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781A -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의 아이콘들의 관리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의 아이콘들의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781A
KR20090006781A KR1020080067278A KR20080067278A KR20090006781A KR 20090006781 A KR20090006781 A KR 20090006781A KR 1020080067278 A KR1020080067278 A KR 1020080067278A KR 20080067278 A KR20080067278 A KR 20080067278A KR 20090006781 A KR20090006781 A KR 20090006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gadget
indication
icons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2852B1 (ko
Inventor
임티야즈 알타후사인 카티브
사안딥 가자난 파드테
암루타 사티쉬 론카르
아비나쉬 다타트라야 자그탑
사와티 나렌드라 사디네니
Original Assignee
엔비디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비디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엔비디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06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양태는 사용자가, 제1 아이콘이 제2 아이콘과 병합되어(merged) 제3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표시(indicate)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아이콘들의 관리를 단순화하는 것이고, 제3 아이콘은 제1 및 제2 아이콘들 각각과 상이하다.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아이콘들을 병합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구성요소 아이콘(constituent icon)들 각각은 가젯(gadget)의 프로그램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정된다.
Figure P1020080067278
아이콘 병합, 가젯, 아이콘 관리,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의 아이콘들의 관리{MANAGEMENT OF ICONS IN A DISPLAY INTERFACE}
본원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들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의 아이콘들의 관리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컴퓨팅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시각적으로 나타낸 출력 인터페이스를 지칭한다. 결과적인 디스플레이는, 관련 기술분야들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텍스트, 그래픽 등을 가질 수 있다.
아이콘들은 (마우스,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입력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클릭 온(click on)할 때 연관 동작(associated action)이 수행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일부분들이다. 수행된 특정 동작은 클릭 수/주파수, 사용자가 클릭 온하는 아이콘의 서브-부분 등과 같은 양태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동작은, 아이콘과 연관된 요구사항(requirment)들 및 설계들에 따라, 아이콘을 큰 창(large window)으로 "띄우는(opening)" 등, 아이콘이 선택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상이한 디스플레이로 아이콘을 보여줄 수 있다.
아이콘들의 관리에 있어서의 도전들 중 하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관계하는 다양한 아이콘들을 정렬하는 능력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제1 아이콘이 제2 아이콘과 병합되어(merged) 제3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표시(indicate)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아이콘들의 관리를 단순화한다.
본 발명은 아이콘들을 병합함으로써 아이콘들의 관리를 단순화할 수 있다.
< 개 관 >
본 발명의 양태는 사용자가, 제1 아이콘이 제2 아이콘과 병합되도록 표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아이콘들의 관리를 단순화한다. 제3 아이콘은 제1과 제2 아이콘들 대신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제3 아이콘은 제1과 제2 아이콘들 각각과 시각적으로 상이하다.
그러한 특징으로 인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요구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및/또는 주어진 시간의 예에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나타나는 아이콘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가젯(gadget)들의 일부인 아이콘들에 대한 그러한 병합(merge)이 용이해 진다. 각각의 가젯은 프로그램 및 적어도 하나의 대 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여 질 수 있다. 프로그램은 동적 컨텐트(dynamic content)를 생성하도록 실행되어, 이후 대응하는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된다. 가젯들은 시계, 뉴스 리더(reader), 날씨 리포터 등과 같은 유틸리티들을 구현하는데 종종 이용된다. 윈도우즈 비스타(TM) 환경의 경우, 가젯들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사이브바(sidebar) 또는 데스크탑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여러 양태들은 도시를 위한 예제들의 참조로서 하기 기술된다. 다수의 특정 상세들, 관계들 및 방법들이 본 발명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하나 이상의 특정 상세들 없이 또는 다른 방법들 등으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들 또는 동작들은, 본 발명의 특징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세히 나타내지 않는다.
< 예시적인 환경 >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이 적정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의 실행에 의해 동작하는 디지털 프로세싱 시스템(100)의 상세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예시적인 환경은 도시를 위한 대표적인 시스템들만을 포함하도록 나타나있다. 그러나, 실제 환경들은 관련 기술분야들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게 될 바와 같이, 더 많은/더 적은/상이한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환경들에서의 구현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는 것이 이해되기도 한다.
디지털 프로세싱 시스템(100)은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110)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RAM(random access memory)(120), 보조 메모리(130), 그래 픽 제어기(160), 디스플레이 유닛(1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80), 및 입력 인터페이스(19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70)을 제외한 모든 컴포넌트들은 본 기술분야들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여러 버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통신 경로(15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1의 컴포넌트들은 아래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CPU(110)는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을 제공하기 위해 RAM(12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CPU(110)는 다중 프로세싱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프로세싱 유닛은 특정 작업을 위해 잠재적으로 설계된다. 선택적으로, CPU(110)는 단일의 범용 프로세싱 유닛만을 포함할 수 있다. RAM(120)은 통신 경로(150)를 이용하여 보조 메모리(130)로부터 명령어들을 수신할 수 있다.
GPU(Graphics Processor Unit)(160)는 CPU(1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명령어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70)에 (예를 들어, RGB 포맷의)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생성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70)은 디스플레이 신호들에 의해 정의된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화상들은 아래 기술된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제공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특징들에 대한 기초를 형성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90)는 키보드 및 포인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터치-패드, 마우스)에 대응할 수 있고, 이는 아래 기술된 다양한 사용자 동작들(클릭 온, 이동(move) 등)을 구체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80)는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제공하고, (다른 디지털 프로세싱 시스템들, 이동 전화들/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다른 접속 시스템들과 통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보조 메모리(130)는 하드 드라이브(135), 플래시 메모리(136), 및 착탈식 저장 드라이브(137)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메모리(130)는, 디지털 프로세싱 시스템(100)이 본 발명에 따른 여러 특징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및 명령어들의 일부 또는 전체는 착탈식 저장 유닛(140)에 제공될 수 있고, 데이터 및 명령어들은 착탈식 저장 드라이브(137)에 의해 판독되어 CPU(110)에 제공될 수 있다. 플로피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드라이브, CD-ROM 드라이브, DVD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착탈식 메모리 칩(PCMCIA 카드, EPROM)은 그러한 착탈식 저장 드라이브(137)의 예들이다.
착탈식 저장 유닛(140)은, 착탈식 저장 드라이브(137)가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판독할 수 있도록, 착탈식 저장 드라이브(137)와 호환가능한 저장 포맷 및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착탈식 저장 유닛(140)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여기에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러나, 컴퓨터 (또는 일반적으로,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는 다른 형태(예를 들어, 고정식, 랜덤 액세스 등)일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드 드라이브(135)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 또는 착탈식 저장 유닛(140)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은 디지털 프로세싱 시스템(100)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 기 위한 수단이다. CPU(110)는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을 검색하고,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아래 기술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은 다음의 섹션들에서 예들로서 기술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아이콘들의 관리를 단순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아이콘들의 관리 >
도 2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아이콘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관리될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흐름도는, 단지 도시를 위해서, 도 1에 대해 설명된다. 그러나, 다른 환경들 및 다른 컴포넌트들에서 다양한 특징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단지 도시를 위해서 단계들이 특정 시퀀스로 기술된다.
다른 컴포넌트들을 이용하는 다른 환경들에서의 대안적인 실시예들, 및 단계들의 상이한 시퀀스는, 본원에 제공된 기재를 읽음으로써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양태들의 범위 및 사항에서 벗어남 없이 구현될 수도 있다. 흐름도는 단계(201)에서 시작하여, 제어가 즉시 단계(210)로 전달된다.
단계(210)에서, CPU(110)는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아이콘은, 가젯들의 경우에, 다양한 컨텐트, 예를 들어, (일견하여(at a glance) 다수의 인스턴트 메세징 접촉(instant Messaging contact)들의 상태(status)를 제공하는 계산기들, 프로세서 파라미터 디스플레이들, 스티키 노트(sticky note)들, 뉴스 리더들,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그램의 출력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이용한다. 그러한 디스플레이는 텍스트, 그래픽 또는 둘 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러 공지 방법들 중 하나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생성될 수 있다.
단계(220)에서, CPU(110)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대응하는 일부분에 제2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220)는 단계(210)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단계(230)에서, CPU(110)는 사용자가, 제1 아이콘이 제2 아이콘과 병합되는 것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CPU(110)는 사용자가, 제1 아이콘이 제2 아이콘과 병합될 것을 표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들을 평가(evaluate)한다. 사용자는, 임의의 사전-특정 협정(pre-specified convention)에 따라 제1 아이콘이 제2 아이콘과 병합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키보드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와 같은 임의의 입력 디바이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1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제2 아이콘 위에 그것을 드롭(drop)하는 포인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마우스)를 이용하여, 제1 아이콘이 제2 아이콘과 병합되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indication)를 위해, 다른 입력 디바이스들/메커니즘들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다른 선택적인 접근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단계(240)에서, CPU(110)는 제1과 제2 아이콘들 각각과 시각적으로 상이한 제3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편의를 위해, 제3 아이콘은 병합된 아이콘으로 지칭되고, 상기 제1/제2 아이콘들은 소스 아이콘들로 지칭된다. 일반적으로, 제3 아이콘은 임의의 설계를 가질 수 있지만, 다수의 아이콘들이 병합되었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알맞게 설계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젯들의 프로그램 컨텐트에 의해 생성된 동적 컨텐트를 보기 원할 수 있기 때문에, 가젯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의 경우에, 사용자가 가젯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계(250)에서, CPU(110)는 사용자가, (도시를 위해, 제1 아이콘을 가정하는) 소스 아이콘들 중 하나가, 병합된 아이콘으로부터 분리(de-merge)되는 것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CPU(110)는 사용자가,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의 병합된 실체인) 제3 아이콘이 분리되는 것을 표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들을 평가한다. 상술된 병합을 이용함으로써, 입력 디바이스는 분리 요청(de-merger request)을 표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고, 분리는 임의의 사전-특정 협약에 따를 수 있다.
단계(260)에서, CPU(110)는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분리하여 재디스플레이한다. CPU(110)가 병합된 아이콘이 분리될 것을 (단계(250)에서) 결정하면,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병합된 제3 아이콘을 형성하기 위해 병합되었던 둘 다)은 병합 전에 존재한 형식과 컨텐트를 갖고, 분리하여 디스플레이된다. 흐름도는 단계(299)에서 끝난다.
상기 기재는 도시의 목적으로, 단지 2개의 아이콘들/가젯들의 병합에 대해 제공되었지만, 2개보다 많은 아이콘들이 단일 아이콘으로 병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언급된 병합 및 분리는, 본원에 제공된 기재를 읽음으로써 관련 기술분야들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바와 같이,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면서 본 발명의 여러 양태들의 범위 및 사상에서 벗어남 없이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사용자 경험에 대한 설명이 이어진다.
< 예시적인 사용자 경험 >
도 3a-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사용자 경험을 도시하는 디스플레이들의 시퀀스를 포함한다. 단지 도시를 위해, 아이콘들은 가젯들이 되도록 선택되고 컴퓨터 시스템에 디스플레이된 데스크탑의 사이드바(sidebar) 상에 정렬되어 나타낸다. 본원의 디스플레이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 의해 제공된 윈도우즈 비스타(TM) 운영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디스플레이에 대응하고, 마이크로소프트사로부터 이용가능한 "윈도우즈 사이드바 가젯들"이라는 표제의 문서 및 URL:http://msdn2.microsoft.com/en-us/library/aa974179.aspx.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그 환경에서의 가젯들은, 사용자에게 - 방해없이 - 개인 관련 정보 및 단순 업무들에 대한 빠른 액세스를 주는, 일반적으로 구현되는(소형) 어플리케이션들이다. 예를 들어, 날씨 가젯은 일견하여 이용가능한 정보를 제공하고, 노트(note) 가젯은 일상에서 종종 이용되는 단순한 기능을 제공한다.
그 환경에서의 가젯들은 데스크탑의 사이드 영역에 있는 사이드바에서 보통 호스트된다. 사이드바에 부착되거나 또는 도킹되는(docked) 것 외에, 가젯들은 데스크탑의 어디든 플로트(float)하도록 사이드바로부터 분리될(detached) 수도 있다. 가젯은 그의 도킹된 상태에서보다 플로팅 상태에서 더 클 수 있다. 가젯들은 시작 버튼, 작업바, 및 알림 구역(notification area)과 같은 데스크탑의 일부이다. 보통의 윈도우즈와는 달리, 그들은 작업바 버튼으로 나타내지 않는다.
그 환경에서의 가젯들은 일시적으로 보다 많은 정보를 나타내는 플라이아 웃(flyout)들을 가질 수 있다. 플라이아웃들은 가젯을 클릭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되고, 플라이아웃 바깥 어디든지 클릭함으로써 사라진다. 도킹 및 플로팅 상태 모두에서 플라이아웃들을 이용할 수 있다.
가젯들은 설정 및 고객지향(customization)을 위한 선택 대화 박스(options dialog box)를 가질 수 있다.
도 3a는 프로그램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315-1 내지 315-6)을 구비한 하부의 수평 부분(310), 폴더들, 문서들 및 프로그램들에 대한 단축(short cut)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325-1 내지 325-7)을 구비한 좌측의 제1 수직 부분(320) 및 각각의 프로그램들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든 아이콘들(333 및 335-1 내지 335-3)을 구비한 우측의 수직 부분(330)을 갖는 데스크탑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아이콘(333)은 RSS 피드(feed)들을 수신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고, 아이콘(335-1)은 프로세서 코어 및 메모리 각각의 클럭 속도(clock speeds)의 그래픽 표현 및 숫자 값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아이콘(335-2)은 팬(fan) 속도를 디스플레이하며, 아이콘(335-3)은 시계를 디스플레이한다.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즈 비스타 환경 하에서 구현된 수직 부분(330)은 "사이드바"로 불린다. 이용될 많은 가젯들이 존재할 수 있고 사이드바의 구역이 제한됨에 따라, 사이드바 상의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조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메모리 클럭 속도 아이콘(335-1)과 팬 속도 아이콘(335-2)이 서로 관련되고 따라서 그룹화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가젯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은 그들을 병합함으로써 서로 그룹화될 수 있다. 사용자는, 포인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마우스)를 이용하여 병합가능한 아이콘을 제2 병합가능한 아이콘으로 드래그하여, 2개의 아이콘들을 병합하기 위해 그것을 드롭시킬 수 있다. 가젯들의 병합으로서 아이콘들이 보여질(viewed) 수 있다면, 병합은, 각각의 프로그램들을 통해 변화없이 배경에 독립적으로 동작을 계속할 수 있다. 모든 프로그램들의 출력들은 하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병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병합 이후, (병합되지 않은 다른 가젯들로부터 그것을 구분하기 위해 수퍼 가젯(super gadget)으로 불리는) 결과적인 가젯은 하기 기술된 바와 같이, 병합된 가젯들 중 하나의 실질적인 부분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스위칭(switching)을 위한 네비게이션 큐(navigation cue)들을 제공하여 다른 가젯들의 실질적인 부분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수퍼 가젯에서 나타나는 2개의 가젯들의 병합에 대한 상기 설명이 제공되어 있지만, 보다 많은 병합가능한 가젯들이, 다수의 병합가능한 가젯들을 포함하는 수퍼 가젯들을 생성하기 위해, 수퍼 가젯들에 대해 병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3b는 병합가능한 가젯(335-2)이 병합가능한 가젯(335-1)으로 드래그되는 것을 나타낸다. 크기가 감소하는 반원들의 그룹은 (더 큰 반원에서 더 작은 반원까지) 시각적인 큐(visual cue)(337)에 의해 제시된 방향으로 병합가능한 가젯(335-1)의 존재에 대해 시각적인 큐(337)를 제공한다. 이러한 시각적인 큐는, 드래그될 병합가능한 가젯이 병합가능한 가젯들의 사전정의된 거리(predefined distance) 내에 도달할 때 나타나고, 병합가능한 가젯들이 드래그될 가젯의 주변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그 후, 사용자는, 드래그되는 병합가능한 가젯을, 표시되는 병합가능한 가젯들 중 하나로 드롭하여, 그들을 병합시킬 수 있다.
도 3c는 가젯들(335-1 및 335-2)을 대체하고 가젯들(335-1 및 335-2)의 병합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병합된 가젯(수퍼 가젯)(338)을 나타낸다. 수퍼 가젯(338)은 가젯(335-2)의 실질적인 부분을 디스플레이하고, 탭(tab)들의 형태로 수퍼 가젯의 하부에 네비게이션 큐들을 나타낸다. 적절한 탭을 클릭 온함으로써, 사용자는 수퍼 가젯의 디스플레이를 스위칭하여, 대응하는 구성요소(constituent) (본래의) 가젯의 출력을 나타낸다.
도 3d는 네비게이션 탭들(340, 345 및 350)에 의해 표시낸 바와 같이, 3개의 가젯들을 병합함으로써 형성된 수퍼 가젯(339)을 나타낸다. 본원에 제공된 기재를 읽음으로써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바와 같이, 보다 많은 가젯들이 수퍼 가젯과 병합될 수 있다.
도 3a-도 3d는 3개의 아이콘들/가젯들의 병합을 도시하는 한편,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분리(de-merger)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병합된 아이콘 이외의 원하는 구성요소 가젯/아이콘(예를 들어, 도 3d의 GPU 템프(temp)(340))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단지 드래그하여, 병합된 아이콘으로부터 구성요소 가젯을 분리시킬 수 있다.
상술된 접근법들이 다양한 동작 환경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 야 한다. 예시적인 동작 환경에서의 구현에 대해 계속 설명된다,
< 예시적인 동작 환경 >
도 4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아이콘들의 관리를 단순화하는 것이 일 실시예로 구현되는 예시적인 동작 환경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의 동작 환경은 운영 시스템(OS)(410), 사이드바 프레임워크(420), 가젯 병합 프레임워크(430) 및 아이콘들(440-1 내지 440-n)을 포함하여 나타나 있다.
운영 시스템(410)은 어플리케이션들(420 및 430) 및 아이콘들(440-1 내지 440-n)에 대한 다수의 리소스들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는 실행 실체(executing entity)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100)가 초기화될 때, 제어는 운영 시스템(410)에 전달되고, 그 후 다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을 용이하게 한다. 실시예에서, 운영 시스템(410)은 마이크로소프트사에 의해 제공된 윈도우즈 비스타 운영 시스템에 대응한다.
사이드바 프레임워크(420)는, 운영 시스템(410)의 일부분으로서 패키지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의 식별된(identified) 부분이, 다수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뿐만 아니라 아이콘들의 구성 옵션들 및 관리를 지원하는 것을 위해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즈 비스타 운영 시스템에서, 사이드바 프레임워크는, 가젯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보류된 디스플레이의 구역인 사이브바뿐만 아니라, 가젯들 및 그들의 구성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아이콘들(440-1 내지 440-n)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병합가능한 아이콘들(함께 병합될 가능성을 갖도록 설계된 아이콘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윈도 우즈 비스타 운영 시스템에서, 아이콘들(440-1 내지 440-n)은 다른 가젯들과 함께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병합될 가능성을 갖는 가젯들을 나타낸다.
가젯 병합 프레임워크(430)는, 2개의 병합가능한 아이콘들이 병합될 것이라는 표시를 인지하고, 2개의 병합가능한 아이콘들의 병합(merger)에 의해 형성되는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고, 병합된 아이콘들이 분리되어 예를 들어, 도 3a-도 3d에 대해 상술된 바와 같이, 병합된 아이콘들의 구성요소를 개별(separate) 아이콘들로서 재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가젯 병합 프레임워크(430)는 상술된 병합 및 분리 동작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환경의 다른 컴포넌트들로 구성하여 구현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사전-특정(pre-specified) 절차 호출 등을 통한) 인터페이스들이 다른 프로그래머들이 이용하도록 노출되는 소정의 환경들에서, 노출된 인터페이스들로 구성된 디바이싱 구현들의 그러한 인터페이스들을 연구할 수 있다. 그러한 구현들은 노출된 인터페이스들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일반적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가젯 병합 프레임워크에 기초한 일반적인 로직에 대한 설명이 계속된다.
< 가젯 병합 프레임워크 >
도 5는 가젯 병합 프레임워크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CPU(110)가 흐름도의 단계들로 하여금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부터 검색된 적합한 소프트웨어 명령어들 의 실행에 응답하여 수행되도록 한다는 가정에 대한 설명이 제공된다.
단지 도시를 위해 흐름도는 도 1-4에 대해 설명된다. 그러나, 다양한 특징들이 다른 환경들 및 다른 컴포넌트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단계들은 단지 도시를 위해 특정 시퀀스로 기술된다. 다른 컴포넌트들을 이용하는 다른 환경들에서의 선택적인 실시예들, 및 단계들의 상이한 시퀀스는, 본원에 제공된 기재를 읽음으로써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양태들의 범위 및 사상에서 벗어남 없이 구현될 수도 있다. 흐름도는 단계(501)에서 시작하고, 제어는 단계(510)로 즉시 전달된다.
단계(510)에서, CPU(110)는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아이콘들은 예를 들어, 항상 상부에 있거나 또는 숨겨지는 등의 상이한 속성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PU(110)는 아이콘들에 대한 현재 속성들의 세트에 따라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520)에서, CPU(110)는 병합가능한 아이콘이 사이드바 프레임워크(430)로부터 검색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드래그되는지를 체크한다. 병합가능한 아이콘은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다른 병합가능한 아이콘과 병합될 수 있도록 설계된 아이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아이콘을 드래그하기 위해,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아이콘들은, 도 5의 관련 설명 부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윈도우즈 비스타 환경하의 가젯들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병합가능한 아이콘들은 병합가능한 가젯들, 즉, 그들이 다른 병합가능한 가젯과 병합될 수 있도록 설계된 가젯들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가젯이 드래그될 것인지를 체크하기 위해, CPU(110)에 의해, 비스타 환경 하의 WM_MOVE 이벤트(마이크로소프트사 문서 또는 http://msdn2.microsoft.com/en-us/library/ms632631.aspx의 웹 페이지로부터 이용가능한 상세들)가 이용될 수 있고, CPU(110)는 그것이 병합가능한지를 체크하기 위해, 가젯과 관련된 구성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병합가능한 아이콘이 드래그되면, 단계(530)로 프로세싱이 계속된다. 그렇지 않으면, 제어는 단계(520)로 전달된다.
단계(530)에서, CPU(110)는 드래그될 병합가능한 아이콘이 제2 병합가능한 아이콘에 대해 사전정의된 근접성(proximity)에 있는지를 체크한다. 사전정의된 근접성은 제2 병합가능한 아이콘의 경계로부터의 (일반적으로 픽셀들에 대한) 거리를 정의한다. 아이콘이 제2 병합가능한 아이콘들의 사전정의된 근접성에 있다면, 단계(540)로 프로세싱이 계속된다. 그렇지 않으면, 제어는 단계(520)로 되돌아 간다.
단계(540)에서, CPU(110)는 시각적인 큐들(337)을 나타낸다. 큐들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들 상에 결국 표현되는 화상 프레임들에 적합한 데이터를 포함함으로써 나타낸다. 시각적인 큐들은, 사전정의된 근접성에 있는 다른 병합가능한 아이콘들의 대략적인 위치 및 존재를 표시하기 위해, 드래그될 병합가능한 아이콘과 가깝게 나타나 있다. 시각적인 큐들은, 사용자들이, 드래그될 병합가능한 아이콘이 드롭될 수 있는 주변의 병합가능한 아이콘들을 식별하고 그들을 병합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단계(550)에서, CPU(110)는 병합가능한 아이콘이 제2 병합가능한 아이콘 상에 드롭되는지를 체크한다. (다른 병합가능한 아이콘들과 병합되도록 설계된) 병합가능한 아이콘들만이 함께 병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윈도우즈 비스타 환경하에서, CPU(110)는, 병합가능한 아이콘(예를 들어, 335-2)이 다른 아이콘(335-1) 상에 드롭되었는지를 체크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사 문서 또는 http://msdn2.microsoft.com/en-us/library/ms645605.aspx의 웹 페이지로부터 이용가능한 상세들인) WM_CAPTURECHANGED 알림을 이용할 수 있고, 그것이 병합 가능한 아이콘인지 체크하기 위해 타겟 아이콘과 관련된 구성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병합가능한 아이콘이 제2 병합가능한 아이콘 상에 드롭되면, 단계(560)로 프로세싱이 계속된다. 병합가능한 아이콘이 병합가능한 아이콘 상에 드롭되지 않으면, 단계(599)로 프로세싱이 계속된다.
단계(560)에서, CPU(110)는 병합가능한 아이콘들 둘 다를 병합하여 병합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병합된 아이콘은 도 2의 단계(240)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방법들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병합된 실체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2개의 병합가능한 가젯들로부터 형성되고, 수퍼 가젯으로 지칭된다. 수퍼 가젯은 도 3c 및 3d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될 컨텐트를 선택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된 네비게이션 큐들이다.
단계(570)에서, CPU(110)는, 병합된 아이콘의 구성요소 아이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부분(예를 들어, 팬 속도(345))이 드래그되는지를 체크한다. 병합된 아이콘은 병합가능한 아이콘들로부터 형성된다. 사용자는, 각각의 구성요소 아이 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병합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구역 또는 각각의 네비게이션 큐를 포인팅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구성요소 아이콘을 드래그할 수 있거나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방법들을 이용하여 그것을 드래그할 수 있다. 윈도우즈 비스타 환경하의 실시예에서, 수퍼 가젯의 구성요소 가젯은 마우스 또는 다른 포인팅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수퍼 가젯으로부터 드래그될 수 있다. 구성요소 아이콘이 드래그되면, 제어는 단계(580)로 전달된다. 그렇지 않으면, 제어는 단계(570)로 되돌아 간다.
단계(580)에서, CPU(110)는 개별 아이콘으로서 드래그된 구성요소를 디스플레이하고, 드래그된 구성요소 없이, 병합된 아이콘을 재디스플레이한다. 실시예에서, 윈도우즈 비스타 프레임워크 하의 실시예에서, 수퍼 가젯으로부터 드래그된 가젯은,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될 것이고, 수퍼 가젯은 드래그되었던 구성요소 가젯 및 그것에 대응하는 임의의 네비게이션 큐들 없이 재디스플레이될 것이다. 흐름도는 단계(599)에서 종료된다.
상기 도 2-5에 대해 기술된 다양한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일부의 특징들은, 도 1에 대해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적합하게 설계된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이 실행될 때 동작할 수 있다.
< 결론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상기 기술되었지만, 그들은 단지 예시로 표현될 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폭 및 범위는 상기 기재된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하고,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에 따라서만 정의되어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하기에 간략히 기술된 다음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여러 양태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디지털 프로세싱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아이콘들의 관리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순화되는 방식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a- 도3c는 실시예에서 아이콘의 병합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사용자 경험을 도시한다.
도 3d는 일 실시예에서 3개의 병합된 아이콘들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아이콘들의 관리의 단순화가 구현되는 예시적인 동작 환경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프로세싱 시스템에서의 구현이 아이콘들의 병합와 분해를 용이하게 하는 방식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일반적으로, 동일하고, 기능적으로 유사하고 및/또는 구조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표시한다. 구성요소가 먼저 나타난 도면은 대응하는 참조번호의 가장 좌측의 숫자(들)로 표시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프로세싱 시스템
110: CPU
120: RAM
130: 보조 메모리
140: 착탈식 저장 유닛
170: 디스플레이 유닛
18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90: 입력 인터페이스

Claims (19)

  1. 아이콘들의 관리를 단순화하는 방법으로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아이콘이 상기 제2 아이콘과 병합될 것이라는 표시(indication)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3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아이콘은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 각각과 시각적으로 상이한, 아이콘 관리 단순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콘은 제1 가젯(garget)과 연관되고, 상기 제2 아이콘은 제2 가젯과 연관되며, 상기 제1 가젯은 상기 제1 아이콘에 디스플레이되는 출력을 생성하는 제1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젯은 상기 제2 아이콘에 디스플레이되는 출력을 생성하는 제2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아이콘 관리 단순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아이콘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제1 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젯 및 상기 제2 가젯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표시하는 제2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가젯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제2 부분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아이콘 관리 단순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젯 및 상기 제2 가젯 각각은 제1 텍스트 및 제2 텍스트에 의해 각각 식별되고,
    상기 방법은, 제1 서브-부분에 상기 제1 텍스트를, 그리고 제2 서브-부분에 상기 제2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부분 및 상기 제2 서브-부분은 상기 제1 부분에 포함되는, 아이콘 관리 단순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콘, 상기 제2 아이콘 및 상기 제3 아이콘은 데스크 탑 디스플레이의 사이브-바(side-bar) 상에 모두 위치되는, 아이콘 관리 단순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젯이 상기 제3 아이콘으로부터 분리(de-merged)될 것을 표시하는 다른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다시 되돌아가는(revert back)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아이콘 관리 단순화 방법.
  7. 시스템이 아이콘들의 관리를 단순화하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시퀀스의 지시(instruction)들을 저장하는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시스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하나 이상의 시퀀스의 상기 지시들의 실행은, 상기 시스템으로 하여금,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아이콘이 상기 제2 아이콘과 병합될 것이라는 표시를 수신하며,
    상기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3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제3 아이콘은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 각각과 시각적으로 상이한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콘은 제1 가젯과 연관되고, 상기 제2 아이콘은 제2 가젯과 연관되며, 상기 제1 가젯은 상기 제1 아이콘에 디스플레이되는 출력을 생성하는 제1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젯은 상기 제2 아이콘에 디스플레이되는 출력을 생성하는 제2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아이콘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젯 및 상기 제2 가젯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표시하는 제2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가젯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제2 부분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젯 및 상기 제2 가젯 각각은 제1 텍스트 및 제2 텍스트에 의해 각각 식별되고,
    제1 서브-부분에 상기 제1 텍스트를, 그리고 제2 서브-부분에 상기 제2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부분 및 상기 제2 서브-부분은 상기 제1 부분에 포함되는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콘, 상기 제2 아이콘 및 상기 제3 아이콘은 데스크 탑 디스플레이의 사이드 바 상에 모두 위치되는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젯이 상기 제3 아이콘으로부터 분리될 것을 표시하는 다른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다른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다시 되돌아 가는 것을 더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들은 윈도우즈 비스타 환경에서의 실행을 위해 설계되는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14. 디지털 프로세싱 시스템에서의 아이콘들의 관리를 단순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상기 제1 아이콘이 상기 제2 아이콘과 병합될 것이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3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아이콘은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 각각과 시각적으로 상이한, 아이콘 관리 단순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콘은 제1 가젯과 연관되고, 상기 제2 아이콘은 제2 가젯과 연관되며, 상기 제1 가젯은 상기 제1 아이콘에 디스플레이되는 출력을 생성하는 제1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젯은 상기 제2 아이콘에 디스플레이되는 출력을 생성하는 제2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아이콘 관리 단순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아이콘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젯 및 상기 제2 가젯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표시하는 제2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제2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가젯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제2 부분에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아이콘 관리 단순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젯 및 상기 제2 가젯 각각은 제1 텍스트 및 제2 텍스트에 의해 각각 식별되고,
    상기 장치는 제1 서브-부분에 상기 제1 텍스트를, 그리고 제2 서브-부분에 상기 제2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부분 및 상 기 제2 서브-부분은 상기 제1 부분에 포함되는, 아이콘 관리 단순화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콘, 상기 제2 아이콘 및 상기 제3 아이콘은 데스크 탑 디스플레이의 사이드 바 상에 모두 위치되는, 아이콘 관리 단순화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젯이 상기 제3 아이콘으로부터 분리될 것을 표시하는 다른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다른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다시 되돌아가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아이콘 관리 단순화 장치.
KR1020080067278A 2007-07-12 2008-07-10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의 아이콘들의 관리 KR101002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76,567 US20090019385A1 (en) 2007-07-12 2007-07-12 Management of Icons in a Display Interface
US11/776,567 2007-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81A true KR20090006781A (ko) 2009-01-15
KR101002852B1 KR101002852B1 (ko) 2010-12-21

Family

ID=4024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278A KR101002852B1 (ko) 2007-07-12 2008-07-10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의 아이콘들의 관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019385A1 (ko)
KR (1) KR101002852B1 (ko)
CN (2) CN101344848B (ko)
TW (1) TWI484403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738A (ko) * 2009-07-21 201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20036047A (ko) * 2010-10-07 2012-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489105B2 (en) 2013-08-26 2016-11-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804772B2 (en) 2010-07-12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new menu item by dividing or merging a menu item displayed on a portable terminal
US9830057B2 (en) 2008-12-01 2017-11-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execution icon of mobi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9588B2 (en)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10313505B2 (en) 2006-09-06 2019-06-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8519964B2 (en) 2007-01-07 2013-08-27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8619038B2 (en)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TWI391856B (zh) * 2009-01-21 2013-04-01 Mstar Semiconductor Inc 顯示狀態列的方法
KR101078141B1 (ko) * 2009-09-08 2011-10-28 주식회사 팬택 합성 메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63474B1 (ko) * 2009-10-13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1701492B1 (ko) * 2009-10-16 2017-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표시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기
US10895955B2 (en) * 2009-10-13 2021-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rouping and displaying icons on a screen
EP3882750A1 (en) * 2010-01-20 2021-09-22 Nokia Technologies Oy User input
CN105511726B (zh) * 2010-01-20 2019-02-12 诺基亚公司 用户输入
WO2011099819A2 (en) * 2010-02-12 2011-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widget
US10788976B2 (en) 2010-04-07 2020-09-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US8881060B2 (en) 2010-04-07 2014-11-0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US20130061164A1 (en) * 2010-04-30 2013-03-07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using super taskbar to control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US9372701B2 (en) * 2010-05-12 2016-06-21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America Llc Management of digital information via a buoyant interface moving in three-dimensional space
US8504487B2 (en) 2010-09-21 2013-08-0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Evolution of a user interface based on learned idiosyncrasies and collected data of a user
KR101740436B1 (ko) * 2010-12-08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37756A (ko) * 2011-06-13 2012-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응용 프로그램 병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S2829952T3 (es) * 2011-11-03 2021-06-02 Glowbl Interfaz de comunicaciones y método de comunicaciones, programa informático correspondiente y medio de grabación correspondiente
CN102520856A (zh) * 2011-12-06 2012-06-27 北京风灵创景科技有限公司 图标功能组合方法及装置
CN102523398A (zh) * 2011-12-13 2012-06-27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人机交互模式的实现方法
KR101875743B1 (ko) * 2012-01-10 2018-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57261B1 (ko) * 2012-02-22 2014-02-05 주식회사 팬택 단축 메뉴 생성 장치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CN102662590A (zh) * 2012-04-12 2012-09-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南京分公司 图标处理方法及装置
CN103455238B (zh) * 2012-06-04 2017-04-1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101999749B1 (ko) * 2012-11-09 2019-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입력과 출력을 매칭시키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매칭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157138A1 (en) * 2012-11-30 2014-06-05 Google Inc. People as applications
KR102183071B1 (ko) * 2012-12-06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180681B2 (en) 2013-03-15 2019-01-15 Fisher-Rosemount Systems, Inc. Graphical process variable trend monitoring with zoom features for use in a process control system
US9983575B2 (en) * 2013-04-09 2018-05-29 Fisher-Rosemoun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to graphically display process control system information
US10803636B2 (en) 2013-03-15 2020-10-13 Fisher-Rosemount Systems, Inc. Graphical process variable trend monitoring, predictive analytics and fault detection in a process control system
US10514668B2 (en) 2013-03-15 2019-12-24 Fisher-Rosemount Systems, Inc. Graphical process variable trend monitoring in a process control system using a navigation pane
US10013149B2 (en) 2013-03-15 2018-07-03 Fisher-Rosemount Systems, Inc. Graphical process variable trend monitoring for a process control system
CN104063403B (zh) * 2013-03-22 2019-03-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对浏览器中的网页链接管理的方法及系统
KR102127925B1 (ko) * 2013-04-29 2020-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3488376A (zh) * 2013-06-29 2014-01-01 华为技术有限公司 桌面组件融合、组合、拆分方法及设备
CN104516723B (zh) * 2013-09-26 2018-11-09 联想(北京)有限公司 窗口部件处理方法及装置
KR102405189B1 (ko) 2013-10-30 2022-06-07 애플 인크.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표시
CN104793875A (zh) * 2014-01-20 2015-07-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应用的分屏方法与装置、智能终端
US10001902B2 (en) 2014-01-27 2018-06-19 Groupon, Inc. Learning user interface
WO2016039570A1 (en) * 2014-09-12 2016-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s through application selection screen
KR20160041610A (ko) * 2014-10-08 2016-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908046B1 (ja) * 2014-10-21 2016-04-2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複数領域を結合して表示する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5677305B (zh) * 2014-11-18 2020-01-21 华为终端有限公司 图标管理的方法、装置及终端
CN104978123A (zh) * 2015-06-29 2015-10-1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分屏方法和装置
CN107850975B (zh) * 2015-07-28 2021-07-0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对应用程序功能进行定制用户访问的方法和用户界面(ui)
EP3308255B1 (en) * 2015-10-09 2021-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luid user interface
CN105338083B (zh) * 2015-10-30 2018-09-1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界面显示方法及装置
CN105677195B (zh) * 2015-12-29 2019-02-0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的应用管理系统及方法
CN107437183B (zh) * 2016-05-25 2021-06-04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上车乘客身份的确认方法及系统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816325B2 (en) 2016-06-12 2023-11-14 Apple Inc. Application shortcuts for carplay
CN106980442B (zh) * 2017-03-31 2021-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图标管理方法及电子设备
CN107704159B (zh) * 2017-11-15 2020-06-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图标管理方法及移动终端
US11675476B2 (en) 2019-05-05 2023-06-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idgets
WO2021249069A1 (en) * 2020-06-11 2021-12-1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ystem and method for combing applications running on a user device
CN112416194A (zh) * 2020-11-16 2021-02-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家用电器的控制方法以及家用电器
CN116391168A (zh) * 2021-09-28 2023-07-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其菜单栏的显示方法
US20240037161A1 (en) * 2022-07-28 2024-02-01 Time Economy LTD. Value-based online content search engine
US11921810B2 (en) 2022-07-28 2024-03-05 Time Economy LTD. Value-based online content search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0603B2 (ja) * 1992-12-01 1998-09-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イコン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US5801699A (en) * 1996-01-26 1998-09-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con aggregation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6043816A (en) * 1998-05-29 2000-03-28 Hewlett-Packard Company User interface mechanism for maintaning quick access to important information in a windows-based computer environment
EP1816531A3 (en) * 1999-08-31 2007-12-26 Digital Electronics Corporation Edit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editing program is recorded
US7010753B2 (en) * 2000-10-27 2006-03-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ticipating drop acceptance indication
US7356774B2 (en) * 2002-08-13 2008-04-08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Grouping components of a measurement system
CN1625230A (zh) * 2003-12-01 2005-06-08 北京中视联数字系统有限公司 一种任意图形的合并显示方法
CN1570832A (zh) * 2004-04-27 2005-01-26 陈敏 英文字母总图标两码输入汉字的方法及键盘
US7552399B2 (en) * 2005-12-27 2009-06-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tensible icons with multiple drop zones
US7591226B2 (en) * 2006-11-03 2009-09-22 Cnh America Llc Automatic path generation for tramlin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0057B2 (en) 2008-12-01 2017-11-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execution icon of mobile terminal
US10671254B2 (en) 2008-12-01 2020-06-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execution icon of mobile terminal
KR20110008738A (ko) * 2009-07-21 201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804772B2 (en) 2010-07-12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new menu item by dividing or merging a menu item displayed on a portable terminal
KR20120036047A (ko) * 2010-10-07 2012-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489105B2 (en) 2013-08-26 2016-11-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852B1 (ko) 2010-12-21
US20090019385A1 (en) 2009-01-15
TW200919296A (en) 2009-05-01
TWI484403B (zh) 2015-05-11
CN101344848B (zh) 2013-04-10
CN103309558A (zh) 2013-09-18
CN101344848A (zh)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852B1 (ko)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의 아이콘들의 관리
US11281360B2 (en) Display management for native user experiences
US20220229521A1 (en) Displaying a translucent version of a user interface element
US10613701B2 (en) Customizable bladed applications
JP2022106824A (ja) 複数のアプリケーションから受信した通知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891038B1 (en) Reverse seamless integration between local and remote computing environments
CN108319491B (zh) 管理用户界面中的工作空间
US10394437B2 (en) Custom widget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of applications
KR101620058B1 (ko) 가상 머신 간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US20150135113A1 (en) Gestures for Manipulating Tables, Charts, and Graphs
US20120159383A1 (en) Customization of an immersive environment
US20120311501A1 (en) Displaying graphical object relationships in a workspace
US20120174020A1 (en) Indication of active window when switching tasks in a multi-monitor environment
KR20170040283A (ko)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에 대한 동적 조인트 디바이더
CN103649902B (zh) 沉浸式和桌面外壳的显示
US10275142B2 (en) Managing content displayed on a touch screen enabled device
US9367223B2 (en) Using a scroll bar in a multiple panel user interface
US9830056B1 (en) Indicating relationships between windows on a computing device
EP2833260A1 (en) Method and system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layout generation, computer program product
EP3276474A1 (en) View port array of graphic user interface components
US9582158B2 (en) Efficient usage of screen real estate on an electronic device
EP3635527B1 (en) Magnified input panels
US2013032888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hosting a portion of a user interface and synchronizing animation between proce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