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074A - 굴삭 공구 - Google Patents

굴삭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074A
KR20090003074A KR1020070088870A KR20070088870A KR20090003074A KR 20090003074 A KR20090003074 A KR 20090003074A KR 1020070088870 A KR1020070088870 A KR 1020070088870A KR 20070088870 A KR20070088870 A KR 20070088870A KR 20090003074 A KR20090003074 A KR 20090003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ion
casing
casing pipe
bit
casing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요시 나까무라
마사야 히사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3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36Percussion drill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08Roller bits
    • E21B10/16Roller bits characterised by tooth form or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굴삭 구멍벽의 붕락을 방지하여 양호하게 굴삭할 수 있는 굴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케이싱 파이프(11)의 선단부에 케이싱 탑(12)이 축선(O)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케이싱 탑(12)은, 선단부측에 굴삭 비트(15)의 스커트부(15b)의 외주까지 길게 비어져 나오는 장출 통부(23)를 갖는 구성으로 했다. 그리고, 케이싱 탑(12)의 내주부 및 디바이스(14)의 외주부 사이에, 로드(13)에 전달된 추력과 타격을 케이싱 탑(12)에 전달하는 동시에, 케이싱 탑(12)을 케이싱 파이프(11)에 대해 축선(O) 방향에 대해 이동시키는 추력 타격 전달 수단(22)을 마련했다.
Figure P1020070088870
케이싱 파이프, 케이싱 탑, 굴삭 비트, 스커트부, 로드

Description

굴삭 공구{EXCAVATION TOOL}
본 발명은 굴삭 공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략 원통 형상의 케이싱 파이프 내에, 선단부에 굴삭 비트가 장착된 로드를 삽입한, 소위 이중관 비트식의 굴삭 공구에 관한 것이다.
앵커 공사나 각종 굴삭 공사, 기초 갱 공사, 터널 포어파일링 공사, 물빼기 보링 공사 등의 토목 공사에 있어서, 지반의 굴삭을 행하는 경우, 원통 형상의 케이싱 파이프 내에 삽입된 로드의 선단부에 굴삭 비트를 장착한 이중관 비트식의 굴삭 공구가 다용되고 있고, 상기 로드를 통해 굴삭 비트에 회전 및 타격 진동 등을 부여하여 굴삭을 행하고, 이와 같이 하여 굴삭된 굴삭 구멍에 케이싱 파이프를 세워 버티게 하여 굴삭 구멍의 붕락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7은 그와 같은 종래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7에 있어서, 부호 1은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는 케이싱 파이프이며, 그 내주부에 로드(2)가 삽입되어 있고, 이 로드(2)의 선단부에는, 디바이스(3)(굴삭 공구 본체)가 그 선단부를 케이싱 파이프(1)로부터 돌출시킨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3)의 돌출된 선단부에 굴삭 비트(4)가 나사 장착되어 있다. 이 굴삭 비트(4)는, 굴삭 종 료 후에 디바이스(3)로부터 분리되어 굴삭 구멍 내에 남기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소위 로스트 비트라 칭해지는 것이고, 선단부면에는 굴삭용의 칩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 파이프(1)의 선단부에는 케이싱 탑(5)이 용접되는 것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케이싱 탑(5)은, 통상은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삭 비트(4)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거리(L)를 두고, 구멍 굴삭이 종료하여 굴삭 비트(4)가 후단부측으로 이동되면, 굴삭 비트(4)의 스커트부(4a)에 끼워 맞추어지고, 그 상태에서 로드(2)를 굴삭 비트(4)와 함께 굴삭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굴삭 비트(4)를 디바이스(3)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로드(2)는, 케이싱 파이프(1)의 내경보다 한 둘레 작은 외경을 갖는 두께의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싱 파이프(1)의 축선과 동축 상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외형이 대략 정육각기둥 형상의 육각 로드가 사용되는 일도 있다. 또한, 로드(2)의 후단부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로드 어댑터가 연결되고, 그 로드 어댑터에 착암기 등과 같은 굴삭 장치의 구동축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 파이프(1)의 후단부에도 도시하지 않은 통 형상의 프론트 어댑터가 연결되고, 이 프론트 어댑터가 상기 로드 어댑터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축의 구동 장치에 의해 로드 어댑터에 회전력이 전달되는 동시에, 축선의 선단부측을 향해 타격 진동이 전달되고, 그 회전 및 타격 진동이 로드 어댑터를 통해 로드(2)에 전달되고, 굴삭 비트(4)가 회전하고 또한 타격하면서 지반을 구멍 굴삭하는 한편, 로드 어댑터로부터 프론트 어댑터를 통해 케이싱 파이프(1)의 후단부에 타격 진동이 전달되는 것에 의해, 케이싱 파이프(1)와, 이 케이 싱 파이프(1)에 일체화하여 장착된 케이싱 탑(5)이 굴삭 구멍 내에 세워 버텨 가는 것으로 된다.
그런데, 상기에 나타내는 종래의 굴삭 공구는, 구멍 굴삭시에 발생하는 굴삭 구멍 버력을 받아들이기 위해, 케이싱 파이프(1)에 일체화하여 장착된 케이싱 탑(5)과 굴삭 비트(4)와의 사이의 간극(L)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붕락이 심한 지산의 굴삭 구멍에 있어서 구멍벽 붕괴가 생기면,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 탑(5)과 굴삭 비트(4)와의 사이의 간극(L)에 붕락한 토사(d)가 들어가 버리므로, 굴삭 구멍의 주위벽으로부터 무너진 토사(d)에 의해 케이싱 탑(5)의 굴삭 구멍으로의 세워 버팀이 방해되어 버려, 굴삭 구멍 버력을 받아들일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굴삭 공구 그 자체가 파손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굴삭 버력을 받아들여 배출할 수 없게 되면, 케이싱 파이프(1) 및 케이싱 탑(5)으로의 외압 저항이 높아져, 예를 들어 케이싱 파이프(1)가 강제(鋼製)라도 그 양단부의 조인트부의 박육으로 되는 부분이 변형하여 걸치기가 불가능해지는 등, 파손이 생겨 버린다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케이싱 파이프(1)나 케이싱 탑(5), 혹은 굴삭 공구 그 자체에 파손이 생기면, 굴삭 후, 굴삭 비트(4)의 분리를 할 수 없게 되어, 로드(2)를 회수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일어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굴삭 구멍벽의 붕락을 방지하여 양호하게 굴삭 구멍을 굴삭하고, 확실하게 케이싱 파이프를 세워 버틸 수 있는 굴삭 공구를 제 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하의 수단을 채용했다. 본 발명에서는, 축선 방향으로 추력과 타격이 전달되는 케이싱 파이프와, 이 케이싱 파이프의 내부에 동심 상에 배치되어 있고 축선 방향으로 추력과 타격이 전달되는 동시에 회전력이 전달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선단부에 부착된 굴삭 공구 본체와, 상기 굴삭 공구 본체의 선단부에 이 굴삭 공구 본체에 대한 회전이 구속되어 장착되는 굴삭 비트를 구비한 굴삭 공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파이프의 선단부에는, 상기 케이싱 파이프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원통 형상의 케이싱 탑이 상기 굴삭 공구 본체에 외측 끼움되도록 하여 부착되고, 상기 케이싱 탑의 선단부에는, 상기 굴삭 비트의 외주부까지 길게 비어져 나오는 장출 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탑의 내주부 및 상기 굴삭 공구 본체의 외주부 사이에 상기 로드에 전달된 추력과 타격을 상기 케이싱 탑에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 탑을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추력 타격 전달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굴삭 비트에 의한 구멍 굴삭시, 케이싱 탑의 내주부 및 굴삭 공구 본체의 외주부 사이에 마련된 추력 타격 전달 수단에 의해, 케이싱 탑을 전방으로 타격할 수 있어, 굴삭 공구 본체에 추력과 타격이 전달되는 정도로 케이싱 탑을 전방으로 압입하는 한편, 케이싱 탑의 선단부에 굴삭 비트의 외주까지 길게 비어져 나오는 장출 통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굴삭 공구 본체를 항상 포위한 상태에서 케이싱 탑 을 굴삭 구멍에 세워 버틸 수 있다. 장출 통부에 의해 케이싱 탑과 굴삭 비트와의 사이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굴삭 구멍벽이 붕락해도 붕락된 토사가 간극에 인입되어 굴삭 버력의 받아들임이 방해로 되거나 하는 일이 없어져, 굴삭 버력의 배출 불량을 방지하여 굴삭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굴삭 공구 본체에 의해 케이싱 탑을 타격하면, 케이싱 탑에 대해 적정한 타격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케이싱 파이프로부터 케이싱 탑에 타격력을 전달하는 경우에는, 케이싱 탑으로의 타격력이 감쇠되어, 케이싱 탑의 굴삭 구멍에 대한 세워 버티는 힘이 약해질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강성이 높은 로드에 부착된 굴삭 공구 본체에 의해 케이싱 탑에 타격력을 감쇠시키는 일없이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어, 케이싱 탑을 확실하게 세워 버틸 수 있다.
부가하여, 세워 버팀에 걸리는 저항은, 케이싱 파이프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 이 케이싱 탑에 오로지 작용하여, 후속의 케이싱 파이프로의 저항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이 케이싱 파이프에 부여되는 타격력이나 추력은 적어도 좋아, 과대한 타격력이나 추력이 부여되어 케이싱 파이프가 파손되는 사태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케이싱 탑이 케이싱 파이프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복수의 케이싱 파이프나 로드를 걸쳐 깊은 굴삭 구멍을 굴삭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들 케이싱 파이프와 로드와의 축선 방향의 길이가 변화되거나, 제조 마무리 치수에 오차가 생겨도, 이것에 상관없이 케이싱 파이프 선단부의 케이싱 탑이나 굴삭 비트에는 확실하게 굴삭 공구 본체를 통해 로드로부터 추력이나 타격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케이싱 탑을 케이싱 파이프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해도, 케이싱 탑이 케이싱 파이프 선단부로부터 빠져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케이싱 탑은, 상기 케이싱 파이프에 대한 상기 축선 방향의 적어도 선단부측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케이싱 계지 기구를 통해 상기 케이싱 파이프의 선단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와 같이 하여 케이싱 탑을 케이싱 파이프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그 선단부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이들 케이싱 탑과 케이싱 파이프를, 한쪽의 내주에 다른 쪽을 끼움 삽입하여 부착하는 것이 용이하고, 그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우선 첫번째로, 상기 케이싱 계지 기구를, 이들 케이싱 탑과 케이싱 파이프와의 서로 끼움 삽입되는 내외주 중, 한쪽에 부착된 상기 축선에 대한 직경 방향으로 직경 확대 축소 가능한 탄성 부재와, 다른 쪽에 이 탄성 부재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 수납 오목부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그 탄성에 의해 직경 확대 또는 직경 축소하여 상기 수납 오목부 내에 수용된 탄성 부재의 축선 방향의 이동이, 이 수납 오목부가 형성된 범위 내로 제한되므로, 이것에 수반하여 케이싱 탑과 케이싱 파이프의 한쪽에 대한 다른 쪽의 축선 방향의 이동도, 이 수납 오목부의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케이싱 탑과 케이싱 파이프가, 한쪽의 내주에 다른 쪽이 끼움 삽입되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두번째로, 상기 케이싱 계지 기구를, 이들 케이싱 탑과 케이싱 파이프와의 서로 끼움 삽입되는 내외주에 각각 형성된 서로 나사 장착 가능한 암수 나사산부와, 각 암수 나사산부에 연속하여 반대측의 나사산부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납 오목부로 구성할 수도 있고, 이들 암수 나사산부를 나사 결합시키고, 더욱 돌려 넣어 수나사산부를 암나사산부에 연속하는 수납 오목부에, 암나사산부를 수나사산부에 연속하는 수납 오목부에 각각 수용하는 것에 의해, 축선 방향에 있어서 이들 수납 오목부의 길이의 범위 내에서 케이싱 탑과 케이싱 파이프와의 한쪽에 대한 다른 쪽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굴삭 비트도, 상기 케이싱 탑에 대해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고, 단 이 경우에도 굴삭 비트의 부주의한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 케이싱 탑에 대한 굴삭 비트의 상기 축선 방향의 적어도 선단부측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비트 계지 기구를 통해 상기 케이싱 탑의 선단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굴삭 비트는 그 외주부가 케이싱 탑의 상기 장출 통부의 내주부에 수용되어 부착되는 것으로 되므로, 이와 같은 비트 계지 기구를, 상기 케이싱 계지 기구와 마찬가지로, 첫번째로, 상기 굴삭 비트의 외주부와 상기 장출 통부의 내주부 중, 한쪽에 부착된 상기 축선에 대한 직경 방향으로 직경 확대 축소 가능한 탄성 부재와, 다른 쪽에 이 탄성 부재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납 오목부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두번째로는, 상기 굴삭 비트의 외주부와 상기 장출 통부의 내주부에 각각 형성된 서로 나사 결합 가능한 암수 나사산부와, 각 암수 나사산부에 연속하여 반대측의 나사산부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납 오목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비트 계지 기구에 의해 굴삭 비트의 선단부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해 두면, 굴삭 도중에 굴삭 공구 본체를 굴삭 비트로부터 분리해도, 굴삭 비트는 케이 싱 탑으로부터 탈락하지 않고, 또한 상기 축선과 동심 상에 보유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재차 굴삭 공구 본체의 선단부에 굴삭 비트를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 탑의 최대 직경부의 외경을 상기 굴삭 비트의 최대 외경 이하이고, 또한 상기 케이싱 파이프의 외경 이상으로 하면, 상기 굴삭 공구의 외경은 선단부의 굴삭 비트로부터, 케이싱 탑, 케이싱 파이프와 후단부측을 향해 커지는 일이 없어져, 굴삭 구멍 버력이 케이싱 파이프의 외주에까지 유입되기 어려워져 케이싱 파이프에 작용하는 외압 저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케이싱 파이프의 외경보다는 최대 외경이 큰 케이싱 탑이 가이드로 되어 굴삭 구멍이 형성되기 때문에, 굴삭 구멍의 직진성을 확보하여 구멍 휨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구멍 휨에 의해 케이싱 파이프에 저항이 작용하는 것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점, 예를 들어 케이싱 파이프의 외경이 케이싱 탑의 외경보다도 크고, 반대로 굴삭된 굴삭 구멍의 내주와의 간격은 케이싱 탑 부분의 쪽이 케이싱 파이프 부분보다도 크다고 하면, 가령 이들 케이싱 탑, 케이싱 파이프의 외주에 굴삭 구멍 버력이 유입된 경우, 간격이 크게 된 케이싱 탑의 외주에 굴삭 구멍 버력이 체류하는 것에 의해 머지않아 외압 저항으로 되어 굴삭 구멍의 장해로 되어 버리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 탑의 최대 직경부의 외경을 케이싱 파이프의 외경 이상으로 하면, 굴삭 구멍 버력을 케이싱 탑의 외주로부터 후단부측으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 탑과 케이싱 파이프를 한쪽의 내주에 다른 쪽을 끼움 삽입하여 부착하는 경우라도, 케이싱 탑의 내주에 케이싱 파이프의 선단부를 끼움 삽입하여 부착하도록 하면, 이들 케이싱 탑과 케이싱 파이프와의 끼움 삽입 부분에 굴삭 구멍 버력이 저류되어 케이싱 탑이 축선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삭 공구 본체로부터 굴삭 비트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상기 굴삭 비트의 후단부에 상기 굴삭 공구 본체의 선단부가 삽입 가능한 구멍부를 형성하고, 이 굴삭 공구 본체의 선단부 외주에는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조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구멍부의 내주에는 상기 돌조부가 삽입 관통 가능한 오목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굴삭 공구 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조부의 측벽을 상기 오목홈부의 측벽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굴삭 비트에 상기 굴삭 공구 본체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상기 굴삭 비트와 상기 굴삭 공구 본체의 외주에, 상기 케이싱 탑의 장출 통부보다 선단부측의 상기 굴삭 비트의 외주측과, 상기 로드와 상기 케이싱 파이프와의 사이의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굴삭 비트로부터 상기 굴삭 공구 본체의 후단부에 걸쳐, 굴삭 가루 홈을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 이 굴삭 가루 홈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대향하는 상기 케이싱 탑 및 케이싱 파이프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간격을, 상기 케이싱 탑의 장출 통부의 선단부에 있어서 가장 작게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굴삭 구멍 버력의 입구로 되는 이 장출 통부 선단부에 있어서의 간격보다도 큰 토사가 굴삭 가루 홈으로 진입하는 일이 없어져, 굴삭 가루 홈에 있어서의 막힘을 방지하여, 더욱 확실한 굴삭 버력의 배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 굴삭 공구 본체의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조부에는,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이 이 돌조부에 대해 돌출 또는 함몰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오목홈부에 상기 돌조부와 결합부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굴삭 공구 본체의 선단부를 상기 구멍부에 삽입한 후 상기 굴삭 공구 본체를 상기 축선 주위의 주위 방향의 적어도 한쪽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부와 상기 축선 방향 후단부측을 향해 결합 가능한 피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굴삭 중에 재밍(jamming) 등에 의해 굴삭 불능 상태에 빠진 경우라도, 로드에 의해 상기 굴삭 공구 본체를 회전시켜 이와 같이 결합부와 피결합부를 축선 방향 후단부측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이 굴삭 공구 본체를 통해 굴삭 비트를 후퇴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예를 들어, 굴삭 비트가 케이싱 파이프에 고정 링 등을 통해 계지되어 있었다고 해도, 이 고정 링 등에 무리한 힘을 작용시키는 일없이 굴삭 공구를 확실하게 후퇴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굴삭 공구를 이용한 각종 굴삭 공사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굴삭 공구에 의해 세워 버텨진 케이싱 파이프로부터 약액을 주입하거나 하여 지반을 안정시킨 후, 이 케이싱 파이프마다 또한 지반을 굴삭하여 터널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경우에 케이싱 파이프는 터널 굴삭시에 용이하게 파괴되는 저강도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반면 이와 같은 저강도의 케이싱 파이프를 이용하면 종래는 케이싱 파이프의 세워 버팀시에 파손이 생길 우려가 있었던 것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굴삭 공구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워 버팀에 걸리는 저항은 오로지 케이싱 탑에 작용하여, 케이싱 파이프로의 저항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케이싱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를, 케이싱 탑보다도 강도가 낮은 재질에 의해 형 성하는 것에 의해, 그 세워 버팀시의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터널 굴삭시에는 용이하게 파괴되도록 하여 상기 케이싱 파이프마다 지반을 굴삭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굴삭 공구에 따르면, 굴삭 구멍벽의 붕락을 방지하여 양호하게 굴삭 구멍을 굴삭하고, 확실하게 케이싱 파이프를 세워 버틸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굴삭 구멍의 깊이 등에 따라서 나사 또는 테이퍼 소켓 등에 의해 순차 걸쳐지는 원관 형상의 케이싱 파이프(11)의 선단부에, 개략 원통 형상의 케이싱 탑(12)이 케이싱 파이프(11)의 중심 축선(O)과 동축에 이 축선(O) 주위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축선(O)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이 케이싱 파이프(11)의 내주에는 후륙 중공의 다단 육각기둥 형상을 이루는 로드(13)가, 역시 굴삭 구멍의 깊이 등에 따라서 커플링 또는 나사 등에 의해 순차 걸쳐져 상기 축선(O)과 동축으로 삽입되고, 이 로드(13)의 선단부에는 디바이스(굴삭 공구 본체)(14)를 통해 굴삭 비트(15)가, 디바이스(14)에 대해 걸림 이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순차 걸쳐지는 로드(13) 중 최후단부에 걸쳐진 로드(13)의 후단부에는,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부 후단부측이 한 단 직경 확 대되어 플랜지부(16a)가 형성된 중공 형상의 로드 어댑터(16)의 선단부가 역시 커플링(17)을 통해 연결되고, 이 로드 어댑터(16)의 후단부에는, 굴삭시에 축선(O) 주위로 회전 방향(T)을 향한 회전력과 축선(O) 방향 선단부측을 향한 추력 및 타격력을 상기 로드 어댑터(16)를 통해 로드(13)에 부여하는 굴삭 장치의 구동축(18)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최후단부에 걸쳐진 케이싱 파이프(11)의 후단부에는 조인트부의 보호를 위한 보호캡(11A)이 장착되는 동시에, 이 보호캡(11A)의 후단부와 상기 로드 어댑터(16)의 플랜지부(16a)와의 사이에는, 통 형상의 프론트 어댑터(19)가, 상기 최후단부의 로드(13)의 후단부와 로드 어댑터(16)의 선단부 및 상기 커플링(17)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플랜지부(16a)와의 사이에 링 형상의 완충재(20)를 통해 개재되어 있고, 보호캡(11A)이 후단부에 장착된 상기 케이싱 파이프(11)에는 이 프론트 어댑터(19)를 통해, 상기 구동축(18)으로부터 로드 어댑터(16)에 부여되는 회전력과 추력 및 타격력 중, 축선(O) 방향 선단부측을 향한 추력 및 타격력만이 전달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 파이프(11) 중 최선단부의 케이싱 파이프(11)는 제1 케이싱 파이프(11B)로 되고, 그 선단부 외주에는 도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 형상 홈(11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환 형상 홈(11a)에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싱 계지 기구(21)의 탄성 부재로서, 그 직경 방향으로 직경 확대 축소 가능한 금속제의 C자 형상의 고정 링(21A)이 탄성적으로 직경 축소된 상태에서 수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 탑(12)은, 그 외경이 상기 제1 케이싱 파이프(11B)도 포함한 케이싱 파이프(11)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의 일정 외경으로 되는 동시에, 내경 은 축선(O) 방향 중앙부가 가장 소직경이고 그 전후가 이것보다 대직경으로 된 개략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는 이 케이싱 탑(12)의 후단부측 내주부(12a)에 끼움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고, 이 후단부측 내주부(12a)의 후단부 근방에는, 상기 후단부측 내주부(12a)에 끼움 삽입된 상기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고정 링(21A)보다도 후단부측에 위치하도록,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싱 계지 기구(21)의 수납 오목부(21B)가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 오목부(21B)는, 축선(O)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축선(O)에 평행하게 된 상기 축선(O) 방향으로 연장하는 바닥면(21a)과, 이 바닥면(21a)의 후단부측에 위치하여 축선(O)에 대략 수직으로 된 후단부측 벽면(21b), 및 바닥면(21a)의 선단부측에 위치하여 선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내주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선단부측 벽면(21c)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 탑(12)이 제1 케이싱 파이프(11B)에 대해 선단부측으로 이동하면, 이 수납 오목부(21B)가 상기 환 형상 홈(11a)의 위치에 도달하여 탄성적으로 직경 축소되어 있었던 상기 고정 링(21A)이 직경 확대되고, 그 내주측 부분이 환 형상 홈(11a) 내에 남은 상태로 외주측 부분이 수납 오목부(21B) 내에 수용되고, 또한 케이싱 탑(12)이 전진하면 이 수납 오목부(21B) 내에 수납된 고정 링(21A)의 외주측 부분이 도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후단부측 벽면(21b)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선단부측으로의 이동이 제한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케이싱 탑(12)의 상기 후단부측 내주부(12a)로부터 소직경으로 된 중앙부의 내주부에 이르는 후단부측을 향하는 단차부는, 그 외주측이 축선(O)에 대략 수직인 평탄면(12b)으로 되는 동시에, 내주측은 선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내주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테이퍼면 형상으로 되고, 이 테이퍼면 형상의 단차부(22A)가 후술하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추력 타격 전달 수단(22)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링(21A)이 수납 오목부(21B) 내에 수용된 상태로부터 케이싱 탑(12)이 제1 케이싱 파이프(11B)에 대해 후단부측으로 이동(후퇴)하면, 고정 링(21A)이 수납 오목부(21B)의 경사진 선단부측 벽면(21c)에 닿아 그 경사로 안내되도록 직경 축소되면서, 수납 오목부(21B)로부터 벗어나 상기 후단부측 내주부(12a)에 올라타고, 더욱 케이싱 탑(12)이 후퇴하면, 도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가 상기 평탄면(12b)에 접촉한 부분에서, 그 이상의 후단부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케이싱 탑(12) 내주부의 상기 중앙부보다도 선단부측은, 이 중앙부로부터 선단부측을 향해 내경이 점차 직경 확대하도록 된 후에 대략 일정한 내경으로 되어 축선(O)에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되고, 이 내주부의 내경이 대략 일정하게 된 케이싱 탑(12)의 선단부측 부분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출 통부(23)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장출 통부(23)의 내주부 최선단부 부분은 선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재차 내경이 직경 확대하도록 된 직경 확대부(23a)로 되는 동시에, 이 직경 확대부(23a)의 후단부측에는, 사이에 상기 내경이 일정하게 된 부분을 남기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비트 계지 기구(24)의 수납 오목부(24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 오목부(24A)와 상기 직경 확대부(23a)를 제외하고 장출 통부(23)의 내경은 일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비트 계지 기구(24)의 수납 오목부(24A)는, 축선(O) 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상기 수납 오목부(21B)와 마찬가지로 축선(O)에 평행하게 된 상기 축선(O) 방향으로 연장하는 바닥면(24a)과, 수납 오목부(21B)와는 반대로 바닥면(24a)의 선단부측에 위치하여 축선(O)에 대략 수직으로 된 선단부측 벽면(24b), 및 바닥면(24a)의 후단부측에 위치하여 후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내주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후단부측 벽면(24c)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디바이스(14)는, 도3 각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외주 모두 후단부측이 선단부측보다도 한 단 직경 확대된 개략 다단 원통 형상을 이루고, 그 후단부측 내주부에는, 최선단부의 상기 로드(13)의 선단부 외주에 형성되는 수나사부(13a)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14a)가 형성되어 있고,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암나사부(14a)에 상기 수나사부(13a)를 돌려 넣어, 로드(13)의 선단부가, 축선(O)에 수직인 평탄면으로 된 디바이스(14)의 후단부측 내주부의 바닥부(14b)에 접촉한 부분에서, 디바이스(14) 후단부측에 축선(O)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 방향에 핀(25)을 타입하고, 상기 수나사부(13a)의 밑둥에 형성된 환 형상 홈(13b)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이 최선단부의 로드(13)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이 디바이스(14)의 선단부측 외주부의 외경과 후단부측 외주부의 외경은, 케이싱 탑(12)의 상기 중앙부의 내경과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내경보다도 각각 약간 작게 되는 동시에, 후단부측 외주부의 외경은 케이싱 탑(12) 중앙부의 내경보다 크게 되고, 또한 이 외주부가 선단부측으로부터 후단부측을 향해 한 단 직경 확대하는 단차부(22B)는, 케이싱 탑(12)의 상기 단차부(22A)가 이루는 테이퍼면과 동등한 경사각으로 선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내주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되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추력 타격 전달 수단(22)을 구성하고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4)가 로드(13)의 선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 단차부(22B)가 상기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하여 단차부(22A)에 후단부측으로부터 접촉하는 것에 의해, 걸쳐진 로드(13)를 통해 전달된 축선(O) 방향 선단부측으로의 추력 및 타격력이 케이싱 탑(12)에 전달된다.
또한, 이 디바이스(14)의 외주에는, 그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 축선(O)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굴삭 가루 홈(26)이, 주위 방향에 동일 간격으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 형성되어 있다. 이 굴삭 가루 홈(26)은, 그 바닥면(26a)이, 디바이스(14)의 선단부에서는 축선(O)을 중심으로 한 원통면 형상으로 되는 한편, 이것보다도 후단부측의 중앙부에서는 상기 원통면에 외접하여 축선(O)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면으로 되고, 또한 이것보다도 후단부측의 디바이스(14) 후단부에서는, 디바이스(14)의 후단부측 내주부가 한 단 직경 확대하는 것에 맞추어, 중앙부의 상기 평탄면으로부터 후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주측을 향하는 경사면을 통해, 상기 원통면보다도 직경이 큰 원통면에 외접하여 축선(O) 방향으로 연장하는 역시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디바이스(14)의 소직경으로 된 선단부측 내주부가 이루는 중공부(14c)는, 상기 디바이스(14)가 상술한 바와 같이 최선단부의 로드(13)의 선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걸쳐진 로드(13)의 중공부(13c)를 통해 로드 어댑터(16)의 중공부(16b)에 연통되고, 굴삭시에 상기 굴삭 장치의 구동축(18)으로부터 굴삭 구멍 물 또는 압축 공기 등의 유체가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4)의 이 중공부(14c)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굴삭 가루 홈(26)의 바닥 면(26a)을 향해서는, 외주측[바닥면(26a)]측을 향함에 따라서 후단부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블로우 구멍(14d)이 형성되어 있고, 이 중 또한 적어도 하나의 굴삭 가루 홈(26)에 있어서는, 그 바닥면(26a)이 상기 선단부에 있어서 원통면 형상을 이루는 부분과 상기 중앙부의 평탄면을 이루는 부분이 연속되어 있는 부분에, 이 블로우 구멍(14d)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디바이스(14)의 외주에 복수의 굴삭 가루 홈(26)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주위 방향에 인접하는 굴삭 가루 홈(26, 26)의 사이에는 축선(O)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돌조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되고, 상기 단차부(22B)는 이 돌조부 상에 형성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이 돌조부 중, 상기 단차부(22B)보다도 선단부측의 디바이스(14)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부에 형성된 돌조부(27)는, 그 상기 회전 방향(T)의 후방측을 향하는 부분이 상기 돌조부(27)의 선단부(27a)를 남기고 축선(O) 방향으로 연장하는 오목부(27b)에 의해 절결되는 것에 의해, 외주측으로부터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도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선단부(27a)가 회전 방향(T) 후방측으로 절곡된 L자형의 후크 형상을 나타내도록 형성되고, 따라서 이 선단부(27a)는, 도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27b)에 의해 형성된 돌조부(27)의 회전 방향(T) 후방을 향하는 측벽(27c)으로부터 더욱 회전 방향(T) 후방측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되고, 즉 축선(O)에 직교하는 단면이 돌조부(27)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돌출된 선단부(27a)의 후단부측을 향하는 측벽(27d) 은, 축선(O)에 직교하는 대략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27b)의 바닥면은 디바이스(14)의 선단부에 있어서 굴삭 가루 홈(26)의 바닥면(26a)이 이루는 원통면과 연속하는 동일한 직경의 원통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돌조부(27)의 외주면은 상기 선단부(27a)를 포함하는 선단부측 부분이 도3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간 한 단 낮게 되어 있는 동시에, 돌조부(27)의 회전 방향(T)을 향하는 측벽(27e)은 그 선단부측 부분이 도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회전 방향(T)측을 향하는 오목 곡면형으로 절결되어 있다. 또한, 이 돌조부(27)의 회전 방향(T)을 향하는 측벽(27e)의 선단부측 부분은 후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회전 방향(T)측을 향하는 경사면이라도 좋다. 또한, 디바이스(14)의 선단부면(14e)은, 축선(O)에 수직인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굴삭 비트(15)는,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측의 외경이 원통부의 외경보다도 한 단 대직경으로 된 개략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선단부는 헤드부(15a)로 되고 그 상기 외경은 케이싱 탑(12)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게 되는 동시에, 원통부는 스커트부(15b)로 되고 그 외경은 케이싱 탑(12)의 상기 장출 통부(23)의 내주부에 끼움 삽입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 탑(12)의 최대 직경부의 외경은, 이 굴삭 비트(15)의 헤드부(15a)에 있어서의 최대 외경 이하로 된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부(15b)의 외주에는 환 형상 홈(15c)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환 형상 홈(15c)에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비트 계지 기구(24)의 탄성 부재로서, 역시 그 직경 방향으로 직경 확대 축소 가능한 금속제의 C자 형상의 고정 링(24B)이 탄성적으로 직경 축소된 상태에 서 수용되어 있고, 이와 같이 하여 고정 링(24B)이 직경 축소된 상태로 상기 스커트부(15b)가 장출 통부(23) 내주부에 끼움 삽입되는 것에 의해, 고정 링(24B)이 비트 계지 기구(24)의 상기 수납 오목부(24A)에 도달한 부분에서 탄성적으로 직경 축소되어 있었던 이 고정 링(24B)이 직경 확대하고,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내주측 부분이 환 형상 홈(15c) 내에 남은 상태로 외주측 부분이 수납 오목부(24A)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굴삭 비트(15)는 케이싱 탑(12)의 선단부에, 상기 헤드부(15a)를 돌출시키는 동시에 상기 스커트부(15b)의 외주부에까지 상기 장출 통부(23)가 돌출하도록 하여 상기 축선(O)과 동축 또한 상기 축선(O)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상기 비트 계지 기구(24)에 의해,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링(24B)이 수납 오목부(24A) 내에 있는 범위에서는 축선(O)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또한 이 도2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굴삭 비트(15)가 케이싱 탑(12)에 대해 선단부측으로 이동하고자 하면, 이 수납 오목부(24A) 내에 수납된 고정 링(24B)의 외주측 부분이 상기 수납 오목부(24A)의 상기 선단부측 벽면(24b)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선단부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 굴삭 비트(15)의 케이싱 탑(12)에 대한 후단부측으로의 이동은, 예를 들어 상기 장출 통부(23)의 선단부가 상기 헤드부(15a)의 후단부면에 접촉한 부분에서 제한된다.
또한, 굴삭 비트(15) 후단부측의 상기 스커트부(15b) 내주는, 상기 디바이스(14)의 선단부가 삽입 가능한 구멍부(15d)로 되어 있고, 이 구멍부(15d)의 내주 에는, 디바이스(14) 선단부 외주의 상기 돌조부(27)가 회전 방향(T) 후방측으로 돌출된 선단부(27a)도 포함하여 축선(O)에 평행하게 삽입 관통 가능한 오목홈부(28)가, 돌조부(27)와 동일 수의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 축선(O)에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멍부(15d)의 구멍 바닥면(15e)은 축선(O)에 수직인 평탄면으로 되는 동시에, 이 구멍 바닥면(15e)측의 구멍부(15d) 내주에는, 상기 오목홈부(28)의 구멍 바닥측(선단부측) 부분에 연통하도록 환 형상의 오목부(28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28a)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부(15d)에 삽입된 디바이스(14)의 선단부면(14e)을 상기 구멍 바닥면(15e)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돌조부(27)의 선단부(27a)를 수용 가능한 내경 및 축선(O) 방향의 폭을 갖고 있다. 따라서,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홈부(28)에 돌조부(27)를 삽입 관통시켜 구멍부(15d)에 디바이스(14)의 선단부를 삽입하고, 이 디바이스(14)의 상기 선단부면(14e)이 구멍 바닥면(15e)에 접촉한 부분에서 디바이스(14)를 회전 방향(T)으로 회전시키면, 이 회전 방향(T)을 향하는 돌조부(27)의 상기 측벽(27e)이 오목홈부(28)의 회전 방향(T) 후방측을 향하는 측벽(28b)에 접촉되므로, 상기 로드 어댑터(16)로부터 로드(13)를 통해 디바이스(14)에 부여되는 굴삭시의 회전 방향(T)으로의 회전력이 굴삭 비트(15)에 전달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것과는 반대로, 디바이스(14)의 선단부면(14e)이 구멍 바닥면(15e)에 접촉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4)를 회전 방향(T)의 후방측으로 회전시키면, 이 회전 방향(T) 후방측으로 돌출된 돌조부(27)의 상기 선단부(27a)가 오목부(28a) 내에 있어서 주위 방향에 인접한 오목홈부(28) 사이에 형성되는 돌출조(29)의 선단부측 의 공간에 인입되는 것에 의해, 돌조부(27)의 상기 측벽(27c)이 오목홈부(28)의 회전 방향(T)을 향하는 측벽(28c)에 접촉되고, 또한 이 상태 그대로 디바이스(14)를 로드(13) 및 로드 어댑터(16)와 함께 후퇴시키면, 선단부(27a)의 후단부측을 향하는 측벽(27d)이 돌출조(29)의 선단부측을 향하는 측벽, 즉 오목부(28a)의 선단부측을 향하는 측벽(28d)에 접촉하고, 이것에 의해, L자형의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선단부(27a)가 돌출조(29)의 선단부에 걸리도록 하여 축선(O) 방향 후단부측을 향해 오목부(28a)와 결합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바이스(14)의 선단부 외주에, 축선(O)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조부(27)와, 축선(O)에 직교하는 단면이 이 돌조부(27)에 대해 돌출하는 결합부[선단부(27a)]가 형성되는 동시에, 굴삭 비트(15)의 구멍부(15d) 내주에는, 상기 돌조부(27)와 결합부가 삽입 관통 가능한 오목홈부(28)와, 이와 같이 하여 오목홈부(28)에 돌조부(27)와 결합부를 삽입 관통하여 디바이스(14) 선단부를 구멍부(15d)에 삽입한 후 상기 디바이스(14)를 상기 축선(O) 주위의 주위 방향의 적어도 한쪽[회전 방향(T)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부와 축선(O) 방향 후단부측을 향해 결합 가능한 피결합부[오목부(28a)]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선단부(27a)와 오목부(28a)가 결합한 상태로부터 디바이스(14)를 회전 방향(T)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선단부(27a)가 오목부(28a)의 돌출조(29) 선단부측의 공간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동시에 상기 돌조부(27)의 측벽(27c)이 오목홈부(28)의 측벽(28c)으로부터 멀어져 디바이스(14)와 굴삭 비트(15)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고, 디바이스(14)만을 후퇴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굴삭 비트(15)는 디바이스(14)의 축선(O) 주 위의 회전 방향(T)으로의 회전과 회전 방향(T)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14)의 선단부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 굴삭 비트(15) 선단부의 상기 헤드부(15a)에는, 그 선단부면에, 상기 축선(O)으로부터 약간 간격을 둔 위치로부터 외주측에 방사 형상으로 연장하도록, 디바이스(14)에 형성된 굴삭 가루 홈(26)과 동일 수의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굴삭 가루 홈(30)이 주위 방향에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굴삭 가루 홈(30)은, 헤드부(15a) 선단부면의 외주 단부로부터 굴삭 비트(15)의 외주면을 축선(O) 방향 후단부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스커트부(15b)의 후단부면 즉 상기 굴삭 비트(15)의 후단부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대직경의 헤드부(15a)로부터 소직경의 스커트부(15b)에 이르는 부분에서는, 이 굴삭 가루 홈(30)은,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선(O)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그 바닥면(30a)이, 헤드부(15a) 외주에서는 축선(O)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된 후, 후단부측을 향해 내주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고, 또한 완만하게 오목하게 굴곡하면서 스커트부(15b)에 있어서 재차 축선(O)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15a)의 선단부면에는, 상기 굴삭 가루 홈(30)을 피하도록 초경합금 등의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칩(31)이 식설(植設)되어 복수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멍부(15d)의 구멍 바닥면(15e)에는 축선(O)을 따라 선단부측으로 오목한 고정 구멍(15f)이 형성되고 디바이스(14)의 상기 중공부(14c)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고정 구멍(15f)으로부터는 선단부 외주측을 향해 블로우 구멍(15g)이 뚫어 마련되고, 헤드부(15a) 선단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굴삭 가루 홈(30)의 내 주 단부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이들 굴삭 가루 홈(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굴삭 비트(15)의 구멍부(15d)에 디바이스(14)의 선단부를 삽입한 후 디바이스(14)를 회전 방향(T)으로 회전시켜 상기 오목홈부(28)의 측벽(28b)에 상기 돌조부(27)의 측벽(27e)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디바이스(14)로부터 굴삭 비트(15)에 회전 방향(T)으로의 회전력이 전달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4)의 상기 굴삭 가루 홈(26)에 각각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것에 수반하여 이들 굴삭 가루 홈(30, 26)은, 굴삭 비트(15)와 디바이스(14)의 외주에, 상기 케이싱 탑(12)의 장출 통부(23)보다 선단부측의 굴삭 비트(15) 외주측과, 상기 로드(13)와 케이싱 파이프(11)의 사이의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굴삭 비트(15)로부터 디바이스(14)의 후단부에 걸쳐 연장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연통된 굴삭 가루 홈(30, 26)의 바닥면(30a, 26a)과, 상기 바닥면(30a, 26a)에 대향하는 것으로 되는 상기 케이싱 탑(12) 및 케이싱 파이프(11)[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간격은,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14)의 선단부면(14e) 및 상기 단차부(22B)를 굴삭 비트(15)의 상기 구멍 바닥면(15e) 및 케이싱 탑(12)의 상기 단차부(22A)에 각각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 케이싱 탑(12)의 장출 통부(23) 선단부 즉 상기 직경 확대부(23a)의 선단부 내주 모서리와 굴삭 비트(15) 외주의 상기 굴삭 가루 홈(30)의 바닥면(30a)과의 간격(X)이, 다른 부분에 있어서의 간격에 비해 가장 작게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간격(X)은, 상기 장출 통부(23)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굴삭 가루 홈(30)의 바닥면(30a)이 상술한 바와 같이 후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내주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이 경사진 바닥면(30a)에 수직인 방향의 간격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2에 부호 Y1 내지 Y3으로 나타내는 것은 상기 다른 부분의 간격이며, 간격(Y1)은 굴삭 비트(15)의 스커트부(15b)에 있어서 축선(O)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는 굴삭 가루 홈(30)의 바닥면(30a)과 케이싱 탑(12)의 장출 통부(23) 내주와의 간격, 간격(Y2)은 디바이스(14)의 상기 중앙부에 있어서의 굴삭 가루 홈(26)의 바닥면(26a)과 케이싱 탑(12)의 소직경으로 된 상기 중앙부의 내주와의 간격, 간격(Y3)은 디바이스(14)의 한 단 직경 확대된 후단부측 부분에 있어서의 바닥면(30a)과 케이싱 파이프(11)[제1 케이싱 파이프(11B)] 내주와의 간격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굴삭 공구는, 로드 어댑터(16)에 대해 구동축(18)의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는 동시에, 선단부측을 향해 축선(O)을 따른 타격력과 추력이 전달되면, 그 회전력 및 추력과 타격력이 로드 어댑터(16)로부터 커플링(17), 로드(13)를 통해 디바이스(14)에 전달되는 것에 의해, 굴삭 비트(15)가 회전하고 또한 타격하면서 지반을 구멍 굴삭한다. 그때, 로드 어댑터(16)의 플랜지부(16a)로부터 완충재(20)를 통해 프론트 어댑터(19)에 축선(O)을 따른 타격력과 추력이 전달되고, 그 타격력과 추력이 프론트 어댑터(19)로부터 보호캡(11A)을 통해 케이싱 파이프(11) 및 제1 케이싱 파이프(11B)에 전달된다.
또한, 구멍 굴삭시에는, 구동 장치로부터 로드 어댑터(16), 로드(13), 디바 이스(14)의 중공부(16b, 13c, 14c)를 통해 굴삭 비트(15)의 고정 구멍(15f)에 굴삭 구멍 물 또는 압축 공기 등의 유체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굴삭 비트(15) 선단부면의 블로우 구멍(15g)으로부터 이 굴삭 구멍 물 또는 압축 공기 등의 유체가 배출되는 한편, 굴삭시에 생성된 굴삭 가루는 케이싱 탑(12)과 굴삭 비트(15)와의 사이의 간격(X)의 간극으로부터 굴삭 가루 홈(30) 내에 받아들여지고, 디바이스(14)의 굴삭 가루 홈(26)을 통해 디바이스(14) 및 로드(13)와 제1 케이싱 파이프(11B) 및 케이싱 파이프(11)와의 사이를 거치는 것에 의해 후단부측으로 압출되고, 프론트 어댑터(19)의 창부(19a)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굴삭 공구에서는, 굴삭 종료 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굴삭 비트(15)와 디바이스(14)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굴삭 비트(15)를 비롯하여 케이싱 탑(12) 및 제1 케이싱 파이프(11B)를 포함한 케이싱 파이프(11)를 굴삭 구멍 중에 남긴 상태로, 디바이스(14) 및 로드(13)가 인발되어 회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굴삭 비트(15)에 의한 구멍 굴삭시, 상기 구성의 굴삭 공구에서는, 디바이스(14)의 외주의 도중 위치에 추력 타격 전달 수단(22)의 단차부(22B)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케이싱 탑(12)의 후단부측 내주부(12a) 바닥의 단차부(22A)가 상기 단차부(22B)와 대응하는 위치 관계에 있으므로, 이 단차부(22B)가 케이싱 탑(12)의 단차부(22A)와 충합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디바이스(14)에 추력과 타격력이 전달될 정도로 케이싱 탑(12)이 전방으로 압입되는 한편, 케이싱 탑(12)의 선단부에 굴삭 비트(15)의 스커트부(15b)의 외주까지 길게 비어져 나오는 장출 통부(2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항상 굴삭 비트(15)를 포위한 상태에서 케이 싱 탑(12)을 굴삭 구멍에 세워 버틸 수 있다.
그 때문에, 케이싱 탑(12)의 장출 통부(23)에 의해 굴삭 구멍벽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디바이스(14)측까지 영향을 받는 일이 없어져, 굴삭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 탑(12)에 장출 통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면, 토사 등에 대한 충분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력 타격 전달 수단(22)의 단차부(22A, 22B)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내주측을 향하는 테이퍼면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축선(O)에 수직인 평탄면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추력 타격 전달 수단(22)에 있어서의 디바이스(14)의 단차부(22B)에 의해 케이싱 탑(12)의 단차부(22A)를 타격하면, 케이싱 탑(12)에 대해 적정한 타격력과 추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케이싱 파이프(11)를 통해 제1 케이싱 파이프(11B)로부터 케이싱 탑(12)에 타격력이나 추력을 전달하는 경우, 케이싱 탑에 부여되는 타격력이나 추력이 감쇠되고, 케이싱 탑의 굴삭 구멍에 대한 세워 버티는 힘이 약해질 우려가 있지만, 케이싱 파이프(11)의 선단부측에 케이싱 탑(12)이 장착되어 있어도, 케이싱 탑(12)에 타격력이나 추력을 감쇠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어, 케이싱 탑(12)을 확실하게 세워 버티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성의 굴삭 공구에서는, 케이싱 탑(12)이 제1 케이싱 파이프(11B)에 대해 축선(O)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따라서 이 케이싱 탑(12)의 세워 버팀에 걸리는 저항은, 오로지 상기 케이싱 탑(12)에만 작용하는 것 으로 되어, 제1 케이싱 파이프(11B)를 비롯한 케이싱 파이프(11)로의 저항은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이 케이싱 파이프(11)에 부여되는 타격력이나 추력은 적어도 좋고,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18)으로부터 로드 어댑터(16)에 전달된 타격력이나 추력을, 플랜지부(16a)와 프론트 어댑터(19)와의 사이에 개재된 완충재(20)에 의해 약하게 하여 케이싱 파이프(11)에 전달해도, 확실하게 케이싱 파이프(11)를 세워 버티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이 케이싱 파이프(11)에 과대한 타격력이나 추력이 부여되어 파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케이싱 탑(12)이 제1 케이싱 파이프(11B)에 대해 축선(O)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에 의해, 상기 굴삭 공구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케이싱 파이프(11)나 로드(13)를 걸쳐서 구멍 굴삭을 행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이들 케이싱 파이프(11)와 로드(13)의 길이가 다르거나, 혹은 제조 마무리 치수에 오차가 생겨도, 이 길이의 차나 치수 오차가 소정의 범위 내이면, 상기 추력 타격 전달 수단(22)에 있어서 단차부(22A)에 단차부(22B)를 확실하게 접촉시켜, 디바이스(14)로부터 케이싱 탑(12)에 추력이나 타격력을 확실하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예를 들어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쳐진 케이싱 파이프(11)와 로드(13)의 길이가 동등한 경우의 최선단부의 로드(13)와 제1 케이싱 파이프(11B)와의 간격(Z)에 대해, 오차 등에 의해 제1 케이싱 파이프(11B)가 선단부측으로 돌출하고 있었다고 해도, 이 돌출량이 도면에 부호 W로 나타내는 제1 케이싱 파이프(11B)가 상기 평탄면(12b)에 접촉할 때까지의 범위이면, 이러한 치수 오차 등에 상관없이 단차부(22A, 22B)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고, 반대로 제1 케이싱 파이프(11B)가 후단부측으로 후퇴하고 있어도, 그 후퇴량이 도면에 부호 V로 나타내는 상기 케이싱 계지 수단(21)의 고정 링(21A)이 수납 오목부(21B)의 후단부측 벽면(21b)에 접촉할 때까지의 범위이면, 역시 로드(13)와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의 축선(O) 방향의 상대 위치에 상관없이 단차부(22A, 22B)를 확실하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케이싱 탑(12)을 케이싱 파이프(11)[제1 케이싱 파이프(11B)]에 대해 축선(O)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할 때에, 이 케이싱 탑(12)이 케이싱 파이프(11)에 대한 축선(O) 방향 선단부측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상기 케이싱 계지 기구(21)를 통해 장착되어 있고, 따라서 케이싱 탑(12)이 케이싱 파이프(11)에 대해 선단부측으로 지나치게 이동하여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로부터 빠져 벗어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케이싱 계지 기구(21)가, 케이싱 탑(12)의 후단부측 내주부(12a)에 끼움 삽입되는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외주에 환 형상 홈(11a)이 형성되고, 축선(O)에 대한 직경 방향으로 직경 확대 축소 가능한 탄성 부재로서 C자 형상의 고정 링(21A)이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후단부측 내주부(12a)에는 이 고정 링(21A)을 수용 가능한 수납 오목부(21B)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환 형상 홈(11a)에 장착된 고정 링(21A)을 직경 축소시킨 상태에서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를 케이싱 탑(12)의 상기 후단부측 내주부(12a)에 끼움 삽입하는 것만으로 이 케이싱 탑(12)을 계지하여 장착할 수 있어, 조작이 용이하다는 이점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케이싱 탑(12)의 상기 후단부측 내주부(12a)의 후단부 모서리를 후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직경 확대되는 테이퍼면 형상으로 하면,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를 상기 후단부측 내주부(12a)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이 테이퍼면으로 안내되어 고정 링(21A)이 직경 축소되므로, 한층 용이한 조작으로 케이싱 탑(12)을 계지하여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 외주에 환 형상 홈(11a)이 형성되고 고정 링(21A)이 장착되는 동시에, 케이싱 탑(12)의 후단부측 내주부(12a)에 수납 오목부(21B)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케이싱 탑(12)의 후단부측 내주부(12a)에 환 형상 홈을 형성하는 등 하여 C자 형상 고정 링과 같은 탄성 부재를 장착하는 동시에,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 외주에는 수납 오목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를 상기 후단부측 내주부(12a)에 끼움 삽입할 때에는, 처음에 탄성 부재의 내경이 제1 케이싱 파이프(11B)가 삽입 가능한 외경에까지 직경 확대되고, 이 상태에서 제1 케이싱 파이프(11B)를 후단부측 내주부(12a)에 끼움 삽입하는 것에 의해, 탄성 부재가 수납 오목부의 위치에서 직경 축소하여 그 내주측이 수납 오목부에 수납되고, 케이싱 탑(12)이 선단부측에 계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싱 탑(12)의 후단부측 내주부(12a)에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가 끼움 삽입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측 내주부에 케이싱 탑(12)의 후단부가 끼움 삽입되도록 하여, 서로 대향하는 이들 제1 케이싱 파이프(11B)와 케이싱 탑(12)의 내외 주위면의 한쪽에 탄성 부재를, 다른 쪽 에 수납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단, 이와 같이 케이싱 탑의 후단부를 제1 케이싱 파이프의 선단부측 내주부에 끼움 삽입하여 케이싱 탑을 케이싱 파이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면, 이 케이싱 탑 후단부를 덮는 케이싱 파이프 선단부의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단차부에 굴삭 버력 등이 인입하여 케이싱 탑의 후단부측으로의 이동이 상기 소정의 범위보다도 작게 구속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 케이싱 탑의 후단부측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될 우려가 생긴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이 케이싱 탑과 케이싱 파이프(제1 케이싱 파이프)와의 한쪽에 다른 쪽을 끼움 삽입하여 케이싱 탑을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서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케이싱 탑(12)의 상기 후단부측 내주부(12a)가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를 외측 끼움하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를 외측 끼움하는 케이싱 탑(12)의 외경이 일정하게 되는 동시에, 그 선단부의 굴삭 비트(15)의 헤드부(15a)에 있어서의 최대 외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따라서 이 굴삭 비트(15)에 의해 굴삭되는 굴삭 구멍의 내주와 상기 굴삭 공구 외주 사이의 간격은 후단부측일수록 크게 되어, 케이싱 파이프(11)의 외주에는 보다 큰 간격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굴삭 버력이 후단부측의 케이싱 파이프(11) 외주에까지 유입되어 이 케이싱 파이프(11)에 큰 외압 저항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외압 저항에 의해 케이싱 파이프(11)의 세워 버팀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케이싱 파이프(11)에 파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 한편, 이 케이싱 파이프(11) 선단부의 케이싱 탑(12)과 굴삭 구멍과의 간격은, 케이싱 파이프(11)보다는 작아, 이 케이싱 탑(12)을 가이드로서 굴삭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굴삭 구멍의 직진성을 확보하여 구멍 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구멍 휨에 의해 케이싱 파이프(11)에 저항이 작용하여 파손 등이 생기는 사태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 계지 기구(21)를 탄성 부재로서의 고정 링(21A)과 수납 오목부(21B)로 구성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이것을 도5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의 케이싱 계지 기구(41)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싱 파이프(11B)와 케이싱 탑(12)과의 한쪽의 내주에 다른 쪽을 끼움 삽입하여 제1 케이싱 파이프(11B) 선단부에 케이싱 탑(12)을 장착한 경우에, 이들 케이싱 탑(12)과 제1 케이싱 파이프(11B)와의 서로 끼움 삽입되는 내외주에 각각 형성된 서로 나사 결합 가능한 암수 나사산부(41A, 41B)와, 각 암수 나사산부(41A, 41B)에 연속하여 반대측의 나사산부(41B, 41A)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 상기 축선(O)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납 오목부(41C, 41D)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도5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나 후술하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이것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측 내주부의 선단부 모서리에 상기 암나사산부(41A)가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이것보다도 후단부측에는, 이 암나사산부(41A)의 암나사의 곡(谷)의 직경과 대략 동등 혹은 약간 큰 일정 내경으로 되고 상기 암나사산부(41A)에 대해 외주측으로 오목한 상기 수납 오목부(41C)가 암나사산부(41A)에 연속하여 상기 축선(O) 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 오목부(41C)의 후단부측은 내주측을 향하는 단차부(41a)를 통해, 케이싱 파이프(11)의 내경과 동등하게 된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후단부측 내주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암나사산부(41A)의 산(山)의 내경은 이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후단부측 내주부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 탑(12)의 후단부측 외주부의 후단부 모서리에는, 상기 암나사산부(41A)에 나사 장착 가능한 수나사산부(41B)가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이것보다도 선단부측에는, 이 수나사산부(41B)의 수나사의 곡의 직경과 대략 동등 혹은 약간 작은 일정 외경으로 되고 상기 수나사산부(41B)에 대해 내주측으로 오목한 상기 수납 오목부(41D)가 수나사산부(41B)에 연속하여 축선(O) 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 오목부(41D)의 선단부측은 외주측을 향하는 단차부(41b)를 통해 케이싱 탑(12)의 축선(O) 방향 중앙부의 외주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싱 탑(12)의 중앙부의 외경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출 통부(23)로 되는 선단부의 외경보다도 약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싱 탑(12)의 후단부측 내주부(12a)는, 그 내경이 디바이스(14)의 대직경으로 된 후단부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정도로 되는 동시에, 이 후단부측 내주부(12a)로부터 케이싱 탑(12)의 소직경으로 되는 중앙부 내주에 이르는 단차부도, 외주측의 평탄면(12b)은 제1 실시 형태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 단차부가 추력 타격 전달 수단(22)의 테이퍼면 형상의 단차부(22A)만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암나사산부(41A)에 수나사산부(41B)를 돌려 넣어 나사 결합시키고, 이 수나사산부(41B)를 더욱 돌려 넣어 가는 것에 의해, 수나사산부(41B)가 암나사산부(41A)를 지나쳐가 수납 오목부(41C)에 도달하는 동시에 암나사산부(41A)는 수납 오목부(41D)에 도달하고, 케이싱 탑(12)은 그 후단부가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측 내주부에 끼움 삽입된 상태에서 축선(O)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축선(O)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제1 케이싱 파이프(11B) 선단부에 장착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케이싱 계지 기구(41)에 있어서는, 이 상태로부터 케이싱 탑(12)이 제1 케이싱 파이프(11B)에 대해 선단부측으로 이동하고자 하면, 암나사산부(41A)의 후단부 모서리에 수나사산부(41B)의 선단부 모서리가 접촉한 부분에서 케이싱 탑(12)의 이동이 구속되어 선단부측에 계지되고, 그 이상은 재차 암수 나사산부(41A, 41B)를 나사 결합시켜 수나사산부(41B)를 암나사산부(41A)로부터 제거하도록 회전시키지 않으면 케이싱 탑(12)을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굴삭 중의 케이싱 탑(12)의 탈락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케이싱 계지 기구(41)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케이싱 탑(12)을 선단부측에 계지하여 이동 가능하게 장착한 후라도 암수 나사산부(41A, 41B)를 재차 나사 결합시켜 회전시키면 케이싱 탑(12)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일단 장착한 케이싱 탑(12)을 제거해야만 하는 사태가 일어나도 조작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케이싱 탑(12)의 축선(O) 방향 후단부측으로의 이동은, 이 케이싱 탑(12)의 후단부가 상기 단차부(41a)에 접촉하고, 또는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가 상기 단차부(41b)에 접촉하고, 혹은 이들 쌍방이 동시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구속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측 내주부에 케이싱 탑(12)의 후단부측 외주부가 내측 끼움되는 것으로 되지만, 케이싱 탑(12)의 후단부측 내주부(12a)에 암나사산부(41A)를 형성하는 동시에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측 외주부에는 이것에 나사 장착 가능한 수나사산부(41B)를 형성하여,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케이싱 파이프(11B) 선단부에 케이싱 탑(12)이 외측 끼움되도록 장착해도 좋고, 이것에 의해, 도5에 부호 U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굴삭 공구의 외주에 있어서 제1 케이싱 파이프(11B)의 선단부와 상기 단차부(41b)와의 사이에 노출되는 수납 오목부(41D) 내에 굴삭 버력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원활하고 또한 확실한 케이싱 탑(12)의 이동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나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디바이스(14)의 선단부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굴삭 비트(15)도, 그 스커트부(15b) 외주를 둘러싸는 장출 통부(23)를 구비한 케이싱 탑(12)에 대해 축선(O)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게다가 이 굴삭 비트(15)도 그 선단부측으로의 이동 범위를 구속하는 비트 계지 기구(24)를 통해 케이싱 탑(12)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케이싱 탑(12)이 제1 케이싱 파이프(11B)에 계지되는 것과 아울러, 그 선단부측으로의 부주의한 탈락 등을 방지할 수 있어, 굴삭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들 제1, 제2 실시 형태의 비트 계지 기구(24)는, 제1 실시 형태의 케이싱 계지 기구(21)와 동일하게 탄성적으로 직경 확대 축소 가능한 탄성 부재로서의 C자 형상의 고정 링(24B)과 상기 고정 링(24B)의 외주측 부분을 수용 가능한 수납 오목부(24A)로 구성되어 있고, 이 케이싱 계지 기구(21)와 마찬가지로 고정 링(24B)을 직경 축소시킨 상태에서 굴삭 비트(15)의 스커트부(15b)를 케이싱 탑(12)의 장출 통부(23) 내에 끼움 삽입하는 것만으로, 이 굴삭 비트(15)를 용이하게 계지하여 장착된다는 이점도 얻어진다. 또한, 이들 케이싱 계지 기구(21)나 비트 계지 기구(24)에 있어서의 직경 확대 축소 가능한 탄성 부재로서는, 상기 C자 형상의 금속제 고정 링(21A, 24B)의 이외에도, 수납 오목부(21B, 24A)에 수용되어 케이싱(12)이나 굴삭 비트(15)를 계지 가능한 것이면, 예를 들어 고무 링 등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단, 이 비트 계지 기구에 대해서도,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케이싱 계지 기구(41)와 마찬가지로 하여, 예를 들어 도6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의 비트 계지 기구(42)와 같이, 굴삭 비트(15)의 스커트부(15b) 외주부와 상기 장출 통부(23)의 내주부에 각각 형성된 서로 나사 결합 가능한 암수 나사산부(42A, 42B)와, 각 암수 나사산부(42A, 42B)에 연속하여 반대측의 나사산부(42B, 42A)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 축선(O)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납 오목부(42C, 42D)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즉, 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케이싱 탑(12)의 장출 통부(23)의 내주 선단부 모서리에 암나사산부(42A)가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굴삭 비트(15)의 스커트부(15b) 외주 후단부 모서리에는 이 암나사산부(42A)와 나사 장착 가능한 수나사산부(42B)가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암나사산부(42A)보다도 후단부측의 장출 통부(23) 내주부는 수나사산부(42B)를 수용 가능한 내경의 수납 오목부(42C)로 되 는 동시에, 수나사산부(42B)보다도 선단부측의 스커트부(15b) 외주부는 암나사산부(42A)를 수용 가능한 외경의 수납 오목부(42D)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그 비트 계지 기구(42)에 의해 굴삭 비트(15)의 선단부측으로의 이동 범위를 수납 오목부(42D, 42C)에 수용된 암수 나사산부(42A, 42B)가 서로 접촉할 때까지로 제한하면서, 상기 굴삭 비트(15)를 이동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케이싱 계지 기구(41)와 마찬가지로 일단 장착한 굴삭 비트(15)를 제거하는 것도 비교적 용이하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굴삭 비트(15)와 디바이스(14)의 외주에, 케이싱 탑(12)의 장출 통부(23)보다 선단부측의 굴삭 비트(15) 외주측과, 상기 로드(13)와 제1 케이싱 파이프(11B)도 포함한 케이싱 파이프(11)의 사이의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굴삭 비트(15)로부터 디바이스(14)의 후단부에 걸쳐, 도2에 부호 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굴삭 가루나 굴삭 버력의 흐름을 형성하는 굴삭 가루 홈(30, 26)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굴삭 가루 홈(30, 26)의 바닥면(30a, 26a)과 상기 바닥면(30a, 26a)에 대향하는 케이싱 탑(12) 및 케이싱 파이프[11(11B)]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간격이, 케이싱 탑(12)의 장출 통부(23)의 선단부에 있어서, 다른 부분의 간격[Y(Y1 내지 Y3)]보다도 작은 간격(X)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굴삭 가루 홈(30, 26)과 케이싱 탑(12) 및 케이싱 파이프[11(11B)]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공간에는, 굴삭 가루나 굴삭 버력의 입구로 되는 이 장출 통부(23) 선단부의 간격(X)보다도 큰 입자의 굴삭 가루나 굴삭 버력, 토사 등이 인입되는 일이 없으므 로, 이러한 입자가 큰 토사 등에 의해 굴삭 가루 홈(30, 26) 내에 막힘이 생기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고, 굴삭 가루나 굴삭 버력을 더욱 확실하게 로드(13)와 케이싱 파이프(11)와의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하여 후단부측으로 송출하고, 프론트 어댑터(19)의 상기 창부(19a)로부터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부가하여,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굴삭 비트(15)의 원통 형상의 스커트부(15b) 내주가, 디바이스(14)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구멍부(15d)로 되어 있고, 이 디바이스(14)의 선단부 외주에는 축선(O)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조부(27)가 형성되는 한편, 구멍부(15d) 내주에는 이 돌조부(27)가 삽입 관통 가능한 오목홈부(28)가 형성되어 있고, 굴삭시에는 디바이스(14)가 회전 방향(T)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돌조부(27)의 측벽(27e)이 오목홈부(28)의 측벽(28b)에 접촉되고, 디바이스(14)로부터의 회전력이 굴삭 비트(15)에 전달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디바이스(14)와 굴삭 비트(15)가 스플라인 끼워 맞춤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축(18)으로부터 로드 어댑터(16) 및 로드(13)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디바이스(14)로부터 확실하게 굴삭 비트(15)에 전달할 수 있어, 이 굴삭 비트(15)에 의해 효율적인 굴삭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굴삭 비트(15)의 구멍부(15d)로부터 디바이스(14)의 선단부를 일단 빼내서 분리한 후에 재차 삽입하여 굴삭 비트(15)를 디바이스(14) 선단부에 장착하는 경우라도, 이와 같은 스플라인 끼워 맞춤에 따르면 조작이 용이하고, 만일 돌조부(27)가 오목홈부(28)에 끼워 넣어져 있지 않을 때라도, 상기 비트 계지 기구(24, 42)에 의해 굴삭 비트(15)의 선단부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굴삭 비트(15)가 디바이스(14)에 의해 압출되어 탈락하는 일도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돌조부(27)의 외주면이 선단부측에서 한 단 낮게 되어 있는 동시에, 회전 방향(T)을 향하는 측벽(27e)의 선단부측 부분은 후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회전 방향(T)측을 향하는 오목 곡면 형상 혹은 경사면 형상으로 절결되어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굴삭 도중에 디바이스(14)를 굴삭 비트(15)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재차 디바이스(14)를 장착할 때에, 디바이스(14) 선단부를 구멍부(15d)에 삽입하기 쉽고, 또한 돌조부(27)와 오목홈부(28)와의 위상이 다소 어긋나 있어도, 굴삭 비트의 상기 돌출조(29)가 측벽(27e) 선단부의 상기 오목 곡면 혹은 경사면에 닿으면, 이 오목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안내되도록 하여 굴삭 비트(15)가 회전하여 돌조부(27)와 오목홈부(28)의 위상이 맞추어지므로, 굴삭 비트(15)의 재장착이 한층 용이하다.
그리고,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의 굴삭 공구에서는, 상기 돌조부(27)의 선단부(27a)가 회전 방향(T) 후방으로 돌출하는 L자형의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부로 되어 있는 동시에, 오목홈부(28)의 선단부측에는 이 선단부(27a)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28a)가 형성되어 피결합부로 되어 있고, 디바이스(14)를 회전 방향(T)의 후방으로 회전시켜 선단부(27a)를 오목부(28a)의 상기 돌출조(29)의 선단부측의 공간에 수용하고, 그 상태로 로드(13)를 통해 디바이스(14)를 후퇴시키면, 선단부(27a)의 후단부측을 향하는 측벽(27d)과 오목부(28a)의 선단부측을 향해 상기 측벽(27d)에 대향하는 측벽(28d)이 축선(O) 방향 후단부측을 향해 접촉하여 결합부와 피결합부가 결합하고, 이것에 의해 굴삭 비트(15)도 함께 후퇴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싱 탑(12)도 케이싱 계지 기구(21)에 의 해 케이싱 파이프(11)에 계지되어 있으므로, 디바이스(14)와 굴삭 비트(15)를 후퇴시키는 것과 아울러 케이싱 파이프(11)도 케이싱 탑(12)과 함께 후퇴시키면, 지상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굴삭 공구를 일체적으로 굴삭 구멍으로부터 후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굴삭 중에 재밍 등에 의해 굴삭 불능 상태에 빠진 경우라도, 굴삭 비트(15)를 케이싱 탑(12)에 계지하는 상기 비트 계지 기구(24)에 큰 부하를 작용시키는 일없이, 케이싱 파이프(11), 케이싱 탑(12), 로드(13), 디바이스(14), 및 굴삭 비트(15)를 일체로 후퇴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이 굴삭 불능 상태를 회피할 수 있고, 그 후에 원활하게 굴삭을 속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로 되는 상기 돌조부(27)의 선단부(27a)가 회전 방향(T) 후방측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것을, 회전 방향(T)측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굴삭시의 회전 방향(T)으로 로드(13) 및 디바이스(14)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피결합부와 결합 가능하게 하도록 해도 좋고, 또한 회전 방향(T)과 그 후방측으로 돌출하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T자형을 이루도록 하여 이들 회전 방향(T)과 그 후방의 양방향 어느 쪽으로 회전시켜도 결합 가능하게 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이 결합부를 돌조부(27)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대신에, 상기 결합부를 직경 방향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로서 형성하는 한편, 오목홈부(28)에는, 이 결합부도 포함하여 돌조부(27)를 삽입 관통 가능한 홈 깊이의 깊은 부분과, 디바이스(14)를 회전시켰을 때에 결합부를 제외한 돌조부(27)를 수용 가능한 홈 깊이가 얕은 부분을 인접하여 형성하고, 또한 이 홈 깊이가 얕은 부분에, 디바이스(14)를 회전시켰을 때에 결합부를 수용 가능한 깊은 오목부를 형성하여 피결합부로 하고, 이 오목부의 선단부측을 향하는 측벽에 상기 볼록부의 후단부측을 향하는 측벽을 접촉시켜 축선(O) 방향 후단부측에 상기 결합부와 피결합부를 결합 가능하게 하도록 해도 좋다. 단, 이와 같이 결합부를 직경 방향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로서 형성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홈부(28)에 홈 깊이가 깊은 부분을 형성해야만 하고, 이 부분에 있어서는 스커트부(15d)의 두께가 얇아져 버리므로, 결합부를 볼록부로 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주위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이 결합부를 디바이스(14)의 돌조부(27)가 이루는 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로 하는 동시에 피결합부를 이 볼록부가 수용 가능한 오목부로서 형성하는 것과는 반대로, 돌조부(27)의 예를 들어 후단부측 근방에 상기 돌조부(27)의 단면으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함몰하는 오목부를 형성하여 결합부로 하는 한편, 오목홈부(28)측에는 상기 돌조부(27)를 삽입 관통한 후 디바이스(14)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오목부에 끼워 넣어 후단부측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피결합부로 하도록 해도 좋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관점을 바꾸면, 디바이스(14) 선단부 외주의 상기 돌조부(27)에 형성된 오목부(27b)가 상기 결합부로 되는 오목부로 되고, 이 오목부(27b)에, 굴삭 비트(15)의 구멍부(15d)의 인접하는 오목홈부(28)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조(29)가, 상기 피결합부로서의 돌출부로서 끼워 넣어져 후단부측에 결합되어 있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굴삭 공구의 상기 케이싱 파이프(11)는, 최선단부의 제1 케이싱 파이프(11B)도 포함하여 케이싱 탑(12)과 동일한 강재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예를 들어 터널의 굴삭 공사 등에 있어서는, 터널의 본 구멍을 굴삭하는 지반의 주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은 굴삭 공구에 의해 굴삭 구멍을 형성하여 케이싱 파이프(11)를 세워 버티고, 이 케이싱 파이프(11)로부터 약액을 주입하여 지반을 안정시켜 둔 후, 세워 버텨진 케이싱 파이프(11)마다 지반을 굴삭하여 터널 본 구멍을 굴삭하는 경우가 있고, 그와 같은 경우에는 케이싱 파이프(11)는 터널 본 구멍 굴삭시에 파괴되기 쉽도록, 수지제나 경우에 따라서는 종이제 등 케이싱 탑(12)보다도 저강도의 재질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는, 이와 같은 저강도의 케이싱 파이프(11)를 이용하면, 세워 버팀시의 저항에 의해 케이싱 파이프(11)에 파손이 생겨 버릴 우려가 높아, 굴삭 조건 등이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것에 반해 상기 구성의 굴삭 공구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 탑(12)이 제1 케이싱 파이프(11B)에 대해 축선(O)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로드(13)로부터 디바이스(14)를 통해 전달되는 타격력 및 추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케이싱 세워 버팀시의 저항은 오로지 케이싱 탑(12)에만 작용하는 것으로 되므로, 제1 케이싱 파이프(11B)를 비롯한 케이싱 파이프(11)로의 저항은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게다가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만일 재밍 등이 발생하여 굴삭 공구를 후퇴시키는 경우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굴삭 비트(15)는 디바이스(14)에 결합하여 후퇴시키기 때문에 케이싱 파이프(11)에는 기껏해야 케이싱 탑(12)까지를 후퇴시키는 인장력을 부여하면 좋고, 따라서 케이싱 파이프(11)가 저강도의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그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은 굴삭에 이용하기에 특히 효과적이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굴삭 공구에 따르면, 구멍 굴삭시, 굴삭 비트를 항상 포위한 상태에서 케이싱 탑을 굴삭 구멍에 세워 버틸 수 있으므로, 굴삭 구멍벽의 붕락을 방지하여 굴삭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토사 등에 대한 충분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도 있고, 또한 케이싱 파이프에 케이싱 탑이 장착되어 있어도, 케이싱 탑에 타격력이나 추력을 감쇠시키는 일없이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고, 케이싱 탑을 확실하게 세워 버틸 수 있어, 구멍 굴삭을 확실하고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 케이싱 탑은 케이싱 파이프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세워 버팀시에 케이싱 파이프에 과대한 저항이 작용하는 일이 없고, 또한 걸쳐지는 케이싱 파이프와 로드 사이에 치수 오차 등이 있었다고 해도, 이것을 케이싱 탑의 이동에 의해 조정할 수 있어, 추력 타격 전달 수단에 의해 확실하게 케이싱 탑에 추력 타격력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선단부측 부분의 측단면도.
도3은 도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디바이스(굴삭 공구 본체)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3의 (a)는 선단부측에서 본 정면도, 도3의 (b)는 측면도, 도3의 (c)는 후단부측에서 본 배면도, 도3의 (d)는 도3의 (a)에 있어서의 AA 측단면도(쇄선 부분은 BB 단면도).
도4는 도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굴삭 비트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4의 (a)는 선단부측에서 본 정면도, 도4의 (b)는 측면도, 도4의 (c)는 후단부측에서 본 배면도[단, 고정 링(24)은 도시 생략].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선단부측 부분의 측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선단부측 부분(굴삭 비트 주변)의 측단면도.
도7은 종래의 굴삭 공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8은 종래의 굴삭 공구에 발생하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케이싱 파이프
11B : 제1 케이싱 파이프
12 : 케이싱 탑
13 : 로드
14 : 디바이스(굴삭 공구 본체)
15 : 굴삭 비트
15d : 구멍부
21, 41 : 케이싱 계지 기구
21A, 24B : 고정 링(탄성 부재)
21B, 24A, 41C, 41D, 42C, 42D : 수납 오목부
22 : 추력 타격 전달 수단
23 : 장출 통부
24, 42 : 비트 계지 기구
26, 30 : 굴삭 가루 홈
26a, 30a : 굴삭 가루 홈(26, 30)의 바닥면
27 : 돌조부
28 : 오목홈부
31 : 칩
41A, 42A : 암나사산부
41B, 42B : 수나사산부
O : 케이싱 파이프의 축선
T : 굴삭시의 로드(13)의 회전 방향
X : 케이싱 탑(12)의 장출 통부(23) 선단부에 있어서의 굴삭 가루 홈(30)의 바닥면(30a)과의 사이의 간격

Claims (13)

  1. 축선 방향으로 추력과 타격이 전달되는 케이싱 파이프와, 이 케이싱 파이프의 내부에 동심 상에 배치되어 있어 축선 방향으로 추력과 타격이 전달되는 동시에 회전력이 전달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선단부에 부착된 굴삭 공구 본체와, 상기 굴삭 공구 본체의 선단부에 이 굴삭 공구 본체에 대한 회전이 구속되어 장착되는 굴삭 비트를 구비한 굴삭 공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파이프의 선단부에는, 상기 케이싱 파이프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원통 형상의 케이싱 탑이 상기 굴삭 공구 본체에 외측 끼움되도록 하여 부착되고,
    상기 케이싱 탑의 선단부에는, 상기 굴삭 비트의 외주부까지 길게 비어져 나오는 장출(張出) 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탑의 내주부 및 상기 굴삭 공구 본체의 외주부 사이에, 상기 로드에 전달된 추력과 타격을 상기 케이싱 탑에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 탑을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추력 타격 전달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탑은, 상기 케이싱 파이프에 대한 상기 축선 방향의 적어도 선단부측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케이싱 계지 기구를 통해 상기 케이싱 파이프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 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탑과 케이싱 파이프는 한쪽의 내주에 다른 쪽이 끼움 삽입되어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 계지 기구는, 이들 케이싱 탑과 케이싱 파이프와의 서로 끼움 삽입되는 내외주 중, 한쪽에 부착된 상기 축선에 대한 직경 방향으로 직경 확대 축소 가능한 탄성 부재와, 다른 쪽에 이 탄성 부재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 수납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 공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탑과 케이싱 파이프는, 한쪽의 내주에 다른 쪽이 끼움 삽입되어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 계지 기구는, 이들 케이싱 탑과 케이싱 파이프와의 서로 끼움 삽입되는 내외주에 각각 형성된 서로 나사 결합 가능한 암수 나사산부와, 각 암수 나사산부에 연속하여 반대측의 나사산부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납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 공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삭 비트는 상기 케이싱 탑에 대해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이 케이싱 탑에 대한 상기 축선 방향의 적어도 선단부측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비트 계지 기구를 통해 상기 케이싱 탑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 공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계지 기구는, 상기 굴삭 비트의 외주부와 상기 장출 통부의 내주부 중, 한쪽에 부착된 상기 축선에 대한 직경 방향으로 직경 확대 축소 가능한 탄성 부재와, 다른 쪽에 이 탄성 부재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 수납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 공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계지 기구는, 상기 굴삭 비트의 외주부와 상기 장출 통부의 내주부에 각각 형성된 서로 나사 결합 가능한 암수 나사산부와, 각 암수 나사산부에 연속하여 반대측의 나사산부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납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 공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탑의 최대 직경부의 외경은 상기 굴삭 비트의 최대 외경 이하이고, 또한 상기 케이싱 파이프의 외경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 공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탑과 케이싱 파이프는, 상기 케이싱 탑의 내주에 상기 케이싱 파이프의 선단부가 끼움 삽입되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 공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삭 비트의 후단부에는 상기 굴삭 공구 본체의 선단부가 삽입 가능한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굴삭 공구 본체의 선단부 외주에는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조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구멍부의 내주에는 상기 돌조부가 삽입 관통 가능한 오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삭 공구 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조부의 측벽이 상기 오목홈부의 측벽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굴삭 비트는 상기 굴삭 공구 본체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 공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굴삭 공구 본체의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조부에는,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이 이 돌조부에 대해 돌출 또는 함몰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오목홈부에 상기 돌조부와 결합부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굴삭 공구 본체의 선단부를 상기 구멍부에 삽입한 후 상기 굴삭 공구 본체를 상기 축선 주위의 주위 방향의 적어도 한쪽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부와 상기 축선 방향 후단부측을 향해 결합 가능한 피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 공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삭 비트와 상기 굴삭 공구 본체의 외주에는, 상기 케이싱 탑의 장출 통부보다 선단부측의 상기 굴삭 비트 의 외주측과, 상기 로드와 상기 케이싱 파이프와의 사이의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굴삭 비트로부터 상기 굴삭 공구 본체의 후단부에 걸쳐, 굴삭 가루 홈이 형성되고,
    이 굴삭 가루 홈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대향하는 상기 케이싱 탑 및 케이싱 파이프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간격은, 상기 케이싱 탑의 장출 통부의 선단부에 있어서 가장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 공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싱 탑보다도 강도가 낮은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 공구.
KR1020070088870A 2007-06-29 2007-09-03 굴삭 공구 KR200900030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72218A JP2009007890A (ja) 2007-06-29 2007-06-29 掘削工具
JPJP-P-2007-00172218 2007-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074A true KR20090003074A (ko) 2009-01-09

Family

ID=4032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870A KR20090003074A (ko) 2007-06-29 2007-09-03 굴삭 공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9007890A (ko)
KR (1) KR200900030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934B1 (ko) * 2009-03-11 2010-01-27 주식회사 젠트로 관부재 압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9785B2 (ja) * 1997-01-20 2001-12-1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二重管式掘削工具
JP3750516B2 (ja) * 2000-04-25 2006-03-0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掘削工具
JP3903881B2 (ja) * 2001-09-26 2007-04-1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掘削工具
JP3952266B2 (ja) * 2001-12-04 2007-08-01 株式会社ティーエフティー 二重管式掘削工具
JP4039181B2 (ja) * 2002-08-28 2008-01-3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掘削工具
JP4001346B2 (ja) * 2004-10-05 2007-10-31 鹿島建設株式会社 削孔装置
JP2007077769A (ja) * 2005-09-16 2007-03-29 Toho Kinzoku Co Ltd 削孔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934B1 (ko) * 2009-03-11 2010-01-27 주식회사 젠트로 관부재 압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07890A (ja)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7857B2 (ja) 掘削工具および掘削工法
JP2007528459A (ja) ワンパス穿孔装置
CA2609737C (en) Method and device for drilling, particularly percussion or rotary percussion drilling, a hole in soil or rock material
JP3903881B2 (ja) 掘削工具
JP4767307B2 (ja) 二重管式掘削装置
KR101081176B1 (ko) 말뚝공 천공용 햄머 장치, 햄머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햄머 물 공급 장치, 말뚝공 천공용 소음장치, 이들을 구비한 햄머 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공 시공 방법
JP4765950B2 (ja) 掘削工具および掘削工法
KR20090003074A (ko) 굴삭 공구
JP4001346B2 (ja) 削孔装置
JP4962129B2 (ja) 掘削工具
JP6542179B2 (ja) 芯材埋設工法
JP6507012B2 (ja) 二重管削孔工具
JP6470601B2 (ja) ロックボルト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6291660A (ja) 二重管削孔装置及び小口径二重管削孔装置を用いたアンカー材設置方法
JP4039181B2 (ja) 掘削工具
KR101508992B1 (ko) 확장형 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
FI128450B (fi) Poralaite maaputken asentamiseksi maaperään
JP2006265993A (ja) 地盤の安定化用管体設置工法、トンネルの先受け工法及びそれに用いる掘削装置
JP3388723B2 (ja) 削孔装置及び削孔方法
KR101029579B1 (ko) 말뚝공 천공용 소음장치
KR101081174B1 (ko) 햄머 물 공급 장치
JP5033062B2 (ja) 掘削ビット
JP2920590B2 (ja) 穿孔装置
JP6366028B1 (ja) 掘削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7436983B2 (ja) 削孔ビ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