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962A - 단말을 트리거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을 트리거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962A
KR20090004962A KR1020087025003A KR20087025003A KR20090004962A KR 20090004962 A KR20090004962 A KR 20090004962A KR 1020087025003 A KR1020087025003 A KR 1020087025003A KR 20087025003 A KR20087025003 A KR 20087025003A KR 20090004962 A KR20090004962 A KR 20090004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terminal
control center
information
bas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페터 아우렌츠
Original Assignee
아야메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야메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야메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04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6Protocol convers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aving fewer capabilities than the client, e.g. thin client having less processing power or no tuning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08C2201/41Remote control of gatew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물리적 유닛의 모든 단말 및 제어 기기가 베이스 단말 기기를 통해 물리적으로 분리된 제어 센터에 연결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안된다. 이러한 제어 센터는 그것에 연결된 다른 물리 유닛의 베이스 단말 기기를 갖는다. 또한, 그 제어 센터는 단말을 제조하거나 단말을 위한 서비스 또는 단말의 타입을 공급하는, 그것에 연결된 생산자를 갖는다. 단말을 구동하기 위해, 제어 기기 상에서 입력되는 선택 프로세스가 제어 센터를 통해 기기의 생산자에게 전달되고, 여기에서부터 거기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가 제어 센터를 통해 관련된 단말로 공급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하나의 타입의 원격 제어와 그것에 의해 제어되는 기기 사이에는 어떠한 직접적인 연결도 행해지지 않는다.
제어 기기, 베이스 단말 기기, 제어 센터, 원격 제어

Description

단말을 트리거하는 시스템{SYSTEM FOR TRIGGERING TERMINALS}
기술분야
본 발명은 구동가능한 단말의 구동 및/또는 제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오늘날 대부분의 가정용 엔터테인먼트 기기들은 원격 제어 설비를 가지며, 즉 원격 제어를 사용하여 구동 및 제어될 수 있다. 이것은 통상 적외선 접속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수개의 기기들이 존재하는 경우, 때때로 각각의 기기를 위한 전용 원격 제어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러 기기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범용 원격 제어들도 또한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그것들을 상이한 기기들을 위해 설정하는 것은 항상 전적으로 간단한 방식은 아니다.
시청각 기기와 원격 제어 간의 양방향 원격 제어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시청각 기기는 원격 제어 상의 화면 상에 그것의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그 후 이러한 화면 상에서, 예를 들어 CD 의 타이틀을 보고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그 시청각 기기에 의해 제공된 이러한 정보는 그 타이틀에 대해 어떤 세부사항이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기초로서 취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US 6,255,961).
또한, 기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여러 형태의 기기와 제조자에 대한 정보 및 제어 명령, 및 원격 제어 상에 나타낼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엘리먼트를 얻기 위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시청각 기기를 위한 원격 제어가 공지되어 있다. 제조자의 데이터베이스로의 이러한 접속은 규칙적인 간격으로, 예를 들어 기기가 끊어질 때마다 행해질 수 있다. 그 후 확인된 제어 명령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원격 제어 유닛에 저장된다 (WO 03/100553).
또한, 소비자 전자 가정용 컴포넌트의 원격 제어 및 미디어 콘텐츠의 관리를 위한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DE 10310746). 이러한 맥락에서, 가정용 컴포넌트와 통신 기기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각각의 전용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명령이 인터넷을 통해 중앙 서버로 라우팅되고 이것으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다시 가정용 컴포넌트로 라우팅된다. 그 서버는 명령의 내용을 알고 있다.
마찬가지로, 전기 기기를 LAN (local area network) 에 링크하고 인터넷으로부터 이들 기기를 활성화하는 것이 공지된 관행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그 기기가 LAN 으로부터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떤 데이터 상호교환도 불가능하다 (WO 99/65192).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서버상으로 소프트웨어를 로드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구동가능한 단말의 서비싱, 구동 및 제어에 이용가능한 가장 최신의 설비를 항상 갖는 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따라서, 단말에 대한 프로세스에 즉시 반응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특징을 갖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구현은 서브 클레임의 주요한 내용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시스템은 우선 단말들, 즉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포함한다. 이것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동되는 설비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오늘날 이미 배치된 적외선 제어를 사용하는 원격 제어 설비가 기기가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기기에서 사실임에 틀림없다.
단말은, 그것으로서는 단말들을 포함하는 영역 밖의 제어 센터에 접속되는 베이스 단말 기기에 그것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된다. 베이스 단말 기기는 또한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하는, 그것에 접속된 입력 디바이스를 갖는다. 이러한 정보는 베이스 단말 기기를 통해 제어 센터로 전송되고 지시로서 해석된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센터는 단말로의 제어 신호 또는 표시 디바이스로의 제어 신호 및 정보 신호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위해 베이스 단말 기기를 사용한다. 따라서, 그 가시적인 액션이 예전의 원격 제어에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입력 디바이스는, 단말을 어드레싱하지 않는다. 단말은 로컬 유닛 외부에 배치된 제어 센터에 의해 어드레싱된다.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에 의해 제공된 상태 정보는 표시 디바이스로 직접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베이스 단말 기기를 통해 제어 센터로 공급되며, 여기서 그것이 처리되거나 편집될 수 있다.
이들 수단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이 즉각적인 현재의 만연한 상황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 디바이스는 그것이 단지 단말로서 작동하기 때 문에, 간단한 디자인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 디바이스와 표시 디바이스가 하나의 기기, 즉 제어 유닛으로서 알려진 것에서 결합되는 것은 이해가 되며,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다. 실제로, 이러한 제어 유닛은 구형의 원격 제어와 정확히 동일한 외관을 갖는다. 그러나, 입력 디바이스가 표시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밖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력 디바이스를 갖는 제어 유닛을 어드레싱하는 입력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에서, 베이스 단말 기기는 제어 기기로부터의 정보가 제어 센터로만 공급되도록 하는 형태가 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서비스 회사와 함께 위치되는 제어 센터는, 예를 들어 그것이 제어 기기에 의해 공급된 정보에 응답하여 각각의 단말 또는 단말들에 제어 명령을 공급하도록 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그러나, 특별한 상황에서, 제어 센터는 예를 들어 응급 상황에서 또는 그것이 단말기를 오프로 스위칭하는 것이 더 좋다는 것을 의미하는 단말기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음을 인식한 경우에는 제어 명령을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제어 기기에 의해서가 아닌 단말기 자체에 의해 공급되는 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에서는, 또한 제어 센터가 정보를 제어 기기에 공급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는 어드레싱된 단말로부터의 상태 정보로부터 획득된 정보일 수도 있다. 예로서, 정보는 제어 명령이 단말에 의해 확 인응답되었을 때 공급될 수도 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제어 센터가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 뿐아니라 제어 기기에 표시되는 또 다른 정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로서 제어 기기로부터 정보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제어 기기로부터의 정보 신호가 선택이 필요한 또 다른 옵션들을 제공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단말기에 대한 실제의 제어 명령이, 명확히 말해서 제어 기기로부터 온 정보에 응답하여 제어 센터에 의해 공급된다는 것은 이미 언급되었다. 제어 기기, 또는 다시 말해서 제어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정보는, 그러나 단말기들 중 어느 것에 제어 명령이 공급되는지를 결정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제어 센터에서가 아니라 제어 기기에서 선택된다. 고작해서,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은 응급상황의 경우, 제어 센터가 제어 기기로부터의 정보를 무시하는 방법이 있을 수도 있다.
반복해서 말하면, 제어 기기는 어느 단말이 선택되는 지를 결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그것으로서는 제어 명령 또는 그 밖에 다른 정보 아이템이 실제로 지금 공급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바로 제어 센터이다. 예로서, 사용자가 기기의 볼륨을 증가시기를 원하는 상황은 제어 센터로 하여금 이러한 요청을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제어 기기의 사용자에게 볼륨이 이미 매우 높고 증가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에서, 메모리 내에 베이스 단말 기기에 접속된 단말들에 대한 저장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센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는 기기의 각각의 현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가 아니라, 오히려 단말의 타입, 모델 및 시리얼 번호에 대한 정보이다. 이러한 정보는 통상 매우 느리게 변화하며, 이는 제어 센터 내의 이러한 정보를 비-일시적 메모리에 한번 유지시키는 것은 이치에 맞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연히, 상태 정보는 그것이 특별한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해 요구되는 경우 또한 저장된다. 그러나, 이것은 일시적인 저장을 수반한다.
그러나, 단말들은 상태 정보 뿐아니라 그들의 기기 정보를 일정하게 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센터는 예를 들어 서비스 회사의 경우에 단말들을 포함하는 로컬 영역 밖에 있다는 것은 이미 언급하였다. 당연히, 제어 센터가 개개의 유닛, 예를 들어, 주택, 사무실 등에 위치된 다수의 베이스 단말 기기에 접속되는 것은 이치에 맞다. 제어 센터는 그것이 개개의 베이스 단말 기기를 어드레싱하고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이다. 이것은 고객 번호를 할당함으로써 또는 유사한 방법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단말의 모든 가능한 방식, 타입 및 모델에 각각의 경우에 즉시 제어 명령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은 각각의 단말에 대해 책임있는 생산자로부터의 생산자 유닛에 접속되는 제어 센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 센터가 베이스 단말 기기의 단말들에 대해 가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센터는 각각의 단말에 대해 책임이 있는 생산자를 확인할 수 있다. 생산자 유닛은 특정의 제조자로부터의 기기 정보 또는 서비스 회사로부터의 다른 정보가 결합된 유닛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것은 통상 데이터베이스에서 구현된다.
이 시점에서, 생산자의 개념에 대한 어떤 것을 언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양한 타입의 생산자가 있다. 한편으로, 그들은 당연히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제공하는 기기의 직접 제조자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생산자, 예를 들어 텔레비젼 수상기의 경우에 그들의 프로그램을 갖는 여러 방송국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상위 생산자, 즉 사용자가 각각의 프로그램 및 방송국을 선택하는 일종의 텔레비젼 저널을 생산하는 생산자가 있을 수도 있다.
CD 플레이어의 경우에서도, 수개의 타입의 생산자, 즉 기기의 제조자, 음악 피스의 생산자, 심지어 가능하다면 작곡자가 존재한다.
특정의 작곡자로부터의 한 곡의 음악을 연주할 때 사용자가 작곡자 자신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어 센터가 일반 백과사전의 생산자에 접속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 제어 센터는 그것이 특정의 베이스 단말 기기로부터 온 정보를 책임있는 생산자 또는 생산자들에게 포워드하도록 하는 형태이다. 어느 생산자가 책임이 있는가는 상태 정보로부터 얻어질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특정의 베이스 단말 기기에 접속된 단말에 대해 제어 센터가 가지고 있는 정보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제어 센터가 생산자에게 포워딩하는 정보의 타입은 생산자의 타입에 종속할 수도 있다.
이들 생산자의 각각은 현재 제어 센터에 그것이 이러한 기기 또는 이러한 타입의 기기에 제공할 수 있는 그 정보 또는 그 제어 명령들을 제공한다.
제어 센터는 이러한 정보 또는 이들 명령을 가정에 그리고 가정에서 이용가능한 표시 디바이스 또는 제어 기기에 공급한다. 만일 하나의 특정의 경우에 옵션들의 수가 너무 크면, 사용자가 그 순간에 하기를 원하는 것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검색 엔진을 표시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예로서, 수개의 방법으로, 예를 들어 텔레비젼 수상기의 심볼을 사용하거나 텔레비젼 매거진의 심볼을 사용하여 텔레비젼 수상기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 센터는 또한 그것이, 생산자 유닛으로부터 오고 그것에 송신된 정보에 응답하여 거기에서 생산된 제어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정보가 나오는 베이스 단말 유닛에 공급하도록 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생산자는 베이스 단말 기기의 소유자를 알 수 있을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에서, 제어 센터에 대한 접속을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명시적 고객 번호를 송신하도록 하는 형태인 베이스 단말 기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이전에 구매했거나 임대한 베이스 단말 기기를 처음으로 설치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인터넷 접속으로의 접속에 후속하여 제어 센터로의 접속의 구성이 뒤따르며, 그 후, 이것은 베이스 단말 기기를 어드레싱할 수 있으므로 아마도 고객을 식별할 수 있다.
제어 센터가 그것의 저장 수단에 기기의 타입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이러한 정보가 수동으로 입력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것 은 바 코드 마커로 스캐닝함으로써 행해질 수도 있다. 그러나, 만일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에서, 단말들이 그들이 송신한 상태 정보가 그들의 제조자, 그들의 타입 및 가능하다면 그들의 시리얼 번호이도록 하는 형태라면 특히 이치에 맞다. 이것은 예를 들어 처음 등록할 때의 일회성 동작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베이스 단말 기기가 단말에 의해 제어 센터로 상태 정보의 이러한 전달을 행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단말, 출력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 제어 기기 및 베이스 단말 기기 사이의 접속을 암호화하는데 사용되는 인코딩 키를 위한 입력 설비를 갖는 각각의 단말, 입력 디바이스, 출력 디바이스, 제어 기기 및 베이스 단말 기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주거 유닛 내의 그러한 암호화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외부로부터 가져온 정보의 가능성을 수반하기 때문에 이해가 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기가 연관된 베이스 단말 기기를 분명히 식별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단말 및/또는 제어 기기는 각각의 단말 및 제어 기기가 인코딩 키의 입력을 뒤따라 베이스 단말 기기에의 접속을 독립적으로 구성하도록 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베이스 단말 기기는 인코딩 키에 대한 입력 설비를 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즉 인코딩 키를 알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단지 인코딩 키들이 매칭되는 경우에만 단말과 제어 센터 간의 접속을 구성하는 베이스 단말 기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인코딩 키는, 일단 그것이 기기로 입력되면, 기기내에 유지되므로, 초기화가 일회만 발생할 필요가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에서, 첫째로 단말로부터의 상태 정보를 버퍼-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둘째로 예를 들어 인터넷에의 접속이 꽤 느린 경우 외부로부터 오는 비교적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제공 및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버퍼 저장소 (buffer store) 를 갖는 베이스 단말 기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베이스 단말 기기는 제어 센터에의 접속이 차단된 경우 응급 동작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의 응급 동작에 필요한 가장 중요한 제어 명령들이 저장되었을 수 있다. 그러나, 그 후 즉각적인 이벤트를 고려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단말의 응급 동작에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은 각각의 연관된 생산자에 의해 공급되고 베이스 단말 기기에 저장된다. 이러한 경우, 적절한 암호화는 생산자가 그것의 데이터만을 액세스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에서, 제어 센터 및 베이스 단말 기기는 또한 암호화된 형태로 접속될 수도 있다.
제어 센터와 생산자 간의 정보 및 제어 신호의 상호 교환에 동일한 것이 적용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가정 내에서와 같이, 제어 센터와 베이스 단말 기기 및 제어 센터와 생산자가 그들 자신을 서로에 대해 식별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될 수도 있다.
하나의 구현에서, 제어 센터가 베이스 단말 기기의 단말들에 대해 유지하고 있는 정보가 고객-특정 기반으로 암호화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베이스 단말 기기에 유지된 정보는 또한 고객-특정 및/또는 생산자-특정 기반으로 암호화될 수도 있다.
만일 암호화 키가 하드웨어 형태라면 그것은 이치에 맞으므로, 사용자는 기기에 인코딩 키를 제공하는 바람직한 방법인 스틱의 삽입과 함께 그의 기기에 암호화키를 순서대로 제공할 수 있도록하여, 이러한 기기가 그 후 후속하여 제어 센터로 리포트하기 위해 베이스 단말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로서, 이러한 스틱은 고객 또는 그 밖에 가정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개개의 고객 번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것은 베이스 단말 유닛의 하드웨어와는 독립적으로 고객의 식별을 행한다.
로컬 유닛, 즉 주택 내의 다양한 사용자의 설정 및 선호를 고려할 수 있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단말 기기에 대한 복수의 개인-특정 제어 기기가 존재하는 것을 제공할 수도 있다. 비록, 이들 모두가 동일한 인코딩 키를 사용할 수 있을지라도, 그들은 또한 제어 센터로 송신될 수 있는 부가적인 특징에 의해 상이할 수도 있다.
이것은 로컬 유닛 내의 여러 사용자에 기기를 제어하는 설비가 제공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에 의해 제안된 바와 같이, 제어 기기를 예를 들어 표시에만 사용되는 부분으로 및 입력에만 사용되는 제 2 부분으로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예를 들어 음성 제어하에서 화면상에 표시되는 소정의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폰일 수도 있다. 그러한 분할에 따라, 개인-특정 기반으로 동작하는 송신기를 갖는 복수의 마이크로폰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그것은 다시 이제 간단히 마이크로폰으로 불리는 그러한 복수의 입력 기기가 키패드나 터치스크린의 형태의 입력 설비를 갖는 통상의 제어 기기에 영향을 주는 가장 간단한 경우에서 가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하나의 구현은 표시에만 사용되는, 즉 이제 전용 입력 설비를 갖지 않는 특별한 표시 기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옵션을 제공한다.
표시에만 사용되는 그러한 복수의 표시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단 한 사람과만 연관된 표시 기기를 위한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달성된 효과는 이러한 표시 기기가 한명의 사용자를 위한 선택 옵션들만을 표시한다는 것이다. 연관 그 자체는 또한 당연히 입력 기기, 예를 들어 제어 기기 상에서 행해진다.
복수의 기기가 베이스 단말 기기에 접속되는 로컬 유닛 내에서, 통신은 케이블의 배치를 피하기 위해 무선으로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의 경우,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은 제어 기기가 위치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주거 유닛에 분포되는 복수의 수신기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것은 예로서 다른 선택 없이 제어 기기가 현재 위치된 바로 그 방 내의 전등을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어 센터는 베이스 단말 기기에 의해 공급되는 정보가 베이스 단말 기기를 실제로 식별하지 않고 프로시져들로 포워드되도록 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것은 정보의 기밀성에 대한 말단 사용자의 희망을 고려한다.
제어 기기는 원격 제어 또는 PDA 와 유사한 디자인일 수 있으며, 즉 작은 화면 및 키 또는 터치-감지 화면을 갖는 기기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기는 시각적 표시기이다. 이것은 정보를 심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각장애를 갖는 사람들로서는, 표시 디바이스로서 가청 표시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로서, 이것은 제어 기기가 선택되었을 때 옵션들이 크게 읽혀지고 사용자가 키를 사용하여 특정의 시간에 선택을 개시하도록 행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표시 디바이스가 특별한 심볼들이 표면으로부터 푸시되는 액티브 표시기인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제어 기기 상에 제공된 입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압력에 반응할 수 있으며, 즉 터치-감지 화면일 수도 있다. 또한, 개개의 키가 커서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입력 디바이스가 음성 입력이라면, 그것은 특히 이치에 맞다. 이것은 실제의 음성 인식이 제어 센터 내에서 각각의 가장 최신의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특별한 가치를 준다.
음성을 사용하는 입력 디바이스에서는, 제어 센터는 음성 정보가 사용자 인식에 대한 기초로서 취해질 수도 있도록 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제어 기기는 당연히 제조자를 또한 가지며, 이것은 제어 기기가 초기화될 때 제어 센터는 이 경우에도 초기화를 수행하는 연관된 생산자를 알려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에서, 제어 센터는, 그것이 하나의 단말로부터의 출력을 복수의 가능한 다른 단말들 중 하나 그 자체에 전달하도록 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것은 오디오 기기로부터의 출력이 예를 들어 상이한 방들에 설치되는 복수의 라우드스피커 중 하나로 전송되도록 의도되는 상황을 향해 조정된다. 이들 라우드스피커 또는 라우드스피커 쌍들의 어느 것에 출력 신호가 전송되도록 의도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때때로 제조자에게 묻는 것이 필요하며, 이것은 제어 센터가 이러한 정보 자체를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단 전달이 완료되면, 데이터는 베이스 단말 기기를 통해 제어 센터로 송신되고 거기서 부터 베이스 단말 기기를 통해 선택된 단말로 다시 송신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에서, 데이터가 제어 센터 및/또는 베이스 단말 기기의 전달을 통해 하나의 단말에서 또 다른 단말로 직접 전송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에서, 제어 센터는 특정의 표준 상황 및 표준 기기를 위한 표준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표준 정보를 메뉴로서 제어 기기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오디오 재생의 경우, 예를 들어, 볼륨, 밸런스, 트레블 (treble), 및 베이스를 설정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어 센터는 각각의 생산자에게 물을 필요없이 표준 상황을 유지할 수 있다.
베이스 단말 기기에 의해 대표되는 가정을 식별하기 위해, 시스템은 예를 들어 베이스 단말 기기 내로 플러깅 또는 삽입된 베이스 식별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베이스 식별 수단은 그것이 정보 교환을 암호화하기 위해 및 빌링 (billing) 을 식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제어 센터에 대한 식별 (identification), 명시적 시리얼 번호 및 제어 센터로부터의 공개키 및 비대칭 키의 양쪽 부분을 포함하도록 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데이터는 특히 그들이 이후에 다시 변경될 수 없는 방식으로 생산 시에 제어 센터의 조작자에 의해 베이스 식별 수단에 기입된다. 또한, 키 쌍 내의 비밀키는 외부적으로 액세스 불가능하다는 보장이 존재한다. 제어 센터의 조작자는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는 특정의 수의 베이스 식별 수단, 예를 들어 SIM 카드를 생산한다. 그러한 카드가 구매된 경우, 그것의 시리얼 번호는 인에이블되고, 관련 고객 번호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시스템이 개인을 명시적으로 식별하는 개인 식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는, 베이스 단말 기기에 베이스 식별 수단, 예를 들어 SIM 카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가정에서는, 그 후, 개인이 예를 들어 베이스 단말 기기와 함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구매한 개인 식별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가정의 한 명 이상의 구성원에 대해, 제 1 식별 수단과 동일한 권한부여 또는 그 밖에 등급이 매겨진 권한 부여 중 어느 하나를 갖는 각각의 개개의 개인 식별 수단이 구매될 수 있다.
이들 식별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물리적 형태로, 예를 들어 동글 또는 SIM 카드의 형태로 구현된다.
베이스 식별 수단과 비교할만한 방식으로, 개인 식별 수단은 그것이 정보 교환을 암호화하기 위해 및 빌링 (billing) 을 식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예를 들 어 제어 센터에 대한 식별, 명시적 시리얼 번호 및 제어 센터로부터의 공개키 및 비대칭 키의 양쪽 부분을 포함하도록 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데이터는 특히 그들이 이후에 다시 변경될 수 없는 방식으로 생산 시에 제어 센터의 조작자에 의해 개인 식별 수단에 기입된다. 또한, 키 쌍으로부터의 비밀키는 외부적으로 액세스 불가능하다는 이러한 맥락에서의 보장이 존재한다. 제어 센터의 조작자는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는 특정의 수의 개인 식별 수단, 예를 들어 동글을 생산한다. 그러한 동글이 구매된 경우, 그것의 시리얼 번호는 인에이블되고, 관련 고객 번호에 결합된다.
개인 식별 수단은 예를 들어 특정의 서비스가 지불에 대한 보답으로만 제공되는 경우 빌링이 요구되는 사람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호텔이나 공공시설에서, 시스템 내의 가입자가 그러한 서비스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 후 그러한 서비스는 호텔을 통하지 않고 직접 그에게 빌링된다.
물리적으로 구현된 개인 식별 수단은 그 개인 식별 수단이 실제로 속하는 물리적 유닛의 베이스 단말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그 후, 이러한 방식으로 원격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호텔 내의 입력 기기 상에서 그 자신을 식별하기 위해 그의 동글을 사용하고, 그 후 기기가 제어 센터로 리포트하는 경우, 후자는 개인 식별 수단이 그 리포트를 전송하는 접속 기기와 상이한 베이스 단말 기기에 속한다는 것을 확립할 수 있다. 그 후,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그 자신의 가정에 있는 베이스 단말 기기로의 스위칭 또는 그가 현재 처해 있는 위치의 기기들을 제어하는 것 중의 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러한 방식으로, 그는 그 자신의 가정 내의 소정의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것은 때때로 그의 가정이 그가 등록하기 위해 방금 사용했던 베이스 단말 기기와 상이한 제어 센터와 연관되어 있는 때에도 가능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 및 정보 명령은 현재의 베이스 단말 기기용 제어 센터로부터 원하는 베이스 단말 기기용 제어 센터로 포워딩될 수 있다.
개인 식별 수단은, 그것이 제어 센터에 접속하는 베이스 단말 기기와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그 제어 센터에 저장된 시리얼 번호가 사용될 수 있다. 만일 개인 식별 수단의 시리얼 번호가 이러한 제어 센터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이러한 제어 센터는 다른 제어 센터에 요청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위 관리 센터에 요청할 수 있다.
복수의 개인 식별 수단을 베이스 단말 기기에 연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권한부여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에서, 베이스 식별 수단 및/또는 개인 식별 수단은 물리적인 형태로, 예를 들어 SIM 카드 및/또는 동글이나 스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베이스 식별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단말 기기 내에 영구적으로 배치된다.
개인 식별 수단은 또한 베이스 단말 기기에 접속된 단말들의 최초 인에이블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일회성 동작이며, 이것은 개인 식별 수단이 단말에 접속되는 것이 유지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제어 기기 및/또는 입력 기기는 개인 식별 수단에 접속되는 방법, 예 를 들어 플러그 접속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에서는, 연관된 베이스 단말 기기에 접속되어 있는 각각의 단말에 대한 레이팅 (rating) 을 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입력 기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레이팅을 제시하는 개인이 키를 사용하는 서명에 의해 명확하게 식별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이 레이팅을 조작하기 위해 일회 이상 레이팅을 제시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시스템의 동작은 만일 레이팅이 반복된다면 사용자가 추가적인 레이팅으로서 새로운 레이팅을 제시함없이, 그가 그 후 변경할 수 있는 그의 이전의 엔트리에 대해 받아들여지도록 할 수도 있다.
조작의 비난을 방지하기 위해, 비록 고객이 복수의 평가 (assessment) 를 제시할 수 있더라도 다수의 진술 (statement) 들이 포함된다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는 것 또한 생각할 수 있다.
단말들 자체를 레이팅하는 것과는 별도로, 고객은 당연히 생산자 및 다른 서비스 제공자 (즉 예를 들어 텔레비젼 프로그램 또는 텔레비젼 매거진을 포함하여) 를 레이팅할 수도 있다.
레이팅은 다음과 같이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기기나 제어 기기 상에서 기기 또는 정보를 선택했고 이제 상기 기기를 구동하기 원하거나 구동할 수 있는 때마다, 시스템은 그에게 선택가능한 아이템의 형태로 레이팅을 제시하는 것에 대한 옵션을 제공한다. 레이팅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시스템은 그에게 상이한 기준을 포함하여 레이팅 스테이지 또는 노드를 제공한다. 이들 기준은 평가될 기기의 타입에 종속할 수도 있고 타입마다 변할 수도 있다. 예로서, 품 질, 핸들링의 간단성, 가격-성능 비, 시각적 외관 등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준을 포함하여 평가 설비가 기기의 생산자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레이팅 기준 및 레이팅 노드가 또 다른 위치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이치에 맞아 보인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제어 센터 자체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으면 기기의 상이한 타입에 대한 기준을 산출하는 일종의 소비자 센터일 수도 있다. 이러한 레이팅은 기기 뿐아니라 가장 막연한 의미에서 그러한 기기와 관계있는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레이팅은 이용가능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레이팅의 암호화 및 레이팅이 저장되고 아마도 처리되는 위치에 대한 익명성을 포함하는, 여기에서 언급된 모든 다른 옵션들이 이용가능하다.
그러한 시스템의 모든 고객들은 당연히 모든 다른 레이팅에 대한, 가능하다면 심지어 전체로서 레이팅의 평가에 대한 액세스를 읽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방법은 베이스 단말 기기를 매개로하여 제어 센터로 그 자신을 식별하는 유닛, 예를 들어 주거 유닛 내의 단말을 포함한다. 제어 센터는 그 단말의 생산자에게 식별 (identification) 을 포워드한다. 생산자는 제어 센터 및 베이스 단말 기기를 매개로하여 제어 기기 상에 표시를 생성하고, 사용자는 이러한 표시로부터 하나의 기기를 선택한다. 이러한 선택 정보는 다시 제어 센터를 통해 선택된 단말의 생산자로 전달되어, 그 생산자가 다시 제어 센터를 매개로 하여 제어 기기를 우회하여 상기 생산자가 단말로 직접 그 후에 전송하는, 이러한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인해, 구동되고 및/또는 제어될 단말기 및 입력 기기는 동일한 위치에 존재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에서는, 단말 및/또는 그 단말을 구동하기 원하는 사용자 개인의 위치가 단지 제어 센터에 대해서만 식별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 센터는 이러한 정보를 단말의 가능한 생산자에게 포워드하지 않는다.
역으로, 사용자로부터 오는 정보 및/또는 명령의 콘텐츠가 제어 센터에 의해 각각의 생산자에게만 포워드되는 반면, 제어 센터 자신은 이러한 정보의 콘텐츠를 모르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하나의 구현에서는, 소정의 위치에 존재하는 단말에 대한 정보가 제어 센터에서 저장되어 유지되므로, 단말은 매번 다시 그들 자신을 식별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에서는, 입력 디바이스 또는 제어 기기 상의 입력은, 예를 들어 베이스 단말 기기를 통해 구동되어야 하는 단말의 위치의 확인, 및 그 후 구동되어야 하는 단말의 식별에 의해 후속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나, 구동되어야 하는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베이스 단말 기기에 대한 식별이 먼저 평가되고, 후속하여 개인 식별 수단에 대한 식별이 뒤따른다.
개인 식별 수단과 로컬 식별 수단 간의 로컬 연관이 매치하지 않는다는 것이 확립된다면, 단말의 원격 제어는 개인 식별 수단과 연관된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동일한 제어 센터와 연관된 위치 또는 상이한 제어 센터와 연관된 위치 중 어느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그 정보는 제 1 제어 센터로부터 제 2 제어 센터로 포워드되며 그 역도 성립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특히 여기에 기재된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청구항 77 및 78 의 특징을 갖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들 방법에 대하여는, 여기에 기재된 모든 특징들, 특히 암호화, 명확한 식별 및 익명성의 보유에 대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77 에 정의된 방법은 단지 가정에 존재하는 단말을 레이팅하는 것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이들 단말과 관련된 모든 서비스를 레이팅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모든 단말은 직접 생산자 또는 제조자를 갖는다. 단말에 대한 레이팅은, 예로서, 수용하는 행위는 단말에 대하여가 아니라 제조자에 대한 무언가를 말하기 때문에, 단순히 단말의 제조자에 대한 레이팅이 아니다. 따라서, 단말의 제조자는 단말과 분리하여 레이팅될 수 있다. 그러나, 단말에 대하여는, 또 다른 종류의 생산자, 예를 들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텔레비젼 방송국이 존재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또한, 텔레비젼 방송국 자신이 레이팅될 수 있는 것처럼, 레이팅될 수 있다. 만일 텔레비젼 방송국이 현재 영화를 방송한다면, 영화의 제작자가 또한 생산자로서 고려될 수 있다. 다수의 텔레비젼 방송국 및 그들의 프로그램을 참조하는 텔레비젼 매거진은 더욱 넓은 의미에서 단말 '텔레비젼 수상기' 의 생산자이다.
그 방법에 기초하여, 가정 내의 모든 단말은 제어 센터에 대해 식별된다. 그 후, 제어 센터는 단말에 대한 식별을 이러한 단말에 대해 가능한 모든 생산자에게 포워드한다. 이들은 또한 예를 들어 텔레비젼 수상기의 경우 텔레비젼 매 거진을 포함한다.
텔레비젼 매거진을 제작하는 생산자는, 텔레비젼 수상기가 포함되며 고작 그것이 케이블이나 위성을 통해 무슨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는가에만 관심이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텔레비젼 수상기의 타입이나 텔레비젼 수상기의 시리얼 번호는 여기서 관심이 없다. 이러한 이유로, 제어 센터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매거진의 발행인에게 단말의 타입만을 포워드한다. 대조적으로, 실제의 제조자는 또한 기기의 상세를 얻는다. 따라서, 생산자에 대한 기기의 식별의 종류는 생산자의 종류에 의존할 수도 있다.
이들 생산자의 각각은 이제 제어 센터에 그것이 이러한 기기 또는 이러한 종류의 기기에 제공할 수 있는 그 정보 또는 그들 제어 명령들을 제공한다.
제어 센터는 이러한 정보나 이들 명령을 가정에 및 표시 다바이스에 또는 거기에 존재하는 제어 기기에 공급한다. 만일, 하나의 특정의 경우에, 표시되는 옵션의 수가 너무 크면, 사용자가 그 순간에 하기를 원하는 것을 선택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검색 엔진을 표시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리하여, 예를 들어 텔레비젼 수상기를 수개의 방식으로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텔레비젼 수상기의 심볼이 선택되어 프로그램 선택 및 방송국 선택에 의해 거기에서 부터 프로그램에 도달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옵션은 텔레비젼 매거진, 또는 바람직하게는 프로그램 매거진을 사용하여 특정의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것이고, 이러한 경우, 프로그램의 선택 후에만, 이러한 프로그램이 현재 운영중인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로딩되거나 표시되는지, 또는 저장된 데이터 저장 매체를 사용 하거나 인터넷으로부터 로딩되거나 표시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레이팅이 의미가 있는 그러한 표시의 임의의 단계에서, 사용자는 그 후 심볼을 선택하거나 다른 몇몇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이러한 아티클에 대한 레이팅을 제시할 수 있다.
청구항 78 에 기재된 방법의 경우에도, 검색 엔진을 사용하거나 계층적으로 조직화된 메뉴를 사용하여 초기 선택이 행해질 수 있다. 액세스될 아티클은 청구항 77 로부터의 방법의 경우에서와 동일할 수도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들은 단말과 관련되지 않은 다른 아티클일 수도 있다. 따라서, 아티클은 단말, 단말의 생산자 또는 정보의 생산자 뿐아니라, 이러한 경우에 또한 다른 서비스 제공자, 예를 들어 보험 회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된 모든 특징은 모든 다른 실시형태에 또한 적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상세 및 이점은 청구범위 및 요약서에서 발견될 수 있고, 이들 표현의 양자는 도면을 참조하여 참조를 통해 설명,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음의 설명의 내용으로 변화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기초한 시스템의 개관을 나타낸다.
도 2는 베이스에 연결된 단말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 로부터의 예시를 더욱 상세히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제 1 상태에 있는 제어 기기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5는 제 2 상태에 있는 제어 기기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6은 제 3 상태에 있는 제어 기기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7은 제어 흐름에 대한 매우 단순화된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베이스 단말 기기의 단순화된 도면을 나타낸다.
도 9는 복수의 제어 센터와 관리 센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0은 제어 유닛 상의 입력 패널의, 도 6의 그것에 대응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9 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12는 더욱 개발된 실시형태에 대한, 도 2의 그것에 대응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기초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관을 나타낸다. 시스템의 중심점은 전승된 의미에서 스위칭 센터로서 사용되는 제어 센터 (1) 이다. 제어 센터는 첫째로 연결된 고객으로부터의 데이터 및 둘째로 시스템에 참가하고 있는 기기 또는 서비스의 생산자 또는 공급자로부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2, 3) 를 제어한다. 제어 센터는 먼저 가정들로서 지칭될 수 있는 다수의 유닛 (4) 에 연결된다. 그러나, 그들은 가정들일 필요는 없다; 그들은 또한 상업적 시설, 사무실, 호텔 등일 수도 있다. 제어 센터 (1) 는 개개의 가정 (4) 을 식별하고 어드레싱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어 센터 (1) 는 다수의 생산자 (5) 에 연결되고, 생산자의 수는 논리적으로 가정의 수보다 더 작다. 제어 센터 (1) 는 또한 생산자 (5) 를 개별적으로 식별 및 어드레싱할 수 있다. 제어 센터 (1) 는 첫째로 가정 (4) 및 그들의 기기를 알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2) 에 포함되어 있다. 둘째로, 그것은 생산자 (5) 를 알고 있으며, 그 생산자 (5) 에 관한 정보는 제 2 데이터베이스 (3) 에 수용될 수 있다. 일측 상의 가정 (4) 과 타측 상의 생산자 (5) 간의 연결은 제어 센터 (1) 그 자체에 의해 행해지며, 이것은 생산자가 개개의 가정 (4) 을 식별할 수 없도록 하는 형태이다.
제어 센터 (1) 는 가정 (4) 과 생산자 (5) 사이에 정보 및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정보의 이러한 전달은 이러한 목적에 요구되지 않는 어떠한 정보도 교환되지 않도록 발생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에 대한 빌링도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정보 및 제어 명령은 제어 센터 (1) 와 가정 (4) 사이에서 암호화된 형태로 송신될 수 있으며, 그것은 제어 센터 (1) 와 생산자 (5) 사이에서도 마찬가지다. 데이터베이스 (2, 3) 내의 정보의 저장은 마찬가지로 개인-특정 기반으로 암호화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참조 기호 (4) 가 부여된 가정의 설계를 다소 더 상세히 나타낸다. 이러한 가정 또는 주거 유닛은 특히 인터넷을 통해 제어 센터 (1) 에 연결되는 베이스 단말 기기 (6) 를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스 단말 기기 (6) 는 말하자면 가정과 외부 세계 사이의 연결을 설정한다. 주거 유닛 또는 가정은 베이스 단말 기기 (6) 또는 그것의 시리얼 번호 또는 고객 번호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이러한 고객 번호는 보조기기, 예를 들어 SIM 카드나 메모리 스틱에 유지될 수도 있다.
베이스 단말 기기 (6) 는 그것에 연결된 복수의 단말 (7) 을 가지며, 그 연결은 양방향 연결이다. 또한, 베이스 단말 기기 (6) 는 마찬가지로 양방향으로 그것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기기 (8) 를 갖는다. 제어 기기 (8) 와 단말 (7) 사이에 직접 연결은 없다. 베이스 단말 기기 (6) 는 한편으로는 단말 (7) 과 제어 기기 (8) 사이에, 다른 한편으로는 제어 센터 (1) 사이에서 데이터 스트림을 전달한다. 제어 센터 (1) 의 관점으로부터, 제어 기기 (8) 는 특별한 단말이다.
각각의 단말 (7) 에는 인터페이스가 기기의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 신호를 기기로 공급하는데 사용되도록 허용하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또한, 그 인터페이스는 상태 정보를 능동적으로 또는 단지 이러한 정보가 요청될 때에만 제시하는데 적합하다. 양 방향으로의 이러한 정보의 모두는 베이스 단말 기기 (6) 로 라우팅된다.
베이스 단말 기기 (6) 는 구체적으로 온라인으로 제어 센터 (1) 에 연결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제어 센터 (1) 는 그것으로서는 마찬가지로 온라인으로 생산자 (5) 에 연결된다.
제어 기기 (8) 는 단말 (7) 의 구동 및/또는 제어를 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어 기기 (8) 상의 입력을 위한 실제의 처리 로직은 단말 및 제어 기기 (8) 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제어 센터 (1) 에 의해 공급된다. 그러나, 제어 센터 (1) 는 또한 제어 기기 (8) 자체로부터의 요청 신호에 대한 이들 응답을 생성하지 않고 생산자 (5) 로부터 이러한 정보 및 이들 제어 명령을 얻는다. 제어 센터 (1) 는 단지 그 요청만을 단말 (7) 로부터 책임있는 제조자로 전달하고, 그것으로부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연관된 베이스 단말 기기 (6) 및 단말 (7) 에 다시 전달한다.
제조자에 대한 요청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제어 센터는 또한 자동으로 정보를 제어 기기로 전송하거나 심지어 연산을 수행한다. 이것은 단말의 출력이 예를 들어 수개의 다른 단말 중 하나에 연결될 필요가 있는 경우일 수도 있다. 이러한 중개는 제어 센터 (1) 에 의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이제 예를 들어 어느 기기가 어드레싱될 수 있는가를 나타내기 위해선택된 예를 사용한다.
특정의 가정 내의 베이스 단말 기기 (6) 는 그것에 연결된 텔레비젼 수상기 (11), 튜너 (12), 세탁기 (13), 비디오 레코더 (14), DVD 플레이어 (15) 및 CD 플레이어 (16) 을 갖는다. 이리하여, 이들은 이러한 특정의 가정에 대한 단말들이다. 또한, 제어 기기 (8) 는 당연히 베이스 단말 기기 (6) 에 연결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원래의 초기화를 따라, 제어 유닛 (1) 은 이러한 가정 내에 존재하는 기기를 알고 있다. 제어 기기 (8) 가 이제 시동되면, 제어 센터 (1) 는 제어 기기 (8) 의 제조자에게 그 제어 기기의 화면 (9) 에 기기에 대한 심볼들을 공급하도록 프롬프팅하여 그들이 화면 (9) 상에 나타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기기는 이러한 가정을 위한 제어 센터 (1) 에 기록된다. 따라서, 제어 기기 (8) 의 화면 (9) 은 도 3 의 단말에 대한 심볼들을 나타낸다. 이것은 도 4 에서 확대된 스케일로 도시된다.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제어 기기 (8) 는 압력-감지 화면 (9) 을 갖고 어떠한 종류의 다른 키나 작동 요소를 가지지 않는다. 그 기기의 사용자는 이제 그가 현재 어느 기기를 제어 또는 동작시키기를 원하는지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그는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또는 손가락을 사용하여 그 기기와 연관된 심볼을 터치함으로써 이것을 행할 수 있다. 이제 사용자가 튜너 (12) 로부터 음악을 듣기를 원하여 그가 이제 튜너에 대한 심볼을 누룬다고 가정된다.
제어 센터 (1) 에 도착하는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가능한 다른 선택 옵션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말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은 아직 가능하지 않다. 제어 센터 (1) 는 이러한 기기를 위해 가능한 모든 방송국을 저장한 위치로 선택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자는 이제 제어 기기 (8) 에 새로운 화면 콘텐츠를 공급하고, 상기 화면 콘텐츠는 이제 예를 들어 바 (bar) 로서 개개의 방송국을 나타낸다 (도 5 참조). 손가락을 사용한 압력을 통해 사용자가 이동시킬 수 있는 스크롤바 (20) 를 사용하여, 또는 바 상의 직접적인 압력을 통하여, 사용자는 방송국 및 가능하다면 프로그램을 곧바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신호에 응답하여, 오디오 기기의 제조자는 이제 또 다른 화면을 생성하여 그것을 제어 기기 (8) 의 화면 (9) 으로 공급한다. 이것은 도 6 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제 슬라이더 (21) (상단에 도시됨) 를 사용하여 볼륨을 설정할 수 있고, 제 2 의 표시된 슬라이더 (22) 를 사용하여 좌우간의 밸런스를 설정할 수 있으며, 그가 라우드스피커를 스위치 온하기 원하는지 헤드폰 세트를 스위치 온하기를 원하는지를 선택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렇게 3단 메뉴가 제공되며, 제어 명령은 제 2 메뉴 만큼 일찍 오디오 기기 (12) 로 전송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또한 다른 기기를 선택 및 구동할 수 있다.
도 7은 극히 단순화된 형태의,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기본 동작을 나타낸다. 제어 기기 (8) 의 임의의 상태로부터 시작하여, 제어 기기 (8) 상의 입력은 정보 신호를 전송한다. 이것은 베이스 단말 기기 (6) 를 통해 제어 센터 (1) 로 라우팅되며, 거기에서부터 연관된 생산자 (5) 로 라우팅된다. 생산자는 그에게 전송되고 있는 정보 신호에 응답하여 정보 신호 또는 제어 명령 또는 이들 양자를 생산한다. 이러한 신호는 생산자 (5) 로부터 제어 센터 (1) 로 라우팅되고, 거기에서부터 베이스 단말 기기 (6) 로 라우팅되며, 거기에서부터 단말 (7) 및 가능하다면 또한 제어 기기 (8) 로 라우팅된다. 따라서, 제어 기기 (8) 과 단말 (7) 사이에 어떠한 종류의 직접 연결도 없다.
명령 체인 및 정보 체인이 항상 제어 센터 (1) 를 통해 생산자 (5) 로 및 역으로 통과한다는 사실은 즉각적인 제어 신호가 항상 생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정의 동작에 즉각적으로 응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로서, 이것은 양방향 텔레비젼 (interactive television) 이 구현되는 것을 허용한다. 사용자는 텔레비젼 수상기 상의 표시에 즉시 응답할 수 있다. 화면 상의 요청과 동시에 제어 기기 (8) 상에서 그에게 하나 이상의 응답 옵션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후 그는 이들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 센터를 통한 직접 연결은 베이스 단말 기기의 소유자들이 제어 센터를 통해 서로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로서, 음성 링크 및/또는 화상 링크가 가정 (4) 내에 있는 단말 (7) 간에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된 예에서, 엔터테인먼트 기기 및 세탁기가 가능한 단말로서 인용되었다. 주택 또는 사무실 내의 다른 기기, 예를 들어 온도 제어기, 블랙아웃 블라인드 또는 커텐, 베니션 블라인드, 난방 장치, 문, 경보 시스템 및 컴퓨터를 이러한 방식으로 구동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로서, 라우드스피커가 별도의 기기로서 구동 및 어드레싱될 수 있도록, 튜너 또는 다른 오디오 기기가 라우드스피커와 분리된 유닛인 것으로 간주되도록, 또한, 기기의 또 다른 분석을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텔레비젼 수상기 상의 화면을 컴퓨터용 표시 기기로서 사용하여 화면이 별도의 단말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베이스 단말 기기 (6) 가 더욱 상세히 설계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이러한 베이스 단말 기기 (6) 는 사용자가 제어 센터 (1) 의 조작자로부터 얻는 SIM 카드 (30) 를 포함한다. 이러한 SIM 카드 (30) 는 제어 센터 (1) 에 대한 식별을 포함하므로, 베이스 단말 기기 (6) 가 배치되는 가정과 이러한 가정을 커버하는 제어 센터 (1) 사이의 명확한 연관이 존재하도록 한다. 제어 센터 (1),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와 가정 간의 연결은 인터넷을 통해 행해지고, 물론 많은 수의 서비스 제공자가 동일한 통신 매체를 사용하여 오퍼레이팅하기 때문에, 거기에는 그러한 명확한 연관이 존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SIM 카드 (30) 는 또한 명시적 시리얼 번호 및 가정 (4) 과 연관되는 비대칭 키의 공개 및 비밀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SIM 카드는 제어 센터 (1) 로부터의 공개 키를 포함한다. SIM 카드는 베이스 단말 기기 (6) 내에 삽입되었다.
또한, 베이스 단말 기기 (6) 는 주로 특정의 개인을 명시적으로 식별하는 방법인 동글 (31) 에 대한 플러그 연결을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 단말 기기 (6) 에 연결될 때, 동글 (31) 은 베이스 단말 기기 (6) 에 삽입된 SIM 카드 (30) 로부터 공개 키를 취한다. 이리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동글 (31) 은 동시에 처음으로 지시된 연결 (32) 을 통해 베이스 단말 기기 (6) 에 연결된 개개의 단말을 접목하는데, 즉 베이스 단말 기기 (6) 로 삽입된 SIM 카드 (30) 로부터 공개 키를 송신하는데 사용되어, 이들이 초기화되고, 이리하여 베이스 단말 기기 (6) 와 접촉할 수 있다.
그 공개 키가 사용자를 명시적으로 식별하는 키 쌍을 포함하는 또 다른 식별자의 형태이거나 동글 (31) 의 형태인 개인 식별 수단의 사용은, 예를 들어 가정 내에 복수의 개인 식별 수단이 존재하는 경우, 개인-특정 기반으로 빌링 동작을 우선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그러한 개인 식별은 그러한 동글을 또 다른 가정 내의 베이스 단말 기기 (6) 에 연결하고 거기에서 개인 자신의 가정을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어 기기 (8) 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원격 제어 또는 원격 메인터넌스 또는 원격 모니터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9는 이제 그러한 시스템의 배열을 더욱 큰 정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 및 도 2 에서 단순화된 형태로 도시된 배열이 복수의 가정 및 하나의 제어 센터를 포함하는 반면, 이것은 이제 다수의 제어 센터 (Z) 가 다수의 가정 (H) 및 다수의 생산자 (P) 에 연결된 시스템이다. 당연히, 제어 센터 (1) 가 다수의 가정에 연결되는 것이 이해가 되고, 각각의 가정은 통상 그것이 커버되는 하나의 제어 센터 (1) 에만 연결된다. 제어 센터는 그들의 가정에 가정 내에 배치된 모든 기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원하기 때문에, 단말의 제조자 또는 단말에 대한 정보의 공급자인 지시된 생산자는 당연히 복수의 제어 센터에 연결된다.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모든 제어 센터는 예를 들어 라이센스 빌링 동작을 관리하는 단일의 관리 센터 (V) 에 연결된다.
여기에 나타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경우, 관리 센터는 사람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40) 및 기기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50) 를 포함한다. 비즈니스 모델에 기초하여, 제어 센터 (1), 즉 서비스 제공자는 예를 들어 그들이 새로운 고객을 얻을 때마다 관리 센터로 새로운 고객을 리포트하는 것이 가정된다. 관리 센터는 데이터베이스 (40) 에 고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따라서, 제어 센터의 각각의 고객은 고객 데이터베이스 (40) 에 기록된다. 그는 그의 시리얼 번호에 의해 및/또는 그의 공개 키에 의해 그 안에 명확히 기록된다. 이름과 위치에 기초하여 고객의 실제적인 식별을 허용하는 고객에 대한 상세가 여기에서 요구되지 않는다.
제어 센터 (1) 의 모든 고객은 그의 가정 내에 있고 베이스 단말 기기 (6) 에 연결된 각각의 기기 및/또는 각각의 생산자, 특히 기기에 대한 정보의 제공자에 대한 레이팅을 제시할 수 있다. 이들 레이팅은 제어 센터의 각각의 고객이 액 세스를 판독한 데이터베이스 (50) 에 기록된다. 그러나, 각각의 고객은 그가 가지고 있는 기기에 대해서만 레이팅을 제시할 수 있고, 이것을 또한 단 한번만 행할 수 있다. 만일 그가 동일한 기기에 대해 또는 동일한 정보 제공자에 대해 두번째로 레이팅을 제시하기를 원한다면, 이것은 그의 이미 기록된 엔트리가 변경되는 것을 초래한다. 이것은 어떠한 고객도 지속적인 입력을 통해 레이팅을 조작할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그것은 각각의 고객이 그 자신이 동작시키고 있는 기기에 대한 레이팅만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도 10 은 제어 기기 (8) 의 도면을, 도 6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시한다. 제어 기기 (8) 는 시스템에 의해 규정되는 고정된 심볼들 또는 숫자를 포함하는 일련의 패널 (38) 을 갖는다. 개방 패널 (37) 은 선택될 각각의 새로운 심볼 또는 진술의 비제한 표시를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패널은 또한 정보의 생산자 및/또는 제공자에게 이용가능할 수 있다. 그들은 패널 (37) 로 화면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고 그것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1은 원격 제어의 예를 설명하도록 의도된다. 베이스 단말 기기 (6) 를 통해 제어 센터 (1) 에 연결된, 도 11 의 저부의 가정에서, 사용자는 동글 (41) 의 형태인 그의 개인 식별 수단을 제어 기기 (8) 로 플러그한다. 제어 기기 (8) 는 이러한 동글 (41) 이 그것을 접목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이것은 제어 기기 (8) 가 이미 공개 키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베이스 단말 기기 (6) 는 연관된 제어 센터 (1) 를 어드레싱하는데 사용되며, 이것은 동글 (41) 의 소유자가 베이스 단말 기기 (6) 의 소유자와 매 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립한다. 두 경우가 이제 구별될 필요가 있다. 만일 제어 센터 (1) 가 그것에 고객으로서 등록된 동글 (41) 의 소유자를 가지고 있다면, 그것은 또한 동글 (41) 의 소유자가 연관된 가정을 알고 있다. 만일 그것이 고객으로서 등록된 동글 (41) 의 소유자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그것은 관리 센터 (V) 에 식별 수단 (41) 으로부터의 개인이 어느 제어 센터와 연관되어 있는지를 묻는다. 일단 그것이 그러한 제어 센터가 존재한다고 확립하면, 제어 센터는 또한 그러한 가정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아직 이러한 가정을 알 필요가 없다. 양자의 경우에, 사용자는 그가 지금 그가 머물고 있는 가정 내의 기기 (7) 를 다루기를 원하는지 또는 그의 집 가정 내의 기기 (7') 를 다루기를 원하는지를 선택하는 입력 기기 (8) 상의 옵션이 제공된다. 만일 그가 그의 집 가정 내의 기기 (7') 를 어드레싱하기 원한다면, 명령 및 정보는, 즉 만일 이러한 가정이 제어 센터와 연관된다면, 제어 센터 (1) 로부터 관련 가정으로 직접 라우팅되거나, 명령이 그 가정과 연관된 제거된 제어 센터로 포워드된다. 거기에서부터, 응답가능한 제어 센터가 명령 및 정보에 대한 또 다른 편집을 착수한다.
또 다른 정보는 다음과 같다:
8 -> 6 -> Z -> V -> Z -> Z' -> P -> Z' -> 6' -> 7' -> 6' -> Z' -> Z -> 6 -> 8.
만일 개인 식별 수단, 즉 동글 (41) 이 그 동글 (41) 의 소유자가 등록되어 있는 제어 센터의 식별 포함한다면, 관리 센터 (V) 에 대한 요청이 생략된다. 이리하여, 정보의 흐름은 조금 더 간단하다:
8 -> 6 -> Z -> Z' -> P -> Z' -> 6' -> 7' -> 6' -> Z' -> Z -> 6 -> 8.
외부 가정으로부터 자신의 집 가정이지만, 멀리 떨어져 있는 가정 내의 기기 (7') 를 동작시키는 옵션은 이러한 개인-관련 동글 (41) 이 제어 유닛 (8) 내에 유지되는 동안에 한에서 계속 존속한다. 사용자, 즉 동글 (41) 의 소유자가 동글을 제거하자마자, 이러한 옵션은 종료된다.
그러나, 만일 동글 (41) 의 소유자가 그 자신의 그러나 멀리 떨어져 있는 가정 내의 기기 (7') 를 구동하는 것이 아니라 그가 현재 위치해 있는 가정 내의 기기 (7) 를 구동하는 옵션을 선택한다면, 그가 이들 기기를 얼마나 오래 사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수개의 옵션이 존재한다. 하나의 옵션은 그가 그의 개인 식별 수단 (41) 이 제어 유닛 (8) 내에 있는 동안에만 이것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옵션은 그가 특정의 시간 동안만, 예를 들어 그가 이러한 목적으로 특정의 시간 동안 가정 (household) 를 대여했을 때, 이들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제 3 의 옵션은 이러한 가정의 실제의 소유자가 다시 설정을 리셋할 필요가 있는것이다.
이제 도 12를 참조한다. 도 12는 베이스 단말 기기 (6) 를 통해 제어 센터에 연결된 가정이 복수의 제어 기기 (8) 를 포함하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개인 식별 수단 (41) 을 플러그 인함으로써, 그러한 개인 식별 수단의 소유자는 이러한 제어 유닛 (8) 을 그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다. 프리세트에 기초하여, 그는 이제 소정의 일들을 행하기 위해 그의 제어 유닛을 사용할 수 있는 반면, 다 른 사용자는 단지 다른 일들을 행하기 위해 그의 개인 식별 수단에 의해 마찬가지로 식별된 다른 제어 유닛 (8) 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두 사용자가 동시에 동일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 그러나, 한 사용자가 하나의 방에 있는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사용자는 다른 방에 있는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그의 제어 유닛 (8) 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완벽히 이치에 맞다. 이러한 일반적인 고려의 경우, 제어 유닛 (8) 은 도 6 및 도 10 에 표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입력 설비 및 표시 설비를 갖는 기기라는 것이 가정된다.
그러나, 제어 기기의 입력부는 제어 기기의 표시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은 마찬가지로 가능하고 도 12를 참조하여 이제 나타낸다. 따라서, 사용된 입력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43) 을 포함하는 개별 기기 (42) 일 것이다. 이러한 마이크로폰 (43) 은 제어 유닛 (8) 상의 입력과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되는, 즉 베이스 단말 기기 (6) 로부터 제어 센터로 전송되어 거기서 해석되거나 생산자로 포워드되는 음성 입력을 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음성 제어의 응답은, 만일 그것이 기기 (7) 에 대한 변경을 직접 초래하지 않는다면, 어쨋든 존재하는 제어 기기 (8) 상의 정보로서 표시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은 키를 사용하는 입력의 옵션을 갖지 않는 특별한 표시 기기가 존재하는 것이다. 표시와 입력이 제어 유닛에 대해 분리되는 경우에도, 특정의 사람들과 특정의 표시 유닛 간의 연관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이크로폰 (43) 및 연관된 전자공학이 표시 기기보다 훨씬 더 작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솔루션은 또한 예로서 가정 내의 사용자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반되는 데 적합하다. 그것은 또 한 어느 기기가 구동될 필요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처음에 언급되 바와 같이, 특정의 개인을 위치선정하는데 적합하다.
정보의 흐름은 암호화되도록 의도된다는 사실에 대한 언급은 이미 수차례 행해졌다. 암호화로서는, 다음의 절차가 사용될 수 있다: 일 피스 (piece) 의 정보를 전송하기 원하는 당사자는 대칭 키 및 난수 제어를 생성하고 송신될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해 그것을 사용한다. 다음에, 그것은 수신기로부터의 공개 키를 사용하여 대칭 키를 암호화한다. 그 후, 그것은 암호화된 데이터 및 암호화된 키를 전송한다. 수신기는 암호화된 대칭 키 및 그것을 사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기 위해 그것의 비밀 키를 사용한다. 이러한 암호화 옵션은 대칭성 암호화가 거의 시간을 요하지 않고 시간 소비형 비대칭 암호화는 짧은 대칭 키 그 자체에만 관련된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방법에 대한 다른 이점은 대칭적으로 암호화된 데이터는 복수의 수신기에 이용가능하게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무작위로 선택된 대칭 키가 각각의 공개 키를 사용하여 각각의 수신기에 대해 암호화되고 송신된다.
이러한 종류의 암호화는 또한 생산자가 비교적 긴 기간 동안,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상에 베이스 단말 기기 (6) 내의 그들의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4)

  1. 구동가능 단말 (7) 의 구동 및/또는 제어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태 정보를 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7),
    정보 및/또는 명령을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디바이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7),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베이스 단말 기기 (6), 및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7) 로 포워딩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센터 (1) 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디바이스,
    상기 입력 디바이스, 및
    양방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기기 (8) 를 갖는,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어 기기 (8) 로부터의 정보 또는 명령이 상기 제어 센터 (1) 에만 공급되도록 하는 형태인,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센터 (1) 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어 기기 (8) 에 의해 공급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 (7) 로 제어 명령을 공급하는,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센터 (1) 는 특히 상기 입력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어 기기 (8) 에 의해 공급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어 기기 (8) 로 정보를 공급하도록 설계된,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어 기기 (8) 에 의해 공급된 상기 정보는 어느 단말 (7) 이 구동되는지를 결정하는,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센터 (1) 는 또 다른 정보의 아이템이 상기 제어 기기 (8) 에 공급되는지 여부 및/또는 제어 신호가 상기 단말 (7) 에 공급되는지 여부를 결정함으 로써 상기 입력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어 기기 (8) 에 의해 공급된 정보에 응답하는,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센터 (1) 는 베이스 단말 기기 (6) 에 연결된 상기 단말 (7) 에 대한 저장된 정보를 갖는,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센터 (1) 는 개별적으로 어드레싱하고 구별할 수 있는 복수의 베이스 단말 기기 (6) 에 연결되는,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센터 (1) 는 각각의 단말 (7) 에 대해 책임있는 생산자로부터의 생산자 유닛에 연결되는,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센터 (1) 는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로부터 상기 책임있는 생산자 (5) 로 정보를 포워딩하는, 시스템.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센터 (1) 는 상기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생산자 유닛 (5) 으로부터 오며 상기 생산자 유닛에서 생성된 제어 명령 및/또는 정보를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에 공급하는,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는 상기 제어 센터 (1) 로의 연결을 독립적으로 설정하며 명시적 고객 번호를 송신하도록 하는 형태인, 시스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7) 들은 또한 상기 단말 (7) 들의 제조자, 상기 단말 (7) 들의 타입, 및 가능하다면 상기 단말 (7) 들의 시리얼 번호를 상태 정보로서 송신하도록 하는 형태인, 시스템.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7) 들은 상기 단말 (7) 들의 상태 정보를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를 통해 상기 제어 센터 (1) 로 공급하는, 시스템.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말 (7), 상기 입력 디바이스, 상기 출력 디바이스, 상기 제어 기기 (8) 및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는 상기 단말 (7), 상기 입력 디바이스, 상기 출력 디바이스, 상기 제어 기기 (8) 및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간의 연결을 암호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코딩 키를 위한 입력 설비를 갖는, 시스템.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말 (7), 상기 입력 디바이스, 상기 출력 디바이스, 및 상기 제어 기기 (8) 는 연관된 베이스 단말 기기 (6) 를 명시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인, 시스템.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말 (7), 상기 입력 디바이스, 상기 출력 디바이스, 및 상기 제어 기기 (8) 는 상기 인코딩 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로의 연결을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시스템.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는 상기 인코딩 키들이 매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단말 (7) 과 상기 제어 센터 (1)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시스템.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는 특히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위한 버퍼 저장소 (buffer store) 를 갖는, 시스템.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는 응급 동작을 허용하는, 시스템.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는 저장된, 응급 동작에 필요한 제어 명령을 갖는,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응급 동작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상기 제어 명령은 각각의 연관된 생산자에 의해 공급되고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에 저장되는, 시스템.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 및 제어 신호가 상기 제어 센터 (1) 와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사이에서 암호화된 형태로 상호 교환되는, 시스템.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센터 (1)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단말 기기 (6) 는 자신을 서로 명시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인, 시스템.
  26.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 및 제어 신호가 상기 제어 센터 (1) 와 상기 생산자 (5) 간에 암호화된 형태로 상호 교환되는, 시스템.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센터 (1) 및 상기 생산자 (5) 는 자신을 서로 명시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시스템.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센터 (1) 에 유지된 상기 정보는 고객-특정 기반으로 암호화되는, 시스템.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에 유지된 상기 정보는 고객-특정 기반으로 암호화되는, 시스템.
  30.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에 유지된 상기 정보는 생산자-특정 기반으로 암호화되는, 시스템.
  31. 제 16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키는 하드웨어 기기, 예를 들어 동글 (31) 및/또는 SIM 카드 (30) 에서 구현 및/또는 저장된 형태로 존재하는, 시스템.
  32. 제 1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개인-특정 제어 기기 (8) 가 베이스 단말 기기 (6) 에 대해 제공되는, 시스템.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와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의 연관된 단말 (7) 과 또한 상기 제어 기기 (8) 간의 통신은 무선으로 달성되는, 시스템.
  34. 제 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기 (8) 를 위치시킬 목적으로 주거 유닛 내에 분포된 복수의 수신기를 갖는, 시스템.
  35. 제 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센터 (1) 는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를 식별하지 않고 상기 정보를 상기 생산자로 포워딩하는, 시스템.
  36. 제 1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디바이스는 특히, 또한 심볼을 표시하는 시각적 표시기를 갖는, 시스템.
  37. 제 1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디바이스는 가청 표시기를 갖는, 시스템.
  38. 제 1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디바이스는 촉각 표시기를 갖는, 시스템.
  39. 제 1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 특히 상기 제어 기기 (8) 의 입력 디바이스는 압력에 반응하는, 시스템.
  40. 제 1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 특히 상기 제어 기기 (8) 의 입력 디바이스는 음성 입력을 갖는, 시스템.
  41. 제 40 항에 있어서,
    음성 인식이 상기 제어 센터 (1) 에서 발생하는, 시스템.
  42. 제 40 항 또는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센터 (1) 는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식을 수행하는, 시스템.
  43. 제 1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기 (8) 는 상기 제어 센터 (1) 에 의해 초기화되는, 시스템.
  44. 제 1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 (7) 은 상기 제어 센터 (1) 에 의해 초기화되는, 시스템.
  45. 제 1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계층적 메뉴로 상기 표시 디바이스 상에 나타내지는, 시스템.
  46. 제 1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센터 (1) 는 복수의 가능한 단말 (7) 중 하나의 단말로 단말 (7) 로부터의 출력을 전달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하는 형태인, 시스템.
  47. 제 1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센터 (1) 는 표준 단말 (7) 을 위한 표준 제어 정보의 아이템을 유지하고, 상기 표준 제어 정보의 아이템을 생산자 (5) 에게 확인하지 않고 상기 제어 기기 (8) 로 공급할 수도 있는, 시스템.
  48. 제 1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를 식별하며, 상기 정보 상호교환을 암호화하는데 요구되는 키 또는 키 쌍을 저장하는 베이스 식별 수단을 갖는, 시스템.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식별 수단은, 제어 센터 (1) 에 대한 식별 (identification) 및/또는 명시적 시리얼 번호 및/또는 제어 센터 (1) 로부터의 공개키 및/또는 비대칭 키의 양쪽 부분을 포함하는, 시스템.
  50. 제 1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인을 명시적으로 식별하고 정보를 암호화하는데 필요한 키 또는 키 쌍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식별 수단을 갖는, 시스템.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식별 수단은, 제어 센터 (1) 에 대한 식별 (identification) 및/또는 명시적 시리얼 번호 및/또는 제어 센터 (1) 로부터의 공개키 및/또는 비대칭 키의 양쪽 부분을 포함하는, 시스템.
  52. 제 50 항 또는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식별 수단은 상기 제어 센터 (1) 를 통해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의 식별을 허용하는, 시스템.
  53. 제 50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단말 기기 (6) 와 연관된 복수의 개인 식별 수단을 갖는, 시스템.
  54. 제 50 항 내지 제 5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단말 기기 (6) 와 연관된 상기 개인 식별 수단은 상이한 권한부여를 갖는, 시스템.
  55. 제 50 항 내지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식별 수단 및/또는 상기 개인 식별 수단은 물리적 형태로 구현되는, 시스템.
  56. 제 48 항 내지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식별 수단은 SIM 카드 등으로서 구현되고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내에 배치되는, 시스템.
  57. 제 50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식별 수단은 동글 및/또는 스틱의 방식으로 설계되는, 시스템.
  58. 제 50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식별 수단은 베이스 단말 기기 (6) 에 연결된 상기 단말 (7) 을 처음으로 인에이블링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
  59. 제 50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인 식별 수단에 연결된 상기 제어 기기 (8) 는 상기 개인 식별 수단이 연관되어 있는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에 연결되는 상기 단말 (7) 의 구동 및/또는 제어를 위해 설계되는, 시스템.
  60. 제 1 항 내지 제 5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어 기기 (8) 는 상기 연관된 베이스 단말 기기 (6) 에 연결된 임의의 단말 (7) 및/또는 정보의 임의의 생산자 및/또는 공급자에 액세스하기 위한 입력 설비를 갖는, 시스템.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설비는 상기 단말 (7) 및/또는 정보의 생산자 및/또는 공급자에 한번 액세스하도록 설계되는, 시스템.
  62. 제 60 항 또는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어 기기 (8) 는 상기 베이스 단말 기기 (6) 및/또는 상기 개인에 의해 제시되는 평가를 변경하는 입력 설비를 갖는, 시스템.
  63. 제 1 항 내지 제 6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어 기기 (8) 는 상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동될 수 있는 단말 (7) 에 대한 표시 및/또는 정보의 생산자 및/또는 공급자에 대한 평가의 표시를 선택하는 입력 설비를 갖는, 시스템.
  64.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특히 제어 기기 (8) 를 사용하여 전자공학적으로 구동가능한 단말 (7) 의 구동 및/또는 제어를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 (7) 은 제어 센터 (1) 에 대해 식별되고,
    상기 제어 센터 (1) 는 상기 단말 (7) 의 식별 (identification) 을 상기 단말 (7) 의 가능한 생산자 (5) 로 포워딩하며,
    상기 단말 (7) 의 상기 생산자 (5) 는 상기 단말 (7) 에 대해 가능한 구동 및/또는 제어 정보 및/또는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 센터 (1) 에 공급하고,
    상기 제어 센터 (1) 는 상기 생산자 (5) 로부터 획득된 상기 정보 및/또는 제어 명령을 표시 디바이스, 특히 상기 제어 기기 (8) 로, 및/또는 상기 단말 (7) 로 공급하는, 방법.
  65.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7) 은 상기 단말 (7) 의 제조자 및 상기 단말 (7) 의 타입 기술어 (type descriptor) 에 의해 식별되는, 방법.
  66. 제 64 항 또는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7) 의 위치 및/또는 사용자 개인은 상기 제어 센터 (1) 에 대해서만 식별되고, 상기 제어 센터 (1) 는 이러한 정보를 상기 단말 (7) 의 생산자에게 포워딩하지 않는, 방법.
  67. 제 64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 및/또는 상기 단말 (7) 로부터 오는 정보 및/또는 명령의 콘텐츠는 상기 각각의 책임있는 생산자에게만 알려지게 되는, 방법.
  68. 제 64 항 내지 제 6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단말 (7) 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어 센터 (1) 에 저장되어 있는, 방법.
  69. 제 64 항 내지 제 6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 상의 입력이 행해진 다음에, 먼저, 구동될 상기 단말 (7) 의 위치가 식별되고, 그 후 구동될 상기 단말 (7) 이 식별되는, 방법.
  70. 제 64 항 내지 제 6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될 상기 단말 (7) 의 위치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국부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단말 기기 (6) 에 대한 식별을 평가함으로써 식별되는, 방법.
  71. 제 64 항 내지 제 7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될 상기 단말 (7) 의 위치는 상기 제어 기기 (8) 에 연결된 개인 식별 수단으로부터의 식별을 평가함으로써 식별되는, 방법.
  72. 제 64 항 내지 제 7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될 상기 단말 (7) 의 상기 위치가 요청을 발행하는 상기 제어 기기 (8) 의 위치로부터 동일한 제어 센터 (1) 에 의해 커버되는 상이한 베이스 단말 기기 (6) 와 연관되는 경우, 상기 정보는 상기 제어 센터 (1) 로부터 다른 베이스 단말 기기 (6) 로 및 역으로 포워드되는, 방법.
  73. 제 64 항 내지 제 7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될 상기 단말 (7) 의 상기 위치가 요청을 발행하는 상기 제어 기기 (8) 의 위치로부터 상이한 제어 센터 (1) 와 연관되는 경우, 상기 정보는 하나의 제어 센터 (1) 로부터 다른 제어 센터 (1) 로 및 역으로 포워드되는, 방법.
  74. 제 64 항 내지 제 7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7) 은 자신을 식별하는, 방법.
  75. 제 64 항 내지 제 7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기기 (8) 와 연관된 복수의 단말 (7) 에 대해,
    상기 제어 센터 (1) 는 정보를 상기 제어 기기 (8) 에 공급하고, 상기 제어 기기 (8) 상의 입력을 사용하여 제어 신호가 공급되는 단말 (7) 을 선택하는, 방법.
  76. 제 64 항 내지 제 7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 (7) 에 대한 선택 및/또는 서비스에 대한 선택 및/또는 정보의 아이템에 대한 선택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상기 표시 다비이스 상에 상기 단말 (7) 또는 상기 서비스 또는 상기 정보에 대한 레이팅 설비 (rating facility) 가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한 선택에 따라, 상기 제어 센터 (1) 는 평가된 아티클에 대한 식별 및 상기 사용자 개인에 대한 명시적이지만 익명인 식별과 함께 평가를 알아차리는, 방법.
  77. 제 1 항 내지 제 6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스템을 특히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특히 제어 기기 (8) 를 사용하여, 전자공학적으로 구 동가능한 단말 (7) 및/또는 단말의 및 단말을 위한 생산자 (5) 를 레이팅하는 방법으로서,
    로컬 유닛의 각각의 단말 (7) 이 제어 센터 (1) 에 대해 식별되고,
    상기 제어 센터 (1) 는 상기 단말 (7) 에 대한 식별을 상기 단말 (7) 과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5) 에게 포워딩하며,
    상기 생산자 (5) 는 상기 단말 (7) 과 관련된 구동 및/또는 제어 정보 및/또는 제어 명령 및/또는 다른 서비스를 상기 제어 센터 (1) 로 공급하고,
    상기 제어 센터 (1) 는 상기 생산자 (5) 로부터 획득된 아티클을 표시 디바이스, 특히 상기 제어 기기 (8) 로 공급하며,
    상기 제어 센터는 상기 표시 디바이스 상에 표시된 아티클에 대한 레이팅 설비를 공급하고,
    상기 사용자는 평가를 선택하며,
    상기 제어 센터 (1) 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기 사용자에 대한 명시적 익명성 개인 식별, 상기 아티클 및 상기 평가를 알아차리는, 레이팅하는 방법.
  78. 제 1 항 내지 제 6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스템을 특히 이용하여, 단말 (7) 및/또는 생산자 (5) 등을 레이팅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는 개인 식별 수단을 사용하여 제어 센터 (1) 에 대해 자신을 식별하고,
    상기 제어 센터 (1) 는 표시 디바이스 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레이팅될 아 티클 (7, 5) 의 선택을 위한 표시를 공급하며,
    상기 사용자는 입력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평가될 상기 아티클 (7, 5) 을 선택하고,
    상기 아티클 (7, 5) 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어 센터 (1) 는 상기 표시 디바이스 상에서 상기 아티클 (7, 5) 을 위해 가능한 레이팅 스테이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는 적절한 레이팅 스테이지를 선택하고,
    상기 제어 센터 (1) 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기 사용자에 대한 명시적 익명성 개인 식별 및 상기 아티클 (7, 5) 의 평가를 알아차리는, 레이팅하는 방법.
  79. 제 77 항 또는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평가될 상기 아티클 (7, 5) 을 선택한 경우, 상기 제어 센터 (1) 는 상기 사용자를 위한 상기 아티클 (7, 5) 에 대한 평가를 이미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며, 상기 제어 센터 (1) 가 그러한 평가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 센터 (1) 가 자신의 평가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엔트리를 제공하는, 레이팅하는 방법.
  80. 제 77 항 내지 제 7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어 센터 (1) 에 알려져 있는 명시적 시리얼 번호 및 상기 제어 센터 (1) 로부터의 적어도 공개 키를 포함하는 식별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 센터 (1) 에 대해 자신을 식별하는, 레이팅하는 방법.
  81.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식별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 센터 (1) 를 명시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레이팅하는 방법.
  82. 제 77 항 내지 제 8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식별 수단은 상기 제어 센터 (1) 가 베이스 단말 기기 (6) 를 통해 연결되는 입력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레이팅하는 방법.
  83. 제 77 항 내지 제 8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어 센터 (1) 가 상기 레이팅을 포함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레이팅하는 방법.
  84. 제 77 항 내지 제 8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능한 레이팅 기준 및/또는 레이팅 스테이지가 액세스될 상기 아티클의 생산자에 의해 이용가능하게 되지 않는, 레이팅하는 방법.
KR1020087025003A 2006-04-13 2007-04-13 단말을 트리거하는 시스템 KR200900049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18245A DE102006018245A1 (de) 2006-04-13 2006-04-13 System zur Ansteuerung von Endgeräten
DE102006018245.6 2006-04-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962A true KR20090004962A (ko) 2009-01-12

Family

ID=3821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003A KR20090004962A (ko) 2006-04-13 2007-04-13 단말을 트리거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90265217A1 (ko)
EP (1) EP2005742A2 (ko)
JP (1) JP2009533914A (ko)
KR (1) KR20090004962A (ko)
CN (1) CN101518074A (ko)
AU (1) AU2007237426A1 (ko)
BR (1) BRPI0710132A2 (ko)
CA (1) CA2647573A1 (ko)
DE (1) DE102006018245A1 (ko)
EA (1) EA200870347A1 (ko)
MX (1) MX2008013159A (ko)
WO (1) WO2007118686A2 (ko)
ZA (1) ZA2008080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6224B1 (fr) * 2010-02-09 2012-11-02 Somfy Sas Procede de fonctionnement d'un dispositif de commande d'equipements domotiques
CN101827326A (zh) * 2010-03-22 2010-09-08 深圳市芯朗金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保持链路通信的方法及其装置
JP2012060605A (ja) * 2010-09-13 2012-03-2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9269063B2 (en) 2011-09-23 2016-02-23 Elwha Llc Acquiring and transmitting event related tasks and subtasks to interface devices
DE102012004327A1 (de) * 2012-03-07 2013-09-12 Mobotix Ag Verfahren für die Parameterveränderung parametrierbarer Funktionen mittels Datenverarbeitungsgeräten
US9899026B2 (en) 2012-05-31 2018-02-20 Elwha Llc Speech recognition adaptation systems based on adaptation data
US9305565B2 (en) 2012-05-31 2016-04-05 Elwha Llc Methods and systems for speech adaptation data
US9899040B2 (en) 2012-05-31 2018-02-20 Elwha, Llc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adaptation data
US10431235B2 (en) 2012-05-31 2019-10-01 Elwha Llc Methods and systems for speech adaptation data
US8843371B2 (en) * 2012-05-31 2014-09-23 Elwha Llc Speech recognition adaptation systems based on adaptation data
US9495966B2 (en) 2012-05-31 2016-11-15 Elwha Llc Speech recognition adaptation systems based on adaptation data
JP5474238B1 (ja) * 2013-06-05 2014-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イアウト生成システム、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端末装置、レイアウト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328143A (zh) * 2015-06-23 2017-01-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语音控制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108292467B (zh) * 2015-12-02 2021-11-16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家用电器系统的控制设备
FR3045909B1 (fr) * 2015-12-17 2017-12-29 Delta Dore Procede et dispositif d'analyse et de repartition de commandes vocales
DE102015226188A1 (de) * 2015-12-21 2017-06-2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 einer Sicherung einer Benutzung zumindest einer Handwerkzeugmaschine
EP3291502B1 (en) * 2016-09-01 2021-07-28 Roche Diagnostics GmbH Method for authenticating an instrument for processing a biological sample or reagent, and system comprising an instrument for processing a biological sample or reagent
KR102481881B1 (ko) * 2016-09-07 2022-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및 그 방법
DE102018202018B3 (de) * 2018-02-09 2019-05-09 Siemens Schweiz Ag Verfahren und System zum Bereitstellen eines sprachbasierten Dienstes, insbesondere für die Ansteuerung von Raumbedienelementen in Gebäuden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0496B (fi) * 1995-04-13 1997-12-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Puhelinäänestyksen suorittaminen älyverkossa
US5922047A (en) * 1996-10-22 1999-07-13 Motorola, Inc.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multimedia control and communication
US6255961B1 (en) * 1998-05-08 2001-07-03 Sony Corporation Two-way communications between a remote control unit and one or more devices in an audio/visual environment
EP1002398A1 (en) * 1998-06-08 2000-05-24 Gatespace AB Application and communication platform for connectivity based services
US7218243B2 (en) * 1998-07-23 2007-05-1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up a universal remote control
DE19947100A1 (de) * 1999-09-30 2001-04-12 Siemens Ag Verfahren zur Umsetzung einer sprachgebundenen Ausgabe von Gerätezuständen
US6651063B1 (en) * 2000-01-28 2003-11-18 Andrei G. Vorobiev Data organiz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6567822B1 (en) * 2000-03-21 2003-05-20 Accenture Llp Generating a data request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use in an electronic supply chain value assessment
US7072945B1 (en) * 2000-06-30 2006-07-04 Nokia Corporation Network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ances
US7058516B2 (en) * 2000-06-30 2006-06-06 Bioexpertise, Inc. Computer implemented searching using search criteria comprised of ratings prepared by leading practitioners in biomedical specialties
JP2002044765A (ja) * 2000-07-28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制御システムとゲートウェイ装置
US6947966B1 (en) * 2000-10-13 2005-09-20 Road Runner Holdco Llc System and method for influencing dynamic community shared elements of audio, video, and text programming via a polling system
US7558738B1 (en) * 2000-11-06 2009-07-07 Flatt Jerrold V Software article, system and method for physician referral services
US7310350B1 (en) * 2000-12-29 2007-12-1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obile surveys and polling
US20020085023A1 (en) * 2001-01-02 2002-07-04 Zustak Fred J. Display of ancillary data on local network appliance
SE0100547L (sv) * 2001-02-19 2002-08-20 Telia Ab Gränssnitt
JP2002259657A (ja) * 2001-02-28 2002-09-13 Square Co Ltd 電化製品、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電化製品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達成するプログラム列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FR2822004A1 (fr) * 2001-03-12 2002-09-13 Thomson Multimedia Sa Systeme et procede de gestion de maintenance a distance, ensemble de gestion et produit logiciel correspondants
SE519176C2 (sv) * 2001-06-13 2003-01-28 E2 Home Ab Förfarande och system för styrning och underhåll av servicenät för hemmet
KR100437042B1 (ko) * 2002-03-20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40068739A1 (en) * 2002-10-04 2004-04-08 Russ Samuel H. Networked multimedia system having a multi-room interactive network guide
US8082198B2 (en) * 2002-12-11 2011-12-20 Broadcom Corporation Billing support in a media exchange network
US7437432B2 (en) * 2002-12-12 2008-10-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lient device configuration with configuration services providers
AU2003212704A1 (en) * 2003-03-03 2004-09-28 Snap-On Technologies, Inc. Method for providing a software module to an automotive vehicle control unit,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DE10310746A1 (de) * 2003-03-10 2004-12-16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System zur Fernbedienung von Unterhaltungselektronik-Heimkomponenten und/oder Verwaltung von Medieninhalten
DE10336559A1 (de) * 2003-08-08 2005-03-31 Diehl Ako Stiftung & Co. Kg System zur Fernkommunikation mit Hausgeräten
WO2005026864A2 (en) * 2003-09-18 2005-03-24 Corporate Responsibility System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regulatory compliance for a company
WO2005069184A1 (ja) * 2004-01-19 2005-07-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顧客管理システム
JP2007522721A (ja) * 2004-01-26 2007-08-0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電話によるインタラクティブなテレビジョン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及び装置
US20060036603A1 (en) * 2004-08-11 2006-02-16 Doug Laney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research
US20060070119A1 (en) * 2004-09-07 2006-03-30 Ogram Mark E Internet voting
US7187585B2 (en) * 2005-04-05 2007-03-06 Sandisk Corporation Read operation for non-volatile storage that includes compensation for coupling
US20060271368A1 (en) * 2005-05-25 2006-11-30 Yishay Carmiel Voice interface for consumer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18686A3 (de) 2007-12-27
CA2647573A1 (en) 2007-10-25
ZA200808009B (en) 2009-05-27
AU2007237426A1 (en) 2007-10-25
EA200870347A1 (ru) 2009-04-28
US20090265217A1 (en) 2009-10-22
BRPI0710132A2 (pt) 2011-08-02
CN101518074A (zh) 2009-08-26
JP2009533914A (ja) 2009-09-17
MX2008013159A (es) 2009-01-23
WO2007118686A2 (de) 2007-10-25
EP2005742A2 (de) 2008-12-24
DE102006018245A1 (de)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4962A (ko) 단말을 트리거하는 시스템
US2019036209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CN101222615B (zh) 网络系统、终端设备、记录设备、记录安排状态的显示方法
US7823074B2 (e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N1976431B (zh) 控制设备及其与媒体源和娱乐系统交互的方法
CN100440182C (zh) 具有在电器间中断内容执行的方法与系统的移动计算设备
CN102422552B (zh) 设备间无线通信管理方案
US7480746B2 (en) Extensible universal home automation integration framework and user interface
JP4280170B2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環境におけるリモコンサービス処理装置
CN101379817B (zh) 具有可编程服务的可编程多媒体控制器
CN1739292B (zh) 通信系统及方法、信息处理装置及方法、信息管理装置及方法
CN104718538B (zh) 用于管理流式数字内容的回放的系统和方法
CN103997688A (zh) 智能交互系统、装置和方法
CN104584061A (zh) 提供对众源播放列表的来宾访问的系统、方法、装置和制品
JP2002328949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視聴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4520890A (zh) 用于包括远程添加到队列的联网音乐回放的系统和方法
US8432490B2 (en) Display systems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s thereof
JP2003018576A (ja) 情報提示装置の連携システム、情報提示装置、情報中継装置、情報供給装置、情報提示装置の連携プログラムならびに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1911690A (zh) 内容再现装置、控制方法和网络系统
CN104704483B (zh) 用于管理流式数字内容的回放的系统和方法
CN110324685A (zh) 管理回放组
JP2001054081A (ja) 放送装置および方法、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および方法、情報受信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媒体
CN103024505A (zh) 一种基于应用的媒体播放遥控方法及终端和系统
KR102504539B1 (ko) 콘텐츠 배신 시스템 및 콘텐츠 배신 방법
JP2006508568A (ja) 記録に基づくコミュニティ用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