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261B1 - 단축 메뉴 생성 장치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 Google Patents

단축 메뉴 생성 장치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261B1
KR101357261B1 KR1020120018141A KR20120018141A KR101357261B1 KR 101357261 B1 KR101357261 B1 KR 101357261B1 KR 1020120018141 A KR1020120018141 A KR 1020120018141A KR 20120018141 A KR20120018141 A KR 20120018141A KR 101357261 B1 KR101357261 B1 KR 101357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application
information
user
applic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6576A (ko
Inventor
이정운
공경진
황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018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261B1/ko
Priority to US13/661,759 priority patent/US20130219341A1/en
Priority to CN2012104949030A priority patent/CN103294335A/zh
Priority to EP12197783.9A priority patent/EP2634682A2/en
Publication of KR20130096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단축 메뉴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과 이 장치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단축 메뉴 생성 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와 인터렉션을 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리고 단축 메뉴 생성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기능과 다른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필터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이들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하위 메뉴로서 두 어플리케이션 메뉴 각각의 일 기능이 서로 결합된 결합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메뉴 아이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생성한다.

Description

단축 메뉴 생성 장치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 shortcut menu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에서 단축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자기기의 종류는 다양해지고 있다. 종류의 다양화는 고정형 전자기기는 물론 모바일 전자기기인 휴대용 단말에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cellular phone),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내비게이션(navigation), 휴대용 게임기, 전자 사전(electronic dictionary), 전자책 단말기(E-book reader),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수신기가 이미 대중화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스마트 패드(smart pad)로 불리는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등이 새롭게 등장하면서, 관련 산업이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하나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사용자 단말의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로서는 구글사의 안드로이드(Android), 애플사의 아이-오에스(i-OS),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모바일(Window Mobile)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운영 체제를 갖는 휴대용 단말들은 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의 형태나 각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체계 등은 운영 체제의 종류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다. 하지만, 휴대용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은 아이콘을 이용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표시되고 또한 사용자는 아이콘(메뉴)을 1회 이상 터치 또는 가압하여 입력함으로써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는 점 등은 운영 체제의 종류와 관계없이 동일하다.
휴대용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의 제조시에 설치되어 제공되는 내장 어플리케이션(preload application)과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마켓이나 앱스토어 등에서 직접 다운로드를 받아서 설치한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download application)으로 구분될 수 있다. 내장 어플리케이션이든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이든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먼저 터치 스크린의 홈 화면(home screen)이나 메뉴 화면(menu screen)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메뉴)을 터치 또는 가압하는 입력 행위를 수행해야 한다. 그리고 입력된 어플리케이션이 복수의 하위 메뉴(예컨대, 전화 메뉴의 경우에 음성 통화나 영상 통화 기능, 설정 메뉴의 경우에 네트워크 설정 기능, 디스플레이 설정 기능, 소리 설정 기능, 기타 환경 설정 기능 등)를 갖는 경우에, 사용자는 입력 행위를 다시 한번 또는 그 이상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하위 메뉴인 경우(다만, 이 하위 메뉴는 단말의 제조시에 홈 화면이나 메뉴 화면에 별도의 아이콘으로 표시되어 있지 않는 것만을 가리킨다)에,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행위는 2회 또는 그 이상이 된다. 특히,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하위 메뉴를 자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매번 2회 또는 그 이상의 입력 행위를 해야만 해당 메뉴를 실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홈 화면에서는 즐겨찾기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보다 빠르게 간편하게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은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홈 화면에 표시하여 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즐겨찾기 기능은 어플리케이션 자체에 관한 것으로서 메뉴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홈 화면으로 이동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즐겨찾기 기능이 제공된다고 하더라도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하위 메뉴에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입력 행위를 감소시키지는 못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하나의 과제는 안드로이드, 아이-오에스, 윈도우 모바일 등과 같은 운영 체제를 갖는 휴대용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하위 메뉴에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접속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단축 메뉴 생성 장치, 생성 방법, 및 그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안드로이드, 아이-오에스, 윈도우 모바일 등과 같은 운영 체제를 갖는 휴대용 단말에서 홈 화면이나 메뉴 화면에서의 간단한 조작으로 새로운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단축 메뉴를 생성할 수 있는 단축 메뉴 생성 장치, 생성 방법, 및 그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와 인터렉션을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기능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필터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포함하고 있는 하위 메뉴 중에서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단축 메뉴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생성하기 위한 단축 메뉴 생성 장치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하위 메뉴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일 기능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필터와 연관 있는 일 기능이 결합된 결합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 메뉴 생성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기능 정보 및 기능 필터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능 정보 및 기능 필터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다수의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른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취득부, 기능과 기능 필터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제2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정보 취득부가 획득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일 기능과 결합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3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제3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를 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매칭부, 및 상기 제3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제4 어플리케이션의 일 기능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일 기능이 결합된 결합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메뉴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축 메뉴 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 메뉴 생성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하나인 제1 어플리케이션 메뉴가 선택되면, 기능과 기능 필터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외된 제2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대응 관계가 성립하는 하나 이상의 제3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3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하나인 제4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기능과 상기 제4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결합된 하나 이상의 결합 기능이 포함된 결합 기능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결합 기능 리스트 중에서 하나의 결합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결합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메뉴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홈 화면이나 메뉴 화면에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하위 메뉴에 바로 접속할 수 있는 단축 메뉴 아이콘을 간단하게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단축 메뉴 생성 장치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하위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 메뉴 생성 장치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 메뉴 생성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에서 도 2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커맨드와 인텐트 필터 사이의 대응 관계가 나타나 있는 매칭 테이블의 일례를 보여 주는 것이다.
도 4는 도 2의 정보 취득부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정보 취득부가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필터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 메뉴 생성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h는 도 6의 단축 메뉴 생성 방법에 따라서 단축 메뉴 생성 절차가 진행될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보여 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 메뉴 생성 장치(short-cut menu creating apparatus)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의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10), 송수신부(transceiver, 20), 제어부(controller, 30), 및 메모리(memory, 4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참조 번호 100은 사용자 단말(1)의 단축 메뉴 생성 장치를 가리키는데, 단축 메뉴 생성 장치(100)는 제어부(30)의 일 기능과 메모리(40)의 일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단축 메뉴 생성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 요소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의 동작을 위하여 필수적인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이 추가로 사용자 단말(1)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때, 추가되는 구성 요소들은 사용자 단말(1)의 종류나 기능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는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1)의 인터렉션(interaction)을 위한 입출력 수단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를 통해 명령이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로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정보나 데이터 등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는 마이크와 스피커 등과 같은 음성 입출력 수단은 물론 그래픽이나 텍스트 등의 입출력을 위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은 입력 수단인 터치 패드와 출력 수단인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구조이거나 또는 양자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송수신부(20)는 사용자 단말(1)이 외부의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이나 서비스 서버 등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은 송수신부(2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마켓에 접속하여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송수신부(20)가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종류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이동 통신 네트워크이거나 와이파이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어부(30)는 사용자 단말(1)의 동작에 필요한 전반적인 관리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이나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1) 외부와의 인터렉션에 대한 제어 및 처리는 물론 게임이나 멀티미디어 재생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1) 내에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및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나 신호를 처리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40)에 저장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소정의 데이터나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단축 메뉴를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의 획득, 신호 처리, 관리, 연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30)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자(application manager, 32), 화면 관리자(screen manager, 34), 및 단축 메뉴 관리자(short-cut menu manager, 36)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자(32)는 사용자 단말(1) 내에 설치되어 있는 내장 어플리케이션 및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화면 관리자(34)는 홈 화면이나 메뉴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이나 메뉴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단축 메뉴 관리자(36)는 홈 화면이나 메뉴 화면에 기설치되어 있는 단축 메뉴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관리하는 것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두 가지 기능이 결합되어 신규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새로운 단축 메뉴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 취득과 관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30)의 구체적인 기능 및 동작에 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메모리(40)는 사용자 단말(1)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메모리(40)에는 사용자 단말(1)의 동작에 필요한 운영 체제, 내장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는 물론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은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메모리(40)에는 사용자 단말(1)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들, 예컨대 각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실행 가능한 기능, 지원하는 기능 등과 관련된 데이터도 저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 메뉴 생성 장치(100)의 구성의 일례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단축 메뉴 생성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들은 단지 기능에 따라서 논리적으로 구분한 것으로서, 물리적으로는 두 개 이상의 구성 요소들이 일체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축 메뉴 생성 장치(100)는 정보 저장부(110), 정보 취득부(120), 매칭부(140), 및 단축 메뉴 설정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보 저장부(110)는 도 1의 메모리(40)의 일부 기능일 수 있으며, 정보 취득부(120), 매칭부(140), 및 단축 메뉴 설정부(140)는 도 1의 제어부(30)의 단축 메뉴 관리자(36)의 일부 기능에 해당될 수 있다.
단축 메뉴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의 특정 화면(예컨대, 홈 화면이나 메뉴 화면)에 있는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기능을 결합하여 새로운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기능이란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이 제공하는 기능이 결합된 결합 기능에 해당되지만, 기존에 없던 신규한 기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기존에는 사용자 단말(1)의 홈 화면이나 메뉴 화면에서 아이콘으로 표시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표시될 수 없는 기능을 가리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새로운 기능이란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하위 메뉴로 제공하는 세부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촬영 기능과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통화 기능이 결합할 경우에,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하위 기능인 영상 통화를 실행하는 아이콘이 홈 화면이나 메뉴 화면에 생성되는데, 이러한 영상 통화 기능이 본 발명에서 이야기하는 새로운 기능이 될 수 있다.
정보 저장부(11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기능 정보와 기능 필터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내장 어플리케이션은 물론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도 포함된다. 그리고 내장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 정보 및 기능 필터 정보와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 정보 및 기능 필터 정보는 서로 분리되어 정보 저장부(110)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하나로 합쳐져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기능 정보와 기능 필터 정보도 하나로 합쳐져서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기능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요구되는 기능 또는 기능들의 리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기능,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통화 기능, 설정 어플리케이션의 편집 기능 등이 기능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이름과 대응되도록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기능 정보(기능 필터 정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운영 체제(OS)에 맞추어서 소정의 이름으로 명명하여 사용될 수 있다. 만일, 운영 체제가 안드로이드라면, 기능 정보는 내장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예컨대 커맨드 데이터베이스(Command DB)와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예컨대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Category DB)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커맨드 데이터베이스와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라는 명칭은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명칭이 사용될 수 있다. 커맨드 데이터베이스는 내장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이 최초에 출시될 때부터 단말기 제조사에 의하여 미리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받은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정보는 마켓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때 마켓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의 커맨드 리스트는 카테고리별로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카테고리 별 커맨드들은 마켓에서 구분되는 카테고리 별로 공통적인 성격을 가지는 액션(기능)들을 임의로 정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커맨드 데이터베이스와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에는 각각 어플리케이션 이름을 나타내는 패키지 이름(PackageName)과 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한 기능을 나타내는 커맨드 리스트(CommandList)가 대응되도록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에 특정한 명령의 실행을 요청할 때, 비동기 메시지 메커니즘인 인텐트(intent) 메시지가 운영 체제로 보내진다.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는 수신된 인텐트 메시지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액티비티(activity)나 서비스(service)를 실행한다. 액티비티는 비쥬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작업을 수행하는 컴포넌트이고, 서비스는 비쥬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없지만 백그라운드로 활동하는 컴포넌트이다.
기능 필터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받아서 처리할 수 있는 기능들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하위 메뉴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요구되는 기능들의 리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 어플리케이션은 촬영 기능을 받아서 처리할 수 있고(영상 통화 메뉴 실행시), 시계 어플리케이션은 위치 식별 기능을 받아서 처리할 수 있으며(세계 시간 표시 실행시), 유튜브 어플리케이션은 촬영 기능을 받아서 처리할 수 있는데(동영상 업로드 실행시), 이 경우에 촬영 기능이나 위치 식별 기능이 기능 필터 정보에 해당된다. 이러한 기능 필터 정보는 기능 정보와 마찬가지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인 패키지 이름과 대응되도록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기능 필터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받아서 처리할 수 없는 기능 또는 기능들의 리스트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능 필터 정보도 기능 정보와 마찬가지로 소정 명칭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운영 체제(OS)가 안드로이드인 경우에, 기능 필터 정보는 인텐트 필터(Intent Filter) 정보로서 인텐트 필터 데이터베이스(Intent Filter DB)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인텐트 필터 데이터베이스라는 명칭도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인텐트 필터 정보는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마다 가지고 있는 파일로서 인텐트 필터를 정의하는 파일인 메니페스트 파일(Androidmenifest.xml)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인텐트 필터 정보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메니페스트 파일을 참조하면 만들어질 수 있다. 인텐트 필터 데이터베이스에는 어플리케이션 이름을 나타내는 패키지 이름(PackageName) 각각에 대하여 인텐트 필터 리스트(IntentFilterList)가 대응되도록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와 이 어플리케이션이 받아서 처리할 수 있는 기능 필터 정보는 특정 운영 체제에서는 동일하게 나타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전술한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의 예에서는 기능 정보와 기능 필터 정보는 각각 커맨드 정보와 인텐트 필터 정보로서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커맨드 자체가 인텐트 필터와 동일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기능 정보와 기능 필터 정보는 모두 커맨드 정보일 수도 있다.
정보 저장부(110)는 또한 기능 정보와 기능 필터 정보 사이의 매칭 관계를 지시하는 매칭 리스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매칭 리스트 정보는 기능 정보와 기능 필터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 또는 매칭 관계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매칭 리스트 정보는 서로 대응 관계를 갖는 기능과 기능 필터와 연관 있는 기능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결합 기능을 수행하는 단축 메뉴에 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단축 메뉴에 관한 정보는 예컨대, 단축 메뉴의 이름과 단축 메뉴의 기능 필터 정보(또는 기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보 저장부(110)에는 단축 메뉴의 아이콘 정보와 단축 메뉴의 기능 정보 등도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운영 체제(OS)가 안드로이드인 경우에, 매칭 리스트 정보는 커맨드와 인텐트 필터 사이의 매칭 테이블일 수 있다. 이 매칭 테이블은 커맨트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 리스트와 인텐트 필터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인텐트 필터 리스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매칭 테이블은 커맨드와 인텐트 필터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단축 메뉴(신규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예컨대, 단축 메뉴 이름(CreatePackageName))과 이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단축 메뉴 인텐트 필터 정보(CreateIntentFilterNam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에서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커맨드와 인텐트 필터 사이의 대응 관계가 나타나 있는 매칭 테이블의 일례를 보여 주는 것이다. 도 3의 매칭 테이블은 커맨드가 카메라(CAMERA)이고 인텐트 필터는 편집(EDIT)과 통화(NEW_OUTGOING_CALL)인 경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매칭 테이블에는 커맨드 리스트(CAMERA)와 인텐트 필터(android.intent.action.EDIT 및 android.intent.action.NEW_OUTGOING_CALL) 사이의 대응 관계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매칭 테이블에는 커맨드와 인텐트 필터와 연관 있는 기능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결합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단축 메뉴 이름(com.android.app.camera와 com.android.app.call)과 단축 메뉴 인텐트 필터(Setting.cameraSetting과 Video.calls)도 함께 표시되어 있다.
정보 취득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정보와 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화면에 있는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기능 필터 정보를 정보 저장부(110)로부터 획득한다. 이와는 달리, 정보 취득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필터 정보와 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화면에 있는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기능 정보를 정보 저장부(110)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능 정보와 기능 필터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를 이용하므로, 정보 취득부(120)가 기능 정보와 기능 필터 정보를 획득하는 대상 어플리케이션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의 경우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후자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축 메뉴 생성 장치(100)를 이용하여 단축 메뉴를 생성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홈 화면이나 메뉴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다수의 아이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정보 취득부(120)는 선택된 아이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 정보(또는 기능 필터 정보)를 정보 저장부(1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정보 취득부(120)는 또한 홈 화면이나 메뉴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다른 아이콘들(즉,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아이콘과 동일한 화면에 표시되어 있지만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아이콘들)에 대한 기능 필터 정보(또는 기능 정보)를 정보 저장부(1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정보 취득부(120)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의 운영 체제가 안드로이드인 경우에 정보 취득부(120)가 기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지만, 다른 운영 체제에서 정보 취득부(120)가 기능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또는 균등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0), 예컨대 터치 스크린의 홈 화면이나 메뉴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한다(201). 만일, 단계 201에서의 선택 행위가 단축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0)로부터 선택 신호가 정보 취득부(120)로 전달된다(202).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는 행위가 단축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의도를 갖는 입력인지 아니면 다른 의도(예컨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의도)를 갖는 입력인지를 판정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아이콘을 소정의 시간(예컨대, 1초) 이상 터치하는지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판정할 수도 있지만,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단축 메뉴 생성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로 제공되는 경우라면, 사용자는 단축 메뉴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먼저 실행한 이후에,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할 수도 있다.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정보 취득부(120)는 단계 201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요청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관리자(32)로 전달한다(203).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자(32)는 패키지 관리자(PackageManager)일 수 있으며, 패키지 관리자(PackageManager)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여러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관리자(32)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어플리케이션 정보 응답을 정보 취득부(120)로 전달하며(204), 정보 취득부(120)는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응답을 이용하여 단계 201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 어플리케이션인지 또는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인지를 구분한다. 단계 203 내지 205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와 같이 내장 어플리케이션과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가 다른 경우에, 단계 201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 어플리케이션인지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인지를 구분하여 적절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내장 어플리케이션과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가 동일한 경우에는 단계 203 내지 205는 생략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정보 취득부(120)는 기능 정보 요청 신호를 정보 저장부(110)로 전송한다(206). 기능 정보 요청 신호는 단계 204에서 정보(예컨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이름과 유형)를 획득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이다. 이 때,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단계 203 내지 205의 과정을 통해서 구분한 경우, 정보 취득부(12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유형(내장 어플리케이션인지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인지)의 기능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 저장부(110)의 데이터베이스로 기능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한 정보 저장부(11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정보가 포함된 응답 신호를 정보 취득부(120)로 전송한다(207).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에서 사용자가 특정 아이콘을 일정 시간(약 1초) 정도 터치하고 있으면 롱 클릭 이벤트(Long Click Event)가 발생하며, 롱 클릭 이벤트를 처리하는 관리자(OnLongClickListner, 본 실시예에서 이 관리자는 정보 취득부(120)의 일 기능일 수 있다)는 패키지 관리자(PackageManager)에게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요청한다. 그리고 정보 취득부(120)는 패키지 관리자로부터 획득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인지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장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 메모리 영역에 설치되고 또한 ApplicationInfo.FLAG_SYSTEM이라는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플래그의 유무를 이용하면 내장 어플리케이션인지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정보 취득부(120)는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서 커맨드 데이터베이스 또는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능 정보에 해당하는 커맨드 리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정보 취득부(120)가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필터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 취득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다른 어플리케이션(홈 화면이나 메뉴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임)의 기능 필터 정보를 획득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의 운영 체제가 안드로이드인 경우에 정보 취득부(120)가 기능 필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지만, 다른 운영 체제에서 정보 취득부(120)가 기능 필터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또는 균등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정보 취득부(120)는 도 4의 단계 201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요청 신호를 화면 관리자(34)로 전달한다(301). 그리고 화면 관리자(34)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포함된 응답, 즉 어플리케이션 정보 응답을 정보 취득부(120)로 전달한다(302). 여기서,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은 도 4의 단계 201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화면, 예컨대 홈 화면이나 메뉴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이므로, 정보 취득부(120)는 화면 관리자(34)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취득부(120)는 기능 필터 정보 요청 신호를 정보 저장부(110)로 전송한다(303). 기능 필터 정보 요청 신호는 단계 302에서 정보를 획득한 어플리케이션들의 기능 필터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이다. 그리고 기능 필터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한 정보 저장부(11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기능 필터 정보가 포함된 응답 신호를 정보 취득부(120)로 전송한다(304).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에서 홈 화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인텐트 필터(기능 필터) 정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취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드로이드 론쳐(Android Launcher, 화면 관리자(34)의 일 기능일 수 있다)는 홈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템(단축 메뉴, 위젯, 폴더 등)의 리스트를 가지고 있다. 이 리스트는 아이템 정보(ItemInfo) 클래스의 어레이 리스트(ArrayList)이며, ItemInfo.itemType 멤버변수의 값을 비교하여 아이템이 단축 메뉴 유형인 경우에 홈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론쳐는 어레이 리스트(ArrayList)의 전체 아이템에 대하여 ItemInfo.itemType 멤버변수의 값을 비교하여 조건에 맞는 아이템들의 아이템 정보(ItemInfo) 클래스를 별도의 리스트로 저장함으로써, 현재 홈 화면에 존재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위의 과정으로 취득한 각 어플리케이션의 아이템 정보(ItemInfo) 클래스를 어플리케이션 정보(ApplicationInfo) 클래스로 변환시킨다. 변환 후에 ApplicationInfo.intent) 멤버변수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인텐트 정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 인텐트 정보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패키지 정보(패키지 이름 등)를 가져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기 생성된 인텐트 필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텐트 필터 리스트(IntentFilterList)를 획득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매칭부(130)는 정보 취득부(120)가 획득한 기능 정보 및 기능 필터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의 일 기능과 결합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또한 식별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0, 도 1 참조)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매칭부(130)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수행되거나 또는 홈 화면이나 메뉴 화면에 있는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과정은 기능과 기능 필터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왜냐하면, 기능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할 수 있는 기능 또는 기능들의 리스트이고, 기능 필터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받아서 처리할 수 있는 기능 또는 기능들의 리스트이므로, 기능과 기능 필터는 매칭 관계에 있을 경우에만 서로 조합, 즉 기능과 기능 필터와 연관 있는 기능이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능과 기능 필터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매칭 리스트 정보,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매칭 테이블은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매칭부(130)는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매칭 리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과 대응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 필터를 파악할 수가 있다. 그리고 매칭부(130)는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기능 필터 리스트를 이용하여, 해당 기능 필터를 갖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선별해낼 수 있다.
매칭부(130)에서 선별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이름)는 화면 관리자(34, 도 1 참조)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화면 관리자(34)는 매칭부(130)에서 식별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사용자 인터페이스(10, 도 1 참조)를 통해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관리자(33)는 화면에 있는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매칭부(130)에서 식별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만을 하이라이트시키거나 또는 깜박(blinking)이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결합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매칭부(130)는 또한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매칭 리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대응 관계를 갖는 기능과 기능 필터의 연관 있는 기능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신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메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매칭 리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매칭부(130)는 획득한 매칭 리스트 정보, 특히 단축 메뉴에 관한 정보를 단축 메뉴 설정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단축 메뉴 설정부(140)는 매칭부(130)로부터 수신한 매칭 리스트 정보, 예컨대 단축 메뉴 정보를 화면 관리자(34)로 전달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하이라이트되거나 깜박이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에, 화면 관리자(34)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단축 메뉴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0)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하이라이트되거나 깜박이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즉, 매칭부(130)에서 식별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중에서 결합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먼저 선택하는데, 화면 관리자(34)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결합할 경우에 생성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축 메뉴 정보(즉, 단축 메뉴 설정부(140)로부터 전달받은 단축 메뉴 정보)를 사용자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한다.
그리고 단축 메뉴 설정부(140)는 선택된 단축 메뉴에 대한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선택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사용자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축 메뉴 정보 중에서 화면에 생성하고자 하는 하나의 단축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단축 메뉴가 하나인 경우에는 이러한 선택 과정은 생략되고 해당되는 단축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축 메뉴가 선택되면, 단축 메뉴 설정부(140)는 단축 메뉴의 이름, 단축 메뉴를 표시하는 아이콘, 아이콘이 표시되는 위치 등을 설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이 경우에, 단축 메뉴 이름, 단축 메뉴 아이콘, 및 아이콘의 표시 위치 등을 설정하는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단축 메뉴의 이름이나 아이콘의 종류, 아이콘의 위치 등의 설정을 위하여, 단축 메뉴 설정부(140)는 각각에 대한 후보 리스트를 제시하고 사용자가 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단축 메뉴의 이름, 아이콘의 종류, 아이콘의 위치에 대한 후보 리스트는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단축 메뉴 설정부(140)는 사용자가 직접 단축 메뉴의 이름이나 아이콘의 종류를 직접 만들도록 하거나 또는 아이콘의 위치를 임의의 위치에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전술한 두 가지 방법을 결합하여, 단축 메뉴 설정부(140)는 후보 리스트를 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임의로 만들거나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단축 메뉴 이름의 경우에는 결합되는 두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결합하여 제공을 하며, 이에 대하여 사용자가 수정을 할 수 있도록 텍스터 에디터(text editor)를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 메뉴 생성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h는 도 6의 단축 메뉴 생성 방법에 따라서 단축 메뉴 생성 절차가 진행될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보여 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h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 메뉴 생성 방법을 설명하되, 불필요한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앞에서 설명한 내용은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한다(401). 도 7a에 도시되어 있는 화면은 사용자 단말의 홈 화면일 수 있으나,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7a에 도시되어 있는 아이콘의 개수나 배치, 형상 등은 모두 예시적인 것이다. 사용자는 도 7a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다섯 개의 어플리케이션(아이콘 A, B, C, D, E) 중에서 새로운 기능인 결합 기능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하나의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도 7a의 경우에 아이콘 A)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통화를 실행하기 위한 단축 메뉴 아이콘을 생성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촬영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카메라 메뉴)의 아이콘과 통화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전화 메뉴)의 아이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b를 참조하면, 단계 401에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아이콘 A)이 선택되면, 선택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들(예컨대, 아이콘 B, C, D, E) 중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아이콘 A)과 결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하여 식별이 가능하도록 터치 스크린에 표시가 된다(402). 도 7b는 선택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아이콘 B와 아이콘 C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과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들 아이콘 B와 C는 하이라이트되거나 또는 깜박임으로써 다른 아이콘(아이콘 D 및 E)과 구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단계 402의 결과로 식별되는 어플리케이션(아이콘 B와 C) 중에서 결합 기능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다른 하나의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도 7c의 경우에 아이콘 B)을 선택한다(403). 도 7c에서는 사용자가 단계 401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아이콘 A)을 드래그하여 결합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아이콘 B)에서 드랍하는 동작으로 아이콘 B를 선택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계 402의 결과로 식별되는 어플리케이션(아이콘 B와 C) 중에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아이콘 B)을 단순히 선택함으로써, 단계 403의 선택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d를 참조하면, 단계 403의 결과로 사용자에 의하여 어플리케이션 A와 어플리케이션 B를 결합하는 것으로 결정이 되면, 어플리케이션 A와 어플리케이션 B의 결합으로 생성될 수 있는 결합 기능 후보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한다(404). 결합 기능 후보는 하나이거나 또는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결합 기능 후보는 어플리케이션 A의 하위 메뉴에 속하는 기능이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B의 하위 메뉴에 속하는 기능일 수 있는데, 도 7d에서는 결합 기능이 어플리케이션 B의 하위 메뉴로서 각각 기능 B1, B2, B3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결합 기능 후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결합 기능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e 내지 도 7h를 참조하면, 단계 404까지의 결과로 결합 기능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두 개의 기능이 선택되면, 이 결합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콘의 이름과 아이콘의 종류, 아이콘의 위치를 결정하는 설정 과정이 수행된다(405). 보다 구체적으로, 도 7e에는 결합 기능의 이름을 설정하는 과정이 수행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결합된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합친 이름(App AB)을 기본으로 제공되며, 사용자를 이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임의의 이름으로 수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f에는 결합 기능의 아이콘을 설정하는 과정이 수행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사용될 수 있는 아이콘 리스트들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표시된 아이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중에서 하나를 아이콘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g에는 결합 기능을 표시하는 아이콘이 터치 스크린에 배치될 수 있는 위치 후보들(L1, L2, L3)이 예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 위치 후보들(L1, L2, L3)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새로 생성된 아이콘이 배치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h에는 사용자가 위치 후보들(L1, L2, L3) 중에서 위치 L3을 선택하여 결합 기능 아이콘이 위치 L3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만 특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 : 사용자 단말 10 : 사용자 인터페이스
20 : 송수신부 30 : 제어부
32 : 어플리케이션 관리자 34 : 화면 관리자
36 : 단축 메뉴 관리자 40 : 메모리
100 : 단축 메뉴 생성 장치 110 : 정보 저장부
120 : 정보 취득부 130 : 매칭부
140 : 단축 메뉴 설정부

Claims (20)

  1.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기능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필터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단축 메뉴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생성하기 위한 단축 메뉴 생성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축 메뉴 아이콘은, 상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있는 하위 메뉴 중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일 기능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필터와 연관 있는 일 기능이 결합된 결합 기능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것이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기능과 대응 관계에 있는 기능 필터를 갖는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것이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필터와 대응 관계에 있는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 메뉴 아이콘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있는 하위 메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하위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메뉴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 메뉴 생성 장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기능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필터와 연관 있는 일 기능이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합 기능을 포함하는 결합 기능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고,
    상기 단축 메뉴 아이콘은 상기 결합 기능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하나의 결합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6.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기능 정보 및 기능 필터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능 정보 및 기능 필터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다수의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른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취득부;
    기능과 기능 필터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제2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정보 취득부가 획득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일 기능과 결합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3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제3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를 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매칭부; 및
    상기 제3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제4 어플리케이션의 일 기능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일 기능이 결합된 결합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메뉴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축 메뉴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축 메뉴 아이콘은, 상기 제1 및 제4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있는 하위 메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하위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메뉴 생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동일한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위한 단축 메뉴 생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은 사용자 단말의 홈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위한 단축 메뉴 생성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정보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필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위한 단축 메뉴 생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 메뉴 아이콘은 상기 제4 어플리케이션이 포함하고 있는 하위 메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하위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메뉴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위한 단축 메뉴 생성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필터 정보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위한 단축 메뉴 생성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기능과 기능 필터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매칭 리스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부는 상기 매칭 리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위한 단축 메뉴 생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리스트 정보는 상기 기능과 상기 기능 필터와 연관 있는 기능의 결합으로 실행되는 결합 기능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축 메뉴 설정부는 상기 결합 기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4 어플리케이션의 일 기능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일 기능이 결합되어 생성될 수 있는 결합 기능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위한 단축 메뉴 생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 메뉴 설정부는 상기 결합 기능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를 위해 표시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결합 기능 리스트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결합 기능에 대하여 상기 단축 메뉴 아이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위한 단축 메뉴 생성 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기능 정보와 기능 필터 정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위한 단축 메뉴 생성 장치.
  16. 제6항 내지 제1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의 단축 메뉴 생성 장치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
  17.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하나인 제1 어플리케이션 메뉴가 선택되면, 기능과 기능 필터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외된 제2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대응 관계가 성립하는 하나 이상의 제3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3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하나인 제4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기능과 상기 제4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결합된 하나 이상의 결합 기능이 포함된 결합 기능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결합 기능 리스트 중에서 하나의 결합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결합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메뉴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축 메뉴 아이콘은, 상기 제1 및 제4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있는 하위 메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하위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위한 단축 메뉴 생성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홈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위한 단축 메뉴 생성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기능은 상기 제4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있는 하위 메뉴 중의 어느 하나의 하위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위한 단축 메뉴 생성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하이라이트되거나 또는 깜박이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위한 단축 메뉴 생성 방법.
KR1020120018141A 2012-02-22 2012-02-22 단축 메뉴 생성 장치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KR101357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141A KR101357261B1 (ko) 2012-02-22 2012-02-22 단축 메뉴 생성 장치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US13/661,759 US20130219341A1 (en) 2012-02-22 2012-10-26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 shortcut menu
CN2012104949030A CN103294335A (zh) 2012-02-22 2012-11-28 用于创建快键菜单的设备和方法
EP12197783.9A EP2634682A2 (en) 2012-02-22 2012-12-18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 shortcut menu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141A KR101357261B1 (ko) 2012-02-22 2012-02-22 단축 메뉴 생성 장치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576A KR20130096576A (ko) 2013-08-30
KR101357261B1 true KR101357261B1 (ko) 2014-02-05

Family

ID=47602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141A KR101357261B1 (ko) 2012-02-22 2012-02-22 단축 메뉴 생성 장치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219341A1 (ko)
EP (1) EP2634682A2 (ko)
KR (1) KR101357261B1 (ko)
CN (1) CN10329433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8831A1 (en) * 2008-03-04 2009-09-10 Andreas Wendker Customization of user interface elements
JP5782810B2 (ja) * 2011-04-22 2015-09-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99749B1 (ko) * 2012-11-09 2019-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입력과 출력을 매칭시키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매칭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44104A (ko) * 2013-06-10 2014-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이의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50317721A1 (en) * 2014-04-30 2015-11-05 Mahesh Kumar T J Enterprise mobile application for managing sales activites
CN105589627B (zh) * 2014-10-23 2020-07-14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快捷菜单显示方法、快捷菜单显示装置和终端
CN104407592B (zh) * 2014-11-27 2018-11-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调整智能家居设备运行状态的方法及装置
CN107850975B (zh) * 2015-07-28 2021-07-0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对应用程序功能进行定制用户访问的方法和用户界面(ui)
CN105898477A (zh) * 2015-08-17 2016-08-24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遥控方法、受控装置及遥控器
JP2017173967A (ja) * 2016-03-22 2017-09-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7844345B (zh) * 2016-09-20 2021-01-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菜单的生成方法和装置
KR101953803B1 (ko) * 2016-10-31 2019-03-06 정도훈 다트 게임 시스템
JP6984190B2 (ja) 2017-06-16 2021-12-17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9041131A1 (zh) * 2017-08-29 2019-03-07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快捷方式的生成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JP2019139332A (ja) * 2018-02-06 2019-08-22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0871882B2 (en) * 2018-05-16 2020-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fficient access to frequently utilized actions on computing devices
CN111625379B (zh) * 2020-06-02 2021-06-04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4690986A (zh) * 2020-12-30 2022-07-01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快捷方式的创建方法及相关设备
CN115268731A (zh) * 2021-04-29 2022-11-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处理服务卡片的方法和电子设备
CN113835592A (zh) * 2021-09-29 2021-12-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功能组合方法、装置和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1298A (ko) * 2009-06-05 2010-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KR20120006158A (ko) * 2010-07-12 201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뉴 항목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7274B2 (en) * 2004-11-10 2014-03-18 Apple Inc. Highlighting items for search results
EP2506132A3 (en) * 2005-09-28 2012-11-07 Access Co., Ltd. Terminal device and program
US20090019385A1 (en) * 2007-07-12 2009-01-15 Nvidia Corporation Management of Icons in a Display Interface
EP2192474B1 (en) * 2008-12-01 2017-04-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execution icon of mobile terminal
US8370762B2 (en) * 2009-04-10 2013-02-05 Cellco Partnership Mobile functional icon use in operational area in touch panel devices
KR20110014040A (ko) * 2009-08-04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충돌 제어방법
KR101078141B1 (ko) * 2009-09-08 2011-10-28 주식회사 팬택 합성 메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KR20120069494A (ko) * 2010-12-20 2012-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에서 아이콘 표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1298A (ko) * 2009-06-05 2010-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KR20120006158A (ko) * 2010-07-12 201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뉴 항목 관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19341A1 (en) 2013-08-22
CN103294335A (zh) 2013-09-11
KR20130096576A (ko) 2013-08-30
EP2634682A2 (en)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261B1 (ko) 단축 메뉴 생성 장치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US11150780B2 (en) Updating display of workspaces in a user interface for managing workspaces in response to user input
TWI718155B (zh) 應用程式控制方法、應用程式跳轉關聯配置方法及裝置
US20200174635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9846699B2 (en)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dynamically updating the contents of a folder on a device
US10740117B2 (en) Grouping windows into clusters in one or more workspaces in a user interface
US9658732B2 (en) Changing a virtual workspace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 an application window in a user interface
RU2672714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множественным вводом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ддерживающее то же самое
US9292196B2 (en) Modifying the presentation of clustered application windows in a user interface
WO2021147948A1 (zh) 一种控件显示方法及电子设备
AU2014201856B2 (en) APP operating method and device and app output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2940572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display objects
KR20140144104A (ko) 전자기기 및 이의 서비스 제공 방법
CN104007894A (zh) 便携式设备及其多应用操作方法
KR20110113232A (ko) 앱스토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95912B1 (ko) 보안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40013257A1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File Processing Based on User Interface
US20140173521A1 (en) Shortcuts for Application Interfaces
CN110168487A (zh) 一种触摸控制方法及装置
EP3701372B1 (en) Dynamically configurable application control elements
CN111512286A (zh) 编排程序的方法及电子设备
EP25358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rging applications in a portable terminal
CN104636170A (zh) 应用程序的获取方法及装置、电子设备
EP2933957B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dlna equipment
KR20140105340A (ko) 휴대 단말기의 멀티 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