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546A -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및 이를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및 이를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546A
KR20090005546A KR1020070068677A KR20070068677A KR20090005546A KR 20090005546 A KR20090005546 A KR 20090005546A KR 1020070068677 A KR1020070068677 A KR 1020070068677A KR 20070068677 A KR20070068677 A KR 20070068677A KR 20090005546 A KR20090005546 A KR 20090005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artridge
locking
mounting groove
locking member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8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546A/ko
Priority to US11/959,820 priority patent/US20090016779A1/en
Priority to CNA2008100955587A priority patent/CN101344742A/zh
Publication of KR20090005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삽입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유닛; 및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장착된 현상제 카트리지를 이탈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현상제 카트리지를 제거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카트리지 제거 동작에 과도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현상제 카트리지가 제거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현상제카트리지, 토너, 배출구조, 탄성부재

Description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Toner cartridge and toner cartridge lock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현상제 카트리지를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양의 현상제를 모두 소진하고 나면, 소진된 현상제 카트리지는 제거하고, 새로운 현상제 카트리지로 교체한다. 이처럼 소진된 현상제 카트리지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현상제 카트리지의 장착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장치를 해제하고 제거하는 동작을 수반해야한다.
현상제 카트리지를 록킹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제거하는 동작은 소정의 손잡이를 마련하여, 록킹이 해제된 현상제 카트리지를 잡아 당겨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처럼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소진된 현상제 카트리지를 제거할 때, 현상제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가 너무 공고(鞏固, tight)하면, 현상제 카트리지 제거를 위해 잡아당기는 힘이 많이 소요되므로, 사용자가 불편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잡아당기는 동작에 과도한 힘을 가하면, 현상제 카트리지의 융착 결합된 접합부에 제조상의 문제로 인해 불량이 발생되었을 경우, 이 부분이 손상되면서, 잔류 현상제가 누출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손쉽게 현상제 카트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삽입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유닛; 및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장착된 현상제 카트리지를 이탈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의 저벽에 설치되는 것이 좋으며, 원뿔 코일 스프링(Conical Spring)으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상보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진입하는 진입구간; 및 상기 진입구간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록크구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마련될 수도 있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 마련될 수 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 마련된 회전 손잡이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의 내부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부재; 및 상기 록킹부재를 돌출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록킹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장착위치에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후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방향으로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탈착되는 방향으로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탈착시, 사용자에 의해 함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부재; 상기 록킹부재를 돌출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록킹 탄성부재; 및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록킹부재를 수용하도록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마련된 록킹부재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록킹부재 수용홈에 대한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자체 탄성 변형 가능한 록킹부재; 및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록킹부재를 수용하도록 상기 현 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마련된 록킹부재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록킹부재 수용홈에 대한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이 마련된 화상형성장치 본체;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및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대한 현상제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한편, 현상제 카트리지의 이탈을 안내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현상제 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의해 가이드되어, 장착위치에서 록킹유닛에 의해 록킹되고, 상기 록킹유닛의 록킹 해제시에 이탈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 내에 마련된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탄성부재와 근접된 위치에 현상제 공급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는, 상기 탄성부재와 대면하는 면의 타측에 회전 손잡이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상기 록킹유닛은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록킹위치와 록킹해제위치를 탄성적으로 가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현상제 카트리지를 제거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카트리지 제거 동작에 과도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현상제 카트리지가 제거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카트리지를 장착 및 탈착할 경우, 내부의 현상제가 공급구 쪽으로 이송되면서 현상제의 공급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110),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120), 탄성부재(130) 및 록킹유닛(140)을 포함한다.
현상제 카트리지(110)는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어 있으며,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마련된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120)에 삽입/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110)에서 현상유닛(20)으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구(110a)는 현상제 카트리지(110)에서 상기 탄성부재(130) 쪽으로 치우쳐져 있다. 따라서 현상제 카트리지(110)를 장착할 경우, 장착되는 속도가 상기 탄성부재(130)로 인해 감속됨으로서, 관성의 법칙에 의해 내부의 현상제는 현상제 공급구(110a)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장착방향으로 현상제가 이동하게 되어 현상제 공급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카트리지(110)를 탈착할 경우, 탄성부재(130)로 인하여 탈착되는 쪽으로 순간적인 가속도가 발생하게 되므로, 현상제 카트리지(110) 내부의 현상제는 상기 장착시와 마찬가지로, 관성의 법칙에 의해 탄성부재(130)가 위치한 공급구 쪽으로 쏠리게 된다. 따라서 현상제 카트리지(110)를 탈착할 경우에도 현상제가 공급구 쪽으로 몰리게 되는 효과가 있어 현상제의 공급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와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120) 사이에 배치되는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전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12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120)에 장착된 현상제 카트리지(110)를 이탈 방향으로 탄력지지하여,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에 대한 록킹이 해제되면,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가 자동으로 장착위치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원뿔 코일 스프링(Conical Spring)으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원뿔 코일 스프링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스프링의 지름이 커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최대 압축시, 인접한 코일 스프링이 서로 간섭되지 않아 설치에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13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우레탄 또는 스펀지와 같은 다공성 재질이나, 판스프링 등 압축시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탄성부재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록킹유닛(140)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를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12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와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120)에는 가이드 돌기(141)와 가이드 홈(142)이 서로 상보적으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에는 회전 손잡이(111)가 형성된 회전커버(112)에 가이드 돌기(14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142)에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장착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41)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가이드 홈(142)이 형성된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홈(142)은, 상기 가이드 돌기(141)가 진입하는 진입구간(143)과, 상기 가이드 돌기(141)가 장착 고정되는 록크구간(144)을 포함한다.
상기 진입구간(143)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120)의 입구로부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장착위치까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진입방향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크구간(144)은 상기 진입구간(143)과 연결되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장착위치에서, 상기 진입구간(143)과 수직한, 상기 회전 손잡이(111)가 회전하는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가 장착위치에 도달하면, 사용자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회전 손잡이(111)를 파지하여, 이를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커버(112)가 현상제 카트리지(110)와는 별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 돌기(141)가 상기 진입구간(143)으로부터 상기 록크구간(144)으로 진입하여,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를 록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록킹유닛(24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재(241), 록킹 탄성부재(242)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재(241)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장착위치에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후단(243)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록킹부재(241)는,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120) 내측 벽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돌출시, 장착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후단(243)을 지지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부재(241)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가 삽입될 경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간섭에 의해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120) 내측 벽면 속으로 삽입되었다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가 완전히 통과하면, 다시 돌출되어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 후단을 지지한다. 상기 록킹부재(241)는 경사면(241a)과, 걸림턱(241b)을 포함하는데, 상기 경사면(241a)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가 장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걸림턱(241b)은 상기 경사면(241a)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경사면(241a)을 지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후단(243)이 걸리도록 한다.
상기 록킹유닛(240)의 록킹 해제는 사용자가 상기 록킹부재(241)의 경사면(241a)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걸림턱(241b)을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후단(243)으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러면,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는 이탈 방향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록킹유닛(340)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재(341), 록킹 탄성부재(320) 및 록킹부재 수용홈(330)을 포함한다.
상기 록킹부재(341)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록킹 탄성부재(342)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부재(341)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상기 록킹부재(341)는 경사면(341a), 걸림턱(341b) 및 레버(341c)를 포함하 는데, 상기 경사면(341a)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가 장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120)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걸림턱(341b)은 상기 경사면(341a)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록킹부재(341)가 록킹부재 수용홈(343)에 삽입/결합시, 상기 록킹부재(341)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록킹부재 수용홈(343)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120)에 마련되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가 장착위치에 도달하였을 경우, 상기 록킹부재(341)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부재(341)를 수용한다.
한편, 상기 레버(341c)는 상기 록킹부재(341)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현상 카트리지(110)의 탈착시, 사용자가 이 레버(341c)를 손으로 눌러서 상기 록킹부재 수용홈(343)으로부터 상기 록킹부재(341)를 이탈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는 이탈 방향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상기 록킹유닛(440)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재(441) 및 록킹부재 수용홈(443)을 포함한다.
상기 록킹부재(441)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에 자체 탄성변형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상기 록킹부재(441) 형성부의 내측은 일정 부피의 공간부(442)를 마련하여, 상기 록킹부재(441)가 자체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록킹부재(441)는 경사면(441a), 걸림턱(441b) 및 레버(441c)를 포함하는데, 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제 3 실시예에 의한 록킹부재(341)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내측에 설치된 록킹 탄성부재(342)에 의해 탄력지지되지만, 제 4 실시예에 의한 록킹부재(441)는 일단이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외곽으로부터 연장/돌출 되어, 자체 탄성변형에 따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상기 록킹부재 수용홈(443)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120)에 마련되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가 장착위치에 도달하였을 경우, 상기 록킹부재(441)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부재(441)를 수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레버(441c)를 가압하여, 상기 록킹부재(441)를 상기 록킹부재 수용홈(443)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현상제 카트리지(110)는 취출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 현상제 카트리지(110) 및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에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가 장착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120)이 마련되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 내부에는 현상제가 수용되어, 상기 본체(1) 내에 마련된 현상유닛(20)으로 현상제를 공급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120)에 대한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장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한편,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이탈을 안내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와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120) 사이에 탄성부재(130)가 배치되면, 현상제 카트리지(110)를 장착위치에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120)에 록킹/고정하는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와 같이 구성된 록킹장치(140)(240)(340)(440)의 록킹해제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가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탈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되므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현상제 카트리지(110)를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120)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사용자가 큰 힘을 가하여, 현상제 카트리지(110)를 잡아당겨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여러가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예컨대,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생산 과정에서의 융착 불량으로,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외부 케이스의 연결부가 현상제 카트리지(110)를 잡아당길 때,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상기 융착 불량 부위가 파손되어, 잔류 현상제 등이 누출되어 화상형성장치 내부와 사용자의 손 등을 오염시키는 것과 같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프린터, 복합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단색과 컬러 화상형성장치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그리고,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현상제 카트리지 120;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
130; 탄성부재 140,240,340,440; 록킹장치
141,241,341,441; 록킹부재 143,243,343,443; 록킹부재 수용홈

Claims (18)

  1.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삽입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유닛; 및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장착된 현상제 카트리지를 이탈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의 저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원뿔 코일 스프링(Conical Spr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상보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진입하는 진입구간; 및 상기 진입구간 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록크구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 마련된 회전 손잡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의 내부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부재; 및
    상기 록킹부재를 돌출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록킹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장착위치에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후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방향으로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탈착되는 방향으로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탈착시, 사용자에 의해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부재;
    상기 록킹부재를 돌출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록킹 탄성부재; 및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록킹부재를 수용하도록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마련된 록킹부재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록킹부재 수용홈에 대한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자체 탄성 변형 가능한 록킹부재; 및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록킹부재를 수용하도록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마련된 록킹부재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록킹부재 수용홈에 대한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15.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이 마련된 화상형성장치 본체;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및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대한 현상제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유지시 키는 한편, 현상제 카트리지의 이탈을 안내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에 의해 가이드되어, 장착위치에서 록킹유닛에 의해 록킹되고, 상기 록킹유닛의 록킹 해제시에 이탈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홈 내에 마련된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탄성부재와 근접된 위치에 현상제 공급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와 대면하는 면의 타측에 회전 손잡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록킹위치와 록킹해제위치를 탄성적으로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KR1020070068677A 2007-07-09 2007-07-09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및 이를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090005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677A KR20090005546A (ko) 2007-07-09 2007-07-09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및 이를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1/959,820 US20090016779A1 (en) 2007-07-09 2007-12-19 Toner cartridge, a toner cartridge lock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A2008100955587A CN101344742A (zh) 2007-07-09 2008-04-29 调色剂盒、调色剂盒锁定装置和具有其的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677A KR20090005546A (ko) 2007-07-09 2007-07-09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및 이를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546A true KR20090005546A (ko) 2009-01-14

Family

ID=4024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677A KR20090005546A (ko) 2007-07-09 2007-07-09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및 이를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016779A1 (ko)
KR (1) KR20090005546A (ko)
CN (1) CN1013447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69B1 (ko) * 2009-09-16 2014-09-17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상 형성제 수용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장치로의 상 형성제의 보충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CN115004114A (zh) * 2020-06-10 2022-09-02 惠普发展公司, 有限责任合伙企业 具有前盖的调色剂盒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8799B2 (en) * 2009-06-18 2012-08-07 Lexmark International, Inc. Cartridge alignment member for aligning with a developer unit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4738518B2 (ja) * 2009-09-16 2011-08-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像形成剤収容装置、像形成剤収容装置への像形成剤の補充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30312B2 (ja) * 2010-03-25 2013-0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867966B2 (en) 2011-12-30 2014-10-2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for use in an image forming device
US8948660B2 (en) 2012-04-30 2015-02-03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engagement features to actuate a developer unit shutter
US8948659B2 (en) 2012-04-30 2015-02-03 Lexmark International, Inc. Shutter for a developer unit for use with an image forming device
US20150063872A1 (en) * 2013-09-02 2015-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9152083B2 (en) 2013-10-09 2015-10-06 Lexmark International, Inc. Carriage assembly for toner cartridge loading and latching
US9280087B2 (en) 2013-11-20 2016-03-08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latching system for retaining a replaceable unit
US9261851B2 (en) 2013-11-20 2016-02-16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of a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851657B2 (en) * 2014-08-22 2017-12-26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9291992B1 (en) 2014-12-19 2016-03-22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for an imaging unit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285758B1 (en) 2014-12-19 2016-03-15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between replaceable units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411303B1 (en) 2015-04-10 2016-08-09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ing stop assembly for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6631064B2 (ja) * 2015-07-24 2020-01-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204964992U (zh) * 2015-09-10 2016-01-13 上福全球科技股份有限公司 墨粉盒的侧盖及墨粉盒
JP6372481B2 (ja) * 2015-12-09 2018-08-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665597B2 (ja) * 2016-03-08 2020-03-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の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200052726A (ko) 2018-11-07 2020-05-1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커플러 홀더 기반 토너 로킹 시스템
KR20200108687A (ko) 2019-03-11 2020-09-21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록킹 구조 및 동력 전달 구조를 갖는 구동커플러
JP7451144B2 (ja) 2019-11-14 2024-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230057224A (ko) * 2021-10-21 2023-04-28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카트리지의 잠금 해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7469B2 (en) * 2004-10-18 2008-11-0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device and mounting member for mounting a toner container there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69B1 (ko) * 2009-09-16 2014-09-17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상 형성제 수용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장치로의 상 형성제의 보충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CN115004114A (zh) * 2020-06-10 2022-09-02 惠普发展公司, 有限责任合伙企业 具有前盖的调色剂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16779A1 (en) 2009-01-15
CN101344742A (zh)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5546A (ko)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및 이를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1353154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4629508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着脱機構
EP2093626A2 (en)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2214898A (ja) 画像形成装置
US8787790B2 (en) Developing apparatus having a spacer and a leakage preventer
CN103116255B (zh) 显影剂传送装置和图像形成装置
KR101702436B1 (ko) 현상유닛 및 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N106200312B (zh) 储存容器和成像设备
JP3663542B2 (ja) 画像形成機のトナー供給容器
US20030091371A1 (en) Cartridge with a replaceable toner container for a laser printing imaging apparatus
JP3283664B2 (ja) 電子写真記録装置
US67418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members for holding a cartridge
JP2004101961A (ja) 画像形成装置
JP2605142B2 (ja) 現像装置
KR20100071671A (ko) 현상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JP6555216B2 (ja) 画像形成装置
CN101436019B (zh) 显影剂收容装置及其制造方法
JP698279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収納装置
JP2008203678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107574B2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カバー部材
US20180004130A1 (en) Transf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30273566A1 (en) Toner cartridge having front cover
US2023040896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cover having opening that allows toner cartridge to pass therethrough but does not allow drum cartridge to pass therethrough
JP2018205519A (ja) カートリッジ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