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743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5743B1 KR101875743B1 KR1020120002879A KR20120002879A KR101875743B1 KR 101875743 B1 KR101875743 B1 KR 101875743B1 KR 1020120002879 A KR1020120002879 A KR 1020120002879A KR 20120002879 A KR20120002879 A KR 20120002879A KR 101875743 B1 KR101875743 B1 KR 1018757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 sound
- sound source
- sound sources
- mobil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복수의 음원(sound source)을 저장한 메모리;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음향출력 모듈로 출력하거나 출력대기 중인 상태에서 획득한 특정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음원에 대한 출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음원에 대한 출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단말기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할 수 있도록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중에 음원의 재생이 서로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중에 내비게이션의 안내 코멘트가 재생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음원 간의 출력을 조절해야할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음원에 대한 출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음원(sound source)을 저장한 메모리;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음향출력 모듈로 출력하거나 출력대기 중인 상태에서 획득한 특정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이벤트를 획득하면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조절창을 표시하고, 상기 조절창을 통하여 획득한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음원에 대응되도록 상기 조절창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구획한 복수의 영역 각각에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볼륨조절바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음원에 대응되도록 상기 조절창을 복수의 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복수의 영역에 대한 복수의 터치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복수의 터치에 대응된 상기 복수의 영역을 병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을 병합하면, 상기 병합한 하나의 영역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었던 복수의 음원에 대한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병합하여 표시한 영역에 대한 복수의 터치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병합된 복수의 영역을 별도의 영역으로 분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원 각각이 출력되는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음원 중 특정 음원의 출력이 임계값 이하로 조절되면, 상기 특정 음원에 대응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 모듈은 복수의 출력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음원을 상기 복수의 출력디바이스로 분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음원은, 복수의 다른 디바이스의 사용자와의 통화음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음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이 임계값 이하로 조절되면, 상기 임계값 이하로 조절된 통화음에 대응된 다른 디바이스의 사용자와의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음원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콘텐츠 음원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과 관련된 시스템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스트리밍(streaming)방식으로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적어도 하나의 음원의 출력을 3차원적으로 표시하는 이퀄라이저화면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특정 이벤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한 터치입력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음원(sound source)을 저장한 메모리; 디스플레이 모듈과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음원을 상기 음향출력 모듈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음원과 관련된 영상(image)을 출력 중인 상태에서 특정 이벤트를 획득하면,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출력부; 복수의 음원(sound source)을 저장한 메모리; 및 상기 복수의 음원 중 특정한 음원에 우선권(priority)을 부여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한 음원에 우선권이 부여된 상태에서 특정한 이벤트를 획득하면, 상기 우선권이 부여되지 않은 다른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음원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특정 이벤트를 획득하면,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조절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조절창을 통하여 획득한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창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음원에 대응되도록 상기 조절창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계와, 상기 구획한 복수의 영역 각각에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볼륨조절바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음원 중 특정 음원의 출력이 임계값 이하로 조절되면, 상기 특정 음원에 대응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복수의 음원에 대한 출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콘텐츠의 종류에 따른 출력대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복수의 음원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복수의 음원 간의 상대적 점유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 상태에서 복수의 음원 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 볼륨조절영역에 대한 조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9 이동 단말기의 복수의 음원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상태 진입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9 이동 단말기의 복수의 음원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창의 조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창의 조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3차원 이퀄라이저에 대한 조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콘텐츠의 종류에 따른 출력대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복수의 음원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복수의 음원 간의 상대적 점유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 상태에서 복수의 음원 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 볼륨조절영역에 대한 조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9 이동 단말기의 복수의 음원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상태 진입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9 이동 단말기의 복수의 음원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창의 조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창의 조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3차원 이퀄라이저에 대한 조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자세감지센서(141) 및/또는 근접센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14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142)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142)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142)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142)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142)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근접 센서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142)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142)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다.
도 4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복수의 음원(sound source)을 저장하는 단계(S10)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음원은, 이동 단말기(100)의 음향출력 모듈(152)을 통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각종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음원은, MP3와 같이 음향만을 포함하고 있는 소스(source)뿐만 아니라 비디오와 같이 음향과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는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음원은, 특정 포맷에 관계없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콘텐츠를 포괄하는 용어임을 의미한다.
음원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생산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음원을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음원이 저장될 수 있다. 즉, 음원은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TTS(Text To Speech), 화상통화, 게임 등 각종 콘텐츠에 포함된 음원, 각종 알람음, 벨소리, 메시지 수신음 등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음원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복수의 음원은, 시간 적으로 상호 구분되는 시각에 출력되거나 시간적으로 상호 구분되지 않는 시각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원이 음향출력 모듈(152)로 출력되는 중에 제2 음원이 음향출력 모듈(152)로 출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복수의 음원이 시간적으로 상호 구분되거나 구분되지 않는 시각에 출력되는 경우에, 각 음원의 출력을 조절해야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내비게이션의 경로안내는 크게 듣고 싶지만, MP3 파일의 재생음은 작게 듣고 싶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음원이 출력되는 볼륨이 모든 음원에서 동일하다면 위와 같은 사용자의 요구(needs)가 만족될 수 없다. 나아가, 각 음원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그 조절이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면 위와 같은 사용자의 요구는 만족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와 같은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복수의 음원은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음원이 저장되는 메모리(160)는,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한 종류의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통하여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음원을 획득하는 경우에, 획득한 데이터는 임시메모리(buffer memory)에 잠시 저장되었다가 곧 삭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는, 이와 같은 임시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음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거나 출력대기하는 단계(S30)가 진행될 수 있다.
복수의 음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적으로 동일하거나 서로 구분되는 시각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각을 기준으로 할 때, 제1 음원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또는, 특정 시각을 기준으로 할 때, 제1 음원이 출력되고 있지는 않지만, 출력을 위하여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제1 음원이 출력되고 있는 중에 제2 음원이 출력되는 상태에 있거나, 제2 음원이 출력을 위하여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음원 중에서 출력하거나 출력대기하는 상태의 음원은, 그렇지 않은 음원에 비하여 우선권(priority)를 부여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음원을 출력함에 있어서, 제어부(180)가 특정 음원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순서를 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부(180)는 동일한 우선권을 가진 음원의 경우는 동시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가 진행될 수 있다.
특정 이벤트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및/또는 제어부(180)의 제어동작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특정 이벤트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지점을 터치하는 동작일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지점을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그에 대응된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정 이벤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된 특정 아이콘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롱터치(long touch)하는 동작일 수 있다.
특정 이벤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지점에서 시작되는 드래그(drag)일 수 있다.
특정 이벤트는, 특정 상황에서 제어부(180)의 제어동작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음원을 출력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복수의 음원 중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단계(S70)가 진행될 수 있다.
복수의 음원의 출력은, 각각 조절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중에 출력되는 제1 음원, 제2 어플리에션의 동작 중에 출력되는 제2 음원, 이동 단말기(100)의 시스템에 의하여 출력되는 제3 음원 각각의 출력이 효과적으로 조절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음원 각각의 출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음원에 대한 출력의 조절은, 우선권의 선후 관계에 기초하여 설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우선권이 높아 출력 중인 음원은 물론 우선권이 낮아 그렇지 못한 음원의 출력도 함께 조절할 수 있는 상태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6은 콘텐츠의 종류에 따른 출력대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콘텐츠를 특정한 출력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콘텐츠는, 다양한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오디오, 이미지, 텍스트, 비디오를 포함하는 상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저장된 콘텐츠는 출력부(150)로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지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음원을 출력하는 음향출력 모듈(152)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각각의 특성에 대응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는, 음향출력 모듈(152)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비디오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출력 모듈(152) 양쪽으로 출력될 수 있다. 즉, 비디오에 포함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1)로 출력되고, 비디오에 포함된 오디오는 음향출력 모듈(152)로 출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은 복수의 음원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음원은 콘텐츠 음원과 시스템 음원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음원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동작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출력되는 음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MP3, WAV 등 각종 포맷의 음원을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음원을 포함하고 있는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음원은, 이동 단말기(100) 자체가 동작하는 중에 출력되는 음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콜(call)이 수신된 경우에 출력되는 음원, 배터리 부족을 알리는 알람에 대응된 음원, 키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 출력되는 음원, 이동 단말기(100) 켜지거나 꺼지는 중에 출력되는 음원 등일 수 있다.
콘텐트 음원과 시스템 음원이 동시에 출력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경로 안내가 출력되는 중에 배터리 부족을 알리는 알람이 출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8은 복수의 음원 간의 상대적 점유율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음원이 동시에 출력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t1 시점까지는, 콘텐츠 음원만이 단독으로 출력되고 있을 수 있다. 즉, 콘텐츠 음원이 1의 점유율을 가지고 출력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t1 시점에서 t2 시점까지는, 콘텐츠 음원과 제1 시스템 음원이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콘텐츠 음원과 제1 시스템 음원이 각각 0.5의 점유율을 갖고 출력될 수 있다. 즉, 콘텐츠 음원과 제1 시스템 음원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볼륨으로 출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2 시점에서 t3 시점까지는, 콘텐츠 음원과 제1,2 시스템 음원이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콘텐츠 음원은 0.5의 점유율을 갖고 출력되고, 제1,2 시스템 음원은 각각 0.25의 점유율을 갖고 출력될 수 있다. 즉, 콘텐츠 음원에 비하여 제1,2 시스템 음원은 상대적으로 작은 소리로 출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상태 또는 이와 같은 상태 이전에,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콘텐츠 음원과 제1,2 시스템 음원 간의 점유율 관계를 설정하고 싶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점에 사용자가 보다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정보가 제2 시스템 음원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면, 사용자는 제2 시스템 음원이 보다 큰 점유율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음원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종류의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경로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그와 관련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하고 있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콘텐츠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시후 좌회전 입니다”와 같은 경로 안내를 수행하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MP3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경로 안내와 함께 제2 콘텐츠 음원인 음악이 연주되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제1,2 콘텐츠 음원을 출력하는 중에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 잔량이 특정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리는 제1 시스템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1,2 콘텐츠 음원 및 제1 시스템 음원을 출력하는 중에 수신되고 있는 콜(call)을 알리는 제2 시스템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가 복수의 음원을 출력함에 있어서, 복수의 음원 간의 점유율 내지 볼륨을 조절해야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시점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정보를 출력하는 음원이, 다른 음원보다 크게 출력되도록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이와 같은 조절이 편리하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10은 도 9 상태에서 복수의 음원 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음원은 서로 다른 점유율을 가지고 출력될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콘텐츠 음원(CS1)이 1/2의 점유율로 출력되고, 제2 콘텐츠 음원(CS2)가 1/4의 점유율로 출력되고, 제1,2 시스템 음원(SS1, SS2)가 각각 1/8의 점유율로 출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콘텐츠 음원(CS1, CS2) 및 제1,2 시스템 음원(SS1, SS2)는 각각 1/4의 점유율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0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원은 서로 다른 점유율로 출력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각 음원의 점유율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 볼륨조절영역에 대한 조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획득한 특정 이벤트에 기초하여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에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된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2)을 통하여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음원을 출력하고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음향출력 모듈(152)을 통하여 MP3 형식 등의 음악이 출력되고 있거나 출력을 대기하고 있을 수 있다.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F) 등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볼륨아이콘(VA)를 선택할 수 있다. 볼륨아이콘(VA)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그에 대응된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볼륨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볼륨상태를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인디케이터를 터치하여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볼륨아이콘(VA)을 특정 시간 이상 롱터치할 수 있다. 볼륨아이콘(VA)을 롱터치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가 변경되록 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태는, 볼륨아이콘(VA)에 대한 터치가 t1 시점 이전까지 연속된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륨아이콘(VA)이 잠시간 터치된 경우에는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볼륨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상태는, 볼륨아이콘(VA)의 터치가 t1 시점 이후까지 연속된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륨아이콘(VA)이 롱터치된 경우에는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음원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상태에 진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 진입하여 관련된 동작을 수행한 후 일정할 시간이 흐르거나 제2 상태가 종료되도록 하는 사용자의 특정 동작을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최초의 상태인 제1 상태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도 9 이동 단말기의 복수의 음원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음원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창(SA)을 표시하는 제2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제2 상태로의 진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볼륨아이콘(VA)을 롱터치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절창(SA)은,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는 복수의 음원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창(SA)은 MP3 파일 등을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영역(A1),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제2 영역(A2),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를 알리는 시스템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제3 영역(A3), 수신되는 벨소리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제4 영역(A4)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내지 4영역(A1 내지 A4)는, 볼륨조절바(S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영역에 대응된 볼륨을 각각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볼륨조절바(SB)가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볼륨조절바(SB)를 통하여 특정 영역의 볼륨을 조절하면, 다른 영역의 볼륨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해당 영역에 대응된 볼륨만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벨소리 등의 다른 볼륨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상태 진입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드래그 터치가 입력되면 조절창(SA)을 표시하는 제2 상태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모서리 영역에는 폴딩영역(FA)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폴딩영역(FA)은, 종이의 모서리가 접혀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영역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음원의 종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폴딩영역(FA)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음원의 개수가 단수일 때는 폴딩영역(FA)을 표시하지 않고, 음원의 개수가 복수가 될 때 폴딩영역(FA)을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폴딩영역(FA)을 터치한 후에 일정 거리 이상 드래그(drag)하는 터치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동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조절창(SA)을 표시하는 제2 상태롤 표시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9 이동 단말기의 복수의 음원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창의 조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조절창(SA)을 다양한 방법으로 조작할 수 있다.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조철창(SA) 내부의 복수의 영역을 선택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의 드래그 터치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A1)을 터치한 제1 손가락(F1)과 제2 영역(A2)을 터치한 제2 손가락(F2)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드래그 터치동작에 의하여 제1,2 영역(A1, A2)이 병합되어 제5 영역(A5)이 생성될 수 있다. 제5 영역(A5)은, 병합되기 전의 영역인 제1,2 영역(A1, A2)에 대응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볼륨 조절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즉, 병합 전에 따로 조작되는 MP3와 내비게이션의 볼륨을, 병합 후에는 한 번의 조작으로 동시에 조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와 같은 점은, 해당 영역의 볼륨조절바(SB)가 하나로 병합된 점을 통하여 직관적으로 인지될 수 있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병합된 제5 영역(A5)을 제1,2 손가락(F1, F2)으로 터치한 후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영역(A5)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동작을 수행하면, 병합되었던 제5 영역(A5)이 최초 상태로 분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P3와 내비게이션 각각의 볼륨을 별도로 조작할 수 있는 상태가 됨을 의미한다.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F)을 이용하여 제1 영역(A1)에서 제4 영역(A4)으로 드래그 터치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영역(A1)에서 제4 영역(A4)으로의 드래그 터치동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제1 영역(A1)에 대응되었던 MP3 어플리케이션의 볼륨과 제4 영역(A4)에 대응되었던 벨소리 볼륨을 한번에 조절할 수 있는 제6 영역(A6)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서로 인접한 영역 뿐만 아니라 상호 이격되어 있는 영역도 병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창의 조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조절창(SA)을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창(SA)은 원형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조절창(SA)의 각 영역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볼륨을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의 볼륨이 상대적으로 크고 벨이나 MP3 볼륨은 상대적으로 작은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영역을 터치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드래그할 수 있다.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영역을 터치하여 드래그하면, 제어부(180)는 그에 대응되도록 조절창(SA)의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조절창(SA)의 표시가 변경됨은, 그에 대응되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볼륨이 조절됨을 의미한다.
조절창(SA)의 표시가 변경되면, 복수의 음원이 출력되는 비율이 조절됨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의 총 출력을 1 이라고 할 때, 알람 음원의 출력량의 비율이 0.5에서 0.3 으로 조절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출력량의 비율 또는 출력의 비율이 작아지면, 상대적인 음량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상대적인 음량의 크기가 작아지면, 동시에 복수의 음원이 출력될 때 사용자가 그 소리를 인지할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력의 비율을 높이거나 낮춤으로써, 사용자가 알고 싶은 정보를 선택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창(SA) 중 특정 영역을 손가락(F)으로 터치하여 다른 영역과의 경계까지 드래그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P3 영역의 경계를 터치하여 알람의 경계까지 드래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영역의 경계를 다른 영역의 경계까지 드래그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180)는 해당 영역에 대응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볼륨을 “0”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볼륨이 “0”이 되면, 제어부(180)는 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P3에 대응된 영역이 사라지도록 함으로써, MP3의 볼륨이 “0”이 되며 그와 함께 MP3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볼륨이 “0”이 된다는 점은, 특정 음원의 출력이 임계값 이하로 된다고 볼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로 볼륨이 조절되면 그에 대응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특정 음원이 특정 출력디바이스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음원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음원, MP3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음원 및 통화와 관련된 음원이 존재하고 있을 수 있다.
출력부(150)는 복수의 출력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 이어폰, 블루투스 이어폰 등이 이동 단말기(100)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특정한 음원이 특정한 출력디바이스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음원은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고, MP3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음원은 이어폰을 통하여 출력되고, 통화와 관련된 음원은 블루투스 이어폰을 통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특정한 음원을 특정한 출력디바이스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환경에 최적화되도록 출력디바이스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음원이 특정 출력디바이스에 대응되어 있으면, 그에 대응된 조절창(SA)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A1)에는 스피커로 출력되고 있는 음원의 볼륨, 제2 영역(A2)에는 이어폰으로 출력되고 있는 음원의 볼륨, 제3 영역(A3)에는 블루투스 이어폰으로 출력되고 있는 음원의 볼륨이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각 영역을 터치하여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다른 단말기(200, 300, 400)와의 다자간 통화(conference call) 동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다른 단말기(200, 300, 400)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단말기(200, 300, 400)와의 통화는, 1:1 또는 1:다(多)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다른 단말기(200, 300, 400) 중 하나인 “Kim"과 통화 중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제1 영역(A1)에 통화 중인 상대방을 식별할 수 있는 표시 및/또는 그 상대방과의 통화 볼륨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영역(A1)의 통화 볼륨 게이지를 터치하여 통화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Kim"과 통화 중 "Lee"와의 통화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을 분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제1 영역(A1)에 대응된 상대방과의 통화와 제2 영역(A2)에 대응된 상대방과의 통화가 별도로 수행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와 "Kim"의 통화내용이 "Lee"에게 전달되지 않고 그 반대의 경우도 동일한 상태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F) 등으로 제2 영역(A2)에서 제1 영역(A1)까지 드래그 터치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드래그 터치동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Kim"과 “Lee"를 하나의 영역인 제3 영역(A3)에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영역인 제3 영역(A3)에 복수의 상대방을 표시되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Kim", "Lee" 사이에 다자간 통화(conference call)가 수행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병합된 제3 영역을 분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병합된 영역이 분리되면, 다자간 통화가 종료될 수 있다.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창(SA)에는 제1 내지 3 영역(A1, A2, A3)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각 영역은 통화 중인 상대방에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각 영역에는 통화 중인 상대방과의 통화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조절바(SB)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조절창(SA)의 제1 내지 3 영역(A1, A2, A3) 중 특정 영역의 볼륨조절바(SB)를 조작할 수 있다. 특정 영역의 볼륨조절바(SB)를 조절하면, 그에 대응된 상대방과의 통화 볼륨이 조절될 수 있다.
볼륨조절바(SB)를 조절함으로써 특정 상대방과의 통화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가락(F) 등으로 제3 영역(A3)의 볼륨조절바(SB)를 조작할 수 있다.
도 2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제3 영역(A3)에 대응된 “Park"과의 통화 볼륨이 "0"으로 될 수 있다. 즉, "Park"과의 통화음이 임계값 이하로 조절되었음을 의미한다.
도 2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상대방과의 통화 볼륨이 “0”으로 되면, 그 상대방과의 통화가 종료될 수 있다. 즉, 볼륨을 조절하는 동작만으로 별도의 조작 없이 통화 상태를 제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7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3차원 이퀄라이저에 대한 조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3차원 형태로 표시되는 이퀄라이저(equalizer)에 대한 조작을 통하여 음원의 출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3차원 형태의 표시는, 양안시차효과를 이용하여 이미지가 입체적으로 표현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양안시차를 이용한 입체 이이지의 표현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나아가, 표현의 한계에 의하여 도면에는 평면적으로 표현하였으나, 도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는 양안시차를 이용한 입체 이미지로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도 2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창(SA)에는 제1 내지 4 영역(A1 내지 A4)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보다 세밀하게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 내지 4영역(A1 내지 A4) 중 특정 영역을 손가락(F) 등으로 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P3 어플리케이션의 출력을 보다 세밀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조절창(SA)이 표시된 상태에서 MP3 어플리케이션의 출력에 대응된 제1 영역(A1)을 롱터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영역(A1)이 롱터치되면 그에 대응된 MP3 어플리케이션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3차원 형태의 이퀄라이저가 표시될 수 있다.
3차원 형태의 이퀄라이저는, 사용자의 좌우측 귀(도 28의 LE, RE)로 들리는 입체음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화면일 수 있다. 3차원 형태의 이퀄라이저는, 사용자의 좌측귀(도 28의 LE)에 가깝게 들리는 음은 좌측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우측귀(도 28의 RE)에 가깝게 들리는 음은 우측에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상대적으로 멀리서 들리는 것과 같음 음은 멀고 작게 표시하고, 상대적으로 가깝게 들리는 것과 같은 음은 가깝고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크고 정면에서 들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500 Hz 영역대의 음에 대응된 제2 입체아이콘(E2)은 중앙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고 왼쪽에서 들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100 Hz 영역대의 음에 대응된 제1 입체아이콘(E1)은 좌측에 표시하고, 상대적으로 작고 우측에서 들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1000 Hz 영역대의 음에 대응된 제3 입체아이콘(E3)은 우측에 표시할 수 있다.
음원의 출력형태에 대응되도록 입체아이콘을 표시하고, 표시한 입체아이콘을 조절하여 음원의 출력형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으로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조절창(SA)으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복귀아이콘(BB)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귀아이콘(BB)을 선택하면, 3차원 형태의 이퀄라이저가 종료되고 조절창(SA)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차원 형태의 이퀄라이저의 조절에 대응하여 각 영역대의 음이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U)는 각 좌측귀 및/또는 우측귀(LE, RE)를 통하여 특정한 영역대의 음을 보다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안시차효과에 의하여 이미지가 3차원 형태로 인지될 수 있다.
제1 영상 객체(10)는, 사용자가 좌안(20a)으로 보는 좌안영상(10a)과 우안(20b)으로 보는 우안영상(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좌안영상(10a)과 우안영상(10b)을 통해 제1 영상 객체(10)에 대응되는 제1 양안시차(d1) 및/또는 제2 영상 객체(11)에 대응되는 제2 양안시차(d2)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영상변환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생성된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이용하여 제1 영상 객체(10)의 양안시차와 제2 영상 객체(11)의 양안시차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도 3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한 입체아이콘을 조작할 수 있다. 입체아이콘이 조작되면, 제어부(180)는 그 입체아이콘에 대응된 음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2 손가락(E1, E2)를 사용하여 제2 입체아이콘(E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입체아이콘(E2)의 크기를 축소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제2 입체아이콘(E2)의 크기가 축소될 수 있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입체아이콘(E2)의 크기가 축소되면, 그에 대응된 500 Hz 영역대 음의 출력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이 수행되기 전인 t1 시점 이전에 0.5 의 비율로 출력되던 500 Hz 영역대의 음이, 제2 입체아이콘(E2)의 축소에 대응되도록 감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대적으로 다른 영역대의 음의 출력을 일정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F) 등을 이용하여 특정 입체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입체아이콘(E3)을 터치하여 제2 입체아이콘(E2)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드래그 터치동작에 의하여 1000 Hz 영역대에 대응된 제3 입체아이콘(E3)과 500 Hz 영역대에 대응된 제3 입체아이콘(E2)의 위치가 교환될 수 있다. 입체아이콘의 위치가 교환되면, 제어부(180)는 그에 대응되도록 각 영역대의 음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아이콘의 위치 변경 전에는 1000 Hz 영역대의 음이 우측에서 들리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었다면, 위치 변경 후에는 500 Hz 영역대의 음이 우측에서 들리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입체아이콘의 위치 변경 전에는 500 Hz 영역대의 음이 가까운 곳에서 들리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었다면, 위치 변경 후에는 1000 Hz 영역대의 음이 가까운 곳에서 들리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 모듈
180 : 제어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 모듈
180 : 제어부
Claims (20)
- 복수의 음원(sound source)을 저장한 메모리;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음향출력 모듈로 출력하거나 출력대기 중인 상태에서 획득한 특정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이벤트를 획득하면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조절창을 표시하고,
상기 조절창을 통하여 획득한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고,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음원에 대응되도록 상기 조절창을 복수의 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복수의 영역에 대한 복수의 터치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복수의 터치에 대응된 상기 복수의 영역을 병합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을 병합하면, 상기 병합한 하나의 영역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었던 복수의 음원에 대한 조절을 동시에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획한 복수의 영역 각각에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볼륨조절바를 더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병합하여 표시한 영역에 대한 복수의 터치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병합된 복수의 영역을 별도의 영역으로 분리하여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 복수의 음원(sound source)을 저장한 메모리;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음향출력 모듈로 출력하거나 출력대기 중인 상태에서 획득한 특정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이벤트를 획득하면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조절창을 표시하고,
상기 조절창을 통하여 획득한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고,
상기 획득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원 각각이 출력되는 비율을 조절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음원 중 특정 음원의 출력이 임계값 이하로 조절되면, 상기 특정 음원에 대응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 모듈은 복수의 출력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음원을 상기 복수의 출력디바이스로 분산하여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원은,
복수의 다른 디바이스의 사용자와의 통화음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음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이 임계값 이하로 조절되면, 상기 임계값 이하로 조절된 통화음에 대응된 다른 디바이스의 사용자와의 통화를 종료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원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콘텐츠 음원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과 관련된 시스템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스트리밍(streaming)방식으로 획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적어도 하나의 음원의 출력을 3차원적으로 표시하는 이퀄라이저화면을 더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특정 이벤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한 터치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음원과 관련된 영상(image)을 출력 중인 상태에서 특정 이벤트를 획득하면,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적어도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음원 중 특정한 음원에 우선권(priority)을 부여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특정한 음원에 우선권이 부여된 상태에서 특정한 이벤트를 획득하면,
상기 우선권이 부여되지 않은 다른 음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2879A KR101875743B1 (ko) | 2012-01-10 | 2012-01-10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US13/714,721 US9182901B2 (en) | 2012-01-10 | 2012-12-14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EP12199136.8A EP2615805B1 (en) | 2012-01-10 | 2012-12-21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201310008667.1A CN103200307B (zh) | 2012-01-10 | 2013-01-09 |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2879A KR101875743B1 (ko) | 2012-01-10 | 2012-01-10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1837A KR20130081837A (ko) | 2013-07-18 |
KR101875743B1 true KR101875743B1 (ko) | 2018-07-06 |
Family
ID=47632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2879A KR101875743B1 (ko) | 2012-01-10 | 2012-01-10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182901B2 (ko) |
EP (1) | EP2615805B1 (ko) |
KR (1) | KR101875743B1 (ko) |
CN (1) | CN103200307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6155A (ko) * | 2019-01-08 | 2020-07-16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터치키의 입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740842S1 (en) * | 2013-08-20 | 2015-10-13 | Jovia, Inc. |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CN104516720B (zh) * | 2013-09-26 | 2018-08-07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音量调节方法、装置和电子设备 |
USD751569S1 (en) * | 2013-10-02 | 2016-03-15 | Verchaska Llc |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CN104660793A (zh) * | 2013-11-21 | 2015-05-27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智能终端音效控制方法、系统及智能终端 |
CN104683550A (zh) * | 2013-11-28 | 2015-06-03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
US9652044B2 (en) | 2014-03-04 | 2017-05-16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Proximity sensor-based interactions |
HUE039773T2 (hu) | 2014-06-11 | 2019-02-28 | Huawei Tech Co Ltd | Eljárás és terminál egy alkalmazás szolgáltatás gyorsindítására |
WO2016036552A1 (en) | 2014-09-02 | 2016-03-10 | Apple Inc. | User interactions for a mapping application |
AU2016215440B2 (en) | 2015-02-02 | 2019-03-14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stablishing a relationship and connection between two devices |
US9990113B2 (en) | 2015-09-08 | 2018-06-05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oving a current focus using a touch-sensitive remote control |
AU2016101424A4 (en) * | 2015-09-08 | 2016-09-15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audiovisual feedback |
CN105608427A (zh) * | 2015-12-17 | 2016-05-25 | 安徽寰智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人机交互系统中的双目测量装置 |
KR102546212B1 (ko) * | 2016-01-05 | 2023-06-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소리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DK201770423A1 (en) | 2016-06-11 | 2018-01-15 | Apple Inc |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
US11816325B2 (en) | 2016-06-12 | 2023-11-14 | Apple Inc. | Application shortcuts for carplay |
CN107526565A (zh) * | 2017-08-31 | 2017-12-29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界面显示控制方法、移动终端 |
US11863700B2 (en) * | 2019-05-06 | 2024-01-02 | Apple Inc. | Providing user interfaces based on use contexts and managing playback of media |
KR20210007289A (ko) | 2019-07-10 | 2021-01-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CN112309449A (zh) * | 2020-10-26 | 2021-02-02 | 维沃移动通信(深圳)有限公司 | 音频录制方法及装置 |
WO2022108241A1 (ko) * | 2020-11-18 | 2022-05-2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음량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2768A (ko) * | 2002-11-14 | 2004-05-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20050072425A (ko) * | 2005-03-30 | 2005-07-11 |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 정보 어드레스에 기초한 밸런스 셋팅 기능을 갖는 오디오시스템 |
KR100664961B1 (ko) * | 2005-09-29 | 2007-01-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중 음향 출력을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 |
KR20080048701A (ko) * | 2006-11-29 | 2008-06-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우선순위에 따른 실행파일의 처리방법 및 장치 |
US20080160979A1 (en) * | 2006-12-29 | 2008-07-03 | Nokia Corporation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Output Volume |
KR101002852B1 (ko) * | 2007-07-12 | 2010-12-21 | 엔비디아 코포레이션 |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의 아이콘들의 관리 |
KR20110065546A (ko) * | 2008-10-03 | 2011-06-15 |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 오디오 및 비디오의 분산 처리 |
KR20110067755A (ko) * | 2009-12-15 | 2011-06-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장치 |
KR20110079384A (ko) * | 2009-12-31 | 2011-07-07 | 사단법인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90359B1 (en) * | 1992-04-27 | 2002-12-03 | David A. Gibson |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visual images to mix sound |
JPH0887397A (ja) * | 1994-09-20 | 1996-04-02 | Hitachi Ltd | 音量調整装置 |
US7502480B2 (en) * | 2003-08-19 | 2009-03-10 | Microsoft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flat audio volume control model |
US8768494B1 (en) * | 2003-12-22 | 2014-07-01 | Nvidia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olicy-based audio |
CN100403655C (zh) * | 2004-09-21 | 2008-07-16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音频输出通道切换装置及方法 |
US7774706B2 (en) * | 2006-03-21 | 2010-08-10 | Sony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mixing media content |
JP2007329806A (ja) * | 2006-06-09 | 2007-12-20 | Keio Gijuku | 端末装置、及び複数音源の制御方法 |
US8471873B2 (en) * | 2006-10-17 | 2013-06-25 | Oracle America, Inc. | Enhanced UI operations leveraging derivative visual representation |
CN101459717B (zh) * | 2007-12-11 | 2013-03-27 |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 无线终端和在其中实现多声道复用的方法 |
US8595624B2 (en) * | 2010-10-29 | 2013-11-26 | Nokia Corporation | Software application output volume control |
US8645872B2 (en) * | 2010-11-30 | 2014-02-04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User interfaces for facilitating merging and splitting of communication sessions |
-
2012
- 2012-01-10 KR KR1020120002879A patent/KR10187574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12-14 US US13/714,721 patent/US918290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12-21 EP EP12199136.8A patent/EP2615805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3
- 2013-01-09 CN CN201310008667.1A patent/CN10320030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2768A (ko) * | 2002-11-14 | 2004-05-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20050072425A (ko) * | 2005-03-30 | 2005-07-11 |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 정보 어드레스에 기초한 밸런스 셋팅 기능을 갖는 오디오시스템 |
KR100664961B1 (ko) * | 2005-09-29 | 2007-01-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중 음향 출력을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 |
KR20080048701A (ko) * | 2006-11-29 | 2008-06-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우선순위에 따른 실행파일의 처리방법 및 장치 |
US20080160979A1 (en) * | 2006-12-29 | 2008-07-03 | Nokia Corporation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Output Volume |
KR101002852B1 (ko) * | 2007-07-12 | 2010-12-21 | 엔비디아 코포레이션 |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의 아이콘들의 관리 |
KR20110065546A (ko) * | 2008-10-03 | 2011-06-15 |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 오디오 및 비디오의 분산 처리 |
KR20110067755A (ko) * | 2009-12-15 | 2011-06-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장치 |
KR20110079384A (ko) * | 2009-12-31 | 2011-07-07 | 사단법인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6155A (ko) * | 2019-01-08 | 2020-07-16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터치키의 입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KR102680277B1 (ko) * | 2019-01-08 | 2024-07-01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터치키의 입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200307B (zh) | 2017-04-12 |
CN103200307A (zh) | 2013-07-10 |
EP2615805A3 (en) | 2017-10-04 |
US20130179784A1 (en) | 2013-07-11 |
KR20130081837A (ko) | 2013-07-18 |
EP2615805A2 (en) | 2013-07-17 |
EP2615805B1 (en) | 2019-08-14 |
US9182901B2 (en) | 2015-1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5743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2036783B1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
KR101830656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101867513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850821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 |
KR101901929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 |
KR101997449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
KR101196751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
KR20150007159A (ko) |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30122334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094448A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
KR20150032011A (ko) |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791061B1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오디오 재생 방법 | |
KR20150033355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50068838A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
KR20140103525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20100115226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 |
KR101604357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뉴 표시 방법 | |
KR101851295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20120025304A (ko) | 이동 단말기에서 입체음향 출력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 | |
KR101637389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2036784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984183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065511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101634007B1 (ko) |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