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264U - 곶감 포장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곶감 포장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264U
KR20090008264U KR2020080001912U KR20080001912U KR20090008264U KR 20090008264 U KR20090008264 U KR 20090008264U KR 2020080001912 U KR2020080001912 U KR 2020080001912U KR 20080001912 U KR20080001912 U KR 20080001912U KR 20090008264 U KR20090008264 U KR 200900082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immon
tray
coupling means
coupling
rectangular o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맹식
Original Assignee
권맹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맹식 filed Critical 권맹식
Priority to KR2020080001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264U/ko
Publication of KR200900082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26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65D85/34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having a meshed or apertured closure to allow contents to breath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레이 본체에 형성된 각 곶감 수용홈에 경사진 일측벽을 형성시킴과 아울러, 트레이 본체와 일체형의 덮개를 이중 록(LOCK)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수용된 곶감이 기울기 각도에 의해 안정적이면서도 미려하게 보일 뿐만 아니라, 이중 록 장치에 의해 보다 견고해져 운반에 따른 곶감의 형태 변형이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곶감 포장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곶감 포장용 트레이는, 종방향으로 2열로 다수개가 배열되며, 각각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진 일측벽을 갖는 다수개의 곶감 수용홈과, 상기 2열로 배열된 다수개의 곶감 수용홈의 직사각 외주면의 세변을 따라 형성되며 수직으로 단차벽을 갖는 제 1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트레이 본체와; 상기 트레이 본체의 직사각 외주면의 상기 세변을 제외한 일변에 상기 종방향으로 일체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다수개의 곶감 수용홈이 형성된 트레이 본체의 상부 전체를 커버하며, 그 직사각 외주면의 세변을 따라 수직으로 단턱벽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수단과 끼움 결합되는 제 2 결합수단을 갖는 일체형 덮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곶감, 트레이, 힌지

Description

곶감 포장용 트레이{TRAY FOR DRIED PERSIMMONS}
본 고안은 곶감 포장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이 본체에 형성된 각 곶감 수용홈에 경사진 일측벽을 형성시킴과 아울러, 트레이 본체와 일체형의 덮개를 이중 록(LOCK)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수용된 곶감이 기울기 각도에 의해 안정적이면서도 미려하게 보일 뿐만 아니라, 이중 록 장치에 의해 보다 견고해져 운반에 따른 곶감의 형태 변형이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곶감 포장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곶감은 떫은 감을 건조시켜 제조한 것으로 내부 수분함량에 따라 35~40% 정도인 건시 또는 45~50% 정도인 반건시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감을 건조시키는 통상의 방법으로는 천일 건조가 행하여지고 있으며, 이때 상기 천일 건조는 예로부터 실시되고 있는 방법으로서 감의 건조를 위하여 별도의 인위 조작 없이 햇빛에 말리는 자연건조 방식이 실시되고 있다.
이렇게 건조되어 상품화된 곶감은 별도의 포장용 트레이로 하여금 일정한 규격품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곶감의 유통을 위해 사용하는 포장용 트레이의 형태가 단순히 곶감을 담는 기능으로만 이루어져 있고 별도의 견고한 고정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외관상 미려하지 않아 소비자에게 구매욕구를 충족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었고, 운반시에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연질의 곶감의 형태가 훼손되거나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레이 본체에 형성된 각 곶감 수용홈에 경사진 일측벽을 형성하여 기울기 각도를 주어 설계함으로써, 수용된 곶감이 기울기 각도에 의해 안정적이면서도 미려하게 보여 수요자에게 구매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곶감 포장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트레이 본체와 일체형의 덮개를 이중 록(LOCK)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이중 록 장치에 의해 보다 견고해져 운반에 따른 충격시에도 곶감의 형태 변형이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곶감 포장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각 곶감 수용홈의 4 측벽에 복수개의 상하 수직 공기 유통홈을 형성하여 곶감 수용홈의 내주면으로부터 곶감의 자연순풍을 유도하게 되어 제품의 변질을 방지하여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곶감 포장용 트레이를 제 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직사각 트레이 본체 및 덮개의 일측 모서리쪽에 엠보싱(embossing) 문양 처리되어 오돌오돌하게 형성된 오프너를 상호 대향되게 약간 벌어지도록 접촉하여 보다 오픈이 용이한 곶감 포장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곶감 포장용 트레이는, 종방향으로 2열로 다수개가 배열되며, 각각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진 일측벽을 갖는 다수개의 곶감 수용홈과, 상기 2열로 배열된 다수개의 곶감 수용홈의 직사각 외주면의 세변을 따라 형성되며 수직으로 단차벽을 갖는 제 1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트레이 본체와; 상기 트레이 본체의 직사각 외주면의 상기 세변을 제외한 일변에 상기 종방향으로 일체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다수개의 곶감 수용홈이 형성된 트레이 본체의 상부 전체를 커버하며, 그 직사각 외주면의 세변을 따라 수직으로 단턱벽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수단과 끼움 결합되는 제 2 결합수단을 갖는 일체형 덮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ㄷ" 자 형태의 상기 제 1 결합수단은 수직으로 상기 단차벽을 가지며, 그 단차벽의 하단에는 수평으로 일체 연장되는 제 1 연장면으로 이루어지며, "ㄷ" 자 형태의 상기 제 2 결합수단은 수직으로 단턱벽을 가지며, 그 단턱벽의 하단에는 수평으로 일체 연장되는 제 2 연장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결합수단의 단 차벽 및 제 1 연장면과 상기 제 2 결합 수단의 단턱벽 및 제 2 연장면이 상호 대응하여 끼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수단의 제 1 연장면의 일측 모서리에는 엠보싱 처리되어 오돌오돌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오프너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결합 수단의 제 2 연장면의 모서리에도 엠보싱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오프너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수단의 상호 결합시에 오돌오돌한 부분에 의해 오픈이 용이해지도록 당접부분이 상호 약간 벌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레이 본체의 직사각 외주면 상에는 상기 종방향으로 대향되게 두 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일체형 덮개의 상기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일측 및 타측에는 두 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수단의 상호 결합시에 상기 두 개의 결합 돌기가 각각 상기 두 개의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레이 본체의 직사각 외주면의 네변중 상기 힌지 결합되는 일변에 대향되는 면상에 이격되어 두 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일체형 덮개의 직사각 외주면의 네변중 상기 힌지 결합되는 일변에 대향되는 면상에 이격되어 두 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수단의 상호 결합시에 상기 두 개의 결합 돌기가 각각 상기 두 개의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곶감 수용홈의 경사진 상기 일측벽을 포함하는 4 측벽에는 복수개의 상하 수직 공기 유통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레이 본체의 직사각 외주면의 상기 종방향으로 형성된 중앙 종 방향면에는 일정 거리 이격하여 일렬로 다수의 상부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수단의 상호 결합시에 상기 일체형 덮개의 상부 내측면에 그 상단이 당접되어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곶감 포장용 트레이에 의하면, 트레이 본체에 형성된 각 곶감 수용홈에 경사진 일측벽을 형성시킴과 아울러, 트레이 본체와 일체형의 덮개를 이중 록(LOCK)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수용된 곶감이 기울기 각도에 의해 안정적이면서도 미려하게 보여 소비자에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이중 록 장치에 의해 보다 견고해져 운반에 따른 곶감의 형태 변형이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곶감 포장용 트레이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곶감 포장용 트레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곶감 포장용 트레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곶감 포장용 트레이(1)는, 종방향으로 2열로 다수개가 배열되며 각각 상부가 넓어지도록 경사진 일측벽(111)을 갖는 다수개의 곶감 수용홈(110)과, 상기 2열로 배열된 다수개의 곶감 수용홈(110)의 직사각 외주면(120)의 세변을 따라 형성되며 수직으로 단차벽(151)을 갖는 제 1 결합수단(150)으로 이루어지는 트레이 본체(100)와; 트레이 본체(100)의 나머지 한변에 상기 종방향으로 일체로 힌지결합되어 다수개의 곶감 수용홈(110)이 형성된 트레이 본체(100)의 상부 전체를 커버하며, 그 외주면(220)의 세변을 따라 수직으로 단턱벽(231)이 형성되어 제1 결합수단(150)과 끼움 결합되는 제 2 결합수단(230)을 갖는 일체형 덮개(200)로 크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대략 직사각 형상의 트레이 본체(100)는 위생상 문제가 없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일정 두께로 하여 기본적인 몸체를 형성하되, 사출가공에 의해 성형됨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에 있어 그 재질이나 성형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각 곶감 수용홈(110)은 트레이 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향 내측으로 포밍되어 상단이 개구된 요홈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되, 일측벽(우측벽)(111)은 상측이 넓어지고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 곶감 수용홈(110)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일측벽(111)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경사진 일측벽(111)을 따라 곶감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 효율성이 뛰어나고 기울기 각도에 의해서 외부에서 보았을 때 곶감의 형상이 보다 많이 보여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 곶감 수용홈(110)의 경사진 일측벽(111)을 포함하는 4 측벽에는 복수개의 상하 수직 공기 유통홈(112)이 포밍형성되어 있어, 곶감 수용홈(110)의 내주면으로부터 곶감의 자연순풍을 유도하게 되어 제품의 변질을 방지하여 장기간 보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2열 종대(바람직하게는 도시된 예와 같이, 5×2 행렬)로 배열된 곶감 수용홈(110)으로 이루어진 직사각 트레이 본체(100)의 직사각 외주면(120)을 둘러싸는 일변은 후술하는 일체형 덮개(200)의 일변과 일체로 힌지결합되고, 나머지 세변은 일체형 덮개(200)의 세변과 당접 및 끼움 결합되는 제 1 결합수단(150)이 형성된다.
상기 대략 "ㄷ" 자 형태의 제 1 결합수단(150)은 수직으로 단차벽(151)을 가지며, 그 단차벽(151)의 하단에는 수평으로 일체 연장되는 제 1 연장면(152)으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제 2 결합수단(230)의 단턱벽(231) 및 제 2 연장면(232)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수단(150)의 제 1 연장면(152)의 모서리에는 엠보싱(embossing) 처리되어 오돌오돌하게 형성된 제 1 오프너(153)가 형성되어, 역시 후술하는 제 2 결합 수단(230)의 제 2 연장면(232)에 형성된 제 2 오프너(233)에 대응되어 제 1 및 제 2 결합수단(150)(230)의 상호 결합시에 오돌오돌한 부분에 의해 오픈이 용이해지도록 당접부분이 상호 약간 벌어진 형태로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트레이 본체(100)의 직사각 외주면(120) 상에는 상기 종방향으로 대향되게 두 개의 결합돌기(140)가 역시 포밍 형성공정 등에 의해 형성되어, 후 술하는 일체형 덮개(200)의 캡(210)의 두 개의 결합홈(24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상기 제 1 및 2 결합수단에 의한 상호 결합과 함께 이중의 록(lock)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더욱 견고한 고정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상기 트레이 본체(100)의 직사각 외주면(120)의 상기 종방향으로 형성된 중앙 종방향면(130)에는 일정 거리 이격하여 일렬로 다수의 상부 돌기(160)가 포밍 형성되어 일체형 덮개(200)의 캡(210) 상부 내측면에 결합시에 당접되어 지지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커버 공간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일체형 덮개(200)는, 상기 복수개의 곶감 수용홈(110)의 상측을 전체적으로 커버하여 보호하도록 일정 높이로 포밍 형성되어 내측에 커버 공간부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캡(210)과, 상기 캡(210)의 하단 외주면(220)의 세변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결합수단(2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캡(210)의 하단 외주면(220)의 다른 일변은 직사각 트레이 본체(100)의 직사각 외주면(120)의 일변에 일체로 힌지결합되어 덮개(200)와 트레이 본체(100)가 힌지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대략 "ㄷ" 자 형태의 제 2 결합수단(230)은 수직으로 단턱벽(231)을 가지며, 그 단턱벽(231)의 하단에는 수평으로 일체 연장되는 제 2 연장면(232)으로 이루어져, 제 1 결합수단(150)의 단차벽(151) 및 제 1 연장면(152)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수단(230)의 제 2 연장면(232)의 모서리에는 엠보싱 처리되어 오돌오돌하게 형성된 제 2 오프너(233)가 형성되어, 제 1 결합 수단(150)의 제 1 연장면(152)에 형성된 제 1 오프너(153)에 대응되어 제 1 및 제 2 결합수단(150)(230)의 상호 결합시에 오돌오돌한 부분에 의해 오픈이 용이해지도록 당접부분이 상호 벌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일체형 덮개(200)의 캡(210)의 상기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일측 및 타측에는 두 개의 결합홈(230)이 포밍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 본체(100)의 직사각 외주면(120) 상에 상기 종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된 두 개의 결합돌기(14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두 개의 결합돌기(140)는 트레이 본체(100)의 직사각 외주면(120)상에 종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상기 두 개의 결합돌기(140)에 대응하는 두 개의 결합홈(240)은 일체형 덮개(200)의 캡(210)의 상기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결합 돌기 및 결합홈을 각각 상기 힌지결합부의 대향하는 반대면인 트레이 본체 및 덮개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본 고안에 있어 그 형성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본 고안으로부터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영역 내임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곶감 포장용 트레이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곶감 포장용 트레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곶감 포장용 트레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에 따른 곶감 포장용 트레이
100: 트레이 본체 110: 수용홈
111: 일측벽 112: 수직 공기 유통홈
120: 직사각 외주면 130: 중앙 종방향면
140: 다수의 상부 돌기 150: 제 1 결합수단
151: 단차벽 152: 제 1 연장면
153: 제 1 오프너 160: 다수의 상부 돌기
200: 일체형 덮개
210: 캡 220: 직사각 외주면
230: 제 2 결합수단 231: 단턱벽
232: 제 2 연장면 233: 제 2 오프너
240: 결합홈

Claims (7)

  1. 종방향으로 2열로 다수개가 배열되며, 각각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진 일측벽을 갖는 다수개의 곶감 수용홈과, 상기 2열로 배열된 다수개의 곶감 수용홈의 직사각 외주면의 세변을 따라 형성되며 수직으로 단차벽을 갖는 제 1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트레이 본체와,
    상기 트레이 본체의 직사각 외주면의 상기 세변을 제외한 일변에 상기 종방향으로 일체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다수개의 곶감 수용홈이 형성된 트레이 본체의 상부 전체를 커버하며, 그 직사각 외주면의 세변을 따라 수직으로 단턱벽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수단과 끼움 결합되는 제 2 결합수단을 갖는 일체형 덮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포장용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ㄷ" 자 형태의 상기 제 1 결합수단은 수직으로 상기 단차벽을 가지며, 그 단차벽의 하단에는 수평으로 일체 연장되는 제 1 연장면으로 이루어지며, "ㄷ" 자 형태의 상기 제 2 결합수단은 수직으로 단턱벽을 가지며, 그 단턱벽의 하단에는 수평으로 일체 연장되는 제 2 연장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결합수단의 단차벽 및 제 1 연장면과 상기 제 2 결합 수단의 단턱벽 및 제 2 연장면이 상호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포장용 트레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수단의 제 1 연장면의 일측 모서리에는 엠보싱 처리되어 오돌오돌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오프너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결합 수단의 제 2 연장면의 모서리에도 엠보싱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오프너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수단의 상호 결합시에 오돌오돌한 부분에 의해 오픈이 용이해지도록 당접부분이 상호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포장용 트레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본체의 직사각 외주면 상에는 상기 종방향으로 대향되게 두 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일체형 덮개의 상기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일측 및 타측에는 두 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수단의 상호 결합시에 상기 두 개의 결합 돌기가 각각 상기 두 개의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포장용 트레이.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본체의 직사각 외주면의 네변중 상기 힌지 결합되는 일변에 대향되는 면상에 이격되어 두 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일체형 덮개의 직사각 외주면의 네변중 상기 힌지 결합되는 일변에 대향되는 면상에 이격되어 두 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수단의 상호 결합시에 상기 두 개의 결합 돌기가 각각 상기 두 개의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포장용 트레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곶감 수용홈의 경사진 상기 일측벽을 포함하는 4 측벽에는 복수개의 상하 수직 공기 유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포장용 트레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본체의 직사각 외주면의 상기 종방향으로 형성된 중앙 종방향면에는 일정 거리 이격하여 일렬로 다수의 상부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수단의 상호 결합시에 상기 일체형 덮개의 상부 내측면에 그 상단이 당접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포장용 트레이.
KR2020080001912U 2008-02-13 2008-02-13 곶감 포장용 트레이 KR200900082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912U KR20090008264U (ko) 2008-02-13 2008-02-13 곶감 포장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912U KR20090008264U (ko) 2008-02-13 2008-02-13 곶감 포장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264U true KR20090008264U (ko) 2009-08-18

Family

ID=41300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912U KR20090008264U (ko) 2008-02-13 2008-02-13 곶감 포장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26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6215A (zh) * 2013-09-30 2013-12-25 昆山市富众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快速固定螃蟹的蟹盒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6215A (zh) * 2013-09-30 2013-12-25 昆山市富众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快速固定螃蟹的蟹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0042B2 (en) Vessel and lid with stacking features
USD584053S1 (en) Transparent shoe storage box
US6976577B2 (en) Mint package
CN101965139A (zh) 可堆叠的化妆品罐
US7665608B2 (en) Display package
USD528907S1 (en) Storage box having a retention portion with window
WO2005085095A1 (en) A stack of container assemblies
EP1373100B1 (en) Display package for articles such as eggs
KR20090008264U (ko) 곶감 포장용 트레이
USD517292S1 (en) Footwear cleat with vertical traction elements
JP3148296U (ja) 鶏卵トレイ用蓋体
JP3151025U (ja) 果実包装用容器
CN203064312U (zh) 一种茶叶盒结构
US20080237228A1 (en) Airtight food container
KR101469677B1 (ko) 속포장용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US20130312218A1 (en) Handle assembly for an airtight container
KR20100008433U (ko) 과일용 난좌
KR101162291B1 (ko) 포장용 용기
TWI735987B (zh) 包材盤及裝載電池連接盤的包裝構造
KR200436858Y1 (ko) 곶감 포장용 케이스
JP3137275U (ja) 果実包装用容器
CN216103838U (zh) 塑料制成的鸡蛋盒
JP4054904B2 (ja) 鶏卵包装用容器
JP7379771B2 (ja) 包装用容器
JP2003191937A (ja) 食品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