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954U - 직화용 육류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직화용 육류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954U
KR20090001954U KR2020070014129U KR20070014129U KR20090001954U KR 20090001954 U KR20090001954 U KR 20090001954U KR 2020070014129 U KR2020070014129 U KR 2020070014129U KR 20070014129 U KR20070014129 U KR 20070014129U KR 20090001954 U KR20090001954 U KR 200900019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mp
drip tray
hous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정로
Original Assignee
채정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정로 filed Critical 채정로
Priority to KR2020070014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954U/ko
Publication of KR200900019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95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류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과정에서 육류로부터 발생되는 기름이 열원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연기나 냄새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도록 한 직화용 육류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환기공(110)이 형성된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는 화로(200);
상기 하우징 상부에 얹혀지는 기름받이 본체(310)와, 기름받이 본체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주름면이 형성된 기름받이판(320)과, 상기 기름받이판의 각 주름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330)과, 상기 기름받이판의 길이방향 양측의 기름받이 본체 하부면에 출납가능하게 설치되는 기름받이통(340)을 구비하여 하우징 상부에 놓여지는 기름받이(300); 및
상기 기름받이판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이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P2020070014129
직화, 조리, 기름받이, 구이

Description

직화용 육류 조리장치{Roaster for barbecue}
본 고안은 육류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과정에서 육류로부터 발생되는 기름이 열원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연기나 냄새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도록 한 직화용 육류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화용 육류조리장치는 조리되는 육류가 하부에 위치된 열원에 직접 노출되도록 석쇠나 중앙에 통공이 다수 형성된 구이판을 통해 조리가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조리과정에서 육류로부터 발생된 기름이 하부의 열원으로 낙하하면서 다량의 연기와 냄새를 발생시키게 된다. 더욱이 열원으로 낙하된 기름에 불이 붙고 튀면서 안전사고의 위험도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열악한 조리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업소에서는 별도의 환기장치를 설치하고 있으나 그 설치비용이 과다하여 업소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고, 가정에서는 적절한 환기장치를 구비할 수 없기 때문에 직화방식으로 육류를 조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결국, 업소나 가정에서는 주로 가장자리로 기름이 배출되도록 중앙이 상부로 만곡된 구이판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직화용 육류조리장치는 기름의 상당량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기름이 열원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으나, 구이판에 형성된 통공들을 통해 여전히 기름이 열원으로 낙하되므로 기름이 열원으로 낙하하는 현상을 완벽하게 해결하지는 못하므로 야외에서나 사용이 가능할 뿐, 여전히 환기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가정과 같은 실내에서는 그 사용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비롯한 식재료가 열원으로 낙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직화용 육류조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환기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는 화로와, 상기 하우징 상부에 얹혀지는 기름받이 본체와 기름받이 본체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주름면이 형성된 기름받이판과 상기 기름받이판의 각 주름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과 상기 기름받이판의 길이방향 양측의 기름받이 본체 하부면에 출납가능하게 설치되는 기름받이통을 구비하여 하우징 상부에 놓여지는 기름받이와, 상기 기름받이판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이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이판은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와이어를 엮어서 제작된 판상의 구이망과, 상기 구이망 내부에 담겨진 다수의 맥반석 조각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직화용 육류조리장치에 의하면, 구이판 하부에 기름받이판을 배치하여 구이판으로부터 낙하되는 육류의 기름이나 식재료 등이 화로로 낙하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를 최소화시켜 별도의 환기장치를 구비하지 못한 실내에서도 직화구이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기름받이판에 주름을 형성시켜 육류로부터 발생된 기름의 주름을 따라 용이하게 배출되며, 배출된 기름은 기름받이통에 모두 모이게 되므로 조리장치의 사용이 간편하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되는 화로(200)와, 하우징(100) 상부에 놓여지는 기름받이(300)와, 상기 기름받이판(320)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이판(4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서, 일측으로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100)은 내부에 화로(200)가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바닥에 놓여질 수 있으나 통상 업소의 경우에는 미관이나 안전을 고려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식탁(1) 중앙에 매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기름받이(300)는 상기 하우징(100) 상부에 얹혀지는 기름받이 본체(310)와, 기름받이 본체(310)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주름면이 형성된 기름받이판(320)과, 상기 기름받이판(320)의 각 주름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330)과, 상기 기름받이판(320)의 길이방향 양측의 기름받이 본체(310) 하부면에 출납가능하게 설치되는 기름받이통(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름받이 본체(310)는 하부에 위치된 화로(200)의 열기가 상부에 위치되는 구이판(40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311)를 가진다. 기름받이 본체(310)의 내측에는 기름받이판(320)이 기름받이 본체(310)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거치된다.
상기 기름받이 본체(310)의 내벽면에는 기름받이판(320)을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거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편(312)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기름받이 본체(310)의 바닥에는 기름받이통(340)의 더 이상의 진입을 막는 스토퍼(313)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기름받이판(320)은 길이방향으로 주름면이 형성된 박판으로서, 상기 주름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골(321)이 형성된다. 상기 기름받이판(320)은 기름받이 본체(310) 내벽면에 부착된 지지편(312)들을 통해 수평상태로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주름면에는 통공(330)이 형성된다. 이 통공(330)은 하부에 위치된 화로(200)의 열기가 상부에 위치된 구이판(40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통공(330)은 가장자리부가 상측을 융기되게 가공된다. 이는, 기름받이판(320)으로 낙하하는 기름이 주름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통공(330)의 내부로 흘러들어 하부에 위치된 화로(200)로 낙하되지 않도록 통공(330)으로의 기름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름받이판(320) 후면으로부터 펀칭가공을 통해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기름받이통(340)은 기름받이 본체(310) 하부면에 출납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기름받이판(32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설치된다. 이는 기름받이판(320)으로 낙하된 기름이 기름받이판(320)의 골(321)을 따라서 기름받이판(32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흘러내리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기름받이통(340)에는 출납이동이 용이하도록 손잡이(341)이 부착된다.
상기 구이판(400)은 기름받이판(320) 상에 얹혀져 수평으로 지지된다. 이때, 상기 구이판(400)은 석쇠를 포함하여 직화구이가 가능하도록 구이판이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와이어를 엮어서 제작된 판상의 구이망(410)과 상기 구이망(410) 내부에 담겨진 다수의 맥반석 조각(420)들로 구성된 구이판(400)을 예시하였다. 이 경우, 직화구이가 가능하고 조리과정에서 맥반석 조각(420)들로부터 음이온이 발생되므로 조리된 음식의 맛이 뛰어나다.
한편, 상기 기름받이판(320)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수직플랜지(3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구이판(400)은 상기 수직플랜지(322)의 내측으로 가이드되어 위치된다. 또한, 상기 수직플랜지(322)에는 기름받이판(320)을 기름받이 본체(310)로부터 견인할 수 있도록 견인공(32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직화용 육류조리장치에 의하면, 화로(200)의 열이 기름받이 본체(310)를 거쳐 기름받이판(320)에 형성된 통공(330)을 통해 구이판(400)으로 직접 전달되므로 직화구이가 가능하다.
또한, 조리과정에서 육류로부터 발생된 기름이 구이판(400)을 거쳐 기름받이판(320)으로 낙하하게 되며, 낙하된 기름은 기름받이판(320)의 주름면을 따라 기름받이판(320)에 형성된 골(321)들로 모이게 된다. 이때, 주름면에 형성된 통공(330)들은 가장자리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융기되어 있어서 주름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기름들은 모두 골(321)에 모이게 된다. 따라서, 하부의 화로(200)측으로 기름이 낙하되지 않게 되므로 조리중 연기나 냄새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화재의 위험이 적다.
아울러, 구이판(400)을 통해 식재료가 낙하된다 하더라도 하부에 기름받이판(320)이 화로(200)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막아주므로 이로 인한 조리중 연기나 냄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름받이판(320)에 형성된 골(321)에 모이는 기름들은 기름받이판(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배출되며, 배출된 기름들은 모두 기름받이통(340)에 의해 수거되므로 조리장치의 사용이 간편하고 조리장치의 청결상태를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직화용 육류조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직화용 육류조리장치의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하우징 110...환기공
200...화로 300...기름받이
310...기름받이 본체 312...지지편
313...스토퍼 320...기름받이판
330...통공 340...기름받이통
400...구이판 410...구이망
420...맥반석 조각

Claims (2)

  1. 환기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는 화로;
    상기 하우징 상부에 얹혀지는 기름받이 본체와, 기름받이 본체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주름면이 형성된 기름받이판과, 상기 기름받이판의 각 주름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과, 상기 기름받이판의 길이방향 양측의 기름받이 본체의 하부면에 출납가능하게 설치되는 기름받이통을 구비하여 하우징 의 상부에 놓여지는 기름받이; 및
    상기 기름받이판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이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용 육류조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은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와이어를 엮어서 제작된 판상의 구이망과, 상기 구이망 내부에 담겨진 다수의 맥반석 조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용 육류조리장치.
KR2020070014129U 2007-08-27 2007-08-27 직화용 육류 조리장치 KR200900019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129U KR20090001954U (ko) 2007-08-27 2007-08-27 직화용 육류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129U KR20090001954U (ko) 2007-08-27 2007-08-27 직화용 육류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954U true KR20090001954U (ko) 2009-03-04

Family

ID=41503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129U KR20090001954U (ko) 2007-08-27 2007-08-27 직화용 육류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95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6103A (zh) * 2016-02-28 2017-09-05 王建明 烧烤架
KR101891962B1 (ko) * 2017-09-26 2018-08-27 나형배 훈연용 그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훈연 구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6103A (zh) * 2016-02-28 2017-09-05 王建明 烧烤架
KR101891962B1 (ko) * 2017-09-26 2018-08-27 나형배 훈연용 그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훈연 구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3105B1 (en) Air-based fryer pan
US5211105A (en) Smokeless and scorchless grill pan
KR20060131915A (ko) 그릴 팬
KR100866157B1 (ko) 직화식 구이판
KR20130004314A (ko) 개선된 수직형 그릴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US20180153347A1 (en) Side-surface direct-flame roasting device
US3427957A (en) Frying pan insert
US20170332840A1 (en) Cooktop Insert
CN107087998B (zh) 烤架和烤箱
US4436023A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and extracting smoke
US8714077B2 (en) Sandwich bun toasting and warming apparatus
KR20100108874A (ko) 화염이 직접 고기에 닿지 않는 이중 직화식 구이판
KR20090001954U (ko) 직화용 육류 조리장치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120006289A (ko) 구이판
KR20100098772A (ko) 처마형불판
KR101380623B1 (ko) 다기능 무연 구이기
KR101118792B1 (ko) 바비큐 장치
JP2006029622A (ja) 加熱調理用受け皿セット及び加熱調理器
KR20090006431U (ko) 육류조리용 불판
KR100589061B1 (ko)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
CN111713987A (zh) 用于烹饪食物的设备
CN217365460U (zh) 烹饪设备和电动工作台面烹饪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