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680B1 -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680B1
KR101451680B1 KR1020130029019A KR20130029019A KR101451680B1 KR 101451680 B1 KR101451680 B1 KR 101451680B1 KR 1020130029019 A KR1020130029019 A KR 1020130029019A KR 20130029019 A KR20130029019 A KR 20130029019A KR 101451680 B1 KR101451680 B1 KR 101451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trawberry
cradle
predetermined heigh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587A (ko
Inventor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이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용 filed Critical 이승용
Priority to KR1020130029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68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4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1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고정공이 복수열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구비되는 거치대;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딸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단 모서리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내부에 딸기를 수용한 복수개의 완충부재가 고정공의 상부에서 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내측으로 고정공이 형성되는 고정링이 복수열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고정링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고정링을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연결프레임이 더 구비되어, 내부에 딸기를 수용한 복수개의 완충부재가 고정공의 상부에서 끼움되어 고정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충격을 차단한 상태에서 택배용 상자에 수용되어 안전하게 배송할 수 있는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 {Strawberry packing individual packing box}
본 발명은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안전하게 딸기를 원거리까지 효과적으로 배송할 수 있도록 택배용 상자에 수용되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과일이나 채소 등의 농작물이 농가와 일반 도시 가정 사이에서 직거래 되는 일이 번번해 지고 있다. 이때 수요자가 되는 가정에서는 원하는 농작물을 온라인으로 주문을 하면서 구입가격을 입금하게 되고, 이에 공급자가 되는 농가에서는 택배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주문한 농작물을 도시 가정으로 보내주게 된다.
그러나 여러 농작물 중 딸기의 경우에는 그 특성상 원거리까지 배송하기가 어려워 아직까지 농가와 일반 가정 사이에 활발한 직거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일반적으로 단단한 껍질이 없어 다른 과일에 비해 무른 딸기는 배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작은 충격에도 쉽게 손상되면서 상품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특히 택배로 물건을 구입하는 이용자의 경우 택배비의 부담을 덜기 위해 한 번에 많은 양을 주문하는 일이 많은데, 단단하지 못한 딸기는 하나의 포장용기 내부에 다량이 함께 포장될 경우 하부에 배치된 딸기가 상부에 배치된 딸기의 하중에 의해 눌려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농가와 도시의 가정 사이는 거리가 멀어 배달시에 장시간이 소용되는데 반해, 딸기의 경우 무르고 수분이 많아 습기를 통해 단시간에 부패하게 되므로, 이러한 달기는 통상적인 밀폐용기를 통해 배달될 경우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지 않더라도 상품가치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택배용 상자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양의 딸기를 원거리까지 효과적으로 배달할 수 있도록 마련된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고정공이 복수열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구비되는 거치대;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딸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단 모서리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내부에 딸기를 수용한 복수개의 완충부재가 고정공의 상부에서 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내측으로 고정공이 형성되는 고정링이 복수열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고정링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고정링을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연결프레임이 더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 내벽의 일부분이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단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의 모서리가 상기 단턱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거치대가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부면이 거치대의 저면을 지지하여 거치대의 내측이 딸기의 하중에 의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링 형상의 발포수지재가 수직으로 적재되어 접착됨으로써 외주면에 복수개의 파형주름부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파형주름부의 내부로 고정링이 끼움되어 고정됨으로써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되는 완충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바닥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는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고정공이 복수열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구비되는 거치대와,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딸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단 모서리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내측으로 고정공이 형성되는 고정링이 복수열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고정링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고정링을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연결프레임이 더 포함되어 구비되어, 내부에 딸기를 수용한 복수개의 완충부재가 고정공의 상부에서 끼움되어 고정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충격을 차단한 상태에서 택배용 상자에 수용되어 안전하게 배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외형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외형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외형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의 수용공간에 딸기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적재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가 택배용 포장상자에 수용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10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외형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외형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외형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의 수용공간에 딸기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적재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가 택배용 상자에 수용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고정공(21)이 복수열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구비되는 거치대(20)와,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딸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31)이 구비되며 상단 모서리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부(32)가 구비되는 완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내부에 딸기(1)를 수용한 복수개의 완충부재(30)가 고정공(21)의 상부에서 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내부공간이 포장공간을 구비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폴리스티렌 수지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형성되는 스티로폼 재질로 마련된 것으로 외부로부터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기에 적합하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20)는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고정설치되며, 내부에 고정공(21)이 복수열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구비된다.
또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3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딸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31)이 구비되며 상단 모서리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부(32)가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100)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의 몸체(10)와,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는 거치대(20) 및 내부에 딸기를 수용하고 상기 거치대에 형성된 고정공의 상부에서 끼움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완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거치대(20)를 몸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 내벽의 일부분이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단턱부(11)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20)의 모서리가 상기 단턱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거치대(20)가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턱부(11)는 몸체(10) 내벽을 따라 연속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되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4에 도시된 상기 거치대(20)는 내측으로 고정공(21)이 형성되는 고정링(22)이 복수열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고정링(22)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고정링을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연결프레임(23)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프레임(23)은 거치대(20)의 외측 모서리와 복수열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고정링(22)을 직교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링(22)의 외주면에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링(22)이 서로 연결되어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거치대(20)에 구비된 고정링(22)은 연결프레임(23)에 의해 탄력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변형되더라도 탄성에 의해 복귀하게 되어 안적으로 딸기의 배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3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의 상부면이 거치대(20)의 저면을 지지하여 거치대(20)의 내측이 딸기의 하중에 의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23)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링(22)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거치대(20)의 내측에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링(22)을 연결하는 보강연결프레임(24)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강연결프레임(24)의 저면을 돌출부(12)의 상부면으로 지지함으로써 딸기의 하중에 의해 거치대(20)의 내측이 쳐지는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5와 도6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30)는 링 형상의 발포수지재가 수직으로 적재되어 접착됨으로써 외주면에 복수개의 파형주름부(33)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파형주름부의 내부로 고정링(22)이 끼움되어 고정됨으로써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되는 완충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거치대(20)의 고정공(2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완충부재(30)는 상단 모서리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부(32)의 저면이 상기 거치대(2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완충부재(30)가 고정공(21)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완충부재(30)의 외주면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파형주름부(33)의 하나에 상기 고정링(22)의 내주면이 끼움됨으로써 상기 완충부재(30)가 소정의 높이로 거치대(2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30)는 바닥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31)과 외부가 연통되는 통기공(34)이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하측방향으로 끼움부(13)가 돌출되어 구비되어, 포장상자를 수직방향으로 적재할 때 상부 포장상자(100a)의 저면에 돌출된 끼움부(13)가 하부 포장상자(100b)의 상단 모서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적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포장상자(100a)와 하부 포장상자(100b)는 적재된 상태로 택배용 포장상자(A)의 내부에 수용되어 포장됨으로써 원거리 배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한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딸기 개별포장용 상자
A: 택배용 포장상자
10: 몸체 11: 단턱부
12: 돌출부 13: 끼움부
20: 거치대 21: 고정공
22: 고정링 23: 연결프레임
24: 보강연결프레임 30: 완충부재
31: 수용공간 32: 고정부
33: 파형주름부 34: 통기공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10); 상기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고정공(21)이 복수열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구비되는 거치대(20);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딸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31)이 구비되며 상단 모서리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부(32)가 구비되는 완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내부에 딸기(1)를 수용한 복수개의 완충부재(30)가 고정공(21)의 상부에서 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0)는 내측으로 고정공(21)이 형성되는 고정링(22)이 복수열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고정링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고정링을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연결프레임(23)이 더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 내벽의 일부분이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단턱부(11)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20)의 모서리가 상기 단턱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거치대(20)가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의 상부면이 거치대(20)의 저면을 지지하여 거치대(20)의 내측이 딸기의 하중에 의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0)는 링 형상의 발포수지재가 수직으로 적재되어 접착됨으로써 외주면에 복수개의 파형주름부(33)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파형주름부의 내부로 고정링(22)이 끼움되어 고정됨으로써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되는 완충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0)는 바닥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31)과 외부가 연통되는 통기공(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
KR1020130029019A 2013-03-19 2013-03-19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 KR101451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019A KR101451680B1 (ko) 2013-03-19 2013-03-19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019A KR101451680B1 (ko) 2013-03-19 2013-03-19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587A KR20140114587A (ko) 2014-09-29
KR101451680B1 true KR101451680B1 (ko) 2014-10-22

Family

ID=5175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019A KR101451680B1 (ko) 2013-03-19 2013-03-19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6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674B1 (ko) * 2017-06-09 2018-10-2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딸기에 대한 차압예냉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차압예냉 시스템
KR20230126951A (ko) 2022-02-24 2023-08-31 이상준 과일의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포장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501B1 (ko) 2014-10-22 2016-02-01 한산케미칼 주식회사 중량조절부를 갖는 1단 딸기 포장용 발포상자
DK3127827T3 (en) * 2015-08-07 2018-06-06 Donana 1998 S L STRAWBERRY CONTAINER DIVIDABLE IN UNDER CONTAINERS
JP6879535B2 (ja) * 2016-10-11 2021-06-02 五洋紙工株式会社 果物収納容器、果物収納構造及び果物収納システム
CN108609294A (zh) * 2018-04-11 2018-10-02 湖州亚文纸模包装有限公司 一种组合防震纸模
KR102104391B1 (ko) 2019-05-10 2020-05-29 한산케미칼 주식회사 딸기 포장 상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0118U (ko) * 1988-01-14 1989-07-25
JP2001206472A (ja) 2000-01-27 2001-07-31 Ifuko Japan Kk 球状青果物包装用トレー
JP2002284114A (ja) 2000-12-19 2002-10-03 Nippon Kyodo Kikaku Kk イチゴ自動充填方法、イチゴ自動充填装置及びイチゴ充填用容器。
JP2003012075A (ja) 2001-07-03 2003-01-15 Sekisui Plastics Co Ltd 果実用パックとそれを用いた梱包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0118U (ko) * 1988-01-14 1989-07-25
JP2001206472A (ja) 2000-01-27 2001-07-31 Ifuko Japan Kk 球状青果物包装用トレー
JP2002284114A (ja) 2000-12-19 2002-10-03 Nippon Kyodo Kikaku Kk イチゴ自動充填方法、イチゴ自動充填装置及びイチゴ充填用容器。
JP2003012075A (ja) 2001-07-03 2003-01-15 Sekisui Plastics Co Ltd 果実用パックとそれを用いた梱包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674B1 (ko) * 2017-06-09 2018-10-2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딸기에 대한 차압예냉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차압예냉 시스템
KR20230126951A (ko) 2022-02-24 2023-08-31 이상준 과일의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587A (ko) 201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680B1 (ko)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
JP6627244B2 (ja) 発泡合成樹脂製冷蔵輸送容器
US20140291193A1 (en) System for vertically stacking trays
KR20170143349A (ko) 과일포장용기
KR100850876B1 (ko) 딸기 포장용기
KR20120002229U (ko) 딸기택배용 포장상자
KR20150052985A (ko) 포장 트레이
KR101453736B1 (ko) 과일 포장상자
KR20200132339A (ko) 계란 포장박스
KR20170001841U (ko) 과일 포장체
KR101753796B1 (ko) 에그박스
KR101134298B1 (ko) 과일 포장용 수지트레이
KR101579954B1 (ko) 포장용기
KR20110051659A (ko) 과일 포장방법
KR20130005611U (ko) 포도 박스
KR200497542Y1 (ko) 과일용 난좌 및 이를 포함하는 과일 포장용 트레이
KR101772562B1 (ko)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KR20140000631U (ko) 농산물 포장용 팩
KR200437918Y1 (ko) 과일 포장용 커버
KR101881655B1 (ko) 과일용 난좌
JP2006298393A (ja) 壊れ物運搬容器および壊れ物運搬容器用支持ユニット
KR20140093136A (ko) 과일포장용 난좌
KR20150001718U (ko) 포도 포장용 난좌
CN217147084U (zh) 一种玫瑰鲜切花的保鲜运输盒
KR101489940B1 (ko) 씨감자 운반용 적재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