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539A - 키친 수납고 - Google Patents

키친 수납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539A
KR20090004539A KR1020080059323A KR20080059323A KR20090004539A KR 20090004539 A KR20090004539 A KR 20090004539A KR 1020080059323 A KR1020080059323 A KR 1020080059323A KR 20080059323 A KR20080059323 A KR 20080059323A KR 20090004539 A KR20090004539 A KR 20090004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storage
kitchen
inner drawer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쯔야 구도오
쥰 하마다
다까유끼 스즈끼
히데오 스즈끼
도모꼬 요꼬노
Original Assignee
크린업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업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크린업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04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88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holders for positioning specif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94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trays or insert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내부에 슬라이드되는 수납부를 더 갖는 다중 구조의 서랍식 키친 수납고에 있어서, 내부 서랍에 수납되는 피수납물과, 외부 서랍 전방판의 내측에 수납되는 피수납물이 간섭하지 않아 효율적으로 수납 공간을 활용하는 것이다.
키친에 배치되는 다단 수납고(200)는 인출되는 방향의 단부 모서리의 일부가 후퇴되어 있는 후퇴부(500)를 갖는 내부 서랍(230)과, 내부 서랍(230)의 아래에 위치하는 바닥판(240) 및 적어도 내부 서랍(230)을 초과하는 높이까지 연신되는 전방판(250)을 갖는 외부 서랍(300)을 포함하고, 내부 서랍(230) 및 외부 서랍(300)은 각각 슬라이드되어 내부 서랍(230) 및 외부 서랍(300)의 위치에 상관없이 이들이 포개어져 있는 한, 내부 서랍(230)의 후퇴부(500)로부터 후퇴부(500)의 하방에 위치하는 외부 서랍(300)의 바닥판까지, 연속되는 개방 공간(540)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키친 수납고, 싱크, 그물 선반, 외부 서랍, 내부 서랍

Description

키친 수납고{KITCHEN RACK}
본 발명은 키친에 배치되는 서랍식 수납고이며, 외부 서랍의 내부에 내부 서랍이 설치된 다중 구조의 키친 수납고에 관한 것이다.
키친에서 사용되는 조리 기구에는, 볼이나 소쿠리, 긴 형상을 갖는 주걱류(레이들), 긴 젓가락, 랩, 조미료 등의 소품류, 식칼 등 다양한 것이 있다.
이들 조리 기구를 수납하기 위해, 종래부터 키친 아래에 문이나 서랍 등의 수납부를 설치하거나, 벽찬장 등의 수납부를 설치하고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 크기의 조리 기구나 조미료를 효율적으로 수납하기 위해, 종래부터 다양한 고안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과 같이, 식품, 조미료 등의 병조림 또는 통조림 용기나, 소형 식기, 소형 조리 도구 등을 키친의 서랍 전방판의 내측에 수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와 같이 키친 캐비닛의 외부 서랍의 내부에 내부 서랍이 설치되고, 이들이 서로 자유자재로 슬라이드 가능한 다중 구조인 동시에, 외부 서랍은 외부 서랍과 내부 서랍 사이에 종배치한 상태에서 조리용 긴 젓가락이나 레이들류를 수납 가능한 높이를 갖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0446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30676호 공보
최근 증가하고 있는 완전 개방형의 대면식 오픈 키친의 경우, 조리 기구를 달아매거나 수납 선반을 설치하는 벽이 키친 사용자의 전방에 없어, 수납 공간이 보다 한정적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특히 효율적으로 조리 기구 등을 수납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천장에 고정하여 설치된 수납 찬장을 활용하는 것도 고려되나, 천장에 수납 찬장을 현수하기 위한 골조(빔)가 필요해져 시공 비용이 늘어난다. 그렇다고 해서, 사용 후의 조리 기구를 키친 상에 적재한 채로 두는 것은 미관이 나쁘다.
그래서 싱크 아래의 서랍식 수납고에 조리 기구 등을 수납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기술에서는 어느 정도, 변화가 많은 형상의 조리 기구나 조미료를 수납할 수 있다고 판단되나, 서랍 전방판의 내측에 설치된 수납 구조와, 서랍의 한층 내측에 설치되는 수납 구조와의 관계는 명백하게 되어 있지 않다.
한편, 특허문헌 2와 같은 다중 구조의 서랍을 이용하는 기술이면, 수납 공간은 넓게 확보할 수 있으나, 다양한 조리 기구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른 적절한 수납 장소를 확보하여 효율적인 수납을 행하기에는 충분한 것이라고는 하기 어렵다. 또한, 레이들류의 수납과, 서랍으로의 수납을 어떻게 하여 양립시킬지 하는 점에 대 해서도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다.
통상, 다중 구조의 키친 수납고의 외부 서랍의 내측에 수납 구조를 형성한 경우, 이 수납 구조에 의해 내부 서랍은 후방으로 밀려 내부 서랍이 점유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침식되어 버린다. 본원 발명자들은 평소, 이것을 문제시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키친에 배치되어 외부 서랍의 내부에 내부 서랍을 더 갖는 다중 구조의 서랍식 키친 수납고에 있어서, 외부 서랍 전방판의 내측에 수납 구조를 형성하고, 그 수납 구조에 의해 침식되는 내부 서랍의 수납 공간을 최소한으로 하면서 외부 서랍 및 내부 서랍에 각각 수납되는 피수납물이 간섭하지 않는 효율적인 수납을 실현하는 키친 수납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에 따르면, 키친에 배치되는 키친 수납고에 있어서, 인출되는 방향의 단부 모서리의 일부가 후퇴되어 있는 후퇴부를 갖는 내부 서랍과, 내부 서랍 아래에 위치하는 바닥판 및 적어도 내부 서랍의 상단부에 도달하는 높이까지 연신되는 전방판을 갖는 외부 서랍을 포함하고, 내부 서랍 및 외부 서랍은 각각 슬라이드되고, 내부 서랍의 후퇴부로부터 후퇴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외부 서랍의 바닥판까지, 연속되는 개방 공간(open ceiling spac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후퇴부 이외의 단부 모서리는 침식되지 않아, 내부 서랍으로서의 수납 기능을 손상시키고 있지 않으므로, 침식되는 내부 서랍의 수납 공간은 최소한으로 저감되어 있다. 게다가, 내부 서랍의 후퇴부는 내부 서랍으로서의 수납을 할 수 없게 될 뿐이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방 공간을 통과한 수납 공간으로서 이용되므로, 전혀 불필요하지 않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내부 서랍 및 외부 서랍의 위치에 상관없이 이들이 포개어져 있는 한, 개방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 서랍과 내부 서랍이 가장 근접했을 때에도 내부 서랍의 후퇴부로부터 후퇴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외부 서랍의 바닥판까지, 연속되는 개방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에 형성되는 개방 공간은 내부 서랍이 어떠한 위치에 있어도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개방 공간을 통해 피수납물을 수납 가능하다.
외부 서랍은 긴 형상의 피수납물을, 개방 공간을 연통시켜 수납 가능한 홀더를 가지면 된다. 조리용 긴 젓가락이나 주걱 등, 소위 긴 피수납물을 세운 상태로 수납 가능하므로, 원하는 피수납물을 찾기 쉽고, 또한 꺼내기 쉽기 때문이다.
상기한 홀더는 외부 서랍 전방판의 내측이며, 내부 서랍의 후퇴부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혹은, 상기한 홀더는 외부 서랍과 내부 서랍이 가장 근접했을 때에 후퇴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외부 서랍의 바닥판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모든 홀더가 외부 서랍과 내부 서랍이 가장 근접할 때에 형성되는 개방 공간에 피수납물을 수납 가능하다.
홀더는 이러한 위치에 있으면, 개방 공간이 연직으로 투영한 공간에 배치되 어 있게 되므로, 홀더에 의해 유지되는 피수납물 뿐만 아니라, 홀더 자체도 확실하게 내부 서랍과 간섭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친에 배치되어 외부 서랍의 내부에 내부 서랍을 더 갖는 다중 구조의 서랍식 키친 수납고에 있어서, 외부 서랍 전방판의 내측에 수납 구조를 형성하고, 그 수납 구조에 의해 침식되는 내부 서랍의 수납 공간을 최소한으로 저감시키면서 외부 서랍 및 내부 서랍에 각각 수납되는 피수납물이 간섭하지 않는 효율적인 수납이 실현된다.
다음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키친 수납고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중,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해 표시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키친 수납고의 실시 형태인 다단 수납고가 저장되는 키친의 외관도이고, 도2는 도1의 키친의 사시도이다. 키친(100)은, 소위 대면식 오픈 시스템 키친으로, 조리 기구를 달아매거나 수납 선반을 설치하는 벽이 키친 사용자의 전방에 없어, 특히 효율적으로 조리 기구 등을 수납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있다.
키친(100)은 가열기(110)가 설치되어 있는 가열기 캐비닛(120)과, 수도꼭지(130) 및 싱크(140)가 설치되어 있는 싱크 캐비닛(150)과, 조리 공간(160)이 설치되어 있어 식기 세척기 등을 수용 가능한 베이스 캐비닛(170)의 3개의 캐비닛으 로 구성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친(100)은 가열기(110), 싱크(140) 및 조리 공간(160)이 인접되어 있어 불필요한 공간을 최대한 배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키친 수납고의 실시 형태인 다단 수납고(200)는 손잡이(180)가 설치된 서랍식 수납고이다. 또한, 다단 수납고(200)의 아래에는 바닥면에 거의 접하는 발밑 수납고(210)가 배치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 수납고(200)는 키친(100)의 싱크(140)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이는 싱크(140)에서 이용되는 조리 기구나 조미료를 꺼내기 쉽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단 수납고(200)는 다른 위치에 형성해도 좋고, 예를 들어 조리 공간(160)을 형성한 베이스 캐비닛(170) 내에 설치해도 좋다.
도3은 도2의 다단 수납고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단 수납고(200)는 평판 형상의 적재 공간을 갖는 그물 선반(220)과, 그물 선반(220)의 아래에 위치하여 인출되는 방향으로 단부 모서리의 일부가 후퇴되어 있는 후퇴부(500)가 형성된 트레이 형상의 내부 서랍(230)과, 내부 서랍(230)의 아래에 위치하는 바닥판(240) 및 내부 서랍(230)을 초과하는 높이까지 연신되는 전방판(250)을 갖는 외부 서랍(300)을 포함하는 3중 구성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은 내부 서랍(230) 및 외부 서랍(300)의 위치에 상관없이, 내부 서랍(230)의 후퇴부(500)로부터 후퇴부(500)의 하방에 위치하는 외부 서랍(300)의 바닥판까지, 연속되는 개방 공간(540)(도3의 사선부)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평판 형상의 적재 공간을 갖는 그물 선반(220)(상단)은, 전형적으로는 도마(310)나, 그 밖의 쟁반, 배트, 케이크 쿨러 등의 평판 형상의 피수납물의 수납을 행한다. 상술한 후퇴부(500)가 형성된 대략 H형의 형상을 갖는 트레이 형상의 내부 서랍(230)(중간단)은 중앙의 소품 트레이(340)에 포크(350)나 스푼(360)이나 조미료(도시하지 않음) 등의 소품을 수납하고, 이들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 중, 식칼 꽂이(320)에는 식칼(330)을 수납하고, 랩 트레이(370)에는 랩류(380)를 수납한다. 이와 같이, 각 수납부가 각각 계획성이 있는 효율적인 수납을 실현하고 있다.
도4는 도2의 다단 수납고를 인출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싱크(140) 및 싱크(140)의 경계를 이루는 천장판은,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도시를 생략하여 내부 구조를 명시한 것이다.
또한, 내부 서랍(230)은, 수납된 상태에서는 외부 서랍(300)에 설치된 커버(800) 상에 적재되어 있고, 외부 서랍(300)과 내부 서랍(230)이 일체적으로 인출된다. 또한, 다단 수납고(200)에는 내부 서랍(230)이, 인출된 외부 서랍(300)으로부터 독립되어 다단 수납고(200)로 복귀될 때에 적재되는 레일을 구비하고 있고, 내부 서랍은 다단 수납고(200)에 구비한 레일 및 외부 서랍에 구비한 커버 상을 주행하여 다단 수납고(200) 내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내부 서랍(230)은 외부 서랍(300)과 일체적으로 인출되어 사용 빈도가 높은 피수납물을 바로 꺼낼 수 있어 사용성이 좋다. 또한, 외부 서랍(300)의 수납부로부터 물건을 꺼낼 때에는 내부 서랍(230)만을 다단 수납고(200) 내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올인원의 3중 구성에 의해 1개소의 외부 서랍(300)(하단)을 열면, 그물 선반(220)(상단) 및 내부 서랍(230)(중간단)도 출현하여, 거의 모든 피수납물이 일목요연하게 되어 원하는 피수납물을 발견하기 쉽다.
또한, 다단 수납고(20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물 선반(220)을 독립하여 슬라이드시키는 1세트의 레일(400) 외에, 내부 서랍(230) 및 외부 서랍(300)을 각각 독립하여 슬라이드시키는 2세트의 레일(410, 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4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다른 쪽에도 레일(400, 410, 42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그물 선반(220), 내부 서랍(230), 외부 서랍(300)으로 이루어지는 3중 수납부는 레일(400, 410, 42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므로, 그물 선반(220)이나 내부 서랍(230)을 자유자재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피수납물의 취출을 행할 수 있어 사용성이 좋다.
도4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 수납고(200) 중, 상술한 내부 서랍(230)에는 내부 서랍(230)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대략 H형의 내부 서랍(230)의 일부를 이루는 후퇴부(500)가 형성되고, 또한 외부 서랍(300)의 전방판(250)의 내측에 주걱류(레이들)(510)를 세운 상태로 고정 가능한 주걱류 고정구, 즉 조리 소품 홀더(520)를 더 포함한다. 즉, 이 조리 소품 홀더(520)는 개방 공간(540)을 통해 내부 서랍(230)의 상하에 걸쳐서 수납되는 피수납물을 보유 가능하다.
조리용 긴 젓가락이나 주걱류 등, 소위 긴 피수납물은 어느 하나의 서랍 내 부에 눕힌 상태로 수납할 수 있다. 그러나, 가령 서랍의 깊이나 폭이 부족한 경우, 수납은 불가능하고, 수납 가능한 치수를 확보할 수 있었다고 해도 눕힌 상태로 수납한 긴 것은 동일 종류의 긴 것을 복수 수납하고 있는 경우에는 특히 원하는 긴 것을 꺼내는 것이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젓가락이라는 동일 종류의 피수납물을 동일한 서랍에 눕힌 상태로 수납하고 있던 경우, 원하는 젓가락을 꺼내는 것은 번잡하다.
그런 점에서, 본 실시 형태예에서는 상기한 조리 소품 홀더(520)에 의해 긴 피수납물을 세운 상태로 수납 가능하므로, 원하는 피수납물을 찾기 쉽고, 또한 꺼내기 쉽다.
이와 같이, 적어도 내부 서랍의 상단부에 도달하는 높이까지 연신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단 수납고(200)의 상단[도9의 (c)에 나타내는 높이(H)]까지 연신되는 전방판(250)을 갖는 외부 서랍(300)(하단)의 전방판(250)에는 주걱류(510)의 수납이 계획되어 있어, 다른 단과 마찬가지로 계획성이 있는 수납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본원에서 말하는 「주걱류」라 함은, 국자 등 외에, 주걱, 집게, 조리용 긴 젓가락 등 긴 형상을 갖는 모든 조리 기구를 포함해도 좋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걱류 고정구(520)의 하방의, 외부 서랍(300)의 전방판(250)의 이면에는 외부 서랍과 다단 수납고(200)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판(700)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부 서랍(300)의 수납 시에 다단 수납고(200)와 접촉하는 부분의 충격이 완화되기 때문이다.
도5는 도3 및 도4에 도시한 조리 소품 홀더의 사시도이다. 조리 소품 홀더(520)는 전방판(250)에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홀더부(522)를 포함하고, 인접하는 홀더부(522) 사이에는 주걱류(510)의 축부(524)를 끼움 지지함으로써 주걱류(510)를 고정하는 홈(526)이 형성되어 있다.
도6은 도5의 조리 소품 홀더의 삼면도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우측면도이다. 조리 소품 홀더(520)를 구성하는 각 홀더부(522)는 수지 등의 긴 형상의 탄성체,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를 굴곡시킨 대략 U자형이다. 홀더부(522)는 그 양단부를 외부 서랍(300)의 전방판(250)을 향하게 하여 상방에서 볼 때 대략 U자형이 되는 자세로 서로 인접 배치된다. 이에 의해, 인접하는 홀더부(522) 사이에 홈(526)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홀더부(522)의 양단부는 철선재인 가이드(528)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가이드(528)는, 도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지나가는 2개의 철선[도6의 (a)에서는 1개밖에 보이지 않음]과, 이들 철선을, 도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부에서 외부 서랍(300)이 복귀되는 방향으로 돌출시킨 후에 연직 방향의 철선으로 결합한 형상을 갖고 있다.
도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528) 중 2개의 평행하게 지나가는 철선 부분에 각 홀더부(522)는 끼워 맞추어져 있다. 도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면, 홀더부(522)는 대략 직사각형의 측면의 도중에 만곡되어 절결된 부분을 갖고, 여기에 가이드(528)의 2개의 평행한 철선재를 통해 가이드(528)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528)의 2개의 평행 철선 부분에는 양단부와 중앙의 총 3개소에 폴리에틸렌제의 가이드 고정부(530)가 설치되어 있다. 조리 소품 홀더(520)는 가이드 고정부(530)의 나사 구멍(532)을 통해 전방판(250)의 내측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U자형 홀더부(522)를 인접 배치함으로써, U자형 홀더부(522)의 양단부를 외부 서랍(300)의 전방판(250)에 대한 고정부로서 이용하는 한편, 인접되어 있는 U자형으로 만곡된 부분 사이에는 상술한 홈(526)이 형성되어 있다.
도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홀더부(522) 사이에 형성되는 홈(526)은 쐐기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쐐기형의 홈(526)의 폭이 넓은 부분으로부터는 주걱류(510)를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어, 압입함에 따라서 홈(526)의 끝의 가는 부분에 의해 주걱류(510)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여, 주걱류(510)가 홈(526) 사이에서 고정 유지된다.
도7은 도5의 조리 소품 홀더에 주걱류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 소품 홀더(520)에 따르면 주걱류(510)의 축부(524)를 상기한 홈(526)에 압입함으로써 간이하게 주걱류(510)를 고정 가능하다.
도8은 도4에 도시한 다단 수납고를 키친 내에 수납한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외부 서랍(300)을 닫으면, 그물 선반(220) 및 내부 서랍(230)도 전방판(250)에 밀려 싱크(140)의 하방의 공간 내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다단 수납고(200)가 키친(100) 내에 수납됨으로써 내부 서랍(230)이 가장 외부 서랍(300)에 접근해도 주걱류(510)는 내부 서랍(230)과 간섭하지 않 고 자유자재로 수납ㆍ취출이 가능하다. 그 구성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9는 도2의 키친의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A-A 단면도, (c)는 B-B 단면도 및 (d)는 C-C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판(250)은 다단 수납고(200)의 상단[높이(H)]까지 연신되어 있으므로, 외부 서랍(300)은 필연적으로 그물 선반(220) 및 내부 서랍(230)의 스토퍼의 역할을 다하고, 그물 선반(220) 및 내부 서랍(230)은 외부 서랍(300)의 내측에서만 슬라이드된다.
상기와 같이, 내부 서랍(230)의 슬라이드 범위가 외부 서랍(300)의 내측으로 제한되는 한편, 도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 소품 홀더(520)는 외부 서랍(300)의 전방판(250)의 내측이며, 내부 서랍(230)의 후퇴부(500)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혹은, 도시하지 않으나, 조리 소품 홀더(520)는 외부 서랍(300)과 내부 서랍(230)이 가장 근접했을 때에 500의 하방에 위치하는, 외부 서랍(300)의 바닥판(240)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모든 조리 소품 홀더(520)가, 외부 서랍(300)과 내부 서랍(230)이 가장 근접했을 때에 형성되는 개방 공간(540)에 피수납물을 수납 가능하다.
홀더(520)는 이러한 위치에 있으므로, 개방 공간(540)을 연직 방향으로 투영한 공간에 배치되어, 홀더(520)에 의해 유지되는 피수납물 뿐만 아니라, 홀더(520) 자체도 확실하게 내부 서랍(230)과 간섭하지 않게 된다.
단, 홀더(520)는 내부 서랍(230)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떠한 위치에 있어도 좋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이미 도3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서랍(230) 및 외부 서랍(300)의 위치에 상관없이 이들이 포개어져 있는 한, 내부 서랍(230)의 후퇴부(500)로부터 후퇴부(500)의 하방에 위치하는 외부 서랍(300)의 바닥판까지, 연속되는 개방 공간(540)[도9의 (b)의 사선부]이 존재한다.
그리고, 외부 서랍(300)과 내부 서랍(230)이 가장 근접했을 때에도 내부 서랍(230)의 500으로부터 500의 하방에 위치하는 외부 서랍(300)의 바닥판(240)까지, 연속되는 개방 공간(540)이 형성된다.
이때에 형성되는 개방 공간(540)은 내부 서랍(230)이 어떠한 위치에 있어도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개방 공간(540)을 통해 피수납물을 수납 가능하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내부 서랍(230)은 그것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신되는 외부 서랍(300)의 전방판(250)에 저지되므로, 전방판(250)을 초과하여 한층 외측을 향해 슬라이드될 수 없다. 즉, 내부 서랍(230)의 슬라이드 범위는 외부 서랍(300)의 내측으로 한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수납고의 경우, 통상 내부 서랍이 한계까지 인출되어 내외의 서랍이 가장 근접해 있을 때에는, 내부 서랍은 외부 서랍의 수납 공간을 상하로 분할 차단해 버린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외부 서랍(300)과 내부 서랍(230)이 가장 근접할 때[도9의 (b)에 나타내는 상태]라도, 외부 서랍(300)의 전방판(250)과 내부 서랍(230)의 후퇴부(500)로 구획되는 영역에는 개방 공간(540)이 존재한다. 개방 공간(540)만은, 언제 어떠한 경우에도 내부 서랍(230)의 상하의 공간을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개방 공간(540)을 통해 피수납물을 수납하면, 피수납물은 내부 서랍(230)이 어떠한 위치에 있어도 내부 서랍(230)에 간섭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내부 서랍(230)을 개방식으로 관통하여 외부 서랍(300)의 전방판(250) 높이까지의 피수납물을 수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서랍(230)은 1개이나, 복수의 내부 서랍을 상하로 포개어 설치하여, 이들 복수의 내부 서랍을 모두 관통하는 개방 공간을 구성해도 좋다.
외부 서랍 전방판(250)의 내측에 수납된 주걱류(510)는 내부 서랍(230)의 후퇴부(500)를 통과하는 위치 관계에 있으므로, 외부 서랍(300)과는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내부 서랍(230)이 외부 서랍(300)에 가장 접근해도 내부 서랍(230)과 간섭하지 않고 수납ㆍ취출이 가능하다. 즉, 내부 서랍(230) 및 외부 서랍(300)의 슬라이드에 상관없이 내부 서랍에 주걱류(510)는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내부 서랍(230)이 외부 서랍(300)에 가장 접근할 때, 내부 서랍(230)의 후퇴부(500) 이외의 단부 모서리는 외부 서랍(300)의 전방판(250)에 거의 도달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되어 있다.
외부 서랍(300)은 긴 형상의 피수납물을, 개방 공간(540)을 연통시켜 수납 가능한 조리 소품 홀더(520)를 갖는다. 조리용 긴 젓가락이나 주걱 등, 소위 긴 피수납물을 세운 상태에서 수납 가능하므로, 원하는 피수납물을 찾기 쉽고, 또한 꺼내기 쉽기 때문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리 소품 홀더(520)와 같이, 다중 구조의 수납고의 외부 서랍 전방판의 내측에 수납 구조를 형성한 경우, 아무런 고안이 없으면, 이 수납 구조에 의해, 통상 내부 서랍은 후방으로 밀려 전방판에 거의 도달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될 수 없다. 바꿔 말하면, 내부 서랍이 점유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은 침식되어 버린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리 소품 홀더(520)는 내부 서랍(230)의 후퇴부(500)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 공간(540)을 통해 조리 소품(피수납물)을 수납하고 있다. 따라서, 내부 서랍(230) 중, 침식되어 있는 것은 후퇴부(500)뿐이고, 그 밖의 부분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식칼 꽂이(320)나 랩 트레이(370)로서 유효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내부 서랍(230)의 후퇴부(500) 이외의 단부 모서리는 후방으로 밀리지 않고, 외부 서랍(300)의 전방판(250) 한께의 위치까지 슬라이드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내부 서랍(230)의 수납 공간의 침식은 최저한까지 저감되어 있다. 게다가, 침식된 내부 서랍(230)의 후퇴부(500)도 내부 서랍(230)으로서의 수납이 불가능할 뿐, 개방 공간(540)을 통한 수납 공간으로서 이용되므로, 전혀 불필요하지 않다.
또한, 내부 서랍(230)은 그것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후퇴부(500)를 형성하고 있으면 되므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대략 H형이 아니라도 좋고, 예를 들어 복귀되는 측을 평탄하게 한 대략 역ㄷ자형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서랍(230)이 대략 H형인 것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출되는 방향의 단부 모서리의 중앙에 후퇴부(500)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후퇴부(500)가 형성되는 위치는 단부 모서리의 중앙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10은 도9의 (b)에 도시하는 후퇴부의 변화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10의 (a)는 본 실시 형태의 후퇴부(500)에 상당하는 것을 도시한다. 한편, 도10의 (b)는 폭 방향으로 치우친 후퇴부(504)를 갖는 내부 서랍(234)을 도시한다. 이러한 치우침의 방향은 좌우 어떠한 방향에도 있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10의 (b)의 경우, 개방 공간(544)은 외부 서랍(300)의 전방판(250)과, 내부 서랍(234)의 후퇴부(504)와, 외부 서랍(300)의 측판(550)으로 구획되는 영역에 존재하게 된다.
또한, 도10의 (c)는 또 다른 후퇴부의 변화를 도시하는 모식도로, 이 경우, 내부 서랍(236)은 외부 서랍(300)의 폭의 일부만 차지하고 있다. 후퇴부(506)는 내부 서랍(236)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나, 도10의 (b)와 같이 치우친 위치에 형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소형의 내부 서랍(236)은 외부 서랍(300)의 내부에 폭 방향에 병렬로 설치하고, 각각이 독립되어 슬라이드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후퇴부(500) 등의 형상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사각형이지만, 피수납물이나 그 밖의 어떠한 형상으로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 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키친에 배치되어 외부 서랍식이고, 내부에 슬라이드되는 수납부를 더 갖는 다중 구조의 키친 수납고에 적용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키친 수납고의 실시 형태인 다단 수납고가 저장되는 키친의 외관도.
도2는 도1의 키친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다단 수납고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도2의 다단 수납고를 인출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본 도면.
도5는 도3 및 도4에 도시한 조리 소품 홀더의 사시도.
도6은 도5의 조리 소품 홀더의 삼면도.
도7은 도5의 조리 소품 홀더에 주걱류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도4의 다단 수납고를 키친 내에 수납한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9는 도2의 키친의 평면도, 평단면도,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도9의 (b)에 도시하는 후퇴부의 변화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키친
140 : 싱크
200 : 다단 수납고
220 : 그물 선반
230, 234, 236 : 내부 서랍
300 : 외부 서랍
400, 410, 420 : 레일
310 : 도마
500, 504, 506 : 후퇴부
510 : 주걱류
520 : 조리 소품 홀더
700 : 완충판

Claims (5)

  1. 키친에 배치되는 키친 수납고에 있어서,
    인출되는 방향의 단부 모서리의 일부가 후퇴되어 있는 후퇴부를 갖는 내부 서랍과,
    상기 내부 서랍의 아래에 위치하는 바닥판 및 적어도 내부 서랍의 상단부에 도달하는 높이까지 연신되는 전방판을 갖는 외부 서랍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서랍 및 외부 서랍은 각각 슬라이드되고,
    상기 내부 서랍의 후퇴부로부터 상기 후퇴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외부 서랍의 바닥판까지, 연속되는 개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친 수납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랍과 내부 서랍이 가장 근접했을 때에도, 상기 내부 서랍의 후퇴부로부터 상기 후퇴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외부 서랍의 바닥판까지, 연속되는 개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친 수납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랍은 긴 형상의 피수납물을 상기 개방 공간을 연통시켜 수납 가능한 홀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친 수납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외부 서랍 전방판의 내측이며, 상기 내부 서랍의 후퇴부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친 수납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외부 서랍과 내부 서랍이 가장 근접했을 때에 상기 후퇴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외부 서랍의 바닥판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친 수납고.
KR1020080059323A 2007-06-29 2008-06-24 키친 수납고 KR200900045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73578A JP2009011396A (ja) 2007-06-29 2007-06-29 キッチン収納庫
JPJP-P-2007-00173578 2007-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539A true KR20090004539A (ko) 2009-01-12

Family

ID=4019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323A KR20090004539A (ko) 2007-06-29 2008-06-24 키친 수납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011396A (ko)
KR (1) KR20090004539A (ko)
CN (1) CN101332020A (ko)
TW (1) TW2009111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0662A (zh) * 2017-02-24 2017-06-13 广东聪信智能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拉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1249B2 (ja) * 2009-12-18 2013-08-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収納家具
JP5345097B2 (ja) * 2010-03-31 2013-11-20 サンウエーブ工業株式会社 キャビネット
JP2012192068A (ja) * 2011-03-17 2012-10-11 Takara Standard Co Ltd 引出し構造
JP2013090660A (ja) * 2011-10-24 2013-05-16 Panasonic Corp 収納家具装置
JP5885519B2 (ja) * 2012-01-30 2016-03-15 株式会社Lixil キャビネット
CN104367013A (zh) * 2014-11-18 2015-02-25 雅固拉国际精密工业(苏州)有限公司 滑轨连接件
JP6552440B2 (ja) * 2016-03-14 2019-07-31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6925122B2 (ja) * 2016-12-16 2021-08-25 株式会社Lixil 引出し収納
JP6623391B1 (ja) * 2018-12-28 2019-12-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引出し及びこれを備えたキッチン用フロアキャビネット
CN111789418B (zh) * 2019-04-09 2021-10-29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抽屉门体结构及消毒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6836U (ko) * 1981-02-03 1982-08-07
JP3824841B2 (ja) * 2000-04-24 2006-09-20 株式会社東芝 冷蔵庫の引き出し容器の構造
JP2002112843A (ja) * 2000-10-11 2002-04-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ボトル収納キャビネット
JP2006204462A (ja) * 2005-01-26 2006-08-10 Shimodaira:Kk 引出用収納装置
JP2006200889A (ja) * 2006-04-24 2006-08-03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0662A (zh) * 2017-02-24 2017-06-13 广东聪信智能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拉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11396A (ja) 2009-01-22
TW200911168A (en) 2009-03-16
CN101332020A (zh)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4539A (ko) 키친 수납고
EP2292140B1 (en) Silverware container, especially silverware tray and/or silverware basket, as well as dishwasher with such a silverware container
RU2250425C1 (ru) Вставка для дверной полки
CN109475265B (zh) 折叠式餐具搁架
US20090140619A1 (en) Device for loading cutlery in dishwasher machines
JP4588485B2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US20070039636A1 (en) Device for placing silverware in dishwashers
JP2010148788A (ja) フライパンラック
JP2008253324A (ja) キッチン収納庫
CN217565302U (zh) 可调节搁架系统
JP5052183B2 (ja) キッチン収納庫
KR20160003847U (ko) 이동식 선반형 서랍
JP2007190261A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JP5052185B2 (ja) キッチン収納庫
JP4636437B2 (ja) コーナー用キャビネットおよびキャビネットユニット
JP5078466B2 (ja) 包丁差しおよびシステムキッチン
JP5052184B2 (ja) キッチン収納庫
CN211186961U (zh) 一种防尘的多功能厨房置物架
JP2743146B2 (ja) 流し台用整理棚
JP2004290420A (ja) 縦形ポケットを備えた厨房家具
TW202025959A (zh) 抽屜
KR200358395Y1 (ko) 주방용 가구
KR200458821Y1 (ko) 다용도 양념 수납장
JPH0716342Y2 (ja) キッチン用キャビネット
CN219270481U (zh) 一种调味拉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