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959U -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제품용 포장용구 - Google Patents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제품용 포장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959U
KR20090002959U KR2020070015703U KR20070015703U KR20090002959U KR 20090002959 U KR20090002959 U KR 20090002959U KR 2020070015703 U KR2020070015703 U KR 2020070015703U KR 20070015703 U KR20070015703 U KR 20070015703U KR 20090002959 U KR20090002959 U KR 200900029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ackaging
packaging box
accommodated
buff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철
곽태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5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959U/ko
Publication of KR200900029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95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에 의한 제품 포장용기는 제품을 수용하는 포장박스와, 외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제품과 함께 포장박스에 수용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완충부재는 제품의 상부를 덮도록 포장박스에 수용되고, 완충부재의 상부에는 포장박스의 상부가 하중을 받을 때 함몰되면서 수용될 수 있는 홈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제품 포장용구는 제품을 포장한 상태로 다단으로 적재될 경우 하부에 놓이는 포장박스의 상부가 이에 수용된 완충부재의 홈부에 수용되면서 함몰되기 때문에, 상하로 놓이는 두 포장박스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제품의 적재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포장용구, 포장박스, 완충부재, 적재

Description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제품용 포장용구{Cushion member and packing kit for appliances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제품용 포장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제품을 비롯한 다양한 제품을 포장 및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제품용 포장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을 비롯한 각종 제품은 소비자가 구매할 때까지 포장용구에 의해 포장되어 보호된다. 포장용구는 제품의 외부를 감쌈으로써 제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제품의 파손이나 긁힘을 방지해주고, 제품이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막아 준다.
전자제품을 비롯한 대부분의 제품은 가격이 싸고 가벼우며 어느 정도의 완충재 기능을 갖는 포장박스에 감싸여 운반 및 보관된다. 특히, 냉장고, 세탁기, 에어콘 등과 같이 크기가 크고 외부 충격에 의한 고장의 위험이 큰 가전제품은 포장박스의 내부에 수용됨과 동시에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재에 의해 보호된다. 통상적으로, 완충부재는 스티로폴과 같이 탄성이 있고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품과 함께 포장박스의 내부에 수용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9-12408호(1999. 04. 06. 공개)에는 냉장고를 보호하는 제품용 포장용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포장용구는 냉장고의 상부를 덮는 상부포장부재와,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포장부재를 포함한다. 이들 상부포장부재 및 하부포장부재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냉장고를 보호할 수 있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부포장부재는 냉장고의 상부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을 구비하고, 하부포장부재는 냉장고의 하부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공보에는 자세히 설명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부포장부재 및 하부포장부재는 냉장고의 상부 및 하부를 덮은 상태로 포장박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하부포장부재가 결합된 제품이 수용된 포장박스는 쉽게 풀어지지 않도록 수지재의 밴드로 밴딩된다.
통상적으로 포장박스는 제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밴딩될 때 밴드의 압력에 의해 상부 및 하부가 볼록하게 돌출되기 쉽다. 그런데, 이렇게 제품이 수용된 제품 포장박스가 상부 및 하부가 볼록하게 돌출된 상태에서 여러 개가 층층이 적재될 경우 불안정한 적재 상태에 있게 된다. 즉, 하부에 놓이는 포장박스의 볼록한 상부와 그 위에 놓이는 포장박스의 볼록한 하부가 접하여 두 포장박스 사이의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상부의 포장박스가 흔들리기 쉽고 이에 수용된 제품이 충격을 받기 쉽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이 수용된 포장박스가 층층이 적재될 경우에 제품의 안정적인 적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부에 놓이는 포장박스와 상부에 놓이는 포장박스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제품 포장용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제품 포장용기는 제품을 수용하는 포장박스와, 외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제품과 함께 상기 포장박스에 수용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품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포장박스에 수용되고, 상기 완충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가 하중을 받을 때 함몰되면서 수용될 수 있는 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완충부재의 외곽 둘레에는 테두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홈부 는 상기 테투리부 안쪽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에는 상기 완충부재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포장박스의 상하부 사이에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통기공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완충부재는 제품을 수용하는 포장박스에 수용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품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포장박스에 수용되고, 상기 완충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가 하중을 받을 때 함몰되면서 수용될 수 있는 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품 포장용구는 제품을 포장한 상태로 다단으로 적재될 경우 하부에 놓이는 포장박스의 상부가 이에 수용된 완충부재의 홈부에 수용되면서 함몰되기 때문에, 상하로 놓이는 두 포장박스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제품의 적재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제품 포장용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품 포장용구(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품 포장용구(10)는 제품(P)의 외부를 감싸는 포장박스(11)와,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품(P) 과 함께 포장박스(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완충부재(16)를 포함한다.
포장박스(11)는 통상의 것과 같이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품(P)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4)을 갖고 상하부가 개방된 몸체부(12)와, 몸체부(12)의 개방된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커버날개(13a)(13b)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몸체부(12)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날개(13a)(13b)만 도시되어 있지만 몸체부(12)의 하부에도 상부와 같은 복수의 커버날개(13a)(13b)가 구비된다. 복수의 커버날개(13a)(13b)는 한 쌍의 전후 커버날개(13a)와, 한 쌍의 좌우 커버날개(13b)로 구분된다. 각 전후 커버날개(13a)는 몸체부(12)의 개방된 상부의 전후 방향 반을 덮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각 좌우 커버날개(13b)는 몸체부(12)의 개방된 상부의 좌우 방향 반을 덮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포장박스(11)의 내부에 제품(P)과 완충부재(16)가 수용된 후에 포장박스(11)의 외부는 복수의 커버날개(13a)(13b)가 쉽게 열리지 못하도록 밴드(15)에 의해 밴딩된다. 밴드(15)는 통상의 것과 같이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밴딩기(미도시)를 통해 포장박스(11)에 결합된다.
완충부재(16)는 제품(P)의 상부를 덮도록 제품(P)과 함께 포장박스(11)에 수용된다. 완충부재(16)는 스티로폴과 같이 탄성을 갖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완충부재(16)의 넓이는 포장박스(11)의 단면적과 대략 같은 크기로 이루어지고, 완충부재(16)의 높이는 제품(P)이 수용된 후 수용공간(14)의 남아 있는 공간의 높이와 대략 같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완충부재(16)의 외곽의 테두리부(18) 안쪽에는 홈부(17)가 구비된다.
이 홈부(17)는 완충부재(16)의 상부를 덮는 복수의 커버날개(13a)(13b)가 함몰되면서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테두리부(18) 안쪽에 일정한 깊이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부(17)가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테두리부(18)에서 수직으로 깎인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나, 본 고안에 의한 완충부재(16)의 홈부(17)는 테두리부(18)에서 중앙 쪽으로 완만하게 깎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완충부재(16)의 상부에 홈부(17)가 구비됨으로써 포장이 완료된 포장박스(11)의 상부에 하중이 가해지면, 포장박스(11) 상부의 복수의 커버날개(13a)(13b)가 함몰되면서 포장박스(11)의 상부가 다소 오목하게 함몰된다.
또한, 완충부재(16)에는 복수의 통기공(19)이 구비된다. 이 통기공(19)은 완충부재(16)가 포장박스(11)에 수용될 때 완충부재(16)에 의해 구획되는 수용공간(14)의 상부 및 하부 사이에 공기를 소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완충부재(16)의 넓이는 수용공간(14)의 단면적 크기와 대략 같기 때문에, 제품(P)이 수용된 수용공간(14)의 상부 방향으로 완충부재(16)를 삽입할 때 수용공간(14)의 공기를 배출시키지 않으면 완충부재(16)를 삽입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완충부재(16)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기공(19)을 형성함으로써 완충부재(16)를 수용공간(14)에 삽입할 때 완충부재(16)가 수용될 공간의 공기를 쉽게 배출시킬 수 있고, 완충부재(16)를 수용공간(14)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포장박스(11)에 수용되는 제품(P)의 하부에는 또다른 완충부재(미도시)가 수용되어 제품(P)의 하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품 포장용구(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품 포장용구(10)에 의해 포장된 제품(P) 위에 또다른 포장용구(10)에 의해 포장된 제품을 적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포장박스(11)의 수용공간(14)에 수용된 제품(P)의 상부는 완충부재(16)에 의해 덮히고, 완충부재(16)와 수용공간(14)의 상부를 덮는 복수의 커버날개(13a)(13b)의 사이에는 완충부재(16)의 홈부(17)에 의한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밴드(15)에 의해 밴딩된 커버날개(13a)(13b)의 상부에 하부가 다소 볼록하게 돌출된 포장박스(11)가 올려지면, 복수의 커버날개(13a)(13b)가 상부의 포장박스(11) 및 이에 수용된 제품의 하중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눌린다. 이때, 복수의 커버날개(13a)(13b)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면서 완충부재(16)의 홈부(17)에 수용된다. 이렇게 하부에 놓인 포장박스(11)의 상부가 함몰되면, 상부에 놓인 포장박스(11)의 볼록한 하부와 하부 포장박스(11)의 상부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 포장박스(11) 및 이에 수용된 제품(P)은 안정적인 적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포장용구(10)에 수용된 제품(P)이 2단으로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나, 본 고안에 의한 제품 포장용구(10)는 제품(P)이 3단 이상 적재되는 경우에도 제품(P)의 안정적인 적재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한 제품 포장용구(10)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의 전자제품을 비롯한 다양한 제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제품이 다단으로 적재될 때 제품의 안정적인 적재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따라서, 제품의 운반 및 보관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품 포장용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품 포장용구에 수용된 제품을 층층이 적재하는 과정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품 포장용구에 수용된 제품이 2단으로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제품용 포장용구 11...포장박스
12...몸체부 13a,13b...커버날개
14...수용공간 15...밴드
16...완충부재 17...홈부
18...테두리부 19...통기공

Claims (6)

  1. 제품을 수용하는 포장박스와, 외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제품과 함께 상기 포장박스에 수용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제품 포장용구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품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포장박스에 수용되고, 상기 완충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가 하중을 받을 때 함몰되면서 수용될 수 있는 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외곽 둘레에는 테두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테투리부 안쪽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용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에는 상기 완충부재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포장박스의 상하부 사이에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통기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용구.
  4. 제품을 수용하는 포장박스에 수용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품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포장박스에 수용되고, 상 기 완충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가 하중을 받을 때 함몰되면서 수용될 수 있는 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외곽 둘레에는 테두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테투리부 안쪽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에는 상기 완충부재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포장박스의 상하부 사이에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통기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KR2020070015703U 2007-09-20 2007-09-20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제품용 포장용구 KR200900029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703U KR20090002959U (ko) 2007-09-20 2007-09-20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제품용 포장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703U KR20090002959U (ko) 2007-09-20 2007-09-20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제품용 포장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959U true KR20090002959U (ko) 2009-03-25

Family

ID=4365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703U KR20090002959U (ko) 2007-09-20 2007-09-20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제품용 포장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95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0072A1 (ko) * 2014-04-16 2015-10-22 주식회사 현대에코팩 택배용 계란박스
CN106995079A (zh) * 2016-01-25 2017-08-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用于安装洗衣机底衬的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0072A1 (ko) * 2014-04-16 2015-10-22 주식회사 현대에코팩 택배용 계란박스
CN106995079A (zh) * 2016-01-25 2017-08-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用于安装洗衣机底衬的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063569A (ja) 梱包用緩衝材および梱包物
JP5917316B2 (ja) 梱包材および梱包体
JP2014009020A (ja) 梱包材および梱包体
KR20090002959U (ko)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제품용 포장용구
JP6357218B2 (ja) 梱包材および梱包体
CN106742722B (zh) 缓冲包材及缓冲包装盒
KR101134298B1 (ko) 과일 포장용 수지트레이
KR20110012742A (ko)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US20080017548A1 (en) Method of Packaging a Flat Display Device and Package for Use in Such a Method
JP6587966B2 (ja) 梱包材
US20160016724A1 (en) Packing box for electric home appliance
US7992713B1 (en) Disk drive package
KR200376142Y1 (ko) 에어컨 포장용 완충재구조
KR102366297B1 (ko) 포장 상자
KR101251606B1 (ko) 카트리지 포장박스
KR101623442B1 (ko) 가압부재를 갖는 과일용 포장상자
KR200410872Y1 (ko) 2열 적재식 딸기 포장용기
KR20060105332A (ko) 전자제품 완충포장용 펄프 패드
KR200381580Y1 (ko) 고정용 포장재
KR20230001267U (ko) 포장 케이스
KR20210001215U (ko) 딸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딸기 포장용기
US20050167305A1 (en) Packing unit for refrigerator
KR200316745Y1 (ko) 에어컨 실외기의 포장커버
JP3807384B2 (ja) 梱包物
JP4338531B2 (ja) 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