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433U - 과일용 난좌 - Google Patents

과일용 난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433U
KR20100008433U KR2020090001718U KR20090001718U KR20100008433U KR 20100008433 U KR20100008433 U KR 20100008433U KR 2020090001718 U KR2020090001718 U KR 2020090001718U KR 20090001718 U KR20090001718 U KR 20090001718U KR 20100008433 U KR20100008433 U KR 201000084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air
seating
seating portion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연
Original Assignee
(주)신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명 filed Critical (주)신명
Priority to KR2020090001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8433U/ko
Publication of KR201000084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43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65D85/34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having a meshed or apertured closure to allow contents to breath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일 받침대로 사용되는 난좌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용 상자의 내부에 조립되어 각 안착부에 과일을 안착시킴으로써 유통 및 운반 중에 과일의 유동을 방지하는 과일용 난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과일용 난좌는 각 안착부에 과일과의 표면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공기 유통 구조를 구비하고, 또한 과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미적 요소를 제공하는 팬캡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구비함으로써, 과일의 노화 및 부패 방지, 외부 충격에 의한 과일의 이탈 및 손상 방지, 과일의 상품성 향상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과일, 난좌, 안착부, 공기 유통 구조, 공기유동통로, 요홈, 공기통공, 팬캡부, 부패 방지, 상품성 향상

Description

과일용 난좌{Fruit tray}
본 고안은 과일용 난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용 상자의 내부에 조립되어 각 안착부에 과일을 안착시킴으로써 유통 및 운반 중에 과일의 유동을 방지하는 과일용 난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이 산지에서 일반 소비자에게 공급되기까지는 수확 단계 후 출하되어 도매상이나 소매상 등의 유통 단계를 거쳐 공급되며, 그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이 수분과 과당을 함유하고 있어 맛이 좋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각종 비타민 등을 함유하고 있어 일반인들이 많이 소비하는 농산품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과일들은 다량의 수분과 과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보관기간이 길어질수록 신선도와 맛, 영향분이 점차 저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과일을 수확한 후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출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수확된 과일들은 골판지 등으로 제작된 포장용 상자에 다수 개를 수납 하여 포장한 후 출하하게 되는데, 상자의 내부에 곧바로 과일을 담게 되면 유통이나 보관을 위해 이동하는 도중 과일끼리 마찰이 발생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도 그대로 과일에 전달되므로 과일에 상처가 생기는 등 품질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난좌라고 불리는 과일 받침대를 상자의 내부에 먼저 안치한 후 난좌의 각 안착부에 과일을 안착시킨 상태로 포장하고 있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과일용 난좌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안착부에 과일이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 2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은 난좌(10)는 통상 골판지와 같은 두꺼운 종이 재질이나 펄프 몰딩, 스티로폼(발포 PS) 등의 재질로 제작되며, 판체형이면서 과일(1)이 안착되는 여러 개의 안착부(11)가 구비된 형상으로 성형 제작된다.
이러한 난좌(10)를 사용하게 되면 상자 내에서 과일(1)의 위치를 각 안착부(11)에 어느 정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유통 및 운반시에 과일이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과일끼리 직접 접촉하거나 외부의 충격이 과일에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난좌(10)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태가 단순하여 조그만 충격이나 진동에도 과일(1)이 안착부(11)를 이탈하게 되므로 과일 간에 쉽게 부딪칠 수 있고, 운반 중 상자가 약간만 기울어지더라도 과일이 움직이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자가 기울어진 상태로 보관되는 경우 과일이 위치를 이탈한 상태로 보관되거나 과일끼리 접촉한 상태로 보관되는 등 보관상 어려움이 있다.
이에 종래의 난좌를 사용할 경우 과일의 손상이 잦았으며, 과일의 손상으로 판매이익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더욱이 손상된 과일은 판매자가 전량 회수하여 폐기처분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비용의 발생이 불가피하여 추가적인 경제적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난좌에서는 안착부 내측면에 과일이 밀착되는 구조이고, 과일과 난좌 사이에서 어떠한 공기 유통도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과일이 쉽게 변질되어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과일과 난좌의 밀착 구조로 인해 열이나 습기, 과일에서 발생된 가스(에틸렌 가스 등) 등이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지 못하게 되면 과일의 노화 및 부패가 촉진될 수 있다.
특히, 복숭아와 같이 수분과 과당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면서 과육이 무른 과일을 수납하는 경우에 상자 내에서 난좌의 안착부와 과일 사이가 공기 유통 없이 밀폐된 분위기를 유지하게 되어 과육이 쉽게 짓무르거나 썩는 등 많은 문제가 있게 된다.
아울러, 종래의 난좌는 발포 PS 등의 재질로 제작되어 사용되므로 재질 자체의 단열 및 열 보유에 따른 과일의 열화 및 노화, 짓무름 등의 현상이 과다하게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각 안착부에 과일과의 표면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공기 유통 구조를 구비하고, 또한 과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미적 요소를 제공하는 팬캡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구비함으로써, 과일의 노화 및 부패 방지, 외부 충격에 의한 과일의 이탈 및 손상 방지, 과일의 상품성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과일용 난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포장용 상자 내에 조립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과일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부를 구비하여 유통 및 운반 중에 과일의 유동을 방지하는 과일용 난좌에 있어서, 상기 각 안착부의 바닥면에 공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 안착부의 내측면에는 과일 표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공기통공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거나 과일에서 발생된 가스가 유동하여 상기 공기통공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유동통로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난좌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통공이 각 안착부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동통로가 각 안착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공기통공을 중심으로 공기통공 주변에서부터 상방 및 방사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통로는 한 줄씩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각 방향에서 두 줄을 1조로 하여 각 조의 공기유동통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통로의 하단을 연결하는 원형의 공기유동통로를 안착부의 바닥면에서 상기 공기통공 주변으로 형성하여, 상기 원형의 공기유동통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전체 공기유동통로들을 하나의 유로 공간으로 연통시키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통로는 안착부의 내측면에 요홈을 형성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안착부의 하부면과 포장용 상자의 바닥부 사이가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포장용 상자의 바닥부 위에서 안착부를 지지하게 되는 받침부가 상기 각 안착부의 하부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포장용 상자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받침부와 받침부 사이를 통과한 뒤 상기 공기통공을 통해 안착부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안착부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난좌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팬캡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팬캡부는 안착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산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반복 형성되고 산부와 산부 사이에는 연결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이웃한 산부를 연결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단 끝면이 수평으로 직선을 이루고 있는 편평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팬캡부는 상단 끝면이 산과 골이 연속된 곡면을 이루는 물결 모양의 파형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과일용 난좌에 의하면, 각 안착부에 과일과의 표면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공기 유통 구조를 구비하고, 또한 과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미적 요소를 제공하는 팬캡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구비함으로써, 과일의 노화 및 부패 방지, 외부 충격에 의한 과일의 이탈 및 손상 방지, 과일의 상품성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과일과 난좌의 안착부 사이에 공기 유통 구조를 구비하여, 공기의 유통을 원활히 하고, 과일에서 발생되는 가스(에틸렌 가스 등)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일의 노화나 부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복숭아와 같이 과육이 무른 과일이라 하더라도 과일과 난좌 사이에 원활히 공기가 유통되어 단시간 내에 과육이 짓물러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고, 과일의 신선도를 최대한 오래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난좌에서 각 안착부의 팬캡부는 난좌 상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안착부에 안착된 과일을 지지하면서 과일이 안착부에서 측방으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과일이 안착부에 보다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유통 및 운반 중에 과일이 안착부에서 이탈되어 서로 부딪치게 되면 과일에 많은 손상이 발생할 수 있음). 또한 상기 팬캡부는 난좌에 수납된 과일의 상품성을 돋보이게 하면서 유통 중 과일의 손상을 막는 종래의 팬캡 또는 화선지의 역할을 대신하게 되는데, 종래의 팬캡이나 화선지를 과일에 씌운 것과 같은 효과를 내게 되므로, 과일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별도의 팬캡이나 화선지를 씌우는 불편함 및 과잉 포장 방지, 비용 절감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첨부한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일용 난좌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안착부에 과일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첨부한 도 4는 본 고안의 과일용 난좌에서 안착부의 공기 유통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과일용 난좌에서 안착부의 공기 유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난좌(100)가 포장용 상자(200)에 조립된 상태에서 공기가 유통되는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첨부한 도 6은 본 고안의 과일용 난좌에서 안착부에 과일이 안착된 상 태로 공기 유통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A' 방향에서 본 정면도로서, 난좌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팬캡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과일용 난좌(100)는 포장용 상자(200) 내에 조립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유통 및 운반 중에 과일(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용 상자 내에서 과일을 정위치에 안착시켜 고정하는 일종의 과일 받침대 역할을 하게 된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얇은 판체형으로 성형하여 제작되며, 특히 과일(1)이 안착되는 여러 개의 안착부(110)를 구비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된다.
여기서, 안착부(110)는 과일(1)이 안착될 수 있는 대략 반구형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안착부가 평면상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과일용 난좌(100)는, 단열 및 열 보유 특성을 갖는 기존의 발포 PS 재질을 사용하는 대신, PP, PE, FPP, PP/PE 다층 등의 비발포 합성수지 또는 합성수지 복합재가 사용되어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난좌를 비발포 재질로 제작하게 되면 기존 발포 PS 재질을 사용할 때의 문제점, 즉 단열 및 열 보유 특성에 따른 과일 열화나 짓무름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비발포성 소재에 미네랄 소재나 공지의 원적외선 방출 소재 등을 혼합하여 성형 제작하게 되면 과일의 부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과일용 난좌에서는 각 안착부의 구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우선, 안착부(110)와 이에 안착된 과일(1) 간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공기 유통 구조에 의해 안착부 내측면과 과일 표면 간에 공기가 원활히 유통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난좌에서는 안착부 내측면과 과일 표면, 특히 과일 하부의 표면 대부분이 안착부 내측면에 밀착되므로 공기가 유통될 수 없었고, 이렇게 공기가 유통되지 않는 밀폐된 분위기에서 습기 등에 의해 과일이 쉽게 썩거나 짓무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과일(1)과 난좌(100)의 각 안착부(110) 사이에 공기 유통 구조를 구비하여, 공기의 유통을 원활히 하고, 과일에서 발생되는 가스(에틸렌 가스 등)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일의 노화나 부패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본 고안의 공기 유통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 안착부(110) 하단의 바닥면 중앙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통공(111)을 형성하고, 각 안착부(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통공(111)으로부터 유입된 공기 또는 과일에서 발생된 가스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안착부(110) 하단의 바닥면 중앙에는 원형의 공기통공(111)을 형성하고, 각 안착부(110)의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요홈(113)을 성형하여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한다.
이때, 복수개의 요홈(113)이 공기통공(111)을 중심으로 공기통공 주변에서부터 상방 및 방사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는데, 복수개의 요홈(113)이 한 줄씩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예시한 바와 같이 각 방향에서 두 줄을 1조로 하여 각 조의 요홈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홈(113)들의 하단을 연결하는 원형의 공기유동통로(112)를 안착부(110) 바닥면의 공기통공(111) 주변으로 형성하여, 상기 원형의 공기유동통로(112)가 전체 요홈(113)들을 하나의 유로 공간으로 연통시키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난좌(100)에서는 각 안착부(110)에 공기 유통 구조를 형성하여 안착부(110)와 과일(1) 사이에 공기 유통을 원활히 하고 과일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켜 과일의 노화 및 부패를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난좌(100)에서 각 안착부(110)의 공기 유동 경로에 대해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안착부(110)의 공기통공(111)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안착부 내측면에 형성된 요홈(113)을 통해 고르게 분산되어 흐르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난좌가 포장용 상자(200)에 안치된 상태의 공기 유동 경로를 보여주고 있는데, 포장용 상자(200)의 측면벽(200a) 내측에 소정 간격으로 지지부(201)가 구비된 상태에서 난좌(100)의 가장자리 끝단 부위가 상기 지지부(201) 위에 지지되어 난좌가 조립되며, 이때 난좌(100)의 각 안착부(110)는 상자(200)의 바닥면에서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자(200)의 측면벽(200a) 및 바닥부(200b)에 형성된 통풍구(202) 를 통해 상자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각 안착부(110)의 공기통공(111)을 통해 안착부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안착부 내측면에 형성된 요홈(113)을 따라 이동하여 분산되게 된다.
도 6는 과일(1)이 안착부(110)에 안착된 상태의 공기 유동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10)의 공기통공(111)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요홈(113)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공기가 안착부(110)와 과일(1) 표면 사이를 통해 유통되면서 과일의 노화나 부패를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가 유통되는 구조에 따르면, 복숭아와 같이 과육이 무른 과일이라 하더라도 과일과 난좌 사이에 원활히 공기가 유통되어 단시간 내에 과육이 짓물러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고, 과일의 신선도를 최대한 오래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과일(1)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안착부(110)의 요홈(113)과 공기통공(111)을 통해 외부로 신속히 배출할 수도 있으며, 이때 가스의 배출 경로는 도 6의 공기 유동 경로와는 반대가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난좌(100)에서는 각 안착부(110)에 팬캡부(114,115)가 일체로 성형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팬캡부는 각 안착부에서 과일(1)을 고정하기 위한 충분한 높이가 확보될 수 있도록 안착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난좌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난좌에서 각 안착부의 팬캡부는 난좌 상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안착부에 안착된 과일을 지지하면서 과일이 안착부에서 측방으로 쉽게 이 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과일이 안착부에 보다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유통 및 운반 중에 과일이 안착부에서 이탈되어 서로 부딪치게 되면 과일에 많은 손상이 발생할 수 있음).
또한 상기 팬캡부는 난좌에 수납된 과일의 상품성을 돋보이게 하면서 유통 중 과일의 손상을 막는 종래의 팬캡 또는 화선지의 역할을 대신하게 되는데, 각 안착부에 팬캡부가 형성됨으로써 과일 돋보이게 하기 위해 종래의 팬캡이나 화선지를 과일에 씌운 것과 같은 효과를 내게 된다.
종래와 같이 공기 유통 구조가 없는 발포 PS 재질의 난좌와 과일에 별도로 씌워주는 팬캡 및 화선지는 과일의 상품성을 돋보이게는 하지만 단열 및 열 보유 효과로 열방출을 억제하고, 또한 과일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외부 유출을 막아 과일의 부패를 촉진한다.
특히, 별도로 제작하여 과일에 씌워주어야 하는 종래의 팬캡 또는 화선지의 사용은 과잉 포장으로 인한 포장비 상승, 인건비 과다 등의 문제를 초래하였으며, 이에 농가 소득의 감소는 물론 소비자 입장에서도 폐기시 과도한 쓰레기 발생으로 많은 불편함을 주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난좌에서는 팬캡이나 화선지를 과일에 씌운 것과 같이 각 안착부에 팬캡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팬캡부가 난좌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키고, 과일을 돋보이게 하는 등 상품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과일이 안착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과일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난좌에서 팬캡부는 그 바람직한 형상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산부(114)가 일정 간격 또는 불규칙 간격으로 반복 형성되고 산부(114)와 산부 사이에는 연결부(115)가 형성되어 각 연결부(115)가 산부(114)들을 연결하는 형상을 가진다.
도 7은 도 3의 'A' 방향에서 도시한 팬캡부의 정면도로서,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산부(114)와 산부 사이에, 상단 끝면이 편평한, 즉 수평으로 직선을 이루고 있는 연결부(115)가 돌출 형성되어 산부(114)와 산부를 상기 연결부(115)가 연결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 바, 이러한 구조가 안착부(110)의 가장자리 전체를 따라 반복되게 된다.
상기 산부(114)는 과일(1)이 측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디자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연결부(115)는 산부(114)와 산부를 연결하여 산부가 꺾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각 안착부(110)에서 상방 돌출된 산부(114)만이 이격 형성되는 경우에는 산부가 쉽게 휘거나 꺾이는 등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산부(114)와 산부 사이에 연결부(115)를 형성하여, 이 연결부(115)가 산부(114)들을 잡아줌으로써 산부가 휘거나 꺾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강도 및 과일 지지력을 크게 한다.
한편, 첨부한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난좌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은 안착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안착부의 하부면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10은 안착부의 공기 유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선 '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난좌(100)가 포 장용 상자(200)에 조립된 상태에서 공기가 유통되는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난좌(100)는 각 안착부(110)가 포장용 상자(200)의 바닥부(200b)에 지지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를 위해, 안착부(110) 하단의 공기통공(111)의 주변으로 원형의 공기유동통로(도 5에서 도면부호 112임)를 형성하는 대신, 안착부(110) 측면의 공기유동통로(113)를 안착부(110) 하단의 바닥면에 연결하여, 상기 공기통공(111)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안착부(110) 하단의 바닥면 위에서 바로 안착부(110) 측면의 공기유동통로(113)로 분산되어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안착부(110)의 하부면이 포장용 상자(200)의 바닥부(200b)에 직접 닿게 되면, 포장용 상자(200)의 통풍구(202)에서 유입된 공기가 안착부(110)의 공기통공(111)을 통과하기 어렵다. 이는 포장용 상자(200)의 바닥부(200b)가 안착부(110)의 공기통공(111)을 막기 때문이며, 이 경우 포장용 상자(200)에서 공기통공(111)과 일치되는 바닥부(200b)의 통풍구(공기통공과 바로 겹쳐지는 상자 바닥부의 통풍구, 도 10 참조)(202)를 통해 유입된 공기만이 안착부(110) 내측으로 바로 통과될 수 있고, 포장용 상자(200)의 측면벽(200a)이나 다른 위치의 통풍구(202)를 통해 유입된 상자 내 공기는 안착부(11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부(110)의 하부면과 포장용 상자(200)의 바닥부(200b) 사이가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안착부(110)의 하부면에 공기통공(111)을 주변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받침부(118)를 하방으로 돌출 형성시킨다.
즉, 포장용 상자(200)의 바닥부(200b) 위에서 지지되어 안착부(110)의 하부 면을 포장용 상자(200)의 바닥부(200b)와 이격시키는 받침부(118)를 안착부(110)의 하부면(바깥면임)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시키는 것이며, 포장용 상자(200)의 통풍구(20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안착부(110)의 하부면에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이웃한 받침부(118)들 사이의 공간(안착부 하부면과 상자 바닥부 사이의 공간이 됨)을 통과하여(도 9 내지 도 10 참조) 공기통공(111)을 통해 안착부(110)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포장용 상자(200) 내에서 공기가 안착부(110)의 받침부(118) 사이를 통과한 뒤 공기통공(111)을 통해 안착부(110) 내측으로 유입되고 나면, 안착부(110) 측면의 공기유동통로(113)로 이동하여 흐르게 되며, 이렇게 공기가 흐르게 되면서 발생하는 작용 및 효과는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물론, 과일에서 발생한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는,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와 반대이며, 안착부(110) 측면의 공기유동통로(113), 공기통공(111), 이웃한 받침부(118) 사이의 공간(안착부 하부면과 상자 바닥부 사이의 공간이 됨)을 통해 상자의 통풍구(202)로 배출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외부의 공기는 상자(200)의 측면벽(200a) 및 바닥부(200b)에 형성된 통풍구(202)를 통해 상자 내부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첨부한 도 11과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난좌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2는 도 11의 'B' 방향에서 도시한 팬캡부의 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는 팬캡부의 형상을 달리한 실시예로서, 각 안착부(110)의 공기 유통 구조는 도 3 및 도 7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본 실시예에 서는 상단 끝면이 산(116)과 골(117)이 연속적인 곡면을 이루는 형상, 즉 물결 모양의 파형을 이루는 팬캡부가 채용된다. 물론, 각 안착부(110)의 공기 유통 구조가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각 안착부의 하부면에 받침부가 형성된 구조가 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단 끝면이 물결 모양의 파형을 이루면서 팬캡부(116,117)가 보다 아름다운 형상을 가지게 되는데, 과일(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여 과일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도 난좌(100)의 외관 및 디자인성을 향상시켜 과일의 상품성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의 난좌는 각 안착부에 과일과의 표면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공기 유통 구조를 구비하고, 또한 과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미적 요소를 제공하는 팬캡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구비함으로써, 과일의 노화 및 부패 방지, 외부 충격에 의한 과일의 이탈 및 손상 방지, 과일의 상품성 향상이라는 큰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이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실시예가 본 고안의 원리를 응용한 다양한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과일용 난좌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안착부에 과일이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 2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일용 난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과일용 난좌에서 안착부의 공기 유통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과일용 난좌에서 안착부의 공기 유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난좌가 포장용 상자에 조립된 상태에서 공기가 유통되는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과일용 난좌에서 안착부에 과일이 안착된 상태로 공기 유통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A 방향에서 본 정면도로서, 난좌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팬캡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난좌를 도시한 도면,
도 11과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난좌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9는 도 8의 'B' 방향에서 도시한 팬캡부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과일 100 : 난좌
110 : 안착부 111 : 공기통공
112 : 원형의 공기유동통로 113 : 요홈(공기유동통로)
114 : 산부 115 : 연결부
116 : 산부 117 : 골부
118 : 받침부 200 : 포장용 상자
202 : 통풍구

Claims (10)

  1. 포장용 상자(200) 내에 조립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과일(1)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부(110)를 구비하여 유통 및 운반 중에 과일의 유동을 방지하는 과일용 난좌(100)에 있어서,
    상기 각 안착부(110)의 바닥면에 공기통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각 안착부(110)의 내측면에는 과일(1) 표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공기통공(111)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거나 과일(1)에서 발생된 가스가 유동하여 상기 공기통공(111)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유동통로(113)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난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공(111)이 각 안착부(11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동통로(113)가 각 안착부(110)의 내측면에서 상기 공기통공(111)을 중심으로 공기통공 주변에서부터 상방 및 방사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난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통로(113)는 한 줄씩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각 방향에서 두 줄을 1조로 하여 각 조의 공기유동통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난좌.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통로(113)의 하단을 연결하는 원형의 공기유동통로(112)를 안착부(110)의 바닥면에서 상기 공기통공(111) 주변으로 형성하여, 상기 원형의 공기유동통로(112)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전체 공기유동통로(113)들을 하나의 유로 공간으로 연통시키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난좌.
  5. 청구항 2에서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통로(113)는 안착부(110)의 내측면에 요홈을 형성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난좌.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안착부(110)의 하부면과 포장용 상자(200)의 바닥부(200b) 사이가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포장용 상자(200)의 바닥부(200b) 위에서 안착 부(110)를 지지하게 되는 받침부(118)가 상기 각 안착부(110)의 하부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포장용 상자(2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받침부(118)와 받침부 사이를 통과한 뒤 상기 공기통공(111)을 통해 안착부(110)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난좌.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안착부(110)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난좌(100)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팬캡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난좌.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팬캡부는 안착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산부(114)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반복 형성되고 산부(114)와 산부 사이에는 연결부(115)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115)가 이웃한 산부(114)를 연결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난좌.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15)는 상단 끝면이 수평으로 직선을 이루고 있는 편평한 구조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난좌.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팬캡부는 상단 끝면이 산(116)과 골(117)이 연속된 곡면을 이루는 물결 모양의 파형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난좌.
KR2020090001718U 2009-02-17 2009-02-17 과일용 난좌 KR201000084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718U KR20100008433U (ko) 2009-02-17 2009-02-17 과일용 난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718U KR20100008433U (ko) 2009-02-17 2009-02-17 과일용 난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433U true KR20100008433U (ko) 2010-08-26

Family

ID=4445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718U KR20100008433U (ko) 2009-02-17 2009-02-17 과일용 난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8433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618Y1 (ko) * 2010-11-23 2013-02-28 주식회사 신명 과일 포장재
CN106219032A (zh) * 2016-09-05 2016-12-14 重庆市万盛区黑山猕猴桃种植专业合作社 一种卡扣式猕猴桃包装套件
KR20180046282A (ko) *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영농 과일용 난좌
KR20230150573A (ko) 2022-04-22 2023-10-31 이상준 과일 포장용 난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618Y1 (ko) * 2010-11-23 2013-02-28 주식회사 신명 과일 포장재
CN106219032A (zh) * 2016-09-05 2016-12-14 重庆市万盛区黑山猕猴桃种植专业合作社 一种卡扣式猕猴桃包装套件
KR20180046282A (ko) *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영농 과일용 난좌
KR20230150573A (ko) 2022-04-22 2023-10-31 이상준 과일 포장용 난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5905B2 (en) Ventilated tray for refrigerator beverage packages
US7871653B2 (en) Double-stack shrimp tray
KR20100008433U (ko) 과일용 난좌
US2936922A (en) Molded pulp packing tray
KR20170143349A (ko) 과일포장용기
KR100850876B1 (ko) 딸기 포장용기
JP3207437U (ja) 包装用容器
KR20110003378U (ko) 보냉 포장상자
US10000332B2 (en) Display and distribution package for eggs
KR200453007Y1 (ko) 과일포장상자용 박스형받침대
JP4368402B2 (ja) 果実用トレイ、連接果実用トレイ
KR20140000631U (ko) 농산물 포장용 팩
JP7417238B2 (ja) 包装用容器
KR101164004B1 (ko) 에어 쿠션부를 구비한 과일 난좌
JP3172181U (ja) 食品包装容器
RU113253U1 (ru) Коробк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упаковки шоколадных изделий и кондитерских изделий
CN217199658U (zh) 一种防起雾鲜杨梅包装盒
CN201201766Y (zh) 灯具类用泡沫包装箱
JP5270721B2 (ja) 鶏卵収納容器及びそれを備える冷蔵庫
KR100894275B1 (ko) 반전 없이 포장이 가능토록 하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물품 포장구.
CN219340044U (zh) 水果托盘
CN204776818U (zh) 一种鸡蛋包装盒
KR200480468Y1 (ko) 포장용기
JPS6030226Y2 (ja) メロン用等の包装体
KR200329545Y1 (ko) 자동판매기용 계란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