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275B1 - 반전 없이 포장이 가능토록 하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물품 포장구. - Google Patents

반전 없이 포장이 가능토록 하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물품 포장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275B1
KR100894275B1 KR1020080087315A KR20080087315A KR100894275B1 KR 100894275 B1 KR100894275 B1 KR 100894275B1 KR 1020080087315 A KR1020080087315 A KR 1020080087315A KR 20080087315 A KR20080087315 A KR 20080087315A KR 100894275 B1 KR100894275 B1 KR 100894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packaging
wrinkles
inclined edge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주)오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비트 filed Critical (주)오비트
Priority to KR1020080087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65D85/34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having a meshed or apertured closure to allow contents to breath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수 등의 물품을 개별로 포장할 수 있도록 된 물품 포장구에 관한 것으로, 반전을 시키지 않고도 물품의 포장이 가능하면서 포장된 물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물품 수용공간의 가변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크기의 물품 포장이 가능하고, 우수한 통기성 부여로 물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으며, 포장 작업 후 물품이 고급스럽게 보여지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용도로의 사용을 위하여 제공된 물품 포장구로서 합성수지를 연질 시트체로 발포 성형시켜 망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있으나 포장 시 입구를 일일이 벌려야 하기 때문에 포장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미관이 좋지 않아 물품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컵의 형태로 성형되어 반전을 통한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 제공되고 있으나, 반전을 위한 작업 시간이 소요되고, 포장 시 단지 피포장물의 수용 기능만이 있어 운반 과정에서 흔들림이 발생될 경우 피포장물의 유동이 발생되어 과수에 충격을 가하게 되는 단점과, 유동에 의하여 과수가 헛돌게 됨으로써 미관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의 해소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컵 형태의 물품 포장구를 제공함에 있어서, 물품 수용부의 경사변부 내면에 상,하로 굵기가 다른 주름을 형성하여 하측의 굵은주름은 피포장물의 수용 기능으로 작용토록 하고 상측의 얇은주름은 피포장물의 고정 기능으로 작용토록 한 것이고, 또한 주름은 주름 사이 로 우수한 통풍력이 제공되도록 형성한 것이고, 또한 외관의 미려함을 위한 장식날개부를 형성시킨 것이다.
포장, 주름, 캡, 반전, 통풍

Description

반전 없이 포장이 가능토록 하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물품 포장구.{packing tool for goods}
본 발명은 과수 등의 물품을 개별로 포장할 수 있도록 된 물품 포장구에 관한 것으로, 반전을 시키지 않고도 포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포장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보다 더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포장된 물품의 고정이 가능하여 운반 과정에서 포장된 물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물품 수용공간의 가변성이 우수하여 포장 가능한 물품의 크기 범위를 증가시킨 것이고, 또한 우수한 통기성 부여로 물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포장된 물품을 수려하게 장식할 수 있어 물품이 고급스럽게 보여지도록 한 것이다.
통상 사과, 배, 감, 복숭아 등 충격에 약한 과수 등은 하나의 박스에 일정 수량씩 담겨진 상태로 포장되어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이때 이러한 과수들은 서로 부딪혀 손상되지 않도록 다수의 배치홈이 형성된 난좌판에 각각 구획되게 배치한 상태로 포장되는 것이다.
그러나 운송 과정에서 박스의 흔들림이나 일측으로의 쏠림 현상이 발생될 경우 난좌판의 배치홈으로부터 과수들이 서로 부딪히게 됨으로써 합성수지를 연질 시트체로 발포 성형시켜 망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물품 고장구를 사용하여 각각의 과수를 개별로 포장한 상태에서 난좌판에 배치시켜 이중 포장을 통한 보다 안전한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의 형태로 이루어진 물품 포장구의 경우는 입구를 손으로 일일이 벌린 후에서 물품을 넣어 포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미관이 좋지 않아 물품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컵의 형태로 성형되어 반전을 통한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한 물품 포장구가 제공되어 포장 작업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관을 미려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품 포장구는, 반드시 반전을 통하여만 피포장물이 포장토록 되어 있어 반전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만큼이 포장 작업에 소요되고 있고, 외관의 미려함을 위하여 외측으로 펼쳐지는 부분이 반전을 통하여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외관의 미려함이 반감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피포장물의 수용 기능은 있으나 고정 기능이 없어 운반 과정에서 흔들림이 발생될 경우 피포장물이 유동되어 과수에 충격을 가하게 되는 단점과, 유동에 의하여 과수가 헛돌게 됨으로써 미관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컵 형태의 물품 포장구를 제공함에 있어서, 반전 없이도 피포장물을 안착시켜 포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포장 시 불필요한 반전 공정의 생략으로 포장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포장된 물품이 유통 과정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포장된 물품의 보다 안전한 유통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고, 또한 포장 후에도 외관의 미려함이 그대로 유지되어 물품의 고급화가 가능하도록 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물품 포장구는, 컵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물품 수용부의 경사변부 내면에 상,하로 굵기가 다른 주름을 형성하여 하측의 굵은주름은 피포장물의 수용 기능으로 작용토록 하고 상측의 얇은주름은 피포장물의 고정 기능으로 작용토록 한 것이고, 또한 주름은 끝단을 뾰족하게 형성시켜 피포장물과의 접촉면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주름 사이로 우수한 통풍로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고, 또한 경사변부의 외측으로 외관의 미려함을 위한 장식날개부를 형성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물품 포장구는 포장 작업 시 반전의 공정 없이 피포장물을 바로 포장할 수 있어 반전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만큼을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우수한 피포장물의 고정력으로 운반 과정에서 피포장물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피포장물이 과수일 경우 우수한 품질이 유지된 상태에서 유통 기간을 길게 연장시킬 수 있고, 또한 장식날개부에 의하여 포장된 물품이 수려하게 장식되어 물품의 고급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품 포장구는, 중앙하단면(11)과, 중앙하단면(11)의 외측으로 상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확장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경사변부(12)에 의하여 컵 형태로 이루어지는 물품 수용부(10)가 형성되도록 발포체로 성형된 것으로서, 상기 물품 수용부(10)의 경사변부(12) 내면에 하측으로는 피포장물의 삽입 시 피포장물의 폭만큼 펼쳐지면서 피포장물을 수용하여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굵은주름(15)이 형성되고, 상측으로는 수용된 피포장물의 삽입 시 펴졌다가 오므라들어 피포장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굵은주름(15)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가는 얇은주름(14)이 형성되어 반전 없이 포장이 가능토록 하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물품 수용부(10)의 경사변부(12) 내면 상측부에는 단턱(13)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13)을 중심으로 상측으로는 상기 얇은주름(14)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측으로는 상기 굵은주름(15)이 형성되도록 하여 하측의 굵은주름(15)이 상측의 얇은주름(14)보다 많은 면적을 차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굵은주름(15)과 얇은주름(14)은 경사변부(12)의 내면 전체에 돌출부(1)와 홈부(2)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고, 단턱(13)은 굵은주름(15)의 돌출부(1) 상측단에 굵은주름(15)의 단면 형태로 형성되어 이 역시 경사변부(12)의 내면 전체에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피포장물과 접촉되는 굵은주름(15)은 돌출부(1)가 내측으로 점차 뾰족해지도록 형성시켜 단면이 "V" 또는 "W"자처럼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포장되는 피포장물과의 접촉면은 최소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홈부(2)의 공간은 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홈부(2)를 통한 통풍로(16)의 극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통풍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얇은주름(14)도 굵은주름(15)과 같은 형태로 형성시키면 경사변부(12)의 상,하측으로 크기가 극대화된 통풍로(16)를 2단으로 형성시킬 수 있어 우수한 통풍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품 수용부(10)의 중앙하단면(11)은 경사변부(12)의 하측단보다 하측으로 내입되게 형성시켜 내입홈부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과수 등의 물품 포장 시 발생될 수 있는 수분이 중앙하단면(11)에 고여지도록 함으로써 포장된 물품과 수분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중앙하단면(11)에는 고여진 수분의 유출을 통한 통수 및 물품 하단부까지로의 통풍을 위한 구멍(17)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변부(12)의 상측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장식날개부(20)가 형성되어 장식날개부(20)에 의한 다양한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하도록 되어 외관의 수려함을 갖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장식날개부(20)는 상측으로 만곡되면서 연장 형성토록 하여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을 통하여 물품을 포장할 경우 장식날개부(20)의 만곡연장부 길이만큼의 물품 포장 수용공간을 제공토록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크기 범위의 물품을 포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물품 수용부(10)의 경사변부(12) 외면에도 단턱(13a)을 중심으로 상,하로 얇은주름(14a)과 굵은주름(15a)이 형성되도록 하여 반전을 통한 물품의 포장 시 굵은주름(15a)에 의한 물품의 안착 및 얇은주름(14a)에 의한 물품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물품 수용부(10)의 경사변부(12) 내,외면에 각각 형성되는 단턱(13)(13a), 굵은주름(15)(15a), 가는 얇은주름(14)(14a)은 서로 대응되는 내,외면의 위치에 돌출부(1)와 홈부(2)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하면 본 발명의 성형 공정에서 경사변부(12)의 외면으로 단턱(13a)에 의하여 상,하로 얇은주름(14a)과 굵은주름(15a)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물품 포장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물품 수용부(10)의 내측으로 물품을 삽입시키기만 하면 포장 작업이 완료되는 것으로서, 물품이 물품 수용부(10)로 삽입되면 굵은주름(15)이 삽입되는 물품의 규격에 맞게 펴지면서 물품이 안착되도록 하고, 얇은주름(14)은 물품이 입구를 통과하는 순간 펴졌다가 물품의 수용이 완료되면 수용된 물품의 상측을 조여주어 물품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이 포장된 상태에서는, 굵은주름(15)과 얇은주름(14)이 내측으로 뾰족하게 형성되어 주름 사이로 크기를 극대화시킨 통풍로(16)가 형성됨으로써 물품의 신선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물품 포장구는 도 7,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에 의한 포장 작업도 가능하게 됨으로써 포장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의 포장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 용도를 넓힐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참고 사용 상태도.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하여 물품이 포장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
도 7, 도 7a는 본 발명을 반전을 통하여 사용한 참고도.
도 8은 종래에 망 형태로 이루어진 물품 포장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돌출부 2: 홈부
10: 물품 수용부 11: 중앙하단면
12: 경사변부 13, 13a: 단턱
14, 14a: 얇은주름 15, 15a: 굵은주름
16: 통풍로 20: 장식날개부

Claims (8)

  1. 삭제
  2. 중앙하단면(11)과, 중앙하단면(11)의 외측으로 상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확장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경사변부(12)에 의하여 컵 형태로 이루어지는 물품 수용부(10)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물품 수용부(10)의 경사변부(12) 내면에 하측으로는 피포장물의 삽입 시 피포장물의 폭만큼 펼쳐지면서 피포장물을 수용하여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굵은주름(15)이 형성되고, 상측으로는 수용된 피포장물의 삽입 시 펴졌다가 오므라들어 피포장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굵은주름(15) 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가는 얇은주름(14)이 형성되고, 상기 물품 수용부(10)의 경사변부(12) 내면 상측부에는 단턱(13)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13)을 중심으로 상기 얇은주름(14)과 굵은주름(15)이 형성토록 된 반전 없이 포장이 가능토록 하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물품 포장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용부(10)의 중앙하단면(11)에는 통수 및 통풍을 위한 구멍(17)이 형성된 반전 없이 포장이 가능토록 되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물품 포장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용부(10)의 중앙하단면(11)은 경사변부(12)의 하측단보다 하측으로 내입되게 형성되어 내입홈부의 형태로 이루어진 반전 없이 포장이 가능토록 되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물품 포장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얇은주름(14) 또는 굵은주름(15)은 경사변부(12)의 내면 전체에 돌출부(1)와 홈부(2)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는 내측으로 점차 뾰족해지도록 형성되어 홈부(2)를 통한 통풍로(16)의 극대화가 이루어지도록 된 반전 없이 포장이 가능토록 하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물품 포장구.
  6.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용부(10)의 경사변부(12) 상측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장식날개부(20)가 형성되어 반전 없이 포장이 가능토록 되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물품 포장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날개부(20)는 상측으로 만곡되면서 연장 형성토록 된 것이 특징인 반전 없이 포장이 가능토록 되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물품 포장구.
  8.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용부(10)의 경사변부(12) 외면에도 단턱(13a)에 의하여 상,하로 얇은주름(14a)과 굵은주름(15a)이 형성되어 반전 없이 포장이 가능토록 되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물품 포장구.
KR1020080087315A 2008-09-04 2008-09-04 반전 없이 포장이 가능토록 하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물품 포장구. KR100894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315A KR100894275B1 (ko) 2008-09-04 2008-09-04 반전 없이 포장이 가능토록 하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물품 포장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315A KR100894275B1 (ko) 2008-09-04 2008-09-04 반전 없이 포장이 가능토록 하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물품 포장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275B1 true KR100894275B1 (ko) 2009-04-21

Family

ID=40757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315A KR100894275B1 (ko) 2008-09-04 2008-09-04 반전 없이 포장이 가능토록 하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물품 포장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2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298B1 (ko) 2010-03-25 2012-04-13 김수일 과일 포장용 수지트레이
KR101795516B1 (ko) * 2016-02-29 2017-11-10 임보라 과일포장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3668A (ja) * 1994-02-08 1995-08-22 Pan Chem Kk 物品包装具
KR200290022Y1 (ko) * 2002-06-27 2002-09-27 주식회사 상원 과일포장용 커버
KR20040078323A (ko) * 2003-03-04 2004-09-10 정관선 과일보호용 포장구
KR200405782Y1 (ko) * 2005-07-12 2006-01-11 (주) 스카이 협정 과일 포장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3668A (ja) * 1994-02-08 1995-08-22 Pan Chem Kk 物品包装具
KR200290022Y1 (ko) * 2002-06-27 2002-09-27 주식회사 상원 과일포장용 커버
KR20040078323A (ko) * 2003-03-04 2004-09-10 정관선 과일보호용 포장구
KR200405782Y1 (ko) * 2005-07-12 2006-01-11 (주) 스카이 협정 과일 포장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298B1 (ko) 2010-03-25 2012-04-13 김수일 과일 포장용 수지트레이
KR101795516B1 (ko) * 2016-02-29 2017-11-10 임보라 과일포장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5905B2 (en) Ventilated tray for refrigerator beverage packages
USD921493S1 (en) Package
US10294017B2 (en) Gift package for sharable apple box
US6076876A (en) Two-cup beverage carrier
US3221971A (en) Packaging tray
KR100894275B1 (ko) 반전 없이 포장이 가능토록 하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물품 포장구.
US9656792B2 (en) Produce display pad
JP2009007014A (ja) 苺の搬送用保持具および苺の搬送・陳列用容器
US20030057170A1 (en) Produce display device
US6971523B2 (en) Delicate goods holder, its manufacturing and use
KR20100008433U (ko) 과일용 난좌
CN207312269U (zh) 一种水果运输包装盒
KR200439346Y1 (ko) 과일포장용 에어매트
JP2014012555A (ja) 果実収納用緩衝具及び該緩衝具を用いた果実の収納方法
KR101496678B1 (ko) 통풍공과 바람통로를 구비한 과일포장용구
KR200489575Y1 (ko) 주방용품 수납장치
KR101570521B1 (ko) 과일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
KR200439411Y1 (ko) 물품 포장구
JP2660988B2 (ja) 物品包装具
KR200450042Y1 (ko) 통풍공과 돌기를 구비한 시이트(sheet)형상 과일포장용구
KR200403060Y1 (ko) 일체형 과실류 포장구
NL1015900C1 (nl) Verpakkingsmiddel en houder voor het vervoer en opslaan van schokgevoelige goederen.
KR200400825Y1 (ko) 굴비 수납용 상자
KR200491292Y1 (ko) 쿨링포장상자
KR200327414Y1 (ko) 포장용 상자 물품 고정대 테두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