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524U - 포장 박스 - Google Patents

포장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524U
KR20090003524U KR2020070016536U KR20070016536U KR20090003524U KR 20090003524 U KR20090003524 U KR 20090003524U KR 2020070016536 U KR2020070016536 U KR 2020070016536U KR 20070016536 U KR20070016536 U KR 20070016536U KR 20090003524 U KR20090003524 U KR 200900035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surface forming
protrusion
packaging box
form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흥신
Original Assignee
조흥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흥신 filed Critical 조흥신
Priority to KR2020070016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524U/ko
Publication of KR200900035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5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held erect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sides being doubled-over to enclose extensions of adjacent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entral panel having a non rectangular shape
    • B65D5/203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entral panel having a non rectangular shape polygonal having more than four sides, e.g. hexagonal, octog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는, 물품을 수납하는 포장 박스에 있어서, 상기 포장 박스의 개방면과 대향되어 상면판 또는 하면판을 형성하는 제 1 면형성부, 상기 제 1 면형성부에 일체로 연장되고 복수개의 측면판으로 구획되어 상기 포장 박스의 다각형 측면을 형성하는 제 2 면형성부, 및 상기 포장 박스의 조립시 상기 제 2 면형성부를 형성하는 다수 측면판의 개방측 단부를 서로 결착하는 제 1 결착수단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포장 박수의 조립시 다수 측면판의 개방측 단부 및 내측 하단부를 서로 견고하게 끼워 결착함으로써, 포장 박수의 다각형 측면부의 파손을 방지하며, 포장 박수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포장, 박스, 다각형, 돌기, 홈

Description

포장 박스{Packing box}
본 고안은 포장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일 등과 같은 물품을 수납하는 포장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 등과 같은 물품을 수납하는 포장 박스는 상기 포장 박스의 상면판 또는 하면판의 각 모서리부에 복수개의 측면판이 일체로 연장되고,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측면판들이 내측으로 절첩되어 조립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장 박스는 상기 포장 박스의 조립시 다수의 측면판 간에 양단부를 단순히 서로 겹쳐 지지하므로 상기 포장 박스의 다수 측면판은 서로 견고하게 결착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포장 박스의 측면부의 파손이 발생하여 포장 박스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육각형, 팔각형 측면 등의 다각형 포장 박스가 개발됨으로써, 상기 포장 박스의 다각형 측면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다각형 포장 박스에 있어서, 상기 포장 박수의 조립시 다수 측면판을 서로 견고하게 결착함으로써, 포장 박수의 다각형 측면부의 파손을 방지하며, 포장 박수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포장 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는, 물품을 수납하는 포장 박스에 있어서, 상기 포장 박스의 개방면과 대향되어 상면판 또는 하면판을 형성하는 제 1 면형성부, 상기 제 1 면형성부에 일체로 연장되고 복수개의 측면판으로 구획되어 상기 포장 박스의 다각형 측면을 형성하는 제 2 면형성부, 및 상기 포장 박스의 조립시 상기 제 2 면형성부를 형성하는 다수 측면판의 개방측 단부를 서로 결착하는 제 1 결착수단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포장 박스에 의하면, 포장 박수의 조립시 다수 측면판의 개방측 단부 및 내측 하단부를 서로 견고하게 끼워 결착함으로써, 포장 박수의 다각형 측면부의 파손을 방지하며, 포장 박수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의 사시도 및 전개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는 제 1 면형성부(10), 제 2 면형성부(20), 제 1 결착수단(30) 및 제 2 결착수단(40)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면형성부(10)는 포장 박스의 개방면과 대향되어 상면판 또는 하면판을 형성한다. 여기서, 통상의 포장 박스는 상면판(덮개판)과 하면판(바닥판)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면판(덮개판)과 하면판(바닥판)이 서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의 편의상 도 1 및 2에는 포장 박스의 하면판(11)에 해당하는 제 1 면형성부(10)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면형성부(20)는 제 1 면형성부(10)의 각 모서리에 일체로 연장되고, 복수개의 측면판(21, 22, 23, 24)으로 구획되어 상기 포장 박스의 다각형 측면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면형성부(20)는 팔각형 측면을 가지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육각형 이상의 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면형성부(20)의 다수 측면판(21, 22, 23, 24)은 개방측 단부를 제 1 면형성부(10)의 각 모서리와 나란하게 절첩하는 절첩부(21a, 22a, 23a, 24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결착수단(30)은 상기 포장 박스의 조립시 제 2 면형성부(20)를 형성하는 다수 측면판(21, 22, 23, 24)의 개방측 단부를 서로 결착한다. 즉, 제 1 결착수단(30)은 제 2 면형성부(20)의 다수 측면판(21, 22, 23, 24)을 상하방향으로 서로 결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결착수단(30)은 제 1 결착홈부(31) 및 제 1 결착돌기부(3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결착홈부(31)는 제 2 면형성부(20)의 일측면판(도 1 및 2의 도면부호 21 또는 22)의 개방측 단부를 내측으로 절첩하는 절첩부에 적어도 하나 형성 된다. 예를 들면, 제 1 결착홈부(31)는 제 2 면형성부(20)의 다수 측면판(21, 22, 23, 24) 중 장축 측면판(21, 22)의 절첩부(21a, 22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착돌기부(32)는 제 1 결착홈부(31)에 상하방향으로 끼워져 결착되도록 제 2 면형성부(20)의 일측면판과 이웃하는 타측면판(도 1 및 2의 도면부호 23 또는 24)의 개방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 1 결착돌기부(32)는 제 2 면형성부(20)의 다수 측면판 중 단축 측면판(23, 2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착돌기부(32)는 대략 사각형 돌기의 형상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결착돌기부(32)는 사각형 돌기(32a)의 형상을 가지며, 돌기의 상단 좌측 또는 우측에 이탈방지턱(32a')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결착돌기부(32)는 'ㄱ'자형 돌기(32b) 또는 'ㄷ'자형 돌기(32c)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 없지만, 제 1 결착돌기부(32)는 돌기의 개방측이 동일한 방향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착돌기부(32)는 제 2 면형성부(20)의 타측면판에 측면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연장되며, 상기 포장 박스`의 조립시 제 2 면형성부(10)의 일측면판에 삽입되는 플랩부(flap part)(23b, 24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착홈부(31) 및 제 1 결착돌기부(32)는 서로 대응되게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착수단(40)은 상기 포장 박스의 조립시 제 2 면형성부(20)를 형성하는 다수 측면판(21, 22, 23, 24)의 측면부를 서로 결착한다. 즉, 제 2 결착수 단(40)은 제 2 면형성부(20)의 다수 측면판(21, 22, 23, 24)을 측면방향으로 서로 결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결착수단(40)은 제 2 결착돌기부(41) 및 제 2 결착홈부(4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결착돌기부(41)는 제 2 면형성부(20)의 일측면판의 양측단에 돌출 형성된다. 제 2 결착돌기부(41)는 제 2 면형성부(20)의 다수 측면판(21, 22, 23, 24) 중 장축 측면판(21, 22)의 양측단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결착홈부(42)는 제 2 면형성부(20)의 일측면판과 이웃하는 타측면판에 형성되어 제 2 결착돌기부(41)가 측면방향으로 끼워져 결착된다. 제 2 결착홈부(42)는 제 2 면형성부(20)의 다수 측면판(21, 22, 23, 24) 중 단축 측면판(23, 24)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는 과일 등의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포장 박스로서, 상기 포장 박스의 상면판 또는 하면판을 형성하는 제 1 면형성부(10)에 제 2 면형성부(20)가 일체로 연장되고, 제 2 면형성부(20)는 복수개의 측면판(21, 22, 23, 24)으로 구획되어 상기 포장 박스의 다각형 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포장 박스는 포장 박스의 조립시 제 2 면형성부(20)를 형성하는 다수 측면판(21, 22, 23, 24)의 개방측 단부가 제 1 결착수단(30)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결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 박수의 조립시 제 2 면형성부(20)의 일측면판(도 1 및 2의 도면부호 21 또는 22)의 개방측 단부의 절첩부(21a, 22a)에 형성되는 제 1 결착홈부(31)에 제 2 면형성부(20)의 일측면판과 이웃하는 타측면판(도 1 및 2의 도면부호 23 또는 24)의 개방측 단부의 제 1 결착돌기부(32)가 상하방향으로 끼워져 결착된다.
또한, 상기 포장 박스는 포장 박스의 조립시 제 2 면형성부(20)를 형성하는 다수 측면판(21, 22, 23, 24)의 측면부가 제 2 결착수단(40)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결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 박수의 조립시 제 2 면형성부(20)의 일측면판의 양측단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결착돌기부(41)가 제 2 면형성부(20)의 일측면판과 이웃하는 타측면판의 제 2 결착홈부(42)에 측면방향으로 끼워져 결착된다.
즉, 본 고안의 포장 박스는 상기 포장 박스를 다각형 측면판으로 형성하고, 포장 박수의 조립시 다수 측면판의 개방측 단부 및 내측 하단부를 서로 견고하게 끼워 결착함으로써, 포장 박수의 측면부 파손을 방지하며, 포장 박수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 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의 전개도.
도 3 및 4는 본 고안의 제 1 결착돌기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면형성부 20 : 제 2 면형성부
21, 22, 23, 24 : 측면판 21a, 22a, 23a, 24a : 절첩부
23b, 24b : 플랩부 30 : 제 1 결착수단
31 : 제 1 결착홈부 32 : 제 1 결착돌기부
40 : 제 2 결착수단 41 : 제 2 결착돌기부
42 : 제 2 결착홈부

Claims (14)

  1. 물품을 수납하는 포장 박스에 있어서,
    상기 포장 박스의 개방면과 대향되어 상면판 또는 하면판을 형성하는 제 1 면형성부;
    상기 제 1 면형성부에 일체로 연장되고, 복수개의 측면판으로 구획되어 상기 포장 박스의 다각형 측면을 형성하는 제 2 면형성부; 및
    상기 포장 박스의 조립시 상기 제 2 면형성부를 형성하는 다수 측면판의 개방측 단부를 서로 결착하는 제 1 결착수단을 포함하는 포장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면형성부는 육각형 이상의 측면을 형성하는 포장 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착수단은,
    상기 제 2 면형성부의 일측면판의 개방측 단부를 절첩하는 절첩부에 형성되는 제 1 결착홈부; 및
    상기 제 2 면형성부의 일측면판과 이웃하는 타측면판의 개방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결착홈부에 상하방향으로 끼워져 결착되는 제 1 결착돌기부를 포함하는 포장 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착홈부는 상기 제 2 면형성부의 다수 측면판 중 장축 측면판에 형성되는 포장 박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착돌기부는 상기 제 2 면형성부의 다수 측면판 중 단축 측면판에 형성되는 포장 박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착홈부 및 제 1 결착돌기부는 서로 대응되게 복수개 구비되는 포장 박스.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착돌기부는 사각형 돌기의 형상을 갖는 포장 박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착돌기부는 상기 사각형 돌기의 상단 좌측 또는 우측에 이탈방지턱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포장 박스.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착돌기부는 'ㄱ'자형 또는 'ㄷ'자형 돌기의 형상을 갖는 포장 박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착돌기부는 돌기의 개방측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포장 박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착돌기부는 돌기의 개방측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포장 박스.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착돌기부는 상기 제 2 면형성부의 타측면판에 측면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연장되며, 상기 포장 박스의 조립시 상기 제 2 면형성부의 일측면판에 삽입되는 플랩부(flap)에 형성되는 포장 박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박스의 조립시 상기 다수 측면판의 측면부를 서로 결착하는 제 2 결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포장 박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착수단은,
    상기 제 2 면형성부의 일측면판의 양측단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결착돌기부; 및
    상기 제 2 면형성부의 일측면판과 이웃하는 타측면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결착돌기부가 측면방향으로 끼워져 결착되는 제 2 결착홈부를 포함하는 포장 박스.
KR2020070016536U 2007-10-11 2007-10-11 포장 박스 KR200900035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536U KR20090003524U (ko) 2007-10-11 2007-10-11 포장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536U KR20090003524U (ko) 2007-10-11 2007-10-11 포장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524U true KR20090003524U (ko) 2009-04-15

Family

ID=4128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536U KR20090003524U (ko) 2007-10-11 2007-10-11 포장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52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703Y1 (ko) 포장상자
US20080067105A1 (en) Packaging
KR20160001058A (ko) 운반용 조립 박스
JP6135423B2 (ja) トレイ型の包装箱
JP2010132334A (ja) 組立式梱包箱
KR101211934B1 (ko)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JP2011011749A (ja) 包装用緩衝材
KR20110011641U (ko) 하면에 개구홀이 형성된 조명기기용 수납박스
KR20150049610A (ko) 포장박스용 조립 앵글
KR20090003524U (ko) 포장 박스
JP6127741B2 (ja) トレイ状の宙吊り包装箱
JP5935608B2 (ja) 積み重ね可能なキャリーカートン
JP7176452B2 (ja) 包装箱
JP5757447B2 (ja) 照明器具用包装部材
KR20110130879A (ko) 적층형 포장 상자
JP2015067294A (ja) 梱包体の緩衝構造
KR20110006274U (ko) 무접착 단상자
KR20110006276U (ko) 무접착 단상자
JP3182614U (ja) 組合せ式収納箪笥
JP2020029271A (ja) 容器
KR200406280Y1 (ko) 포장박스
KR101414244B1 (ko) 포장용 박스
JP3172191U (ja) パック収納用トレー
KR101702550B1 (ko) 포장박스
KR200448248Y1 (ko) 대형 디스플레이 판넬의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