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183U - 유리관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유리관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183U
KR20090007183U KR2020080000480U KR20080000480U KR20090007183U KR 20090007183 U KR20090007183 U KR 20090007183U KR 2020080000480 U KR2020080000480 U KR 2020080000480U KR 20080000480 U KR20080000480 U KR 20080000480U KR 20090007183 U KR20090007183 U KR 200900071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glass tube
manufacturing
transfer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9348Y1 (ko
Inventor
박호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에스
Priority to KR2020080000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34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1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1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3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38Exhausting, degassing, filling, or cleaning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672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5Vessels; Container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6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using capacitive means around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5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7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01J9/265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6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tubes or lamp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38Exhausting, degassing, filling, or cleaning vessels
    • H01J9/395Filling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6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Abstract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과 같은 각종 형광램프의 제조 공정에 사용되며, 특히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의 사행(斜行)을 방지할 수 있는 상태로 관체를 이송시키면서 로딩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유리관 로딩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유리관 로딩장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 일측에서 타측으로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이 배출 가능하게 담겨지는 적재 공간을 가지며 상기 이송부 일측과 떨어져서 상기 작업대 상에 위치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에서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을 공급받아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작 중에 상기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의 관체가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하면서 위치를 정렬하는 제1 공급부 그리고, 상기 제1 공급부와 떨어져서 위치되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 공급부의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을 상기 이송부 측에 한 개씩 공급하는 제2 공급부를 포함한다.
Figure P2020080000480
외부전극 형광램프, 램프 제조용 유리관 로딩 작업, 관체 이송시 사행(斜行) 현상 방지, 수율 향상 및 이송 안정성 확보

Description

유리관 로딩장치{apparatus for load a cassette with glass tubes}
본 고안은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과 같은 각종 형광램프의 제조 공정에 사용되며, 특히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의 사행(斜行)을 방지할 수 있는 상태로 관체를 이송시키면서 로딩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유리관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부전극 형광램프(EEFL)는 액정표시장치의 주요 구성부 중에 하나인 백라이트 유닛의 발광수단으로 널리 사용된다.
상기 외부전극 형광램프는, 램프 제조용 유리관 내부면에 형광체를 코팅하는 공정과, 램프 제조용 유리관 내부에 불활성 기체나 수은을 주입하고 양측 단부를 밀봉/배기하는 공정 그리고, 램프 제조용 유리관의 양끝 단부에 외부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거치면서 제조된다.
이처럼,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제조하는 작업 공정에는 여러 개의 램프 제조용 유리관을 일괄 적재한 상태로 핸들링하기 위한 수단으로 카세트가 사용되며, 이 카세트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고정된 두 개 이상의 트레이들로 구성되는 통상의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 측에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을 적재하는 작업에는 유리관 로딩장치가 사용되며, 이 유리관 로딩장치는 체인컨베이어 타입의 이송부와, 이 이송부 측에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을 이송 가능한 상태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공급부는, 호퍼를 통해 램프 제조용 유리관을 이송 구간 일측으로 낙하시키는 자연 낙하 공급 방식의 구조이거나, 호퍼에 담겨진 램프 제조용 유리관을 인출구(attach블록)를 이용하여 호퍼로부터 강제로 빼내는 강제 공급 방식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한 공급부의 두 가지 공급 방식은, 램프 제조용 유리관을 상기 호퍼 측에서 상기 이송부 측으로 공급할 때 여러 가지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낙하 방식의 공급부는, 호퍼 측에서 램프 제조용 유리관을 낙하시킬 때 낙하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여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더욱이,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을 호퍼 측에서 낙하시키면, 상기 이송부 측에 비정상적인 상태로 얹혀져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하 방식의 공급부는, 상기 호퍼 측에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이 과다하게 담겨지면 각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이 서로 접촉되면서 호퍼의 배출구가 쉽게 막히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강제 공급 방식의 공급부는, 인출구로 상기 호퍼에 담겨진 램프 제조용 유리관을 강제 빼낼 때 접촉력에 의해 램프 제조용 유리관이 쉽게 파손 될 수 있으며,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이 상기 이송부 측에 비정상적인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의 관체가 이송부 측에 비정상적인 상태로 놓여지거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들은 호퍼 측에서 이송부 측으로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을 옮길 때 관체들의 사행(斜行) 현상에 의해 대부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들어,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의 관체 일단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호퍼 측에 담겨지면, 상기 이송부 측에 비정상적인 상태로 낙하될 수 있으며, 강제로 빼낼 때 관체와 불안정한 상태로 접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램프 제조용 유리관을 이송할 때 관체들의 사행(斜行) 현상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한층 향상된 수율과 이송 안정성 및 구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리관 로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작업대;
상기 작업대 일측에서 타측으로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이 배출 가능하게 담겨지는 적재 공간을 가지며 상기 이송부 일측과 떨어져서 상기 작업대 상에 위치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에서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을 공급받아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작 중에 상기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의 관체가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하면서 위치를 정렬하는 제1 공급부;
상기 제1 공급부와 떨어져서 위치되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 공급부의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을 상기 이송부 측에 한 개씩 공급하는 제2 공급부;
를 포함하는 유리관 로딩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호퍼부 측에 담겨진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을 상기 제1 공급부 및 제2 공급부에 의해 관체의 사행(斜行)을 방지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이송부 측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램프 제조용 유리관을 공급 및 이송할 때 관체들의 사행 현상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을 카세트 측에 로딩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램프 제조용 유리관의 수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층 향상된 이송 안정성 및 구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관 로딩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작업대를 지칭한다.
상기 작업대(2)는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의 이송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면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의 프레임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관 로딩장치는, 램프 제조용 유리관(L) 들을 이송하는 이송부(4)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4)는 도 1에서와 같이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의 관체가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얹혀진 상태로 상기 작업대(2)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이송부(4)는, 복수 개의 이송블록(4-1)들과, 이 이송블록(4-1)들을 상기 작업대(2)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M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부(M1)는, 모터(M1-1)에 의해 회전되는 두 개의 구동축(M1-2) 양단부를 체인(M1-3a)과 스프라켓(M1-3b)으로 연결한 통상의 체인컨베이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송블록(4-1)은 "V"자 또는 "U"자 형태로 파여진 홈부(4-2)를 일면(윗면)에 구비하고, 상기 체인(M1-3a)들의 연결 구간을 따라 도 2에서와 같이 복수 개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 구동부(M1)의 구동시 상기 체인(M1-3a)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블록(4-1)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이송부(4)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블록(4-1) 측에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의 양단부가 각각 얹혀져서 평행한 상태로 상기 작업대(2)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M1)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두 개의 구동축(M1-2) 양단부를 벨트와 풀리로 연결한 통상의 벨트컨베이어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작업대(2) 일측에는 상기 이송부(4) 측에 공급되기 위한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이 담겨지는 호퍼부(6)가 위치된다.
상기 호퍼부(6)는 도 2에서와 같이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이 담겨지는 적재 공간(6-1)을 구비하고, 이 적재 공간(6-1)의 양쪽이 개방된 통상의 호퍼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퍼부(6)는 상기 적재 공간(6-1)의 바닥면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부(4) 일단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고정된 상태로 상기 작업대(2) 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호퍼부(6) 구조는 상기 적재 공간(6-1) 측에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을 투입하면 상기 적재 공간(6-1)의 경사진 바닥면을 따라 상기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이 이동되면서 경사진 아래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관 로딩장치는, 제1 공급부(8)와 제2 공급부(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공급부(8)는, 상기 호퍼부(6)로부터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을 공급받아서 위치를 정렬한 상태로 상기 제2 공급부(10) 측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공급부(8)는, 제1 회전축(8-1)에 의해 회전되는 제1 이송디스크(8-2)와 가이드디스크(8-3)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부(4)의 일측 단부와 대응하도록 상기 작업대(2) 상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이송디스크(8-1)는 외부면에 제1 이송홈(H1)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축(8-1_ 상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이송홈(H1)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이송디스크(8-2)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을 걸림 접촉에 의해 일측으로 밀 수 있는 모양(예: 레치휠 기어부)의 홈부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디스크(8-3)는 외부면에 가이드홈(H1-1)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이송디스트(8-2)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회전축(8-1)의 양쪽 단부 지점에 도 3에서와 같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홈(H1-1)은 상기 가이드디스크(8-3) 외부면에서 중심부를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모양(예:역삼각형 모양)의 홈부를 가지도록 형성된다.(도 4참조)
상기한 제1 공급부(8)는, 상기 호퍼부(6)에서 배출되는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을 공급받아서 상기 제1 이송디스크(8-2) 및 상기 가이드디스크(8-3)의 회전 동작에 의해 다음과 같이 위치를 정렬한 상태로 상기 제2 공급부(10)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이송디스크(8-2)와 가이드디스크(8-3)는 상기 제1 회전축(8-1)에 의해 도 4에서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로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호퍼부(6)에서 배출되는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은 상기 제1 이송디스크(8-2)와 상기 가이드디스크(8-3) 측에서 일렬 상으로 위치된 상기 제1 이송홈(H1) 및 가이드홈(H1-1) 측에 관체의 한 군데 이상의 지점이 걸려진 상태로 이동된다.
상기 제1 이송홈(H1)은 상기 제1 이송디스크(8-2)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의 관체를 일측으로 밀면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가이드홈(H1-1)은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의 관체 양쪽 단부 위치를 가이드하면서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 홈(H1-1)들은 상기 가이드디스크(8-3)의 중심부를 향하여 홈부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므로, 램프 제조용 유리관(L) 양쪽 단부가 결려지 때 관체 외부면이 도 4에서와 같이 홈부 중심 지점에 항상 위치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한 제1 공급부(8)는 상기 호퍼부(6)에서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을 공급받아서 상기 제2 공급부(10)로 옮기는 도중에 상기와 같이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의 양쪽 단부 위치를 정렬시킨 상태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예를들어, 상기 호퍼부(6) 측에서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의 관체 일측 단부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서 비정상적인 상태로 공급되더라도 상기 제1 공급부(8) 측에서 상기와 같이 관체의 단부 위치를 간편하게 정렬(보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 공급부(8)는,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이 비정상적인 상태로 상기 제2 공급부(10) 측에 공급되거나, 이 제2 공급부(10)에 의해 상기 이송부(4) 측에 비정상적인 상태로 공급되는 이른바 사행(斜行)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공급부(8)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들어, 상기 제1 이송홈(H1) 측에 두 개의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이 걸려지더라도 상기와 같은 가 이드홈(H1-1)의 가이드 작용에 의해 위치를 정렬하면서 옮길 수 있다.
상기 제2 공급부(10)는, 제2 회전축(10-1)에 의해 회전되는 제2 이송디스크(10-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공급부(8)와 떨어져서 평행한 상태로 상기 작업대(2) 상에 설치된다.(도 1참조)
상기 제2 이송디스크(10-2)는 외부면에 제2 이송홈(H2)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회전축(10-1) 상에 도 3에서와 같이 복수개가 이격 설치된다.
상기 제2 이송홈(H2)은 상기 제1 이송홈(H1)과 동일하게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을 걸림 접촉에 의해 일측으로 밀 수 있는 모양(예:레치휠 기어부)을 홈부를 가지도록 형성된다.(도 4참조)
상기한 제2 공급부(10)는 상기 제1 공급부(8)에서 위치가 정렬된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을 공급받아서 상기 제2 이송디스크(10-2)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이송부(4) 측으로 옮길 수 있다.(도 4참조)
즉, 상기 제2 회전축(10-1) 상에 설치된 상기 제2 이송디스크(10-2) 측에서 일렬 상으로 위치된 제2 이송홈(H2) 측에 상기 램프 제조용 유리관(L) 관체의 한 군데 이상의 지점이 걸려져서 상기 제2 이송디스크(10-2)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부(4)의 일단에 도 4에서와 같이 한 개씩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축(8-1) 및 제2 회전축(10-1)은 도 3에서와 같이 통상의 체인/스프라켓(또는 벨트/풀리)으로 연결된 모터(Q1, Q2)들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되도록 셋팅된다.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관 로딩장치는, 제1 가이드구(12)와 제 2 가이드구(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구(12)는 도 4에서와 같이 가이드 통로(12-1)를 구비하고, 이 가이드 통로(12-1)로 상기 제1 공급부(8)와 상기 제2 공급부(10)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가이드구(12)는, 상기 제1 공급부(8) 일측에서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이 자연 낙하되면서 상기 제2 공급부(14) 일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도 4에서와 같이 경사진 상태의 가이드 통로(12-1)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 공급부(8)의 구동시 상기 제1 이송디스크(8-2)를 따라 이동되는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이 상기 가이드 통로(12-1) 일측에서 타측으로 자연 낙하되면서 상기 제2 공급부(10)의 제2 이송디스크(10-2) 측에 한 개씩 걸려질 수 있도록 평행한 상태로 공급할 수있다.
상기 제2 가이드구(14)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2 이송디스크(10-2) 외부 둘레와 대응하는 가이드면(14-1)을 가지며, 이 가이드면(14-1)으로 상기 제2 이송디스크(10-2)의 외부 둘레 일부를 가로막아서 상기 제2 이송홈(H2)들의 개구부를 차단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제2 가이드구(14)는, 상기 제2 이송디스크(10-2)로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을 평행한 상태로 옮길 때 상기 제2 이송홈(H2) 측에서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구(14)는, 상기 제2 공급부(10)의 제2 이송디스크(10-2)를 따라 이송되는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부(4)의 이송블럭(4-1) 측에 한 개씩 로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관 로딩장치는, 제어부(1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제1 공급부(8)와 상기 제2 공급부(10) 사이에서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의 위치를 감지하면서 상기 제1 공급부(8) 및 제2 공급부(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 가이드구(12)의 가이드통로(12-1) 구간 내에 제1 센서(S1)와 제2 센서(S1)를 설치하여 이 센서(S1, S2)들로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의 위치를 감지하면서 상기 제1 공급부(8) 및 상기 제2 공급부(10)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센서(S1, S2)는 통상의 광센서나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가이드 통로(12-1)를 따라 이동되는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S1)는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가이드 통로(12-1)의 입구 지점(좌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센서(S2)는 상기 가이드 통로(12-1)의 배출 지점(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센서(S1)는 상기 가이드 통로(12-1)의 입구 지점에서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이 감지되면 온(ON) 상태가 되고, 상기 제2 센서(S2)는 상기 가이드 통로(12-1)의 배출 지점에서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이 감지되지 않으면 온(ON) 상태가 되도록 셋팅된다.
상기 제1 센서(S1) 및 제2 센서(S2)는 온/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공급부(8) 및 제2 공급부(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S3)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S3)는 통상의 콘트롤 판넬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센서(S1, S2)들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8-1, 10-1)과 연결된 모터(Q1, Q2)들의 구동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즉, 상기한 제1 센서(S1)는 예를들어,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이 상기 가이드 통로(12-1)의 입구 지점까지 쌓여 있는 상태가 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S3)에 의해 상기 제1 공급부(8)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통로(12-1) 측에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이 과공급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제2 센서(S2)는 상기 가이드 통로(12-1) 내부의 배출 지점이 비어 있는 상태가 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S3)에 의해 상기 제2 공급부(1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통로(12-1) 측에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공급부(10)가 공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2) 상에는 상기 이송부(4)와 대응하도록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회전부(Y1)와 거치부(Y2), 틸팅부(Y3), 푸시부(Y4)가 각각 설치된다. 이 장치들은 상기 이송부(4)의 이송 구간 내에서 카세트(D) 측에 램프 제조용 유리 관(L)들을 푸싱 방식으로 적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회전부(Y1)는 상기 이송부(4)에 의해 이동되는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턴플레이트(Y1-1)와, 제2 구동부(M2)로 구성된다.
상기 턴플레이트(Y1-1)는 상기 이송부(4)의 이송 구간 내에 도 1에서와 같이 위치되며,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이 얹혀지는 복수 개의 지지홈(Y1-2)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구동부(M2)는 피스톤 로드로 상기 턴플레이트(Y1-1)를 업/다운 및 회전시킬 수 있는 통상의 실린더 타입의 구동원을 사용한다. 이러한 구동원은 각종 공작 기계나 반도체/엘씨디 설비(예: 로봇 아암이나 가변형 스테이지)에 널리 사용하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회전부(Y1)는 상기 제2 구동부(M2)로 상기 턴플레이트(Y1-1)를 업/다운 및 회전시키면서 상기 이송부(4)의 이송 구간 내에서 복수 개의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을 일정 높이로 들어올린 다음, 소정의 각도(90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작동된다.(도 5참조)
이처럼,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을 회전시키면, 상기 이송부(4)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의 관체 일단을 밀어서 상기 작업대(2) 일측에 배치되는 카세트(D) 측에 푸싱 방식으로 적재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Y2)는 상기 턴플레이트(Y1-1) 측에 놓여진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을 회전된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치플레이 트(Y2-1)와, 이 거치플레이트(Y2-1)를 업/다운시키는 제3 구동부(M3)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플레이트(Y2-1)는 도 1에서와 같이 위쪽에 복수 개의 거치홈(Y2-2)을 구비하고, 상기 턴플레이트(Y1-1)를 사이에 두고 복수 개의 지점에서 상기 제3 구동부(M3)와 연결된다.
상기 거치홈(Y2-2)들은 상기 턴플레이트(Y1-1) 측에 형성된 지지홈(Y1-2)들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거치플레이트(Y2-1) 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 구동부(M3)는 통상의 실린더(또는 모터)를 구동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실린더 본체를 상기 작업대(2) 일측에 고정하고, 상기 거치플레이트(10-1) 일측과 피스톤 로드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3 구동부(M3)는 상기 거치플레이트(Y2-1)를 업/다운시키면서 상기 턴플레이트(Y1-1)에 놓여진 복수 개의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을 회전된 상태로 거치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도 6참조)
즉, 상기한 거치부(Y2)는 상기 거치플레이트(Y2-1)들로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의 한 군데 이상의 지점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므로 예를들어, 카세트(D) 측에 푸싱 방식으로 램프 제조용 유리관(L) 일단을 밀면서 적재할 때 상기 거치플레이트(Y2-1)들을 순차적으로 다운시켜서 푸싱 동작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을 거치할 수 있다.(도 6참조)
그리고, 상기 틸팅부(Y3)는 카세트(D)가 장착되는 팅틸프레임(Y3-1)과, 이 틸팅프레임(Y3-1)을 상기 작업대(2) 상에서 틸팅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동하는 제4 구동부(M4)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4)의 일단과 떨어져서 상기 작업 대(2) 일측에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위치된다.
상기 카세트(D)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두 개 이상의 트레이(D1)들로 구성되며, 이 트레이(D1) 측에는 복수 개의 홀부(D2, 홈부)들이 1열(列) 이상의 배열로 형성된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틸팅프레임(Y3-1)은 수평부(Y3-1a)와 수직부(Y3-1b)가 대략 "L"자 모양으로 연결된 프레임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부(Y3-1a) 측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이송로울러(Y3-2)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카세트(D)를 상기 이송로울러(Y3-2) 측에 얹은 상태로 밀거나 당기면서 상기 수평부(Y3-1a) 측에 간편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부(Y3-1b)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카세트(D)를 고정 상태로 잡아주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구(Y3-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Y3-3)는 로터리 실린더와 같은 구동원(Y3-3a)에 의해 일정 각도로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카세트(D) 일측(예: 연결바)을 걸림 접촉력으로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카세트(D)를 상기 틸팅프레임(Y3-1) 측에 장착한 상태에서 틸팅 및 높낮이를 조절할 때 상기 카세트(D)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4 구동부(M4)는, 상기 틸팅프레임(Y3-1)을 틸팅시키기 위한 틸팅용 구동부(M4-1)와, 높낮이 조절을 위한 높낮이용 구동부(M4-2)로 구성된다.
상기 틸팅용 구동부(M4-1)는, 힌지부재(M4-1a)와, 틸팅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틸팅용 구동원(M4-1b)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재(M4-1a)는 상기 틸팅프레임(Y3-1) 일측(수직부)을 상기 작업대(2) 상에서 힌지 결합으로 연결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힌지 결합구(힌지축)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틸팅용 구동원(M4-1b)은 통상의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부재(M4-1a)의 힌지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틸팅프레임(Y3-1)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셋팅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로 상기 틸팅프레임(Y3-1)을 밀거나 당기면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틸팅프레임(Y3-1)을 일정 각도 내에서 틸팅할 수 있다.
상기 높낮이용 구동부(M4-2)는, 레일부재(M4-2a)와, 이 레일부재(M4-2a)를 따라 상기 틸팅프레임(Y3-1)을 이동시키기 위한 높낮이용 구동원(M4-2b)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부재(M4-2a)는 통상의 LM가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작업대(2)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틸팅프레임(Y3-1)이 상기 작업대(2) 일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셋팅된다.
그리고, 상기 높낮이용 구동원(M4-2b)은 모터 축과 연결된 스크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모터 본체는 상기 작업대(2) 일측과 고정하고, 스크류는 상기 틸팅프레임(Y3-1) 일측(수직부)과 나사 결합으로 관통되도록 셋팅할 수 있 다.
즉, 상기 높낮이용 구동원(M4-2b)의 구동에 의해 상기 레일부재(M4-2a)의 이송 구간 내에서 상기 틸팅프레임(Y3-1)을 이동시키면서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거치부(Y2) 측에 놓여진 램프 제조용 유리관(L) 높이와 대응하도록 상기 카세트(D)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상기 카세트(D)의 트레이(D1) 측에 1열(列) 이상 형성된 홀부(D2, 홈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열이 서로 일치하도록 높이를 맞출 수 있다.
상기 푸시부(Y4)는 상기 거치부(Y2) 측에 놓여진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을 상기 카세트(D) 측으로 밀어 넣으면서 푸싱 방식으로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서, 푸시플레이트(Y4-1)와, 이 푸시플레이트(Y4-1)를 푸싱 동작시키는 제5 구동부(M5)를 포함한다.
상기 푸시플레이트(Y4-1)는 도 1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고정팁(Y4-2)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부(4) 위쪽에 위치된다.
상기 각 고정팁(Y4-2)들에는 램프 제조용 유리관(L) 일단이 끼워지는 고정홈(Y4-2a)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5 구동부(M5)는, 통상의 공압 이송레일(M5-1)을 사용하고,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작업대(2)에서 상기 이송부(4)의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두 개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압 이송레일(M5-1)의 이동체 측에는 상기 푸시플레이트(Y4- 1)의 단부가 각각 고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5 구동부(M5)는 상기 작업대(2) 상에서 상기 이송부(4)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푸시플레이트(Y4-1)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거치부(Y2) 측에 얹혀진 램프 제조용 유리관(L) 일단을 밀어서 상기 카세트(D) 측에 푸싱 방식으로 간편하게 적재할 수 있다.(도 6참조)
다음으로 상기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관 로딩장치를 이용하여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을 카세트(D) 측에 자동으로 적재하는 작업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작업대(2) 일측에 마련된 상기 호퍼부(6) 내부에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을 투입한다.
그러면, 상기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은 상기 호퍼부(6)의 배출 측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제1 공급부(8)와 상기 제2 공급부(10)에 의해 위치가 정렬된 상태로 상기 이송부(4) 측에 한 개씩 평행한 상태로 공급된다.
상기 제1 공급부(8)는 상기 호퍼부(6)로부터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을 공급받아서 상기 제1 이송디스크(8-2)와 상기 가이드디스크(8-3)에 의해 도 4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관체를 옮긴다.
상기 제1 이송디스크(8-2)는 상기 제1 이송홈(H1)에 의해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을 밀면서 옮기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디스크(8-3)는 상기 가이드홈(H1-1)에 의해 상기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의 관체 양단부 위치를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홈(H1-1)은 상기 가이드디스크(8-3)의 중심부를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상태의 홈부로 이루어지므로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의 양단부 외부면을 가이드 하여 관체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홈(H1-1)의 홈부 중심부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도 4참조)
그러므로, 상기 제1 공급부(8)는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의 양쪽 단부 위치를 보정하여 정렬한 상태로 상기 제2 공급부(10) 측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호퍼부(6) 측에서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을 공급받아서 상기 제2 공급부(10) 측으로 공급할 때 예를들어,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의 관체 일단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져서 비정상적인 상태로 공급되는 이른바 사행(斜行)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사행 방지 구조는 종래의 유리관 로딩장치들과 같이 유리관을 이송할 때 관체의 일단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서 비정상적인 상태로 이송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공급부(10)는 상기 제1 공급부(8)에서 위치가 정렬된 램프 제조용 유리관(L)을 공급받아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부(4)의 일단에 위치된 이송블록(4-1) 측에 한 개씩 로딩될 수 있도록 작동된다.
즉, 상기 제2 공급부(10)는, 상기 제1 공급부(8) 측에서 관체가 평행하게 정렬된 상태로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을 공급받아서 상기 제2 이송디스크(10-2)에 형성된 제2 이송홈(H2)들로 도 4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옮기면서 상기 이송부(4) 측에 평행한 상태로 한 개씩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4)는 상기 제2 공급부(10)로부터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을 공급받아서 도 5에서와 같이 각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의 관체들이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로딩된 상태로 상기 작업대(2)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이송부(4)의 이송 구간을 따라 이동되는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은 상기 회전부(Y1)와 거치부(Y2) 및 틸팅부(Y3), 푸시부(Y4)의 구동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된 다음, 상기 카세트(D) 측에 푸싱 방식으로 적재된다.
즉, 상기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이 이송 구간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부(Y1)의 턴플레이트(Y1-1)와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되면, 상기 턴플레이트(Y1-1)에 의해 위쪽으로 들어 올려진 후 일정 각도(90도)로 회전된다.(도 5참조)
그리고, 상기 턴플레이트(Y1-1) 측에 위치된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거치부(Y2)의 구동에 의해 상기 거치플레이트(Y2-1) 측에 회전된 상태로 거치된다.
그런 다음, 상기 푸시부(Y4)는 상기 거치부(Y2) 측에 거치된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의 일단을 도 6에서와 같이 푸싱 방식으로 밀어서 상기 카세트(D) 측에 적재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푸싱 동작에 의해 상기 램프 제조용 유리관(L)들을 상기 카세트(D)측에 간편하게 적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관 로딩장치의 전체 구조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관 로딩장치의 구조를 정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관 로딩장치의 호퍼부 및 제1 공급부, 제2 공급부의 세부 구조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관 로딩장치의 구조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관 로딩장치의 램프 제조용 유리관 적재를 위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작업대 4: 이송부 6: 호퍼부
8: 제1 공급부 10: 제2 공급부 12: 제1 가이드구
14: 제2 가이드구 L: 램프 제조용 유리관

Claims (10)

  1. 작업대;
    상기 작업대 일측에서 타측으로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이 배출 가능하게 담겨지는 적재 공간을 가지며 상기 이송부 일측과 떨어져서 상기 작업대 상에 위치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에서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을 공급받아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작 중에 상기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의 관체가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하면서 위치를 정렬하는 제1 공급부;
    상기 제1 공급부와 떨어져서 위치되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 공급부의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을 상기 이송부 측에 한 개씩 공급하는 제2 공급부;
    를 포함하는 유리관 로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부는,
    제1 회전축;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을 이송하기 위한 제1 이송홈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축 상에서 설치되는 제1 이송디스크들;
    상기 제1 이송디스크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회전축 상에 설치되며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의 단부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구비한 가이드디스크들;
    을 포함하는 유리관 로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급부는,
    제2 회전축;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을 이송하기 위한 제2 이송홈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제2 이송디스크들;
    을 포함하는 유리관 로딩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홈 또는 상기 제2 이송홈은,
    상기 제1 이송디스크 또는 상기 제2 이송디스크의 일방향 회전시 램프 제조용 유리관의 관체 외부면을 걸림 접촉에 의해 일측으로 밀면서 옮길 수 있도록 개구된 홈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이송디스크 또는 상기 제2 이송디스크의 외부면을 따라 복수 개의 지점에 형성되는 유리관 로딩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램프 제조용 유리관이 얹혀진 상태에서 관체의 단부가 홈의 중앙 지점 에 위치될 수 있도록 개구된 홈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디스크의 외부면을 따라 복수 개의 지점에 형성되는 유리관 로딩장치.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홈 또는 상기 제2 이송홈은,
    상기 제1 이송디스크 또는 상기 제2 이송디스크의 외부면에서 래치휠의 기어 홈부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관 로딩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디스크의 외부면에서 중심부를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역삼각형의 홈부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관 로딩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 로딩장치는,
    상기 제1 공급부와 상기 제2 공급부 사이로 옮겨지는 램프 제조용 유리관의 위치를 감지하면서 상기 제1 공급부 또는 상기 제2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리관 로딩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공급부 측에서 상기 제2 공급부 측을 향하여 램프 제조용 유리관들이 낙하되도록 경사진 가이드 통로를 제공하는 제1 가이드구;
    상기 경사진 가이드 통로의 위쪽 단부와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제1 센서;
    상기 경사진 가이드 통로의 아래쪽 단부와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제2 센서;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2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공급부 또는 상기 제2 공급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유리관 로딩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 로딩장치는,
    제2 가이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구는,
    상기 제2 공급부의 제2 이송디스크 외부면과 대응하는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면으로 상기 제2 이송디스크 외부면 일부 둘레를 가릴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관 로딩장치.
KR2020080000480U 2008-01-11 2008-01-11 유리관 로딩장치 KR200459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480U KR200459348Y1 (ko) 2008-01-11 2008-01-11 유리관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480U KR200459348Y1 (ko) 2008-01-11 2008-01-11 유리관 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183U true KR20090007183U (ko) 2009-07-15
KR200459348Y1 KR200459348Y1 (ko) 2012-03-27

Family

ID=4365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480U KR200459348Y1 (ko) 2008-01-11 2008-01-11 유리관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34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24646A (zh) * 2010-11-26 2011-04-20 扬州虹扬光电有限公司 一种氖灯自动验光机
CN103594303A (zh) * 2013-07-29 2014-02-19 海宁市万里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荧光灯管的烘干打磨一体机
CN104724475A (zh) * 2013-12-23 2015-06-24 芜湖万辰电光源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管输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184B1 (ko) * 2005-09-09 2007-05-18 주식회사 디엠에스 형광체 소성장치
KR100805245B1 (ko) * 2006-05-26 2008-02-21 이영민 형광램프 전극 결합장치
KR20090079781A (ko) * 2008-06-30 2009-07-22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형광램프 제조장치 및 형광램프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24646A (zh) * 2010-11-26 2011-04-20 扬州虹扬光电有限公司 一种氖灯自动验光机
CN103594303A (zh) * 2013-07-29 2014-02-19 海宁市万里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荧光灯管的烘干打磨一体机
CN103594303B (zh) * 2013-07-29 2016-01-20 海宁市万里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荧光灯管的烘干打磨一体机
CN104724475A (zh) * 2013-12-23 2015-06-24 芜湖万辰电光源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管输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348Y1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67518B (zh) 管装料供料器及相应的自动插件机
US8945411B2 (en)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plasma processing method
JP2007036227A (ja) 基板の保存用カセット、搬送コンベア及びそれらを用いた搬送システム
EP1612182B1 (en) Overhead travelling carriage
US7857571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59348Y1 (ko) 유리관 로딩장치
EP2734333B1 (en) Washer arranging apparatus, washer arranging system, and washer arranging method
JP2020155627A (ja) トレイ搬送装置およびパネル搬送システム
JP3587788B2 (ja) 昇降式基板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基板処理システム
JP4192568B2 (ja) 搬送システム
KR100872535B1 (ko) 유리관 로딩장치
KR20040016784A (ko) 승강식 기판 처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판 처리 시스템
KR101404552B1 (ko) 기판 적재장치
JP3578593B2 (ja) 基板整列装置
KR200438238Y1 (ko) 릴 로더
KR200385729Y1 (ko) 토너 충진장치
KR100699924B1 (ko) 웨이퍼의 정렬방법 및 전자동 웨이퍼 정렬기
JP2001320922A (ja) 苗移植機
CN111063644B (zh) 用于半导体加工设备的卸料装置及半导体加工设备
KR20070120763A (ko) 기판 처리 장치
KR20100132710A (ko)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KR20090056486A (ko) 기판 이송 장치
KR100502247B1 (ko) 기판반송장치
JP3391641B2 (ja) 苗箱回収機
JP2000296425A (ja) ゴムリング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