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521B1 - 과일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과일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521B1
KR101570521B1 KR1020150035250A KR20150035250A KR101570521B1 KR 101570521 B1 KR101570521 B1 KR 101570521B1 KR 1020150035250 A KR1020150035250 A KR 1020150035250A KR 20150035250 A KR20150035250 A KR 20150035250A KR 101570521 B1 KR101570521 B1 KR 101570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flat
preform
air
buff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운
Original Assignee
대명피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8443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7052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대명피앤티(주) filed Critical 대명피앤티(주)
Priority to KR1020150035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65D85/34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having a meshed or apertured closure to allow contents to breath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난좌 제작 시 난좌의 표면에 완충부재인 에어캡이 고른 밀도로 구비된 과일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난좌의 표면에 완충부재인 에어캡을 구비하여 포장되는 과일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과일이 난좌 오목부에 수납되더라도 에어캡의 에어층 사이로 공기가 통기되어 과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과일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좌 오목부에 통공을 형성하여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고 신선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과일 포장재의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공의 가장자리를 연장시켜 완충부를 형성하여 완충부재와 함께 외부 충격으로부터 과일의 손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는 과일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과일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FRUITS PACKAGE AND MANUFA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과일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난좌 제작 시 난좌의 표면에 완충부재인 에어캡이 고른 밀도로 구비된 과일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은 산지에서 수확된 후 포장되어 운송되며, 사과나 배 같은 과일은 대부분 직사각 박스 형상의 과일 포장 상자 내에 포장된다. 이때, 일반적인 직사각 박스 형상의 과일 포장 상자에 과일을 그냥 포장할 경우, 보관 또는 운송 중 외부 충격에 의해 과일이 손상될 우려가 크다. 따라서, 과일 포장 상자 내에 별도의 과일 포장재를 넣어 과일의 흔들힘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에 의한 과일 손상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과일 포장재는 과일 형상의 오목부가 다수개 형성되며 두꺼운 종이나 발포 폴리에틸렌 등의 재질로 제작되어 과일 끼리의 충돌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도 방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두꺼운 종이나 발포 폴리에틸렌은 그 자체로 충격흡수가 가능하지만 그 성능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큰 비용의 증가 없이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으며 과일에 전달되는 충격을 보다 많이 흡수할 수 있는 과일 포장재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3782호(2014.06.17.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큰 비용의 증가 없이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으며 과일에 전달되는 충격을 기존보다 많이 감소시킬 수 있는 과일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과일이 수납되는 다수개의 난좌 오목부와, 상기 다수개의 난좌 오목부를 연결하는 난좌 평면부를 포함하는 난좌와, 상기 난좌의 표면에 구비된 에어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재를 제공한다.
상기 난좌 오목부에 형성된 통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통공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연장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인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부의 끝단 가장자리는 웨이브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에어캡의 에어층은 상기 난좌 오목부에만 형성되거나, 상기 난좌 오목부와 상기 난좌 평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형틀 상에 난좌가 될 예비 성형체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예비 성형체 상에 에어캡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형틀 상의 예비 성형체와 에어캡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형틀 상의 예비 성형체와 에어캡을 가압하는 단계에서, 가압되어 난좌가 된 예비 성형체는 난좌 오목부와 난좌 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예비 성형체 상에 에어캡을 위치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예비 성형체 상에 위치된 평평한 에어캡은 상기 난좌 오목부에 위치한 영역의 에어층 밀도가 상기 난좌 평면부에 위치한 영역의 에어층 밀도보다 높다.
상기 형틀 상의 예비 성형체와 에어캡을 가압하는 단계에서, 상기 난좌 오목부에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형틀 상의 예비 성형체와 에어캡을 가압하는 단계에서, 상기 통공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연장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인 완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의 끝단 가장자리는 웨이브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난좌의 표면에 완충부재인 에어캡을 구비하여 포장되는 과일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과일이 난좌 오목부에 수납되더라도 에어캡의 에어층 사이로 공기가 통기되어 과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과일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좌 오목부에 통공을 형성하여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고 신선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과일 포장재의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공의 가장자리를 연장시켜 완충부를 형성하여 완충부재와 함께 외부 충격으로부터 과일의 손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는 과일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A-A'에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의 적용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 제조 방법의 순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 완충부재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 완충부재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선B-B'에서 취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 완충부재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완충부의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A-A'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을 수납하여 고정할 수 있는 난좌(100)와, 과일이 수납되는 난좌(100)의 일면에 형성된 완충부재(200)를 포함한다.
난좌(100)는 계란과 같은 대체적으로 둥근 형태의 물건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과나 배 같은 과일을 담을 수 있는 과일용 난좌(100)를 예시한다. 이러한 난좌(100)는 과일과 직접적으로 접하며 과일을 수납하는 오목한 형태인 다수개의 난좌 오목부(110)와, 일 난좌 오목부(110)와 타 난좌 오목부(110) 사이의 평평한 영역인 난좌 평면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난좌 오목부(110)는 대부분의 과일이 대체적으로 둥근 형태이므로 그 단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장되는 과일의 형상에 따라 난좌 오목부(110)의 형상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난좌(100)는 일반적으로 종이 재질 또는 발포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난좌(100)는 평면도를 기준으로 전체 형상이 사각형상이 되도록 제작하며, 사각형상의 난좌(100)는 과일 상자에 수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난좌 오목부(110)가 8개, 즉, 8개의 과일을 수납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8개 내지 25개의 과일을 수납하도록 난좌 오목부(110)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난좌 오목부(110)의 개수는 8개 이하 또는 25개 이상일 수도 있으며, 난좌(100)는 과일 포장 상자 내에서 다단으로 적층되어 과일을 수납할 수도 있다.
완충부재(200)는 난좌(100)의 일면, 즉, 과일이 접하는 난좌(100)의 일면에 구비되어 과일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완충부재(200)로 에어캡을 예시한다. 또한, 완충부재(200)인 에어캡의 에어층(에어캡에서 공기가 충진된 주머니)은 난좌 오목부(110)와 난좌 평면부(120)에 고른 밀도로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완충부재(200)는 난좌 오목부(110)에 대응되는 완충부재 오목부(210)와, 난좌 평면부(120)에 대응되는 완충부재 평면부(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완충부재 오목부(210)의 에어층과 완충부재 평면부(220)의 에어층 밀도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의 적용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난좌 오목부(110)와 이들을 연결하는 난좌 평면부(120)를 포함하는 난좌(100)의 표면에 완충부재(200)를 구비하고, 이를 과일 포장 상자의 바닥에 위치시킨 후 난좌 오목부(110)에 과일을 수납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난좌(100)의 표면에 에어캡을 구비하여 포장되는 과일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과일이 난좌 오목부(110)에 수납되더라도 에어캡의 에어층 사이로 공기가 통기되어 과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 제조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 제조 방법 순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 제조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틀 상에 예비 성형체를 위치시키는 단계(S1)와, 예비 성형체 상에 에어캡을 위치시키는 단계(S2), 및 가압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형틀 상에 예비 성형체를 위치시키는 단계(S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오목한 형상과 이들을 연결하는 평평한 형상이 형성된 형틀(F) 상에 난좌를 만들기 위한 예비 성형체(101)를 위치시킨다. 여기서, 형틀은 가로 352mm, 세로 500mm, 높이 50mm인 형틀을 예시하며, 후술될 난좌와 완충부재의 가로와 세로 크기 역시 이에 대응된다. 물론, 상황에 따라 형틀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 완충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 완충부재의 평면도이다.
예비 성형체 상에 에어캡을 위치시키는 단계(S2)는 형틀 상에 예비 성형체를 위치시키는 단계(S1)를 통해 형틀(F) 상이 놓여진 예비 성형체(101) 상에 완충부재(200)인 평평한 에어캡을 위치시킨다. 여기서, 평평한 에어캡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 오목부(210)의 에어층 밀도는 완충부재 평면부(220)의 에어층 밀도보다 높다. 이는 후술될 가압하는 단계(S3)에서 완충부재 오목부(210)가 반원 형태로 가압되면 완충부재 오목부(210)가 반원 형태로 늘어나게 된다. 또한, 이에 따라, 완충부재 오목부(210)의 에어층들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어 에어층의 밀도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늘어나야되는 완충부재 오목부(210)와 늘어나지 않는 완충부재 평면부(220)의 에어층 밀도를 동일하게 할 경우, 가압하는 단계(S3) 이후 완충부재 오목부(210)의 에어층 밀도가 완충부재 평면부(220)의 에어층 밀도보다 낮게 된다. 본 발명은 완충부재 오목부(210)의 에어층 밀도와 완충부재 평면부(220)의 에어층 밀도가 최종적으로 동일해지도록 하기 위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상태에서 완충부재 오목부(210)의 에어층 밀도를 완충부재 평면부(220)의 에어층 밀도보다 높도록 한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평평한 상태에서 완충부재 오목부(210)의 에어층 밀도를 완충부재 평면부(220)의 에어층 밀도보다 높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 오목부(210)에만 에어층이 형성되고 완충부재 평면부(220)에는 에어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가압하는 단계(S3)는 형틀 상에 예비 성형체를 위치시키는 단계(S1)와 예비 성형체 상에 에어캡을 위치시키는 단계(S2)를 통해 형틀(F)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예비 성형체(101)와 에어캡을 가압하여 예비 성형체(101) 상에 에어캡이 압착되도록 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예비 성형체(101)네는 난좌 오목부와 난좌 평면부가 형성되고 에어캡에도 완충부재 오목부(210)와 완충부재 평면부(220)가 형성된다.
한편, 형틀 상에 예비 성형체를 위치시키는 단계(S1)와 예비 성형체 상에 에어캡을 위치시키는 단계(S2) 사이에 예비 성형체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선B-B'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을 수납하여 고정할 수 있는 난좌(100)와, 과일이 수납되는 난좌(100)의 일면에 형성된 완충부재(200), 및 난좌(100)에 형성된 통공(111)을 포함한다. 여기서, 난좌(100)와 완충부재(200)에 대한 설명은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공(111)은 난좌 오목부(110)와 완충부재 오목부(21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통공(111)은 난좌 오목부(11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통공(111)을 난좌 오목부(110)의 중심이 아닌 그 주변 영역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실시예는 유통과정에서 과일이 완충부재 오목부(210)에 장기간 수납되어 있어도 에어층 사이 영역과 통공(111)에 의해 통기되므로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고 신선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과일 포장재 완충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난좌(100)를 제작할 때 통공(111) 영역을 가압 시 프레싱에 의해 적삭하며 뚫어버리지 않고, 통공(111) 영역이 하향되어 완충부(112)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완충부의 사시도이다.
완충부(112)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 연장되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난좌 오목부(110)와 과일 포장 상자의 바닥면을 이격시킨다. 또한, 이에 따라, 완충부(112)는 과일 포장 상자의 바닥으로부터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 난좌 오목부(110)에 외부 충격이 전해지지 않거나 외부 충격이 작게 전달되도록 하여 과일의 손상을 방지한다. 물론, 완충부(112)는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성 향상을 위해서 그 끝단이 웨이브 형상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난좌 오목부(110)에 통공(111)을 형성하여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고 신선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통공(111)의 가장자리를 연장시켜 완충부(112)를 형성하여 완충부재와 함께 외부 충격으로부터 과일의 손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난좌 101: 예비 성형체
110: 난좌 오목부 111: 통공
112: 완충부 120: 난좌 평면부
200: 완충부재 210: 완충부재 오목부
220: 완충부재 평면부

Claims (10)

  1. 형틀(F) 상에 평평한 형상의 예비 성형체(101)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예비 성형체 상에 평평한 형상의 에어캡(200)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형틀 상에 위치한 예비 성형체와 에어캡을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예비 성형체(101)를, 과일과 접하며 과일을 수납하는 오목한 형태의 난좌 오목부(110)와 일 난좌 오목부(110)와 타 난좌 오목부(110) 사이의 평평한 영역인 난좌 평면부(120)를 포함하는 난좌(100)로 성형하고,
    상기 에어캡(200)을, 상기 난좌 오목부(11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완충부재 오목부(210)와 상기 난좌 평면부에 대응하는 완충부재 평면부(220)를 포함하는 완충부재(200)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평한 형상의 에어캡(200)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 오목부(210)로 성형될 영역의 에어층 밀도가 상기 완충부재 평면부(220)로 성형될 영역의 에어층 밀도보다 높아서, 형틀에 가압되어 성형된 완충부재 오목부(210)와 완충부재 평면부(220)의 에어층 밀도가 최종적으로 동일해지도록 하며,
    상기 예비 성형체와 에어캡을 동시에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난좌 오목부(110)와 완충부재 오목부(210)에 통공(111)이 형성되되, 상기 예비 성형체와 에어캡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통공 영역에 해당하는 예비 성형체 부분과 에어캡 부분이 하향하여 기둥 형상의 완충부(1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재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의 과일 포장재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어,
    과일과 접하며 과일을 수납하는 오목한 형태의 난좌 오목부(110)와, 일 난좌 오목부(110)와 타 난좌 오목부(110) 사이의 평평한 영역인 난좌 평면부(120)를 포함하는 난좌(100); 및
    상기 난좌(100)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난좌 오목부(11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완충부재 오목부(210)와 상기 난좌 평면부에 대응하는 완충부재 평면부(220)를 포함하는 완충부재(200);를 구비하되,
    상기 완충부재 오목부(210)와 상기 완충부재 평면부(220)의 에어층 밀도는 동일하고,
    상기 난좌 오목부(110)와 완충부재 오목부(210)에는 하향하는 기둥 형상의 완충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112)의 하단에는 웨이브 형상이 형성되어 통기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35250A 2015-03-13 2015-03-13 과일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 KR101570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250A KR101570521B1 (ko) 2015-03-13 2015-03-13 과일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250A KR101570521B1 (ko) 2015-03-13 2015-03-13 과일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521B1 true KR101570521B1 (ko) 2015-11-20

Family

ID=5484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250A KR101570521B1 (ko) 2015-03-13 2015-03-13 과일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5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081B1 (ko) * 2015-12-09 2017-11-06 대명피앤티㈜ 에어캡 계란 난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4242A (ja) 1999-06-07 2000-12-12 Ishii Ind Co Ltd 物品載置カッ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4242A (ja) 1999-06-07 2000-12-12 Ishii Ind Co Ltd 物品載置カ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081B1 (ko) * 2015-12-09 2017-11-06 대명피앤티㈜ 에어캡 계란 난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6338U (ja) 輸送用緩衝容器
KR101570521B1 (ko) 과일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
US6971523B2 (en) Delicate goods holder, its manufacturing and use
KR200405782Y1 (ko) 과일 포장구
JP2014012555A (ja) 果実収納用緩衝具及び該緩衝具を用いた果実の収納方法
KR100970985B1 (ko) 과일포장판의 제조방법
KR101134298B1 (ko) 과일 포장용 수지트레이
CN205771078U (zh) 一种果蔬快递包装结构
JP3202077U (ja) 青果物用自立包装体
KR20180119825A (ko) 발포폼으로 만들어진 연육과일 포장상자
KR101254486B1 (ko) 과일 포장재
KR200477601Y1 (ko) 포도 포장용 난좌
KR200390579Y1 (ko) 과일 커버
KR20140093136A (ko) 과일포장용 난좌
JP6599488B2 (ja) 果物輸送用容器
FR2852300A1 (fr) Emballage pour produits fragiles, notamment pour les fruits et les legumes
JP3085349B2 (ja) 物品の箱詰め用包装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15396A (ko) 과일 포장용기
CN209834322U (zh) 水果包装运输箱
KR20130001004U (ko) 과일 포장용 상자 완충재
KR200439411Y1 (ko) 물품 포장구
KR20140000631U (ko) 농산물 포장용 팩
KR20100003540U (ko) 과일 보관용 포장재
JP6167380B2 (ja) 果実包装容器
JP2019064593A (ja) プラスチック製容器輸送用ト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5000014;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60217

Effective date: 201609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