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631U - 농산물 포장용 팩 - Google Patents

농산물 포장용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631U
KR20140000631U KR2020120006448U KR20120006448U KR20140000631U KR 20140000631 U KR20140000631 U KR 20140000631U KR 2020120006448 U KR2020120006448 U KR 2020120006448U KR 20120006448 U KR20120006448 U KR 20120006448U KR 20140000631 U KR20140000631 U KR 201400006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agricultural
agricultural product
side wall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기
Original Assignee
정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기 filed Critical 정인기
Priority to KR2020120006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631U/ko
Publication of KR201400006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63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6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 B65D65/18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with some areas transparent and others 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 B65D5/5064Inverted U- or V-shaped paper elements provided with slits or recesses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contents are lo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며 바닥과 상기 바닥을 둘러싸는 측벽에 의해 한정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 및 상기 측벽에서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농산물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농산물 포장용 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산물 포장용 팩{PACK FOR PACKING AGRICULTURAL PRODUCTS}
본 고안은 과일, 야채 등의 농산물을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은 농업에 의하여 생산된 물자로서, 곡식, 채소, 과일, 야채, 달걀 등이 있다
농산물 등에는 종이 박스나 망에 대량으로 담아서 유통되는 것들이 있다. 예를 들어, 고구마, 감자, 오이, 양파 등이 그러하다.
이와 달리, 과일이나 야채의 경우에는, 주로 플라스틱 재질의 팩에 담아서 유통된다. 예를 들어, 사과, 배, 망고 등이 이에 속한다.
위의 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팩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사과 등을 담기 전에, 사과 등을 개별적으로 난좌(완충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된 밴드 형의 망체)에 끼워서 팩에 넣게 된다. 난좌를 사용하는 이유는,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농산물이 팩 내부의 공간에서 흔들리면서 표면이 손상되는 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에 의해, 사과 등을 난좌에 끼우는 작업에 투여되는 노동력과 난좌 자체의 구입 비용 등에 의해 포장 비용이 증가하고, 버려지는 난좌에 의해 환경에도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난좌를 사용하지 않고 팩 자체로서 과일에 대한 지지를 수행할 수 있는, 농산물 포장용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농산물 포장용 팩은, 상부가 개방되며 바닥과 상기 바닥을 둘러싸는 측벽에 의해 한정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 및 상기 측벽에서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농산물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와 상기 지지부는 투명 재질의 수지로 사출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의 상기 수용 공간을 한정하는 내면에 반대되는 외면에는 상기 외면의 윤곽이 상기 내면의 윤곽에 대응하게 하는 리세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에는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측벽의 밖을 연통시키는 제1 통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측벽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돌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 라인은, 상기 측벽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은,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는 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록부에는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바닥의 밖을 연통시키는 제2 통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덮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의 상부에 형성되는 오목부;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되는 삽입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관련된 농산물 포장용 팩에 의하면, 종래의 난좌를 사용하지 않고 팩 자체로서 과일에 대한 지지를 수행할 수 있다.
그에 의해, 난좌를 사용함에 따른 포장 비용의 증가와, 버려지는 난좌로 인한 환경의 문제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포장용 팩(100)에 농산물(A)이 수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포장용 팩(200)에 농산물(A)이 수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포장용 팩(300)에 농산물(A)이 수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포장용 팩(400)을 적층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포장용 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포장용 팩(100)에 농산물(A)이 수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농산물 포장용 팩(100)은, 몸체(110)와, 덮개(130)와, 지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농산물(A)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구성이다. 몸체(110)는, 베이스(111)와, 수용 공간(113)과, 잠금홈(119)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1)는 대체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그의 중앙에는 수용 공간(113)이 형성된다. 베이스(111)는, 잠금홈(119)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의미가 있으나, 덮개(130)를 채용하지 않아 잠금 돌기(139), 나아가 잠금홈(119)이 필요 없다면, 별도로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수용 공간(113)은 농산물(A)이 직접적으로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공간이다. 수용 공간(113)은 하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수용 공간(113)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구성을 보이고 있다. 수용 공간(113)은, 바닥(115)과 측벽(117)에 의해 형성된다. 수용 공간(113)은 구 형상의 농산물(A)에 대응하여, 대체로 반구형의 빈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용 공간(113)을 이루는 바닥(115)은 원형이며, 측벽(117)은 바닥(115)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벽(117)은 높이 방향(H)을 따라 바닥(115)에서 멀어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잠금홈(119)은 베이스(111)에 형성되는 리세스(recess)이다. 잠금홈(119)은 베이스(111)의 상면[덮개(130)와 마주하는 면] 측에서 진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덮개(130)는 몸체(110)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몸체(110)의 상측을 덮는 구성이다. 덮개(130)는 베이스(131)와, 수용 공간(13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31)는 몸체(110)의 베이스(111)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베이스(131)에는 잠금홈(119)에 대응하여 잠금 돌기(139)가 돌출 형성된다.
수용 공간(133) 역시 몸체(110)의 수용 공간(113)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그에 의해, 몸체(110)의 수용 공간(113)과 덮개(130)의 수용 공간(133)은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구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수용 공간(133)의 천장(135)은 덮개(130)가 몸체(110)를 덮는 상태에서 몸체(110)의 바닥(115)을 마주하는 면이 된다.
지지부(150)는 몸체(110)의 수용 공간(113) 내에서 농산물(A)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지지부(150)는 수용 공간(113)을 형성하는 측벽(117)의 내면[수용 공간(113)을 한정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50)는 측벽(117)의 높이 방향(H)을 따라 연장하는 돌출 라인(155)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라인(155)은 측벽(117)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인들은 몇 개가 서로 밀집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라인들이 한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이상에서, 몸체(110)와, 덮개(130)와, 지지부(150)는 수지로서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지는 투명한 것이어서, 포장용 팩(200)의 외부에서도 수용 공간(113 및 133)에 수용된 농산물(A) 및 그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 유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농산물(A)을 수용 공간(113 및 133)에 삽입함에 있어서, 농산물(A)이 수용 공간(113) 내에서 유동하는 일은 지지부(150)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이는, 지지부(150)가 농산물(A)의 외면과 접촉하여 농산물(A)이 수용 공간(113) 내에서 고정되게 하기 때문이다.
그에 의해, 농산물(A)의 고정을 위해 사용한 난좌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어서, 포장 시 난좌에 의한 재료비 및 인건비의 증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비자로서는 난좌에 가려서 농산물(A)의 표면 상태를 제대로 보지 못했으나, 난좌가 제거됨에 의해 농산물(A)의 표면의 결함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지지부(150)로서의 돌출 라인(155)은 높이 방향(H)으로 연장함에 의해, 수용 공간(113)에 삽입되는 농산물(A)에 대해 높이 방향(H)의 적어도 일 부분에서는 농산물(A)과 접촉하게 된다. 그에 의해, 지지부(150)가 농산물(A)과 접촉하지 못하는 일은 거의 없어서, 모양이 균일하지 않은 농산물(A)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지지부(150)의 다른 형태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포장용 팩(200)에 농산물(A)이 수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포장용 팩(200)은 간단히 몸체(210) 만으로 예시되어 있다. 몸체(210)는 수용 공간(213)을 가지고, 수용 공간(113)은 바닥(215)과 측벽(217)에 의해 형성되는 앞선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지지부(250)는, 앞선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돌기(251)일 수 있다. 돌기(251)는 수용 공간(213)을 마주하는 내면(253)과, 몸체(210)의 외측을 마주하는 외면(254)을 포함할 수 있다.
내면(253)은 수용 공간(213)을 향해 볼록한 형태를 이루고, 외면(254)도 내면(253)에 대응하여 오목한 형태를 이룬다. 외면(254)이 측벽(217)의 표면과 일치하지 않고 오목하게 형성되기 위하여, 외면(254)에는 리세스부(255)가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255)가 형성됨에 의해, 돌기(251)의 탄성 변형의 정도가 커지고, 탄성적인 복원력도 커지게 된다.
돌기(251)의 중앙에는 제1 통기홀(25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기홀(257)은 수용 공간(213)과 몸체(210)의 외 측을 연통시키는 구성이다. 그에 의해, 제1 통기홀(257)을 통해, 수용 공간(213)에 외부의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이상의 돌기(251)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그들은 높이 방향(H)으로 여러 개의 층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251)들이 네 개의 레벨(L1 내지 L4)에 위치한 것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제1 레벨(L1)은 바닥(215)에 가까운 부분이고, 제4 레벨(L4)은 몸체(210)의 상부의 개방된 부분에 가까운 부분이다. 각 레레벨 내에는 복수의 돌기(251)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레벨(L1)에서 제4 레벨(L4)로 갈수록 각 레벨의 측벽(217)의 직경이 커지므로, 제4 레벨(L4)에서의 돌기(251)의 수가 가장 많을 수 있다.
복수의 돌기(251)들은 각 레벨(L1 내지 L4)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거나, 또는 맞붙어서 배열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라도, 돌기(251)가 반구형이므로 농산물(A)과 돌기(251)의 접촉은 연속적이지는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농산물(A)에 대해 개별적인 돌기(251)들이 접촉하여 변형되게 되므로, 개별 돌기(251)의 변형이 쉬워진다. 그에 의해, 농산물(A)이 완전한 구형이 아니더라도, 농산물(A)의 모양에 맞추어서 해당 돌기(251)들이 변형되어 농산물(A)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돌기(251)들이 높이 방향(H)을 따라 복수의 레벨(L1 내지 L4)을 이루어 배치되므로, 역시 정형화되지 않은 여러 형태의 농산물(A)에 대해, 적어도 일 레벨에서는 돌기(251)에 의해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돌기(251)에 제1 통기홀(257)이 형성됨에 의해, 농산물(A)과 접촉되는 돌기(251)의 제1 통기홀(257)은 막힌다고 할지라도, 그렇지 않은 제1 통기홀(257)을 통해서는 수용 공간(213)의 공기가 측벽(217)의 외측 공기와 교류될 수 있게 된다. 그에 의해, 수용 공간(213)에 수용되는 농산물(A)이 보다 신선하게 보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의 포장용 팩(200)과 다른 형태의 포장용 팩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포장용 팩(300)에 농산물(A)이 수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포장용 팩(300)은 앞선 실시예의 포장용 팩(200)과 대체로 유사하나, 바닥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포장용 팩(300)에서 바닥에는 볼록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315)는 저면에서 수용 공간(313)을 향한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볼록부(315)의 저면은, 앞선 실시예의 돌기(251)의 외면(254)과 유사하게, 리세스된다. 그에 의해, 볼록부(315)는 농산물(A)에 눌려서 그의 중앙부가 눌려지도록 변형(315'의 상태)되기가 쉽다. 이는, 볼록부(315)가 농산물(A)에 별다른 충격을 가하지 않고 농산물(A)과 접촉하게 됨을 의미한다.
볼록부(315)의 중앙에는 제2 통기홀(3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통기홀(316)은 상기 바닥의 외 측과 수용 공간(313)의 공기가 서로 교류되게 한다. 그에 의해, 수용 공간(313)에 보관되는 농산물(A)이 보다 신선한 공기 조건 하에 놓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또 다른 형태의 포장용 팩(400)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포장용 팩(400)을 적층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농산물 포장용 팩(400)은, 몸체(410)와, 덮개(430), 그리고 지지부[몸체(410)의 내부에 형성됨)]를 구비하는 점에서는 앞선 실시예들의 포장용 팩(100,200,300)과 동일하다.
다만, 포장용 팩(400)은, 몸체(4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삽입부(471)와, 덮개(4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오목부(475)를 더 포함한다.
삽입부(471)는 몸체(410)의 바닥(415)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에 대응하여, 오목부(475)는 삽입부(471)가 삽입될 수 있는 사이즈로 덮개(430)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포장용 팩(400)을 적층함에 있어서, 하측의 포장용 팩(400)의 오목부(475)에 상측의 포장용 팩(400)의 삽입부(471)를 삽입할 수 있다.
그에 의해, 다층의 포장용 팩(400)들이 넘어지거나 서로에 대해 빗겨나서 정렬이 흐트러지지 않고 적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00,200,300,400: 농산물 포장용 팩 110,210,301,410: 몸체
113,213,313: 수용 공간 115,215,315: 바닥
117,217,317: 측벽 130,430: 덮개
150,250,350: 지지부 151: 돌출 라인
251,351: 돌기 471: 삽입부
475: 오목부

Claims (12)

  1. 상부가 개방되며 바닥과 상기 바닥을 둘러싸는 측벽에 의해 한정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 및
    상기 측벽에서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농산물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농산물 포장용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지지부는 투명 재질의 수지로 사출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농산물 포장용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농산물 포장용 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상기 수용 공간을 한정하는 내면에 반대되는 외면에는 상기 외면의 윤곽이 상기 내면의 윤곽에 대응하게 하는 리세스부가 형성되는, 농산물 포장용 팩.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는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측벽의 밖을 연통시키는 제1 통기홀이 형성되는, 농산물 포장용 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는, 농산물 포장용 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측벽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돌출 라인을 포함하는, 농산물 포장용 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라인은, 상기 측벽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라인을 포함하는, 농산물 포장용 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농산물 포장용 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에는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바닥의 밖을 연통시키는 제2 통기홀이 형성되는, 농산물 포장용 팩.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농산물 포장용 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부에 형성되는 오목부;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농산물 포장용 팩.
KR2020120006448U 2012-07-20 2012-07-20 농산물 포장용 팩 KR201400006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448U KR20140000631U (ko) 2012-07-20 2012-07-20 농산물 포장용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448U KR20140000631U (ko) 2012-07-20 2012-07-20 농산물 포장용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631U true KR20140000631U (ko) 2014-01-29

Family

ID=5244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448U KR20140000631U (ko) 2012-07-20 2012-07-20 농산물 포장용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63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8893A (zh) * 2017-11-02 2018-04-06 陈浩能 包装盒及运输系统
JP2018062384A (ja) * 2016-10-11 2018-04-19 五洋紙工株式会社 果物収納容器、果物収納構造及び果物収納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2384A (ja) * 2016-10-11 2018-04-19 五洋紙工株式会社 果物収納容器、果物収納構造及び果物収納システム
CN107878893A (zh) * 2017-11-02 2018-04-06 陈浩能 包装盒及运输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7780B2 (en) Egg and other product packaging
US7909164B2 (en) Nestable lid for packaging systems
MX2012009814A (es) Empaque de base estandar que contiene huevos de tamaño jumbo.
KR20170143349A (ko) 과일포장용기
KR101451680B1 (ko)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
KR20140000631U (ko) 농산물 포장용 팩
KR200424470Y1 (ko) 다용도 포장용기
JP3207437U (ja) 包装用容器
KR20170001841U (ko) 과일 포장체
KR20100008433U (ko) 과일용 난좌
KR20200123638A (ko) 적층이 가능한 과일 포장 용기
EP3141496A1 (en) Container for fresh produce
AU2010100275A4 (en) Egg and other product packaging
KR20120117173A (ko) 포장상자
KR200486645Y1 (ko) 다단으로 수납이 가능한 운반트레이
KR200437918Y1 (ko) 과일 포장용 커버
JP4042134B2 (ja) 鶏卵包装用容器
JP3201756U (ja) 物品収納容器
KR20170021666A (ko) 계란포장용기
JP3181309U (ja) 果実用トレー
KR200480468Y1 (ko) 포장용기
US20230159262A1 (en) Egg Carton with Separate Base and Lid Configurations and Moisture Venting
JP2931978B1 (ja) 鶏卵収納トレー
JP2012254827A (ja) 包装用容器
KR200439411Y1 (ko) 물품 포장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