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601Y1 - 포도 포장용 난좌 - Google Patents

포도 포장용 난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601Y1
KR200477601Y1 KR2020130008813U KR20130008813U KR200477601Y1 KR 200477601 Y1 KR200477601 Y1 KR 200477601Y1 KR 2020130008813 U KR2020130008813 U KR 2020130008813U KR 20130008813 U KR20130008813 U KR 20130008813U KR 200477601 Y1 KR200477601 Y1 KR 200477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es
upper plate
present
side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718U (ko
Inventor
한민우
이현규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금송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금송이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금송이
Priority to KR2020130008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601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7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7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6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포도를 담을 수 있는 복수의 요입홈(200)이 형성된 상판(100); 및 상기 상판(100)이 지면(1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100)을 지지하는 측판(300);을 포함하되,상기 요입홈(200)의 저면이 상기 지면(10)에 닿지 않도록, 상기 요입홈(200)의 깊이(H1)보다 상기 측판(300)의 높이(H2)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포장용 난좌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포도 포장용 난좌{PACKAGIN FOR GRAPES}
본 고안은 포도 포장용 난좌(卵座)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도의 수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포장 후 운반 및 유통시에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파손 및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도 포장용 난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이 산지에서 일반소비자에게 공급되기까지는 수확단계 후 출하되어 도매상이나 소매상 등의 유통단계를 거쳐 공급되며, 이러한 과일들은 그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이 수분과 과당이 포함되어 맛이 좋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각종 비타민 등을 포함하게 되어 일반인들이 많이 소비하는 농산품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은 크기에 따라 선별하여 포장상자에 단위 포장할 때, 과일이 상호 부딪혀 흠집이 발생되지 않도록 출하 전 과일의 표면을 합성수지로 발포성형된 포장재를 씌워 과일을 포장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과일의 포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신축성을 갖는 망체로 성형된 포장재(3)를 사용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과일이 수용되는 수용부(5)를 갖는 합성수지로 발포성형된 포장재(4)를 이용한다.
상기와 같은 포장재(3)에 의해 일차로 포장된 과일들은 과일포장용 좌판(1)에 형성된 요입홈(2)에 각각 삽입되어 외부의 충격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보관된다.
그러나 포도는 일반적인 과일과는 달리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두부의 곡률반경이 말단의 곡률반경보다 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일반적인 난좌를 사용하여 이를 포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포도를 구성하는 각 알갱이는 조그만 충격에도 본체에서 이탈될 수 있어 본체에서 이탈되는 포도 알갱이가 다수인 경우에는 제품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술된 포도 포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포도의 형상에 맞는 요입홈을 구비한 포도 포장용 난좌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포도 포장용 난좌의 요입홈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포도의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포도에 가하여지는 이동시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포도 포장용 난좌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요입홈에 포도를 놓고, 난좌를 상자에 삽입시키는것만으로 포도의 포장이 가능한 포도 포장용 난좌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포도를 담을 수 있는 복수의 요입홈(200)이 형성된 상판(100); 및 상기 상판(100)이 지면(1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100)을 지지하는 측판(300);을 포함하되, 상기 요입홈(200)의 저면이 상기 지면(10)에 닿지 않도록, 상기 요입홈(200)의 깊이(H1)보다 상기 측판(300)의 높이(H2)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포장용 난좌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100) 및 상기 측판(300)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측판(300)은 상기 상판(10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포장용 난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입홈(200)은,일측 테두리의 곡률반경이 타측 테두리의 곡률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포장용 난좌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포도의 형상에 맞는 요입홈을 구비한 포도 포장용 난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포도 포장용 난좌의 요입홈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포도의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포도에 가하여지는 이동시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요입홈에 포도를 놓고, 난좌를 상자에 삽입시키는 것만으로 포도의 포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과일 포장용 난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다른 과일 포장용 난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도 포장용 난자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도 포장용 난자의 측면 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도 포장용 난자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도 포장용 난자의 저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도 포장용 난자의 측면 투시도.
본 고안에 따른 포도 포장용 난좌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도 포장용 난좌는 기본적으로, 포도를 담을 수 있는 복수의 요입홈(200)이 형성된 상판(100) 및 상판(100)이 지면(1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상판(100)을 지지하는 측판(300)을 포함한다(도 3).
상판(100) 및 측판(300)은 탄성을 가진 재질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일예로서, 상판(100) 및 측판(300)은 플라스틱, 스티로폼, 폴리에틸렌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측판(300)은 상판(100)이 지면(1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측판(300)은 상판(100)의 테두리를 따라 하향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도 포장용 난좌는 상판(100)의 하면에 복수의 지지부재(400)가 형성될 수 있다(도 6, 7).
지지부재(400)는 측판(300)이 저항하는 상판(100) 및 포도에 의한 하중을 분담한다.
따라서, 지지부재(400)가 형성되는 경우 난좌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도 포장용 난좌는 요입홈(200)의 저면이 지면(10)에 닿지 않도록, 요입홈(200)의 깊이(H1)보다 측판(300)의 높이(H2)가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요입홈(200)의 저면이 지면(10)에 닿는 경우, 지면(10)에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이 요입홈(200)에 그대로 전달되어, 요입홈(200)에 놓여진 포도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도 포장용 난좌는 요입홈(200)의 깊이(H1)보다 측판(300)의 높이(H2)가 더 길게 형성킴으로써, 요입홈(200)의 저면이 지면(10)에 닿지 않도록 하여, 지면(10)에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요입홈(200)에 직접 전달시키는 것이 아니라, 측판(300)을 통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이 완화되어 포도에게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장점에 기인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도 포장용 난좌를 사용하여 포도를 포장 운송시키는 경우, 포도의 상품성을 해하지 않으면서도, 운송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도 포장용 난좌를 이용하여 포도를 포장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완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요입홈(200)에 포도를 놓고 난좌를 박스에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포도의 포장 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포도 포장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도 포장용 난좌의 요입홈(200)은 일측 테두리의 곡률반경이 타측 테두리의 곡률반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요입홈(200)은 포장되는 포도가 놓여지거나 삽입될 수 있도록 하향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 홈을 의미한다.
포도는 일반적인 과일과는 달리 구형의 형상을 취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포도의 형상에 대응되게 요입홈(200)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일측 테두리의 곡률반경을 타측 테두리의 곡률반경보다 큰도록 형성시킨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요입홈(200)에 놓여진 포도의 거동을 최대한으로 제한할 수 있게 하여, 포도 알갱이가 포도 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은 본 고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상판
200 : 요입홈
300 : 측판
400 : 지지부재

Claims (3)

  1. 포도를 담을 수 있는 복수의 요입홈(200)이 형성된 상판(100); 및
    상기 상판(100)이 지면(1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100)을 지지하는 측판(300);을 포함하되,
    상기 요입홈(200)의 저면이 상기 지면(10)에 닿지 않도록, 상기 요입홈(200)의 깊이(H1)보다 상기 측판(300)의 높이(H2)가 더 길며,
    상기 측판(300)은 상기 상판(10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상판(100) 및 상기 측판(300)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200)은,
    일측 테두리의 곡률반경이 타측 테두리의 곡률반경보다 크며,
    가로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요입홈(200)은 상기 타측 테두리가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판(100)의 하면에는 상기 상판(1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0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400)는 복수의 상기 요입홈(200)의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포장용 난좌.
  2. 삭제
  3. 삭제
KR2020130008813U 2013-10-28 2013-10-28 포도 포장용 난좌 KR200477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813U KR200477601Y1 (ko) 2013-10-28 2013-10-28 포도 포장용 난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813U KR200477601Y1 (ko) 2013-10-28 2013-10-28 포도 포장용 난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718U KR20150001718U (ko) 2015-05-07
KR200477601Y1 true KR200477601Y1 (ko) 2015-07-02

Family

ID=53434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813U KR200477601Y1 (ko) 2013-10-28 2013-10-28 포도 포장용 난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60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252B1 (ko) * 2018-11-30 2020-03-25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고흡수성 폴리머(sap) 적용으로 부력, 보냉 및 완충 기능을 갖춘 포도 택배용 상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573U (ko) * 1989-06-30 1991-02-21
JP3017573B2 (ja) * 1991-05-31 2000-03-13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におけるチューブの分岐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573U (ko) * 1989-06-30 1991-02-21
JP3017573B2 (ja) * 1991-05-31 2000-03-13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におけるチューブの分岐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718U (ko)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903103U (zh) 一种多用途水果托盘
US20140027337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ackaging Electronic Products
KR101124703B1 (ko) 과일포장박스
KR101451680B1 (ko) 딸기 개별포장용 포장상자
KR101453736B1 (ko) 과일 포장상자
KR200477601Y1 (ko) 포도 포장용 난좌
KR100973838B1 (ko) 완충공간을 갖는 포장박스
JP2014205502A (ja) 包装トレイ
KR200439346Y1 (ko) 과일포장용 에어매트
JP2014012555A (ja) 果実収納用緩衝具及び該緩衝具を用いた果実の収納方法
KR101134298B1 (ko) 과일 포장용 수지트레이
KR101579954B1 (ko) 포장용기
KR20140093136A (ko) 과일포장용 난좌
KR20180119825A (ko) 발포폼으로 만들어진 연육과일 포장상자
KR20110051659A (ko) 과일 포장방법
KR20170016614A (ko) 에그박스
KR200448386Y1 (ko) 과일포장용 완충판
CN206634396U (zh) 一种内部空间可调节的木箱
KR101570521B1 (ko) 과일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04018U (ko) 포도용 택배상자
KR20130001004U (ko) 과일 포장용 상자 완충재
KR20110003572U (ko) 계란 케이스
KR102039182B1 (ko) 과일 포장용 속 케이스
KR102622785B1 (ko) 계란 포장 용기
KR101164004B1 (ko) 에어 쿠션부를 구비한 과일 난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