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069B1 - 상 형성제 수용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장치로의 상 형성제의 보충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상 형성제 수용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장치로의 상 형성제의 보충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1069B1 KR101441069B1 KR1020100066910A KR20100066910A KR101441069B1 KR 101441069 B1 KR101441069 B1 KR 101441069B1 KR 1020100066910 A KR1020100066910 A KR 1020100066910A KR 20100066910 A KR20100066910 A KR 20100066910A KR 101441069 B1 KR101441069 B1 KR 1014410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forming
- forming apparatus
- main body
- toner
- prevent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장착 상태의 느슨함을 방지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하는 방향의 앞쪽에 배치된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의 정상의 부분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측에 걸림으로써,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빼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 방지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형성제 수용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하는 방향의 앞쪽에 배치된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의 정상의 부분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측에 걸림으로써,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빼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 방지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형성제 수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 형성제 수용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장치로의 상 형성제의 보충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의 「0071」단락에는, 토너 카트리지의 상부에 직경 방향 돌출부를 구비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현상제 수용 장치(62)의 삽입 방향 선단측을 폐쇄한 덮개(68)가 기재되고(「0043」단락), 또한 이 덮개(68)에 현상제 수용 장치(62)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빼고 넣을 때에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현상제 수용체 규제부(86)가 기재되어 있다(「0045」단락).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장착 상태의 느슨함이 방지되는 상 형성제 수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1의 관점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하는 방향의 앞쪽에 배치된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의 정상의 부분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측에 걸림으로써,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빼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 방지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형성제 수용 장치이다.
「2」 「1」에 기재된 상 형성제 수용 장치로서, 상기 이동 방지 부재는, 탄성 변형하는 연장부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측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부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빼낼 때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측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걸림부를 하방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사면(斜面)과, 상기 사면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측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상기 빼냄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빼냄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1」에 기재된 상 형성제 수용 장치로서, 상기 이동 방지 부재는, 상기 파지부측과 근본(根本) 부분이 결합하여, 탄성 변형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선단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측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빼냄 방향으로의 이동 시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측에 걸리는 걸림면과, 상기 걸림면과 상기 연장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빼낼 때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측에 접촉 가능하며, 당해 화상 형성 장치측에 접촉되었을 때에 상기 연장부를 탄성 변형시켜 상기 걸림면을 경사시키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 형성제 수용 장치에 상 형성제를 보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장착하는 방향의 앞쪽의 단부면에는, 봉쇄된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봉쇄를 해제하여, 상기 개구를 노출시키는 공정과, 상기 노출된 개구로부터 상 형성제를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넣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형성제 수용 장치로의 상 형성제의 보충 방법이다.
「5」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 형성제 수용 장치와, 상기 상 형성제 수용 장치로부터 상 형성제의 공급을 받는 현상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장착 상태의 느슨함이 방지된다.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파지부를 손으로 잡고 상 형성제 수용 장치를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빼낼 때에, 이동 방지 부재의 기능의 해제가 행해진다.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당해 화상 형성 장치측으로부터의 힘에 의해 빠지게 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는 동시에,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빼낼 때에는 사면(斜面)에 의해 걸림면이 경사지므로 상 형성제 수용 장치를 분리하기 쉬워진다.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 형성제 수용 장치로의 상 형성제의 보충 방법이 제공된다.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의 우위성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토너 수용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토너 수용 장치의 측면도(a)와 배면도(b).
도 4는 토너 수용 장치의 측면도(a)와 정면도(b).
도 5는 토너 수용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6은 토너 수용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7은 토너 수용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8은 이동 방지 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이동 방지 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개념도.
도 10은 토너 수용 장치의 방향의 시인성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11은 토너 수용 장치를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12는 토너 수용 장치 본체부의 배면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토너 수용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토너 수용 장치의 측면도(a)와 배면도(b).
도 4는 토너 수용 장치의 측면도(a)와 정면도(b).
도 5는 토너 수용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6은 토너 수용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7은 토너 수용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8은 이동 방지 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이동 방지 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개념도.
도 10은 토너 수용 장치의 방향의 시인성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11은 토너 수용 장치를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12는 토너 수용 장치 본체부의 배면을 나타낸 개념도.
(화상 형성 장치)
이하, 본 발명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가 나타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 기록 매체(예를 들면, 종이의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고, 그것을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본체(10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 본체(101)는, 화상이 형성되는 용지를 복수매 수납하는 용지 수납 장치(102)를 구비하고 있다.
용지 수납 장치(102)에 수납된 용지는, 회전하는 롤을 이용한 반송 기구(103, 104)를 거쳐, 2차 전사부(105)를 향해 반송된다. 2차 전사부(105)는, 전사 벨트(106) 상에 1차 전사되어 있는 토너 상을 반송 기구(104)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용지 상에 2차 전사한다. 2차 전사부(105)는, 한 쌍의 롤을 구비하며, 그 사이에 용지와 전사 벨트(106)를 끼우고, 롤 사이에 전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2차 전사를 행한다.
전사 벨트(106)에는, 감광체 드럼(110, 111, 112, 113)으로부터 YMCK 각 색의 토너 상이 1차 전사된다. 각 기본색의 토너 상이, 전사 벨트(106) 상에서 겹침으로써, 컬러의 토너 상이 전사 벨트(106) 상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감광체 드럼(110)의 주변에는, 잔존한 토너를 청소하는 청소 장치(도시 생략), 감광체 드럼(110)의 표면으로의 대전을 행하는 대전 장치(도시 생략), 대전된 감광체 드럼(110)의 표면에 광선을 조사하여, 부분적으로 노광을 행함으로써 잠상을 형성하는 감광 장치(도시 생략), 잠상에 토너(상 형성제)를 공급하여, 현상을 행하는 현상 장치(1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은 모든 감광체 드럼에 있어서 동일하다. 도 1에는, 감광체 드럼(111)의 표면에 있어서 현상을 행하는 현상 장치(115), 감광체 드럼(112)의 표면에 있어서 현상을 행하는 현상 장치(116), 감광체 드럼(113)의 표면에 있어서 현상을 행하는 현상 장치(117)가 나타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내부에는, YMCK 각 색의 토너(상 형성제의 일례)를 수용한 토너 수용 장치(상 형성제 수용 장치의 일례)(121, 122, 123, 124)가 착탈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토너 수용 장치(121~124)는, 본체(101)에 대해 빼고 넣기가 가능해서, 토너가 소모됐을 때에 새로운 것으로 교환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본체(101)에 대하여 빼고 넣기가 가능해서, 교환이 가능해지는 구조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는, 토너 수용 장치(121~124)의 본체(101)에 대한 방향(XYZ 각 축 방향에 있어서의 방향)은 고정되고 있어, 일단 장착된 후에 동작에 따라 변경될 경우는 없다.
토너 수용 장치(121)로부터는, 도시 생략한 토너 반송 기구를 통해, 현상 장치(114)에 토너가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토너 수용 장치(122)로부터 현상 장치(115)에 토너가 공급되고, 토너 수용 장치(123)로부터 현상 장치(116)에 토너가 공급되고, 토너 수용 장치(124)로부터 현상 장치(117)에 토너가 공급된다.
2차 전사부(105)에 있어서 전사 벨트(106)로부터 토너 상의 2차 전사를 받은 용지는, 정착 장치(107)에 보내지고, 거기에서 용지로의 토너 상의 정착이 행해진다. 화상 정착 장치(107)는, 한 쌍의 롤을 구비하고, 열과 압력을 용지에 가함으로써, 미정착 상태의 토너 상의 용지로의 정착을 행한다. 화상의 정착이 종료된 용지는, 용지 배출면(108)에 배출된다.
(토너 수용 장치)
이하, 도 1의 토너 수용 장치(121~124)의 일례를 설명한다. 토너 수용 장치(121~124)는, 수용하고 있는 토너의 색(종류)이 다를 뿐이므로, 여기에서는, 토너 수용 장치(121)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실시형태의 토너 수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토너 수용 장치의 측면도(a)와 배면도(b)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토너 수용 장치의 측면도(a)와 정면도(b)이다.
도 2 ~ 도 4에는, 토너 수용 장치(121)가 나타나 있다. 토너 수용 장치(121)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201)의 축 방향, 즉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101)에 장착하는 방향으로서 원통 형상의 본체부(201)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선단부(202)와 파지부(203)를 구비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선단부(202)는, 토너 수용 장치(121)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될 때에, 화상 형성 장치(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파지부(203)는, 장착 방향의 앞쪽에 부착되어, 토너 수용 장치(121)를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101)에 장착할 때, 및 그로부터 분리할 때(즉 빼고 넣을 때)에,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도 5는 선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는, 선단부(202)가 나타나 있다. 선단부(202)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내부를 향해 밀어 넣음으로써, 토너 수용 장치(121)의 화상 형성 장치(100)로의 장착이 행해진다.
선단부(202)는 커플링 기어(204)를 구비하고 있다. 커플링 기어(204)는, 토너 수용 장치(121)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100)측에 배치된 구동용 기어에 맞물린다. 이 상태에 있어서, 구동용 기어가 모터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그 구동용 기어에 맞물린 커플링 기어(204)가 회전한다.
커플링 기어(204)에는, 축 방향(도 5의 Y축 방향), 즉 토너 수용 장치(121)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101)에 장착하는 방향으로서 원통 형상의 본체부(201)의 길이 방향으로 토너를 교반하면서 반송하는 반송 수단(도시 생략)이 접속되어 있다. 이 반송 수단은, 나선 형상으로 가공된 금속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커플링 기어(204)가 회전함으로써, Y축 방향을 축으로 해서 회전하여, 본체부(201) 내에 수용된 토너를 교반하면서 도 5의 Y축 정(正)방향으로 반송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202)에는, 신호 단자(205)가 배치되어 있다. 신호 단자(205)는 기판(206) 상에 설치되어 있다. 기판(206)의 신호 단자(205)가 설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에는, IC 메모리(도시 생략)가 부착되어 있다. 이 IC 메모리에는, 수용할 토너의 색 등에 관한 정보, 토너의 잔량의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이들 정보는, 토너 수용 장치(121)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신호 단자(205)를 통해, 본체(101)에 IC 메모리로부터 전자적으로 판독되고, 본체(101)로부터 IC 메모리에 전자적으로 기입된다.
도 6, 도 7은 파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도 7에는, 파지부(203)가 나타나 있다. 파지부(203)는, 끼워 넣기 구조에 의해 본체부(201)와 기계적으로 결합하고 있다. 즉, 파지부(203)에는, 개구(20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체부(201)의 측에는, 개구(207)에 끼우고, 거기에 걸리는 클로(claw)부(208)가 설치되어 있다. 파지부(203)를 본체부(201)에 밀어 넣으면, 개구(207)에 클로부(208)가 끼워지고, 개구(207)의 가장자리에 클로부(208)가 걸린다. 이에 따라, 본체부(201)에 대한 파지부(203)의 장착이 행해진다.
파지부(203)의 단부면(211)의 내측은 공동(空洞) 구조로 되어 있고, 거기에 손가락을 넣음으로써, 단부면(211)에 손을 걸고, Y축 부(負)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단부면(211)을 Y축 정(正)의 방향으로 미는 것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파지부(203)의 정상 부분(시계 바늘의 위치에서 12시의 부분)에는, 이동 방지 부재(209)가 배치되어 있다. 이동 방지 부재(209)는, 주위로부터 위로 올라간 사각형의 가장자리부(2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동 방지 부재(209)는 수지로 만들어지고, 도 5의 Z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8, 도 9는 이동 방지 부재의 작용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8, 도 9에는, 도 6에도 나타낸 이동 방지 부재(209)가 나타나 있다. 이동 방지 부재(209)는, 연장부(21)와 걸림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연장부(21)는, 길이 형상으로 된 플레이트 형상이며, 그 선단 부분이 걸림부(22)로 되고, 그 반대측(근본(根本) 부분)이, 파지부(203)와 결합해 있다. 걸림부(22)는 제 1 경사면(23), 걸림면(24), 제 2 경사면(25)을 구비하고 있다.
도 8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101)측의 접촉 부재(210)가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는, 토너 수용 장치(121)를 도면의 Y축 정방향으로 움직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할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토너 수용 장치(121)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내부를 향해 밀어 넣으면, 걸림부(22)에 접촉 부재(210)가 근접한다(도 8의 (a)). 그리고, 제 1 경사면(23)에 접촉 부재(210)가 접촉하면, 연장부(21)가 탄성 변형하여, 걸림부(22)가 화살표 26의 방향으로 움직인다(도 8의 (b)).
토너 수용 장치(121)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더 밀어 넣으면, 걸림부(22)가 도면의 Y축 방향으로 더 움직이고, 화살표 26방향으로의 걸림부(22)의 하방으로의 움직임(바꿔 말하면, 연장부(21)의 변형)이 보다 커지고, 도 8의(c)의 상태로 된다. 그 후, 제 1 경사면(23)과 걸림면(24)의 경계(제 1 경사면의 가장자리)를 접촉 부재(210)가 넘은 단계에서, 탄성 변형해 있었던 연장부(21)가 원래로 돌아가서, 도 8의 (d)의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이동 방지 부재(209)(즉 토너 수용 장치(121))를 도 8의 (d)의 Y축 부의 방향으로 움직이려 해도, 접촉 부재(210)에 걸림면(24)이 접촉하여 걸려서, 그 이동이 방지된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된 토너 수용 장치(121)의 빼냄 방향(분리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토너 수용 장치(121)의 빼냄 방향(분리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는 것은, 토너 수용 장치(121)가 후술하는 커플링 기어(204)로부터 받는 반력(反力)에 대해서이고, 토너 수용 장치(121)가 후술하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101)측에 설치된 도시 생략한 덮개 부재를 가압하는 스프링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대해서이다. 즉, 토너 수용 장치(121)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내부로부터 빼낼 때에는, 상기 쌍방의 반력의 합력을 넘는 힘을 조작자가 토너 수용 장치(121)에 가함으로써, 토너 수용 장치(121)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내부로부터 빼낼 수 있다.
토너 수용 장치(121)를 분리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토너 수용 장치(121)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101)로부터 분리할(빼낼) 경우, 도 6의 단부면(211)에 손가락을 걸고, Y축 부(負)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즉, 파지부(203)의 단부면(211)의 내측의 공동에 손가락을 걸고, 토너 수용 장치(121)를 Y축 부의 방향으로 빼내는 힘을 가한다.
이 때, Z축 방향이 연직 상 방향이지만, 상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화살표 28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도 9의 (a)). 그 결과, 이동 방지 부재(209)는 빼냄과 동시에 약간 들어 올려져(즉 Z축 정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촉 부재(210)가, 연장부(21) 혹은 제 2 경사면(25)에 접촉한다. 도 9의 (b)에는, 접촉 부재(210)가 제 2 경사면(25)에 접촉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9의 (b)의 상태에서 이어서, 토너 수용 장치(121)를 Y축 부의 방향으로 빼내는 힘을 계속 가하면, 접촉 부재(210)에 제 2 경사면(25)이 접촉하여, 연장부(21)가 탄성 변형한다. 이에 따라, 걸림부(22)가 화살표 27의 방향으로 움직인다(도 9의 (c)).
그 후, 연장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걸림면(24)에 접촉 부재(210)가 접촉하여, 연장부(22)의 탄성 변형이 더 커짐으로써, 도 9의 (d)에 나타낸 상태에 이른다. 그리고, 제 1 경사면(23)과 걸림면(24)의 경계(제 1 경사면(23)의 가장자리)를 접촉 부재(210)가 도 9의 (d)의 우에서 좌를 향해 넘은 단계에서, 탄성 변형해 있었던 연장부(21)가 원래로 돌아가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동 방지 부재(209)가 도면의 좌 방향으로 더 이동함으로써, 도 8의 (a)의 상태에 이른다. 이렇게 해서, 이동 방지 부재(209)가, 접촉 부재(210)에 걸려서, 토너 수용 장치(121)의 Y축 부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고 있었던 상태가 해제되어, 토너 수용 장치(121)를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빼내고,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커플링 기어(204)로부터 받는 반력이나 본체(101)측에 설치된 도시 생략한 덮개 부재를 가압하는 스프링으로부터 받는 반력의 합력 정도로는, 토너 수용 장치(121)를 Y축 부방향으로 움직이려 해도, 걸림면(24)에 접촉 부재(210)가 접촉하는 것에 의한 토너 수용 장치(121)의 Y축 부방향으로의 이동 방지 기능이 작용하므로, 토너 수용 장치(121)의 Y축 부방향(빼냄 방향)으로의 이동은 방지된다. 조작자가 상술한 합력을 넘는 힘을 가하여, 토너 수용 장치(121)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내부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당해 힘에 의해 접촉 부재(210)에 걸려 있었던 걸림면(24)에 큰 힘이 가해지고, 연장부(21)가 당해 힘을 받아 탄성 변형해서 화살표 27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동 방지 부재(209)의 이동 방지 기능이 해제된다. 토너 수용 장치(121)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내부로부터 빼내려고 할 때에, 상 방향(Z축 방향)으로의 힘이 이동 방지 부재(209)에 작용한 경우에도, 대략 마찬가지로 이동 방지 부재(209)의 이동 방지 기능이 해제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부(203)에는, 본체부(201)에 대한 위치 맞춤을 위한 마크(31)가 설치되고, 이 마크(31)와 쌍으로 되는 마크(32)가, 본체부(201)에 설치되어 있다. 마크(31과 32)를 맞춤으로써, 파지부(203)를 본체부(201)에 장착할 때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맞춤이 행해진다.
도 2 ~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수용 장치(121)의 본체부(201)에는, 토너 배출부(220)가 배치되어 있다. 토너 배출부(220)는, 축 방향(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개폐하는 덮개 부재(221)를 구비하고 있다. 토너 수용 장치(121)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착부에 밀어 넣으면, 덮개 부재(221)가 화상 형성 장치(100)측에 접촉한다. 그 후, 토너 수용 장치(121)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착부에 더 밀어 넣으면, 본체부(201)측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착부에 밀어 넣어지고, 덮개 부재(221)는 화상 형성 장치(100)측과 접촉한 위치에서 머문다. 이에 따라, 본체부(201)측이 축 방향(Y축 정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덮개 부재(221)가 상대적으로 축 방향(Y축 부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개구가 형성된다. 이 개구로부터 본체부(201) 내부의 토너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의 현상 장치(114)(도 1 참조)에 공급된다. 또한, 토너 수용 장치(121)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착부로부터 빼내면, 머물러 있던 덮개 부재(221)를 향해 본체부(201)측이 이동한다. 이에 따라, 본체부(201)측이 축 방향(Y축 부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덮개 부재(221)가 상대적으로 축 방향(Y축 정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개구를 닫을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착부측에도 도시 생략한 덮개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장착부측의 덮개 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닫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부측의 덮개 부재는, 토너 수용 장치(121)가 장착부에 더 밀어 넣어졌을 때에, 토너 수용 장치(121)에 접촉해서 열린다. 따라서, 토너 수용 장치(121)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착부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장착부로부터 빼내는 방향(Y축 부방향)으로 밀리고 있다.
도 3 ~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01)는, 토너 수용 장치(121)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한 돌기부(301, 302)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부(301)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부(202)의 위치에 돌기부(301)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돌기부(30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302)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한 파지부(203) 위치에 돌기부(303)가 설치되고, 돌기부(302)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부(202) 위치에 돌기부(304)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301, 305)의 세트와 돌기부(302, 303, 304)의 세트는, 단면(斷面) 형상이 볼록 형상을 가지고, 축 방향(Y축 방향)에서 볼 때, 원형의 본체부(201)의 중심축을 사이에 둔 위치(즉 돌기부(301, 305)의 세트와 돌기부(302, 303, 304)를 이은 선이 본체부(201)의 중심축을 지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돌기부(301, 305)의 세트와 돌기부(302, 303, 304)의 세트는, 토너 수용 장치(121)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할 때에 가이드 부재로서 기능한다. 즉, 본체(101)에는, 돌기부(301, 305)의 세트와 돌기부(302, 303, 304)의 세트를 수용하는 단면이 오목형 형상의 수용측의 가이드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용측의 가이드에 대하여, 돌기부(301, 305)의 세트와 돌기부(302, 303, 304)의 세트가 맞물려 접촉한 상태에서, 토너 수용 장치(121)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에 밀어 넣어진다. 이 때, 양쪽 가이드 부재의 위치를 상대 부재(수용측의 가이드)에 대해 맞춤으로써 토너 수용 장치(121)의 축 둘레(Y축 둘레)의 회전 각도 위치의 위치 맞춤이 행해지고, 또한 X-Y 평면 내에 있어서의 위치 맞춤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신호 단자(205) 및 토너 배출부(220)의 위치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해 맞춘 상태에서의 토너 수용 장치(121)의 장착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301과 302)는, 본체부(201)의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301)의 연장선 상에 돌기부(305)가 배치되고, 돌기부(302)의 연장선 상에 돌기부(303, 304)가 배치되어 있다.
토너 수용 장치(121)의 단면 중심을 중심축으로서 잡았을 경우, 바꿔 말하면, 토너 수용 장치(121)를 축 방향(Y축 방향)에서 봤을 경우, 돌기부(301, 305)의 축 둘레(Y축 둘레)에 있어서의 각도 위치와, 돌기부(302, 303, 304)의 축 둘레(Y축 둘레)에 있어서의 각도 위치는, 축을 지나는 선 상에 위치하고(즉, 축 방향(Y축 방향)에서 봤을 때, 돌기부(301, 305)의 세트와 돌기부(302, 303, 304)의 세트를 이은 선이, 중심축을 지나는 곳에 위치함), 또한 Y축 부방향에서 볼 때(파지부(203)측에서 볼 때), 좌하(左下)와 우상(右上)의 부분에 위치해 있다. 이 우상의 위치는, Z축 방향을 0°의 각도 위치로 해서 45°±20°, 좌하의 위치는, Z축 방향을 0°의 각도 위치로 해서 225°±20°의 범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상, 토너 수용 장치(121)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동일한 구성은, 토너 수용 장치(122~124)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우위성)
이하, 토너 수용 장치(121~124)의 구조상의 우위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토너 수용 장치(121)를 화상 형성 장치(100)(도 10에는, 도시 생략)에 장착할 때의 형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일반적으로, 오른손잡이의 작업자(401)가, 토너 수용 장치(121)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할 경우,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수용 장치(121)의 파지부(203)(도 6, 도 7 참조)를 오른손(402)으로 쥐고, 왼손(403)으로 본체부(201)를 보조적으로 지지하면서, 파지부(203)를 Y축 정방향을 향해 밀게 된다. 이 때, 도 10의 (a)의 시점에서 볼 때, 돌기부(303, 302)가 우상의 각도 위치에 설치되고, 돌기부(301)가 좌하의 각도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돌기부를 시인(視認)하기 쉽고, 그 위치 관계를 파악하기 쉽다. 즉, 도 10의 (a)의 상태에 있어서, 돌기부(303, 302)와 돌기부(301)를 작업자(401)가 인식하기 쉽다. 또한, 돌기의 높이가 낮아도, 2개소의 돌기부를 시인하기 쉽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에 토너 수용 장치(121)의 선단이 삽입된 후는,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401)는 왼손을 떼고, 오른손으로 Y축 정방향으로 파지부(203)를 미는 조작이 행해진다. 이 때, 작업자(401)는, Y축 정방향으로 움직여 가는 토너 수용 장치(121)를 좌측 후방에서 비스듬히 보게 되지만, 그 상태에서 우측의 돌기부(304, 302, 303), 및 좌측의 돌기부(305, 301)를 동시에 시인하기 쉽다.
돌기부(303, 302), 돌기부(301)는 토너 수용 장치(121)의 도 10의 시점에서 본 회전 각도 위치를 정하는 가이드이고, 그 위치를 도시 생략한 화상 형성 장치(100)측의 수용측의 부재의 위치에 맞추는 조작이 필요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303, 302)와 돌기부(301)를 시인하기 쉬우므로, 일방(一方)의 돌기부만이 보이고, 타방(他方)이 보이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토너 수용 장치(121)의 방향의 판별이 용이해서, 이 위치 맞춤 조작을 행하기 쉽다.
이 때문에, 토너 수용 장치의 교환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자의 부담 경감, 토너 수용 장치의 확실한 장착, 토너 수용 장치의 장착 작업시에 있어서의 토너 수용 장치측 및/또는 화상 형성 장치측의 파손의 방지, 토너 수용 장치의 방향을 잘못한 채의 오장착의 방지라고 하는 우위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파지부(203)의 측에서 볼 때, 돌기부(303, 302)가 우상의 각도 위치에 배치되고, 돌기부(301)가 좌하의 각도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로 함으로써, 복수의 토너 수용 장치(121~124)를 나열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공간 절약화를 추구할 수 있다. 이하, 이 점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화상 형성 장치에 토너 수용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측의 구성은 도시 생략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수용 장치(121)는, 장착시의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돌기부(303, 302)가 우상의 각도 위치에 배치되고, 돌기부(301)가 좌하의 각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조와 관련하여, 돌기부(303, 302), 돌기부(301)의 X축 방향으로 있어서의 단부는, 토너 수용 장치(121)의 폭을 넘지 않는 위치로 되어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는 토너 수용 장치를 상방 또는 하방(즉 Z축 방향)에서 보면, 돌기부(303, 302), 돌기부(301)의 가장자리의 부분은, 토너 수용 장치(121)의 가로 폭(X축 방향의 폭)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의 부호 301과 부호 40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토너 수용 장치가 대면하는 측의 돌기부는, 상하로 위치가 어긋난다. 이 구조에 의하면, 인접하는 수용측의 가이드 부재의 간섭도 피해진다. 이 때문에, 인접해서 배치된 토너 수용 장치 사이의 간격(d)을 좁게 할 수 있어,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를 추구할 수 있다. 이것은, 토너 수용 장치(122와 123), 토너 수용 장치(123과 124)의 관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하기 위한 위치 관계에 더해서, 돌기의 높이 자체를 낮게 해도, 2개소의 돌기부를 시인하기 쉽고, 돌기부(303, 302)와 돌기부(301)를 작업자(401)가 인식하기 쉽다.
또한, 돌기부(303, 302)와 돌기부(301)가, 토너 수용 장치(121)의 연장 방향의 축을 사이에 둔 양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그 가이드 기능이 치우치지 않고 발휘되어, 토너 수용 장치(121)의 장착시의 밸런스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돌기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303)→돌기부(302)→돌기부(304)로 연장해서 존재하고, 그 유효 거리가 토너 수용 장치(121)의 길이 방향의 대부분에 있어서 확보되어 있다. 이것은, 돌기부(301, 305)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 때문에, 보다 긴 범위에서 가이드 기능이 얻어져, 토너 수용 장치(121)의 장착 작업의 작업성이 높아진다. 또한, 돌기부가 긴 범위에 연장하여 존재하고 있으므로, 2개소의 돌기부를 시인하기 쉬워, 돌기부(303, 302)와 돌기부(301)를 작업자(401)가 인식하기 쉽다.
화상 형성 장치(100)로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토너 수용 장치(121)에는, 커플링 기어(204)에 Y축 부방향의 힘이 가해지고 있다. 이것은, 화상 형성 장치측의 상대 기어와의 맞물림을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 상대 기어에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한 힘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 수용 장치(121)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토너 배출부(220)의 부분에 있어서,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장착부로부터 분리되는 방향(Y축 부방향)으로 밀리고 있다.
이들 이유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토너 수용 장치(121)에는, 도면의 Y축 부의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방지 부재(209)(도 6 참조)를 구비함으로써, 이 Y축 부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는 것에 기인하는 이동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된 토너 수용 장치(121)의 느슨함이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로의 토너 수용 장치(121)의 장착시에 있어서의 도 8의 (c)→도 8의 (d)의 천이에 있어서, 이동 방지 부재(209)의 튀어오름의 충격이 클릭(click) 감으로서 작업자에게 전해진다. 이에 따라, 확실하게 장착이 행해졌다는 사태를 작업자가 체감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동 방지 부재(209)는, 토너 수용 장치(121)의 정상부의 보기 쉬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토너 수용 장치(121)의 화상 형성 장치(100)로의 위치 맞춤의 마크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이동 방지 부재(209)가 토너 수용 장치(121)의 정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파지부(203)에 손을 걸어 토너 수용 장치(121)를 당기는 작업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낸 작용이 기능하여, 이동 방지 부재(209)의 본체측으로의 걸림의 상태가 원활하게 해제된다. 이 때문에, 토너 수용 장치(121)의 분리의 작업성이 높다.
또한, 도 8의 (d)의 상태에 있어서, 이동 방지 부재(209) 상부의 평탄부에 접촉 부재(210)가 근접해서 대향한다. 접촉 부재(210)의 선단(하방의 가장자리)은, 이동 방지 부재(209) 상부의 평탄부를 따라 연장해 있다. 따라서, 토너 수용 장치(121)를 회전시키려고 해도, 접촉 부재(210)의 선단과 이동 방지 부재(209) 상부의 평탄부가 접촉하여, 토너 수용 장치(121)의 회전이 방지되는 작용이 일어난다. 즉, 이동 방지 부재(209)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는 토너 수용 장치(121)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또한, 접촉 부재(210)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그 부분이 가이드가 되어, 이동 방지 부재(209)가 과도하게 내측으로 구부러지는 일이 없게 되어, 이동 방지 부재(209)의 파손이 방지되어 있다.
(그외)
도 12에는, 본체부(201)로부터 파지부(203)를 분리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01)의 파지부(203)측의 단부면에는, 시일(seal)부(405)가 설치되어 있다. 시일부(405)는, 열용착에 의해 수지로 만들어진 덮개재를 본체부(201)의 단부면에 붙이고, 고정시킨 상태로 되어 있다.
본체부(201)의 단부면에는, 원형의 개구(406)가 설치되어 있고, 시일부(405)는 개구(406)를 막고 있다. 개구(406)는, 수지성의 본체부(20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필요해지는 것이지만, 토너 수용 장치(121)가 토너를 수용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불필요하므로, 시일부(405)에 의해 봉해져 있다.
시일부(405)는, 열용착이 아니라, 접착제에 의해 본체부(201)의 단부면에 고정하는 구조여도 된다. 또한, 시일부(405)를 점착 시일에 의해 구성하고, 점착 시일을 붙이도록 해서 개구(406)를 봉하는 구조로 해도 된다.
개구(406)는 토너의 보충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우선 시일부(405)를 떼어내고, 개구(406)를 노출시킨다. 다음으로, 개구(406)로부터 토너를 본체부(201) 내에 넣는다. 토너의 보충이 종료하면, 새로운 시일부(405)를 구성하여, 개구(406)를 막는다. 이렇게 해서, 개구(406)를 이용한 토너의 보충 작업이 행해진다.
(변형예)
길이 방향으로 연장해 있는 돌기부는, 부분적으로 도중에 끊어져 있어도 된다. 혹은 부분적으로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도 도시한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진다. 즉, 돌기부의 연장의 상태는, 연속적이어도 되고, 비연속적이어도 된다. 길이 방향으로 연장해 있다는 말의 뜻에는, 이들 연속적으로 존재하고 있을 경우와 비연속적으로 존재하고 있을 경우의 양쪽의 의미가 포함된다.
본 발명은, 상 형성제 수용 장치에 관련된 기술에 이용할 수 있다.
100…화상 형성 장치 101…본체
102…용지 수납 장치 103…반송 기구
104…반송 기구 105…2차 전사부
106…전사 벨트 107…정착 장치
110~113…감광체 드럼 114~117…현상 장치
121~124…토너 수용 장치 201…본체부
202…선단부 203…파지부
204…기어 205…신호 단자
206…기판 207…개구
208…클로부 209…이동 방지 부재
210…접촉 부재 211…단부면
21…연장부 22…걸림부
23…제 1 경사면 24…걸림면
25…제 2 경사면 220…토너 배출부
301…돌기부(가이드부) 302…돌기부(가이드부)
303…돌기부(가이드부) 304…돌기부(가이드부)
401…작업자 402…돌기부(가이드부)
403…오른손 404…왼손
102…용지 수납 장치 103…반송 기구
104…반송 기구 105…2차 전사부
106…전사 벨트 107…정착 장치
110~113…감광체 드럼 114~117…현상 장치
121~124…토너 수용 장치 201…본체부
202…선단부 203…파지부
204…기어 205…신호 단자
206…기판 207…개구
208…클로부 209…이동 방지 부재
210…접촉 부재 211…단부면
21…연장부 22…걸림부
23…제 1 경사면 24…걸림면
25…제 2 경사면 220…토너 배출부
301…돌기부(가이드부) 302…돌기부(가이드부)
303…돌기부(가이드부) 304…돌기부(가이드부)
401…작업자 402…돌기부(가이드부)
403…오른손 404…왼손
Claims (6)
- 삭제
-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하는 방향의 앞쪽에 배치된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의 정상의 부분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측에 걸림으로써,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빼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 방지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 방지 부재는, 탄성 변형하는 연장부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측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부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빼낼 때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측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걸림부를 하방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사면(斜面)과,
상기 사면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측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상기 빼냄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빼냄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형성제 수용 장치. -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하는 방향의 앞쪽에 배치된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의 정상의 부분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측에 걸림으로써,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빼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 방지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 방지 부재는,
상기 파지부측과 근본(根本) 부분이 결합하여, 탄성 변형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선단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측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빼냄 방향으로의 이동 시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측에 걸리는 걸림면과,
상기 걸림면과 상기 연장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빼낼 때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측에 접촉 가능하며, 당해 화상 형성 장치측에 접촉되었을 때에 상기 연장부를 탄성 변형시켜 상기 걸림면을 경사시키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형성제 수용 장치.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상 형성제 수용 장치에 상 형성제를 보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장착하는 방향의 앞쪽의 단부면에는, 봉쇄된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봉쇄를 해제하여, 상기 개구를 노출시키는 공정과,
상기 노출된 개구로부터 상 형성제를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넣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형성제 수용 장치로의 상 형성제의 보충 방법.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상 형성제 수용 장치와,
상기 상 형성제 수용 장치로부터 상 형성제의 공급을 받는 현상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내측에 공동이 형성된 단부면을 갖고, 상기 이동 방지 부재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단부면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탄성변형하도록, 상기 근본 부분이 상기 단부면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형성제 수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214102 | 2009-09-16 | ||
JP2009214102A JP4465641B1 (ja) | 2009-09-16 | 2009-09-16 | 像形成剤収容装置、像形成剤収容装置への像形成剤の補充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0290A KR20110030290A (ko) | 2011-03-23 |
KR101441069B1 true KR101441069B1 (ko) | 2014-09-17 |
Family
ID=4230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6910A KR101441069B1 (ko) | 2009-09-16 | 2010-07-12 | 상 형성제 수용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장치로의 상 형성제의 보충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13)
Country | Link |
---|---|
US (1) | US8229331B2 (ko) |
EP (1) | EP2299333A2 (ko) |
JP (1) | JP4465641B1 (ko) |
KR (1) | KR101441069B1 (ko) |
CN (2) | CN102023516B (ko) |
AU (1) | AU2010202993B2 (ko) |
BR (1) | BRPI1002421A2 (ko) |
CA (1) | CA2709465A1 (ko) |
MX (1) | MX2010008999A (ko) |
MY (1) | MY169606A (ko) |
RU (1) | RU2446423C1 (ko) |
SG (1) | SG169932A1 (ko) |
TW (1) | TWI43415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72186B2 (ja) * | 2011-04-25 | 2015-09-02 | 株式会社リコー | 粉体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
US9762165B2 (en) * | 2012-08-09 | 2017-09-12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Control device for electric car |
US9229367B2 (en) | 2013-10-09 | 2016-01-05 | Lexmark International, Inc. | Carriage assembly for toner cartridge loading having a pivotable cradle and a stationary hold-down feature |
US9261851B2 (en) | 2013-11-20 | 2016-02-16 | Lexmark International, Inc. | Positional control features of a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
KR20200025348A (ko) | 2018-08-30 | 2020-03-10 |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 메모리 유닛을 수납하고 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한 홀더를 구비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
KR20200052726A (ko) | 2018-11-07 | 2020-05-15 |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 커플러 홀더 기반 토너 로킹 시스템 |
KR20200108687A (ko) | 2019-03-11 | 2020-09-21 |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 록킹 구조 및 동력 전달 구조를 갖는 구동커플러 |
KR20210153283A (ko) | 2020-06-10 | 2021-12-17 |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 전면 커버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 |
JP2022050266A (ja) | 2020-09-17 | 2022-03-30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CN112180702A (zh) * | 2020-11-04 | 2021-01-05 | 中山沃蒙斯打印耗材有限公司 | 一种粉筒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0167A (ja) * | 1994-07-13 | 1996-02-02 | Canon Inc |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装置 |
KR20090005546A (ko) * | 2007-07-09 | 2009-01-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및 이를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35383A (ja) | 1985-08-09 | 1987-02-16 |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 画像形成装置 |
JPS63109956A (ja) | 1986-10-28 | 1988-05-14 | Toshiba Corp | Xyテ−ブル |
JPH01126666A (ja) * | 1987-11-11 | 1989-05-18 | Mita Ind Co Ltd | 現像装置 |
JPH01166363U (ko) | 1988-05-10 | 1989-11-21 | ||
JPH02157775A (ja) | 1988-12-09 | 1990-06-18 | Canon Inc | 現像装置及び現像装置の現像剤カートリッジ |
JP3824756B2 (ja) * | 1997-10-30 | 2006-09-20 | 株式会社沖データ | 現像剤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JP3628539B2 (ja) * | 1999-01-25 | 2005-03-16 | 株式会社リコー | トナー容器 |
CN2570829Y (zh) * | 2002-09-26 | 2003-09-03 |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 碳粉供料容器 |
JP4134061B2 (ja) | 2005-02-14 | 2008-08-13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が装着される画像形成装置 |
TWI534562B (zh) * | 2005-04-27 | 2016-05-21 | Ricoh Co Ltd |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device |
JP4802872B2 (ja) * | 2006-06-08 | 2011-10-26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着脱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RU2349948C2 (ru) | 2006-11-07 | 2009-03-20 |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 Кассета для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
JP4348645B2 (ja) * | 2007-07-31 | 2009-10-21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4458152B2 (ja) * | 2007-11-16 | 2010-04-28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現像剤収容装置及びこの現像剤収容装置が着脱される画像形成装置 |
-
2009
- 2009-09-16 JP JP2009214102A patent/JP4465641B1/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06-11 US US12/814,069 patent/US8229331B2/en active Active
- 2010-07-12 KR KR1020100066910A patent/KR10144106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7-12 BR BRPI1002421-2A patent/BRPI1002421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7-13 SG SG201005077-1A patent/SG169932A1/en unknown
- 2010-07-13 CN CN201010229504.2A patent/CN102023516B/zh active Active
- 2010-07-13 CN CN201510284197.0A patent/CN104880928B/zh active Active
- 2010-07-14 CA CA2709465A patent/CA270946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7-15 EP EP10169675A patent/EP2299333A2/en not_active Withdrawn
- 2010-07-15 AU AU2010202993A patent/AU2010202993B2/en active Active
- 2010-07-16 TW TW099123435A patent/TWI434153B/zh active
- 2010-07-16 RU RU2010129943/28A patent/RU2446423C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7-16 MY MYPI2010003373A patent/MY169606A/en unknown
- 2010-08-16 MX MX2010008999A patent/MX2010008999A/es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0167A (ja) * | 1994-07-13 | 1996-02-02 | Canon Inc |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装置 |
KR20090005546A (ko) * | 2007-07-09 | 2009-01-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제 카트리지 착탈장치 및 이를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BRPI1002421A2 (pt) | 2012-05-15 |
CN104880928B (zh) | 2019-11-01 |
RU2446423C1 (ru) | 2012-03-27 |
US8229331B2 (en) | 2012-07-24 |
CN102023516B (zh) | 2015-07-01 |
MY169606A (en) | 2019-04-22 |
US20110064477A1 (en) | 2011-03-17 |
SG169932A1 (en) | 2011-04-29 |
AU2010202993B2 (en) | 2011-08-18 |
KR20110030290A (ko) | 2011-03-23 |
EP2299333A2 (en) | 2011-03-23 |
TWI434153B (zh) | 2014-04-11 |
CA2709465A1 (en) | 2011-03-16 |
CN102023516A (zh) | 2011-04-20 |
JP4465641B1 (ja) | 2010-05-19 |
TW201111923A (en) | 2011-04-01 |
MX2010008999A (es) | 2011-03-15 |
RU2010129943A (ru) | 2012-01-27 |
JP2011064846A (ja) | 2011-03-31 |
CN104880928A (zh) | 2015-09-02 |
AU2010202993A1 (en) | 2011-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1069B1 (ko) | 상 형성제 수용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장치로의 상 형성제의 보충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 |
TWI703417B (zh) | 色料供給機構 | |
US7469892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1408430B1 (ko) |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 |
US5930561A (en) | Process cartridge and image-formation device suitable for miniaturization | |
EP1298502A1 (en)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process cartridge | |
JP4458152B2 (ja) | 現像剤収容装置及びこの現像剤収容装置が着脱される画像形成装置 | |
US20030123896A1 (en) |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
JP4971832B2 (ja) | 画像形成装置 | |
EP2492756B1 (en) |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CN103777494A (zh) | 成像设备及在成像设备中传输电力和安装显影单元的方法 | |
JP5822816B2 (ja) | 現像剤収容体、現像剤収容体保持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 |
JPH10268734A (ja) | カートリッジとその挿入方法、これら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
JP5451030B2 (ja) | 画像形成装置 | |
KR101332275B1 (ko) |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 |
KR101429150B1 (ko) | 상 형성제 수용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장치로의 상 형성제의 보충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 |
JP2009265345A (ja) | 画像形成装置 | |
US9535371B2 (en) | Toner container,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toner container is attached | |
KR100608068B1 (ko) | 현상기 장착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 |
WO2016056163A1 (en) |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3628869B2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シャッター機構、これを用い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 |
JPH1184986A (ja) | 現像マガジン、画像形成装置、現像マガジン支持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