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018U - 포도용 택배상자 - Google Patents

포도용 택배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018U
KR20110004018U KR2020090013521U KR20090013521U KR20110004018U KR 20110004018 U KR20110004018 U KR 20110004018U KR 2020090013521 U KR2020090013521 U KR 2020090013521U KR 20090013521 U KR20090013521 U KR 20090013521U KR 20110004018 U KR20110004018 U KR 201100040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fruit
grapes
paper
cushion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5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렬
이영희
최동수
이선호
김재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20200900135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018U/ko
Publication of KR201100040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0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24Partitions inserted
    • B65D5/48026Squaring or like elements, e.g. honeycomb element, i.e. at least four not aligned compartments
    • B65D5/48032Squaring or like elements, e.g. honeycomb element, i.e. at least four not aligned compartments made of paper, provided with an at least partial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도 등과 같은 과일을 포장하는 상자 내부에 완충재를 배치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포장된 과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포도용 택배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포도용 택배상자는, 과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수용부를 갖는 종이로 제조된 상자와, 수용부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과일을 보호하는 하부 완충재와, 하부 완충재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과일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수용부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각각 구획하는 종이로 제조된 분할판을 포함한다.
포도, 택배상자, 완충재, 종이, 분할판

Description

포도용 택배상자{THE BOX OF THE DELIVERY SERVICE FOR GRAPES}
본 고안은 포도용 택배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도 등과 같은 과일을 포장하는 상자 내부에 완충재를 배치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포장된 과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포도용 택배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과, 배, 복숭아 등의 과일을 생산지에서 수확한 후 포장상자에 포장되어 판매지로 운반된다. 과일 중에서 충격에 취약한 포도송이, 홍시, 복숭아 등은 차량을 통한 운반 과정에서 충격을 받아 손상되기 쉬우며, 이렇게 손상된 과일은 상품 가치가 크게 떨어져 판매가 불가능하거나 제값을 못 받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운반 중에 발생하는 파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과일을 보호할 수 있는 각종 포장상자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상자는 과일을 보호하기 위해 과일과 함께 내부에 합성수지로 제조된 스티로폼이나 망을 채운다.
종래 한국공개특허 제2008-0039354호에 망 형태의 완충재를 갖는 포장상자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완충재는 천연고무나 합성고무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고리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박스의 내벽면에 고정된 다. 상기와 같은 종래 포장상자는 완충재를 상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필요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완충재는 천연고무나 합성고무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하고 난후 처리가 곤란하여 쓰레기 발생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충격흡수가 뛰어나고 수거가 용이한 완충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포장된 과일을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 과일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최상품의 과일을 공급할 수 있는 포도용 택배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포도용 택배상자는, 과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수용부를 갖는 종이로 제조된 상자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과일을 보호하는 하부 완충재와, 상기 하부 완충재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과일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각각 구획하는 종이로 제조된 분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로 제조된 포도용 택배상자를 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분할판은 상기 수용부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양단이 동일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고, 그 절곡된 양단에 각각 간격을 두고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제1 판과, 상기 제1 판의 복수의 슬롯에 교차되도록 끼워져 조립 되고 상기 수용부의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판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분할판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과일을 보호하는 상부 완충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하부 및 상부 완충재는 수용팩을 가지며 수용팩의 내부에 분쇄된 골판지가 채워져 밀봉되어 있고, 상기 수용팩은 종이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 사이에 포도송이를 분리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각각 보관하기 때문에 운반하거나 보관 중에 과일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과일 손상을 방지하기 때문에 도매상 또는 소비자에게 신선한 최상품의 과일을 공급할 수 있으며, 농가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충재는 골판지를 분쇄한 것을 이용하기 때문에 가볍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사용하고 난 후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서 작업이 용이하고, 오염물질의 배출이 적어 소각하여 쓰레기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포도용 택배상자는 상자(10), 하부 완충재(20), 분할판(30), 상부 완충재(40)로 구성된다. 상자(10)는 사과, 배, 감, 포도송이 등 과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수용부(11)를 갖는다. 수용부(11)는 하부와 상부를 각각 개폐하기 위해 수용부(11)의 가로 방향으로 한 쌍의 제1 덮개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세로 방향으로 한 쌍의 제2 덮개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과일을 포장할 수 있도록 상자(10)로 사용하기 위해 먼저 상자(10)의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덮개부(미도시 됨)를 수용부(11)의 내측 방향으로 접은 후, 접혀진 제2 덮개부를 향하여 한 쌍의 제1 덮개부(12)를 접는다. 이와 같이 상자(10)의 하부 즉, 수용부(11)의 바닥이 밀폐되면, 수용부(11)에 과일을 보관하고 상자(10)의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덮개부(13)를 접고 한 쌍의 제1 덮개부(12)를 접어 포장한다.
본 고안의 상자(10)는 수용부(11)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덮개부가 형성된 것을 실시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상자와, 개방된 상자의 하부와 상부를 밀폐하기 위해 별도의 덮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수용부의 하부는 복수의 덮개부를 갖는 상자를 사용하고 수용부의 상부는 별도의 덮개를 사용하여 밀폐할 수도 있다. 상자는 골판지, 하드보드지 등의 가격이 저렴하고 제조가 용이한 종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완충재(20)는, 수용부(11)의 바닥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를 갖는 수용팩(22)에 분쇄골판지(21)가 채워져 있다. 분쇄골판지(21)는 라이너와 골심지로 제조된 골판지를 잘게 분쇄한 것으로, 충격흡수가 뛰어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사용된 분쇄골판지(21)는 수거하여 폐지원료로 사용하거나, 소각하기 때문에 처리작업이 용이하다. 수용팩(22)은 합성수지로 제조되거나 종이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합성수지로 제조된 수용팩을 사용하면 종이로 제조된 분쇄골판지와 수 용팩을 각각 분리하여 수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종이로 제조된 종이팩을 사용하게 되면 별도의 분리작업이 필요없는 이점이 있다.
분할판(30)은, 차량을 이용하여 운반하거나 보관중에 상자(10)에 보관된 과일이 접촉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과일을 각각 보관할 수 있도록 수용부(11)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구획한다. 분할판(30)은 하나의 제1 판(31)과 복수의 제2 판(36)으로 이루어진다. 제1 판(31)은 수용부(11)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양단이 동일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32)와 제2 절곡부(34)를 갖는다. 제1 절곡부(32)와 제2 절곡부(34)는 각각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1 슬롯(34)과 제2 슬롯(3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판(36)은 수용부(11)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제1 판(31)의 제1 슬롯(34)과 제2 슬롯(35)에 각각 교차되어 조립되도록 인접한 면에 제3 슬롯(37)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판(31)의 제1 절곡부(32)와 제2 절곡부(34)는 복수의 제2 판(36)의 인접한 양단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든다. 즉, 제1 절곡부(32)의 제1 슬롯(33)은 제2 판(36)의 왼쪽으로 벌어지게 되고, 제2 절곡부(34)의 제2 슬롯(35)은 제2 판(36)의 오른쪽으로 벌어진다. 이와 같이 제1 절곡부(32)와 제2 절곡부(34)가 벌어지기 때문에 과일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수용부(11)에 보관된 과일이 운반 중 심하게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판(31)과 복수의 제2 판(32)은 다양한 재질로 제조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종이로 제조되는 것이 좋다.
상부 완충재(40)는 하부 완충재(20)와 동일한 것으로, 분할판(20)에 보관된 과일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과일을 보호한다. 상부 완충재(40)는 적당한 크기를 갖는 수용팩에 분쇄골판지가 충진되어 있다. 분쇄골판지는 라이너와 골심지로 제조된 골판지를 잘게 분쇄된 것으로, 충격흡수가 뛰어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상부 완충재(40)의 수용팩과 분쇄골판지는 하부 완충재(20)의 수용팩(22) 및 분쇄골판지(21)와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 쌍의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를 접어 수용부(11)의 바닥면을 밀폐된 상자(10)를 만든다. 수용부(11)의 바닥면에 하부 완충재(20)를 배치하고, 하부 완충재(20)의 상부면에 분할판(30)를 올려놓는다. 제1 판(31)과 제2 판(36)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포도송이(50)를 보관하고 그 상부면에 상부 완충재(40)를 배치한다. 상자(10)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해 수용부(11) 내측을 향하도록 순차적으로 한 쌍의 제2 덮개부(13)와 제1 덮개부(12)를 접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분할판(30)에 의해 각각 분리되어 보관된 포도송이(50)는 차량으로 운반할 경우 서로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손상되지 않는다. 만약 포도송이(50)의 크기가 크거나 작을 경우, 포도송이(50)의 크기에 맞춰 제1 판(31)의 제1 절곡부(32)와 제2 절곡부(34)를 오므리거나 벌려 포도송이(50)가 움직이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관된 포도송이(50)의 하부면과 상부면에 각각 외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하부 완충재(20)와 상부 완충재(40)를 배치한다. 본 고안에서는 하부 및 상부 완충재(20,40)를 동시에 배치하였으나, 하부 완충재(20)만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포도용 택배상자는 상자에 보관된 포도송이는, 분할판에 의해 구획된 개별 공간에 포도송이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보관된다. 보관된 포도송이는 차량으로 운반되거나 보관될 때 취약하고 접촉이 많은 수용부의 하부면과 상부면에 각각 충격흡수가 뛰어난 완충재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보관된 포도송이는 분할판에 의해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완충재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도매상 또는 소비자에게 손상되지 않은 신선한 최상품의 과일을 공급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도용 택배상자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할판에 있어서 제1판 전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할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포도용 택배상자에 포도송이가 포장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자 11 : 수용부
12: 제1 덮개부 13 : 제2 덮개부
20 : 하부 완충재 21 : 분쇄골판지
22 : 포장지 30 : 분할판
31 : 제1 판 36 : 제2 판
40 : 상부 완충재 50 : 포도송이

Claims (5)

  1. 과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수용부를 갖는 종이로 제조된 상자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과일을 보호하는 하부 완충재와;
    상기 하부 완충재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과일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각각 구획하는 종이로 제조된 분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로 제조된 포도용 택배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은 상기 수용부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양단이 동일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고, 그 절곡된 양단에 각각 간격을 두고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제1 판과;
    상기 제1 판의 복수의 슬롯에 교차되도록 끼워져 조립되고, 상기 수용부의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용 택배상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과일을 보호하는 상부 완충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용 택배상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및 상부 완충재는 수용팩을 가지며, 상기 수용팩의 내부에 분쇄된 골판지가 채워져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용 택배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팩은 종이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용 택배상자.
KR2020090013521U 2009-10-16 2009-10-16 포도용 택배상자 KR201100040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521U KR20110004018U (ko) 2009-10-16 2009-10-16 포도용 택배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521U KR20110004018U (ko) 2009-10-16 2009-10-16 포도용 택배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018U true KR20110004018U (ko) 2011-04-22

Family

ID=4420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521U KR20110004018U (ko) 2009-10-16 2009-10-16 포도용 택배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01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400B1 (ko) * 2013-06-25 2014-12-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이스크림 운반용 보냉박스
KR101664775B1 (ko) * 2016-05-18 2016-10-10 유희건 택배용 계란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400B1 (ko) * 2013-06-25 2014-12-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이스크림 운반용 보냉박스
KR101664775B1 (ko) * 2016-05-18 2016-10-10 유희건 택배용 계란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4718B2 (en) Bottle shipment packaging and method
US43066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fragile articles
KR101124703B1 (ko) 과일포장박스
KR101102365B1 (ko) 계란포장용 상자
KR200453946Y1 (ko) 가방식 과일포장용기
KR20110004018U (ko) 포도용 택배상자
KR20200132339A (ko) 계란 포장박스
EP1657167B1 (en) Suspension packaging system
KR101134298B1 (ko) 과일 포장용 수지트레이
KR20110138817A (ko) 충격완화를 위한 물품 포장용기 및 포장방법
KR102089211B1 (ko) 과일 포장용 상자 완충재
KR20180119825A (ko) 발포폼으로 만들어진 연육과일 포장상자
KR200442223Y1 (ko) 곶감 포장용 케이스
KR101381904B1 (ko) 포장 상자
KR100736468B1 (ko) 포장용 상자
JP2003312648A (ja) 梱包用仕切構造体および梱包箱
KR102622785B1 (ko) 계란 포장 용기
KR200459382Y1 (ko) 포장 중량 조절이 가능한 운반용 포장박스
KR20110051659A (ko) 과일 포장방법
JP2012035868A (ja) 包装用箱
KR200477601Y1 (ko) 포도 포장용 난좌
KR102655656B1 (ko) 택배 배송 가능한 날계란 트레이 포장재
KR102366297B1 (ko) 포장 상자
KR20130097023A (ko) 선물 세트 포장체 및 포장 방법
KR101623442B1 (ko) 가압부재를 갖는 과일용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