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641U - 하면에 개구홀이 형성된 조명기기용 수납박스 - Google Patents
하면에 개구홀이 형성된 조명기기용 수납박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11641U KR20110011641U KR2020100006108U KR20100006108U KR20110011641U KR 20110011641 U KR20110011641 U KR 20110011641U KR 2020100006108 U KR2020100006108 U KR 2020100006108U KR 20100006108 U KR20100006108 U KR 20100006108U KR 20110011641 U KR20110011641 U KR 2011001164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ension
- storage box
- lighting device
- pair
- extension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ampoules; for lamp bulbs; for electronic valves or tub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02—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하면에 개구홀이 형성된 조명기기용 수납박스는, 소켓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기가 수납되는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에 있어서, 측벽을 형성하는 네 개의 면에 의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제1면의 하단 및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개구된 상기 몸체부 하면의 일부를 덮도록 접히는 한 쌍의 제1바닥면 및 상기 제1바닥면 끝단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접히면서 상기 수납공간 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1연장면을 포함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면과 인접한 제3면의 하단 및 제4면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개구된 상기 몸체부 하면의 일부를 덮도록 접히는 한 쌍의 제2바닥면 및 상기 제2바닥면 끝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접히면서 상기 수납공간 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2연장면을 포함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1연장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연장면의 사이에는 조명기기의 연결부가 삽입되는 개구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명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부재를 구비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로 수납공간 내에 위치되는 지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하면에 조명기기의 연결부가 삽입되는 개구홀이 형성되는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이, 또는 유연성을 가진 합성수지 등의 접을 수 있는 재료로 제작되는 수납박스는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개인이 물체의 수납을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특정 상품을 생산하는 경우 상품의 포장 및 운송을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수납박스는 일반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수납되는 물체의 종류에 따라 내부 구조도 달라질 수 있다. 그 중 하나의 형태로, 충격에 약한 물체를 수납할 경우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구조가 형성된다.
특히, 조명기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충격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충격흡수 구조가 형성된 수납박스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납공간 내의 구조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종래에는 수납박스를 제작하고, 내부 충격 흡수 구조 형성을 위한 재료를 따로 제작하여 최종적으로 수납박스 내에 넣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수납박스는 생산단계에서 복수 회에 걸친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소요시간 및 생산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재료로 수납박스가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하는 데 있어 번거로움이 있고, 운송하는 데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납 박스에 따라서 내부 구조를 형성한 재료가 수납박스 본체와 접착되지 않고 단순히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납공간 내에서 구조를 형성한 재료가 고정되지 않아 흔들림이 발생한다. 따라서 물체를 수납할 시에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기의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개구홀이 형성된 조명기기용 수납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하나의 재료로 수납박스 본체 및 수납박스 내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조명기기용 수납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전체적인 제작 과정을 단순화시킨 조명기기용 수납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면에 개구홀이 형성된 조명기기용 수납박스는, 소켓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기가 수납되는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에 있어서, 측벽을 형성하는 네 개의 면에 의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제1면의 하단 및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개구된 상기 몸체부 하면의 일부를 덮도록 접히는 한 쌍의 제1바닥면 및 상기 제1바닥면 끝단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접히면서 상기 수납공간 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1연장면을 포함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면과 인접한 제3면의 하단 및 제4면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개구된 상기 몸체부 하면의 일부를 덮도록 접히는 한 쌍의 제2바닥면 및 상기 제2바닥면 끝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접히면서 상기 수납공간 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2연장면을 포함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1연장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연장면의 사이에는 조명기기의 연결부가 삽입되는 개구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면 및 상기 제1바닥면에는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절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면은 상기 제1연장면에 형성된 절개선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절개선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면에 형성된 절개선은 상기 제1연장면을 분할하도록 상기 제1연장면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면의 길이는 상기 제1연장면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면 및 상기 제1바닥면에는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절개선이 상기 제1지지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연장면의 일부까지만 형성되며, 상기 제2연장면의 길이는 상기 제1연장면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면에는 한 쌍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연장면이 상기 절개선에 삽입되며, 상기 제1연장면 중 절개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바닥면에는 절개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장면은, 상기 한 쌍의 제1연장면이 서로 이격된 거리와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1연장면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면 및 상기 절개선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면의 길이는 상기 제1연장면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면에는 상기 절개선과 연결된 결합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지지면 및 상기 삽입면이 상호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결합홈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선은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삽입면이 상기 제2바닥면으로부터 절곡되는 부분의 바깥쪽에는 일정 길이만큼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이 상기 제1바닥면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면 또는 상기 제2연장면의 끝단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물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물체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면에 개구홀이 형성된 조명기기용 수납박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면에 형성된 개구홀에 조명기기의 연결부가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에 의해 상기 조명기기를 지지함으로써, 충격으로부터 상기 조명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하나의 부재만으로 수납박스 본체 및 수납박스의 내부 구조가 형성되므로, 생산과정이 단순화되고, 따라서 생산단가 및 생산소요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수납박스의 내부 구조는 수납박스의 하면과 연결되므로, 내부 구조에 걸리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분산시켜 충격을 더 잘 흡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하나의 재료만으로 수납박스 본체 및 수납박스의 내부 구조가 형성되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운반이 번거롭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전체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하면을 접는 첫 번째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하면을 접는 두 번째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하면을 접는 세 번째 과정을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하면을 접는 네 번째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에 조명기기가 수납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에 조명기기가 수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에 또 다른 조명기기가 수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전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전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전개도; 및
도 13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하면을 접는 첫 번째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하면을 접는 두 번째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하면을 접는 세 번째 과정을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하면을 접는 네 번째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에 조명기기가 수납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에 조명기기가 수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에 또 다른 조명기기가 수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전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전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전개도; 및
도 13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전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기는, 발광부 및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조명모듈은 조명기기가 소켓에 끼워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이와 같은 조명모듈의 소켓에 끼워질 수 있도록 조명기기의 일단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조명기기의 발광부는 충격에 약한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되므로, 수납박스에 조명기기를 수납할 때는 상기 발광부를 충격에서 보호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의 조명기기용 수납박스는, 이와 같이 소켓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기가 파손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수납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이하 본 고안의 조명기기용 수납박스 전반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개시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의 전체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1)의 전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는, 하면에 개구홀(H)이 형성되며, 상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내부에 수납공간(S)이 형성된다.
몸체부(10)는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의 측벽을 형성하며, 내부에 수납공간(S)를 형성하기 위해 네 개의 면을 가질 수 있다. 이 몸체부(10)를 구성하는 면에 의해 수납공간(S)은 측면이 차폐되고, 상면 및 하면이 개구된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10)는 네 개의 면을 가지며, 횡방향 단면이 정사각형에 가까운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수납박스(1)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수납박스로서 가장 일반적이며 효율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를 전개한 상태로부터 접어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 완성품을 제작하는 경우에, 몸체부(10) 일측 및 타측을 서로 부착시키기 위해 몸체부의 일측에는 접착면(15)이 더 형성된다. 이 접착면(15)을 몸체부(10) 타측에 접착시켜 몸체부(10)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제1지지부(20)는 상기 몸체부(10)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바닥면(21) 및 제1바닥면(21) 끝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연장면(22)을 포함한다.
제1바닥면(21)은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부(10)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몸체부(10)에서 제1바닥면(21)이 연장 시작되는 지점이 접혀 개구된 몸체부(10) 하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바닥면(21)은, 몸체부(10)에 형성된 네 개의 면 중 임의로 선택된 제1면(11)의 하단 및 제1면(11)과 마주보는 제2면(12)의 하단에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이처럼, 제1바닥면(21)은 마주보는 위치에서 각각 형성되고, 각 제1바닥면(21)은 개구된 몸체부(10) 하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즉, 한 쌍의 제1바닥면(21)은 몸체부(10) 하면을 완전히 덮지 않으며, 한 쌍의 제1바닥면(21) 사이에 위치되는 몸체부(10) 하면의 일정 면적은 개구된 상태로 남게 되는 것이다.
제1연장면(22)은 제1바닥면(21)의 끝단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며, 제1바닥면(21)에서 제1연장면(22)이 연장 시작되는 지점이 접혀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 내부의 수납공간(S)에 위치된다. 즉, 상기 제1연장면(22)은 수납공간(S)에 상향되도록 위치되어, 끝단에 조명기기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연장면(22)이 연장된 길이는 수납공간(S)에 수납되는 조명기기의 발광부의 높이 및 연결부의 높이 등에 따라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장면(22)은, 한 쌍의 제1바닥면(21)의 끝단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접혀 수납공간(S) 내로 상향되도록 위치된다. 즉 한 쌍의 제1연장면(22)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대향된 상태로 소정 높이 상향되어 수납공간(S) 내에 돌출된다.
한편, 제1지지부(20)에는 절개선(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할 제2연장면(32)이 삽입되는 관통홀을 형성한다. 절개선(23)은 제1바닥면(21)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바닥면(21) 및 제1연장면(22) 전체에 걸쳐 연결되도록 형성되거나, 제1바닥면(21) 및 제1연장면(22)의 일부까지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절개선(23)의 폭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선(23)의 폭은 후술할 제2연장면(32)의 두께에 정확히 대응되는 넓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혹은 제2연장면(3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제2연장면(32)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절개선(23)은, 제1바닥면(21)에만 형성되며, 특히 제1면(11) 및 제2면(12)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형성된다. 결국, 절개선(23)은 제1면(11) 및 제2면(12)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시작되어, 제1바닥면(21) 끝, 즉 제1연장면(22)이 연장 시작되는 지점까지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제1연장면(22)에는 결합홈(24)이 형성된다. 결합홈(24)은 이후 절개선(23)에 삽입된 제2연장면(32)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제1연장면(22) 상에 절개선(23)에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며, 제2연장면(32)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결합홈(24)의 길이에 따라 제2연장면(32)의 길이 및 형태 등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지지부(30)는 상기 몸체부(10)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바닥면(31) 및 제2바닥면(31) 끝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연장면(32)을 포함한다.
제2바닥면(31)은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부(10)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몸체부(10)에서 제2바닥면(31)이 연장 시작되는 지점이 접혀 개구된 몸체부(10) 하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즉, 이미 접힌 제1바닥면(21) 외측을 덮도록 접힘으로써 이중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바닥면(31)은, 몸체부(10)에 형성된 네 개의 면 중 제1면(11)에 인접한 제3면(13)의 하단 및 제3면(13)과 마주보는 제4면(14)의 하단에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2바닥면(31)의 길이는 제1바닥면(21)에 형성된 절개선(23)까지 연장되어, 끝단이 절개선(23)에 위치되며, 이는 이후 제2연장면(32)이 접혀 절개선(23)에 삽입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제2연장면(32)은 제2바닥면(31)의 끝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2바닥면(31)에서 제2연장면(32)이 연장 시작되는 지점이 접혀 절개선(23)에 삽입되어 수납박스(1) 내부의 수납공간(S)에 위치된다.
이때 제1연장면(22)이 이미 수납공간(S)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제2연장면(32)은 제1연장면(22)과 교차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연장면(22)에는 절개선(23) 또는 결합홈(24)이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2연장면(32)은 제1연장면(22)에 형성된 절개선(23)의 길이에 따라 높이 및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선(23) 또는 결합홈(24)이 제1연장면(22) 전체에 걸쳐 형성될 경우에는 제1연장면(22)은 절개선(23) 또는 결합홈(24)을 따라 완전히 분리되며, 따라서 제2연장면(32)은 높이의 제한을 받지 않게 되어 임의의 높이로 형성이 가능하다.
하지만, 절개선(23) 또는 결합홈(24)이 제1연장면(22)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연장면(32)의 높이가 제1연장면(22)에 형성된 절개선(23) 또는 결합홈(24)의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연장면(32)에는 삽입홈(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1연장면(22)이 제2연장면(32)에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제2연장면(32)의 높이는 제1연장면(22)에 형성된 절개선(23) 또는 결합홈(24)의 길이에 무관하게 정해질 수 있다.
즉, 제2연장면(32)이 절개선(23) 또는 결합홈(2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경우, 제2연장면(32) 절개선(23) 또는 결합홈(24)에 끼워질 때 초과되는 나머지 길이는 삽입홈(33)이 제1연장면(22)에 끼워져 서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절개선(23) 또는 결합홈(24)을 제1연장면(22)의 총 길이보다 짧게 하면서도 제2연장면(32)의 길이를 제1연장면(22)과 같도록, 혹은 길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한 쌍의 제2연장면(32)은 각각 제1연장면(22)의 이격된 절개선(23)에 삽입되므로, 한 쌍의 제2연장면(32)은 서로 각 절개선(23)이 이격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수납공간(S)에 노출된다.
결국, 한 쌍의 제1연장면(22)이 서로 이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2연장면(32) 역시 서로 이격되며, 따라서 이들 사이에는 사각형 형상의 개구홀(H)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후 수납될 조명기기의 돌출된 연결부는 개구홀(H)에 삽입되며, 제1연장면(22) 및 제2연장면(32)의 끝단은 조명기기를 지지하게 된다. 이로써 본 고안의 조명기기용 수납박스는 수납되는 조명기기를 안전하게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연장면(32)은 제1연장면(22)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지지면(34) 및 한 쌍의 삽입면(35)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면(34)은 이미 접혀 수납공간(S) 내에 위치된 한 쌍의 제1연장면(22) 사이에 위치되며, 삽입면(35)은 지지면(34) 양측에 위치되어 제1바닥면(21)에 삽입된다. 즉, 제2연장면(32)은 전체적으로 삽입면(35)에 의해 고정되며, 지지면(34)은 수납공간(S)내에 제1연장면(22)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제1연장면(22)과 함께 수납될 조명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결국, 제2연장면(32)은 수납될 조명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면(34) 및 제2연장면(32)이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삽입면(35)으로 분리되며, 지지면(34) 및 삽입면(35)의 사이는 삽입홈(33)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면(34)은 제1연장면(22)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지지면(34) 및 삽입면(35) 사이에는 제2연장면(32)이 연장 시작되는 부분 근처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분(36)이 형성되며, 제1연장면(22)에는 결합홈(24)이 형성된다. 즉, 연결부분(36)은 제2연장면(32)이 절개선(23)에 끼워진 후 접혀 결합홈(24)에 끼워져 서로 빠지지 않도록 단단한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삽입면(35)이 제2바닥면(31)으로부터 절곡되는 부분의 바깥쪽에는 고정홈(37)이 형성된다. 고정홈(37)은 삽입면(35)이 절개선(23)에 끼워질 경우, 제1바닥면(21)에 걸리도록 끼워져 제2지지부(30)가 제1지지부(2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더 단단히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연장면(22) 및 제2연장면(32)의 끝단은 수납공간(S)에 수납되는 물체의 하부 모양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되는 조명기기가 접촉되는 부분의 모양이 복잡하거나 불규칙적일 경우에, 상기 물체의 하부 모양에 맞추어 제1연장면(22) 및 제2연장면(32)의 끝단이 형성된다면 더욱 안정적인 수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커버부(40)는 몸체부(10)의 개구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부(40)는 일단이 몸체부(10)에 연결되며, 타단에는 커버부(40)가 몸체부(10)의 상면을 차폐할 경우 몸체부(10)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고정면(41)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부(42)가 몸체부(10)에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전개도를 접어 모양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 하면을 접는 첫 번째 과정으로부터 네 번째 과정까지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특히 도 5의 경우, 직관적인 이해를 위해 도 3, 도 4 및 도 6과는 다르게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를 상면에서 바라보도록 도시하였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는 하면이 개구된 상태이며, 몸체부(10) 하단에는 한 쌍의 제1지지부(20) 및 한 쌍의 제2지지부(30)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연장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제1바닥면(21)이 접혀 몸체부(10) 하면의 일부를 덮도록 접히며, 제1연장면(22)은 제1바닥면(21)에서 더 접혀 몸체부(10) 내의 수납공간(S)으로 노출된다.
도 5에서는, 한 쌍의 제2바닥면(31)이 접혀 제1바닥면(21) 외측을 덮게 되는 과정이 도시되며, 또한 제2연장면(32)은 제2바닥면(31)에서 더 접혀 제1바닥면(21) 상에 형성된 절개선(23)을 통해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제1연장면(22) 및 제2연장면(32)은 상기한 결합홈(24) 및 고정홈(37)에 의해 서로 단단히 고정된다.
도 6은 상기 과정을 거쳐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가 접힌 하면의 최종 모습이다. 제1지지부(20) 및 제2지지부(30)가 접혀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는 한 장의 재료로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간편하고 빠르게 접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의 재질은 종이 또는 얇은 합성수지 등 폴딩이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에 조명기기(50)가 수납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에 조명기기(50)가 수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에 수납되는 조명기기(50)는 전구 형태로 발광부(51) 및 연결부(52)를 포함하며, 조명기기(50)의 연결부(52)가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의 개구홀(H)에 삽입되도록 수납된다. 그리고 도8을 참조하면, 조명기기(50)의 발광부(51)는 제1연장면(22) 및 제2연장면(3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조명기기(50)가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에 수납되면서, 제1연장면(22) 및 제2연장면(32)은 조명기기(50)의 발광부(51) 및 연결부(52)를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결국, 본 고안의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는 조명기기(50)의 이동 또는 보관 시 연결부(52)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파손되거나, 발광부(50) 자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에 또 다른 조명기기가 수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에 수납되는 또 다른 조명기기(60)는 LED램프 형태로서, 역시 발광부(61) 및 연결부(62)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발광부(61)는 제1연장면(22) 및 제2연장면(32)의 끝단에 의해 지지되며, 연결부(62)는 개구홀(H)에 삽입되어 안전하게 보호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는 일반적으로 제조되는 조명기기를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지지부(20) 및 제2지지부(30) 모양의 변형에 의해 다른 모습으로 구체화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을 차례대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00)의 전개도이다.
도 10 및 이하 설명할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실시예로서 구현되는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00)는, 상기한 제1실시예의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와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즉,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00)의 몸체부(110)은 네 개의 측벽을 형성하는 면을 가지며, 몸체부(110)의 하단에서 제1지지부(120) 및 제2지지부(130)가 연장된다. 그리고 제1지지부(120)는 제1바닥면(121) 및 제1연장면(122)을 포함하며, 제2지지부(130)는 제2바닥면(131) 및 제2연장면(132)을 포함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절개선(123)은 제1바닥면(121)이 연장 시작되는 부분에서부터 제1연장면(122)의 일부까지 걸쳐 형성된다. 그리고, 제2연장면(132)의 길이는 제1연장면(122)에 형성된 절개선(123)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00)를 접어 모양을 완성시킬 경우, 제2연장면(132)은 절개선(123)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제2연장면(132)의 높이는 제1연장면(122)에 비해 더 낮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100)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다소 구성의 차이가 있으나, 하면에 개구홀에 조명기기의 연결부가 삽입되며, 조명기기를 안전하게 수납하기 위한 목적에는 변함이 없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200)의 전개도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200) 역시, 제1지지부(220) 및 제2지지부(23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 외에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개선(223)이 제1지지부(220)의 전체 연장 길이에 걸쳐 형성되며, 그 결과 제1바닥면(221) 및 제1연장면(222)은 절개선(223)에 의해 횡 방향으로 분할된다. 또한, 제2연장면(232)은 제1연장면(222)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3실시예는 절개선(223)이 제1지지부(220)의 전체 연장 길이에 걸쳐 형성되므로, 제2연장면(232)의 길이가 절개선(223)의 높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300)의 전개도이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300)는, 절개선(323)이 제1바닥면(321)이 연장 시작되는 부분에서부터 제1연장면(322)의 일부에까지 걸쳐 형성된다. 그리고, 제2연장면(332)의 길이는 제1연장면(322)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2연장면(332)의 중간 지점에서부터 끝단까지는 삽입홈(333)이 형성된다.
즉, 조명기기용 수납박스(300)를 접어 모양을 완성시킬 경우, 제2연장면(332)은 절개선(323)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이때 절개선(323)을 초과하는 높이 부분은 삽입홈(333)이 제1연장면(322)에 끼워짐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조명기기용 수납박스(300)가 완성된 후에는 제1연장면(322) 및 제2연장면(332)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되며, 단단한 결합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400)의 전개도이다.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400)는, 절개선(423)이 제1바닥면(421)에만 형성되며, 제2연장면(432)의 길이는 제1연장면(422)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연장면(432)에는 제2연장면(432)의 연장 길이 전체에 걸쳐 삽입홈(433)이 형성된다. 즉, 제2연장면(432)은 삽입홈(433)에 의해 횡 방향으로 분할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조명기기용 수납박스(400)를 접어 모양을 완성시킬 경우, 제2연장면(432)의 분할된 양측은 절개선(423)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중심 부분은 한 쌍의 제1연장면(422)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결합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의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본 고안의 조명기기용 수납박스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의 형상 또는 절개선 및 삽입홈의 길이, 형성 여부에 의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조명기기용 수납박스
S: 수납공간
H: 개구홀
10: 몸체부
20: 제1지지부
21: 제1바닥면
22: 제1연장면
23: 절개선
24: 결합홈
30: 제2지지부
31: 제2바닥면
32: 제2연장면
33: 삽입홈
34: 지지면
35: 삽입면
36: 연결부분
37: 고정홈
S: 수납공간
H: 개구홀
10: 몸체부
20: 제1지지부
21: 제1바닥면
22: 제1연장면
23: 절개선
24: 결합홈
30: 제2지지부
31: 제2바닥면
32: 제2연장면
33: 삽입홈
34: 지지면
35: 삽입면
36: 연결부분
37: 고정홈
Claims (9)
- 소켓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기가 수납되는 조명기기용 수납박스에 있어서,
측벽을 형성하는 네 개의 면에 의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제1면의 하단 및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개구된 상기 몸체부 하면의 일부를 덮도록 접히는 한 쌍의 제1바닥면 및 상기 제1바닥면 끝단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접히면서 상기 수납공간 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1연장면을 포함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면과 인접한 제3면의 하단 및 제4면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개구된 상기 몸체부 하면의 일부를 덮도록 접히는 한 쌍의 제2바닥면 및 상기 제2바닥면 끝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접히면서 상기 수납공간 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2연장면을 포함하는 제2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1연장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연장면의 사이에는 조명기기의 연결부가 삽입되는 개구홀이 형성되는 조명기기용 수납박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면 및 상기 제1바닥면에는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절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면은 상기 제1연장면에 형성된 절개선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절개선에 삽입되는 조명기기용 수납박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면에 형성된 절개선은 상기 제1연장면을 분할하도록 상기 제1연장면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면의 길이는 상기 제1연장면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조명기기용 수납박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면 및 상기 제1바닥면에는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절개선이 상기 제1지지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연장면의 일부까지만 형성되며,
상기 제2연장면의 길이는 상기 제1연장면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면에는 한 쌍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연장면이 상기 절개선에 삽입되며, 상기 제1연장면 중 절개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조명기기용 수납박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면에는 절개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장면은,
상기 한 쌍의 제1연장면이 서로 이격된 거리와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1연장면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면 및 상기 절개선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면을 포함하는 조명기기용 수납박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의 길이는 상기 제1연장면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조명기기용 수납박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면에는 상기 절개선과 연결된 결합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지지면 및 상기 삽입면이 상호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조명기기용 수납박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삽입면이 상기 제2바닥면으로부터 절곡되는 부분의 바깥쪽에는 일정 길이만큼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이 상기 제1바닥면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조명기기용 수납박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면 또는 상기 제2연장면의 끝단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물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물체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납박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6108U KR20110011641U (ko) | 2010-06-10 | 2010-06-10 | 하면에 개구홀이 형성된 조명기기용 수납박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6108U KR20110011641U (ko) | 2010-06-10 | 2010-06-10 | 하면에 개구홀이 형성된 조명기기용 수납박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1641U true KR20110011641U (ko) | 2011-12-16 |
Family
ID=4556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6108U KR20110011641U (ko) | 2010-06-10 | 2010-06-10 | 하면에 개구홀이 형성된 조명기기용 수납박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11641U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031957A (zh) * | 2017-04-28 | 2017-08-11 | 广东顶固集创家居股份有限公司 | 包装盒 |
CN108001782A (zh) * | 2017-12-20 | 2018-05-08 | 汤克辉 | 一种开启方便的包装箱 |
CN113002916A (zh) * | 2021-04-22 | 2021-06-22 | 东莞市美盈森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纸质包装箱 |
CN113716170A (zh) * | 2021-09-02 | 2021-11-30 | 东莞市美盈森环保科技有限公司 | 组合饮品手提纸箱 |
KR20220015255A (ko) * | 2020-07-30 | 2022-02-08 | 김만식 | 달걀 수납 케이스용 포장박스 |
-
2010
- 2010-06-10 KR KR2020100006108U patent/KR20110011641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031957A (zh) * | 2017-04-28 | 2017-08-11 | 广东顶固集创家居股份有限公司 | 包装盒 |
CN108001782A (zh) * | 2017-12-20 | 2018-05-08 | 汤克辉 | 一种开启方便的包装箱 |
KR20220015255A (ko) * | 2020-07-30 | 2022-02-08 | 김만식 | 달걀 수납 케이스용 포장박스 |
CN113002916A (zh) * | 2021-04-22 | 2021-06-22 | 东莞市美盈森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纸质包装箱 |
CN113716170A (zh) * | 2021-09-02 | 2021-11-30 | 东莞市美盈森环保科技有限公司 | 组合饮品手提纸箱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11641U (ko) | 하면에 개구홀이 형성된 조명기기용 수납박스 | |
KR101102365B1 (ko) | 계란포장용 상자 | |
JP6135423B2 (ja) | トレイ型の包装箱 | |
JP5209574B2 (ja) | 包装用緩衝材 | |
KR101211934B1 (ko) |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 |
US20160221711A1 (en) | Packaging box | |
KR101875279B1 (ko) | 다용도 수납박스 | |
KR200390818Y1 (ko) | 포장용 상자 | |
KR102130449B1 (ko) | 포장 박스용 포장재 및 그 포장재에 의해 조립된 포장 박스 | |
KR20110012742A (ko) |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 |
KR102145684B1 (ko) | 악세서리용 포장 박스 | |
KR20110082440A (ko) | 수납박스 | |
KR20100093366A (ko) | 포장 상자 | |
KR20110006274U (ko) | 무접착 단상자 | |
KR20110006276U (ko) | 무접착 단상자 | |
KR20130071330A (ko) | 포장용 박스 | |
KR200390241Y1 (ko) | 포장용 상자 | |
JP2007022628A (ja) | 梱包材 | |
JP6333641B2 (ja) | コンテナ段積み係合構造 | |
KR200456721Y1 (ko) | 조립용 포장상자 | |
KR102401852B1 (ko) | 달걀 수납 케이스용 포장박스 | |
KR200470935Y1 (ko) | 핸들 포장 박스 | |
KR20120007250U (ko) |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 | |
KR200492333Y1 (ko) | 포장상자 | |
KR200367545Y1 (ko) | 소형 물품용 종이 박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