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발광층과 정공 수송층 보호층의 HOMO 준위 간 또는 LUMO 준위 간의 에너지 갭을 한없이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공 수송층 보호층과 발광층과의 계면에 전자나 정공이 쌓이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정공 수송층 보호층과 발광층과의 계면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의 유기 EL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2 발광 소자 및, 상기 제3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양극상에 공통으로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에 공통되는 정공 수송층 보호층을 상기 정공 수송층상에 형성하는 공정과, 발광색이 청색인 상기 제3 발광층과 발광색이 녹색인 상기 제2 발광층을 상기 정공 수송층 보호층상에 형성하는 공정과, 발광색이 청색인 상기 제3 발광층과 발광색이 녹색인 제2 발광층의 형성 후에, 발광색이 적색인 상기 제1 발광층을 상기 정공 수송층 보호층상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발광층, 상기 제2 발광층 및, 상기 제3 발광층을 전자 주입층으로 덮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알려져 있는 발광색이 청색인 발광층 및 녹색인 발광층은, 적색의 발광층에 비하면, 정공 수송층의 변질이 있으면, 그에 영향을 받아 수명이 짧아지는 정도가 크다. 정공 수송층 보호 층을 형성한 경우라도, 정공 수송층 보호층상에 조금이라도 오염이 발생하면, 청색의 발광층 및 녹색의 발광층은 그 영향을 받아 수명이 짧아질 우려가 있다. 한편, 발광색이 적색인 발광층은, 청색의 발광층 및 녹색의 발광층에 비하면, 곧바로 정공 수송층으로 덮지 않으면, 열화하는 정도가 크다. 발광색이 청색인 상기 발광층과 발광색이 녹색인 상기 발광층의 형성 후에, 발광색이 적색인 상기 발광층을 상기 정공 수송층 보호층상에 형성함으로써, 반대의 경우에 비하여, 정공 수송층 보호층의 형성 후, 청색의 발광층 및 녹색의 발광층의 형성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적색의 발광층의 형성 후, 전자 수송층의 형성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발광색의 발광층도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고 예상된다. 여기서 「전자 수송층」은, 전자 수송층과 전자 주입층의 기능을 겸하는 층이어도 좋다.
또한, 발광색이 청색인 상기 제3 발광층의 형성 후에, 발광색이 녹색인 상기 제2 발광층을 상기 정공 수송층 보호층상에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현재 알려져 있는 청색의 발광층은, 녹색의 발광층보다도 수명이 훨씬 짧기 때문에, 정공 수송층 보호층상에 조금이라도 오염이 발생하면, 그 영향은 청색의 발광층 쪽이 녹색의 발광층보다도 심각하다. 녹색의 발광층의 형성 전에 청색의 발광층을 형성함으로써, 반대의 경우에 비하여, 정공 수송층 보호층의 형성 후, 청색의 발광층의 형성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다색(多色)의 유기 EL 장치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상기의 유기 EL 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그러한 전자 기기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 EL 장치를 화상 표시 장치로서 구비하는 각종의 기기, 유기 EL 장치를 조명 장치로서 구비하는 각종의 기기, 또는 유기 EL 장치를 노광 장치로서 구비하는 전자 사진 방식의 인쇄 장치가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는, 각 부(部)의 치수의 비율은 실제의 것과는 적절히 다르다.
(제1 실시 형태)
도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장치(1)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2 는 이 유기 EL 장치(1)의 평면도이다. 유기 EL 장치(1)는, 기판(10), 양극(12), 정공 주입층(14), 정공 수송층(16), 정공 수송층 보호층(18), 발광층(20), 전자 수송층(22), 전자 주입층(24) 및, 음극(26)을 구비하고 있으며, 도1 에 나타내는 순서로, 이들의 층은 적층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유기 EL 장치(1)는, 단색의 화상 표시 장치로서 사용된다.
유기 EL 장치(1)에서는, 복수의 화소(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양극(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양극(12)이 화소에 고유의 화소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도면에서는, 3개의 양극(12)밖에 나타내지 않지만, 실제로는, 도시보다도 다수의 화소가 형성되어 있다. 정공 주입층(14)에서 음극(26)은, 복수의 화소에 공통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 도1 은 실시 형태의 개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시하지 않지만, 기판(10)에는, 각 화소에 급전(給電)하기 위한 TFT(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 나아가서는 이들을 덮는 무기 절연체의 층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공지의 격벽(세퍼레이터(seperator))을 배치해도 좋다.
이 유기 EL 장치(1)는, 보텀 이미션(bottom emission) 타입이어도, 톱 이미션(top emission) 타입이어도, 듀얼 이미션 타입이어도 좋고, 기판(10)은, 보텀 이미션 또는 듀얼 이미션 타입에서는 투명 재료, 바람직하게는 유리로 형성되며, 톱 이미션 타입에서는 투명 재료 또는, 예를 들면 세라믹 또는 금속과 같은 불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양극(12)의 재료 및 두께는, 이미션 타입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즉 양극(12)에 투광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양극(12)이,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여 형성되거나, 보다 도전성이 높은 금속 또는 합금으로 지극히 얇게 형성된다. 양극(12)에 투광성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양극(12)이, 도전성이 높은 금속 또는 합금으로 두껍고 불투명하게 형성된다.
음극(26)의 재료 및 두께도, 이미션 타입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즉 음극(26)에 투광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음극(26)이, 예를 들면 ITO와 같은 투명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여 형성되거나, 보다 도전성이 높은 금속 또는 합금으로 지극히 얇게 형성된다. 음극(26)에 투광성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음극(26)이, 도전성이 높은 금속 또는 합금으로 두껍고 불투명하게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유기 EL 장치(1)의 발광층(20) 등의 층을 수분 및 산소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공지의 밀봉(sealing)막으로 음극(26)을 덮어도 좋고, 공지의 밀봉 캡(cap)을 기판(10)에 접합해도 좋다. 또한, 이 유기 EL 장치(1)를 컬러 화상 표시 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 빛이 방출되는 측에 컬러 필터를 배치해도 좋다.
이 유기 EL 장치(1)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층(20)은 저분자 재료이며, 양극(12)에서 음극(26)까지의 각 층은, 예를 들면 증착과 같은 퇴적법을 이용하여 진공중에서 형성한다.
우선 기판(10)에, 도시하지 않은 TFT 및 배선을 형성하고, 이들을 덮는 무기 절연체의 층을 형성한다. 또한 TFT와 양극(12)을 접속하기 위해, 무기 절연체의 층에 관통공을 형성한 후, 양극(12)을 형성한다. 도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극(12)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기판(10)상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극(12)을 덮도록 정공 주입층(14)을 형성한다. 또한, 정공 주입층(14)상에 정공 수송층(16)을 형성한다. 이 이후, 정공 수송층(16)상에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을 형성한다.
또한,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상에 발광층(20)을 형성한다. 또한, 발광층(20)상에 전자 수송층(22)을 형성한다. 또한, 전자 수송층(22)상에 전자 주입층(24)을 형성하고, 이 이후, 전자 주입층(24)상에 음극(26)을 형성한다.
구체적인 실시의 일 예의 상세를 이하에 나타낸다.
기판(10)은, 유리에 의해 두께 1㎜로 형성했다. 양극(12)은, ITO로 두께 30nm로 형성했다. 정공 주입층(14)은, CuPc(구리 프탈로시아닌)에 의해 양극(12) 상의 두께 20nm로 형성했다. 정공 수송층(16)은, NPD(N,N'-Bis(1-naphthyl)-N,N'-diphenyl-4,4-biphenyl)에 의해 두께 20nm로 형성했다.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은, 발광층(20)의 호스트 재료와 동일한 이데미츠 코산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BH-215」에 의해 두께 5nm로 형성했다.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의 두께는, 정공 수송층(16) 및 발광층(20)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층(20)의 호스트 재료로서는 이데미츠 코산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BH-215」를 사용하고, 발광층(20)의 도펀트의 재료로서는 이데미츠 코산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BD-102」, 「GD-206」 및, 「RD-001」을 사용했다. 이들의 재료를 공증착하여, 두께 30nm로 형성했다.
전자 수송층(22)은, Alq3(트리스8-퀴놀리노라토 알루미늄 착체)에 의해, 두께 20nm로 형성했다. 전자 주입층(24)은, LiF(불화 리튬)에 의해, 두께 1nm로 형성했다. 음극(26)은, 알루미늄에 의해 두께 100nm로 형성했다.
도3 은, 이 실시 형태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3 에 있어서, 실선은, 상기의 실시예에서의 휘도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고, 파선은,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이 없는 비교예에서의 휘도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다. 실선, 파선 모두, 초기의 휘도를 1.00으로 하여 규격화하고 있다.
도3 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이 없는 비교예에서는, 실시예에 비교하여, 휘도의 저하가 현저하다. 이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본 발명자는 이하와 같이 추정한다. 정공 수송층(16)을 형성 후, 잠시 경과하면, 정공 수송층(16)의 표면이 변질하고, 이 변질한 정공 수송층(16)상에, 상기의 재료를 포 함하는 발광층(20)을 직접 형성한 경우에는, 변질한 정공 수송층(16)에 영향을 받아 발광 소자의 수명이 매우 짧아진다. 발광층(20)은, 복수의 재료를 공증착함으로써 형성되고, 이들의 모든 재료의 증착 레이트가 안정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이 때문에, 정공 수송층(16)의 형성 후, 발광층(20)을 반드시 곧바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어서, 정공 수송층(16)의 변질이 진행되어 버린다.
이에 대하여, 실시 형태의 유기 EL 장치(1)에서는,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을 정공 수송층(16)과 발광층(20)의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정공 수송층(16)을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으로 변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은 단일 재료이기 때문에, 복수 재료의 공증착과 같이 모든 재료의 증착 레이트가 안정되기까지 대기할 필요는 없어, 정공 수송층(16)의 형성 후, 단시간에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을 형성하여 변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이 정공 수송층(16)과 발광층(20)의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정공 수송층(16)이 변질했다고 하더라도 그 변질이 발광층(20)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이 결과, 도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층(20)의 수명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의 재료가, 발광층(20)의 호스트 재료이다. 발광층(20)의 호스트 재료는, 정공 수송 재료에 비하여, 여기자 내성(exciton resistance)이나 전자 내성이 높다. 이 때문에, 호스트 재료로 이루어지는 정공 수송층 보호층의 표면이 변질하고, 그 변질한 부분에 트랩 사이트가 형성되어, 발광층(20)으로부터 이동해 온 전자나 여기자가 그 트랩 사이트에 포획되게 된 경우라도, 정공 수송 재료같이는 열화가 진행되지 않는다. 또한, 정공 수송 층 보호층(18)에 발광층(20)의 호스트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발광층(20)과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의 HOMO 준위 간 또는 LUMO 준위 간의 에너지 갭을 한없이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공 수송층 보호층(18)과 발광층(20)과의 계면에 전자나 정공이 쌓이기 어렵게 된다. 이것은, 정공 수송층 보호층(18)과의 계면 열화를 방지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또한,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에 이용하는 발광층(20)의 호스트 재료에 따라서는, 일반적인 정공 수송 재료보다도, 분위기중에 포함되는 약간의 산소, 수분, 파티클(particle) 또는 그 외의 오염 물질에 의해 오염되기 어려운 것이 기대된다. 또한, 발광층(20)의 호스트 재료는 투광성이 있다. 또한,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의 재료가 발광층(20)의 호스트 재료이기 때문에, 발광층(20)을 정공 수송층 보호층에 융합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에 요구되는 성질로서는, 이하를 들 수 있다. 발광하지 않을 것, 정공의 수송 성능의 현저한 저하를 일으키지 않을 것, 산소 또는 수분으로 오염되기 어려울 것, 투광성이 있을 것, 정공 수송층의 형성 후에 단시간에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의 재료는, 발광층(20)의 호스트 재료가 바람직하다. 단, 이들의 성질을 충족시키면,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의 재료는, 발광층(20)의 호스트 재료가 아니어도 좋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정공 주입층(14)으로서 CuPc를 사용했지만, 예를 들면 이데미츠 코산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HI-406」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정공 수송층 보호층(18)으로서는, NPD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이데미츠 코산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HT-320」을 사용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도4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장치(2)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5 는 이 유기 EL 장치(2)의 평면도이다. 유기 EL 장치(2)는, 기판(30), 양극(32), 정공 주입층(34), 정공 수송층(36), 정공 수송층 보호층(38), 발광층(40), 전자 수송층(42), 전자 주입층(44) 및, 음극(46)을 구비하고 있으며, 도4 에 나타내는 순서로, 이들의 층은 적층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유기 EL 장치(2)는, 풀 컬러의 화상 표시 장치로서 사용된다.
도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기 EL 장치(2)에서는, 복수의 화소(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양극(32(32R, 32G, 32B))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양극(32)이 화소에 고유의 화소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도4 및 도5 에서는, 3개의 양극(32)밖에 나타내지 않지만, 실제로는, 도시보다도 다수의 화소가 형성되어 있다. 양극(32R)은 적색의 화소에 대응하고, 양극(32G)은 녹색의 화소에 대응하고, 양극(32B)은 청색의 화소에 대응한다. 단, 이들의 양극(32(32R, 32G, 32B))은 동일한 재료에 동일한 크기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복수의 화소(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발광층(40(40R, 40G, 40B))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발광층(40)이 화소에 고유의 발광층으로서 기능한다. 발광층(40R)은 적색의 화소에 대응하고, 그 발광색은 적색이다. 발광층(40R)은 양극(32R)에 겹쳐져 있다. 발광층(40G)은 녹색의 화소에 대응하고, 그 발광색은 녹색이다. 발광층(40G)은 양극(32G)에 겹쳐져 있다. 발광층(40B)은 청색의 화소에 대응하고, 그 발광색은 청색이다. 발광층(40B)은 양극(32B)에 겹쳐져 있다. 도면 에서는, 3개의 양극(32) 및 3개의 발광층(40)밖에 나타내지 않지만, 실제로는, 도시보다도 다수의 화소가 형성되어 있다. 정공 주입층(34)에서부터 정공 수송층 보호층(38) 및, 전자 수송층(42)에서부터 음극(46)은, 복수의 화소에 공통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 도4 는 실시 형태의 개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시하지 않지만, 기판(30)에는, 각 화소에 급전하기 위한 TFT 및 배선, 나아가서는 이들을 덮는 무기 절연체의 층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공지의 격벽(세퍼레이터)를 배치해도 좋다.
이 유기 EL 장치(2)는, 보텀 이미션 타입이어도, 톱 이미션 타입이어도, 듀얼 이미션 타입이어도 좋고, 기판(30)의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기판(10)과 동일하게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양극(32) 및 음극(46)의 재료 및 두께는, 제1 실시 형태의 양극(12) 및 음극(26)과 동일하게, 이미션 타입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유기 EL 소자(2)의 발광층(40) 등의 층을 수분 및 산소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공지의 밀봉막으로 음극(46)을 덮어도 좋고, 공지의 밀봉 캡을 기판(30)에 접합해도 좋다. 또한, 빛의 색의 순도를 개선하기 위해, 빛이 방출되는 측에 컬러 필터를 배치해도 좋다.
이 유기 EL 장치(2)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층(40)은 저분자 재료이며, 양극(32)에서 음극(46)까지의 각 층은, 예를 들면 증착과 같은 퇴적법을 이용하여 진공중에 형성한다.
우선 기판(30)에, 도시하지 않은 TFT 및 배선을 형성하고, 이들을 덮는 무기 절연체의 층을 형성한다. 또한 TFT와 양극(32)을 접속하기 위해, 무기 절연체의 층에 관통공을 형성한 후, 각 색마다 개별로 양극(32(32R, 32G, 32B))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극(32)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양극(32)을 공통으로 덮도록 정공 주입층(34)을 형성한다. 또한, 정공 주입층(34)상에 복수의 발광 소자에 공통되는 정공 수송층(36)을 형성한다. 이 이후, 정공 수송층(36)상에 복수의 발광 소자에 공통되는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을 형성한다.
또한,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상에 발광색이 청색인 발광층(40B)을 형성한다. 이 이후,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상에 발광색이 녹색인 발광층(40G)을 형성한다. 이 이후,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상에 발광색이 적색인 발광층(40R)을 형성한다. 또한, 이들의 발광층(40)상에, 복수의 발광 소자에 공통되는 전자 수송층(42)을 형성한다. 또한, 전자 수송층(42)상에 전자 주입층(44)을 형성하고, 이 이후, 전자 주입층(44)상에, 복수의 발광 소자에 공통되는 음극(46)을 형성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의 상세를 이하에 나타낸다. 단, 이하의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할 의도는 아니다.
기판(30)은, 유리에 의해 두께 1㎜로 형성할 수 있다. 양극(32)은, ITO로 두께 30nm로 형성할 수 있다. 정공 주입층(34)은, CuPc 또는 이데미츠 코산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HI-406」에 의해 양극(32)상의 두께 20nm로 형성할 수 있다. 정공 수송층(36)은, NPD 또는 이데미츠 코산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HT-320」에 의해 두께 20nm로 형성할 수 있다.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은, 발광색이 청색인 발광층(40B) 및 발광색이 녹색인 발광층(40G)의 호스트 재료와 동일한 이데미츠 코산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BH-215」에 의해 두께 5nm로 형성할 수 있다. 이데미츠 코산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BH-215」는, 발광색이 적색인 발광층(40R)의 호스트 재료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단,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은, 발광색이 적색인 발광층(40R)의 호스트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Alq3에 의해 두께 5nm로 형성할 수 있다. 어쨌든,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의 두께는, 정공 수송층(36) 및 발광층(40)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색이 청색인 발광층(40B)의 호스트 재료로서는 이데미츠 코산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BH-215」를 사용하고, 발광층(40B)의 도펀트의 재료로서는 이데미츠 코산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BD-102」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재료를 공증착하여, 두께 30nm로 형성할 수 있다.
발광색이 녹색인 발광층(40G)의 호스트 재료로서는 이데미츠 코산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BH-215」를 사용하고, 발광층(40G)의 도펀트의 재료로서는 이데미츠 코산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GD-206」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재료를 공증착하여, 두께 30nm로 형성할 수 있다.
발광색이 적색인 발광층(40R)의 호스트 재료로서는 Alq3 또는 이데미츠 코산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BH-215」를 사용하고, 발광층(40R)의 도펀트의 재료로서는 이데미츠 코산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RD-001」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재료를 공증착하여, 두께 30nm로 형성할 수 있다.
전자 수송층(42)은, Alq3에 의해, 두께 20nm로 형성할 수 있다. 전자 주입층(44)은, LiF에 의해, 두께 1nm로 형성할 수 있다. 음극(46)은, 알루미늄에 의해 두께 100nm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와 같은 다색의 발광층(40R, 40G, 40B)을 갖는 형태에서는, 한번에 모든 발광층(40R, 40G, 40B)을 형성하는 것은 지극히 곤란하다. 예를 들면, 증착으로 형성하는 경우, 한 색의 발광층을 형성하는 동안, 다른 발광층의 영역에 그 발광층이 퇴적하지 않도록 마스크를 행하고, 그 색의 발광층의 퇴적 후에, 다른 영역에 마스크를 행하여 다른 색의 발광층을 퇴적시킨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정공 수송층(36)의 형성 후, 발광층(40R, 40G, 40B)을 발광색마다 순서대로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맨 처음에 형성하는 발광색의 발광층 외에는, 정공 수송층(36) 형성 후, 형성 개시까지 장시간을 요한다. 따라서, 정공 수송층(36)의 형성 후에, 정공 수송층(36)을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으로 덮어 정공 수송층(36)을 변질로부터 보호하는 것에 큰 이점이 있다. 따라서, 발광층(40)의 수명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의 재료는, 발광색이 청색인 발광층(40B)의 호스트 재료라도 좋고, 또는 발광색이 녹색인 발광층(40G)의 호스트 재료라도 좋다. 또는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의 재료는, 발광색이 적색인 발광층(40R)의 호스트 재료라도 좋다. 발광층(40)의 호스트 재료는, 정공 수송 재료에 비하여, 여기자 내성이나 전자 내성이 높다. 이 때문에, 호스트 재료로 이루어지는 정공 수송층 보호층의 표면이 변질하고, 그 변질한 부분에 트랩 사이트가 형성 되어, 발광층(40)으로부터 이동해 온 전자나 여기자가 그 트랩 사이트에 포획되게 된 경우에도, 정공 수송 재료처럼은 열화가 진행되지 않는다. 또한,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에 발광층(40)의 호스트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발광층(40)과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의 HOMO 준위 간 또는 LUMO 준위 간의 에너지 갭을 한없이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공 수송층 보호층(38)과 발광층(40)과의 계면에 전자나 정공이 쌓이기 어렵게 된다. 이것은, 정공 수송층 보호층(38)과의 계면 열화를 방지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또한,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에 이용하는 발광층(40)의 호스트 재료에 따라서는, 일반적인 정공 수송 재료보다도, 분위기중에 포함되는 약간의 산소, 수분, 파티클 또는 그 외의 오염 물질에 의해 오염되기 어려운 것이 기대된다. 또한, 발광층(40)의 호스트 재료는 투광성이 있다. 또한,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의 재료가 발광층(40)의 호스트 재료이기 때문에, 발광층(40)을 정공 수송층 보호층에 융합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의 재료는, 발광층(40)의 호스트 재료가 바람직하다. 단, 제1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전술한 정공 수송층 보호층에 요구되는 성질을 충족시키면,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의 재료는, 발광층(40)의 호스트 재료가 아니어도 좋다.
상기의 제조 방법에서는,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의 형성 후, 발광색이 청색인 발광층(40B), 발광색이 녹색인 발광층(40G), 발광색이 적색인 발광층(40R)의 순으로 발광층(40)을 형성한다. 발광층(40)을 이 순서로 형성하는 이유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현재 알려져 있는 발광색이 청색인 발광층(40B) 및 녹색인 발광층(40G)은, 적색인 발광층(40R)에 비하면, 정공 수송층(36)의 변질이 있으면, 그것에 영향을 받아 수명이 짧아지는 정도가 크다.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을 형성한 경우라도,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상에 조금이라도 오염이 발생하면, 청색의 발광층(40B) 및 녹색의 발광층(40G)은 그 영향을 받아 수명이 짧아질 우려가 있다. 한편, 발광색이 적색인 발광층(40R)은, 청색의 발광층(40B) 및 녹색의 발광층(40G)에 비하면, 곧바로 전자 수송층(42)으로 덮지 않으면, 열화하는 정도가 크다. 발광색이 청색인 발광층(40B)과 발광색이 녹색인 발광층(40G)의 형성 후에, 발광색이 적색인 발광층(40R)을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상에 형성함으로써, 반대의 경우에 비하여,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의 형성 후, 청색의 발광층(40B) 및 녹색의 발광층(40G)의 형성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적색의 발광층(40R)의 형성 후, 전자 수송층(42)의 형성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발광색의 발광층(40)이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고 예상된다.
또한, 현재 알려져 있는 청색의 발광층(40B)은, 녹색의 발광층(40G)보다도 수명이 훨씬 짧기 때문에,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상에 조금이라도 오염이 발생하면, 그 영향은 청색의 발광층(40B)의 쪽이 녹색의 발광층(40G)보다도 심각하다. 녹색의 발광층(40G)의 형성 전에 청색의 발광층(40B)을 형성함으로써, 반대의 경우에 비하여, 정공 수송층 보호층(38)의 형성 후, 청색의 발광층(40B)의 형성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다색의 유기 EL 장치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유기 EL 장치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 외의 변형)
상기의 실시 형태의 유기 EL 장치(1, 2)는, 정공 주입층(14 또는 34)과 정공 수송층(16 또는 36)을 별개로 구비하지만, 이들 2개의 층을 정공 수송층과 정공 주입층의 기능을 겸하는 하나의 층으로 치환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의 유기 EL 장치(1, 2)는, 전자 수송층(22 또는 42)과 전자 주입층(24 또는 44)을 별개로 구비하지만, 이들 2개의 층을 전자 수송층과 전자 주입층의 기능을 겸하는 하나의 층으로 치환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추가로 다른 층을 유기 EL 장치에 형성해도 좋다.
상기의 실시 형태의 유기 EL 장치(1, 2)에서는, 발광층은 저분자 재료이며, 양극에서 음극까지의 각 층은, 예를 들면 증착과 같은 퇴적법을 이용하여 진공중에서 형성한다. 그러나, 양극에서 음극까지의 각 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잉크젯법, 디스펜서(dispenser)법 등의 액체 공급 방법으로 형성해도 좋다.
(응용)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장치를 적용한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 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장치(1 또는 2)를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한 모바일형의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퍼스널 컴퓨터(2000)는, 표시 장치로서의 유기 EL 장치(1)와 본체부(2010)를 구비한다. 본체부(2010)에는, 전원 스위치(2001) 및 키보드(2002)가 형성되어 있다.
도7 에,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장치(1 또는 2)를 적용한 휴대전화 기를 나타낸다. 휴대전화기(3000)는, 복수의 조작 버튼(3001) 및 스크롤 버튼(3002), 그리고 표시 장치로서의 유기 EL 장치(1)를 구비한다. 스크롤 버튼(3002)을 조작함으로써, 유기 EL 장치(1)에 표시되는 화면이 스크롤된다.
도8 에,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장치(1 또는 2)를 적용한 휴대정보단말(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을 나타낸다. 휴대정보단말(4000)은, 복수의 조작 버튼(4001) 및 전원 스위치(4002), 그리고 표시 장치로서의 유기 EL 장치(1)를 구비한다. 전원 스위치(4002)를 조작하면, 주소록이나 스케줄 수첩과 같은 각종의 정보가 유기 EL 장치(1)에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장치가 적용되는 전자 기기로서는, 도6 내지 도8에 나타낸 것 외에, 디지털 스틸(still) 카메라, TV, 비디오 카메라, 카 내비게이션 장치, 페이저(pager), 전자 수첩, 전자 페이퍼, 전자계산기, 워드프로세서, 워크스테이션, TV 전화, POS 단말, 비디오 플레이어, 터치 패널을 구비한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밖에, 상 담지체(image carrier)에 빛을 조사하여 정전(靜電) 잠상(latent image)을 형성하는 프린터 헤드와 같은 발광원에 유기 EL 장치(1 또는 2)를 이용한,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한 화상 인쇄 장치도, 그러한 전자 기기에 포함된다. 나아가서는, 조명 장치도 그러한 전자 기기에 포함된다.
도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 는 도1 의 유기 EL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 은 제1 실시 형태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4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 는 도4 의 유기 EL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6 은 실시 형태에 따른 어느 하나의 유기 EL 장치를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한 모바일형의 퍼스널 컴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 은 실시 형태에 따른 어느 하나의 유기 EL 장치를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한 휴대전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 은 실시 형태에 따른 어느 하나의 유기 EL 장치를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한 휴대정보단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기 EL 장치
2 : 유기 EL 장치
10 : 기판
12 : 양극
14 : 정공 주입층
16 : 정공 수송층
18 : 정공 수송층 보호층
20 : 발광층
22 : 전자 수송층
24 : 전자 주입층
26 : 음극
30 : 기판
32R : 양극
32G : 양극
32B : 양극
34 : 정공 주입층
36 : 정공 수송층
38 : 정공 수송층 보호층
40R : 발광층
40G : 발광층
40B : 발광층
42 : 전자 수송층
44 : 전자 주입층
46 : 음극

Claims (9)

  1. 양극과,
    음극과,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과의 사이에 배치된 발광층과,
    상기 양극과 상기 발광층과의 사이에 배치된 정공 수송층과,
    상기 정공 수송층과 상기 발광층과의 사이에 배치된 정공 수송층 보호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 보호층의 재료가, 상기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장치.
  3. 복수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각각은,
    양극과,
    음극과,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과의 사이에 배치된 발광층과,
    상기 양극과 상기 발광층과의 사이에 배치된 정공 수송층과,
    상기 정공 수송층과 상기 발광층과의 사이에 배치된 정공 수송층 보호층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에는, 발광색이 적색인 제1 발광층을 갖는 제1 발광 소자, 발광색이 녹색인 제2 발광층을 갖는 제2 발광 소자 및, 발광색이 청색인 제3 발광층을 갖는 제3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 보호층의 재료가, 발광색이 청색인 상기 제3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 보호층의 재료가, 발광색이 녹색인 상기 제2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 보호층의 재료가, 발광색이 적색인 상기 제1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장치.
  7. 제3항에 기재된 유기 EL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2 발광 소자 및, 상기 제3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양극상에 공통으로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에 공통되는 정공 수송층 보호층을 상기 정공 수송층상에 형성하는 공정과,
    발광색이 청색인 상기 제3 발광층과 발광색이 녹색인 상기 제2 발광층을 상기 정공 수송층 보호층상에 형성하는 공정과,
    발광색이 청색인 상기 제3 발광층과 발광색이 녹색인 상기 제2 발광층의 형성 후에, 발광색이 적색인 상기 제1 발광층을 상기 정공 수송층 보호층상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발광층, 상기 제2 발광층 및, 상기 제3 발광층을 전자 주입층으로 덮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발광색이 청색인 상기 제3 발광층의 형성 후에, 발광색이 녹색인 상기 제2 발광층을 상기 정공 수송층 보호층상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EL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0080062474A 2007-07-20 2008-06-30 유기 el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전자 기기 KR200900097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89154A JP2009026986A (ja) 2007-07-20 2007-07-20 有機el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JPJP-P-2007-00189154 2007-07-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701A true KR20090009701A (ko) 2009-01-23

Family

ID=4026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474A KR20090009701A (ko) 2007-07-20 2008-06-30 유기 el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02745B2 (ko)
JP (1) JP2009026986A (ko)
KR (1) KR20090009701A (ko)
CN (1) CN10135106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430B1 (ko) * 2010-04-13 2011-09-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6012007B2 (ja) 2012-03-30 2016-10-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器具
CN105140410A (zh) * 2015-06-26 2015-12-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致发光器件及其制作方法和驱动方法、显示装置
CN107221548A (zh) * 2016-03-22 2017-09-29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Oled显示面板、智能显示玻璃装置及制备方法
TWI786143B (zh) * 2017-07-03 2022-12-1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有機電致發光裝置及其產製方法
CN116261356A (zh) * 2021-12-08 2023-06-13 纳晶科技股份有限公司 发光装置及其制备方法、包括发光装置的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47518A3 (en) * 1995-11-28 2005-1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rganic/inorganic alloys used to improv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JPH11354282A (ja) * 1998-06-08 1999-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有機発光素子
US6853133B2 (en) 2003-05-07 2005-02-08 Eastman Kodak Company Providing an emission-protecting layer in an OLED device
JP4598673B2 (ja) * 2003-06-13 2010-1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発光素子及び表示装置
KR100721554B1 (ko) * 2004-07-22 2007-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7042875A (ja) * 2005-08-03 2007-02-15 Fujifilm Holdings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
JP5151481B2 (ja) * 2005-09-01 2013-02-27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JP2007134677A (ja) * 2005-10-11 2007-05-31 Fujifilm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
US7843134B2 (en) * 2005-10-31 2010-11-30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 emission devices connected in series
JP2009010364A (ja) * 2007-05-30 2009-01-15 Sony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51064A (zh) 2009-01-21
JP2009026986A (ja) 2009-02-05
US20090021155A1 (en) 2009-01-22
US7902745B2 (en)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878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123665B2 (en) Organic EL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634814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장치 및 조명 장치
US9385172B2 (en) One-way transparent display
US822781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5026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flexible display encapsulation
US10741623B2 (en) OLED device with lowered carrier-transporting cap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9318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90026943A1 (en) Optical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ptical device
KR20090009701A (ko) 유기 el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전자 기기
KR10200029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8243932A (ja)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表示装置
US20170352709A1 (en) Architecture for very high resolution amoled display
US7545093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2009048829A (ja) 有機el白色発光パネルおよび電子機器
JP5104152B2 (ja) 有機el装置及び電子機器
CN102969332A (zh) 显示装置和摄像装置
JP2009064605A (ja) 有機el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227288A (ja) 有機el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9216011A (ja) 表示装置、電気装置および車両
JP5029576B2 (ja)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6210155A (ja) 有機el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1029322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9048828A (ja) 有機elカラー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6173050A (ja) 有機el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