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224A - 토너 카트리지의 잠금 해제 - Google Patents

토너 카트리지의 잠금 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224A
KR20230057224A KR1020210141416A KR20210141416A KR20230057224A KR 20230057224 A KR20230057224 A KR 20230057224A KR 1020210141416 A KR1020210141416 A KR 1020210141416A KR 20210141416 A KR20210141416 A KR 20210141416A KR 20230057224 A KR20230057224 A KR 20230057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artridge
locking member
locking
main body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주
이창우
유재일
박정연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10141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7224A/ko
Priority to PCT/US2022/023587 priority patent/WO2023069136A1/en
Publication of KR20230057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한 토너 카트리지, 상기 본체와 상기 토너 카트리지 중 하나에 마련된 걸림부, 상기 본체와 상기 토너 카트리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부에 걸린 제1위치와 상기 걸림부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을 허용하는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한 로킹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토너 카트리지의 잠금 해제{unlocking toner cartridge}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매체를 거쳐 또는 직접 인쇄 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킨다.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에 착탈되는 토너 카트리지를 구비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는 수명이 다하면 교체된다. 토너 카트리지 내부에 수용된 토너가 소모되면, 본체로부터 토너 카트리지를 탈거하고,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로킹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로킹 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는 모터와 로킹 부재와의 연결관계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로킹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들로서, 도 5는 로킹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6은 로킹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7과 도 8은 로킹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들로서, 도 7은 로킹 부재가 차단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8은 로킹 부재가 전환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9는 화상형성장치의일 예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에서 로킹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에서 로킹 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2는 토너 카트리지의 일 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로킹 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4는 로킹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5와 도 16은 로킹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들로서, 회전 손잡이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와 회전 손잡이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7과 도 18은 로킹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들로서, 회전 손잡이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와 회전 손잡이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9는 토너 카트리지의 클릭 동작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클릭 제한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0은 클릭 제한 부재가 클릭 허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1은 클릭 제한 부재가 클릭 제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2는 가이드 슬롯의 개략적인 전개도이다.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교체 가능한 토너 카트리지를 구비한다. 토너 카트리지를 교체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메인 도어를 열어 토너 카트리지를 노출시킨다. 본체로부터 토너 카트리지를 빼내고,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한 후에 메인 도어를 닫는다. 메인 도어를 열면 토너 카트리지가 노출되는 구조에 따르면, 사용자가 적절한 교체 절차를 거치지 않고 임의로 토너 카트리지를 교체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에러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기 전에 사용자가 임의로 토너 카트리지를 교체하여, 불필요한 소모품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에 따르면, 토너 카트리지와 본체 중 어느 하나에 걸림부가 마련되고, 토너 카트리지와 본체 중 다른 하나에 걸림부에 걸린 제1위치와 걸림부로부터 해지되어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을 허용하는 제2위치로 전환가능한 로킹 부재가 마련된다. 로킹 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된 경우에 토너 카트리지의 탈거가 허용되며, 로킹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된 경우에는 토너 카트리지의 탈거가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의 임의적인 교체가 방지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걸림부가 토너 카트리지에, 로킹 부재가 본체에 마련될 수 있다. 로킹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되면 로킹부가 토너 카트리지의 전부 또는 일부, 예를 들어 걸림부와 간섭된다. 로킹 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로킹부와 토너 카트리지와의 간섭이 해제되어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이 허용될 수 있다. 로킹 부재는 모터에 의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전환, 예를 들어 회전될 수 있다. 모터는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를 구동하는 모터일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에 기어부가 마련되고,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 기어가 기어부와 맞물릴 수 있다. 로킹 부재는 마찰력 제공 부재를 개재하여 구동 기어와 동축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동 기어가 회전됨에 따라서 로킹 부재가 함께 회전되어 로킹 부재가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모터와 로킹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클러치 구조는 마찰력 제공 부재와, 제1, 제2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 부재가 제1위치와 제2위치에 도달되면 제1, 제2스토퍼에 각각 걸리며, 클러치 구조에 의하여 모터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로킹 부재가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 부재가 제1위치와 제2위치에 도달되면 마찰력 제공 부재에 의하여 구동 기어와 로킹 부재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어 로킹 부재가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로킹 부재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1, 제2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 회전 손잡이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회전 손잡이는 제1, 제2위치로 회전가능한 전환 위치와 전환이 불가능한 차단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회전 손잡이의 전환 위치와 차단 위치로의 이동은 제어부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로킹 부재는 토너 카트리지에 제1, 제2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 회전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는 본체에 장착된 장착 위치와, 장착 위치로부터 더 진입된 클릭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회전 손잡이는 토너 카트리지가 클릭 위치에 위치된 때에 제1, 제2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클릭 제한 부재는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위치로부터 클릭 위치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클릭 제한 부재는 예를 들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의 클릭 가능 여부에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이 허용되거나 불허될 수 있다.
본 예의 토너 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장착부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몸체, 로킹부를 구비하며 본체에 마련된 걸림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카트리지 몸체에 설치되는 로킹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 부재는 로킹부가 걸림부와 간섭되는 제1위치와, 걸림부로부터 해제되어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카트리지 몸체의 착탈을 허용하는 제2위치로 회전가능하다. 로킹 부재는 마찰력 제공 부재를 개재하여 카트리지 몸체에 제1, 제2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로킹 부재가 제1위치와 제2위치에 도달되면 카트리지 몸체와 로킹 부재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어 로킹 부재가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로킹 부재는 제1위치에서 카트리지 몸체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되고, 제2위치에서 카트리지 몸체의 외주부로부터 몰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몸체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링 부재가 마찰력 제공 부재를 개재하여 회전부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와 링 부재에 각각 제1핀과 제2핀이 마련된다. 로킹 부재는 제1핀과 제2핀이 삽입되는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링 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제2핀이 제1핀에/으로부터 접근/이격됨에 따라서 로킹 부재가 제1, 제2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화상형성장치의 예들을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로킹 부재(5)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로킹 부재(5)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 토너 카트리지(2), 걸림부(4), 로킹 부재(5)를 구비한다. 토너 카트리지(2)는 본체(1)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걸림부(4)는 본체(1)와 토너 카트리지(2)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로킹 부재(5)는 본체(1)와 토너 카트리지(2)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로킹 부재(5)는 걸림부(4)에 걸려서 토너 카트리지(2)의 착탈을 불허하는 제1위치(도 2)와, 걸림부(4)로부터 해제되어 토너 카트리지(2)의 착탈을 허용하는 제2위치(도 3)로 전환될 수 있다. 본 예에서, 로킹 부재(5)는 본체(1)에, 걸림부(4)는 토너 카트리지(2)에 마련된다. 로킹 부재(5)는 로킹부(51)를 구비할 수 있다. 로킹 부재(5)는 토너 카트리지(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본체(1)에 마련될 수 있다. 로킹 부재(5)가 제1위치에 위치되면 로킹부(51)가 토너 카트리지(2)의 전부 또는 일부, 예를 들어 걸림부(4)와 간섭될 수 있다. 로킹 부재(5)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로킹부(51)와 토너 카트리지(2), 예를 들어 걸림부(4)와의 간섭이 해제되어 토너 카트리지(2)의 본체(1)에/로부터 착탈이 허용될 수 있다. 로킹 부재(5)는 모터(6)에 의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로킹 부재(5)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전환, 예를 들어 회전될 수도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화상형성장치 본체(1)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인쇄부는 감광체, 대전기, 광주사기, 현상기, 전사기, 정착기를 포함할 수 있다. 광주사기는 균일한 표면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의 표면에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기는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전사기는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로 전사시킨다. 전사된 토너 화상은 정전기적 힘에 의하여 인쇄 매체에 부착된다. 정착기는 토너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 매체에 정착시킨다. 토너 카트리지(2)는 현상기와 연결되어 현상기로 토너를 공급한다. 토너 카트리지(2)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토너 카트리지(2)는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로 교체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장착부(3)가 마련된다. 토너 카트리지(2)는 장착부(3)에 착탈된다. 장착부(3)는 예를 들어 장착 방향(A1)으로 연장되어 토너 카트리지(2)를 지지하는 형태일 수 있다. 메인 도어(7)는 본체(1)의 일부, 예를 들어 전면부를 개폐한다. 도어 개폐 센서(8)는 메인 도어(7)의 개폐 여부를 검지한다. 메인 도어(7)를 열면 토너 카트리지(2)가 노출되며,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부(3)에 정렬시키고, 장착 방향(A1) 또는 탈거 방향(A2)으로 슬라이딩시켜 본체(1), 즉 장착부(3)에/로부터 장착/탈거할 수 있다. 로킹 부재(5)는 토너 카트리지(2)를 본체(1), 예를 들어 장착부(3)에 로킹시킨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 내부의 토너 잔량이 토너 카트리지(2)의 교체 시기에 대응되는 기준 잔량 이하가 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 교체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가 열린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에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실행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모터(6)가 로킹 부재(5)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전환시켜 토너 카트리지(2)의 로킹을 해제시킨다. 사용자는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당겨서 본체(1)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또,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부(3)에 정렬시키고 장착 방향(A1)으로 밀어 본체(1)에 장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인 도어(7)를 닫을 수 있다.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가 닫힌 것이 감지되면, 모터(6)는 로킹 부재(5)를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전환시켜 토너 카트리지(2)를 본체(1)에 로킹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의 조작에 의하여 토너 카트리지(2)의 로킹이 해제되므로, 토너 카트리지(2)의 임의적 교체가 방지될 수 있다.
모터(6)는 토너 카트리지(2)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는 고정부(21)와, 고정부(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모터(6)는 회전부(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회전부(22)에 기어부(23)가 마련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장착되면 기어부(23)가 본체(1), 예를 들어 장착부(3)에 마련된 구동 기어(61)와 맞물린다. 모터(6)는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동력전달부재, 예를 들어 기어에 의하여 구동 기어(61)와 연결될 수 있다. 모터(6)가 구동 기어(61)를 회전시키면 회전부(22)가 회전된다. 회전부(22)가 회전됨에 따라서 회전부(22)에 수용된 토너가 고정부(21) 쪽으로 운반된다. 고정부(21)에는 도시되지 않은 토너 배출구가 마련된다. 토너 배출구는 예를 들어 장착부(3)에 마련된 토너 유입구와 연결된다. 토너 유입구는 현상기와 연결될 수 있다. 토너는 토너 배출구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로부터 배출되어, 현상기로 공급된다.
모터(6)는 로킹 부재(5)를 제1위치와 제2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는 모터(6)와 로킹 부재(5)와의 연결관계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장착부(3)에 샤프트(31)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 기어(61)는 샤프트(31)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다. 로킹 부재(5)는 샤프트(31)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다. 로킹 부재(5)는 마찰력 제공 부재(63)를 개재하여 구동 기어(61)와 동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구동 기어(61)와 로킹 부재(5) 사이에 마찰력 제공 부재(63)가 개재된다. 마찰력 제공 부재(63)는 구동 기어(61)와 로킹 부재(5)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마찰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마찰력 제공 부재(63)는 접시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고정 부재(62)는 샤프트(31)에 결합되며, 로킹 부재(5)를 구동 기어(61) 쪽으로 민다. 로킹 부재(5)가 구동 기어(61) 쪽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되며, 구동 기어(6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모터(6)에 의하여 구동 기어(61)가 정/역회전되면 로킹 부재(5)도 구동 기어(61)와 함께 정/역회전된다. 이에 의하여 로킹 부재(5)가 모터(6)에 의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에 걸림부(4)가 마련된다. 걸림부(4)는 예를 들어 고정부(21)에 마련될 수 있다. 로킹 부재(5)는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4)에 걸려서 토너 카트리지(2)를 로킹시키는 로킹부(51)를 구비한다. 로킹 부재(5)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부(51)가 걸림부(4)로부터 해제된다.
로킹 부재(5)를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모터(6)와 로킹 부재(5) 사이에 클러치 구조가 개재된다. 일 예로서, 클러치 구조는 로킹 부재(5)가 제1위치와 제2위치를 넘어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클러치 구조는 로킹 부재(5)가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로킹 부재(5)가 모터(6)에 대하여 슬립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치 구조는, 구동 기어(61)와 로킹 부재(5) 사이에 회전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력 제공 부재(63)와, 로킹 부재(5)가 제1위치에 위치를 넘어서 회전(예를 들어 정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로킹부(51)가 걸리는 제1스토퍼(4a)와, 로킹 부재(5)가 제2위치에 위치를 넘어서 회전(예를 들어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로킹부(51)가 걸리는 제2스토퍼(62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스토퍼(4a)는 걸림부(4)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2스토퍼(62a)는 고정 부재(62)에 마련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스토퍼(4a)가 고정 부재(62)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토너 카트리지(2)의 착탈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2)가 본체(1)에 로킹되어 있다. 로킹 부재(5)는 제1위치에 위치된다. 로킹 부재(5)의 로킹부(51)가 토너 카트리지(2)의 걸림부(4)에 걸려 있다. 이 상태에서 메인 도어(7)를 열고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당기더라도 걸림부(4)가 로킹 부재(5)의 로킹부(51)와 간섭되므로 토너 카트리지(2)가 탈거 방향(A2)으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의 탈거가 방지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 내부의 토너 잔량이 토너 카트리지(2)의 교체 시기에 대응되는 기준 잔량 이하가 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 교체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가 열린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에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실행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모터(6)가 예를 들어 역회전될 수 있다. 모터(6)의 역회전력이 구동 기어(61)를 거쳐서 마찰력 제공 부재(63)에 의하여 로킹 부재(5)에 전달된다. 로킹 부재(5)가 역방향(RD)으로 회전된다. 로킹부(51)가 걸림부(4)로부터 이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부재(5)가 제2위치에 도달되면, 로킹부(51)가 걸림부(4)로부터 해제되고 제2스토퍼(62a)에 걸린다. 로킹 부재(5)는 역방향(RD)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마찰력 제공 부재(63)에 의하여 구동 기어(61)와 로킹 부재(5) 사이에 슬립이 발생된다. 따라서, 구동 기어(61)가 계속하여 역회전되더라도 로킹 부재(5)는 회전되지 않고 제2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모터(6)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사용자는 토너 카트리지(2)의 고정부(21)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당겨서 토너 카트리지(2)를 본체(1)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를 본체(1)에 장착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의 회전부(22)를 장착부(3)에 정렬시키고,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어 장착 위치에 위치시킨다.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가 닫힌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모터(6)를 정회전시킨다. 구동 기어(61)가 정방향(FD)으로 회전된다. 마찰력 제공 부재(63)에 의하여 로킹 부재(5)가 구동 기어(61)와 함께 정방향(FD)으로 회전된다. 로킹부(51)는 제2스토퍼(62a)로부터 이격된다. 로킹 부재(5)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에 도달되면 로킹부(51)가 걸림부(4)에 걸린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에 로킹된다. 로킹부(51)가 제1스토퍼(4a)에 걸리면, 로킹 부재(5)는 정방향(FD)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마찰력 제공 부재(63)에 의하여 구동 기어(61)와 로킹 부재(5) 사이에 슬립이 발생된다. 따라서, 구동 기어(61)가 정방향(FD)으로 회전되더라도 로킹 부재(5)는 회전되지 않고 제1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의 회전부(22)는 정방향(FD)으로 회전된다. 토너 카트리지(2)로부터 현상기로 토너가 공급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의 로킹/언로킹이 토너 카트리지(2)를 구동하는 모터(6)에 의하여 구현되어, 사용자의 임의적인 토너 카트리지(2) 교체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모터(6)는 토너 카트리지(2)를 구동하는 구동 기어(61)는 로킹 부재(5)와 마찰력에 의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의 로킹/언로킹에서 구동 기어(61)의 손상 위험이 저감되어 토너 카트리지(2)를 구동하는 구조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로킹 부재는 토너 카트리지(2)를 구동하는 모터(6)와는 별도의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구동될 수도 있다. 도 5와 도 6은 로킹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들로서, 도 5는 로킹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6은 로킹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7과 도 8은 로킹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들로서, 도 7은 로킹 부재가 차단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8은 로킹 부재가 전환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로킹 부재의 일 예는 회전 손잡이(5-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손잡이(5-1)는 토너 카트리지(2)를 본체(1)에 로킹시켜 착탈을 불허하는 제1위치(도 5)와, 토너 카트리지(2)의 착탈을 허용하는 제2위치(도 6)로 회전될 수 있게 본체(1), 예를 들어 장착부(3)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 손잡이(5-1)는 제1, 제2위치로의 회전이 허용되는 전환 위치와, 제1, 제2위치로의 회전이 차단되는 차단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회전 손잡이(5-1)는 본체(1)에, 예를 들어 장착부(3)의 입구 부근에 제1, 제2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의 고정부(21)의 전면부(21a)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걸림부(4)로서 기능할 수 있다. 회전 손잡이(5-1)는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토너 카트리지(2), 예를 들어 전면부(21a)와 간섭되는 로킹부(5-1a)를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손잡이(5-1)가 제1위치에 위치되면, 로킹부(5-1a)가 토너 카트리지(2)의 착탈 경로에 위치되므로, 토너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착탈될 수 없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손잡이(5-1)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로킹부(5-1a)가 토너 카트리지(2)의 착탈 경로로부터 벗어나게 위치되므로, 토너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착탈될 수 있다.
회전 손잡이(5-1)의 제1, 제2위치로의 회전은 회전 손잡이(5-1)의 클릭 동작에 의하여 허용/차단될 수 있다. 회전 손잡이(5-1)의 클릭 동작에 의하여 회전 손잡이(5-1)는 도 7에 도시된 차단 위치와 도 8에 도시된 전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전환 위치는 차단 위치로부터 장착 방향(A1)으로 이격된 위치일 수 있다. 액추에이터(6-1)는 회전 손잡이(5-1)의 클릭 동작을 선택적으로 허용함으로써, 회전 손잡이(5-1)의 차단 위치로부터 전환위치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6-1)는 차단 부재(64)를 이동시킨다. 차단 부재(64)는 액추에이터(6-1)에 의하여 회전 손잡이(5-1)의 차단 위치로부터 전환 위치로의 이동을 차단하는 위치(도 7)와, 회전 손잡이(5-1)의 차단 위치로부터 전환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위치(도 8)로 이동될 수 있다. 차단 부재(64)는 회전 손잡이(5-1)가 장착 방향(A1)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으며, 장착 방향(A1)으로 이동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차단 부재(64)가 직선 이동되며, 액추에이터(6-1)로서 전기 에너지의 공급에 의하여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리니어 모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차단 부재(64)가 회전되고, 액추에이터(6-1)로서 전기 에너지의 공급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 모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본체(1)의 장착부(3)의 입구 부근에 걸림홈(32)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 손잡이(5-1)에 걸림 돌기(5-1b)가 마련될 수 있다. 걸림 돌기(5-1b)는 예를 들어 회전 손잡이(5-1)의 외주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홈(32)은 장착부(3)의 입구 부근에 마련될 수 있다.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손잡이(5-1)가 차단 위치와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회전 손잡이(5-1)의 걸림 돌기(5-1b)가 걸림홈(32)에 걸린다. 걸림홈(32)은 제1위치에 위치된 회전 손잡이(5-1)가 회전되지 않도록 걸림 돌기(5-1b)를 막는 형상을 가진다. 걸림홈(32)은 회전 손잡이(5-1)의 탈거 방향(A2)으로의 이동을 막을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손잡이(5-1)가 제1위치와 차단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회전 손잡이(5-1)가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회전될 수 없으며, 토너 카트리지(2)가 본체(1)에/로부터 장착/탈거될 수 없다. 또한, 차단 부재(64)에 의하여 회전 손잡이(5-1)의 클릭 동작이 차단되므로, 회전 손잡이(5-1)가 전환 위치로 이동될 수 없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6-1)에 의하여 차단 부재(64)가 회전 손잡이(5-1)의 클릭 동작이 허용되는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 손잡이(5-1)를 장착 방향(A1)으로 눌러서 회전 손잡이(5-1)를 전환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걸림 돌기(5-1b)가 걸림홈(32)으로부터 벗어난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손잡이(5-1)는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허용 홈(33)은 로킹부(5-1a)가 장착부(3)와 간섭되지 않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회전 손잡이(5-1)가 전환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 손잡이(5-1)를 제1위치와 제2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토너 카트리지(2)를 본체(1)에/로부터 장착/탈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와 도 7을 보면, 토너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 손잡이(5-1)는 제1위치 및 차단 위치에 위치된다. 회전 손잡이(5-1)의 걸림 돌기(5-1b)는 걸림홈(32)에 걸린다. 회전 손잡이(5-1)는 회전될 수 없다. 차단 부재(64)는 회전 손잡이(5-1)의 클릭을 차단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손잡이(5-1)는 차단 위치와 제1위치에 유지된다. 메인 도어(7)를 열면 회전 손잡이(5-1)가 노출된다.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을 당기더라도 토너 카트리지(2)의 전면부(21a)가 회전 손잡이(5-1)의 로킹부(5-1a)에 걸리므로 토너 카트리지(2)가 탈거될 수 없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 내부의 토너 잔량이 토너 카트리지(2)의 교체 시기에 대응되는 기준 잔량 이하가 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 교체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가 열린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에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실행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액추에이터(6-1)를 구동하여 차단 부재(64)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손잡이(5-1)의 클릭을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회전 손잡이(5-1)의 로킹부(5-1a)와 토너 카트리지(2)의 전면부(21a)는 장착 방향(A1)으로 회전 손잡이(5-1)의 클릭 스트로크(strike)만큼 이격되어 있다. 회전 손잡이(5-1)를 장착 방향(A1)으로 눌러 전환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회전 손잡이(5-1)의 걸림 돌기(5-1b)가 걸림홈(32)으로부터 벗어난다. 회전 손잡이(5-1)의 회전이 허용된다. 토너 카트리지(2)가 탈거 방향(A2)으로 이동될 때에 로킹부(5-1a)가 토너 카트리지(2)의 전면부(21a)에 걸리지 않도록 회전 손잡이(5-1)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회전시킨다. 토너 카트리지(2)는 탈거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당겨서 토너 카트리지(2)를 본체(1)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를 본체(1)에 장착한다.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부(3)의 입구에 정렬시키고 장착 방향(A1)으로 밀어 장착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회전 손잡이(5-1)를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회전시킨다. 회전 손잡이(5-1)를 탈거 방향(A2)으로 당겨서 전환 위치로부터 차단 위치로 이동시킨다. 회전 손잡이(5-1)는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전환되면 도시되지 않은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차단 위치로 복귀될 수도 있다. 회전 손잡이(5-1)의 걸림 돌기(5-1b)가 걸림홈(32)에 진입되어 걸리며, 회전 손잡이(5-1)가 제1위치에 로킹된다.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의 닫힘이 감지된다. 제어부는 액추에이터(6-1)를 구동하여 차단 부재(64)를 회전 손잡이(5-1)의 클릭을 차단하는 위치(도 7)로 이동시킨다. 회전 손잡이(5-1)가 클릭될 수 없으며 제1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에 로킹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킹 부재, 즉 회전 손잡이(5-1)는 토너 카트리지(2)를 구동하는 모터(6)와 연결되지 않고, 별도의 액추에이터(6-1)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도 9는 화상형성장치의일 예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로킹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1은 로킹 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걸림부(4-2)가 본체(1), 예를 들어 장착부(3)에 마련되고, 걸림부(4-2)에 걸린 제1위치와 걸림부(4-2)로부터 해제되어 토너 카트리지(2)의 착탈을 허용하는 제2위치로 전환, 예를 들어 회전가능한 로킹 부재(5-2)가 토너 카트리지(2)에 마련된다. 토너 카트리지(2)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마련된 장착부(3)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몸체(29)와, 로킹부(51)를 구비하며 본체(1)에 마련된 걸림부(4-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카트리지 몸체(29)에 설치되는 로킹 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몸체(29)는 예를 들어, 고정부(21)와, 고정부(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모터(6)는 토너 카트리지(2)를 구동할 수 있다. 모터(6)는 회전부(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회전부(22)에 기어부(23)가 마련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장착되면 기어부(23)가 구동 기어(61)와 맞물린다. 모터(6)는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동력전달부재, 예를 들어 기어에 의하여 구동 기어(61)와 연결된다. 모터(6)가 구동 기어(61)를 회전시키면 회전부(22)가 회전된다. 회전부(22)가 회전됨에 따라서 회전부(22)에 수용된 토너가 고정부(21) 쪽으로 운반된다. 고정부(21)에는 도시되지 않은 토너 배출구가 마련된다. 토너는 토너 배출구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로부터 배출되며, 현상기로 공급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로킹 부재(5-2)는 마찰력 제공 부재(63-2)를 개재하여 카트리지 몸체(29)에 설치될 수 있다. 마찰력 제공 부재(63-2)는 카트리지 몸체(29)와 로킹 부재(5-2) 사이에 회전 마찰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로킹 부재(5-2)는 회전부(22)의 고정부(21)와 대향되는 단부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로킹 부재(5-2)는 마찰력 제공 부재(63-2)를 개재하여 기어부(23)와 동축으로 회전부(22)에 설치될 수 있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즉, 기어부(23)와 로킹 부재(5-2) 사이에 마찰력 제공 부재(63-2)가 개재된다. 마찰력 제공 부재(63-2)는 회전부(22)와 로킹 부재(5-2)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마찰력 제공 부재(63-2)는 접시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고정부(21)와 회전부(22)가 결합되면 로킹 부재(5-2)가 기어부(23) 쪽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되며, 로킹 부재(5-2)가 회전부(2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모터(6)는 로킹 부재(5-2)를 제1위치와 제2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6)에 의하여 회전부(22)가 정/역회전되면 로킹 부재(5-2)도 함께 정/역회전된다. 이에 의하여 로킹 부재(5-2)가 모터(6)에 의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본체(1), 예를 들어 장착부(3)에 걸림부(4-2)가 마련된다. 로킹 부재(5-2)는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걸림부(4-2)에 걸려서 토너 카트리지(2)를 로킹시키는 로킹부(51)를 구비한다. 로킹 부재(5-2)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로킹부(51)가 걸림부(4-2)로부터 해제된다.
로킹 부재(5-2)를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모터(6)와 로킹 부재(5-2) 사이에 클러치 구조가 개재된다. 일 예로서, 클러치 구조는 로킹 부재(5-2)가 제1위치와 제2위치를 넘어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클러치 구조는 로킹 부재(5-2)가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로킹 부재(5-2)가 카트리지 몸체(29), 예를 들어 회전부(22)에 대하여 슬립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치 구조는, 회전부(22)와 로킹 부재(5-2) 사이에 회전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력 제공 부재(63-2)와, 로킹 부재(5-2)가 제1위치에 위치를 넘어서 회전(예를 들어 정방향으로)되지 않도록 로킹부(51)가 걸리는 제1스토퍼(4-2a)와, 로킹 부재(5-2)가 제2위치에 위치를 넘어서 회전(예를 들어 역방향으로)되지 않도록 로킹부(51)가 걸리는 제2스토퍼(2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스토퍼(4-2a)는 걸림부(4-2)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2스토퍼(24)는 고정부(21)에 마련될 수 있다. 로킹 부재(5-2)가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위치되면, 로킹 부재(5-2)는 회전부(22)에 대하여 슬립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토너 카트리지(2)의 착탈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2)가 본체(1)에 로킹되어 있다. 로킹 부재(5-2)는 제1위치에 위치된다. 로킹 부재(5-2)의 로킹부(51)가 토너 카트리지(2)의 걸림부(4-2)에 걸려 있다. 이 상태에서 메인 도어(7)를 열고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당기더라도 토너 카트리지(2)가 탈거될 수 없다.
토너 카트리지(2) 내부의 토너 잔량이 토너 카트리지(2)의 교체 시기에 대응되는 기준 잔량 이하가 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 교체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가 열린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에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실행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모터(6)가 예를 들어 정회전된다. 모터(6)의 정회전력이 구동 기어(61)를 거쳐서 회전부(22)에 전달되며, 마찰력 제공 부재(63)에 의하여 로킹 부재(5-2)에 전달된다. 회전부(22)와 로킹 부재(5-2)가 정방향(FD)으로 회전된다. 로킹부(51)가 걸림부(4-2)로부터 이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부재(5-2)가 제2위치에 도달되면, 로킹부(51)가 제2스토퍼(24)에 걸린다. 로킹 부재(5-2)는 정방향(FD)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마찰력 제공 부재(63-2)에 의하여 회전부(22)와 로킹 부재(5-2) 사이에 슬립이 발생된다. 따라서, 회전부(22)가 정방향(FD)으로 회전되더라도 로킹 부재(5-2)는 회전되지 않고 제2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토너 카트리지(2)의 고정부(21)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당겨서 토너 카트리지(2)를 본체(1)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를 본체(1)에 장착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의 회전부(22)를 장착부(3)에 정렬시키고,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어 장착 위치에 위치시킨다.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가 닫힌 것이 감지되면,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모터(6)를 역회전시킨다. 회전부(22)가 역방향(RD)으로 회전된다. 마찰력 제공 부재(63-2)에 의하여 제공되는 회전 마찰력에 의하여 로킹 부재(5-2)가 회전부(22)와 함께 역방향(RD)으로 회전된다. 로킹부(51)는 제2스토퍼(24)로부터 이격된다. 로킹 부재(5-2)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에 도달되면 로킹부(51)가 걸림부(4-2)에 걸린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에 로킹된다. 로킹부(51)는 제1스토퍼(4-2a)에 걸린다. 로킹 부재(5-2)는 역방향(RD)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마찰력 제공 부재(63-2)에 의하여 회전부(22)와 로킹 부재(5) 사이에 슬립이 발생된다. 따라서, 회전부(22)가 역방향(RD)으로 회전되더라도 로킹 부재(5)는 회전되지 않고 제1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의 회전부(22)는 역방향(RD)으로 회전된다. 토너 카트리지(2)로부터 현상기로 토너가 공급될 수 있다.
도 12는 토너 카트리지(2)의 일 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로킹 부재(5-3)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4는 로킹 부재(5-3)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로킹 부재(5-3)는 토너 카트리지(2)에 마련되며, 걸림부(4-3)는 본체(1)에 마련된다. 로킹 부재(5-3)는 제1위치에서 카트리지 몸체(29)의 외주부(28)로부터 돌출되며, 제2위치에서 카트리지 몸체(29)의 외주부(28)로부터 몰입된다. 즉, 제2위치에서 로킹 부재(5-3)는 토너 카트리지(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의 취급이 용이하게, 취급 과정에서 로킹 부재(5-3)의 파손 위험이 저감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링 부재(25)는 마찰력 제공 부재(63-3)를 개재하여 카트리지 몸체(29)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카트리지 몸체(29)에 제1핀(27)이 마련될 수 있다. 링 부재(25)에 제2핀(26)이 마련될 수 있다. 로킹 부재(5-3)는 제1핀(27)과 제2핀(26)이 삽입되는 슬롯(5-3a)을 구비하며 링 부재(25)의 회전 방향에 의하여 제2핀(26)이 제1핀(27)에/으로부터 접근/이격됨에 따라서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모터(6)는 토너 카트리지(2)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몸체(29)는 고정부(21)와, 고정부(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모터(6)는 회전부(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회전부(22)에 기어부(23)가 마련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장착되면 기어부(23)가 구동 기어(61)와 맞물린다. 모터(6)는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동력전달부재, 예를 들어 기어에 의하여 구동 기어(61)와 연결된다. 모터(6)가 구동 기어(61)를 회전시키면 회전부(22)가 회전된다. 회전부(22)가 회전됨에 따라서 회전부(22)에 수용된 토너가 고정부(21) 쪽으로 운반된다. 고정부(21)에는 도시되지 않은 토너 배출구가 마련된다. 토너는 토너 배출구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로부터 배출되며, 현상기로 공급된다.
링 부재(25)는 마찰력 제공 부재(63-3)를 개재하여 회전부(22)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제1핀(27)은 고정부(21)에 마련될 수 있다. 로킹 부재(5-3)는 제1핀(27)과 제2핀(26)이 삽입되는 슬롯(5-3a)을 구비한다. 링 부재(25)의 회전에 의하여 제2핀(26)이 제1핀(27)에/로부터과 접근/이격됨에 따라서 로킹 부재(5-3)가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로킹 부재(5-3)는 제1부분(5-31)과, 제1부분(5-31)에 대하여 각도를 갖는 제2부분(5-32)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5-3a)은 제1부분(5-31)과 제2부분(5-32)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로킹 부재(5-3)가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됨에 따라서 제1부분(5-31)과 제2부분(5-32)의 연결부(5-33)가 토너 카트리지(2)의 외주부(28)로부터 돌출되거나 외주부(28)의 내측으로 몰입된다.
링 부재(25)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킹 부재(5-3)를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링 부재(25)는 마찰력 제공 부재(63-3)를 개재하여 기어부(23)와 동축으로 회전부(22)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부(23)와 링 부재(25) 사이에 마찰력 제공 부재(63-3)가 개재될 수 있다. 마찰력 제공 부재(63-3)는 회전부(22)와 링 부재(25)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마찰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마찰력 제공 부재(63-3)는 접시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고정부(21)와 회전부(22)가 결합되면 링 부재(25)가 기어부(23) 쪽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되며, 회전부(2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모터(6)에 의하여 회전부(22)가 정/역회전되면 링 부재(25)도 함께 정/역회전된다. 링 부재(25)의 회전에 의하여 제2핀(26)이 제1핀(27)에/로부터과 접근/이격됨에 따라서 로킹 부재(5-3)가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전환된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본체(1)에 걸림부(4-3)가 마련된다. 걸림부(4-3)는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의 외주부(28)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로킹 부재(5-3)의 연결부(5-33)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로킹부(51)로서 기능한다. 로킹 부재(5-3)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에 위치되면 연결부(5-33)가 외주부(28)로부터 돌출되어 걸림부(4-3)에 걸린다. 로킹 부재(5-3)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5-33)가 외주부(28)의 내측으로 몰입되어 걸림부(4-3)로부터 해제된다.
로킹 부재(5-3)를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모터(6)와 로킹 부재(5-3) 사이에 클러치 구조가 개재된다. 일 예로서, 클러치 구조는 로킹 부재(5-3)가 제1위치와 제2위치를 넘어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클러치 구조는 로킹 부재(5-3)가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링 부재(25)가 모터(6)에 대하여, 예를 들어 회전부(22)에 대하여 슬립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치 구조는, 회전부(22), 다시 말하면 기어부(23)와 링 부재(25) 사이에 회전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력 제공 부재(63-3)와, 로킹 부재(5-3)가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링 부재(25)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1핀(27)이 걸리는 슬롯(5-3a)의 단부(5-3c)와, 로킹 부재(5-3)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슬롯(5-3a) 내부에 제1핀(27)과 함께 쐐기 작용을 일으키는 제2핀(2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토너 카트리지(2)의 착탈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2)가 본체(1)에 로킹되어 있다. 로킹 부재(5-2)는 제1위치에 위치된다. 로킹 부재(5-3)의 연결부(5-33)가 본체(1)의 걸림부(4-3)에 걸려 있다. 이 상태에서 메인 도어(7)를 열고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당기더라도 토너 카트리지(2)가 탈거될 수 없다.
토너 카트리지(2) 내부의 토너 잔량이 토너 카트리지(2)의 교체 시기에 대응되는 기준 잔량 이하가 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 교체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가 열린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에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실행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모터(6)가 예를 들어 정회전된다. 모터(6)의 정회전력이 구동 기어(61)를 거쳐서 회전부(22)에 전달되며, 마찰력 제공 부재(63-3)에 의하여 링 부재(25)에 전달된다. 링 부재(25)가 정방향(FD)으로 회전된다. 제2핀(26)이 제1핀(27)에 접근된다. 로킹 부재(5-3)는 제2핀(26)에 밀려서 링 부재(25)와 함께 정방향(FD)으로 회전된다. 로킹 부재(5-3)는 제1핀(27)에 가이드되어 연결부(5-33)가 걸림부(4-3)로부터 점차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2핀(26)에 대하여 회전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부재(5-3)가 제2위치에 도달되면, 연결부(5-33)가 걸림부(4-3)로부터 해제되어 토너 카트리지(2)의 외주부(28)의 내측으로 몰입된다. 제2핀(26)은 제1핀(27)과 함께 슬롯(5-3a) 내에서 쐐기 작용을 일으킨다. 제2핀(26)이 제1핀(27)에 접근될 수 없으므로 링 부재(25)는 정방향(FD)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마찰력 제공 부재(63-3)에 의하여 회전부(22)와 링 부재(25) 사이에 슬립이 발생된다. 따라서, 회전부(22)가 정방향(FD)으로 회전되더라도 링 부재(25)는 회전되지 않고 로킹 부재(5-3)가 제2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토너 카트리지(2)의 고정부(21)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당겨서 토너 카트리지(2)를 본체(1)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를 본체(1)에 장착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의 회전부(22)를 장착부(3)에 정렬시키고,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어 장착 위치에 위치시킨다.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가 닫힌 것이 감지되면,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모터(6)를 역회전시킨다. 회전부(22)가 역방향(RD)으로 회전된다. 마찰력 제공 부재(63-3)에 의하여 링 부재(25)가 회전부(22)와 함께 역방향(RD)으로 회전된다. 제2핀(26)은 슬롯(5-3a)의 단부(5-3b)를 역방향(RD)으로 당긴다. 로킹 부재(5-3)는 제1핀(27)에 안내되어 연결부(5-33)가 토너 카트리지(2)의 외주부(28)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제2핀(26)에 대하여 회전된다. 로킹 부재(5-3)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에 도달되면 연결부(5-33)가 걸림부(4-3)에 걸린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에 로킹된다. 슬롯(5-3a)의 단부(5-3c)가 제1핀(27)에 걸린다. 링 부재(25)는 역방향(RD)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마찰력 제공 부재(63-3)에 의하여 회전부(22)와 링 부재(25) 사이에 슬립이 발생된다. 따라서, 회전부(22)가 역방향(RD)으로 회전되더라도 링 부재(25)는 회전되지 않으며, 로킹 부재(5-3)가 제1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의 회전부(22)는 역방향(RD)으로 회전된다. 토너 카트리지(2)로부터 현상기로 토너가 공급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은 로킹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들이다. 도 17과 도 18은 로킹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15와 도 17은 회전 손잡이(5-4)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6과 도 18은 회전 손잡이(5-4)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7과 도 18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토너 카트리지(2)는 생략된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로킹 부재의 일 예는, 토너 카트리지(2)에 제1위치와 제2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 회전 손잡이(5-4)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 손잡이(5-4)는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의 전면부(21a)에 회전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회전 손잡이(5-4)는 토너 카트리지(2)를 본체(1)에 로킹시켜 착탈을 불허하는 제1위치(도 15)와, 토너 카트리지(2)의 착탈을 허용하는 제2위치(도 16)로 회전될 수 있게 토너 카트리지(2)에 설치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는 장착 위치로부터 더 본체(1) 내부로 진입된, 다시 말하며 장착 위치로부터 장착 방향(A1)으로 이격된 클릭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회전 손잡이(5-4)는 토너 카트리지(2)와 함께 장착 위치와 클릭 위치로 이동된다.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에 위치되면 제1위치에 위치된 회전 손잡이(5-4)의 제2위치로의 회전이 차단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가 클릭 위치에 위치되면 회전 손잡이(5-4)의 제1, 제2위치로의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는, 토너 카트리지(2)의 장착 위치로부터 클릭 위치로의 이동 동작, 즉 클릭 동작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클릭 제한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클릭 제한 부재는 모터(6)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의 장착 위치로부터 클릭 위치로의 이동 동작, 즉 클릭 동작을 선택적으로 허용함으로써 회전 손잡이(5-4)의 제1, 제2위치로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회전 손잡이(5-4)는 걸림 돌기(5-4a)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돌기(5-4a)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로킹부(51)로서 기능한다. 본체(1), 예를 들어 장착부(3)에는 걸림부(4-4)가 마련된다. 걸림 돌기(5-4a)는 예를 들어 회전 손잡이(5-4)의 외주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부(4-4)는 장착부(3)의 입구 부근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5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에 위치된 회전 손잡이(5-4)의 걸림 돌기(5-4a)는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에 위치된 때에 걸림부(4-4)에 걸린다. 걸림부(4-4)은 제1위치에 위치된 회전 손잡이(5-4)가 회전되지 않도록 걸림 돌기(5-4a)를 막는 형상을 가진다. 걸림부(4-4)은 토너 카트리지(2)의 탈거 방향(A2)으로의 이동을 막을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1위치에 위치된 회전 손잡이(5-4)가 회전될 수 없으며, 토너 카트리지(2)가 탈거될 수 없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2)가 클릭 위치에 위치되면, 걸림 돌기(5-4a)가 걸림부(4-4)로부터 벗어난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가 클릭 위치에 위치되면, 걸림 돌기(5-4a)가 회전 허용 홈(35)에 위치된다. 회전 허용 홈(35)은 회전 손잡이(5-4)가 회전될 때에 걸림 돌기(5-4a)와 간섭되지 않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가 클릭 위치에 위치되면, 회전 손잡이(5-4)가 제1위치와 제2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9는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 동작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클릭 제한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0은 클릭 제한 부재가 클릭 허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1은 클릭 제한 부재가 클릭 제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2)는 본체(1), 예를 들어 장착부(3)에 장착된 장착 위치(T1)와 장착 위치(T1)로부터 장착 방향(A1)으로 더 진입된 클릭 위치(T2)로 이동가능하다. 탄성 부재(540)는 장착 위치(T1)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토너 카트리지(2)에 탄성력을 가한다. 클릭 제한 부재(500)는 토너 카트리지(2)의 장착 위치(T1)로부터 클릭 위치(T2)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모터(6)는 본체(1), 예를 들어 장착부(3)에 마련될 수 있다. 모터(6)는 장착부(3)에 마련된 구동 커플러(65)를 회전시킨다.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부(3)에 장착되면 구동 커플러(65)는 토너 카트리지(2)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구동 커플러(65)는 토너 카트리지(2)에 마련된 종동 커플러(29a)와 맞물려서 모터(6)의 회전력을 종동 커플러(29a)로 전달한다. 이에 의하여 토너 카트리지(2)가 구동될 수 있다. 본 예의 토너 카트리지(2)는 고정부(21)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회전부(22)를 구비한다. 종동 커플러(29a)는 토너 카트리지(2), 예를 들어 회전부(22)의 후단부에 마련된다. 본 예의 클릭 제한 부재(500)는 모터(6)에 의하여 구동된다. 예를 들어, 모터(6)의 일 방향의 회전력, 예를 들어 역방향의 회전력이 클릭 제한 부재(500)로 전달되어 클릭 제한 부재(500)가 구동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클릭 제한 부재(500)는 클릭 제한 축(510)과 차단 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릭 제한 축(510)은 예를 들어 일방향 베어링(520)를 개재하여 브라켓(66)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일방향 베어링(520)은 클릭 제한 축(510)에 모터(6)의 일방향의 회전력, 예를 들어 역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일방향 동력전달부재의 일 예이다. 예를 들어, 모터(6)에 의하여 회전되는 기어(67)가 일방향 베어링(520)의 외륜에 지지되고, 클릭 제한 축(510)은 일방향 베어링(520)의 내륜에 지지될 수 있다. 차단 부재(530)는 클릭 제한 축(510)과 연결되어,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 위치(T2)로의 이동을 차단/허용하는 클릭 제한 위치(도 21)와 클릭 허용 위치(도 20)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 부재(530)는 클릭 제한 축(510)이 회전됨에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클릭 제한 위치와 클릭 허용 위치로 왕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릭 제한 축(510)에 핀(511)이 마련되고, 차단 부재(530)에 핀(511)이 삽입되는 가이드 슬롯(531)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2는 가이드 슬롯(531)의 개략적인 전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가이드 슬롯(531)은 축방향에 대하여 직각이고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1, 제2부분(531-1)(531-2)과, 제1, 제2부분(531-1)(531-2)을 연결하는 경사진 제3부분(5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531-1)은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에 가까운 위치이며, 제2부분(531-2)은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로부터 먼 위치이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클릭 제한 부재(500)의 상태, 예를 들어 클릭 허용 상태와 클릭 제한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모터(6)의 역회전량을 검지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모터(6)에 의하여 회전되는 기어(67)의 회전량을 검지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클릭 제한 축(510)의 회전량을 검지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차단 부재(530)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적절한 방식에 의하여 클릭 제한 부재(500)의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클릭 제한 부재(5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22를 참조하면,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릭 제한 축(510)의 핀(511)이 제2부분(531-2)에 위치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530)는 장착 위치(T1)에 위치된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에 접촉된 클릭 제한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모터(6)가 정회전되면 구동 커플러(65)가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모터(6)의 정방향의 회전력은 일방향 베어링(520)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클릭 제한 축(510)은 회전되지 않는다. 차단 부재(530)는 클릭 제한 위치에 유지된다. 도 21에 도시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더라도, 차단 부재(530)에 막혀서 토너 카트리지(2)가 클릭 위치(T2)로 이동될 수 없다. 토너 카트리지(2)는 장착 위치(T1)에 유지된다. 모터(6)가 정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되면 구동 커플러(65)를 거쳐서 토너 카트리지(2)가 구동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상태에서 모터(6)가 역회전되면 기어(67)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기어(67)의 역방향의 회전력은 일방향 베어링(520)에 의하여 클릭 제한 축(510)으로 전달되어 클릭 제한 축(510)이 회전된다. 클릭 제한 축(510)의 핀(511)은 제2부분(523-2)으로부터 제3부분(513-3)으로 진입된다. 이 과정에서 핀(511)이 제3부분(513-3)을 축방향으로 당기고, 차단 부재(530)가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22에 참조부호 511a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핀(511)이 제1부분(531-1)에 진입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530)가 클릭 허용 위치에 도달된다. 차단 부재(530)는 장착 위치(T1)에 위치된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로부터 이격된다.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면, 토너 카트리지(2)가 도 20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릭 위치(T2)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상태에서, 모터(6)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기어(67)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기어(67)의 역방향의 회전력은 일방향 베어링(520)에 의하여 클릭 제한 축(510)으로 전달되어 클릭 제한 축(510)이 회전된다. 클릭 제한 축(510)의 핀(511)은 제1부분(523-1)으로부터 제3부분(513-3)으로 진입된다. 이 과정에서 핀(511)이 제3부분(513-3)을 축방향으로 밀고, 차단 부재(530)가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를 향하여 이동된다. 도 22에 참조부호 511b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핀(511)이 제2부분(531-2)에 진입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530)가 클릭 제한 위치에 도달된다. 차단 부재(530)는 장착 위치(T1)에 위치된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더라도, 토너 카트리지(2)가 클릭 위치(T2)로 이동되지 않는다.
도 15 내지 도 22을 참조하여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5와 도 17을 보면,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T1)에 위치되어 있다. 회전 손잡이(5-4)는 제1위치에 위치된다. 회전 손잡이(5-4)의 걸림 돌기(5-4a)는 걸림부(4-4)에 걸린다. 회전 손잡이(5-4)는 회전될 수 없다. 차단 부재(53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릭 제한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2)는 차단 부재(530)에 막혀서 장착 위치(T1)로부터 클릭 위치(T2)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는 장착 위치(T1)에 유지되며, 회전 손잡이(5-4)는 제1위치에 유지된다. 화상 형성 과정에서 모터(6)는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토너 카트리지(2)를 구동할 수 있다. 일방향 베어링(520)에 의하여 모터(6)의 정방향의 회전력이 차단되므로, 클릭 제한 축(510)은 회전되지 않으며, 차단 부재(530)는 클릭 제한 위치에 유지된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 내부의 토너 잔량이 토너 카트리지(2)의 교체 시기에 대응되는 기준 잔량 이하가 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 교체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가 열린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에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실행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모터(6)가 역회전된다. 모터(6)의 역방향의 회전력이 일방향 베어링(520)에 의하여 클릭 제한 축(510)으로 전달되어 클릭 제한 축(510)이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클릭 제한 축(510)의 핀(511)과 차단 부재(530)의 가이드 슬롯(531)의 작용에 의하여 차단 부재(530)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위치(T1)에 위치된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로부터 이격된 클릭 허용 위치로 이동된다.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 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회전 손잡이(5-4)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어 토너 카트리지(2)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릭 위치(T2)에 위치시킨다. 탄성 부재(540)는 압축되어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민다. 회전 손잡이(5-4)의 걸림 돌기(5-4a)가 걸림부(4-4)로부터 벗어난다. 회전 손잡이(5-4)의 회전이 허용된다. 토너 카트리지(2)가 탈거 방향(A2)으로 이동될 때에 걸림 돌기(5-4a)가 걸림부(4-4)에 걸리지 않도록 회전 손잡이(5-4)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회전시킨다. 토너 카트리지(2)는 탈거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미는 힘을 해제하면, 토너 카트리지(2)가 탄성 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장착 위치(T1) 쪽으로 이동된다. 사용자는 토너 카트리지(2)의 고정부(21)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당겨서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부(3)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를 본체(1)에 다시 장착하기 위하여,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를 장착부(3)의 입구에 정렬시킨다. 회전 손잡이(5-4)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어 클릭 위치(T2)에 위치시킨다. 회전 손잡이(5-4)를 제1위치로 회전시킨다.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미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 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하여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T1)로 이동된다. 회전 손잡이(5-4)의 걸림 돌기(5-4a)가 걸림부(4-4)에 진입되어 걸리며, 회전 손잡이(5-4)가 제1위치에 유지된다.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T1)에 유지된다.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의 닫힘이 감지된다. 모터(6)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모터(6)의 역방향의 회전력이 일방향 베어링(520)에 의하여 클릭 제한 축(510)으로 전달되어 클릭 제한 축(510)이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클릭 제한 축(510)의 핀(511)과 차단 부재(530)의 가이드 슬롯(531)의 작용에 의하여 차단 부재(530)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위치(T1)에 위치된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에 접촉된 클릭 제한 위치로 이동된다.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 위치(T2)로의 이동이 차단된다. 회전 손잡이(5-4)가 회전될 수 없으며 제1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T1)에 로킹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토너 카트리지가 착탈가능하게 수용되는 본체;
    로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로킹부가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전부 또는 일부와 간섭되는 제1위치와, 상기 로킹부와 상기 토너 카트리지와의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을 허용하는 제2위치로 회전가능한 로킹 부재; 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토너 카트리지와 연결되어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구동하며, 상기 로킹 부재를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와 동축으로 설치되는 상기 로킹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로킹 부재가 상기 구동 기어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력 제공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가 각각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로킹 부재가 걸리는 제1, 제2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구동 기어에 대하여 슬립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제1, 제2위치로의 회전이 허용되는 전환 위치와 상기 전환 위치로부터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제2위치로의 회전이 차단되는 차단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회전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손잡이의 상기 차단 위치로부터 상기 전환 위치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장착부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몸체;
    로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 마련된 걸림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상기 카트리지 몸체에 설치되는 로킹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로킹부가 상기 걸림부와 간섭되는 제1위치와, 상기 걸림부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착탈을 허용하는 제2위치로 회전가능한 토너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 몸체 사이에 회전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력 제공 부재;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가 각각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로킹 부재가 걸리는 제1, 제2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카트리지 몸체에 대하여 슬립되는 토너 카트리지.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외주부로부터 몰입되는 토너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마찰력 제공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카트리지 몸체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 링 부재;
    상기 카트리지 몸체에 마련되는 제1핀;
    상기 링 부재에 마련되는 제2핀;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제1핀과 상기 제2핀이 삽입되는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링 부재의 회전 방향에 의하여 상기 제2핀이 상기 제1핀에/으로부터 접근/이격됨에 따라서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로 전환되는 토너 카트리지.
  11.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한 토너 카트리지;
    상기 본체와 상기 토너 카트리지 중 하나에 마련된 걸림부;
    상기 본체와 상기 토너 카트리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부에 걸린 제1위치와 상기 걸림부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을 허용하는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한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로킹 부재는 각각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되며,
    상기 로킹 부재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를 넘어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클러치 구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외주부로부터 몰입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는 상기 본체에 장착된 장착 위치와, 상기 장착 위치로부터 더 진입된 클릭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 회전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 손잡이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클릭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제1, 제2위치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상기 장착 위치로부터 상기 클릭 위치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클릭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클릭 제한 부재는 상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210141416A 2021-10-21 2021-10-21 토너 카트리지의 잠금 해제 KR20230057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416A KR20230057224A (ko) 2021-10-21 2021-10-21 토너 카트리지의 잠금 해제
PCT/US2022/023587 WO2023069136A1 (en) 2021-10-21 2022-04-06 Unlocking toner cart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416A KR20230057224A (ko) 2021-10-21 2021-10-21 토너 카트리지의 잠금 해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224A true KR20230057224A (ko) 2023-04-28

Family

ID=8138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416A KR20230057224A (ko) 2021-10-21 2021-10-21 토너 카트리지의 잠금 해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57224A (ko)
WO (1) WO202306913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546A (ko) * 2007-07-09 2009-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및 이를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N101639647B (zh) * 2009-06-12 2013-02-20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锁定机构的碳粉盒
JP7106295B2 (ja) * 2018-02-28 2022-07-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200052726A (ko) * 2018-11-07 2020-05-1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커플러 홀더 기반 토너 로킹 시스템
JP7281050B2 (ja) * 2019-05-30 2023-05-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9136A1 (en)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7446A (en) Process unit cartridge for a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US7869740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40021517A (ko)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876820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artridge supporting member and preventing members for ensuring mounting of cartridges in associated mounting portions
US20140178097A1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1308794A2 (en)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3710892B1 (en) Structure for protruding handle to release developer cartridge
KR20110023101A (ko) 착탈가능한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20130156464A1 (en) Process cartridge, main cartridge, sub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942485B2 (en) Drum unit
KR20200025336A (ko) 토너 충전부의 유입 셔터를 선택적으로 로킹하는 구조
KR20230057224A (ko) 토너 카트리지의 잠금 해제
TWI711872B (zh) 輔具、裝卸單元組、電子照相影像形成裝置及匣體安裝方法
JP3861540B2 (ja) 現像装置及び該現像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20230057223A (ko) 클릭 동작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의 잠금 해제
US20230273546A1 (en) Toner cartridge having front cover
KR20220013674A (ko) 유입 셔터에 연동하여 토너 리필 카트리지를 로킹시키는 구조
KR20230035989A (ko) 토너 카트리지의 팝업 동작에 의한 카트리지 챔버의 도어 잠금 해제
US1195385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locking member configured to lock photosensitive drum relative to drawer
EP3803514B1 (en) Structure to selectively expose grip portion of toner cartridge
JP508459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保持部材
WO2024091294A1 (en) Printer device for preventing arbitrary toner cartridge removal
KR20210153283A (ko) 전면 커버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
JPH086468A (ja) 画像形成装置
JPH05216298A (ja) 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