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223A - 클릭 동작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의 잠금 해제 - Google Patents

클릭 동작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의 잠금 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223A
KR20230057223A KR1020210141415A KR20210141415A KR20230057223A KR 20230057223 A KR20230057223 A KR 20230057223A KR 1020210141415 A KR1020210141415 A KR 1020210141415A KR 20210141415 A KR20210141415 A KR 20210141415A KR 20230057223 A KR20230057223 A KR 20230057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artridge
click
locking
mount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우
유재일
김헌주
박정연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10141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7223A/ko
Priority to PCT/US2022/023401 priority patent/WO2023069135A1/en
Publication of KR20230057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2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장착부에 장착된 장착 위치와 장착 위치로부터 장착 방향으로 더 진입된 클릭 위치로 이동가능한 토너 카트리지와, 토너 카트리지에 클릭 위치로부터 장착 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와, 토너 카트리지가 클릭 위치와 장착 위치로 이동되는 클릭 동작에 연동하여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부로부터의 탈거를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로킹 부재와,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위치로부터 클릭 위치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클릭 제한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릭 동작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의 잠금 해제{unlocking toner cartridge by click operation}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매체를 거쳐 또는 직접 인쇄 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킨다.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에 착탈되는 토너 카트리지를 구비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는 수명이 다하면 교체된다. 토너 카트리지 내부에 수용된 토너가 소모되면, 본체로부터 토너 카트리지를 탈거하고,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과 도 4는 클릭 제한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들로서, 도 3은 차단 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 도 4는 차단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5는 가이드 슬롯의 개략적인 전개도이다.
도 6은 로킹 부재의 일 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토너 카트리지의 클릭 동작에 의하여 토너 카트리지를 장착 위치에 로킹/해제시키는 동작을 보여준다.
도 8 내지 도 10은 로킹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들로서, 도 8은 도어가 폐쇄 위치에 위치된 상태, 도 9는 도어가 클릭 위치에 위치된 상태, 도 10은 도어가 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로킹 패스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2와 도 13은 로킹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들이고, 도 14와 도 15는 로킹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들로서, 도 12와 도 14는 회전 손잡이가 로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3과 도 15는 회전 손잡이가 로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6 내지 도 18은 클릭 제한 부재의 일 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들로서, 도 16은 도어가 폐쇄 위치에 위치된 상태, 도 17은 도어가 클릭 위치에 위치된 상태, 도 18은 도어가 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9는 회전 손잡이가 로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0은 회전 손잡이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1은 회전 손잡이가 대기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2는 회전 손잡이가 눌린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교체 가능한 토너 카트리지를 구비한다. 화상형성장치 본체에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마련된다. 토너 카트리지를 교체하기 위하여, 본체에 마련된 메인 도어를 열어 장착부의 입구를 노출시킨다. 장착부로부터 토너 카트리지를 빼내고,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를 장착부에 장착한 후에 메인 도어를 닫는다. 메인 도어를 열면 토너 카트리지가 노출되는 구조에 따르면, 사용자가 적절한 교체 절차를 거치지 않고 임의로 토너 카트리지를 교체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에러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기 전에 사용자가 임의로 토너 카트리지를 교체하여, 불필요한 소모품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토너 카트리지는 장착부에 장착된 장착 위치와 장착 위치로부터 장착 방향으로 더 진입된 클릭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화상 형성장치는 토너 카트리지의 클릭 동작에 연동하여 토너 카트리지의 탈거를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로킹 부재를 구비한다. 탄성 부재는 토너 카트리지에 클릭 위치로부터 장착 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클릭 제한 부재는 토너 카트리지의 클릭 동작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클릭 제한 부재에 의하여 토너 카트리지의 클릭이 허용된 경우에 토너 카트리지의 탈거가 허용되며, 토너 카트리지의 클릭이 제한된 상태에서는 토너 카트리지의 탈거가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의 임의적인 교체가 방지될 수 있다.
로킹 부재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장착부에 로킹 핀이 마련되고, 토너 카트리지에 로킹 패스가 마련될 수 있다. 로킹 패스는 토너 카트리지의 클릭 동작에 연동하여 토너 카트리지를 장착 위치에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와, 토너 카트리지의 탈거를 허용하는 해제 위치로 로킹 핀을 안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화상형성장치는, 장착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는 폐쇄 위치로부터 눌린 위치로 이동되면서 토너 카트리지를 밀어 장착 위치로부터 클릭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로킹 패스는 도어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토너 카트리지에 회전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 손잡이는 토너 카트리지를 장착 위치에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와 토너 카트리지의 탈거를 허용하는 해제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로킹 부재는 장착부에 마련된 걸림홈과,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에 위치된 때에 걸림홈에 걸리고 토너 카트리지가 클릭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해제되도록 회전 손잡이에 마련되는 걸림 돌기에 으;하여 구현될 수 있다.
클릭 제한 부재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클릭 제한 부재는 토너 카트리지를 구동하는 커플러 모터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러 모터는 장착부에 마련되어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부에 장착되면 토너 카트리지와 연결되어 토너 카트리지를 구동할 수 있다. 클릭 제한 축은 일방향 전달 부재를 개재하여 커플러 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차단 부재는 클릭 제한 축과 연결되어 토너 카트리지의 클릭 위치로의 이동을 차단/허용하는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는 폐쇄 위치로부터 눌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로킹 부재는 도어의 누름 동작에 연동하여 도어의 개방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클릭 제한 부재는 도어의 눌린 위치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기 위치와 눌린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 손잡이는 토너 카트리지를 장착 위치에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와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눌린 위치에서 회전 손잡이의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로의 회전이 허용되면, 대기 위치에서 회전 손잡이의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로의 회전이 허용되지 않는다. 클릭 제한 부재는 회전 손잡이의 눌린 위치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화상형성장치의 예들을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부(3)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장착부(3), 장착부(3)에 장착된 장착 위치(2-1)와 장착 위치(2-1)로부터 장착 방향(A1)으로 더 진입된 클릭 위치(2-2)로 이동가능한 토너 카트리지(2)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 부재(4)는 토너 카트리지(2)에 클릭 위치(2-2)로부터 장착 위치(2-1)로 복귀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클릭 제한 부재(5)는 토너 카트리지(2)의 장착 위치(2-1)로부터 클릭 위치(2-2)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로킹 부재(6)는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 동작, 즉 장착 위치(2-1)와 클릭 위치(2-2)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토너 카트리지(2)의 장착부(3)로부터의 탈거를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즉, 로킹 부재(6)는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 동작에 연동하여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위치(2-1)에 로킹시키거나 토너 카트리지(2)가 탈거될 수 있도록 로킹을 해제한다.
화상형성장치 본체(1)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를 구비한다. 인쇄부는 감광체, 대전기, 광주사기, 현상기, 전사기, 정착기를 포함할 수 있다. 광주사기는 균일한 표면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의 표면에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기는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전사기는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로 전사시킨다. 전사된 토너 화상은 정전기적 힘에 의하여 인쇄 매체에 부착된다. 정착기는 토너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 매체에 정착시킨다. 토너 카트리지(2)는 현상기와 연결되어 현상기로 토너를 공급한다. 토너 카트리지(2)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토너 카트리지(2)는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로 교체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장착부(3)가 마련된다. 장착부(3)는 예를 들어 장착 방향(A1)으로 연장된 챔버 형태일 수 있다. 메인 도어(7)는 본체(1)의 일부를 개방한다. 도어 개폐 센서(8)는 메인 도어(7)의 개폐 여부를 검지한다. 메인 도어(7)를 열면 장착부(3)의 입구가 노출되며,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 또는 탈거 방향(A2)으로 슬라이딩시켜 장착부(3)에/로부터 장착/탈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임의로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부(3)로부터 탈거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로킹 부재(6)는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위치(2-1)에 로킹시킨다. 클릭 제한 부재(5)에 의하여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이 허용된 경우에,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 동작에 의하여 로킹 부재(6)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2)의 로킹이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 내부의 토너 잔량이 토너 카트리지(2)의 교체 시기에 대응되는 기준 잔량 이하가 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 교체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가 열린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에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실행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 교제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클릭 제한 부재(5)가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을 허용하는 상태로 전환된다. 사용자는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어 클릭 위치(2-2)로 이동시킨다. 토너 카트리지(2)를 미는 힘이 해제되면 토너 카트리지(2)는 탄성 부재(4)의 탄성력에 의하여 장착 위치(2-1)로 복귀된다. 이 과정에서 로킹 부재(6)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2)의 로킹이 해제된다. 사용자는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당겨서 장착부(3)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어 장착부(3)에 장착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어서 클릭 위치(2-2)까지 이동시키고, 미는 힘을 해제하면 탄성 부재(4)의 탄성력에 의하여 토너 카트리지(2)가 클릭 위치(2-2)로부터 장착 위치(2-1)로 복귀된다. 이 과정에서 로킹 부재(6)에 의하여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2-1)에 로킹된다. 다음으로, 메인 도어(7)를 닫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의 조작에 의하여 토너 카트리지(2)의 장착 위치(2-1)에의 로킹이 해제되므로, 토너 카트리지(2)의 임의적 교체가 방지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릭 제한 부재(5)는 토너 카트리지(2)를 구동하는 커플러 모터(100)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의 로킹을 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액추에이터,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등이 구비될 필요가 없다. 토너 카트리지(2)를 로킹/해제하기 위한 부품 수의 증가 및 이에 수반하는 재료비의 증가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 클릭 제한 부재(5)와 로킹 부재(6)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클릭 제한 부재(5)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들로서, 도 3은 차단 부재(530)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 도 4는 차단 부재(530)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커플러 모터(100)는 본체(1), 예를 들어 장착부(3)에 마련될 수 있다. 커플러 모터(100)는 장착부(3)에 마련된 구동 커플러(101)를 회전시킨다.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부(3)에 장착되면 구동 커플러(101)는 토너 카트리지(2)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구동 커플러(101)는 토너 카트리지(2)에 마련된 종동 커플러(201)와 맞물려서 커플러 모터(100)의 회전력을 종동 커플러(201)로 전달한다. 이에 의하여 토너 카트리지(2)가 구동될 수 있다. 본 예의 토너 카트리지(2)는 전단부(203)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토너 수용부(209)를 구비한다. 종동 커플러(201)는 토너 카트리지(2), 예를 들어 토너 수용부(209)의 후단부(202)에 마련된다. 본 예의 클릭 제한 부재(5)는 커플러 모터(100)에 의하여 구동된다. 예를 들어, 커플러 모터(100)의 일 방향의 회전력, 예를 들어 역방향의 회전력이 클릭 제한 부재(5)로 전달되어 클릭 제한 부재(5)가 구동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클릭 제한 부재(5)는 클릭 제한 축(510)과 차단 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릭 제한 축(510)은 예를 들어 일방향 베어링(520)를 개재하여 브라켓(102)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일방향 베어링(520)은 클릭 제한 축(510)에 커플러 모터(100)의 일방향의 회전력, 예를 들어 역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일방향 동력전달부재의 일 예이다. 예를 들어, 커플러 모터(100)에 의하여 회전되는 기어(109)가 일방향 베어링(520)의 외륜에 지지되고, 클릭 제한 축(510)은 일방향 베어링(520)의 내륜에 지지될 수 있다. 차단 부재(530)는 클릭 제한 축(510)과 연결되어,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 위치(2-2)로의 이동을 차단/허용하는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 부재(530)는 클릭 제한 축(510)이 회전됨에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왕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릭 제한 축(510)에 핀(511)이 마련되고, 차단 부재(530)에 핀(511)이 삽입되는 가이드 슬롯(531)이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가이드 슬롯(531)의 개략적인 전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 슬롯(531)은 축방향에 대하여 직각이고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1, 제2부분(531-1)(531-2)과, 제1, 제2부분(531-1)(531-2)을 연결하는 경사진 제3부분(5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531-1)은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에 가까운 위치이며, 제2부분(531-2)은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로부터 먼 위치이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클릭 제한 부재(5)의 상태, 예를 들어 클릭 허용 상태와 클릭 제한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커플러 모터(100)의 역회전량을 검지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커플러 모터(100)에 의하여 회전되는 기어(109)의 회전량을 검지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클릭 제한 축(510)의 회전량을 검지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차단 부재(530)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적절한 방식에 의하여 클릭 제한 부재(5)의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클릭 제한 부재(5)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릭 제한 축(510)의 핀(511)이 제2부분(531-2)에 위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530)는 장착 위치(2-1)에 위치된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에 접촉된 제1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커플러 모터(10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 커플러(101)가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커플러 모터(100)의 정방향의 회전력은 일방향 베어링(520)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클릭 제한 축(510)은 회전되지 않는다. 차단 부재(530)는 제1위치에 유지된다.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더라도, 차단 부재(530)에 막혀서 토너 카트리지(2)가 클릭 위치(2-2)로 이동될 수 없다. 토너 카트리지(2)는 장착 위치(2-1)에 유지된다. 커플러 모터(100)가 정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되면 구동 커플러(101)를 거쳐서 토너 카트리지(2)가 구동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커플러 모터(10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기어(109)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기어(109)의 역방향의 회전력은 일방향 베어링(520)에 의하여 클릭 제한 축(510)으로 전달되어 클릭 제한 축(510)이 회전된다. 클릭 제한 축(510)의 핀(511)은 제2부분(523-2)으로부터 제3부분(513-3)으로 진입된다. 이 과정에서 핀(511)이 제3부분(513-3)을 축방향으로 당기고, 차단 부재(530)가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5에 참조부호 511a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핀(511)이 제1부분(531-1)에 진입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530)가 제2위치에 도달된다. 차단 부재(530)는 장착 위치(2-1)에 위치된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로부터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면, 토너 카트리지(2)가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릭 위치(2-2)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커플러 모터(10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기어(109)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기어(109)의 역방향의 회전력은 일방향 베어링(520)에 의하여 클릭 제한 축(510)으로 전달되어 클릭 제한 축(510)이 회전된다. 클릭 제한 축(510)의 핀(511)은 제1부분(523-1)으로부터 제3부분(513-3)으로 진입된다. 이 과정에서 핀(511)이 제3부분(513-3)을 축방향으로 밀고, 차단 부재(530)가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를 향하여 이동된다. 도 5에 참조부호 511b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핀(511)이 제2부분(531-2)에 진입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530)가 제1위치에 도달된다. 차단 부재(530)는 장착 위치(2-1)에 위치된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더라도, 토너 카트리지(2)가 클릭 위치(2-2)로 이동되지 않는다.
도 6은 로킹 부재(6)의 일 예의 평면도이다. 도 2와 도 6을 참조하면, 로킹 부재(6)는 토너 카트리지(2)를 직접 장착부(3)에 로킹/해제시킴으로써, 토너 카트리지(2)의 탈거를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로킹 부재(6)는 장착부(3)에 마련되는 로킹 핀(301)과, 토너 카트리지(2)에 마련되어 로킹 핀(301)을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로 안내하는 로킹 패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 패스(210)는 토너 카트리지(2)의 상면, 하면, 또는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로킹 패스(210)는 전체적으로 장착 방향(A1) 및 탈거 방향(A2)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로킹 핀(301)은 로킹 패스(210)와 대향되는 장착부(3)의 하면, 상면, 또는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로킹 핀(301)은 토너 카트리지(2)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 다시 말하면 장착 방향(A1) 및 탈거 방향(A2)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장착부(3)에 마련된다. 본 예에, 로킹 패스(210)는 토너 카트리지(2)의 전단부(203)의 하면에 마련되며, 로킹 핀(301)는 로킹 패스(210)와 대향되는 장착부(3)의 하면에 마련된다.
로킹 패스(21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 패스(210)는 진입부(211), 제1안내부(212), 제2안내부(213), 제1단부(214), 제3안내부(215), 로킹부(216), 제4안내부(217), 제2단부(218), 제5안내부(219)를 포함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방향(A1)으로 이동되어 장착부(3)에 장착될 때에, 진입부(211)를 통하여 로킹 핀(301)이 로킹 패스(210)로 진입된다. 제1안내부(212)와 제2안내부(213)는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2-1)로부터 클릭 위치(2-2)로 이동될 때에 로킹 핀(301)을 제1단부(214)로 안내하는 형상을 가진다. 제3안내부(215)는 토너 카트리지(2)가 클릭 위치(2-2)로부터 장착 위치(2-1)로 이동될 때에 로킹 핀(301)을 로킹부(216)로 안내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제4안내부(217)는 장착 위치(2-1)로부터 클릭 위치(2-2)로 이동될 때에 로킹 핀(301)을 제2단부(218)로 안내하는 형상을 가진다. 제5안내부(219)는 토너 카트리지(2)가 클릭 위치(2-2)로부터 장착 위치(2-1)를 거쳐서 탈거 방향(A2)으로 이동될 때에 로킹 핀(301)을 진입부(211)로 안내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도 7은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 동작에 의하여 로킹 부재(6)가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위치(2-1)에 로킹/해제시키는 동작을 보여준다. 도 7에서 로킹 패스(210), 로킹 핀(301), 탄성 부재(4)만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에서 601은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2-1)에 로킹된 상태를 보여준다. 로킹 핀(301)이 로킹부(216)에 걸려 있으므로,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당기더라도 토너 카트리지(2)가 탈거될 수 없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530)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어도 토너 카트리지(2)가 차단 부재(530)에 막혀서 클릭 위치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는 장착 위치(2-1)에 로킹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화상 형성 과정에서 커플러 모터(100)는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토너 카트리지(2)를 구동할 수 있다. 일방향 베어링(520)에 의하여 커플러 모터(100)의 정방향의 회전력이 차단되므로, 클릭 제한 축(510)은 회전되지 않으며, 차단 부재(530)는 제1위치에 유지된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 내부의 토너 잔량이 토너 카트리지(2)의 교체 시기에 대응되는 기준 잔량 이하가 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 교체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가 열린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에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실행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 교제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커플러 모터(100)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커플러 모터(100)의 역방향의 회전력이 일방향 베어링(520)에 의하여 클릭 제한 축(510)으로 전달되어 클릭 제한 축(510)이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클릭 제한 축(510)의 핀(511)과 차단 부재(530)의 가이드 슬롯(531)의 작용에 의하여 차단 부재(53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위치(2-1)에 위치된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로부터 이격된 제2위치로 이동된다.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 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면 도 7에 참조부호 602로 표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2)가 클릭 위치(2-2)에 도달된다. 이때, 로킹 핀(301)은 로킹부(216)를 벗어나며, 제4안내부(217)에 안내되어 제2단부(218)에 위치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의 로킹이 해제된다. 탄성 부재(4)는 압축되어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탄력적으로 밀고 있다. 이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미는 힘을 해제하면, 토너 카트리지(2)는 탄성 부재(4)의 탄성력에 의하여 장착 위치(2-1) 쪽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로킹 핀(301)은 제5안내부(219)에 안내되어 진입부(211)로 진입된다. 토너 카트리지(2)는 도 7에 참조부호 603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장착 위치(2-1)를 통과하여 장착부(3)의 출구로부터 전단부(203)가 돌출된 팝업 위치(2-3)까지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토너 카트리지(2)의 전단부(203)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당겨서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부(3)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부(3)에 다시 장착하기 위하여,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를 장착부(3)의 입구에 정렬시키고,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민다. 로킹 핀(301)은 진입부(211)를 통하여 로킹 패스(210)로 진입된다.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위치(2-1)를 통과하여 클릭 위치(2-2)까지 밀어넣으면, 로킹 핀(301)은 제1안내부(212), 제2안내부(213)에 안내되어 도 7에 참조부호 604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단부(214)에 도달된다. 이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미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 부재(4)의 탄성력에 의하여 토너 카트리지(2)가 탈거 방향(A2)으로 이동된다. 로킹 핀(301)은 제3안내부(215)에 안내된다. 토너 카트리지(2)가 도 7에 참조부호 605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장착 위치(2-1)에 도달되면, 로킹 핀(301)이 로킹부(216)에 걸리고,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2-1)에 로킹된다.
메인 도어(7)를 닫으면,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의 닫힘이 감지된다. 커플러 모터(100)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커플러 모터(100)의 역방향의 회전력이 일방향 베어링(520)에 의하여 클릭 제한 축(510)으로 전달되어 클릭 제한 축(510)이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클릭 제한 축(510)의 핀(511)과 차단 부재(530)의 가이드 슬롯(531)의 작용에 의하여 차단 부재(53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위치(2-1)에 위치된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에 접촉된 제1위치로 이동된다.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 위치(2-2)로의 이동이 차단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2-1)에 로킹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로킹 부재(6-1)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들로서, 도 8은 도어(310)가 폐쇄 위치(310-1)에 위치된 상태, 도 9는 도어(310)가 눌린 위치(310-2)에 위치된 상태, 도 10은 도어(310)가 개방 위치(310-3)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1은 로킹 패스(320)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장착부(3)에 도어(310)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310)는 장착부(3)를 개폐하는 개방 위치(310-3)와 폐쇄 위치(310-1)로 이동, 예를 들어 회전될 수 있다. 도어(310)는 토너 카트리지(2)를 클릭 위치(2-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310)는 폐쇄 위치(310-1)를 넘어서 토너 카트리지(2)를 밀어 클릭 위치(2-2)로 이동시키는 눌린 위치(310-2)로 이동, 예를 들어 회전될 수 있다. 본 예의 로킹 부재(6-1)는 도어(310)의 눌림 동작에 연동하여 도어(310)를 폐쇄 위치(310-1)에 선택적으로 로킹시키며, 도어(310)의 개방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로킹 부재(6-1)는 도어(310)의 눌림 동작에 연동하여 토너 카트리지(2)를 로킹/해제시킴으로써, 토너 카트리지(2)의 탈거를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로킹 부재(6-1)는 장착부(3)에 마련되는 로킹 핀(302)과, 도어(310)에 마련되어 도어(310)의 폐쇄 위치와 클릭 위치로의 왕복 이동에 연동하여 로킹 핀(302)을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로 안내하는 로킹 패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 위치는 도어(310)를 폐쇄 위치에 로킹시키는 위치이며, 해제 위치는 도어(310)의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위치이다. 패스(320)는 예를 들어 도어(3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로킹 핀(302)는 로킹 패스(320)와 대향되는 장착부(3)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로킹 핀(302)은 도어(310)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 다시 말하면 장착 방향(A1) 및 탈거 방향(A2)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장착부(3)에 마련된다.
로킹 패스(32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 패스(320)는 전술한 로킹 패스(210)과 유사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로킹 패스(320)는 진입부(321), 제1안내부(322), 제2안내부(323), 제1단부(324), 제3안내부(325), 로킹부(326), 제4안내부(327), 제2단부(328), 제5안내부(329)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310)가 개방 위치(310-3)로부터 폐쇄 위치(310-1)로 회전될 때에 진입부(321)를 통하여 로킹 핀(302)이 로킹 패스(320)로 진입된다. 제1안내부(322)와 제2안내부(323)는 도어(310)가 폐쇄 위치(310-1)로부터 눌린 위치(310-2)로 회전될 때에 로킹 핀(302)을 제1단부(324)로 안내하는 형상을 가진다. 제3안내부(325)는 도어(310)가 눌린 위치(310-2)로부터 폐쇄 위치(310-1)로 회전될 때에 로킹 핀(302)을 로킹부(326)로 안내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제4안내부(327)는 도어(310)가 폐쇄 위치(310-1)로부터 눌린 위치(310-2)로 회전될 때에 로킹부(326)에 위치된 로킹 핀(302)을 제2단부(328)로 안내하는 형상을 가진다. 제5안내부(329)는 도어(310)가 눌린 위치(310-2)로부터 폐쇄 위치(310-1)를 넘어서 개방 위치(310-3)로 회전될 때에 로킹 핀(302)을 진입부(321)로 안내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클릭 제한 부재(5)는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 동작을 허용/차단함으로써 도어(310)의 눌림 동작을 허용/차단한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8을 보면, 도어(310)가 폐쇄 위치(310-1)에 위치되어 있다. 로킹 핀(302)은 로킹부(216)에 걸린 로킹 위치에 위치된다. 토너 카트리지(2)는 장착 위치(2-1)에 위치되어 있다. 차단 부재(5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도어(310)를 눌린 위치(310-2)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도어(310)를 장착 방향(A1)으로 누른다. 도어(310)가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민다. 토너 카트리지(2)는 차단 부재(530)에 막혀서 장착 위치(2-1)로부터 클릭 위치(2-2)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는 장착 위치(2-1)에 유지되며, 도어(310)는 폐쇄 위치(310-1)에 유지된다. 화상 형성 과정에서 커플러 모터(100)는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토너 카트리지(2)를 구동할 수 있다. 일방향 베어링(520)에 의하여 커플러 모터(100)의 정방향의 회전력이 차단되므로, 클릭 제한 축(510)은 회전되지 않으며, 차단 부재(530)는 제2위치에 유지된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 내부의 토너 잔량이 토너 카트리지(2)의 교체 시기에 대응되는 기준 잔량 이하가 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 교체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가 열린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에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실행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 교제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커플러 모터(100)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커플러 모터(100)의 역방향의 회전력이 일방향 베어링(520)에 의하여 클릭 제한 축(510)으로 전달되어 클릭 제한 축(510)이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클릭 제한 축(510)의 핀(511)과 차단 부재(530)의 가이드 슬롯(531)의 작용에 의하여 차단 부재(53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위치(2-1)에 위치된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로부터 이격된 제2위치로 이동된다.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 동작이 가능하고, 도어(310)의 눌림이 가능하다.
폐쇄 위치(310-1)에 위치된 도어(310)를 장착 방향(A1)으로 밀면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방향(A1)으로 이동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10)가 눌린 위치(310-2)에 도달되면 토너 카트리지(2)가 클릭 위치(2-2)에 도달된다. 이때, 로킹 핀(302)은 제4안내부(327)에 안내되어 제2단부(328)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어(310)의 로킹이 해제된다. 탄성 부재(4)는 압축되어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민다. 이 상태에서 도어(310)를 장착 방향(A1)으로 미는 힘을 해제하면, 토너 카트리지(2)가 탄성 부재(4)의 탄성력에 의하여 장착 위치(2-1) 쪽으로 이동되고, 도어(310)는 토너 카트리지(2)에 밀려서 폐쇄 위치(310-1)로 회전된다. 이 과정에서 로킹 핀(302)은 제5안내부(329)에 안내되어 진입부(321)로 진입되며 해제 위치에 위치된다. 도어(310)의 로킹이 해제되어 도어(310)가 개방 위치(310-3)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토너 카트리지(2)는 탄성 부재(4)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위치(2-1)를 통과하여 장착부(3)의 출구로부터 전단부(203)가 돌출된 팝업 위치(2-3)까지 이동될 수 있다. 도어(310)는 토너 카트리지(2)에 밀려서 개방 위치(310-3)로 회전된다. 사용자는 토너 카트리지(2)의 전단부(203)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당겨서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부(3)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부(3)에 다시 장착하기 위하여, 도어(310)가 개방 위치(310-3)에 위치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를 장착부(3)의 입구에 정렬시키고,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어 장착 위치(2-1)에 위치시킨다. 도어(310)를 회전시켜 눌린 위치(310-2)로 이동시킨다. 로킹 핀(302)은 진입부(321)를 통하여 로킹 패스(320)로 진입된다. 토너 카트리지(2)가 도어(310)에 밀려서 클릭 위치(2-2)로 이동된다. 로킹 핀(302)은 제1안내부(322), 제2안내부(323)에 안내되어 제1단부(324)에 도달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310)를 장착 방향(A1)으로 미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 부재(4)의 탄성력에 의하여 토너 카트리지(2)가 클릭 위치(2-2)로부터 장착 위치(2-1)로 이동된다. 도어(310)는 토너 카트리지(2)에 밀려서 폐쇄 위치(310-1)로 이동된다. 로킹 핀(302)은 제3안내부(325)에 안내된다.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2-1)에, 도어(310)가 폐쇄 위치(310-1)에 도달되면, 로킹 핀(301)이 로킹부(326)에 걸려 로킹 위치에 위치되고, 도어(310)가 폐쇄 위치(310-1)에 로킹된다.
메인 도어(7)를 닫으면,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의 닫힘이 감지된다. 커플러 모터(100)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커플러 모터(100)의 역방향의 회전력이 일방향 베어링(520)에 의하여 클릭 제한 축(510)으로 전달되어 클릭 제한 축(510)이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클릭 제한 축(510)의 핀(511)과 차단 부재(530)의 가이드 슬롯(531)의 작용에 의하여 차단 부재(53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위치(2-1)에 위치된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에 접촉된 제1위치로 이동된다.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 위치(2-2)로의 이동이 차단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2-1)에 로킹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은 로킹 부재(6-2)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들이다. 도 14와 도 15는 로킹 부재(6-2)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12와 도 14는 회전 손잡이(330)가 로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3과 도 15는 회전 손잡이(330)가 로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4와 도 15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토너 카트리지(2)는 생략된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2)는 회전 손잡이(330)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 손잡이(330)는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의 전단부(203)에 회전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회전 손잡이(330)는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위치(2-1)에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와, 토너 카트리지(2)의 탈거를 허용하는 해제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손잡이(330)는 토너 카트리지(2)와 함께 장착 위치(2-1)와 클릭 위치(2-2)로 이동된다. 로킹 부재(6-2)는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 손잡이(330)를 로킹 위치에 선택적으로 로킹시키거나, 회전 손잡이(330)의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로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로킹 부재(6-2)는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2-1)에 위치된 때에 로킹 위치에 위치된 회전 손잡이(330)의 회전을 불허할 수 있다. 로킹 부재(6-2)는 토너 카트리지(2)가 클릭 위치(2-2)에 위치된 때에 회전 손잡이(330)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로킹 부재(6-2)는 장착부(3)에 마련되는 걸림홈(303)과, 회전 손잡이(330)에 마련되는 걸림 돌기(331)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돌기(331)는 예를 들어 회전 손잡이(330)의 외주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홈(303)은 장착부(3)의 입구 부근에 마련될 수 있다. 로킹 위치에 위치된 회전 손잡이(330)의 걸림 돌기(331)는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2-1)에 위치된 때에 걸림홈(303)에 걸린다. 걸림홈(303)은 로킹 위치에 위치된 회전 손잡이(330)가 회전되지 않도록 걸림 돌기(331)를 막는 형상을 가진다. 걸림홈(303)은 토너 카트리지(2)의 탈거 방향(A2)으로의 이동을 막을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2-1)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회전 손잡이(330)가 회전될 수 없으며, 토너 카트리지(2)가 탈거될 수 없다. 토너 카트리지(2)가 클릭 위치(2-2)에 위치되면, 걸림 돌기(331)가 걸림홈(303)으로부터 벗어난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가 클릭 위치(2-2)에 위치되면, 걸림 돌기(331)가 회전 허용 홈(304)에 위치된다. 회전 허용 홈(304)은 회전 손잡이(330)가 회전될 때에 걸림 돌기(331)와 간섭되지 않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가 클릭 위치(2-2)에 위치되면, 회전 손잡이(330)가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 및 도 12 내지 도 15을 참조하여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2와 도 14를 보면,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2-1)에 위치되어 있다. 회전 손잡이(330)는 로킹 위치에 위치된다. 회전 손잡이(330)의 걸림 돌기(331)는 걸림홈(303)에 걸린다. 회전 손잡이(330)는 회전될 수 없다. 차단 부재(5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2)는 차단 부재(530)에 막혀서 장착 위치(2-1)로부터 클릭 위치(2-2)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는 장착 위치(2-1)에 유지되며, 회전 손잡이(330)는 로킹 위치에 유지된다. 화상 형성 과정에서 커플러 모터(100)는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토너 카트리지(2)를 구동할 수 있다. 일방향 베어링(520)에 의하여 커플러 모터(100)의 정방향의 회전력이 차단되므로, 클릭 제한 축(510)은 회전되지 않으며, 차단 부재(530)는 제1위치에 유지된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 내부의 토너 잔량이 토너 카트리지(2)의 교체 시기에 대응되는 기준 잔량 이하가 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 교체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가 열린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에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실행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 교제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커플러 모터(100)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커플러 모터(100)의 역방향의 회전력이 일방향 베어링(520)에 의하여 클릭 제한 축(510)으로 전달되어 클릭 제한 축(510)이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클릭 제한 축(510)의 핀(511)과 차단 부재(530)의 가이드 슬롯(531)의 작용에 의하여 차단 부재(53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위치(2-1)에 위치된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로부터 이격된 제2위치로 이동된다.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 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어 토너 카트리지(2)를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릭 위치(2-2)에 위치시킨다. 탄성 부재(4)는 압축되어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민다. 회전 손잡이(330)의 걸림 돌기(331)가 걸림홈(303)으로부터 벗어난다. 회전 손잡이(330)의 회전이 허용된다. 토너 카트리지(2)가 탈거 방향(A2)으로 이동될 때에 걸림 돌기(331)가 걸림홈(303)에 걸리지 않도록 회전 손잡이(330)를 로킹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회전시킨다. 토너 카트리지(2)는 탈거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미는 힘을 해제하면, 토너 카트리지(2)가 탄성 부재(4)의 탄성력에 의하여 장착 위치(2-1) 쪽으로 이동된다. 토너 카트리지(2)는 장착 위치(2-1)를 통과하여 장착부(3)의 출구로부터 전단부(203)가 돌출된 팝업 위치(2-3)까지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토너 카트리지(2)의 전단부(203)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당겨서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부(3)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부(3)에 다시 장착하기 위하여,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를 장착부(3)의 입구에 정렬시킨다. 회전 손잡이(330)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어 클릭 위치(2-2)에 위치시킨다. 회전 손잡이(330)를 로킹 위치로 회전시킨다.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미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 부재(4)의 탄성력에 의하여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2-1)로 이동된다. 회전 손잡이(330)의 걸림 돌기(331)가 걸림홈(303)에 진입되어 걸리며, 회전 손잡이(330)가 로킹 위치에 위치된다.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2-1)에 유지된다.
메인 도어(7)를 닫으면,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의 닫힘이 감지된다. 커플러 모터(100)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커플러 모터(100)의 역방향의 회전력이 일방향 베어링(520)에 의하여 클릭 제한 축(510)으로 전달되어 클릭 제한 축(510)이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클릭 제한 축(510)의 핀(511)과 차단 부재(530)의 가이드 슬롯(531)의 작용에 의하여 차단 부재(53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위치(2-1)에 위치된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에 접촉된 제1위치로 이동된다.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 위치(2-2)로의 이동이 차단된다. 회전 손잡이(330)가 회전될 수 없으며 로킹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2-1)에 로킹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예들에서, 클릭 제한 부재(5)는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에/로부터 접촉/이격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 동작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예에서는 클릭 제한 부재(5)가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에/로부터 접촉/이격됨으로써 도어(310)의 누름 동작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다른 방식에 의하여 도어(310)의 누름 동작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16 내지 도 18은 클릭 제한 부재(5-1)의 일 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들로서, 도 16은 도어(310)가 폐쇄 위치(310-1)에 위치된 상태, 도 17은 도어(310)가 눌린 위치(310-2)에 위치된 상태, 도 18은 도어(310)가 개방 위치(310-3)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6에 도시된 구조는 도 8에 도시된 구조와 비교하여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클릭 제한 부재(5) 대신에 도어(310)의 누름 동작을 제한하여 토너 카트리지(2)의 탈거를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클릭 제한 부재(5-1)가 채용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도 8 내지 도 11에서 설명된 부재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장착부(3)에 도어(310)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310)는 장착부(3)를 개폐하는 개방 위치(310-3)와 폐쇄 위치(310-1)로 이동, 예를 들어 회전될 수 있다. 도어(310)는 폐쇄 위치(310-1)를 넘어서 장착 방향(A1)으로 전진된 눌린 위치(310-2)로 이동, 예를 들어 회전될 수 있다. 탄성 부재(340)는 도어(310)에 개방 위치(310-3)로 회전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토너 카트리지(2)의 장착 위치(2-1)는 도어(310)의 누름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이다. 로킹 부재(6-1)는 도어(310)의 누름 동작에 연동하여 도어(310)를 폐쇄 위치(310-1)에 선택적으로 로킹시키며, 도어(310)의 개방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로킹 부재(6-1)는 도어(310)의 누름 동작에 연동하여 도어(310)를 폐쇄 위치(310-1)에/로부터 로킹/해제시킴으로써, 토너 카트리지(2)의 탈거를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로킹 부재(6-1)는 장착부(3)에 마련되는 로킹 핀(302)과, 도어(310)에 마련되어 로킹 핀(302)을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로 안내하는 로킹 패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 패스(320)의 구조는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클릭 제한 부재(5-1)는 도어(310)의 폐쇄 위치(310-1)로부터 눌린 위치(310-2)로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일 예로서, 클릭 제한 부재(5-1)는 차단 부재(540)와, 액추에이터(55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550)는 차단 부재(540)를 도어(310)를 막아 도어(310)의 폐쇄 위치(310-1)로부터 눌린 위치(310-2)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도 16에 도시된 위치)와, 도어(310)로부터 도피되어 도어(310)의 폐쇄 위치(310-1)로부터 눌린 위치(310-2)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도피 위치(도 17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550)는 차단 부재(540)를 차단 위치와 도피 위치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차단 부재(540)는 장착부(3)에 차단 위치와 도피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550)는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리니어 모터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10)가 폐쇄 위치(310-1)에 위치되면 로킹 핀(302)이 로킹부(216)에 걸린 로킹 위치에 위치되며, 도어(310)가 폐쇄 위치(310-1)에 유지된다. 토너 카트리지(2)는 장착 위치(2-1)에 위치되어 있다. 차단 부재(54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도어(310)를 눌린 위치(310-2)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도어(310)를 장착 방향(A1)으로 누르더라도, 도어(310)가 차단 부재(540)에 막혀서 눌린 위치(310-2)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도어(310)가 폐쇄 위치(310-1)에,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2-1)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화상 형성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 내부의 토너 잔량이 토너 카트리지(2)의 교체 시기에 대응되는 기준 잔량 이하가 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 교체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가 열린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에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실행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 교제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액추에이터(550)가 차단 부재(540)를 도 17에 도시된 도피 위치로 회전시킨다. 도어(310)의 누름 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10)를 장착 방향(A1)으로 밀면 도어(310)가 눌린 위치(310-2)에 도달된다. 로킹 핀(302)은 로킹부(326)로부터 이탈되고 제4안내부(327)에 안내되어 제2단부(328)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어(310)의 로킹이 해제된다. 도어(310)의 로킹이 해제되어 도어(310)가 개방 위치(310-3)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310)를 장착 방향(A1)으로 미는 힘을 해제하면, 도어(310)는 탄성 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하여 폐쇄 위치(310-1)로 회전된다. 이 과정에서 로킹 핀(302)은 제5안내부(329)에 안내되어 진입부(321)로 진입된다. 도어(310)는 탄성 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310-3)로 회전된다. 사용자는 토너 카트리지(2)의 전단부(203)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당겨서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부(3)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부(3)에 다시 장착하기 위하여, 도어(310)가 개방 위치(310-3)에 위치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를 장착부(3)의 입구에 정렬시키고,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어 장착 위치(2-1)에 위치시킨다. 도어(310)를 회전시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눌린 위치(310-2)로 이동시킨다. 로킹 핀(302)은 진입부(321)를 통하여 로킹 패스(320)로 진입된다. 로킹 핀(302)은 제1안내부(322), 제2안내부(323)에 안내되어 제1단부(324)에 도달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310)를 장착 방향(A1)으로 미는 힘을 제거하면, 도어(310)가 탄성 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하여 폐쇄 위치(310-1)로 이동된다. 로킹 핀(302)은 제3안내부(325)에 안내된다. 도어(310)가 폐쇄 위치(310-1)에 도달되면 로킹 핀(301)이 로킹부(326)에 걸리고, 도어(310)가 폐쇄 위치(310-1)에 로킹된다.
메인 도어(7)를 닫으면,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의 닫힘이 감지된다. 액추에이터(550)는 차단 부재(540)를 제1위치로 복귀시킨다. 도어(310)의 클릭 동작이 차단된다. 따라서, 도어(310)가 폐쇄 위치(310-1)에 로킹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토너 카트리지(2)의 탈거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19는 회전 손잡이(330)가 로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0은 회전 손잡이(330)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1은 회전 손잡이(330)가 대기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2는 회전 손잡이(330)가 눌린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에서는 회전 손잡이(330)가 본체(1), 예를 들어 장착부(3)에 설치되고, 토너 카트리지(2)의 클릭 동작에 의하여 회전 손잡이(330)의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로의 전환이 선택적으로 허용된다. 본 예에서, 회전 손잡이(330)는 토너 카트리지(2), 에 눌림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클릭 제한 부재(5-2)는 회전 손잡이(330)의 눌림 동작을 선택적으로 허용함으로써, 회전 손잡이(330)의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로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이하에서, 도 12 내지 도 15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회전 손잡이(330)는 토너 카트리지(2),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의 전단부(203)에 설치된다. 회전 손잡이(330)는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위치(2-1)에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와, 토너 카트리지(2)의 탈거를 허용하는 해제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손잡이(330)는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로의 회전이 차단되는 대기 위치(330-1)와,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로의 회전이 허용되는 눌린 위치(330-2)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손잡이(330)는 장착 방향(A1)으로 눌려서 대기 위치(330-1)로부터 눌린 위치(330-2)로 이동될 수 있다. 로킹 부재(6-2)는 회전 손잡이(330)의 눌림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 손잡이(330)를 로킹 위치에 선택적으로 로킹시키거나, 회전 손잡이(330)의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로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로킹 부재(6-2)는 회전 손잡이(330)가 대기 위치(330-1)에 위치된 때에 로킹 위치에 위치된 회전 손잡이(330)의 회전을 불허할 수 있다. 로킹 부재(6-2)는 회전 손잡이(330)가 눌린 위치(330-2)에 위치된 때에 회전 손잡이(330)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클릭 제한 부재(5-2)는 회전 손잡이(330)의 대기 위치(330-1)와 눌린 위치(330-2)로의 이동, 눌림 동작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탄성 부재(360)는 회전 손잡이(330)에 대기 위치(330-1)로 복귀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탄성 부재(360)는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와 회전 손잡이(330)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클릭 제한 부재(5-2)는 회전 손잡이(330)의 대기 위치(330-1)로부터 눌린 위치(330-2)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일 예로서, 클릭 제한 부재(5-2)는 차단 부재(560)와, 액추에이터(57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570)는 차단 부재(560)를 회전 손잡이(330)를 막아 대기 위치(330-1)로부터 눌린 위치(330-2)로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도 21에 도시된 위치)와, 회전 손잡이(330)로부터 이격되어 회전 손잡이(330)의 대기 위치(330-1)로부터 눌린 위치(330-2)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도피 위치(도 22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570)는 차단 부재(560)를 차단 위치와 도피 위치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차단 부재(560)는 본체(1), 예를 들어 장착부(3)에 차단 위치와 도피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570)는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리니어 모터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로킹 부재(6-2)는 장착부(3)에 마련되는 걸림홈(303)과, 회전 손잡이(330)에 마련되는 걸림 돌기(331)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돌기(331)는 예를 들어 회전 손잡이(330)의 외주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홈(303)은 장착부(3)의 입구 부근에 마련될 수 있다. 로킹 위치에 위치된 회전 손잡이(330)의 걸림 돌기(331)는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2-1)에 위치된 때에 걸림홈(303)에 걸린다. 걸림홈(303)은 로킹 위치에 위치된 회전 손잡이(330)가 회전되지 않도록 걸림 돌기(331)를 막는 형상을 가진다. 걸림홈(303)은 토너 카트리지(2)의 탈거 방향(A2)으로의 이동을 막을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2-1)에, 회전 손잡이(330)가 대기 위치(330-1)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회전 손잡이(330)가 회전될 수 없으며, 토너 카트리지(2)가 탈거될 수 없다. 회전 손잡이(330)가 눌린 위치(330-2)에 위치되면, 걸림 돌기(331)가 걸림홈(303)으로부터 벗어난다. 예를 들어, 회전 손잡이(330)가 눌린 위치(330-2)에 위치되면, 걸림 돌기(331)가 회전 허용 홈(304)에 위치된다. 회전 허용 홈(304)은 회전 손잡이(330)가 회전될 때에 걸림 돌기(331)와 간섭되지 않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회전 손잡이(330)가 눌린 위치(330-2)에 위치되면, 회전 손잡이(330)가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9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손잡이(330)가 대기 위치(330-1)에 위치되고 걸림 돌기(331)가 걸림홈(303)에 걸린 로킹 위치에 위치된다. 토너 카트리지(2)는 장착 위치(2-1)에 위치되어 있다. 차단 부재(560)는 차단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회전 손잡이(330)를 눌린 위치(330-2)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 손잡이(330)를 장착 방향(A1)으로 누르더라도, 회전 손잡이(330)가 차단 부재(560)에 막혀서 눌린 위치(330-2)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회전 손잡이(330)가 대기 위치(330-1)에,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2-1)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화상 형성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 내부의 토너 잔량이 토너 카트리지(2)의 교체 시기에 대응되는 기준 잔량 이하가 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 교체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가 열린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에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실행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 교제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액추에이터(570)가 차단 부재(560)를 도 22에 도시된 도피 위치로 이동시킨다. 회전 손잡이(330)의 누름 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손잡이(330)를 장착 방향(A1)으로 밀면 회전 손잡이(330)가 눌린 위치(330-2)에 도달된다. 걸림 돌기(331)은 걸림홈(303)으로부터 이탈되어 회전 허용 홈(304)에 위치된다. 회전 손잡이(330)를 회전시켜 해제 위치에 위치시킨다. 토너 카트리지(2)의 로킹이 해제된다. 사용자는 토너 카트리지(2)의 전단부(203)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당겨서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부(3)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부(3)에 다시 장착하기 위하여, 회전 손잡이(330)가 해제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의 후단부(202)를 장착부(3)의 입구에 정렬시키고, 토너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밀어 장착 위치(2-1)에 위치시킨다. 회전 손잡이(330)를 눌러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눌린 위치(310-2)로 이동시킨다. 회전 손잡이(330)를 로킹 위치로 회전시켜 걸림 돌기(331)를 걸림 홈(303)에 정렬시킨다. 회전 손잡이(33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 부재(360)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 손잡이(330)가 대기 위치로 복귀된다. 걸림 돌기(331)가 걸림 홈(303)에 걸리고 토너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2-1)에 로킹된다. 메인 도어(7)를 닫으면, 도어 개폐 센서(8)에 의하여 메인 도어(7)의 닫힘이 감지된다. 액추에이터(570)는 차단 부재(560)를 차단 위치로 복귀시킨다. 회전 손잡이(330)의 눌림 동작이 차단된다. 따라서, 회전 손잡이(330)가 대기 위치(330-1)에 로킹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토너 카트리지(2)의 탈거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장착 위치와, 상기 장착 위치로부터 장착 방향으로 더 진입된 클릭 위치로 이동가능한 토너 카트리지;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상기 클릭 위치로부터 상기 장착 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클릭 위치와 상기 장착 위치로 이동되는 클릭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상기 장착부로부터의 탈거를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로킹 부재;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상기 장착 위치로부터 상기 클릭 위치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클릭 제한 부재; 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마련되어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구동하는 커플러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클릭 제한 부재는 상기 커플러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 제한 부재는,
    클릭 제한 축;
    상기 클릭 제한 축과 연결되어, 상기 클릭 제한 축이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상기 클릭 위치로의 이동을 차단/허용하는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장착부에 마련되는 로킹 핀;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마련되며,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상기 클릭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에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와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탈거를 허용하는 해제 위치로 상기 로킹 핀을 안내하는 로킹 패스;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를 개폐하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및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상기 클릭 위치로 이동시키는 눌린 위치로 이동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도어를 상기 폐쇄 위치에 선택적으로 로킹시키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를 개폐하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및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밀어 상기 클릭 위치로 이동시키는 눌린 위치로 이동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장착부에 마련되는 로킹 핀;
    상기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의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클릭 위치로의 왕복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도어를 상기 폐쇄 위치에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와 상기 도어의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로 상기 로킹 핀을 안내하는 로킹 패스;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에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와,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탈거를 허용하는 해제 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마련된 회전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회전 손잡이를 상기 로킹 위치에 선택적으로 로킹시키는 화상형성장치.
  8.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를 개폐하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및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전진된 눌린 위치로 이동가능한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눌린 위치로 이동되는 누름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로킹 부재;
    상기 도어의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눌린 위치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클릭 제한 부재; 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 제한 부재는,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눌린 위치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도어를 차단하는 차단 위치와 상기 차단 위치로부터 도피된 도피 위치로 이동 가능한 차단 부재;
    상기 차단 부재를 상기 차단 위치와 상기 도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상기 눌린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는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눌린 위치로 이동되는 도어에 밀려서 장착 위치로부터 클릭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클릭 제한 부재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상기 장착 위치로부터 상기 클릭 위치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마련되어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구동하는 커플러 모터;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상기 클릭 위치로부터 상기 장착 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클릭 제한 부재는 상기 커플러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화상형성장치.
  13.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착탈가능한 토너 카트리지;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마련되며,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장착 위치에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와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로킹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로의 회전이 차단되는 대기 위치와 상기 로킹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로의 회전이 허용되는 눌린 위치로 이동가능한 회전 손잡이;
    상기 회전 손잡이에 상기 눌린 위치로부터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
    상기 회전 손잡이의 상기 눌린 위치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클릭 제한 부재; 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 제한 부재는,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눌린 위치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 손잡이를 차단하는 차단 위치와 상기 차단 위치로부터 이격된 도피 위치로 이동 가능한 차단 부재;
    상기 차단 부재를 상기 차단 위치와 상기 도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마련되는 걸림홈;
    상기 회전 손잡이에 마련되며, 상기 대기 위치와 상기 로킹 위치에 위치된 상기 회전 손잡이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홈에 걸려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에 로킹시키고, 상기 회전 손잡이가 상기 눌린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해제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210141415A 2021-10-21 2021-10-21 클릭 동작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의 잠금 해제 KR20230057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415A KR20230057223A (ko) 2021-10-21 2021-10-21 클릭 동작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의 잠금 해제
PCT/US2022/023401 WO2023069135A1 (en) 2021-10-21 2022-04-05 Unlocking toner cartridge by click op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415A KR20230057223A (ko) 2021-10-21 2021-10-21 클릭 동작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의 잠금 해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223A true KR20230057223A (ko) 2023-04-28

Family

ID=81384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415A KR20230057223A (ko) 2021-10-21 2021-10-21 클릭 동작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의 잠금 해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57223A (ko)
WO (1) WO2023069135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0048A (ja) * 2006-10-03 2008-04-17 Fuji Xerox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069794B2 (ja) * 2018-02-15 2022-05-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90135317A (ko) * 2018-05-28 2019-12-06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현상제 카트리지의 탈거를 위하여 핸들을 돌출시키는 구조
JP7463716B2 (ja) * 2019-12-23 2024-04-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9135A1 (en)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98502B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process cartridge
US4866482A (en) Image forming device for electrostatic recording apparatus having a slidable replacement holding case
US876820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artridge supporting member and preventing members for ensuring mounting of cartridges in associated mounting portions
US7747192B2 (en) Process cartridge, main body cartridge, image carrier body cartridge, developing cartridge,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406355A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912900B1 (ko)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9046871B2 (en) Process cartridge, main cartridge, sub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50019007A (ko) 화상 형성 장치
EP3710892B1 (en) Structure for protruding handle to release developer cartridge
WO2008004566A1 (en) Developer cartridge, image forming device, and shutter device
JP5167774B2 (ja) 画像形成装置
JP3452296B2 (ja) 画像形成装置
KR20230057223A (ko) 클릭 동작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의 잠금 해제
JP2009288310A (ja) 画像形成装置
KR20230057224A (ko) 토너 카트리지의 잠금 해제
US2007010450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locking unit
US1195385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locking member configured to lock photosensitive drum relative to drawer
US11199791B2 (en) Structure to selectively expose grip portion of toner cartridge
US20230185230A1 (en) Drive coupler actuation via replaceable unit insertion in an image forming device
KR20230035989A (ko) 토너 카트리지의 팝업 동작에 의한 카트리지 챔버의 도어 잠금 해제
KR101385541B1 (ko) 화상형성장치
JP4401515B2 (ja) 画像形成装置
WO2024091294A1 (en) Printer device for preventing arbitrary toner cartridge removal
WO2023055424A1 (en) Structure to move separation roller with respect to forward roller
JPH1010501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