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382Y1 - 포장 중량 조절이 가능한 운반용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포장 중량 조절이 가능한 운반용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382Y1
KR200459382Y1 KR2020110005777U KR20110005777U KR200459382Y1 KR 200459382 Y1 KR200459382 Y1 KR 200459382Y1 KR 2020110005777 U KR2020110005777 U KR 2020110005777U KR 20110005777 U KR20110005777 U KR 20110005777U KR 200459382 Y1 KR200459382 Y1 KR 200459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ntents
space
base body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호
Original Assignee
정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호 filed Critical 정우호
Priority to KR2020110005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3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3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3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by means of additional elements, e.g. mod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6Containers with stacking ribs in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루베리 등과 같은 농산물이나 수산물, 그 밖의 내용물을 수납 운반하는 운반용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상부 덮개부(10)와 하부 베이스 몸체부(30)를 상하로 조립하여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는 포장공간부(5)를 형성하는 포장박스(100)를 구성하되, 상기 내용물의 포장 중량에 따라 상부 덮개부(10)와 하부 베이스 몸체부(30) 사이로 상하 관통된 중앙 몸체부(20)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상하로 조립하여 내부 포장공간부(5)의 용량을 조절함과, 상기 하부 베이스 몸체(30) 내부에 인너 플레이트(40)를 삽입함에 의해 내부 포장공간부의 용량을 조절하도록 제공하므로서, 하나의 포장박스에 의해 다수 중량의 내용물을 불필요한 공간없이 최적으로 포장할 수 있어 사용 효율성이 우수함은 물론 포장 박스 제작비 절감 및 내용물의 유동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여 운반 안전성 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포장 중량 조절이 가능한 운반용 포장박스{Wrapping box}
본 고안은 블루베리 등과 같은 농산물이나 수산물, 그 밖의 내용물을 수납 운반하는 운반용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상부 덮개부와 하부 베이스 몸체부 및 상기 상부 덮개부와, 하부 베이스 몸체부 사이로 중앙 몸체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조립하여, 내부 포장 공간부의 용량을 조절하므로 하나의 포장박스에 의해 다수 중량의 내용물을 불필요한 공간없이 최적으로 포장할 수 있어, 사용 효율성이 우수함은 물론 포장 박스 제작비 절감 및 내용물의 유동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여, 운반 안전성 등이 우수한 포장 중량 조절이 가능한 운반용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루베리나 그 밖의 과일, 야채 등과 같은 농산물이나 수산물 등을 수납 운반하기 위해서 포장박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포장박스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50571호 등에서와 같이 내부에 포장공간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포장박스는 상기 본체 내부의 포장공간부에 내용물을 수납하여 포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블루베리나 복분자, 딸기, 버섯 등 잘 무르거나 충격에 약한 과일이나 채소는 소포장을 하여 포장박스내에 수납하여 택배 등으로 운송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포장박스는 규격화된 포장 공간으로 소포장의 규격에 따라 포장박스의 용량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내용물 용량 초과시에 포장박스를 별도 큰 사이즈로 제작하거나, 아니면 복수의 포장박스에 포장하여 운반하여야 하는 비 효율적이고, 비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포장박스는 규격화된 포장 공간을 갖기 때문에 상기 내용물의 용량에 따라 내부 포장공간에 불필요한 빈 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 빈 공간으로 인해 내용물 운반과정에서 내용물의 유동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상기 빈 공간으로 각종 충격완충재를 삽입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 충격완충재 사용으로 인한 작업성 및 경제성 저하는 물론 내용물 운반 완료 후 폐 충격완충재의 처리 또한 비 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실용신안등록 제20-0304380호, 제20-0438229호 등에서 상기한 포장박스를 뚜껑 없이 상하로 적층하도록 하므로 공간활용성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나, 이 또한 포장박스의 포장 용량을 조절할 수 없는 전술한 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상부 덮개부와 하부 베이스 몸체부 및 상기 상부 덮개부와 하부 베이스 몸체부 사이로 중앙 몸체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조립하여 내부 포장공간부의 용량을 조절하므로, 하나의 포장박스에 의해 다수 중량의 내용물을 불필요한 공간없이 최적으로 포장할 수 있어 사용 효율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하나의 포장박스에 의해 다수 중량의 내용물을 포장할 수 있어, 포장 박스의 제작비를 절감하도록 하므로 경제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포장박스 내부에 인너 플레이트, 스페이서 블럭 등에 의해 불필요한 공간없이 최적으로 포장하기 때문에 운반중 내용물의 유동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아이스팩 등에 의해 냉장 유지가 가능하여 내용물의 운반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부 덮개부와 하부 베이스 몸체부를 상하로 조립하여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는 포장공간부를 형성하는 포장박스를 구성하되, 상기 내용물의 포장 중량에 따라 상부 덮개부와 하부 베이스 몸체부 사이로, 상하 관통된 중앙 몸체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상하로 조립하여 내부 포장공간부의 용량을 조절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상기 하부 베이스 몸체의 내부에는 하부 외측으로 단턱부를 형성하여, 내부 포장공간부의 용량 조절 및 내용물 안착 설치를 위해 인너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지지 설치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상기 인너 플레이트는 상부 내측면에 단차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인너 플레이트의 상,하부면을 뒤집어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차홈부 높이 만큼 내부 포장공간부의 용량을 더 조절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상기 하부 베이스 몸체의 내부에는 하부 중앙으로 수납 요부를 형성하여, 내용물의 신선 보관을 위해 아이스팩을 수납 보관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상기 포장공간부 내부에는 내용물이 수납되지 않는 공간을 채우고자 스페이서 블럭 상하로 조립 설치하되, 상기 스페이서 블럭은 상하로 조립홈과 조립돌기를 대응 형성하여 상하로 조립 설치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부 덮개부와 하부 베이스 몸체부 및 상기 상부 덮개부와 하부 베이스 몸체부 사이로 중앙 몸체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조립하여, 내부 포장공간부의 용량을 조절하므로 하나의 포장박스에 의해, 다수 중량의 내용물을 불필요한 공간없이 최적으로 포장할 수 있어 사용 효율성이 우수하고, 포장 박스의 제작비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우수하게 제공함은 물론, 포장박스 내부에 인너 플레이트, 스페이서 블럭 등에 의해 불필요한 공간없이 최적으로 포장하기 때문에 운반중 내용물의 유동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아이스팩 등에 의해 냉장 유지가 가능하여 내용물의 운반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인너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고안 내부에 소박스를 포장한 다양한 형태의 정 단면도 및 측 단면도.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포장 중량 조절이 가능한 운반용 포장박스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덮개부(10)와 하부 베이스 몸체부(30)를 상하로 조립하여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는 포장공간부(5)를 형성하는 포장박스(100)를 구성하되,
상기 내용물의 포장 중량에 따라 상부 덮개부(10)와 하부 베이스 몸체부(30) 사이로 상하 관통된 중앙 몸체부(20)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상하로 조립하여 내부 포장공간부(5)의 용량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내용물의 포장 중량에 따라 포장박스(100)의 내부 포장공간부(5) 용량을 조절하여 포장하므로 하나의 포장박스에 의해 다수 중량의 내용물을 불필요한 공간이 없이 최적으로 포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부 덮개부(10)와 중앙 몸체부(20) 및 하부 베이스 몸체부(30)는 스티로폼 재질로 제작하되, 상하로 단차홈(6)과 단차돌기(7)를 대응 형성하여 상하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덮개부(10)에는 덮개부의 개폐 작업을 위한 손잡이 홈부(11)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베이스 몸체(30)에는 포장박스 운반을 위한 손잡이 홈부(31)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베이스 몸체(30)의 내부에는 하부 외측으로 단턱부(32)를 형성하여 내부 포장공간부(5)의 용량 조절 및 내용물 안착 설치를 위해 인너 플레이트(40)를 삽입하여 지지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너 플레이트(40)의 두께에 의해 중앙 몸체부(20)로 조절할 수 없는 내부 포장공간부(5)의 용량을 미세하게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너 플레이트(40)는 상부 내측면에 단차홈부(42)를 형성하여 상기 인너 플레이트의 상,하부면(40a)(40b)을 뒤집어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차홈부 높이 만큼 내부 포장공간부의 용량을 더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베이스 몸체(30)의 내부에는 하부 중앙으로 수납 요부(33)를 형성하여 내용물의 신선 보관을 위해 아이스팩(60)을 수납 보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너 플레이트(40)는 물기 배출을 위한 통공(43)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 요부(33)에는 아이스팩 이외에 포장공간부의 물기를 흡수하도록 흡수재(미도시, 흡수천 흡수성 수지 등)를 함께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포장공간부(5) 내부에는 내용물이 수납되지 않는 공간을 채우고자 스페이서 블럭(50) 상하로 조립 설치하되, 상기 스페이서 블럭은 상하로 조립홈(51)과 조립돌기(52)를 대응 형성하여 상하로 조립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스페이서 블럭은 하부 조립돌기(52)에 의해 인너 플레이트(40)의 일측 조립홈(44)에 삽입되어 조립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포장박스(100)는 도 7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부 덮개부(10)와 하부 베이스 몸체부(30)를 상하로 조립하여 형성되는 내부 포장공간부(5)에 내용물을 포장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용물은 내부 포장공간부(5)에 직접 포장하거나, 도면에서와 같이 별도의 소박스(2)에 포장한 상태로 포장할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블루베리 경우 100g, 250g, 500g 등으로 소포장하여 포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포장박스(100)는 내용물의 중량에 따라 내부 포장공간부(5)의 용량을 조절하여 최적으로 포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내용물의 중량에 따라 상부 덮개부(10)와 하부 베이스 몸체부(30) 사이로 도 6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하 관통된 중앙 몸체부(20)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상하로 조립하여 내부 포장공간부(5)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즉, 상기 중앙 몸체부(20)를 추가로 조립하는 높이 만큼 내부 포장공간부(5)의 용량이 점차 커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베이스 몸체(30) 내부의 하부 외측으로 형성되 단턱부(32)로 인너 플레이트(40)를 삽입하되, 상기 인너 플레이트의 두께에 따라 상기 중앙 몸체부(20)로 조절할 수 없는 내부 포장공간부(5)의 용량을 미세하게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너 플레이트(40)의 상부 내측면에 단차홈부(42)를 형성하여 상기 단차홈부가 상부로 위치하게 설치하면, 상기 단차홈부 높이 만큼 내부 포장공간부의 용량이 커지고, 상기 인너 플레이트를 뒤집어 상기 단차홈부(42)가 하부로 위치하게 설치하면, 상기 단차홈부 높이 만큼 내부 포장공간부의 용량이 작아지게 조절하여 상기 포장공간부(5)의 용량을 더 미세하게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포장박스(100)의 내부 포장공간부(5)를 내용물의 중량에 따라 중앙 몸체부, 인너 플레이트 및, 상기 인너 플레이트의 단차홈부에 의해 조절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공간없이 최적의 사이즈로 포장하여 운반하게 되는 것이다.
더우기, 상기 포장박스(100)의 포장공간부(5)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을 소 포장한 소박스(2)를 용량에 따라 상하 및 좌우로 적재하여 포장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500g 소박스는 상하로 적재 포장하고, 100g 및 250g 소박스는 좌우 2개씩 상하로 적재 포장하게 되고, 이때 상기 500g 소박스의 경우 좌우 수평 공간이 비게 되는 경우에 별도 스페이서 블럭(50)으로 빈공간을 채워주므로 소박스(2)의 유동을 방지하며 더욱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 인너 플레이트(40)의 일측 조립홈(44)에 상하로 조립홈(51)과 조립돌기(52)를 대응 형성하는 스페이서 블럭(50)을 상하로 조립 설치하므로서 상기 소박스 좌우 빈 공간을 채워주므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500g 소박스 사이로 형성되는 불필요한 공간에는 별도의 아이스팩을 채워 포장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하부 베이스 몸체(30) 내부의 하부 중앙으로 형성된 수납 요부(33)에 아이스팩(60)을 수납 보관하므로서 포장공간부(5)의 내용물을 신선 보관 상태로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포장공간부(5)에서 발생되는 물기는 상기 수납 요부에 아이스팩과 함께 수납되는 흡수재에 의해 흡수하여 내용물의 변질 등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10: 상부 덮개부 20; 중앙 몸체부
30: 하부 베이스 몸체부
100: 포장박스 5: 포장공간부
32: 단턱부 40: 인너 플레이트
42: 단차홈부 33: 수납 요부
60: 아이스팩 50: 스페이서 블럭
51: 조립홈 52: 조립돌기

Claims (5)

  1. 농산물이나 수산물, 그 밖의 내용물을 수납 운반하는 운반용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부 덮개부(10)와 하부 베이스 몸체부(30)를 상하로 조립하여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는 포장공간부(5)를 형성하는 포장박스(100)를 구성하되,
    상기 하부 베이스 몸체(30)의 내부에는 하부 외측으로 단턱부(32)를 형성하여 내부 포장공간부(5)의 용량 조절 및 내용물 안착 설치를 위해 인너 플레이트(40)를 삽입하여 지지 설치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인너 플레이트(40)는 상부 내측 면에 단차홈부(42)를 형성하여 상기 인너 플레이트의 상, 하부면(40a, 40b)을 뒤집어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차홈부 높이만큼 내부 포장공간부의 용량을 더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내용물의 포장 중량에 따라 상부 덮개부(10)와 하부 베이스 몸체부(30) 사이로 상하 관통된 중앙 몸체부(20)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상하로 조립하여 내부 포장공간부(5)의 용량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중량 조절이 가능한 운반용 포장박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 몸체(30)의 내부에는 하부 중앙으로 수납 요부(33)를 형성하여 내용물의 신선 보관을 위해 아이스팩(60)을 수납 보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중량 조절이 가능한 운반용 포장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공간부(5) 내부에는 내용물이 수납되지 않는 공간을 채우고자 스페이서 블럭(50) 상하로 조립 설치하되, 상기 스페이서 블럭은 상하로 조립홈(51)과 조립돌기(52)를 대응 형성하여 상하로 조립 설치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중량 조절이 가능한 운반용 포장박스.
KR2020110005777U 2011-06-24 2011-06-24 포장 중량 조절이 가능한 운반용 포장박스 KR200459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777U KR200459382Y1 (ko) 2011-06-24 2011-06-24 포장 중량 조절이 가능한 운반용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777U KR200459382Y1 (ko) 2011-06-24 2011-06-24 포장 중량 조절이 가능한 운반용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382Y1 true KR200459382Y1 (ko) 2012-03-23

Family

ID=4762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777U KR200459382Y1 (ko) 2011-06-24 2011-06-24 포장 중량 조절이 가능한 운반용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3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936B1 (ko) 2016-08-17 2017-02-08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CN107539567A (zh) * 2017-09-28 2018-01-05 江苏冠超物流科技有限公司 一种冷链果蔬运输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341A (ko) * 2004-02-13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밀폐용기
JP3129783U (ja) * 2006-11-22 2007-03-08 成一郎 大久保 生鮮食品用蓋付保冷容器
KR20110005788U (ko) * 2009-12-04 2011-06-10 이혜원 부피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341A (ko) * 2004-02-13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밀폐용기
JP3129783U (ja) * 2006-11-22 2007-03-08 成一郎 大久保 生鮮食品用蓋付保冷容器
KR20110005788U (ko) * 2009-12-04 2011-06-10 이혜원 부피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936B1 (ko) 2016-08-17 2017-02-08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CN107539567A (zh) * 2017-09-28 2018-01-05 江苏冠超物流科技有限公司 一种冷链果蔬运输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7244B2 (ja) 発泡合成樹脂製冷蔵輸送容器
KR200459382Y1 (ko) 포장 중량 조절이 가능한 운반용 포장박스
KR20130003061U (ko) 농산물 포장박스
KR20170143349A (ko) 과일포장용기
KR101453736B1 (ko) 과일 포장상자
KR20120002229U (ko) 딸기택배용 포장상자
KR20200132339A (ko) 계란 포장박스
KR20130058334A (ko) 다단 적층식 스티로폼 보냉 포장용기
JP6919196B2 (ja) 果菜類輸送容器
JP6854142B2 (ja) 果実輸送箱
KR101134298B1 (ko) 과일 포장용 수지트레이
CN205771078U (zh) 一种果蔬快递包装结构
JP3204455U (ja) 集合包装容器
KR102089211B1 (ko) 과일 포장용 상자 완충재
KR20160036788A (ko) 과일용 포장박스
JP6874958B2 (ja) 包装容器及び包装容器の輸送方法
JP6738633B2 (ja) 集合包装容器及びその積層体
JP6175150B2 (ja) 集合包装容器及びその積層体
KR20110004018U (ko) 포도용 택배상자
CN212424068U (zh) 一种保温包装箱
KR20090002959U (ko)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제품용 포장용구
KR20170086939A (ko) 포도 포장 상자
CN209112767U (zh) 一种新型环保果蔬包装结构
CN209427268U (zh) 果蔬保鲜瓦楞纸箱
CN210192208U (zh) 一种防潮型包装纸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