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192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192A
KR20090007192A KR1020070092317A KR20070092317A KR20090007192A KR 20090007192 A KR20090007192 A KR 20090007192A KR 1020070092317 A KR1020070092317 A KR 1020070092317A KR 20070092317 A KR20070092317 A KR 20070092317A KR 20090007192 A KR20090007192 A KR 20090007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ontact
actuator
pressing
connection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키타가와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7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9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moving connector housing parts linearly, e.g. sli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의 록킹위치와는 상관없이 인슐레이터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을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컨택트와 접속 대상물을 적정한 접촉 압력으로 확실하게 도통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통 암(53) 및 누름 암(55)이 모두 접속 대상물(95)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며, 컨택트(50)의 접촉부(57)와 누름 암의 압압부(60)로 접속 대상물(95)을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넥터, 액츄에이터, 인슐레이터, 록킹, FPC, FFC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이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등의 평판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기판과 통전시키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본특허공개 제2006-244770호에 개시된 FPC용 커넥터는 상단이 개구된 수용 오목부를 갖는 하우징(인슐레이터)(21)과, 하우징(21)의 수용 오목부 내에 하우징(21)의 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고정된 복수의 컨택트(30)와, 상기 하우징(21)과는 별체이며 하우징(21)의 상단 개구로부터 수용 오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40)와, 각 컨택트(30)와 통전되도록 하우징(21)의 하면에 설치된 기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컨택트(30)는 측면에서 봤을 때 디귿자 형상이면서 한 쌍의 돌출편을 갖는 지지부(30a)와, 일측의 돌출편 중간부에서 연장된 탄성 변형 가능한 컨택트부(30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컨택트부(30b)는 선단(상단)(30c)이 슬라이더(40)에 의해 밀리는 피압압부로 되어 있고, 컨택트부(30b)의 중간부에는 FPC(7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접속 단자(도통부)와 통전된는 접점(31)이 돌출되어 있다.
이 커넥터에서는 슬라이더(40)의 하단부만이 하우징(21)의 수용 오목부에 삽 입된 상태(불완전 삽입 상태)에서 FPC(70)가 하우징(21)의 수용 오목부 내에 삽입되면, FPC(70)가 지지부(30a)의 일측의 돌출편과 컨택트부(30b)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40)가 수용 오목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록킹위치까지 이동되면, 슬라이더(40)의 하부가 타측의 돌출편과 컨택트부(30b)의 사이에 삽입되면서 컨택트부(30b)의 선단(30c)을 일측의 돌출편측으로 민다. 그 결과 컨택트부(30b) 전체가 FPC(70)측으로 밀리면서 컨택트부(30b)의 접점(31)이 FPC(70)의 접속 단자에 압접되어 FPC(70)와 컨택트(30)가 통전된다.
그러나 일본특허공개 제2006-244770호에 개시된 커넥터는 슬라이더(40)가 하우징(21)의 수용 오목부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수용 오목부에 삽입된 FPC(70)에 대한 유지가 이루어지지 않아 조립 공정 등에서 FPC(70)가 커넥터로부터 이탈되거나 정상적인 위치에서 어긋나면서 작업성의 저하나 접촉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수용 오목부에 삽입된 FPC(70)를 끼우는 지지부(30a)의 일측의 돌출편과 컨택트부(30b) 중, 상기 컨택트부(30b)는 FPC(70)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지만, 일측의 돌출편(지지부(30a) 전체)은 탄성 변형 불가능하다.
가령, 슬라이더(40)의 개방 상태에서 FPC(70)를 유지시키기 위해 접점(31)과 지지부(30a)의 거리를 FPC(70)의 두께보다 작게 한 경우에는, FPC(70)를 수용 오목부에 삽입하거나 슬라이더(40)를 록킹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지지부(30a)의 일측의 돌출편은 위치가 변하지 않고 컨택트부(30b)의 위치만 변화된다(탄성 변형된다). 즉 컨택트부(30b)에만 응력이 집중되므로 만족할 만한 성능의 스프링성을 얻기 위해서는 컨택트부(30b)를 크게 할 필요가 있고, FPC(70)의 두께에 편차가 있을 경우에는 FPC의 유지력이 크게 변화되기 쉽다.
또한 컨택트부(30b)와 같이 선단을 슬라이더(40)로 밀어 접점(31)에서 접촉 압력을 얻는 구조의 경우, 외력 등에 의해 슬라이더(40)에 (전후 방향의)덜컹거림이나 순간적인 움직임이 발생될 경우에 접촉 압력, 즉 접촉 저항이 변동되게 된다. 따라서, 특허문헌1에서와 같이 한쪽의 돌출편(지지부(30a) 전체)이 탄성 변형 불가능할 경우에는 컨택트부(30b)의 접점(31)과 FPC(70)의 접속 단자의 접촉 상태가 안정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츄에이터가 록킹위치와는 상관없이 인슐레이터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을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컨택트와 접속 대상물을 적정한 접촉 압력으로 확실하게 도통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평판형상을 이루는 접속 대상물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일단이 개구된 수용 오목부를 갖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접속 대상물의 일측면과 통전되는 접촉부를 갖는 도통 암을 구비한 상기 수용 오목부에 설치된 컨택트와, 상기 접속 대상물의 타측면에 접촉되는 압압부를 구비한 상기 수용 오목부에 설치된 누름 암과,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록킹위치로 이동되었을 경우 상기 누름 암에 상기 압압부와는 다른 위치에 형성된 피압압부를 상기 접속 대상물측으로 밀어서 상기 압압부와 상기 타측면의 접촉압을 높이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도통 암 및 누름 암이 모두 상기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컨택트의 접촉부와 상기 누름 암의 압압부로 상기 접속 대상물이 파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통 암 및 누름 암이 자유 상태에 있을 경우의 상기 접촉부와 압압부의 간격이 상기 접속 대상물의 두께보다 작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택트는 상기 누름 암을 일체로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수용 오목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용 오목부에 소정 깊이까지 끼워져 결합되는 상기 록킹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상기 누름 암의 상기 피압압부를 미는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넥터는 상기 누름 암을 사이에 두고 상기 도통 암과 반대측에 위치되는 고정 암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암 및 누름 암은 상기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가 상기 록킹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를 파지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암 또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상기 개구측의 단부에는 상기 개구의 외측으로부터 수용 오목부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된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를 상기 누름 암측으로 미는 압압 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록킹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에는 상기 누름 암의 상기 피압압부를 미는 회전식 액츄에이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가 슬라이드식(청구항 3)과 회전식(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여도, 접속 대상물을 도통 암과 누름 암 사이에 삽입했을 때에 도통 암 및 누름 암이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므로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액츄에이터가 록킹위치까지 이동된 상태(접속 대상물과 도통 암이 도통된 상태)에서 어떠한 외력에 의해 접속 대상물이나 액츄에이터가 그 두께 방향으로 덜컹거렸다고 해도, 도통 암과 누름 암이 접속 대상물을 파지하면서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되므로 도통 암의 접촉부와 누름 암의 압압부는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접속 대상물에 외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도통 암과 접속 대상물은 안정적인 도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통 암과 누름 암을 크게 형성시키지 않아도 접속 대상물과 도통 암의 접촉부를 확실하게 접촉시키기 위해 필요한 탄성력이 얻어진다.
또한 적정한 탄성력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접속 대상물의 두께의 폭(범위)을 크게 할 수 있게 되어, 접속 대상물의 편차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접촉 안정성이나 유지력이 우수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도통 암과 누름 암이 각각 탄성을 갖도록 하고, 도통 암의 접촉부와 누름 암의 압압부와의 간격이 접속 대상물의 판두께 보다 좁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가 록킹위치에 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속 대상물을 수용 오목부에 삽입되고 삽입된 접속 대상물이 도통 암의 접촉부와 누름 암의 압압부 사이로 진입되면, 도통 암의 접촉부와 누름 암의 압압부에 의해 접속 대상물이 확실하게 임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접속 대상물의 두께에 편차가 생겼다고 하더라도 안정된 유지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가 록킹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업성이 우수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도통 암과 누름 암을 일체화시킴으로써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탬핑 성형에 의해 도통 암과 누름 암을 구비하는 컨택트를 일체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되므로 제조가 용이해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를 록킹위치까지 이동시켰을 때에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가 고정 암과 누름 암에 의해 탄성적으로 파지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를 록킹위치에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를 인슐레이터의 외부로부터 수용 오목부 내에 삽입할 때에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가 고정 암 또는 인슐레이터에 설치된 압압 단부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가 누름 암측으로 이동하여 록킹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도통 암과 접속 대상물을 보다 확실하게 도통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의 방향은 도 1, 도 4, 및 도 5 등에 기재된 화살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전자기기 내의 기판에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서, 인슐레이터(20), 제 1 컨택트(50), 제 2 컨택트(70), 및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로 크게 구성된다.
인슐레이터(20)는 절연성 또한 내열성의 합성 수지재료를 사출 성형한 것이 다. 도 4, 도 5, 도 11, 도 12, 도 1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20)는 전벽부(21), 후벽부(22), 좌측벽부(23), 우측벽부(24) 및 저벽부(25)를 구비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벽부(21)의 상단부는 후벽부(22), 좌측벽부(23) 및 우측벽부(24)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인슐레이터(20)의 좌단부 근방 및 우단부 근방에는 인슐레이터(2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오목홈(26)과 오목홈(27)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좌측단부(23)와 우측단부(24)의 하단부에는 오목홈(26)과 오목홈(27)에 각각 연통하는 노치(28,29)가 형성된다. 또한 오목홈(26)의 우측 옆과 오목홈(27)의 좌측 옆에는 각각 전벽부(21)와 후벽부(22)에 연결된 좌측내벽(31)과 우측내벽(32)이 설치되고, 상기 전벽부(21), 후벽부(22), 저벽부(25), 좌측내벽(31) 및 우측내벽(32)으로 둘러싸여진 공간은 상면이 개구된 수용 오목부(33)로 되어 있다.
또한 좌측내벽(31)의 좌측면 상부와 우측내벽(32)의 우측면 상부에는 액츄에이터 안내홈(34)과 액츄에이터 안내홈(35)이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좌측벽부(23)의 우측면 상부와 우측벽부(24)의 좌측면 상부에는 언록킹위치 유지홈(36)과 언록킹위치 유지홈(37)이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20)에는 2종류의 컨택트 부착용 홈이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20)의 저면에는 그 전단이 전벽부(21)의 하단부를 이루며 개구된 총 9개의 제 1 컨택트용 부착홈(40)과, 인접하는 제 1 컨택트용 부착홈(40)의 사이에 위치되며 그 후단이 후벽부(22)의 하 단부를 이루며 개구된 총 8개의 제 2 컨택트용 부착홈(41)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 4, 도 5 및 도 1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벽부(21)와 저벽부(25)에는 모두 전벽부(21) 및 저벽부(25)에 올라타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총 9개의 제 1 컨택트용 전부 홈(42)과 총 8개의 제 2 컨택트용 전부 홈(43)이 교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각 제 1 컨택트용 전부 홈(42)의 하단은 저벽부(25)의 내부에 있어서 대응되는 제 1 컨택트용 부착홈(40)의 전부와 연통되고, 각 제 2 컨택트용 전부 홈(43)의 하단은 저벽부(25)의 내부에 있어서 대응되는 제 2 컨택트용 부착홈(41)의 전부와 연통된다.
한편, 후벽부(22)와 저벽부(25)에는 모두 후벽부(22) 및 저벽부(25)에 올라타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총 9개의 제 1 컨택트용 후부 홈(44)과 총 8개의 제 2 컨택트용 후부 홈(45)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각 제 1 컨택트용 후부 홈(44)의 하단은 저벽부(25)의 내부에 있어서 대응되는 제 1 컨택트용 부착홈(40)의 후부와 연통되고, 각 제 2 컨택트용 후부 홈(45)의 하단은 저벽부(25)의 내부에 있어서 대응되는 제 2 컨택트용 부착홈(41)의 후부와 연통된다.
제 1 컨택트용 부착홈(40), 제 1 컨택트용 전부 홈(42) 및 제 1 컨택트용 후부 홈(44)에 끼움결합되는 제 1 컨택트(50)는 도 4, 도 5, 도 17, 도 19 등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컨택트(50)는 스탬핑 성형에 의해 얻어진 일체물이며, 스탬핑 성형해서 얻어진 기재(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티타늄동, 스텐레스, 코르손계 동합금) 위에 하지 도금(예를 들면 니켈(Ni) 도금)을 실시한 후에, 마무리 도금(예를 들면 금도금, 은(Sn)-동(Cu) 도금, 은(Sn)-납(Pb) 도금)을 실시해서 제조된 도전성 부재이다.
제 1 컨택트(50)는 그 전단부가 테일부(51)를 이루는 기부(2)와, 기부(52)의 전단 근방에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도통 암(53)과 기부(52)의 후단에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고정 암(54)과 기부(52)의 중간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누름 암(55)을 구비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통 암(53)은 상방으로 연장된 후에 하방으로 되접어져 있다. 이 하향으로 되접어진 부분은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변형편(56)이며, 탄성 변형편(56)의 선단에는 접촉부(57)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고정 암(54)의 상단은 반원 형상의 압압 단부(58)를 가진다.
또한, 전체가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누름 암(55)은 측면에서 봤을 때 「<」자를 이루고, 그 상단에는 피압압부(59)가 형성되며, 그 중간부에는 압압부(60)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제 1 컨택트(50)는 인슐레이터(20)의 하방으로부터 대응되는 제 1 컨택트용 부착홈(40)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인슐레이터(20)에 고정된다. 제 1 컨택트(50)가 인슐레이터(20)에 고정되면, 기부(52)가 제 1 컨택트용 부착홈(40) 내에 위치됨과 아울러 테일부(51)가 전벽부(21)의 하단부에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도 17 및 도 19 참조), 도통 암(53) 및 누름 암(55)이 저벽부(25)에 형성된 제 1 컨택트용 전부 홈(42)을 통해서 수용 오목부(33) 내에 돌출되며, 도통 암(53)이 전벽부(21)에 형성된 제 1 컨택트용 전부 홈(42)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고정 암(54)이 저벽부(25)에 형성된 제 1 컨택트용 후부 홈(44)을 통해서 수용 오목부(33) 내에 돌출되고, 후벽부(22)에 형성된 제 1 컨택트용 후부 홈(44)에 끼워져 고정된다.
제 2 컨택트용 부착홈(41), 제 2 컨택트용 전부 홈(43) 및 제 2 컨택트용 후부 홈(45)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 2 컨택트(70)는 도 4, 도 5, 도 16, 도 18 등에 도시되어 있다.
제 2 컨택트(70)는 제 1 컨택트(50)와 마찬가지로 도전성을 갖는 일체물이며, 그 제조 요령 및 원료는 제 1 컨택트(50)와 같다.
제 2 컨택트(70)는 그 후단부가 테일부(71)를 이루는 기부(72)와, 기부(72)의 전단 근방에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도통 암(73)과, 기부(72)의 후단에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고정 암(74)을 구비한다. 상기 도통 암(73)은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며, 그 상단에는 접촉부(75)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고정 암(74)의 상반부는 하반부에 비해서 좁은 폭의 돌출부(76)를 가지며, 돌출부(76)의 상단부는 반원 형상의 압압 단부(77)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의 제 2 컨택트(70)는 인슐레이터(20)의 하방으로부터 대응되는 제 2 컨택트용 부착홈(41)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인슐레이터(20)에 고정된다. 제 2 컨택트(70)가 인슐레이터(20)에 고정되면, 기부(72)가 제 2 컨택트용 부착홈(41) 내에 위치됨과 아울러 테일부(71)가 후벽부(22)의 하단부에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도 16 및 도 18 참조), 도통 암(73)이 저벽부(25)에 형성된 제 2 컨택트용 전부 홈(43)을 통해서 수용 오목부(33) 내에 돌출되며, 전벽부(21)에 형성된 제 2 컨택 트용 전부 홈(43)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고정 암(74)이 저벽부(25)에 형성된 제 2 컨택트용 후부 홈(45)을 통해서 수용 오목부(33) 내에 돌출되고, 후벽부(22)에 형성된 제 2 컨택트용 후부 홈(45)에 끼워져 고정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컨택트(50)의 접촉부(57)와 제 2 컨택트(70)의 접촉부(75)의 상하 방향 위치가 서로 어긋나고, 각 제 1 컨택트(50) 및 각 제 2 컨택트(70)가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인슐레이터(20)의 바로 아래에는 수평판 형상을 이루는 기판이 위치되고, 이 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도통부(접촉 단자)에는 각 제 1 컨택트(50)의 테일부(51)와 각 제 2 컨택트(70)의 테일부(71)가 각각 납땜된다.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는 내열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한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의 상부에는 평면에서 봤을 때 디귿자 형상의 조작부(81)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8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부(82)와, 전부(82)의 양 단부에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완(側腕)부를 갖는다. 상기 전부(82)의 하면에는 전부(82)보다 전후 방향의 두께가 작은 압압용 돌출부(84)가 형성된다. 또한 좌우의 측완부(83)의 하면에는 인슐레이터(20)의 오목홈(26)과 오목홈(27)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형성된 끼워맞춤 돌출부(85)와, 그 전후 방향 폭이 액츄에이터 안내홈(34, 35), 및 언록킹위치 유지홈(36, 37)과 동일한 끼워맞춤 다리부(86)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끼워맞춤 다리부(86)의 외측면의 하단부에는 빠짐방지용 클로(87)가 돌출되어 있고, 끼워맞춤 다리부(86)의 외측면의 빠 짐방지용 클로(87)의 상방에는 유지용 돌출부(88)가 돌출 형성된다.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의 끼워맞춤 다리부(86)를 인슐레이터(20)의 오목홈(26) 및 액츄에이터 안내홈(34)에 상방으로부터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게 함과 아울러, 우측의 끼워맞춤 다리부(86)를 오목홈(27) 및 액츄에이터 안내홈(35)에 상방으로부터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게 하고, 좌우의 유지용 돌출부(88)를 노치(28)와 노치(29)의 내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인슐레이터(20)에 장착된다.
이렇게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가 인슐레이터(20)에 장착되면, 좌우의 끼워맞춤 다리부(86)가 액츄에이터 안내홈(34)과 액츄에이터 안내홈(35)에 의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안내된다. 또한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는 좌우의 빠짐방지용 클로(87)가 노치(28)와 노치(29)의 상면에 접촉되어 좌우의 측완부(83)가 좌측벽부(23) 및 우측벽부(24)의 상면에서부터 상방으로 이간하는 언록킹위치(도 6, 도 7, 도 16, 도 17의 위치)와, 좌우의 빠짐방지용 클로(87)가 노치(28)와 노치(29)의 상면에서부터 하방으로 이간하여 좌우의 측완부(83)의 하면이 후벽부(22), 좌측벽부(23) 및 우측벽부(24)의 상면에 접촉되는 록킹위치(도 8, 도 9, 도 18, 도 19의 위치)의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가 언록킹위치에 위치된 경우에는 좌우의 끼워맞춤 다리부(86)의 유지용 돌출부(88)가 인슐레이터(20)의 언록킹위치 유지홈(36, 37) 내에 위치하여 상기 언록킹위치 유지홈(36, 37)의 대향면에 압접되므로,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는 의도적으로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는 한 언록킹위 치에 유지된다.
한편,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가 록킹위치에 위치된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유지용 돌출부(88)가 언록킹위치 유지홈(36, 37)으로부터 하방으로 빠져서 노치(28)와 노치(29)의 상면에 결합되고, 좌우의 측완부(83)의 하면이 후벽부(22), 좌측벽부(23) 및 우측벽부(24)의 상면에 접촉되므로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는 의도적으로 상방으로 이동되지 않는 한 록킹위치에 유지된다.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가 언록킹위치에 위치되면,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용 돌출부(84)의 하단부가 제 1 컨택트(50)의 고정 암(54)과 누름 암(55) 사이, 및 제 2 컨택트(70)의 도통 암(73)과 돌출부(76)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용 돌출부(84)의 후면의 하단부에 형성된 경사 압압면(89)이 각 고정 암(54)의 압압 단부(58)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고, 압압용 돌출부(84)의 전면의 하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오목하게 형성된 총 9개의 도피 홈(9) 내에 대응되는 누름 암(55)의 상부가 헐겁게 끼워진다. 또한, 압압용 돌출부(84)의 하면의 하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오목하게 형성된 총 8개의 압압용 오목부(90)에 대응하는 돌출부(76)의 상부가 각각 헐겁게 끼워진다.
한편,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가 록킹위치에 위치되면,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용 돌출부(84)가 제 1 컨택트(50)의 고정 암(54)와 누름 암(55) 사이, 및 제 2 컨택트(70)의 도통 암(73)과 돌출부(76) 사이에 깊게 진입되고, 고정 암(54)과 누름 암(55)(피압압부(59))에 의해 탄성적으로 파지되므로, 슬 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는 상기 파지력에 의해 록킹 위치에 보다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가 록킹위치에 위치되면, 각 도피 홈(91)의 전면이 대응하는 누름 암(55)의 피압압부(59)를 전방으로 밀기 때문에, 각 누름 암(55)은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가 언록킹위치에 위치한 때에 비하여 전방으로 탄성 변형된다. 또한, 도 9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2 컨택트(70)의 압압 단부(77)가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의 전부(82)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총 8개의 도피 홈(92)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커넥터(10)에 접속 대상물인 FPC(플렉시블 프린트 기판)(95)를 삽입하고, FPC(95)를 상기 기판에 제 1 컨택트(50) 및 제 2 컨택트(70)를 통해서 통전시키는 요령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95)를 도통시킬 때에는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는 언록킹위치에 위치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부(82) 및 좌우의 측완부(83)와 인슐레이터(20)의 전벽부(21) 사이에 형성된 평면에서 봤을 때 가로가 긴 직사각형의 공간(S)을 통해서 수직판형상을 이루는 FPC(95)의 하부가 수용 오목부(33) 내에 삽입되고,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95)의 하단이 수용 오목부(33)의 저면에 접촉된다. 그러면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33) 내에서 FPC(95)의 하부가 제 2 컨택트(70)의 도통 암(73)과 돌출부(76) 사이, 및 제 1 컨택트(50)의 도통 암(53)과 누름 암(55) 사이에 위치되고, FPC(95)의 전면의 하단부 근방에 형성된 총 9개의 제 1 도통부(도시생략)에 각 탄성 변형편(56)의 접촉부(57)가 접촉된다.
FPC(95)의 하부가 제 1 컨택트(50)의 도통 암과 누름 암(55) 사이에 삽입되기 전에는 상기 제 1 컨택트(50)의 누름 암(55) 및 탄성 변형편(56)은 자유 상태에 있고, 탄성 변형편(56)의 접촉부(57)와 누름 암(55)의 압압부(60) 사이의 전후 방향 치수는 FPC(95)의 두께보다 좁다. 따라서, FPC(95)의 하부가 도 16 및 도 17의 위치까지 삽입되면 FPC(95)의 전면이 탄성 변형편(56)을 전방으로 약간 탄성 변형되며, FPC(95)의 후면이 누름 암(55)이 후방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와 같이 FPC(95)가 총 9개의 제 1 컨택트(50)의 누름 암(55) 및 탄성 변형편(56)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부터 탄성적으로 파지되므로, FPC(95)의 하부가 도 16 및 도 17의 위치까지 삽입되면, 각 제 1 컨택트(50)에 의해 FPC(95)가 제 1 컨택트(50)에 의해 임시 유지된다.
이어서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가 언록킹위치에서부터 하방으로 삽입되면,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가 록킹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압압용 돌출부(84)에 오목하게 형성된 압압용 오목부(90)가 대응되는 돌출부(76)의 압압 단부(77)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고, 또한 압압용 돌출부(84)에 형성된 경사 압압면(89)이 각 고정 암(54)의 압압 단부(58)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를 언록킹위치에서부터 록킹위치까지 이동시키면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의 압압용 돌출부(84)가 각 누름 암(55)의 피압압부(59)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각 누름 암(55)은 전방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 결과, 각 누름 암(55)의 압압부(60)가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의 후면에 압접되어 FPC(95)가 전방으 로 이동되므로 FPC(95)의 전면의 제 1 도통부와 탄성 변형편(56)의 접촉부(57)의 통전을 위한 접촉 압력이 높아지고, FPC(95)의 전면에 제 1 도통부에서부터 상방으로 위치시켜 형성된 총 8개의 제 2 도통부(도시생략)에 각 도통 암(73)의 접촉부(75)가 상기 접촉 압력에 의해 접촉된다.
그러나 탄성 변형편(56) 및 도통 암(73)이 모두 전후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므로, FPC(95)가 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FPC(95)의 제 1 도통부와 접촉부(57)의 접촉 압력, 및 FPC(95)의 제 2 도통부와 접촉부(75)의 접촉 압력이 과대해지지 않으므로 이들의 접촉 압력은 적정한 압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FPC(95)의 제 1 도통부와 접촉부(57) 및 FPC(95)의 제 2 도통부와 접촉부(75)는 확실하게 도통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접촉부(57) 및 접촉부(75)가 FPC(95)와 도통한 상태에서 FPC(95)나 액츄에이터(80)에 외력이 가해지므로 FPC(95)가 전후 방향으로 덜컹거린다 하더라도 누름 암(55), 탄성 변형편(56) 및 도통 암(73)이 FPC(95)의 움직임을 따라 FPC(95)의 두께 방향(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므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접촉부(57)와 접촉부(75)는 FPC(95)와의 도통 상태는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누름 암(55)의 선단부(상단부)에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의 압압용 돌출부(84)가 접촉되는 피압압부(59)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압압부(59)를 누름 암(55)의 하단측에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서 압압용 돌출부(84)를 짧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 변형편(56) 및 도통 암(73)이 모두 전후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므로, 도통 암(73)과 누름 암(55)을 크게 형성시키지 않아도 FPC(95)와 도통 암(73)의 접촉부(75)를 확실하게 접촉시키기 위해 필요한 탄성력을 얻을 수 있고, 적정한 탄성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FPC(95)의 두께의 폭(범위)을 크게 형성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을 통한 실시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80) 를 대신하는 회전식 액츄에이터(100)를 인슐레이터(20)에 장착하여 실시해도 무방하다.
상기 회전식 액츄에이터(100)는 좌우 1쌍의 측판부(101)(도면에서는 한쪽의 측판부(101)만 도시)와 좌우의 측판부(101)에 접속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조작부(102)와, 좌우의 측판부(101)에 접속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캠부(103)를 구비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좌우 측판부(101)의 외측면에는 각각 회전축이 되는 결합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이 좌우의 결합 돌기는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측부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도시생략)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회전식 액츄에이터(100)는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도 20에 나타내는 언록킹위치와 도 21에 나타내는 록킹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 변형예에서의 회전식 액츄에이터(100)는 언록킹위치에 위치될 때에는 제 1 컨택트(50)의 누름 암(55)과는 간섭되지 않지만 록킹위치까지 회전되면 캠 부(103)가 누름 암(55)의 피압압부(59)를 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FPC(95)의 일측면(전면)에만 도통부(제 1 도통부, 제 2 도통부)가 형성되고 타측면(후면)에는 도통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FPC(95)의 전후 양면에 도통부를 형성시키고 제 1 컨택트(50)의 누름 암(55)(압압부(60))을 FPC(95)의 후면의 도통부에 접촉(도통)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압압 단부(58, 77)를 제 1 컨택트(50)(고정 암(54))와 제 2 컨택트(70)(돌출부(76))가 아니라 인슐레이터(20)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접속 대상물은 FPC 이외의 것,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이어도 된다.
또한, 접속 대상물이 기판에 대하여 대략 병행으로 되도록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시켜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FPC가 인슐레이터의 외부에 위치되고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가 언록킹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FPC가 인슐레이터 내에 삽입되고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가 언록킹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가 록킹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전방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후방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우측면도로서,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가 언록킹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배면도로서,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가 언록킹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우측면도서,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가 록킹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배면도로서,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가 록킹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인슐레이터의 전방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인슐레이터의 후방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인슐레이터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 전방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의 후방 사시도.
도 16은 도 7의 ⅩⅥ-Ⅹ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17은 도 7의 ⅩⅦ-ⅩⅦ선에 따른 단면도,
도 18은 도 9의 ⅩⅧ-ⅩⅧ선에 따른 단면도,
도 19는 도 9의 ⅩⅨ-ⅩⅨ선에 따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회전식 액츄에이터가 언록킹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도 17에 대응되는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회전식 액츄에이터가 록킹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도 19에 대응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넥터 20 : 인슐레이터
21 : 전벽부 22 : 후벽부
23 : 좌측벽부 24 : 우측벽부
25 : 저벽부 26, 27 : 오목홈
28, 29 : 노치 31 : 좌측내벽
32 : 우측내벽 33 : 수용 오목부
34, 35 : 액츄에이터 안내홈 36, 37 : 언록킹위치 유지용 홈
40 : 제 1 컨택트용 부착홈 41 : 제 2 컨택트용 부착홈
42 : 제 1 컨택트용 전부 홈 43 : 제 2 컨택트용 전부 홈
44 : 제 1 컨택트용 후부 홈 45 : 제 2 컨택트용 후부 홈
50 : 제 1 컨택트 51 : 테일부
52 : 기부 53 : 도통 암
54 : 고정 암 55 : 누름 암
56 : 탄성 변형편 57 : 접촉부
58 : 압압 단부 59 : 피압압부
60 : 압압부 70 : 제 2 컨택트
71 : 테일부 72 : 기부
73 : 도통 암 74 : 고정 암
75 : 접촉부 76 : 돌출부
77 : 압압 단부 80 :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
81 : 조작부 82 : 전부
83 : 측완부 84 : 압압용 돌출부
85 : 끼워맞춤 돌출부 86 : 끼워맞춤 다리부
87 : 빠짐방지용 클로 88 : 유지용 돌출부
89 : 경사 압압면 90 : 압압용 오목부
91, 92 : 도피 홈
95 : FPC(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접속 대상물)
100 : 회전식 액츄에이터 101 : 측판부
102 : 조작부 103 : 캠부

Claims (7)

  1. 평판형상을 이루는 접속 대상물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일단이 개구된 수용 오목부를 갖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접속 대상물의 일측면과 통전되는 접촉부를 갖는 도통 암을 구비한 상기 수용 오목부에 설치된 컨택트와, 상기 접속 대상물의 타측면에 접촉되는 압압부를 구비한 상기 수용 오목부에 설치된 누름 암과,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록킹위치로 이동되었을 경우 상기 누름 암에 상기 압압부와는 다른 위치에 형성된 피압압부를 상기 접속 대상물측으로 밀어서 상기 압압부와 상기 타측면의 접촉압을 높이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도통 암 및 누름 암이 모두 상기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컨택트의 접촉부와 상기 누름 암의 압압부로 상기 접속 대상물이 파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통 암 및 누름 암이 자유 상태에 있을 경우의 상기 접촉부와 압압부의 간격이 상기 접속 대상물의 두께보다 작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는 상기 누름 암을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수용 오목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용 오목부에 소정 깊이까지 끼워져 결합되는 상기 록킹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상기 누름 암의 상기 피압압부를 미는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누름 암을 사이에 두고 상기 도통 암과 반대측에 위치되는 고정 암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암 및 누름 암은 상기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가 상기 록킹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를 파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암 또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상기 개구측의 단부에는 상기 개구의 외측으로부터 수용 오목부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된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를 상기 누름 암측으로 미는 압압 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록킹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에는 상기 누름 암의 상기 피압압부를 미는 회전식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70092317A 2007-07-13 2007-09-11 커넥터 KR200900071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84404 2007-07-13
JP2007184404A JP4644228B2 (ja) 2007-07-13 2007-07-13 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192A true KR20090007192A (ko) 2009-01-16

Family

ID=4036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317A KR20090007192A (ko) 2007-07-13 2007-09-11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644228B2 (ko)
KR (1) KR20090007192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3336Y2 (ko) * 1980-06-13 1988-09-06
JPH0422550Y2 (ko) * 1987-02-09 1992-05-22
JPH0451431Y2 (ko) * 1988-11-10 1992-12-03
JP2005183010A (ja) * 2003-12-16 2005-07-07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コネクター装置
JP2006269240A (ja) * 2005-03-24 2006-10-0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21173A (ja) 2009-01-29
JP4644228B2 (ja)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816B1 (ko) 커넥터
KR100783419B1 (ko) 커넥터
US7097496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CA2684108C (en) Connector of a simple structure having a locking mechanism
KR101305018B1 (ko) 케이블용 커넥터
JP5298227B1 (ja) コネクタ
KR20130117330A (ko) 전기 커넥터
KR101141107B1 (ko) 커넥터
US9112306B2 (en) Connector
KR101159462B1 (ko) 커넥터
CN110086027A (zh) 一种电连接器
KR20080082882A (ko) 커넥터
US7448893B2 (en) Connector
US20060052000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60083219A (ko) 평면 회로 커넥터
JP4795461B2 (ja) コネクタ
JP2018139175A (ja)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JP4397736B2 (ja) コネクタ
KR20090007192A (ko) 커넥터
JP2010257917A (ja) ショート端子
JP2021101410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JP2014011099A (ja) コネクタ装置
JP2018129165A (ja) コネクタ
JP2016046003A (ja) コネクタ接続構造
JP4336708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