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061B1 -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061B1
KR100589061B1 KR1020040046192A KR20040046192A KR100589061B1 KR 100589061 B1 KR100589061 B1 KR 100589061B1 KR 1020040046192 A KR1020040046192 A KR 1020040046192A KR 20040046192 A KR20040046192 A KR 20040046192A KR 100589061 B1 KR100589061 B1 KR 100589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charcoal
main body
air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1050A (ko
Inventor
신윤건
Original Assignee
신윤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윤건 filed Critical 신윤건
Priority to KR1020040046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061B1/ko
Publication of KR20050121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화기에 의해 육류를 굽는 방식을 채용하여, 육류가 타지 않고 연기가 나지 않으면서 신속하게 익을 수 있도록 하고, 익힌 육류가 오랫동안 식지 않도록 하여 육류의 맛을 제고시킬 수 있는 간접화기방식에 의한 육류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측부에 숯통 안착부가 마련되며, 전후면의 소정위치에는 열기배출슬롯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본체; 일측면 소정위치에 공기유입홀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열기를 본체의 중앙부 공간측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열기확산공간부가 구획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열기로 교환하기 위한 숯불이 내재되어 상기 본체의 숯통 안착부에 놓여지는 숯통; 상기 본체의 일측 외면에서 타측 외면으로 배치되어 상기 숯통의 공기유입홀측으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제공수단; 일측은 상기 본체의 열기배출슬롯에 배치되며, 타측은 상기 공기제공수단에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와 열기배출슬롯을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열기를 흡입하여 공기제공수단측으로 순환시키는 열공기 순환수단; 및 상기 본체의 숯통 안착부를 가로질러 장착되며, 숯통의 공기유입홀의 개폐각도를 조절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를 제공한다.
간접화기, 육류구이, 댐퍼, 흡기덕트, 배기덕트, 흡기팬 모터

Description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A meat oven apparatus bakable meat with indirect hot air}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기구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3은 도2의 조립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의 일부 상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3의 정단면도.
도6은 도3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02: 숯통 안착부
104: 공기배기실 106: 공기이동홀
108: 배기관 110: 배기덕트
112: 흡기팬 모터 114: 열기배출슬롯
116: 흡기덕트 18: 제1 가이드레일
120: 숯통 126: 레버
128: 댐퍼 130: 핀
132: 가압 스프링 134: 이탈방지와셔
136: 지지돌기 140: 이중덮개판
142: 힌지 144: 제2 가이드 레일
146: 기름받이판 200: 석쇠
삭제
본 발명은 간접적으로 제공되는 화기에 의해 각종 육류를 구울 수 있는 숯불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화열에 의한 구이방식 대신에 간접 화기에 의해 육류를 익히도록 함과 동시에 육류를 익히는데 사용된 열기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가정 등에서 불고기, 갈비, 등심, 로스등의 육류를 구울 때 사용하는 기구에는 육류의 종류나 조리 방식에 따라 다양한 구이판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불고기 구이를 할 때 사용하는 반구 형태의 다공판이 있고, 숯불에 사용하는 석쇠 형태의 구이판이 있으며, 삼겹살 등을 구울 때 사용하는 철판 형태의 것이 있다.
이들 중 어떤 구이판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위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구이 기구들은 숯불과 같은 열기가 직접 전달되어 냉각수판 위에 설치된 구이판의 육류를 굽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최근에는 고기구이판을 제작할 때 기름배출홀을 일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성하여 기름이 배출되게 하거나, 가마솥과 같이 중앙부위를 불룩하게 구성하여 기름이 고기구이판의 테두리로 배출되도록 한 다양한 형태의 고기구이판이 등장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일반적인 고기구이판들은 고기를 불판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하부로부터 열을 직접 가열하여 열기가 불판으로 직접 전달되고, 불판은 그 열에 의해 고기를 굽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고기가 익기는 하지만, 그 특유의 풍미가 사라지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고기구이판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열손실이 많고 고기가 골고루 익지 않고, 연기가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고기구이판들은 직화열에 의해 고기를 굽는 방식이기 때문에,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냉각수판에 채워진 냉각수에 기름기가 떨어져 기름이 튀고, 고기가 타면서 발생되는 연기가 실내공기를 오염시켜 옷에 냄새가 베는 등 고객들에게 많은 불편을 주고 있다. 음식점에서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연기 배출을 위한 별도의 배연(排煙) 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배연시설은 일예로 천정에 덕트를 설치하고, 덕트에 연결된 흡입구를 구이판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연장치는 흡입구와 덕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또 많은 비용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각각 놓여진 구이판의 위치로 흡입구와 덕트들이 연결되어 있어야 하므로 외관이 나빠지고, 석쇠의 근접부에 위치된 흡입덕트로 인해 이용자들의 시야를 가리는 불편이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배연장치의 다른 일예가 도1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1)에 의하여 작동되는 팬이 내부에 설치되고, 배기실(12)과 흡기실(13)이 상,하에 각각 구획 형성된 흡/배기부재(T)가 테이블(1)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기실(13)에는 흡기호스(14)가 연결되고, 배기실(12)에는 배기호스(15)가 연결되며, 흡기실(14)의 입구측에 필터(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1)의 상부에는 흡기관(24)을 집진케이스(21)의 외부로 노출시킨 집진기(R)가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장치는 집진기(R)가 테이블(1)의 상부측에 위치됨으로써, 마주앉은 이용자들의 시야를 가려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하며, 주위 공기흐름에 따른 연기의 진행방향이 바뀔 경우 이를 포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간접화기에 의해 육류를 굽는 방식을 채용하여, 육류가 타지 않고 연기도 나지 않으면서 신속하게 익을 수 있도록 하고, 익힌 육류가 오랫동안 식지 않도록 하여 육류의 맛을 제고시킬 수 있는 간접화기방식에 의한 육류구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육류를 익히는데 사용된 화기의 순환방식으로 인하여 전기료 사용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석쇠의 교환이나, 청소를 자주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건비등의 부대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육류를 구울때 연기가 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연기순환덕트시설이 필요없는 간접화기방식에 의한 육류구이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부에 숯통 안착부가 마련되며, 전후면의 소정위치에는 열기배출슬롯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본체; 일측면 소정위치에 공기유입홀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열기를 본체의 중앙부 공간측으로 발산할 수있도록 열기확산공간부가 구획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열기로 교환하기 위한 숯불이 내재되어 상기 본체의 숯통 안착부에 놓여지는 숯통; 상기 본체의 일측 외면에서 타측 외면으로 배치되어 상기 숯통의 공기유입홀측으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제공수단; 일측은 상기 본체의 열기배출슬롯에 배치되며, 타측은 상기 공기제공수단에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와 열기배출슬롯을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열기를 흡입하여 공기제공수단측으로 순환시키는 열공기 순환수단; 및 상기 본체의 숯통 안착부를 가로질러 장착되며, 숯통의 공기유입홀의 개폐각도를 조절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2 내지 도6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간접화기방식에 의한 육류구이장치는 육류가 타지 않고 별도의 배연시설없이도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연기가 나지 않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석쇠측으로 직접 열이 전달되는 직화열이 아닌 간접적으로 열기가 석쇠에 제공되도록 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관통되며, 외관의 양측부가 좁고 전후면은 넓게 형성되도록 단차지게 절곡된 본체(10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0)는 스테인레스나 양철판을 절곡시켜 제작한다. 상기 본체(100)의 양측 단차부 공간 내부에는 숯통 안착부(102)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숯통 안착부(102)의 하부에 공기배기실(104)이 형성된다. 상기 숯통 안착부(102)와 단차부 내면 사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공기이동홀(106)이 형성되어 공기배기실(104)과 연통한다. 상기 양측 공기배기실(104)에는 배기관(108)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관(108)에는 순환덕트(110)가 연결된다. 상기 순환덕트(110)상에는 흡기팬 모터(112)가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순환덕트(110)로 제공하며, 또한 석쇠(200)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후술하는 흡기덕트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100)의 전,후면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열기배출슬롯(114)이 형성되고, 상기 열기배출슬롯(114)은 본체(100)의 전,후외면에 장착되는 흡기덕트(116)와 연통한다. 상기 흡기덕트(116)는 본체(100)의 외면에 구비된 제1 가이드레일(118)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기팬모터(112)에서 제공된 공기는 순환덕트(110)를 통해 공기배기실(104)로 유입되며, 상기 공기배기실(104)에 채워진 공기는 공기이동홀(106)로 안내되어 후술할 숯통을 거쳐 본체(100)의 내부 중앙으로 송풍되고, 다시 열기배출술롯(114)을 통해 배출되어 흡기덕트(116)로 흡입된다. 상기 흡기덕트(116)에서 이동되는 공기는 흡기팬모터(112)의 가동에 의해 흡입되어 순환덕트(110)로 보내지는 일련의 순환과정을 거친다.
상기 본체(100)의 숯통 안착실(102)에는 일측면 하부에 공기 유입홀(120a)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창살(122)이 구비되며, 숯불이 내재되는 숯통(120)이 위치된다. 상기 숯통(120)의 일측면 상부에는 집게등으로 집어 운반시킬 수 있는 걸이홈판(124)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숯통(120)은 그의 공기유입홀(120a)이 공기이동홀(106) 방향으로 위치되어 숯통 안착부(102)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 본체(100)의 숯통안착부(102)에는 레버(126)가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장착되며, 상기 레버(126)의 축에는 숯통(120)의 공기 유입홀(120a)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댐퍼(128)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레버(126)의 축 일단부에는 핀(130)과, 상기 핀(130)과 레버(126)의 축에 끼워지는 가압 스프링(132)과, 상기 가압 스프링(13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와셔(134)가 설치된다. 이들 핀(130), 가압 스프링(132) 및 와셔(134)의 조합구조는 가압스프링(130)이 탄성력으로 핀(130)을 밀도록 작용하여, 레버(126)을 움직여 댐퍼(128)의 각도를 조절한 후의 댐퍼(128)의 위치를 고정시켜 준다.
상기 본체(100)의 열기배출술롯(114)의 하부에는 동일선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지지돌기(136)가 설치된다. 이 지지돌기(136)는 석쇠(200)를 거치시켜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본체(100)는 양측 숯통 안착부(102)를 차폐하기 위한 이중덮개판(140)이 힌지(14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이중덮개판(140)의 상면에는 익혀진 고기를 모아두기 위해 함몰시킨 쟁반홈(140a)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저면 양측에는 제2 가이드 레일(144)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레일(144)에는 석쇠(200)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 회수하기 위한 기름받이판(146)이 끼워져 지지된다.
상기 본체(100)의 전,후면 상단부에는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거치대(150)가 구비되어 테이블에 걸쳐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거치대(도시하지 않음)를 매개로 테이블에 본체(100)가 걸쳐지고, 숯불이 숯통(120)내에 채워진 상태로 본체(100)의 숯통 안착부(102)에 위치되고, 석쇠(200)가 지지돌기(136)상에 얹혀져 육류를 구울 준비상태를 완료한다.
그리고, 흡기팬모터(112)를 가동하게 되면,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순환덕트(110)를 통해 본체의 양측 공기배기실(104)에 유입된다. 이어서 상기 공기배기실(104)에 머무르는 공기는 공기이동홀(106)로 안내되어 숯통(120)의 공기유입홀(120a)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댐퍼(128)는 레버(126)에 의해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조절된다. 즉, 숯통(120)의 공기유입홀(120a)을 완전 개방하도록 공기유입홀(120a)을 기준으로 대략 30°방향으로 열려져 있게 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숯통(120)에 유입된 공기는 숯불과의 열교환에 의해 뜨거운 열기로 변환되어 본체(100)의 내부 중앙부를 향하여 발산되어 석쇠(200)를 달구게 되고, 이에 따른 열기에 의해 육류가 익게 된다. 따라서, 육류가 직화열을 받지 않고, 간접적으로 열기를 접하기 때문에, 타지 않게 되는 것이며, 연기도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육류와 석쇠의 접촉면적을 작게할 수 있어 상기 석쇠(200)는 기존의 석쇠보다 얇은 철판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결과, 고기가 신속하게 구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석쇠(200)에서 육류가 익으면서 하부로 떨어지는 기름기는 기름받이(146)에서 회수하게 되며, 또한 상기 육류가 익는 과정에서 석쇠(200)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기는 열기배출슬롯(114)을 통해 흡기덕트(116)로 흡입된다. 이때, 상기 흡기팬모터(112)의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석쇠(200)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실내로 퍼지지 않고 바로 흡기덕트(116)로 흡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흡기팬 모터(112)의 가동으로 공기가 순환덕트(110)- 배기관(108)- 공기배기실(104)- 공기이동홀(106)- 숯통(120)- 열기배출슬롯(114)- 흡기덕트(116)- 순환덕트(110)순으로 열기를 지속적으로 순환하게 되며, 이 결과 흡기팬모터(112)의 가동에 따른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배연시설이 설치된 음식점에서는 에어콘을 가동시켜도 열기가 실내공간으로 퍼짐으로써 실내온도를 낮추는데 별다른 효과를 거둘 수가 없었으나, 본 발명의 구조를 설치할 경우, 열기가 실내로 확산되지 않으므로 에어콘의 가동시 실내를 시원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기가 익는 과정에서 열기의 제공이 과할 경우에는 레버(126)를 회동시켜 댐퍼(128)를 공기유입홀(120a)의 차폐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공기이동홀(106)에서 제공되는 공기는 일부 차단된 상태로 소량의 공기만이 숯통으로 진입되어 열기를 약하게 제공하게 된다. 상기 석쇠(200)에서 다 익혀진 육류는 이중덮개판(140)의 상면에 마련된 쟁반홈(140a)에 보관된다. 이때, 상기 쟁반홈(140)에 보관된 육류는 숯통(102)의 숯불이 이중덮개판(140)에 의해 직접적인 열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상기 육류가 식지 않고 따뜻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상기 육류를 굽는 과정이 모두 완료되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18)로부터 흡기덕트(116)를 이탈시켜, 내부홈에 점착된 기름찌꺼기를 청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접적으로 열기를 육류에 접촉되도록 하여 육류가 타지 않고, 연기도 나지 않으면서 익게 되어 육류 고유의 맛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 기름기가 실내바닥으로 튀지 않아 바닥청소를 하지 않아도 된다. 또 열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흡기팬모터의 부하를 감소할 수 있고, 각 부품을 쉽게 착탈할 수 있어 항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경,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접적으로 열기를 석쇠에 놓여진 육류에 제공함으로써, 육류가 타지 않고, 기름기가 잘 추출되어 육류의 맛을 제고시킬 수 있으며, 탄 고기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발암물질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접화기에 의해 육류를 굽기 때문에, 육류로부터 추출된 기름기가 화기에 접촉되지 않고, 또 석쇠에 접촉되는 육류가 타지않아 연기의 발생이 거의 없고, 이에 따라 연기순환덕트의 추가설비가 필요 없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육류를 굽는데 소요되는 열기를 회수하여 재순환시킴으로써, 열기발생에 필요한 전력 소모를 절약할 수 있으며, 석쇠의 제작시 두께를 얇게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석쇠가 그을려지지 않으므로 교환횟수가 적어 청소, 교환등에 따른 작업인력이 소요되지 않아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양측부에 숯통 안착부가 마련되며, 전후면의 소정위치에는 열기배출슬롯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본체;
    일측면 소정위치에 공기유입홀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열기를 본체의 중앙부 공간측으로 발산할 수있도록 열기확산공간부가 구획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열기로 교환하기 위한 숯불이 내재되어 상기 본체의 숯통 안착부에 놓여지는 숯통;
    상기 본체의 일측 외면에서 타측 외면으로 배치되어 상기 숯통의 공기유입홀측으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제공수단;
    일측은 상기 본체의 열기배출슬롯에 배치되며, 타측은 상기 공기제공수단에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와 열기배출슬롯을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열기를 흡입하여 공기제공수단측으로 순환시키는 열공기 순환수단; 및
    상기 본체의 숯통 안착부를 가로질러 장착되며, 숯통의 공기유입홀의 개폐각도를 조절하는 댐퍼
    를 포함하는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의 숯통 안착부 하부에 공기배기실이 형성되고, 상기 숯통 안착부와 양측 내면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숯통의 공기유입홀과 연통할 수 있는 공기이동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측 숯통 안착부 상부에 설치되어 숯통의 상부를 차폐하기 위한 이중덮개판을 더 포함하는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덮개판은
    그의 상면 소정위치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익혀진 고기를 수용하기 위한 고기보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열기배출슬롯 하측 근접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구비되어 석쇠를 거치시키기 위한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부에 설치되어 육류석쇠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회수하는 기름받이를 더 포함하는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에 연결되어 그의 개폐각도를 조절하는 레버;
    상기 레버의 축 일단부에 구비된 핀;
    상기 핀과 레버의 축에 끼워져 상기 핀에 미는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 스프링; 및
    상기 가압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와셔
    를 포함하여,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댐퍼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숯통의 열기확산공간부는 다수의 창살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제공수단은
    흡기팬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
  10. 제 2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기 순환수단은
    상기 본체의 양측 열기배출슬롯에 배치되는 흡기덕트; 및
    일측은 상기 흡기덕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타측은 본체의 양측부 공기배기실에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흡기팬모터를 통해 흡기덕트로 유입되는 열기를 공기배기실측으로 유입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덕트
    를 포함하는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후 측면 상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테이블에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
KR1020040046192A 2004-06-21 2004-06-21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 KR100589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192A KR100589061B1 (ko) 2004-06-21 2004-06-21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192A KR100589061B1 (ko) 2004-06-21 2004-06-21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050A KR20050121050A (ko) 2005-12-26
KR100589061B1 true KR100589061B1 (ko) 2006-06-12

Family

ID=3729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192A KR100589061B1 (ko) 2004-06-21 2004-06-21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9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7728A1 (ko) * 2012-08-16 2014-02-20 Han Dong Seok 훈연 배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628B1 (ko) * 2016-03-09 2016-11-09 전희성 급속 가열 및 화력 조절이 가능한 구이 화덕
KR102333441B1 (ko) * 2020-07-08 2021-12-01 김상국 고기 구이기
KR102441030B1 (ko) * 2021-05-20 2022-09-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용 무연 숯불구이 화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7728A1 (ko) * 2012-08-16 2014-02-20 Han Dong Seok 훈연 배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050A (ko) 2005-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5339B2 (en) Induction ventilation system for air supply and exhaust
CA2365023C (en) Food grilling system for oven cavity with byproduct removal
KR20130004314A (ko) 개선된 수직형 그릴
KR100589061B1 (ko) 간접화기방식을 이용한 육류구이장치
KR100794233B1 (ko) 직화구이기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KR100808533B1 (ko) 도어를 통하여 방출되는 연기의 제거수단을 갖는 스탠드형구이장치
KR20070006216A (ko) 이중도어를 갖는 스탠드형 구이장치
JP2869455B2 (ja) 無煙加熱調理器
KR20120009813A (ko) 에어커튼이 구비된 구이 장치
JPH06133826A (ja) 集合形加熱装置
CN113143003A (zh) 多功能炉
KR20050002675A (ko) 전기구이기의 가열체구조
KR101708435B1 (ko) 유증기 여과장치 부착형 렌지 겸용 구이기
JP4678693B2 (ja) グリル
CN218738487U (zh) 一种减少食物翻面的户外烤炉
KR100447249B1 (ko) 연기가 나지 않는 석쇠 구이장치
JP4677147B2 (ja) 無煙ロースター
KR200179567Y1 (ko) 숯을 사용하는 구이장치
CN215272018U (zh) 多功能炉
KR200295039Y1 (ko) 고기구이기
CN213189226U (zh) 一种燃气油炸炉
KR200213347Y1 (ko) 숯을 사용하는 구이장치
KR200440630Y1 (ko) 다용도 후라이팬
JP2011149564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