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032U - 와식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와식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032U
KR20090006032U KR2020070020097U KR20070020097U KR20090006032U KR 20090006032 U KR20090006032 U KR 20090006032U KR 2020070020097 U KR2020070020097 U KR 2020070020097U KR 20070020097 U KR20070020097 U KR 20070020097U KR 20090006032 U KR20090006032 U KR 200900060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portion
body seating
exercise
upper body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윤영
Original Assignee
지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윤영 filed Critical 지윤영
Priority to KR2020070020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032U/ko
Publication of KR200900060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0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horiz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42Lying dow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와식 운동 기구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와식 운동 기구는 저면에는 바퀴 부재가 부착된 상체 안착부(10)와, 상기 상체 안착부(1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저면에는 바퀴 부재가 부착된 하체 안착부(12), 및 상기 상체 안착부(10)와 하체 안착부(1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고 좌우로 구부러질 수 있게 하며 일단은 상기 상체 안착부(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체 안착부(12)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반 가정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허리 운동 및 전신 운동이 가능한 와식 운동 기구를 제공하며, 허리 관절이 좋지 않은 디스크 환자나 노약자가 무리하게 허리 운동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비교적 무리없이 전신 운동과 허리 운동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효과가 있다.
와식, 허리, 전신, 운동

Description

와식 운동 기구{Lie down type athletic apparatus}
본 고안은 운동 기구에 대한 것으로 특히 누운 자세에서 허리 운동과 함께 전신 운동을 할 수 있는 와식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편안하게 누운 자세에서 운동을 할 수 있는 와식 운동 기구에 대한 관심이 존재한다. 등록 실용신안 제20-0436795호에는 와식 운동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 실용신안에 따르면 원기둥, 타원기둥 또는 폐곡면 기둥형상으로 되고 기둥 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다리받침부를 형성하며 상기 다리받침부의 반대쪽 측면에 고정축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본체 및 구동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누운자세로서 허리 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편안함과 운동 효과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실용신안에 공개된 와식 운동 기구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높으며 누운 상태에서 좌우 운동을 함에 있어 구동부에 의하여 작동되므로 실질적인 허리 운동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반 가정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허리 운동 및 전신 운동이 가능한 와식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와식 운동 기구는,
저면에는 바퀴 부재가 부착된 상체 안착부(10);
상기 상체 안착부(1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저면에는 바퀴 부재가 부착된 하체 안착부(12); 및
상기 상체 안착부(10)와 하체 안착부(1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고 좌우로 구부러질 수 있게 하며 일단은 상기 상체 안착부(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체 안착부(12)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식 운동 기구는,
상기 상체 안착부(10)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며 안으로 오목한 요홈을 구비하는 머리 받침부(102); 및
상기 하체 안착부(12)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며 양 다리를 거치할 수 있도록 안으로 오목한 요홈을 구비하는 다리 받침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4)는,
상기 상체 안착부(10)와 하체 안착부(1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거리 조절부(142); 및
좌우로 구부러질 수 있는 가요성 스프링(144);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와식 운동 기구는 일반 가정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허리 운동 및 전신 운동이 가능한 와식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식 운동 기구의 구조를 사시도로써 나타내었고, 도 2에는 도 1의 연결 부재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내었으며, 도 3에는 바퀴 부재의 구조를 측단면도로서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식 운동 기구는 저면에는 바퀴 부재가 부착된 상체 안착부(10)와, 상기 상체 안착부(1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저면에는 바퀴 부재(16)가 부착된 하체 안착부(12), 및 상기 상체 안착부(10)와 하체 안착부(1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고 좌우로 구부러질 수 있게 하며 일단은 상기 상체 안착부(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체 안착부(12)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14)를 구비한다. 상체 안착부(10)의 저면에 구비되는 바퀴 부재는 하체 안착 부(12)의 저면에 구비되는 바퀴 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하체 안착부(12)의 저면에 구비되는 바퀴 부재(16)는 일단은 하체 안착부(12)의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걸림턱을 구비하는 고정축(161)과, 일측에는 상기 고정축이 관통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며 바퀴가 수납되는 바퀴 수납부(162)와, 상기 바퀴 수납부(162)로부터 연장된 회전축(162a)과, 상기 회전축(162a)에 고정되어 지면(G)에서 회전하게 되는 바퀴(163)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식 운동 기구는 상기 상체 안착부(10)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며 안으로 오목한 요홈을 구비하는 머리 받침부(102), 및 상기 하체 안착부(12)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며 양 다리를 거치할 수 있도록 안으로 오목한 요홈을 구비하는 다리 받침부(12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4)는 상기 상체 안착부(10)와 하체 안착부(1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거리 조절부(142), 및 좌우로 구부러질 수 있는 가요성 스프링(144)을 포함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와식 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측면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 고안에 따른 와식 운동기구에 누워 전신을 비틀면서 허리 운동과 함께 전신 운동을 시도하게 된다. 도 5a 및 도 5b에는 본 고안에 따른 와식 운동 기구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내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허리를 어느 한쪽으로 구부려 비틀면 상체 안착부(50a)와 하체 안착부(52a)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이 일측으로 구부러지면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되며, 다시 허리를 다른 한쪽으로 구부려 비틀면 상체 안착부(50b)와 하체 안착부(52b)가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전과는 반대 방향으로 스프링이 구부러지면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된다.
도 6a 및 도 6b에는 본 고안에 따른 와식 운동 기구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내었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와식 운동 기구의 상체 안착부(60)에 목부터 가슴 부분에 해당하는 상체를 안착하고 하체 안착부(62)에 요추부터 둔부에 해당하는 하체를 안착한 상태에서 허리를 틀거나 전신을 어느 한 방향으로 비틀면 스프링(64)이 구부러지면서 허리를 구부린 상태가 되며, 스프링(64)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다시 허리가 펴지는 방향으로 반발력을 받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반발력에 의하여 허리가 펴지는 방향으로 스프링(74)의 반발력이 작용하고 사용자도 상체 안착부(70)와 하체 안착부(72)에 안착된 상체와 하체에 힘을 주면서 반대방향으로 허리를 트는 방향으로 힘을 주게 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빠른 속도로 허리가 반대 방향으로 구부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사용자는 누운 상태에서 비교적 편안하게 허리 및 전신 운동을 할 수 있고 어느 한 방향으로 힘을 주면서 허리를 구부리면 스프링의 작용에 의하여 반대 방향으로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쉽게 다른 방향으로 힘을 주면서 허리를 구부릴 수 있어 허리를 구성하는 디스크 관절을 풀어줌에 있어서 선 상태에서 허리를 좌우로 또는 앞뒤로 구부리는 것에 비하여 적은 힘을 들여 큰 각도로 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일반 가정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허리 운동 및 전신 운동이 가능한 와식 운동 기구를 제공하며, 허리 관절이 좋지 않은 디스크 환자나 노약자가 무리하게 허리 운동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비교적 무리없이 전신 운동과 허리 운동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식 운동 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연결 부재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바퀴 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와식 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와식 운동 기구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와식 운동 기구의 사용 상태도.

Claims (3)

  1. 저면에는 바퀴 부재가 부착된 상체 안착부(10);
    상기 상체 안착부(1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저면에는 바퀴 부재가 부착된 하체 안착부(12); 및
    상기 상체 안착부(10)와 하체 안착부(1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고 좌우로 구부러질 수 있게 하며 일단은 상기 상체 안착부(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체 안착부(12)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식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안착부(10)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며 안으로 오목한 요홈을 구비하는 머리 받침부(102); 및
    상기 하체 안착부(12)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며 양 다리를 거치할 수 있도록 안으로 오목한 요홈을 구비하는 다리 받침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식 운동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4)는,
    상기 상체 안착부(10)와 하체 안착부(1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거리 조절부(142); 및
    좌우로 구부러질 수 있는 가요성 스프링(1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식 운동 기구.
KR2020070020097U 2007-12-14 2007-12-14 와식 운동 기구 KR200900060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097U KR20090006032U (ko) 2007-12-14 2007-12-14 와식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097U KR20090006032U (ko) 2007-12-14 2007-12-14 와식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032U true KR20090006032U (ko) 2009-06-18

Family

ID=41290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097U KR20090006032U (ko) 2007-12-14 2007-12-14 와식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03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594B1 (ko) * 2008-03-17 2010-05-13 김희수 고관절 유연성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594B1 (ko) * 2008-03-17 2010-05-13 김희수 고관절 유연성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1616B2 (ja) 人形玩具及び該人形玩具の骨格体
US20080051271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s
US7775944B1 (en) Kinematic rotating-tilting mechanism
KR101339585B1 (ko) 구체 관절 인형
US20120306245A1 (en) Chair having a detachable backrest panel with a massager
CN109093604A (zh) 弯腰助力外骨骼设备
JP5864782B2 (ja) マッサージ機の可変指圧ボール
JP2010063873A (ja) 弾性スプリング背もたれを有する椅子
KR20090006032U (ko) 와식 운동 기구
JP4454460B2 (ja) 歩行器
CN106535998B (zh) 运动器材的调节装置
KR101108673B1 (ko) 휴대용 팔씨름 단련기
US20180289161A1 (en) Swing chair
KR102246852B1 (ko) 거북목 교정 장치
KR101334951B1 (ko) 어깨회전 운동머신
KR101269879B1 (ko) 스트레칭 기구
CN208865148U (zh) 一种新型滑雪训练机
JP2019198536A (ja) 運動補助装置
KR100927687B1 (ko) 회전형 탄성복원 침대
JP6535940B2 (ja) 運動補助器具
JP3158725U (ja) 揺動運動補助具
US9776031B2 (en) Torsion based exerciser
JP2004160172A (ja) マッサージ方法及びその装置
JP3114677U (ja) 棒状運動具
JP3206390U (ja) 健康運動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