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063U -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 - Google Patents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063U
KR20090006063U KR2020070020144U KR20070020144U KR20090006063U KR 20090006063 U KR20090006063 U KR 20090006063U KR 2020070020144 U KR2020070020144 U KR 2020070020144U KR 20070020144 U KR20070020144 U KR 20070020144U KR 20090006063 U KR20090006063 U KR 200900060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vibration damping
drive
driven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욱
Original Assignee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20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063U/ko
Publication of KR200900060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0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05B69/32Vibration-minimis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제장치의 진동감쇠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봉제장치의 구동축 및 종동축에 각각 진동 감쇠축을 구비하여 구동축 및 종동축의 진동을 감쇠하는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는, 구동원으로부터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바늘대를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구동축과; 베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에 소정의 동력전달수단을 이용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바늘대에 연동되어 봉제물 상에 바늘땀을 형성하는 가마를 구동시키는 종동축;으로 구성되는 봉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각각 배설되어 외주면 상에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에 각각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가 구비된 진동 감쇠축 및; 상기 진동 감쇠축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봉제장치의 구동축 및 종동축에 각각 진동 감쇠 축을 구비하여 구동축 및 종동축의 진동을 줄이므로써, 보다 정교한 봉제물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동축, 종동축, 기어, 진동, 감쇠

Description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Vibrating diminution structure of sewing machine}
본 고안은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봉제장치의 구동축 및 종동축에 각각 진동 감쇠축을 구비하여 구동축 및 종동축의 진동을 줄이는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봉제장치의 구/종동축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제장치(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91)에 연결된 구동축(50)과, 상기 구동축(50)과 소정의 동력전달수단(60)을 이용 연결되어 구동되는 종동축(7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봉제장치(10)의 구동시 상기 구동축(50)과 상기 종동축(70)에 진동이 발생되어 재봉시 정교한 재봉을 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어왔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축(50)과 실체기(83)와 평형추(85)를 통해 연결된 바늘대(80)가 상/하 왕복운동을 하게되면 관성력이 발생하여, 상기 구동축에 상기 관성력이 전달됨으로 인하여 진동이 발생되고, 아울러 상기 구동축(50)의 토오크(torque)가 변동한다. 이때, 구동축(50)의 토오크가 변동됨으로 인하여 커플 링(95)을 통해 모터 회전축(92)에 영향을 미치고, 이로인해 모터(91)로부터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연결축(60)을 통해 종동축(70)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때 상기 구동축(50)에서 발생된 진동과 변동된 토오크가 전달되는 단점이 존재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봉제장치의 구동축과 종동축에 각각 구동축진동 감쇠축과 종동축진동 감쇠축을 구비하여 구동축 및 종동축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는, 구동원으로부터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바늘대를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구동축과; 베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에 소정의 동력전달수단을 이용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바늘대에 연동되어 봉제물 상에 바늘땀을 형성하는 가마를 구동시키는 종동축;으로 구성되는 봉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각각 배설되어 외주면 상에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에 각각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가 구비된 진동 감쇠축 및; 상기 진동 감쇠축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감쇠축의 외주면 상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재는 치차로 구비되어, 상기 치차와 맞물림 결합되는 구동치차를 이용 구동축과 종동축의 회전 구동력을 진동감쇠축으로 전달하는 것리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진동감쇠축의 외주면 상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재는 타이밍 풀리로 이루어져 타이밍 벨트를 이용 구동축과 종동축의 회전 구동력을 진동감쇠축으 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일측에 베어링이 장착되어 상기 진동 감쇠축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는 봉제장치의 구동축과 종동축에 각각 구동축진동 감쇠축과 종동축진동 감쇠축을 구비하여 구동축 및 종동축의 진동을 줄이므로써, 보다 정교한 봉제물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는 구동축(110), 구동축진동 감쇠축(120), 동력전달수단, 종동축(140), 종동축진동 감쇠축(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축(110)은 봉제장치(100)의 상측부에 구성된 아암부(170)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110)의 일측 외주면에 구동치차(111)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상기 구동축(110)의 타측 외주면에 구동축기어(115)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구동축진동 감쇠축(120)은 상기 구동축(11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 되고, 외측부에 상기 구동축(110)의 상기 구동치차(111)와 맞물림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재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동력전달 부재는 치차(12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동축(140)은 상기 봉제장치(100)의 하측부에 구성된 배드부(160)에 구비되고, 상기 종동축(140)의 일측 외주면에 구동치차(141)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상기 종동축(140)의 타측 외주면에 종동축기어(145)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종동축진동 감쇠축(150)은 상기 종동축(14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 외측부에 상기 종동축(140)의 상기 구동치차(141)와 맞물림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재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치차(15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양끝단에 기어부가 형성된 연결축(130)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축(130)의 일측에 형성된 구동축연결기어(133)가 상기 구동축기어(115)와 맞물림 결합되되 수직방향으로 맞물림 기어결합 되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축기어(115)와 상기 구동축연결기어(133)는 직선형 베벨기어의 형태로 구비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축(130)의 타측에 형성된 종동축연결기어(137)가 상기 종동축기어(145)와 맞물림 결합하되 수직방향으로 맞물림 기어결합 되어진다. 이때, 상기 종동축기어(145)와 상기 종동축연결기어(137)는 직선형 베벨기어의 형태로 구비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축(110)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축풀리(233)와, 상기 구동축풀리(233)와 타이밍벨트(230)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종동축으로 전달하는 종동축풀리(235)를 포함하여 이 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구동축(110)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진동 감쇠축(120)의 외주면 상에 구비되는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종동풀리(124)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축(110)에는 구동풀리(114)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종동풀리(124)와 상기 구동풀리(114)에 타이밍벨트(125)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종동축(140)과 연결되어 상기 종동진동 감쇠축(150)의 외주면 상에 구비되는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종동풀리(154)로 이루어지고, 상기 종동축(140)에는 구동풀리(144)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종동풀리(154)와 상기 구동풀리(144)에 타이밍벨트(155)가 연결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축진동 감쇠축(120) 및 상기 종동축진동 감쇠축(150)은 각각 봉제장치(100)에 장착된 다수의 지지프레임(122,152)에 의해 지지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22,152)의 일측에 베어링(미도시)이 장착되어 상기 구동축진동 감쇠축(120) 또는 상기 종동축진동 감쇠축(15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의 외측부는 상기 지지프레임(122,152)에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의 내주면에 상기 구동축진동 감쇠축(120) 또는 상기 종동축진동 감쇠축(15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봉제장치(100)의 모터(191)가 작동시 상기 모터(191)의 모터 회전축(192)과 커플링(195)에 의해 결합된 구동축(110)이 회전하고, 상기 구동축(110)의 구동축기어(115)와 일측이 맞물림 기어결합된 연결축(130)이 회전하게 되어진다. 또한, 상기 구동축(110)에 구비된 구동치차(111)가 상기 구동축(110)과 동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축의 구동치차(111)에 맞물림 결합된 구동축진동 감쇠축(120)의 치차(121)가 회전하게되고, 아울러 구동축진동 감쇠축(120)이 회전하게 되어지되, 상기 구동축진동 감쇠축(120)의 회전방향은 상기 구동축(1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축진동 감쇠축(120)은 상기 구동축(110)의 진동을 감쇠하게 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110)과 종동축(140)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이 연결축(130)으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축(13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축(130)의 타측과 기어결합된 상기 종동축(140)이 회전하게 되어진다. 또한, 상기 종동축(140)에 구비된 구동치차(151)가 상기 종동축(140)과 동회전함에 따라 상기 종동축(140)의 구동치차(141)에 맞물림 결합된 종동축진동 감쇠축(150)의 치차(151)가 회전하게되고, 아울러 상기 종동축진동 감쇠축(150)이 회전하게 되어지되, 상기 종동축진동 감쇠축(150)의 회전방향은 상기 종동축(1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종동축진동 감쇠축(150)은 상기 종동축(140)의 진동을 감쇠하게 되어진다.
여기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수단이 구동축풀리(233) 와 상기 구동축풀리(233)에 타이밍벨트(230)로 연결된 종동축풀리(235)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110)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축(140)으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봉제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를 나타낸 정면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를 나타낸 정면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를 나타낸 정면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봉제장치 20 : 아암부
30 : 베드부 40 : 몸체부
50 : 구동축 60 : 연결축
63 : 연결기어 67 : 연결기어
70 : 종동축 75 : 종동축기어
80 : 바늘대 83 : 실체기
85 : 평형추 90 : 핸드풀리
91 : 모터 92 : 모터 회전축
95 : 커플링 100: 봉제장치
110: 구동축 111: 구동치차
114: 구동풀리 115: 구동축기어
120: 구동축진동 감쇠축 121: 치차
122: 지지프레임 124: 종동풀리
125: 타이밍벨트 130: 연결축
133: 구동축연결기어 137: 종동축연결기어
140: 종동축 141: 구동치차
145: 종동축기어 150: 종동축진동 감쇠축
151: 치차 152: 지지프레임
153: 종동풀리 155: 타이밍벨트
160: 베드부 170: 아암부
180: 바늘대 183: 실체기
185: 평형추 190: 핸드풀리
191: 모터 192: 모터 회전축
195: 커플링 230: 타이밍 벨트
233: 구동축풀리 235: 종동축풀리

Claims (4)

  1. 구동원으로부터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바늘대를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구동축과;
    베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에 소정의 동력전달수단을 이용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바늘대에 연동되어 봉제물 상에 바늘땀을 형성하는 가마를 구동시키는 종동축;으로 구성되는 봉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각각 배설되어 외주면 상에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에 각각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가 구비된 진동 감쇠축 및;
    상기 진동 감쇠축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쇠축의 외주면 상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재는 치차로 구비되어, 상기 치차와 맞물림 결합되는 구동치차를 이용 구동축과 종동축의 회전 구동력을 진동감쇠축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쇠축의 외주면 상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재는 타이밍 풀리로 이루어져 타이밍 벨트를 이용 구동축과 종동축의 회전 구동력을 진동감쇠축으로 전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일측에 베어링이 장착되어 상기 진동 감쇠축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
KR2020070020144U 2007-12-14 2007-12-14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 KR200900060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144U KR20090006063U (ko) 2007-12-14 2007-12-14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144U KR20090006063U (ko) 2007-12-14 2007-12-14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063U true KR20090006063U (ko) 2009-06-18

Family

ID=4129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144U KR20090006063U (ko) 2007-12-14 2007-12-14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06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273B1 (ko) * 2014-07-29 2015-02-24 김광연 재봉틀의 하축 지지장치
KR101527811B1 (ko) * 2014-07-29 2015-06-10 김광연 재봉틀의 상축 베어링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273B1 (ko) * 2014-07-29 2015-02-24 김광연 재봉틀의 하축 지지장치
KR101527811B1 (ko) * 2014-07-29 2015-06-10 김광연 재봉틀의 상축 베어링 장치
WO2016017938A1 (ko) * 2014-07-29 2016-02-04 김광연 재봉틀의 상축 베어링 장치
WO2016017933A1 (ko) * 2014-07-29 2016-02-04 김광연 재봉틀의 하축 지지장치
CN106536805A (zh) * 2014-07-29 2017-03-22 金光沿 缝纫机的下轴支撑装置
CN106536805B (zh) * 2014-07-29 2019-12-10 金光沿 缝纫机的下轴支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7477U (ja) 多機能マッサージ器
CN1752321A (zh) 缝纫机的送布装置
CN103291215B (zh) 用于驱动钻杆的驱动设备和方法
WO2016019631A1 (zh) 一种超薄按摩机芯及使用该机芯的按摩器
KR101365475B1 (ko) 모터 직결식 재봉기의 이송 구조
US20210369548A1 (en) Massage mechanism and massage control device thereof, massage machine and working method of massage mechanism
JP3693107B2 (ja) 繊維ウエブのニードルパンチ装置
KR20090006063U (ko) 봉제장치의 진동감쇠구조
JP2008256011A (ja) 傘歯車を用いた同心2軸機構
CN104107796B (zh) 一种用于施工机械的振动激励器
JP5096458B2 (ja) コーミング機の供給ローラのための駆動軸
CN103361902A (zh) 缝纫机
CN207552643U (zh) 可旋转式缝针结构及其缝纫机
CN203694002U (zh) 律动运动机
KR200456153Y1 (ko) 좌우 안마구 위치를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한 안마 의자
CN209477269U (zh) 一种铸件震芯机用激振机构
EP2192220A8 (en) Buttonholing machine
JP2000245985A (ja) ミシンの動力伝達装置
KR200380292Y1 (ko) 전동침대의 전동장치
KR101978310B1 (ko) 재봉기
JPH11333179A (ja) ミシンの駆動装置
CN211689461U (zh) 一种缝纫机压脚交替量的调整装置
CN110267747A (zh) 用于给铸件除芯的除芯机
CN103801052B (zh) 一种健身装置
CN207548756U (zh) 可变减速装置和平面多关节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