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466U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466U
KR20090008466U KR2020080002178U KR20080002178U KR20090008466U KR 20090008466 U KR20090008466 U KR 20090008466U KR 2020080002178 U KR2020080002178 U KR 2020080002178U KR 20080002178 U KR20080002178 U KR 20080002178U KR 20090008466 U KR20090008466 U KR 200900084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inge
tripod
hoo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7206Y1 (ko
Inventor
장세기
Original Assignee
장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세기 filed Critical 장세기
Priority to KR2020080002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206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4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4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2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46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extensible, collapsible or pivo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을 경고해주는 안전 삼각대는 특히 자가 운전자들에게도 발생할 수 있는 사고와 그 이후 추가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 삼각대를 구비하도록 지정하고 있으나 종래의 삼각대는 지면에 낮게 설치되어 멀리서 접근하는 차량이 인식하기 곤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발광부가 형성되는 각각 제1 내지 제3 프레임이 힌지 결합에 의하여 삼각형으로 절첩가능하게 조립된 삼각대와;
두 개의 긴 판 형상을 가진 두 개의 지지판이 그 중앙에서 힌지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의 끝단은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소폭 연장됨으로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지지대와;
긴 판 형상을 가진 두 개의 보조프레임이 그 중앙에서 힌지로 절첩 가능하게 교차 연결됨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신장프레임이 순차적으로 힌지 결합으로 연결되며,
하부 끝단 중 하나는 상기 지지대를 구성하는 지지판 중 상부에 위치한 지지판의 일측과 힌지 결합하고, 다른 하부 끝단은 지지판에 형성되는 걸림훅과 상기 걸림훅 상응하여 보조프레임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에 형성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대칭된 타측에 결합되며,
상부 끝단 중 하나는 상기 삼각대의 밑변에 해당하는 제1 프레임의 하단 일 측과 힌지 결합하고, 다른 상부 끝단은 제1 프레임에 형성되는 걸림훅과 상기 걸림훅에 상응하여 보조프레임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대칭된 타측에 결합됨으로 이루어지는 높이조절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삼각대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The Safety Tripod that can control height}
본 고안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로에서 전방의 위험원인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세워지는 삼각대의 높이를 높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후방의 차량이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안전 삼각대는 운행 중 불시의 차량 고장이나 교통사고 등에 의하여 차량을 도로에 방치할 경우 주행방향 후방에 설치하여 고속으로 뒤따라오는 운전자의 시야에 쉽게 노출시켜 연쇄 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 도로에서는 설치 의무를 강제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나 고속도로의 경우 주간에는 100m 후방에 설치하고, 시야의 확보가 어려운 야간에는 100m 후방에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고 200m 후방지점에는 사방 500m 떨어진 지점에서도 식별할 수 있는 불꽃 섬광이나 전기 제품 등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현행 도로교통법 제61조 및 62조 규정에 따라 미휴대시 벌금 2만원 및 미 설치시 승용차 4만원 승합차 5만원의 벌칙금이 부과되며, 미 설치시 보험 최대 30% 본인 과실로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규정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여 추가적인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안전 삼각대가 더욱 중요한 것이다.
하지만 기존 대부분의 안전 삼각대는 삼각형상의 삼각대를 지면에 기울여 세워놓는 것으로 설치가 완료되나 지면과의 높이가 낮아 후방에서 쉽게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로의 굴곡이 오르막에서 내려가는 내리막 지점에 설치할 경우 인지할 수 있는 거리는 최대한 짧아져 후방의 차량이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두고 경계를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일반 평지에서도 도로면에 낮게 설치되는 것보다 높게 세웠을 때 운전자가 빨리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안전 삼각대를 지면과의 높이를 낮게 또는 높게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안전 삼각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안전 삼각대를 절첩하여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발광부가 형성되는 각각 제1 내지 제3 프레임이 힌지 결합에 의하여 삼각형으로 절첩가능하게 조립된 삼각대와;
두 개의 긴 판 형상을 가진 두 개의 지지판이 그 중앙에서 힌지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의 끝단은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소폭 연장됨으로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지지대와;
긴 판 형상을 가진 두 개의 보조프레임이 그 중앙에서 힌지로 절첩 가능하게 교차 연결됨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신장프레임이 순차적으로 힌지 결합으로 연결되며,
하부 끝단 중 하나는 상기 지지대를 구성하는 지지판 중 상부에 위치한 지지판의 일측과 힌지 결합하고, 다른 하부 끝단은 지지판에 형성되는 걸림훅과 상기 걸림훅 상응하여 보조프레임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에 형성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대칭된 타측에 결합되며,
상부 끝단 중 하나는 상기 삼각대의 밑변에 해당하는 제1 프레임의 하단 일측과 힌지 결합하고, 다른 상부 끝단은 제1 프레임에 형성되는 걸림훅과 상기 걸림훅에 상응하여 보조프레임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대칭된 타측에 결합됨으로 이루어지는 높이조절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구는 최대한으로 그 높이가 낮아진 상태에서 상단과 하단에 인접한 걸림훅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훅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구가 일정 높이로 신장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훅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구는 긴 판 형상을 가진 절첩프레임이 각각 양측에 두 개씩 구비되어 양측이 대칭되게 연결되며, 일측 절첩프레임의 상부 끝단은 상기 제1 프레임와 힌지 결합하고, 동일한 측의 다른 절첩프레임의 하부 끝단은 상기 지지대를 구성하는 지지판 중 상부에 위치한 지지판의 일측과 힌지 결합하며, 두 개의 절첩프레임은 상호 힌지로 끝단이 연결되되;
상기 하부에 위치하는 절첩프레임과 연결되는 힌지에는 상기 절첩프레임이 타측 절첩프레임의 방향으로 절첩되어 상기 지지판과 나란히 절첩되고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지지판과 수직 이상의 각도로 절첩되지 않도록 제1 고정편이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절첩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힌지에는 상기 절첩프레임 펴지면서 상호 각도가 180°이상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하는 제2 고정편이 형성됨을 특징 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안전 삼각대는 상부 끝단과 하부 끝단이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그 사이는 비스듬한 사선으로 절곡되어 연결되며, 중앙에는 힌지로 연결되어 절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보조지지대를 추가로 구비하여, 하부는 상기 높이조절구와 연결되지 않는 나머지 하나의 지지판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상기 보조지지대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부 끼움부 중 하나에 삽입되고, 상부는 상기 삼각대에 형성되는 상부 끼움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삼각대는 밑변에 해당하고 양 끝단에 인접하여 각각 제1 힌지 및 제 2 힌지가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일 측 끝단이 상기 제1 힌지와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겹치도록 절첩되었을 때 상기 제1 힌지의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고정돌기 접힘홈과, 타측 끝단에 인접하여 상기 제2 힌지에 삽입되는 접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2 프레임과;
일 측 끝단이 상기 제2 프레임이 제1 프레임과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상기 제2 힌지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 및 제 2프레임과 겹치도록 절첩되었을 때 상기 고정돌기 접힘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2 프레임에 추가로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프레임과 함께 삼각의 형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제 3 프레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안전 삼각대의 높이를 설치자가 상황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후방에서 접근하는 운전자가 쉽게 인지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삼각대가 작은 부피로 절첩 되어 차량에 보관 또는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2는 높이 조절구를 펼쳐서 높이를 높인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지지대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발광부가 형성되는 각각 제1 내지 제3 프레임(1a, 1b, 1c)이 힌지 결합에 의하여 삼각형으로 절첩가능하게 조립된 삼각대(1)와;
두 개의 긴 판 형상을 가진 두 개의 지지판(21)이 그 중앙에서 힌지(22)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21)의 끝단은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소폭 연장됨으로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절곡부(23)가 형성되는 지지대(2)와;
긴 판 형상을 가진 두 개의 보조프레임(31)이 그 중앙에서 힌지(32)로 절첩 가능하게 교차 연결됨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신장프레임(3)이 순차적으로 힌지(33) 결합으로 연결되며,
하부 끝단 중 하나는 상기 지지대(2)를 구성하는 지지판(21) 중 상부에 위치한 지지판(21)의 일측과 힌지 결합하고, 다른 하부 끝단은 지지판(21)에 형성되는 걸림훅(24)과 상기 걸림훅(24) 상응하여 보조프레임(31)에 형성되는 걸림홈(34)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2)에 형성되는 힌지(22)를 중심으로 대칭된 타측에 결합되며,
상부 끝단 중 하나는 상기 삼각대의 밑변에 해당하는 제1 프레임(1a)의 하단 일측과 힌지 결합하고, 다른 상부 끝단은 제1 프레임(1a)에 형성되는 걸림훅(11)과 상기 걸림훅(11)에 상응하여 보조프레임(31)에 형성되는 걸림홈(34)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1a)의 대칭된 타측에 결합됨으로 이루어지는 높이조절구(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를 나타내었다.
본 고안에서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X'의 형상으로 교차하는 신장프레임(3)을 힌지(33)로 연결하여 각각의 보조프레임(31)과의 각변화에 의하여 높이가 변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높이조절구(4)는 상단에 삼각대(1)와 연결되고 하단은 지지대(2)에 의하여 지면에 세워지게 되며, 상기 지지대(1)는 안전성을 높이고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두 개의 지지판(21)이 힌지(22)로 결합하여 상기 힌지를 돌려 'X'의 형태로 만들면 지면에 안정되게 세워지며 반대로 휴대할 경우 이를 접으면 부피가 감소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구(4)는 걸림훅(11, 34)과 걸림홈(34)의 결합에 의하여 불안정한 결합구조가 안정되어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안전 삼각대는 상부 끝단과 하부 끝단이 지면과 수 직으로 형성되고 그 사이는 비스듬한 사선으로 절곡되어 연결되며, 중앙에는 힌지로 연결되어 절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보조지지대(5)를 추가로 구비하여, 하부는 상기 높이조절구(4)와 연결되지 않는 나머지 하나의 지지판(2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상기 보조지지대(5)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부 끼움부(25) 중 하나에 삽입되고, 상부는 상기 삼각대(1)에 형성되는 상부 끼움부(18)에 삽입되는 구성을 추가로 제시하였다.
상기 구성의 경우 정면 또는 배면에서 바람이 불경우 상기 안전삼각대가 넘어지거나 또는 넘어지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면에서 바람이 불 경우 후방에 상기 보조지지대(5)를 사용하여 지지하도록 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전방에 설치하도록 하는 실시 예이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삼각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b는 제2 및 제2 프레임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c는 제2 프레임을 삼각의치에 옮긴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d는 삼각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기 높이조절구(4)는 별도의 고정 수단이 없으면 자유롭게 신축하는 구조로서, 높이를 높인 상태에서는 전술한 걸림훅에 걸려 고정이 되는 구조이다.
본 고안에서는 절첩되어 보관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높이조절구(4)가 최대한으로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단과 하단에 인접한 걸림훅(11, 24)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훅 안착홈(35)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구(4)가 일정 높이로 신장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훅(11, 24)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홈(34)이 형성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또한 상기 삼각대(1)도 안정적으로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삼각의 형상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삼각대(1)는 밑변에 해당하고 양 끝단에 인접하여 각각 제1 힌지(12) 및 제 2 힌지(13)가 형성되는 제1 프레임(1a)과,
일 측 끝단이 상기 제1 힌지(12)와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 프레임(1a)과 겹치도록 절첩되었을 때 상기 제1 힌지(12)의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고정돌기 접힘홈(14)과, 타측 끝단에 인접하여 상기 제2 힌지(13)에 삽입되는 접힘 가이드홈(15)이 형성되는 제2 프레임(1b)과;
일 측 끝단이 상기 제2 프레임(1b)이 제1 프레임(1a)과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상기 제2 힌지(13)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 및 제 2프레임(1a, 1b)과 겹치도록 절첩되었을 때 상기 고정돌기 접힘홈(14)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2 프레임(1b)에 추가로 형성되는 고정홈(16)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프레임(1b)과 함께 삼각의 형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돌기(17)가 형성되는 제 3 프레임(1c)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 또한 추가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은 절첩이 최소한으로 되고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가짐으로 보다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6은 높이조절구를 펼쳐서 높이를 높인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삼각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절첩프레임의 펴지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는 상기 높이조절구(4)는 긴 판 형상을 가진 절첩프레임(41)이 각각 양측에 두 개씩 구비되어 양측이 대칭되게 연결되며, 일측 절첩프레임(41a)의 상부 끝단은 상기 제1 프레임(1a)와 힌지 결합하고, 동일한 측의 다른 절첩프레임(41b)의 하부 끝단은 상기 지지대(2)를 구성하는 지지판(21) 중 상부에 위치한 지지판(21)의 일측과 힌지(42) 결합하며, 두 개의 절첩프레임(41a, 41b)은 상호 힌지(43)로 끝단이 연결되되;
상기 하부에 위치하는 절첩프레임(41b)과 연결되는 힌지(42)에는 상기 절첩프레임(41b)이 타측 절첩프레임(41c)의 방향으로 절첩되어 상기 지지판(21)과 나란히 절첩되고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지지판(21)과 수직 이상의 각도로 절첩되지 않도록 제1 고정편(44)이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절첩프레임(41a, 41b)을 상호 연결하는 힌지(43)에는 상기 절첩프레임(41a, 41b) 펴지면서 상호 각도가 180°이상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하는 제2 고정편(45)이 형성됨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양측 절첩프레임(41)이 모두 절첩되었을 때 다른 한쪽이 절첩되는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힌지(42)의 경우 상기 도면에서 우측은 전방 좌측은 후방에 놓은 것과 같이 위치를 엇갈리게 놓는 것은 당연한 실시 예일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전술한 보조지지대(5)를 장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높이조절구를 펼쳐서 높이를 높인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지지대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삼각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b는 제2 및 제2 프레임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c는 제2 프레임을 삼각위치에 옮긴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d는 삼각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높이조절구를 펼쳐서 높이를 높인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삼각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절첩프레임의 펴지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삼각대
1a : 제1 프레임 1b : 제 프레임
1c : 제3 프레임 11 : 걸림훅
12 : 제1 힌지 13 : 제2 힌지
14 : 고정돌기 접힘홈 15 : 접힘 가이드홈
16 : 고정홈 17 : 고정돌기
18 : 상부 끼움부
2 : 지지대
21 : 지지판 22 : 힌지
23 : 절곡부 24 : 걸림훅]
25 : 상부 끼움부
3 : 신장프레임
31 : 보조프레임 32 : 힌지
33 : 힌지 35 : 걸림훅 안착홈
4 : 높이조절구
41, 41a, 41b, 41c : 절첩프레임 42 : 힌지
43 : 힌지 44 : 제1 고정편
45 : 제2 고정편
5 : 보조 지지대

Claims (5)

  1. 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발광부가 형성되는 각각 제1 내지 제3 프레임(1a, 1b, 1c)이 힌지 결합에 의하여 삼각형으로 절첩가능하게 조립된 삼각대(1)와;
    두 개의 긴 판 형상을 가진 두 개의 지지판(21)이 그 중앙에서 힌지(22)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21)의 끝단은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소폭 연장됨으로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절곡부(23)가 형성되는 지지대(2)와;
    긴 판 형상을 가진 두 개의 보조프레임(31)이 그 중앙에서 힌지(32)로 절첩 가능하게 교차 연결됨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신장프레임(3)이 순차적으로 힌지(33) 결합으로 연결되며,
    하부 끝단 중 하나는 상기 지지대(2)를 구성하는 지지판(21) 중 상부에 위치한 지지판(21)의 일측과 힌지 결합하고, 다른 하부 끝단은 지지판(21)에 형성되는 걸림훅(24)과 상기 걸림훅(24) 상응하여 보조프레임(31)에 형성되는 걸림홈(34)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2)에 형성되는 힌지(22)를 중심으로 대칭된 타측에 결합되며,
    상부 끝단 중 하나는 상기 삼각대의 밑변에 해당하는 제1 프레임(1a)의 하단 일측과 힌지 결합하고, 다른 상부 끝단은 제1 프레임(1a)에 형성되는 걸림훅(11)과 상기 걸림훅(11)에 상응하여 보조프레임(31)에 형성되는 걸림홈(34)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1a)의 대칭된 타측에 결합됨으로 이루어지는 높이조절구(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삼각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구(4)는 최대한으로 그 높이가 낮아진 상태에서 상단과 하단에 인접한 걸림훅(11, 24)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훅 안착홈(35)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구(4)가 일정 높이로 신장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훅(11, 24)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홈(3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삼각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구(4)는 긴 판 형상을 가진 절첩프레임(41)이 각각 양측에 두 개씩 구비되어 양측이 대칭되게 연결되며, 일측 절첩프레임(41a)의 상부 끝단은 상기 제1 프레임(1a)와 힌지 결합하고, 동일한 측의 다른 절첩프레임(41b)의 하부 끝단은 상기 지지대(2)를 구성하는 지지판(21) 중 상부에 위치한 지지판(21)의 일측과 힌지(42) 결합하며, 두 개의 절첩프레임(41a, 41b)은 상호 힌지(43)로 끝단이 연결되되;
    상기 하부에 위치하는 절첩프레임(41b)과 연결되는 힌지(42)에는 상기 절첩프레임(41b)이 타측 절첩프레임(41c)의 방향으로 절첩되어 상기 지지판(21)과 나란히 절첩되고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지지판(21)과 수직 이상의 각도로 절첩되지 않도록 제1 고정편(44)이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절첩프레임(41a, 41b)을 상호 연결하는 힌지(43)에는 상기 절첩프레임(41a, 41b) 펴지면서 상호 각도가 180°이상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하는 제2 고정편(4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삼각대.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삼각대는 상부 끝단과 하부 끝단이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그 사이는 비스듬한 사선으로 절곡되어 연결되며, 중앙에는 힌지로 연결되어 절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보조지지대(5)를 추가로 구비하여, 하부는 상기 높이조절구(4)와 연결되지 않는 나머지 하나의 지지판(2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상기 보조지지대(5)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부 끼움부(25) 중 하나에 삽입되고, 상부는 상기 삼각대(1)에 형성되는 상부 끼움부(18)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삼각대.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1)는 밑변에 해당하고 양 끝단에 인접하여 각각 제1 힌지(12) 및 제 2 힌지(13)가 형성되는 제1 프레임(1a)과,
    일 측 끝단이 상기 제1 힌지(12)와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 프레임(1a)과 겹치도록 절첩되었을 때 상기 제1 힌지(12)의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고정돌기 접힘홈(14)과, 타측 끝단에 인접하여 상기 제2 힌지(13)에 삽입되는 접힘 가이드홈(15)이 형성되는 제2 프레임(1b)과;
    일 측 끝단이 상기 제2 프레임(1b)이 제1 프레임(1a)과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상기 제2 힌지(13)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 및 제 2프레임(1a, 1b)과 겹치도록 절첩되었을 때 상기 고정돌기 접힘홈(14)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2 프레임(1b)에 추가로 형성되는 고정홈(16)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프레임(1b)과 함께 삼각의 형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돌기(17)가 형성되는 제 3 프레임(1c)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삼각대.
KR2020080002178U 2008-02-19 2008-02-19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KR200447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178U KR200447206Y1 (ko) 2008-02-19 2008-02-19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178U KR200447206Y1 (ko) 2008-02-19 2008-02-19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466U true KR20090008466U (ko) 2009-08-24
KR200447206Y1 KR200447206Y1 (ko) 2010-01-06

Family

ID=4129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178U KR200447206Y1 (ko) 2008-02-19 2008-02-19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20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14Y1 (ko) * 2013-10-08 2014-09-23 장세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KR200481833Y1 (ko) 2015-05-11 2016-11-16 장세기 안전 삼각대
WO2024082524A1 (zh) * 2022-12-07 2024-04-25 常州灵特尔轻便展示系统有限公司 折叠展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86U (ko) 2018-07-02 2020-01-10 이준기 다용도 안전 경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227Y2 (ko) 1978-09-27 1981-01-24
KR100193678B1 (ko) * 1996-07-29 1999-06-15 양재신 보조 시트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
KR100419320B1 (ko) * 2001-08-27 2004-02-19 양옥진 조립식 안전 표시대
KR200324274Y1 (ko) 2003-05-03 2003-08-21 문성인 안전 표지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14Y1 (ko) * 2013-10-08 2014-09-23 장세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KR200481833Y1 (ko) 2015-05-11 2016-11-16 장세기 안전 삼각대
WO2024082524A1 (zh) * 2022-12-07 2024-04-25 常州灵特尔轻便展示系统有限公司 折叠展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206Y1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9732B2 (en) Humanoid profile safety sign
KR200447206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KR102366160B1 (ko) 도로 공사용 이동식 안내 장치
KR200458347Y1 (ko) 안전 삼각대
KR101656441B1 (ko) 자동차용 자동 안전 삼각대와 그를 포함한 자동차용 자동 안전 삼각대 세트
KR101700347B1 (ko) 비상등 보조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KR102030653B1 (ko) 휴대가 용이한 차량용 비상 상황 표시장치
KR20090002949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KR200449760Y1 (ko) 접철식 자동차 정지 표시판
KR101337588B1 (ko) 안전 삼각대
KR200465736Y1 (ko)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
KR20170075340A (ko) 위험 표지판 세트
KR101287055B1 (ko)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하고 쓰러짐이 방지된 조립식 삼각대.
CN211547484U (zh) 一种修路施工用反光警示路锥
KR200474514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CN107142863A (zh) 一种交通安全路障警示装置
CN2636354Y (zh) 一种超窄形三角警告标志牌
KR101344470B1 (ko) 차량용 사고 알림 경보등을 갖는 조립식 삼각대
KR101490834B1 (ko)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KR101725140B1 (ko)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970006200Y1 (ko) 맨홀 작업용 절첩식 안전대
KR102222751B1 (ko) 접이식 엘이디 안전표시장치
KR200238706Y1 (ko) 접철식 안전 펜스
CN112281700B (zh) 建筑施工用的警示装置
JP6319717B2 (ja) 柱直立型忍び返し誘導板を用いた板折り畳み型防雪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