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773A - 석션드레인 공법의 공기와 간극수의 분리배출을 위한집수탱크 - Google Patents

석션드레인 공법의 공기와 간극수의 분리배출을 위한집수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773A
KR20090003773A KR1020070066711A KR20070066711A KR20090003773A KR 20090003773 A KR20090003773 A KR 20090003773A KR 1020070066711 A KR1020070066711 A KR 1020070066711A KR 20070066711 A KR20070066711 A KR 20070066711A KR 20090003773 A KR20090003773 A KR 20090003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water
air
collecting
hollo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2835B1 (ko
Inventor
김수삼
한상재
정승용
김기년
Original Assignee
(주)지구환경전문가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구환경전문가그룹 filed Critical (주)지구환경전문가그룹
Priority to KR1020070066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8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03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3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installing wick drains or sand ba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reservo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압으로 인해 공기와 함께 간극수가 진공흡입펌프로의 유입을 방지하여 펌프의 효율을 유지시켜 지반내의 간극수 드레인 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진공흡입력에 간극수의 배수력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센세에 의해 간극수의 배수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석션드레인 공법의 공기와 간극수의 분리배출을 위한 집수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내에서 배출되는 공기 및 간극수가 유입되는 헤더파이프가 연결된 반대편으로 진공흡입펌프의 흡입에 의해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관이 상부측에 결합된 집수탱크몸체와, 집수탱크몸체의 내측 공간 중앙부 벽면에 설치되어 상부는 분리공간으로, 하부는 집수공간으로 분할하되 중앙에 중공홀이 형성된 분할판과, 분할판의 중공홀 하부 주변에 설치되어 중공홀을 개폐하는 차단수단과, 차단수단의 제어를 위해 집수공간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간극수의 고/저수위를 감지하는 고/저수위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와, 센서부의 고/저수위센서의 신호를 받아 집수탱크몸체 하부에 간극수를 배수탱크로배간극수를 분리하여 별도로 배출,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석션드레인, 간극수, 진공흡입펌프, 분할판, 고/저수위센서, 방수모터

Description

석션드레인 공법의 공기와 간극수의 분리배출을 위한 집수탱크{Sump tank for separation of air and water in suction drain method}
본 발명은 석션드레인 공법의 집수탱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압으로 인해 공기와 함께 간극수가 진공흡입펌프로의 유입을 방지하여 펌프의 효율을 유지시켜 지반내의 간극수 드레인 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진공흡입력에 간극수의 배수력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도록하고, 센세에 의해 간극수의 배수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석션드레인 공법의 공기와 간극수의 분리배출을 위한 집수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G)의 강도를 개선하기 위한 개량공법으로는 버티칼 드레인 공법(Vertical drain method)이 사용된다.
상기 버티칼 드레인 공법은 배수재에 따라서 샌드 드레인 공법(Sand drain method)과, 패크 드레인 공법(Pack drainmethod) 및, 페이퍼 드레인 공법(Paper drain method)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샌드 드레인 공법은, 연직 배수공법의 대표적인 공법으로서, 모래를 배수재로 이용하여 연약지반내에 연직으로 모래 말뚝을 인위적으로 타설함으로써, 이 로부터 배수효과를 촉진시키는 공법이지만, 사용되는 모래를 충분히 확보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또한 연직으로 형성된 모래 말뚝이 절단될 경우에는 드레인 효과 즉, 배수효과가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시공관리를 철저히 해야하는 어려움이 있고, 또한 시공비가 고가이며, 뿐만 아니라 모래를 이용하기 때문에 모래를 채취할 때 발생되는 환경문제도 대두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 패크 드레인 공법은, 상기 샌드 드레인 공법과 동일.유사하나, 모래와 상기 모래를 담을 수 있는 패크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배수재로 이용하여, 상기 연약지반의 지중에 연직으로 인위적으로 타설하여 배수효과를 촉진시키는 공법으로서, 배수재가 절단될 염려가 없어서 배수효과가 양호하고 또한 시공관리 역시 양호한 공법이나 시공비가 고가인 점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상기 패크 드레인 공법은, 모래의 구입이 용이한 경우에는 샌드 드레인 공법에 비해서 큰 장점이 없으므로 샌드 드레인 공법을 적용하고, 또한 지반의 기복이 심한 구조, 조사심도가 정확하지 않는 지층에 대해서는 사용하지 않게 된다.
상기 페이퍼 드레인 공법(일명; 플라스틱 드레인 공법) 역시, 상기 샌드 드 레인 공법과 동일.유사하나, 플라스틱 코어에 직물섬유로 감싼 밴드 형태의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설계 계산치 보다 드레인 효과가 미비하고, 시공비가 고가인 점이 문제이고, 시공관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이 역시 효율 및 적용성에 대한 확고한 신뢰성은 확보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초 연약 지반내의 간극수를 배수하기 위한 석션드레인 공법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679601호로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초 연약 지반(G)내의 간극수를 배수하기 위한 석션드레인 공법의 실시예시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은 석션드레인 공법은 드레인타설기(도면상 미도시)로 연약지반(G)의 소정의 심도까지 플라스틱 드레인보드(10)를 지중에 매설하는 공정이 시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정 후 지면에 돌출되어 있는 배수호스(60)의 상부에 다수의 집수관(30)과 상기 집수관(30)과 수직연결되는 헤더파이프(40)를 연결하는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공정 후 헤더파이프(40)의 단부에 진공흡입펌프(50)를 연결하는 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진공흡입펌프(50)에 의한 부압을 통하여 지반(G)내의 간극수가 플라스틱 드레인보드(10)를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침하를 촉진하는 공정이 시행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석션드레인 공법은 진공흡입펌프(50)를 작동시켜 드레인보드(10)로 지반(G)내에 존재하던 간극수가 공기와 혼합된 상태로 유입되어 헤더파이프(4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헤더파이프(40)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가 혼합된 간극수는 진공흡입펌프(50)를 진공흡력에 의해 배출되게 된다.
이때, 간극수가 진공흡입펌프(50)의 내부로 유입하게 되어 진공흡입력이 저 하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진공흡입력이 저하됨으로써 지반내에 함유된 간극수의 흡입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간극수의 흡입력이 감소되어 지반내의 간극수가 원활히 드레인되지 않게 되어 공사기간이 길어지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공기와 혼합된 간극수를 서로 분리시켜 배출 및 배수가능하며, 진공력과 배수를 위한 배수력이 서로 격리되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고, 관리적인 측면에서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차단 및 배수작동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집수탱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집수탱크몸체의 내부공간을 분리공간과 집수공간으로 분할하고 분리공간에 차단벽을 형성하여 지반내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되어진 간극수를 서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석션드레인 공법의 공기와 간극수의 분리배출을 위한 집수탱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리공간을 좌우 양측으로 양분하는 차단벽에 의해 간극수가 진공흡입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진공흡입력의 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할판의 중공홀을 차단수단을 이용하여 개폐할 수 있어 진공흡입력과 배수밸브의 개방으로 인해 간극수가 배수되는 배수력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진공력과 배수력의 효율을 유지시키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할판을 깔때기형상으로 제작하여 간극수의 집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차단수단과 배수밸브가 간극수의 고/저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연결되어 자동적으로 분할판의 중공홀 개폐 및 배수관의 개폐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있도록 하여 자동화를 이룬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라스틱 드레인보드와 기밀캡과 집수관 및 헤더파이프와 진공흡입펌프를 이용하여 지중에 함유된 다량의 간극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석션드레인 공법에 이용되는 간극수를 집수하는 집수탱크에 있어서,
상기 집수탱크는 지반내에서 배출되는 공기 및 간극수가 유입되는 헤더파이프가 연결된 반대편으로 진공흡입펌프의 흡입에 의해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관이 상부측에 결합된 집수탱크몸체와,
집수탱크몸체의 내측 공간 중앙부 벽면에 설치되어 상부는 분리공간으로, 하부는 집수공간으로 분할하되 중앙에 중공홀이 형성된 분할판과,
분할판의 중공홀 하부 주변에 설치되어 중공홀을 개폐하는 차단수단과,
차단수단의 제어를 위해 집수공간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간극수의 고/저수위를 감지하는 고/저수위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와,
센서부의 고/저수위센서의 신호를 받아 집수탱크몸체 하부에 간극수를 배수탱크로 배수를 위해 설치된 배수관을 개폐하는 배수밸브로 이루어져; 공기와 간극수를 분리하여 별도로 배출,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분리공간에는 헤더파이프와 공기배출관 사이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분리공간을 좌/우로 양분하는 차단벽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져; 간극수가 공기배출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분할판은 집수탱크몸체에 결합된 외곽부분을 기준으로 중공홀측으로 진행할수록 낮아지는 깔때기형상으로 이루어져; 간극수의 집수가 용이하도 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수단은 분할판의 중공홀 테두리에 결합되는 밀폐부재와,
밀폐부재의 하부면으로 밀착 및 탈착되어 중공홀을 개폐하는 차단덮개와,
차단덮개가 구동되도록 고,저수위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되는 방수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드레인 공법의 공기와 간극수의 분리배출을 위한 집수탱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집수탱크몸체의 내부공간을 분리공간과 집수공간으로 분할하고 분리공간에 차단벽을 형성하여 지반내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되어진 간극수를 서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분리공간을 좌우 양측으로 양분하는 차단벽에 의해 간극수가 진공흡입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진공흡입력의 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분할판의 중공홀을 차단수단을 이용하여 개폐할 수 있어 진공흡입력과 배수밸브의 개방으로 인해 간극수가 배수되는 배수력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진공력과 배수력의 효율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할판을 깔때기형상으로 제작하여 간극수의 집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차단수단과 배수밸브가 간극수의 고/저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연결되어 자동적으로 분할판의 중공홀 개폐 및 배수관의 개폐를 자동화 작동으로 수 관리비 및 인건비가 절약되도록 하는효과가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장치의 개략적인 투영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판 및 차단수단의 개폐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석션드레인 공법의 실시개념을 도시한 실시예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석션드레인 공법의 실시개념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석션드레인 공법의 공기와 간극수의 분리배출을 위한 집수탱크는 플라스틱 드레인보드(10)와 기밀캡(20)과 집수관(30) 및 헤더파이프(40)와 진공흡입펌프(50)를 이용하여 지반(G)의 지중에 함유된 다량의 간극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공법에 이용되어 간극수의 집수기능을 한다.
여기서, 집수탱크를 적용하여 간극수 배출을 위한 석션드레인 공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드레인타설기(도번호 미도시)로 지반(G)의 소정의 심도까지 플라스틱 드레인보드(10)를 지중에 매설하는 공정이 시행되게 된다.
그리고, 지중에 매설하는 공정 후 지면에 돌출되어 있는 배수호스(60)의 상부에 다수의 집수관(30)과 상기 집수관(30)과 수직연결되는 헤더파이프(40)를 연결하는 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헤더파이프(40)를 집수탱크(70)에 연결시킨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탱크(70)는 간극수가 집수되는 집수탱크몸체(71)와, 집수탱크몸체(71)의 내부공간을 상하 양분하는 중공홀(72c)이 형성된 분할판(72)과, 중공홀(72c)을 개폐하는 차단수단(73)과, 차단수단(73)을 제어하며 간극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고/저수위센서(74a,74b)로 이루어진 센서부(74)와, 센서부(74)의 신호를 전달받아 간극수의 배출 및 배출차단을 하는 배수밸브(75)로 구성된다.
먼저, 집수탱크몸체(71)는 지반(G)내에서 배출되는 공기 및 간극수가 유입되는 기능을 하도록 통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집수탱크몸체(71)의 일측면에는 헤더파이프(40)가 연결되고, 헤더파이프(40)의 반대편으로 진공흡입펌프(50)의 흡입에 의해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관(71a)이 상부측에 마주보도록 결합된다.
한편, 집수탱크몸체(71)의 내측 공간 중앙부 벽면에 용접방식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분할판(72)이 형성된다.
이러한, 분할판(72)이 설치됨으로써 집수탱크몸체(71)의 내부 공간 중 상부는 분리공간(72a)으로, 하부는 간극수가 집수되는 집수공간(72b)으로 분할하되 중앙에 중공홀(72c)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더불어, 분할판(72)은 집수탱크몸체(71)에 결합된 외곽부분을 기준으로 중공홀(72c)측으로 진행할수록 낮아지는 깔때기형상으로 구성되어 집수공간(72b)으로 간극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분리공간(72a)에는 헤더파이프(40)와 공기배출관(71a)의 사이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분리공간(72a)을 좌/우로 양분하는 차단벽(76)이 더 포함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간극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할판(72)의 중공홀(72c) 하부 주변에 설치되어 중공홀(72c)을 개폐하는 차단수단(73)이 형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차단수단(73)은 분할판(72)의 중공홀(72c) 테두리에 수밀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밀폐부재(73a)가 결합된다.
이러한, 밀폐부재(73a)의 하부면으로 밀착 및 탈착되어 중공홀(72c)을 개폐하는 차단덮개(73b)가 형성된다.
그리고, 차단덮개(73b)가 구동되도록 고,저수위센서(74a,74b)의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되는 방수모터(73c)로 구성된다.
즉, 방수모터(73c)는 간극수의 수위가 고수위센서(74a)에 감지되면 차단덮개(73b)가 중공홀(72c)을 폐쇄하도록 구동되어, 간극수가 집수공간(72b)에 만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다.
반면, 간극수의 수위가 저수위센서(74b)에 감지되면 차단덮개(73b)가 중공홀(72c)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동된다.
더불어, 차단수단(73)의 제어를 위해 집수공간(72b)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간극수의 고/저수위를 감지하는 고/저수위센서(74a,74b)로 이루어진 센서부(74)가 형성된다.
그리고, 센서부(74)의 고/저수위센서(74a,74b)는 차단수단(73)의 방수모 터(73c)에 신호라인으로 연결되며, 집수탱크몸체(71)의 외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20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작동되는 것이다.
한편, 센서부(74)의 고/저수위센서(74a,74b)의 신호를 받아 집수탱크몸체(71) 하부에 간극수를 배수탱크(75a)로 배수를 위해 설치된 배수관(75b)을 개폐하는 배수밸브(75)가 구성된다.
이때, 배수밸브(75)는 간극수의 수위가 고수위센서(74a)에 의해 감지되면 배수관(75b)을 개방시켜 집수공간(72b)에 집수된 간극수를 배수탱크(75a)로 배출시킨다.
반대로, 배수밸브(75)는 간극수의 수위가 저수위센서(74b)에 의해 감지되면 배수관(75b)을 폐쇄시켜 집수공간(72b)에 간극수가 집수 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배수밸브(75)와 방수모터(73c)의 작동은 고/저수위센서(74a,74b)에 연결되어 간극수의 수의 감지에 의해 동시에 구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진공흡입펌프(50)에 의한 부압을 통하여 지반(G)내의 간극수가 플라스틱 드레인보드(10)를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침하를 촉진하는 공정이 시행되게 된다.
아울러, 침하를 촉진하는 공정 후 진공흡입펌프(50) 및 집수탱크(70)를 분리하는 동시에 집수관(30), 집수탱크(70) 및 헤더파이프(40)를 해체하는 공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하 촉진 공정으로 인해 드레인브 드(10)를 통해 지반(G) 내에 존재하던 공기 및 간극수가 혼합된 상태로 헤더파이프(40)을 통해 집수탱크몸체(71)의 분리공간(72a)으로 유입되며 배출유속이 클 경우 차단벽(76)에 부딪힌 후 분할판(72)의 중공홀(72c)을 통해 집수공간(72b)으로 유입된다.
이때, 헤더파이프(40)로부터 분출되는 간극수의 유량이 많거나 유속이 빠를 경우에는 차단벽(76)에 부딪혀 공기배출관(71a)로 간극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아울러, 간극수가 차단벽(76)에 의해 공기배출관(71a)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어 진공흡입펌프(50)의 흡입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 및 효과가 있다.
더불어, 차단벽(76)에 부딪힌 간극수가 깔때기형상의 분할판(72)에 의해 집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할판(72)의 중공홀(72c)의 테두리 주변에 밀폐부재(73a)를 부착시켜 차단덮개(73b)가 밀착되었을 때 수밀성이 유지되어 집수공간(72b)에 존재하는 분할공간(72a)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아울러, 센서부(74)의 고/저수위센서(74a,74b)가 방수모터(73c)로 연결되어 작동됨으로써 집수공간(72b)에 간극수의 수위에 따라 차단덮개(73b)를 이용하여 천공홀(72c)을 개폐하는 동시에 배수밸브(75) 또한 배수관(75b)을 개방시켜 주기적인 시간과 양으로 간극수의 배출 및 배출차단을 할 수 있어 간극수의 집중현상을 방지 할수 있다.
더불어, 집수공간(72b)에 집수된 간극수를 배출하기 위해 배수밸브(75)를 개방시킬 경우에는 차단덮개(73b)가 중공홀(72c)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짐으로 배수관(75b)을 통해 배출되는 간극수가 진공흡입펌프(50)의 흡입시 발생되는 진공압에 영향을 받지 않게되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배수밸브(75)가 개폐되어 집수공간(72b)의 고수위센저(74a)까지의 차오르는 간극수의 량을 측정하면, 배출 및 배출차단 하는 간극수의 양을 파악할 수 있어 정확한 정보수집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석션드레인 공법의 실시개념을 도시한 실시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장치의 개략적인 투영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판 및 차단수단의 개폐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석션드레인 공법의 실시개념을 도시한 실시예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석션드레인 공법의 실시개념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플라스틱 드레인보드 20 : 기밀캡
30 : 집수관 40 : 헤더파이프
50 : 진공흡입펌프 60 : 배수호스
70 : 집수탱크 71 : 집수탱크몸체
71a : 공기배출관 72 : 분할판
72a : 분리고간 72b : 집수공간
72c : 중공홀 73 : 차단수단
73a : 밀폐부재 73b : 차단덮개
73c : 방수모터 74 : 센서부
74a : 고수위센서 74b : 저수위센서
75 : 배수밸브 75a : 배수탱크
75b : 배수관 200 : 전원공급부
G : 지반

Claims (4)

  1. 플라스틱 드레인보드(10)와 기밀캡(20)과 집수관(30) 및 헤더파이프(40)와 진공흡입펌프(50)를 이용하여 지반(G)의 지중에 함유된 다량의 간극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석션드레인 공법에 이용되는 간극수를 집수하는 집수탱크에 있어서,
    상기 집수탱크(70)는 지반(G)내에서 배출되는 공기 및 간극수가 유입되는 헤더파이프(40)가 연결된 반대편으로 진공흡입펌프(50)의 흡입에 의해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관(71a)이 상부측에 결합된 집수탱크몸체(71)와,
    집수탱크몸체(71)의 내측 공간 중앙부 벽면에 설치되어 상부는 분리공간(72a)으로, 하부는 집수공간(72b)으로 분할하되 중앙에 중공홀(72c)이 형성된 분할판(72)과,
    분할판(72)의 중공홀(72c) 하부 주변에 설치되어 중공홀(72c)을 개폐하는 차단수단(73)과,
    차단수단(73)의 제어를 위해 집수공간(72b)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간극수의 고/저수위를 감지하는 고/저수위센서(74a,74b)로 이루어진 센서부(74)와,
    센서부(74)의 고/저수위센서(74a,74b)의 신호를 받아 집수탱크몸체(71) 하부에 간극수를 배수탱크(75a)로 배수를 위해 설치된 배수관(75b)을 개폐하는 배수밸브(75)로 이루어져; 공기와 간극수를 분리하여 별도로 배출,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드레인 공법의 공기와 간극수의 분리배출을 위한 집수탱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공간(72a)에는 헤더파이프(40)와 공기배출관(71a)의 사이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분리공간(72a)을 좌/우로 양분하는 차단벽(76)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져; 간극수가 공기배출관(71a)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드레인 공법의 공기와 간극수의 분리배출을 위한 집수탱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72)은 집수탱크몸체(71)에 결합된 외곽부분을 기준으로 중공홀(72c)측으로 진행할수록 낮아지는 깔때기형상으로 이루어져; 간극수의 집수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드레인 공법의 공기와 간극수의 분리배출을 위한 집수탱크.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73)은 분할판(72)의 중공홀(72c) 테두리에 결합되는 밀폐부재(73a)와,
    밀폐부재(73a)의 하부면으로 밀착 및 탈착되어 중공홀(72c)을 개폐하는 차단덮개(73b)와,
    차단덮개(73b)이 구동되도록 고,저수위센서(74a,74b)의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되는 방수모터(73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드레인 공법의 공기와 간극수의 분리배출을 위한 집수탱크.
KR1020070066711A 2007-07-03 2007-07-03 석션드레인 공법의 공기와 간극수의 분리배출을 위한집수탱크 KR100882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711A KR100882835B1 (ko) 2007-07-03 2007-07-03 석션드레인 공법의 공기와 간극수의 분리배출을 위한집수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711A KR100882835B1 (ko) 2007-07-03 2007-07-03 석션드레인 공법의 공기와 간극수의 분리배출을 위한집수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773A true KR20090003773A (ko) 2009-01-12
KR100882835B1 KR100882835B1 (ko) 2009-02-10

Family

ID=4048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711A KR100882835B1 (ko) 2007-07-03 2007-07-03 석션드레인 공법의 공기와 간극수의 분리배출을 위한집수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8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5420A (zh) * 2015-02-14 2015-06-10 梁永根 一种用于真空预压软基工程的水汽分离装置
KR20160126476A (ko) * 2015-04-23 2016-11-02 대흥테크 주식회사 선박용 유체압 버퍼탱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006B1 (ko) * 2010-01-08 2010-11-22 주식회사 동아지질 개별 진공 압밀 공법용 배수 시스템
CN102220756B (zh) * 2011-04-15 2012-08-29 中港基业(北京)岩土技术有限公司 长短塑料排水板相结合的二次真空预压地基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78933B (en) 1985-04-24 1989-06-28 Waertsilae Oy Ab Improved land drainage system
KR20030062988A (ko) * 2002-01-22 2003-07-28 김수삼 진공배수 기법과 동전기 현상의 복합 기법(진공-동전기배수정화 기법)에 의한 준설 슬러리 및 광미의 정화와탈수처리
KR20030063306A (ko) * 2003-07-09 2003-07-28 장인봉 시간차를 이용한 물탱크 내의 무선 수위조절장치
KR20030094159A (ko) * 2003-11-08 2003-12-11 장성규 순환식 저수탱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5420A (zh) * 2015-02-14 2015-06-10 梁永根 一种用于真空预压软基工程的水汽分离装置
CN104695420B (zh) * 2015-02-14 2016-06-29 梁永根 一种用于真空预压软基工程的水汽分离装置
KR20160126476A (ko) * 2015-04-23 2016-11-02 대흥테크 주식회사 선박용 유체압 버퍼탱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2835B1 (ko) 2009-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835B1 (ko) 석션드레인 공법의 공기와 간극수의 분리배출을 위한집수탱크
CN206360060U (zh) 地漏芯及地漏
JP3171424U (ja) 地下構造の集排水装置
JP4997009B2 (ja) 雨水浸透ます
CN207277485U (zh) 海绵城市排洪系统
KR101675781B1 (ko) 초기 우수 분리장치
JP2003166233A (ja) 真空圧密による地盤改良構造及び工法
CN208167939U (zh) 一种市政排水井盖
KR101626502B1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EP3674493B1 (en) Gulley
CN210507029U (zh) 一种道路排水结构
CN111980041A (zh) 一种降水箱及基坑作业面降水系统
JPH10102573A (ja) 貯留槽を兼ねる浸透桝
CN204212251U (zh) 一种专用于人工湿地的集水检查井
CN208415478U (zh) 一种过滤沉沙井
CN109853591A (zh) 排水抗滑桩及其制作方法
JP2010185194A (ja) 雨水流出抑制施設
CN201817907U (zh) 自动密封式地漏
CN204456321U (zh) 一种渗水排水器
JP4686422B2 (ja) 流下水の一時貯水システム
CN208088480U (zh) 海绵城市排水口结构
KR20100125168A (ko) 오물수거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CN206090799U (zh) 一种市政雨水蓄水系统
CN216586495U (zh) 排水抗滑桩
KR100556820B1 (ko) 양압력 감쇄처리용 챔버 및 그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