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562B1 -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 Google Patents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562B1
KR101772562B1 KR1020160094726A KR20160094726A KR101772562B1 KR 101772562 B1 KR101772562 B1 KR 101772562B1 KR 1020160094726 A KR1020160094726 A KR 1020160094726A KR 20160094726 A KR20160094726 A KR 20160094726A KR 101772562 B1 KR101772562 B1 KR 101772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vertical
bar
assembled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외출
Original Assignee
김외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외출 filed Critical 김외출
Priority to KR1020160094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 개 내지 수십 개의 과일수납부가 일정 간격을 두고 시트부를 따라 배치된 과일난좌와 함께 포장박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일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일난좌의 과일수납부 사이마다 제공된 간격을 이용하여 포장박스의 바닥면에 놓이도록 골조프레임 형태로 제작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상에 하단부가 조립 설치되는 한편, 과일수납부를 제외한 과일난좌의 시트부를 관통하여 포장박스의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는 다수 개의 수직보강대와, 상기 각각의 수직보강대 상단부에 조립 설치되는 소정 면적의 받침판으로 과일보호대를 구성하고, 필요시 상기 받침판의 외주면과 베이스프레임의 사이에 걸쳐 다수 개의 "Γ"자형 앵글보강대를 추가로 연결시키거나, 하나의 과일수납부를 테이블 형태로 외부에서 커버하는 단위보호대를 추가로 적용시킴으로서, 택배운송 도중에 발생하는 각종 충격이나 적재 하중 등으로부터 과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과일난좌와 함께 포장박스의 내부로 누구나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포장박스로부터 과일을 과일난좌와 함께 빼내는 작업도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포장박스 자체에는 전혀 손상을 주지 아니하는 내부 수납식 보호대를 제공하여 포장박스의 재활용성 역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Protective package frame for home delivery service of fruits}
본 발명은 수 개 내지 수십 개의 과일수납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트부를 따라 배치된 과일난좌와 함께 포장박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일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과일난좌의 과일수납부 사이마다 제공된 간격을 이용하여 포장박스의 바닥면에 놓이도록 골조프레임 형태로 제작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상에 하단부가 조립 설치되는 한편, 과일수납부를 제외한 과일난좌의 시트부를 관통하여 포장박스의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는 다수 개의 수직보강대와, 상기 각각의 수직보강대 상단부에 조립 설치되는 소정 면적의 받침판으로 과일보호대를 구성함으로서, 택배운송 도중에 발생하는 각종 충격이나 적재 하중 등으로부터 과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과일난좌와 함께 포장박스의 내부로 누구나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포장박스로부터 과일을 과일난좌와 함께 빼내는 작업도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포장박스 자체에는 전혀 손상을 주지 아니하는 내부 수납식 보호대를 제공하여 포장박스의 재활용성 역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을 포장하는 용도로서 골판지나 스티로폼 등으로 제작된 포장박스가 널리 사용되며, 구(球) 형상을 가지는 사과나 배 또는 참외 등의 과일을 포장하는 데에는 수 개 내지 수십 개의 과일수납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과일난좌에 뚜껑이 달린 케이스를 사용하거나, 상,하로 포개어지는 포장박스의 내부에 과일을 투입시키되, 포장박스의 내부에서 과일이 요동함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물망 형태의 완충부재 또는 발포시트 등으로 과일을 감싸 놓는 방식이 적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과일용 포장박스는 충격에 약한 제지류(골판지 등의 종이류)나 스티로폼 등으로 제작되고, 뚜껑이 달린 과일난좌 역시 얇은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Sheet)로 성형됨으로서, 다단식 적층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착 하중이나 운반시 발생하는 외부의 각종 충격으로부터 포장제가 쉽게 변형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내부에 보관된 과일 또한 포장제와 함께 훼손 및 변형됨에 따라, 소비자에게 도달되는 시점에 이르러 과일의 상태가 매우 불량하게 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에 들어서는 생산자(판매자)와 소비자 사이의 직거래를 통한 과일의 택배운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바, 택배운송의 특성상 과일 이외의 다른 여러 가지 물품이 함께 적재 및 운반되므로, 택배 물품의 상,하차시와 운송 과정에서 과일이 포장제와 함께 손상 및 훼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가 품질에 불만을 품고 반품을 요구하는 등, 생산자(판매자)의 입장에서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포장박스의 내부로 투입된 과일의 상측에 충격흡수패드를 배치시키고, 상기 충격흡수패드의 상부면에 프레임 형태의 가압부재를 배치시키되, 해당 가압부재의 가장자리측이 포장박스의 몸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끼움식으로 삽입되도록 한 다음, 포장박스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포장박스의 내부로 도입되는 구슬와이어 형태의 고정부재를 상부측으로 당겨 가압부재와 끼움식으로 연결시킴으로서, 포장박스의 내부로 투입된 과일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포장될 수 있도록 한 "가압부재를 갖는 과일용 포장상자"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623442호에 기재되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내용에 따르면, 과일의 포장작업시 프레임 형태의 가압부재 가장자리측을 포장박스에 끼워 놓은 상태에서, 포장박스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포장박스의 내부로 도입되는 구슬와이어 형태의 고정부재를 상부측으로 당겨 가압부재와 끼움식으로 연결시키도록 함에 따라 과일의 포장작업 자체가 다소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구슬와이어 형태의 고정부재를 프레임 형태의 가압부재와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가압부재가 과일을 강하게 누름에 따라 포장작업시에 과일의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요인으로 말미암아 택배운송을 위한 과일의 포장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이고, 과일의 손상없이 포장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택배운송을 거쳐 소비자들에게 과일이 안전하게 배달되었다 하더라도 포장박스를 개봉하여 가압부재와 고정부재의 까다로운 분리작업과 해당 작업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일 손상의 책임이 소비자들에게 전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가압부재의 가장자리측을 포장박스와 연결시키는 작업 및 포장박스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다수 개의 고정부재를 도입시키는 작업을 위하여 비교적 많은 개수의 구멍을 포장박스에 형성시켜야 하고, 과일의 크기에 따라 각각의 구멍이 형성되는 위치도 달라져야 하며, 가압부재와 고정부재의 장착이나 분리 도중에 포장박스가 쉽게 찢어질 수 있는 등, 생산자가 포장박스를 수거하여 과일 포장용으로 재활용하거나, 소비자가 해당 포장박스를 다른 용도로 재활용하는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6234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과일난좌의 과일수납부 사이마다 제공된 간격을 이용하여 포장박스의 바닥면에 놓이도록 골조프레임 형태로 제작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상에 하단부가 조립 설치되는 한편, 과일수납부를 제외한 과일난좌의 시트부를 관통하여 포장박스의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는 다수 개의 수직보강대와, 상기 각각의 수직보강대 상단부에 조립 설치되는 소정 면적의 받침판으로 과일보호대를 구성하고, 필요시 상기 받침판의 외주면과 베이스프레임의 사이에 걸쳐 다수 개의 "Γ"자형 앵글보강대를 추가로 연결시키거나, 하나의 과일수납부를 테이블 형태로 외부에서 커버하는 단위보호대를 추가로 적용시킴으로서, 택배운송 도중에 발생하는 각종 충격이나 적재 하중 등으로부터 과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과일난좌와 함께 포장박스의 내부로 누구나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포장박스로부터 과일을 과일난좌와 함께 빼내는 작업도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포장박스 자체에는 전혀 손상을 주지 아니하는 내부 수납식 보호대를 제공하여 포장박스의 재활용성 역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는, 과일난좌의 과일수납부 사이마다 제공된 간격을 이용하여 포장박스의 바닥면에 놓이도록 골조프레임 형태로 제작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상에 하단부가 끼움식 또는 체결식으로 조립 설치되는 한편, 과일수납부를 제외한 과일난좌의 시트부를 관통하여 포장박스의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는 수직보강대와, 상기 수직보강대의 상단부에 끼움식 또는 체결식으로 조립 설치되는 소정 면적의 받침판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필요시 최소 2개 이상의 수직보강대와 받침판을 기본 구조로 하여 각각의 받침판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보강대가 추가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과일보호대는 하나의 받침판을 기준으로 최소 2개 이상의 갯수로 할당되는 앵글보강대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앵글보강대는 포장박스의 바닥면이나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포장박스의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길이의 수직막대 부분과, 상기 수직막대 부분의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막대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앵글보강대의 수직막대 하단부가 포장박스의 바닥면에 지지되거나 베이스프레임상에 끼움식으로 조립 설치되고, 상기 앵글보강대의 수평막대 선단부가 해당 받침판의 외주면상에 끼움식으로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일보호대는 최소 1개 이상의 수직보강대 및 받침판과 함께 각각의 과일수납부를 기준으로 할당되는 최소 1개 이상의 단위보호대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보호대는, 하나의 과일수납부 주변을 따라 시트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최소 2개 이상의 수직보강대와, 상기 각각의 수직보강대와 함께 테이블 형태를 이루도록 해당 과일수납부의 상단측에 배치되는 받침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위보호대용 수직보강대는 포장박스의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한편, 그 하단부가 포장박스의 바닥면에 의하여 지지되거나 베이스프레임상에 끼움식 또는 체결식으로 조립 설치되고, 상기 단위보호대용 받침판은 원판이나 사각판 또는 다각판 중에서 택일한 것으로 하거나, 소정의 받침폭을 가지는 원형링이나 사각링 또는 다각링 중에서 택일한 것으로 하여, 해당 수직보강대의 상단부와 끼움식 또는 체결식으로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단위보호대용 받침판은 원판이나 사각판 또는 다각판중에서 택일한 것이 사용되고, 해당 받침판에는 과일수납부의 크기에 따라 수직보강대의 조립위치를 조정시킬 수 있는 위치조정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최소 3열 이상으로 하여 받침판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끼움식 또는 체결식 조립부가 되거나, 최소 3열 이상으로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받침판을 따라 동심원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부가 되며, 상기 단위보호대용 수직보강대의 상단부에는 해당 받침판의 조립부와 대응되는 끼움식 또는 체결식 조립단부가 제공되거나, 상기 절개부 사이의 간격을 이용하여 받침판과 끼움식으로 맞물리는 "∪"자형 장착클립(18)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필요시 각각의 받침판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보강대가 적용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측면부에는 각각의 과일수납부 하단면 사이에 제공된 간격에 걸쳐 임의 형상의 보강대조립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강대조립부상에 각각의 보강대 하단부가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필요시 상기 앵글보강대만을 해당 받침판과 함께 단독으로 사용하여 과일보호대를 구성토록 할 수도 있고, 하나의 과일수납부를 테이블 형태로 외부에서 커버하는 상기 단위보호대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과일보호대를 구성토록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각각의 보강대가 포장박스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또는 해당 베이스프레임의 보강대조립부와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박스의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프레임을 토대로 하여 수직 방향으로 조립되는 수직보강대를 따라 과일난좌의 시트부가 관통되도록 과일난좌를 포장박스의 내부에 안치시키고, 각각의 수직보강대 상단측에 받침판을 조립시킨 다음 포장박스의 커버판을 닫게 되면, 각각의 수직보강대에 의하여 과일난좌의 요동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이고, 각각의 받침판이 수직보강대와 함께 각종 물품의 적재 하중을 안전하게 분산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서, 택배운송 도중에 발생하는 각종 충격이나 적재 하중 등으로부터 과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앵글보강대 또는 단위보호대를 추가로 적용시킨 경우에는 과일의 보호기능을 보다 더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과일보호대는 베이스프레임상에 다수 개의 수직보강대를 조립하고, 각각의 수직보강대를 관통하여 과일난좌가 포장박스의 내부에 안치되도록 한 다음, 각각의 수직보강대 상단에 받침판을 조립하는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누구나 손쉽게 과일포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과일보호대 자체는 과일 표면과 접촉되지 아니하므로 포장작업의 도중에 과일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과일의 포장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크게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동시에, 앵글보강대나 단위보호대를 추가로 적용시키는 경우에도 해당 부품의 조립작업이 베이스프레임을 기초로 하여 매우 손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택배운송을 통하여 과일용 포장박스가 소비자들에게 배달된 이후, 소비자들이 포장박스를 개방하여 과일을 빼내기 위한 과일보호대의 분리 작업 역시 각각의 받침판만을 수직보강대 및/또는 앵글보강대와 분리시키거나, 과일난좌의 과일수납부 주변에 설치된 테이블 형태의 단위보호대를 과일난좌로부터 상부로 빼내는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소비자들이 매우 신속하고 안전하게 과일을 포장박스로부터 빼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 과정에서도 과일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소비자들의 불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과일보호대 자체가 과일난좌와 함께 포장박스의 내부로 수납되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와는 달리 포장박스의 몸체와 바닥면에 걸쳐 많은 갯수의 구멍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고, 과일보호대의 장착이나 분리 도중에 포장박스가 손상될 우려도 없기 때문에, 생산자가 포장박스를 수거하여 과일 포장용으로 재활용토록 하거나, 소비자가 해당 포장박스를 다른 용도로 재활용토록 하는 등 포장박스의 재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단위보호대의 경우 받침판에 걸쳐 수직보강대가 조립되는 위치를 과일의 크기에 따라 임의대로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단위보호대만으로도 다양한 크기의 과일포장에 광범위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과일보호대가 과일난좌와 함께 포장박스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과일보호대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다른 적용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과일보호대가 과일난좌와 함께 포장박스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 발췌도.
도 7은 도 5의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과일보호대가 과일난좌와 함께 포장박스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과일보호대가 과일난좌와 함께 포장박스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요부 발췌도.
도 13은 단위보호대의 다른 적용례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단위보호대용 받침판의 저면도.
도 16은 단위보호대용 받침판의 다른 적용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요부 확대 측단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과일보호대 역시 종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 개 내지 수십 개의 과일수납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트부를 따라 배치된 과일난좌와 함께 포장박스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후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과일보호대가 과일난좌와 함께 과일의 포장에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상황을 기준으로 각 실시예에 해당하는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코자 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과일보호대(10)는 도 1 내지 도 3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난좌(2)의 과일수납부(3) 사이마다 제공된 간격을 이용하여 포장박스(1)의 바닥면에 놓이도록 골조프레임 형태로 제작되는 베이스프레임(6)과, 상기 베이스프레임(6)상에 하단부가 조립 설치되는 한편, 과일수납부(3)를 제외한 과일난좌(2)의 시트부(4)를 관통하여 포장박스(1)의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는 수직보강대(8)와, 상기 수직보강대(8)의 상단부에 조립 설치되는 소정 면적의 받침판(9)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도면상 총 4개의 수직보강대(8)가 받침판(9)과 함께 적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포장박스(1)는 공지된 바와 같이, 골판지 등의 제지류를 이용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포장박스(1)의 상단측에는 과일의 포장 후 포장박스(1)를 덮어 놓을 수 있는 접이식 커버판(덮개 또는 뚜껑)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과일난좌(2)는 부직포나 발포시트 또는 얇은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해당 시트부(4)를 따라 수 개 내지 수십 개의 과일수납부(3)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시킨 것으로서, 이 또한 시중에 널리 시판되는 공지의 제품에 해당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2개의 과일난좌(2)를 상,하로 포개어 구형(球形)의 과일수납부(3)를 제공토록 한 것이고, 이후에 설명될 도 8 및 도 9에서는 각각의 과일수납부(3)에 제공된 공간이 과일의 치수보다 약간 크게 되는 하나의 과일난좌(2)를 사용하는 한편, 해당 과일난좌(2)의 시트부(4) 상측에 부직포나 발포시트와 같은 완충용 난좌커버(17)를 추가로 적용시킨 것이며, 이외에도 그물망 형태의 완충용 과일커버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과일난좌(2)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것이 본 발명의 과일보호대(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며, 과일난좌(2)의 시트부(4)와 난좌커버(17)에 형성되는 관통구멍(5)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부직포나 발포시트 재질의 과일난좌(2)와 난좌커버(17)는 별도의 관통구멍(5)을 형성시키지 않더라도 각각의 수직보강대(8) 상단측에 형성된 뾰족한 조립핀 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관통시킬 수 있고, 플라스틱 시트 소재의 과일난좌(2)와 난좌커버(17)에 한하여 수직보강대(8)용 관통구멍(5)을 미리 형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과일보호대(10)에 있어 그 토대를 이루는 베이스프레임(6)은 과일수납부(3) 사이의 간격을 이용하여 포장박스(1)의 바닥면에 놓일 수 있도록 열십자(十)형이나 엑스자(X)형 프레임을 기본으로 하여, "#" 형태나 "≠" 형태와 같이 과일난좌(2)의 과일수납부(3) 배치상태에 맞추어 다양한 프레임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고, 해당 프레임의 외곽측에 테두리를 제공한 형태, 예를 들어, "田" 형태나 "▦" 형태 또는 "▩"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각각의 과일수납부(3) 하단면 사이에 제공된 여유간격에 걸쳐 보강대조립부(7)를 베이스프레임(6)의 측면부상에 일체로 돌출 형성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수직보강대(8)를 베이스프레임(6)과 직접 조립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각각의 수직보강대(8)를 거쳐 과일난좌(2)의 시트부(4)를 관통시킬 수 있는 위치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베이스프레임(6)의 측면부상에 수직보강대(8)의 조립이 가능한 보강대조립부(7)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시킴으로서, 각각의 수직보강대(8)를 거쳐 과일난좌(2)의 시트부(4)를 관통시키는 작업의 편의성을 충분히 확보토록 한다는 것이다.
도면상 상기 각각의 보강대조립부(7)는 수직보강대(8)의 하단부가 끼움식 또는 체결식으로 조립될 수 있는 조립구멍이 하나의 링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부터 2개 내지 4개가 연이어진 형태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형태로 하여 베이스프레임(6)의 측면부 임의 위치마다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바, 보강대조립부(7)의 형태나 적용위치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프레임(6)의 골조 형태에 맞추어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며, 각각의 보강대조립부(7)에 조립구멍이 아닌 조립핀이나 체결식 볼트부를 적용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는 과일난좌(2)의 안치시 과일수납부(3)에 삽입된 과일의 손상을 유발시킬 우려가 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각각의 수직보강대(8)는 2~5mm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하여 베이스프레임(6)이나 보강대조립부(7)와의 끼움식 또는 체결식 조립이 가능하도록 그 하단부에 끼움단부 또는 볼트식 체결단부 등을 형성시키고, 그 상단부에는 과일난좌(2)의 시트부(4)를 관통시켜 받침판(9)과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뾰족한 형태의 조립핀이 돌출 형성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조립핀을 대신하여 볼트식 체결단부나 조립구멍 등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과일난좌(2)의 시트부(4)와 난좌커버(17) 등에는 요구하는 위치마다 수직보강대(8)용 관통구멍(5)을 미리 형성시켜 두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9)은 1mm 내외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이나 사각판 또는 다각판의 형태로 제작하되, 과일수납부(3)에 삽입된 과일과 접촉되지 아니하는 받침면적을 가지도록 하며, 받침판(9)의 바닥면에는 수직보강대(8)의 상단측 조립핀과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파이프 형태의 조립캡이 제공되도록 하고, 각각의 수직보강대(8) 상단에 볼트식 체결단부나 조립구멍이 적용된 경우는 이에 대응하는 너트캡이나 너트구멍 또는 조립핀이 받침판(9)의 바닥면에 적용될 것이며, 각각의 받침판(9) 상단면에는 포장박스(1)의 커버판과 밀착되어 과일난좌(2)의 요동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 방지용 돌기(11)를 형성시키거나, 얇은 두께의 논슬립 패드(Non-slip pad)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수직보강대(8)와 받침판(9)은 택배운송 과정에서 포장박스(1)에 각종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포장박스(1)의 내부에서 과일난좌(2)가 요동하지 않도록 과일난좌(2)를 견고히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택배운송시 포장박스(1)의 상부에 놓이는 다른 물품의 적재 하중을 골고루 분산 지지하여 과일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토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수직보강대(8)와 받침판(9)을 많은 개수로 설치할수록 적재 하중의 효과적인 분산을 도모할 수 있으나, 너무 과도한 개수로 설치하는 것은 포장작업의 편의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최소 2개 이상으로 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개수를 선택하여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과일보호대(10)를 이용하여 하나의 포장박스(1) 내부에 과일난좌(2)를 2개 층으로 적층시켜 놓은 상태를 나타내었는 바, 앞서 설명된 베이스프레임(6)과 수직보강대(8) 및 받침판(9)을 이용하여 아래층의 과일난좌(2)를 과일보호대(10)와 함께 일차 세팅시킨 다음, 해당 과일보호대(10)의 받침판(9) 상부면에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패드나 얇은 플라스틱 시트 등을 적층판(12)으로 올려 놓은 상태에서, 해당 적층판(12)의 상부면에 베이스프레임(6)과 수직보강대(8) 및 받침판(9)을 이용하여 윗층의 과일난좌(2)를 과일보호대(10)와 함께 최종 세팅시킨 것이며,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하나의 포장박스(1) 내부에 과일난좌(2)를 여러 층으로 적층 포장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에 걸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과일보호대(10)가 과일난좌(2)와 함께 포장박스(1)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 1실시예에 적용된 하나의 받침판(9)을 기준으로 최소 2개 이상의 갯수로 할당되는 앵글보강대(13)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도 5에서는 2개의 수직보강대(8)와 받침판(9)이 베이스프레임(6)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받침판(9)마다 4개의 앵글보강대(13)가 90도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앵글보강대(13)는 수직보강대(8)와 동일한 직경으로 하여, 포장박스(1)의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수직막대 부분과, 상기 수직막대 부분의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막대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앵글보강대(13)의 수직막대 하단부가 베이스프레임(6) 또는 해당 베이스프레임(6)의 보강대조립부(7)와 끼움식으로 조립 설치되고, 상기 앵글보강대(13)의 수평막대 선단부가 해당 받침판(9)의 외주면상에 끼움식으로 조립 설치되며, 필요시 각 앵글보강대(13)의 수직막대 하단부가 베이스프레임(6)과 연계되지 않고 포장박스(1)의 바닥면상에 지지되도록 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 6을 기준으로 하면, 받침판(9)과 앵글보강대(13)와의 조립구조로서 앵글보강대(13)의 수평막대 선단부에 조립핀이 형성되고, 해당 받침판(9)의 외주면상에 조립구멍(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앵글보강대(13)의 수평막대 선단에 조립구멍이나 파이프형 조립캡을 형성시키고, 해당 받침판(9)의 외주면에 조립핀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사용되는 받침판(9)은 앵글보강대(13)와의 견고한 조립을 위하여 3~5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직보강대(8)의 상단부는 받침판(9)의 바닥면에 제공된 파이프형 조립캡(14)과 연결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도 7에서와 같이 각 앵글보강대(13)의 수평막대 부분이 받침판(9)과 함께 포장박스(1)의 커버판과 밀착됨으로서, 택배운송시 발생하는 각종 충격이나 적재 하중을 앵글보강대(13)가 추가로 분산 지지하여 과일을 보다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과일보호대(10)는 하나의 수직보강대(8)와 받침판(9)이 2개의 앵글보강대(13)와 함께 포장박스(1)의 내부에서 3점 지지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최소 단위로 하여 필요시 이보다 많은 개수로 적용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걸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과일보호대(10)가 과일난좌(2)와 함께 포장박스(1)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 1실시예에 따른 과일보호대(10)를 기준으로 각각의 받침판(9)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보강대(16)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수평보강대(16)는 수직보강대(8)와 동일한 직경으로 하여 그 양측 단부가 받침판(9)의 외주면상에 끼움식으로 조립 설치되는 것이다.
도면상 총 6개의 수직보강대(8)와 받침판(9)이 사용되었고, 각각의 받침판(9)이 포장박스(1)의 길이 방향에 걸쳐 좌,우 2개씩 총 4개의 수평보강대(16)로 연결되는 한편, 포장박스(1)의 폭 방향에 걸쳐 총 3개의 수평보강대(16)로도 연결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도 3~5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받침판(9)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보강대(16)의 조립을 위한 조립구멍(15)을 형성시키고, 각각의 수평보강대(16) 양측 단부에는 조립핀을 형성시킨 것으로 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받침판(9)의 외주면에 조립핀을 형성시키고, 수평보강대(16)의 양측단부에 조립구멍이나 파이프형 조립캡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도 2개의 수직보강대(8)와 받침판(9) 및 각각의 받침판(9)을 연결하는 하나의 수평보강대(16)를 최소 단위로 하여 필요시 이보다 많은 개수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는 과일수납부(3)에 제공된 공간이 과일의 치수보다 약간 크게 되는 하나의 과일난좌(2)를 사용하고, 해당 과일난좌(2)의 시트부(4) 상측에 부직포나 발포시트와 같은 완충용 난좌커버(17)를 적용시킨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받침판(9)과 수평보강대(16)는 난좌커버(17)의 상부면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 및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식의 과일난좌(2)가 사용될 수도 있고, 제 1 및 제 2실시예에 사용된 과일난좌(2) 중 하부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과일난좌(2)만을 적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각각의 받침판(9)과 수평보강대(16)는 포장박스(1)의 커버판과 밀착되도록 과일수납부(3) 또는 과일의 상단측에 배치될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해당 과일난좌(2)의 상부면에도 완충용 난좌커버(17)를 덮어 놓을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에 걸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과일보호대(10)가 과일난좌(2)와 함께 포장박스(1)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 1실시예에 따른 과일보호대(10)와 함께 각각의 과일수납부(3)를 기준으로 할당되는 최소 1개 이상의 단위보호대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단위보호대는, 하나의 과일수납부(3) 주변을 따라 시트부(4)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최소 3개 이상의 수직보강대(8)와, 상기 각각의 수직보강대(8)와 함께 테이블(Table) 형태를 이루도록 해당 과일수납부(3)의 상단측에 배치되는 또 다른 받침판(9)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위보호대용 수직보강대(8)는 포장박스(1)의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한편, 그 하단부가 베이스프레임(6) 또는 해당 베이스프레임(6)의 보강대조립부(7)상에 조립 설치되거나, 포장박스(1)의 바닥면상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단위보호대용 받침판(9)은 해당 수직보강대(8)의 상단부와 조립 설치되는 것이며, 필요시 단위보호대용 받침판(9)을 포함하는 각각의 받침판(9)을 수평보강대(16)로 연결시킬 수도 있고, 이 경우 각각의 받침판(9)은 3~5mm 정도의 두께로 하여 해당 받침판(9)의 외주연부에 수평보강대(16)의 조립을 위한 조립구멍이나 조립핀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단위보호대용 받침판(9)은 해당 과일수납부(3)를 상부에서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원판이나 사각판 또는 다각판이 되거나, 도 13에서와 같이 소정의 받침폭을 가지는 원형링이나 사각링 또는 다각링이 되며, 단위보호대용 수직보강대(8)는 제 1 및 제 2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해당 받침판(9)과 조립시킬 수도 있고, 원형링 형상의 받침판(9)에 한하여 도 13에서와 같은 스냅(Snap)식 장착클립(18)으로 수직보강대(8)를 조립시킬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원형링 형상의 받침판(9)을 따라 장착클립(18)의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도록 해당 받침판(9)의 몸체 일부가 잘려나간 형태의 절개부(19)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적용되는 단위보호대는 하나의 과일수납부(3)를 기준으로 하여 해당 과일수납부(3)를 테이블 형태로 커버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과일수납부(3)의 치수, 즉 과일의 크기에 따라 수직보강대(8)의 위치를 조정시킬 수 있는 위치조정수단을 단위보호대용 받침판(9)에 적용시키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상기 위치조정수단을 적용시킬 수 있는 단위보호대용 받침판(9)은 원판이나 사각판 또는 다각판으로 제작된 받침판(9)이 되고, 원형링이나 사각링 또는 다각링 형태의 받침판(9)은 위치조정수단을 적용시키기 어려운 구조가 된다.
상기 위치조정수단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3열(列) 이상으로 하여 받침판(9)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끼움식 또는 체결식 조립캡(14)이나 조립구멍이 될 수도 있고, 도 16에서와 같이 최소 3열 이상으로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받침판(9)을 따라 동심원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부(19)가 될 수도 있으며, 상기 단위보호대용 수직보강대(8)의 상단부에는 해당 받침판(9)의 조립부와 대응되는 끼움식 또는 체결식 조립단부가 제공되거나,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 절개부(19) 사이의 간격을 이용하여 받침판(9)과 끼움식으로 맞물리는 "∪"자형 장착클립(18)이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되어진 각각의 실시예 중 제 2 내지 제 4실시예는 제 1실시예에 의한 과일보호대(10)의 구성을 기본적으로 포함시킨 상태에서 앵글보강대(13)와 수평보강대(16)와 단위보호대를 각각 추가시킨 것으로 하였으나, 이후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앵글보강대(13)(받침판 포함)와 단위보호대를 각각 단독으로 적용하여 과일보호대(10)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에 앵글보강대(13)의 수직막대 부분과 단위보호대의 수직보강대(8)가 조립될 수 있는 베이스프레임(6)을 포장박스(1)의 바닥면에 추가로 적용시킬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박스(1)의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프레임(6)을 토대로 하여 수직 방향으로 조립되는 수직보강대(8)를 따라 과일난좌(2)의 시트부(4)가 관통되도록 과일난좌(2)를 포장박스(1)의 내부에 안치시키고, 각각의 수직보강대(8) 상단측에 받침판(9)을 조립시킨 다음 포장박스(1)의 커버판을 닫게 되면, 각각의 수직보강대(8)에 의하여 과일난좌(2)의 요동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이고, 각각의 받침판(9)이 수직보강대(8)와 함께 각종 물품의 적재 하중을 안전하게 분산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서, 택배운송 도중에 발생하는 각종 충격이나 적재 하중 등으로부터 과일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앵글보강대(13) 또는 단위보호대를 추가로 적용시킨 경우에는 과일의 보호기능을 보다 더 극대화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과일보호대(10)는 베이스프레임(6)상에 다수 개의 수직보강대(8)를 조립하고, 각각의 수직보강대(8)를 관통하여 과일난좌(2)가 포장박스(1)의 내부에 안치되도록 한 다음, 각각의 수직보강대(8) 상단에 받침판(9)을 조립하는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누구나 손쉽게 과일포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과일보호대(10) 자체는 과일 표면과 접촉되지 아니하므로 포장작업의 도중에 과일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를 통하여 과일의 포장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앵글보강대(13)나 단위보호대를 추가로 적용시키는 경우에도 해당 부품의 조립작업이 베이스프레임(6)을 기초로 하여 매우 손쉽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택배운송을 통하여 과일용 포장박스(1)가 소비자들에게 배달된 이후, 소비자들이 포장박스(1)를 개방하여 과일을 빼내기 위한 과일보호대(10)의 분리 작업 역시 각각의 받침판(9)만을 수직보강대(8) 및/또는 앵글보강대(13)와 분리시키거나, 과일난좌(2)의 과일수납부(3) 주변에 설치된 테이블 형태의 단위보호대를 과일난좌(2)로부터 상부로 빼내는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소비자들이 매우 신속하고 안전하게 과일을 포장박스(1)로부터 빼낼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도 과일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소비자들의 불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과일보호대(10) 자체가 과일난좌(2)와 함께 포장박스(1)의 내부로 수납되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와는 달리 포장박스(1)의 몸체와 바닥면에 걸쳐 많은 갯수의 구멍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고, 과일보호대(10)의 장착이나 분리 도중에 포장박스(1)가 손상될 우려도 없기 때문에, 생산자가 포장박스(1)를 수거하여 과일 포장용으로 재활용토록 하거나, 소비자가 해당 포장박스(1)를 다른 용도로 재활용토록 하는 등 포장박스(1)의 재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단위보호대의 경우 받침판(9)에 걸쳐 수직보강대(8)가 조립되는 위치를 과일의 크기에 따라 임의대로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단위보호대만으로도 다양한 크기의 과일포장에 광범위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1 : 포장박스 2 : 과일난좌 3 : 과일수납부
4 : 시트부 5 : 관통구멍 6 : 베이스프레임
7 : 보강대조립부 8 : 수직보강대 9 : 받침판
10 : 과일보호대 11 : 돌기 12 : 적층판
13 : 앵글보강대 14 : 조립캡 15 : 조립구멍
16 : 수평보강대 17 : 난좌커버 18 : 장착클립
19 : 절개부

Claims (14)

  1. 수 개 내지 수십 개의 과일수납부(3)가 일정 간격을 두고 시트부(4)를 따라 배치된 과일난좌(2)와 함께 포장박스(1)의 내부로 삽입되어 각종 충격이나 적재 하중 등으로부터 과일을 보호토록 한 과일보호대(10)에 있어서,
    상기 과일보호대(10)는, 과일난좌(2)의 과일수납부(3) 사이마다 제공된 간격을 이용하여 포장박스(1)의 바닥면에 놓이도록 골조프레임 형태로 제작되는 베이스프레임(6)과, 상기 베이스프레임(6)상에 하단부가 끼움식 또는 체결식으로 조립 설치되는 한편, 과일수납부(3)를 제외한 과일난좌(2)의 시트부(4)를 관통하여 포장박스(1)의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는 수직보강대(8)와, 상기 수직보강대(8)의 상단부에 끼움식 또는 체결식으로 조립 설치되는 소정 면적의 받침판(9)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보호대(10)는 하나의 받침판(9)을 기준으로 하여 최소 2개 이상의 갯수로 할당되는 앵글보강대(13)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앵글보강대(13)는 포장박스(1)의 바닥면이나 베이스프레임(6)으로부터 포장박스(1)의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길이의 수직막대 부분과, 상기 수직막대 부분의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막대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앵글보강대(13)의 수직막대 하단부가 포장박스(1)의 바닥면에 지지되거나 베이스프레임(6)상에 끼움식으로 조립 설치되고, 상기 앵글보강대(13)의 수평막대 선단부가 해당 받침판(9)의 외주면상에 끼움식으로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보호대(10)는 최소 2개 이상의 수직보강대(8)와 받침판(9)을 기본 단위로 하여, 각각의 받침판(9)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보강대(16)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보강대(16)의 양측 단부가 받침판(9)의 외주면상에 끼움식으로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보호대(10)는 최소 1개 이상의 수직보강대(8) 및 받침판(9)과 함께 각각의 과일수납부(3)를 기준으로 할당되는 최소 1개 이상의 단위보호대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보호대는, 하나의 과일수납부(3) 주변을 따라 시트부(4)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최소 3개 이상의 수직보강대(8)와, 상기 각각의 수직보강대(8)와 함께 테이블 형태를 이루도록 해당 과일수납부(3)의 상단측에 배치되는 받침판(9)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위보호대용 수직보강대(8)는 포장박스(1)의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한편, 그 하단부가 포장박스(1)의 바닥면에 의하여 지지되거나 베이스프레임(6)상에 끼움식 또는 체결식으로 조립 설치되고,
    상기 단위보호대용 받침판(9)은 원판이나 사각판 또는 다각판 중에서 택일한 것으로 하거나, 소정의 받침폭을 가지는 원형링이나 사각링 또는 다각링 중에서 택일한 것으로 하여, 해당 수직보강대(8)의 상단부와 끼움식 또는 체결식으로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보호대용 받침판(9)은 원판이나 사각판 또는 다각판중에서 택일한 것이 사용되고, 해당 받침판(9)에는 과일수납부(3)의 크기에 따라 수직보강대(8)의 조립위치를 조정시킬 수 있는 위치조정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최소 3열(列) 이상으로 하여 받침판(9)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끼움식 또는 체결식 조립부가 되거나, 최소 3열 이상으로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받침판(9)을 따라 동심원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부(19)가 되며,
    상기 단위보호대용 수직보강대(8)의 상단부에는 해당 받침판(9)의 조립부와 대응되는 끼움식 또는 체결식 조립단부가 제공되거나, 상기 절개부(19) 사이의 간격을 이용하여 받침판(9)과 끼움식으로 맞물리는 "∪"자형 장착클립(18)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보호대(10)는 단위보호대용 받침판(9)이 포함된 각각의 받침판(9)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보강대(16)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보강대(16)의 양측 단부가 받침판(9)의 외주면상에 끼움식으로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6)의 측면부에는 각각의 과일수납부(3) 하단면 사이에 제공된 간격에 걸쳐 임의 형상의 보강대조립부(7)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강대조립부(7)상에 수직보강대(8) 또는 수직보강대(8)와 앵글보강대(13)의 하단부가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6)의 측면부에는 각각의 과일수납부(3) 하단면 사이에 제공된 간격에 걸쳐 임의 형상의 보강대조립부(7)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강대조립부(7)상에 각각의 수직보강대(8) 하단부가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9. 수 개 내지 수십 개의 과일수납부(3)가 일정 간격을 두고 시트부(4)를 따라 배치된 과일난좌(2)와 함께 포장박스(1)의 내부로 삽입되어 각종 충격이나 적재 하중 등으로부터 과일을 보호토록 한 과일보호대(10)에 있어서,
    상기 과일보호대(10)는, 과일난좌(2)의 과일수납부(3) 사이마다 제공된 간격을 이용하여 포장박스(1)의 바닥면에 놓이도록 골조프레임 형태로 제작되는 베이스프레임(6)과, 상기 베이스프레임(6)상에 조립 설치되는 최소 2개 이상의 앵글보강대(13)와, 상기 각각의 앵글보강대(13)를 연결하는 최소 1개 이상의 받침판(9)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앵글보강대(13)는 베이스프레임(6)으로부터 포장박스(1)의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길이의 수직막대 부분과, 상기 수직막대 부분의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막대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앵글보강대(13)의 수직막대 하단부가 베이스프레임(6)상에 끼움식으로 조립 설치되고, 상기 앵글보강대(13)의 수평막대 선단부가 받침판(9)의 외주면상에 끼움식으로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6)의 측면부에는 각각의 과일수납부(3) 하단면 사이에 제공된 간격에 걸쳐 임의 형상의 보강대조립부(7)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강대조립부(7)상에 각 앵글보강대(13)의 수직막대 하단부가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11. 수 개 내지 수십 개의 과일수납부(3)가 일정 간격을 두고 시트부(4)를 따라 배치된 과일난좌(2)와 함께 포장박스(1)의 내부로 삽입되어 각종 충격이나 적재 하중 등으로부터 과일을 보호토록 한 과일보호대(10)에 있어서,
    상기 과일보호대(10)는, 하나의 과일수납부(3) 주변을 따라 과일난좌(2)의 시트부(4)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최소 2개 이상의 수직보강대(8)와, 상기 각각의 수직보강대(8)와 함께 테이블 형태를 이루도록 해당 과일수납부(3)의 상단측에 배치되는 받침판(9)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수직보강대(8)는 포장박스(1)의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한편, 상기 받침판(9)은 원판이나 사각판 또는 다각판 중에서 택일한 것으로 하거나, 소정의 받침폭을 가지는 원형링이나 사각링 또는 다각링 중에서 택일한 것으로 하여, 각각의 수직보강대(8) 상단부와 끼움식 또는 체결식으로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9)은 원판이나 사각판 또는 다각판중에서 택일한 것이 사용되고, 해당 받침판(9)에는 과일수납부(3)의 크기에 따라 수직보강대(8)의 조립위치를 조정시킬 수 있는 위치조정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최소 3열(列) 이상으로 하여 받침판(9)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끼움식 또는 체결식 조립부가 되거나, 최소 3열 이상으로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받침판(9)을 따라 동심원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부(19)가 되며,
    상기 각각의 수직보강대(8) 상단부에는 받침판(9)의 조립부와 대응되는 끼움식 또는 체결식 조립단부가 제공되거나, 상기 절개부(19) 사이의 간격을 이용하여 받침판(9)과 끼움식으로 맞물리는 "∪"자형 장착클립(18)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보호대(10)는 과일난좌(2)의 과일수납부(3) 사이마다 제공된 간격을 이용하여 포장박스(1)의 바닥면에 놓이도록 골조프레임 형태로 제작되는 베이스프레임(6)을 추가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프레임(6)상에 각각의 수직보강대(8) 하단부가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6)의 측면부에는 각각의 과일수납부(3) 하단면 사이에 제공된 간격에 걸쳐 임의 형상의 보강대조립부(7)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강대조립부(7)상에 각각의 수직보강대(8) 하단부가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KR1020160094726A 2016-07-26 2016-07-26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KR101772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726A KR101772562B1 (ko) 2016-07-26 2016-07-26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726A KR101772562B1 (ko) 2016-07-26 2016-07-26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562B1 true KR101772562B1 (ko) 2017-08-29

Family

ID=5976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726A KR101772562B1 (ko) 2016-07-26 2016-07-26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5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9280A (zh) * 2018-01-02 2018-06-01 王文婧 快递盒自动回收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480Y1 (ko) 2001-11-28 2002-02-19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딸기용기 운반용 좌대
JP2002096834A (ja) 2000-09-21 2002-04-02 Gifu Plast Ind Co Ltd 移送用トレイ
CN202244742U (zh) 2011-10-08 2012-05-30 吴康 一种鲜葡萄盒
KR101262823B1 (ko) 2012-03-27 2013-05-13 김민중 피자 고정구
KR101374549B1 (ko) 2012-12-21 2014-03-17 (주)오비트 포장용 난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834A (ja) 2000-09-21 2002-04-02 Gifu Plast Ind Co Ltd 移送用トレイ
KR200264480Y1 (ko) 2001-11-28 2002-02-19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딸기용기 운반용 좌대
CN202244742U (zh) 2011-10-08 2012-05-30 吴康 一种鲜葡萄盒
KR101262823B1 (ko) 2012-03-27 2013-05-13 김민중 피자 고정구
KR101374549B1 (ko) 2012-12-21 2014-03-17 (주)오비트 포장용 난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9280A (zh) * 2018-01-02 2018-06-01 王文婧 快递盒自动回收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36288C (en) Convertible case with deployable ventilation panels for shipping and displaying food products
MXPA06013983A (es) Sistema de empaque basado en paletas.
US11572217B2 (en)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US5829592A (en) End caps
KR20170143349A (ko) 과일포장용기
US8672122B2 (en) Carrying container folded from a die cut sheet material
KR101451680B1 (ko)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
KR101772562B1 (ko) 과일 택배용 과일보호대
KR200453007Y1 (ko) 과일포장상자용 박스형받침대
KR101618804B1 (ko) 과일용 포장박스
US5984103A (en) Protective packaging for pagers and the like
CA1131592A (en) Packaging unit for fruit or like articles
KR20110051659A (ko) 과일 포장방법
KR200437918Y1 (ko) 과일 포장용 커버
KR20210115623A (ko) 안전 계란 포장체
US1894402A (en) Egg container
KR20200143978A (ko) 포장 상자 어셈블리
KR20140000631U (ko) 농산물 포장용 팩
JP2004091006A (ja) 中仕切り兼用の下敷き材
KR102655656B1 (ko) 택배 배송 가능한 날계란 트레이 포장재
CN221025013U (zh) 一种防护包装盒
KR102284217B1 (ko) 난좌가 구비된 과일포장상자
JP5465632B2 (ja) 果実用包装材
JP2003012075A (ja) 果実用パックとそれを用いた梱包体
US6458396B1 (en) Hard taco shell protective pack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