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470A - 볼트 풀림방지 와셔 및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구조 - Google Patents

볼트 풀림방지 와셔 및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470A
KR20080113470A KR1020070061982A KR20070061982A KR20080113470A KR 20080113470 A KR20080113470 A KR 20080113470A KR 1020070061982 A KR1020070061982 A KR 1020070061982A KR 20070061982 A KR20070061982 A KR 20070061982A KR 20080113470 A KR20080113470 A KR 20080113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washer
piece
upward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1671B1 (ko
Inventor
이원재
이문재
Original Assignee
이원재
이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재, 이문재 filed Critical 이원재
Priority to KR1020070061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671B1/ko
Publication of KR20080113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2Locking by means of special shape of work-engaging surfaces, e.g. notched or toothed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중에 풀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풀림 현상 방지를 위해 소요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도록 된 볼트 풀림방지 와셔 및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조는 대상물(3)에 체결되는 볼트(44)에 의해 피고정물을 가압 고정하도록 된 와셔(20)에 있어서, 상기 와셔(20)는 볼트공(22) 주위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압부재(24)가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24)는 일측부에 상향절곡부(26)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하향절곡부(28)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향절곡부(26)에는 상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절곡된 상향가압편(30)이 형성되며, 상기 하향절곡부(28)에는 하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절곡된 하향가압편(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 효과는 단일의 외셔만으로 견고한 록킹구조와 스프링 와셔의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적게 들어가는 효과가 있고, 이처럼 상대적으로 부품수가 적게 들어감으로 인하여 제품의 코스트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와셔, 가압부재, 풀림 방지

Description

볼트 풀림방지 와셔 및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 구조{Bolt loosing prevention washer assembly and terminal structure with loosing prevention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볼트 풀림방지 와셔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방향으로 절취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볼트의 헤드 저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볼트 풀림방지 와셔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와셔 30. 상향가압편
32. 하향가압편 44. 볼트
48. 걸림죠오
본 발명은 볼트 풀림방지 와셔 및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중에 풀림 현상으로 인해 전선과의 접속이 해제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소요되는 부품수를 줄여 코스트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볼트 풀림방지 와셔 및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기계설비에는 주요 부분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와 터미널과 같은 작동조절부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위치나 터미널과 같은 작동조절부에는 볼트로 체결되는 와셔에 의해 전선과 같은 피고정물이 고정된다. 이러한 와셔는 전선 이외에도 다양한 피고정물을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기계설비 작동시의 진동이나 열에 의한 열팽창 등에 의해 풀림 현상이 진행되므로, 시간이 지나면서 피고정물의 고정력이 해제되어 풀림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진동이나 열팽창 등에 의한 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셔와 볼트의 헤드 사이에 별도의 스프링 와셔를 개재시킨 구조의 볼트장착 와셔가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볼트장착 와셔를 제작하는 과정을 약술하면, 볼트의 헤드 저면에 위치되도록 스프링 와셔를 끼운 다음, 볼트를 롤링 가공하여 스프링 와셔 걸림부를 형성함으로써, 볼트의 둘레부에 스프링 와셔가 함께 구비된 형태의 볼트 일체형 타입의 볼트장착 와셔를 제작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볼트장착 와셔는 볼트에 스프링 와셔를 더 구비하는 구조이므로,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으며, 이처럼 상대적으로 부품수가 늘어남으로 인하여 제품의 코스트도 그만큼 높아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설비 작동시의 진동이나 열팽창 등에 의해 풀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품수를 줄이고 제품의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볼트 풀림방지 와셔 및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물(3)에 체결되는 볼트(44)에 의해 피고정물을 가압 고정하도록 된 와셔(20)에 있어서, 상기 와셔(20)는 볼트공(22) 주위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압부재(24)가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24)는 일측부에 상향절곡부(26)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하향절곡부(28)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향절곡부(26)에는 상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절곡된 상향가압편(30)이 형성되며, 상기 하향절곡부(28)에는 하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절 곡된 하향가압편(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방지 와셔(20)가 제공된다.
상기 가압부재(24)는 양측부에 상기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가 일체화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어느 하나의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에는 이웃한 다른 가압부재(24)의 하향절곡부(28)와 상향절곡부(26)가 각각 인접 배치되며, 상기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에는 각각 상기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셔(20)는 상기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의 끝부분을 각각 상향 및 하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은 끝이 뾰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의 끝에 각각 포인트 접점부(30a,3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상물(3)에는 단자편(10)이 설치되고, 상기 와셔(20)는 중앙의 볼트공(22)을 관통하여 상기 대상물(3)에 체결되는 볼트(44)에 의해 상기 단자편(10)과 맞닿는 방향으로 조여지며, 상기 와셔(20)와 상기 단자편(10)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는 돌기(16)와 돌기홈(36)이 형성되어, 상기 와셔(20)를 상기 볼트(44)에 의해 조여줄 때 상기 돌기(16)와 돌기홈(36)이 맞물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셔(20)는 중앙의 볼트공(22)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상기 가압부재(24)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에 형성된 상향가압편(30)이 상기 볼트(44)의 헤드(46) 저면부에 형성된 걸림죠오(48)에 걸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죠오(48)는 상기 볼트(44)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경사부(48a)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44)가 풀어지는 방향으로는 직각부(48b)가 형성되어, 상기 볼트(44)를 조여줄 때에는 상기 경사부(48a)가 상기 와셔(20)의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에 형성된 상향가압편(30)을 타고 넘어가고, 상기 볼트(44)가 체결된 후에는 상기 걸림죠오(48)의 직각부(48b)가 상기 와셔(20)의 상향가압편(30)에 걸려져 상기 볼트(44)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편(10)과, 상기 단자편(10)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와셔(20)와, 상기 와셔(20)의 볼트공(22)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44)를 포함하며, 상기 와셔(20)는 볼트공(22) 주위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압부재(24)가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24)는 일측부에 상향절곡부(26)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하향절곡부(28)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향절곡부(26)에는 상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절곡된 상향가압편(30)이 형성되며, 상기 하향절곡부(28)에는 하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절곡된 하향가압편(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볼트 풀림방지 와셔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방향으로 절취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볼트의 헤드 저면을 보여주 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볼트 풀림방지 와셔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앙부의 볼트공(22) 주위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압부재(24)가 배치되고, 가압부재(24)는 일측부에 상향절곡부(26)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하향절곡부(28)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향절곡부(26)에는 상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절곡된 상향가압편(30)이 형성되며, 하향절곡부(28)에는 하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절곡된 하향가압편(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방지 와셔(20)이다.
상기 와셔(20)는 대상물(3)에 체결되는 볼트(44)에 의해 피고정물을 가압 고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대상물(3)이라 함은 스위치나 단자대 터미널 및 그 밖의 볼트(44)가 체결되는 모든 물품을 의미한다.
상기 와셔(20)는 중앙부의 볼트공(22) 주위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압부재(24)가 배치되고, 가압부재(24)는 일측부에 상향절곡부(26)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하향절곡부(28)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향절곡부(26)에는 상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절곡된 상향가압편(30)이 형성되며, 하향절곡부(28)에는 하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절곡된 하향가압편(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24)는 양측부에 상기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가 일체화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어느 하나의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에는 이웃한 다른 가압부재(24)의 하향절곡부(28)와 상향절곡부(26)가 각각 인접 배치되며,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에는 각각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와셔(20)는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의 끝부분을 각각 상향 및 하향으로 절곡하여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은 끝이 뾰족하도록 구성되어,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의 끝에 각각 포인트 접점부(30a,3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대상물(3)에는 단자편(10)이 설치되고, 와셔(20)는 중앙의 볼트공(22)을 관통하여 대상물(3)에 체결되는 볼트(44)에 의해 단자편(10)과 맞닿는 방향으로 조여지며, 와셔(20)와 단자편(10)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는 돌기(16)와 돌기홈(36)이 형성되어, 상기 와셔(20)를 상기 볼트(44)에 의해 조여줄 때 돌기(16)와 돌기홈(36)이 맞물림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와셔(20)는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에 형성된 상향가압편(30)이 볼트(44)의 헤드(46) 저면부에 형성된 걸림죠오(48)에 걸려진다. 이때, 상기 걸림죠오(48)는 볼트(44)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경사부(48a)가 형성되고, 볼트(44)가 풀어지는 방향으로는 직각부(48b)가 형성되어, 볼트(44)를 조여줄 때에는 경사부(48a)가 와셔(20)의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에 형성된 상향가압편(30)을 타고 넘어가고, 볼트(44)가 체결된 후에는 걸림죠오(48)의 직각부(48b)가 와셔(20)의 상향가압편(30)에 걸려져 볼트(44)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셔(20)는 사각 금속편 중앙부에 볼트공(22)을 형성하고, 볼트공(22) 주위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절취선을 형성하여, 이러한 절취선에 의해 복수개의 가압부재(24)가 볼트공(22) 주위에 배치된 형상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24)는 일측부에 상향절곡부(26)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하향절곡부(28)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향절곡부(26)에는 상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절곡된 상향가압편(30)이 형성되며, 하향절곡부(28)에는 하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절곡된 하향가압편(32)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가압부재(24)는 양측부에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가 일체화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어느 하나의 가압편의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에는 이웃한 다른 가압편의 하향절곡부(28)와 상향절곡부(26)가 각각 인접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에는 각각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이 형성되므로, 각 가압부재(24)의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이 이웃하여 배치된 형태가 된다.
또한, 상기 와셔(20)는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의 끝부분을 각각 상향 및 하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에 각각 포인트 접점부(30a,32a)가 형성된다. 즉, 상향가압편(30)은 포인트 접점부(30a)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두 개의 경사부를 갖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구성되고, 하향가압편(32)도 포인트 접점부(32a)의 향측에 상향 방향으로 경사진 두 개의 경사부를 갖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볼트(44)를 대상물(3)에 형성된 볼트체결공(도 6에 도시됨)에 체결하여 와셔(20)를 대상물(3) 방향으로 전진시킴으로 써, 대상물(3)에 피고정물(예를 들어, 전선)을 가압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셔(20)의 가압부재(24)에 형성된 상향가압편(30)의 포인트 접점부(30a)와 하향가압편(32)의 포인트 접점부(32a)가 각각 볼트(44)의 헤드(46) 저면과 대상물(3)에 상면에 가압되므로, 와셔(20)가 대상물(3)과 볼트(44) 사이에서 견고하게 록킹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동시에,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가 각각 대상물(3)과 볼트(44)의 헤드(46) 사이에서 가압력을 작용시켜 스프링 와셔(20)의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와셔(20)의 가압부재(24)에 형성된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가 피고정물을 가압고정하도록 가압력을 작용시킴과 동시에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에 형성된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이 각각 대상물(3)과 볼트(44)의 헤드(46) 사이에서 가압 고정되면서 견고하게 록킹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기계설비 작동시의 진동이나 단자 부분에서의 열에 의한 열팽창 등에 의해 풀림 현상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전선과 단자의 연결이 해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와셔(20)의 가압부재(24)의 각 부분은 금속편을 절곡하여 형성된 것으로,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는 적절한 탄성이 있기 때문에, 진동 등에 의해 볼트(44)가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스프링 와셔(20)의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동이나 열팽창 등에 의한 단자 부분의 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트(44)의 헤드(46) 저면에 별도의 스프링 와셔(20)를 더 구비할 필요없이 단일의 와셔(20)만으로 견고한 록킹구조와 스프링 와셔(20)의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적게 들어가는 장점이 있으며, 이처럼 상대적으로 부품수가 적게 들어감으로 인하여 제품의 코스트도 그만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테면, 본 발명은 와셔(20)가 대상물(3)에 가압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록킹기능과 진등 등에 의해 볼트(44)가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스프링 와셔(20)의 기능을 동시에 갖는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셔(20)의 볼트공(22)에 삽입되는 볼트(44)에는 헤드(46)가 형성되고, 헤드(46)는 와셔(20)와 마주하는 저면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걸림죠오(48)가 형성된다. 걸림죠오(48)는 볼트(44)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경사부(48a)가 형성되고, 볼트(44)가 풀어지는 방향으로는 직각부(48b)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볼트(44)를 조여줄 때에는 경사부(48a)가 와셔(20)의 상향절곡부(26)에 형성된 상향가압편(30)을 타고 넘어가고, 상기 볼트(44)가 체결된 후에는 걸림죠오(48)의 직각부(48b)가 와셔(20)의 상향가압편(30)에 걸려져서 볼트(44)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헤드(46)의 저면에 와셔(20)의 상향가압편(30)이 걸려지는 복수개의 걸림죠오(48)가 형성되어, 볼트(44)를 체결 완료한 다음에는 볼트(44)의 헤드(46)의 걸림죠오(48)에 와셔(20)의 상향가압편(30)이 걸려져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볼트(44)가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더욱 견고하게 피고정물(예를 들어, 전선 등)을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각종 기계설비에 설치된 스위치와 터미널과 같은 작동조절부에 전선을 연결하는 단자 구조가 제공된다. 이러한 전선 접속용 단자에는 단자편(10)이 구비된다. 단자편(10)은 금속편으로 제작된 것으로, 단자편(10)의 중앙부에는 볼트(44)과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단자편(10)과 와셔(20) 사이에 전선의 구리선을 개재시켜서 상기 볼트(44)를 와셔(20)의 볼트공(22)과 단자편(10)의 통공을 관통시켜 스위치 본체나 릴레이 단자대 본체 등에 형성된 볼트체결공(도 6에 도시됨)에 체결하면, 단자편(10)과 와셔(20) 사이에 전선의 구리선이 가압 고정된다.
이때, 상기 와셔(20)의 가압부재(24)에 형성된 상향가압편(30)의 포인트 접점부(30a)와 하향가압편(32)의 포인트 접점부(32a)가 각각 볼트(44)의 헤드(46) 저면과 단자편(10)의 상면에 가압되므로, 와셔(20)가 단자편(10)과 볼트(44) 사이에서 견고하게 록킹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동시에,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가 각각 단자편(10)과 볼트(44)의 헤드(46) 사이에서 가압력을 작용시켜 스프링 와셔(20)의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와셔(20)의 가압부재(24)에 형성된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가 전선을 가압고정하도록 가압력을 작용시킴과 동시에 와셔(20)의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에 형성된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이 각각 단자편(10)과 볼트(44)의 헤드(46) 사이에서 가압 고정되면서 견고하게 록킹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기계설비 작동시의 진동이나 단자 부분에서의 열에 의한 열 팽창 등에 의해 풀림 현상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전선과 단자의 연결이 해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단일의 와셔만으로 피고정물의 견고한 록킹구조와 스프링 와셔의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적게 들어가는 효과가 있고,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부품수가 적게 들어감으로 인하여 제품의 코스트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와셔만으로 전선과 같은 피고정물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록킹기능과 외부의 진등 등에 의해 볼트가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스프링 와셔의 기능을 동시에 갖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고정물을 고정하기 위해 체결되는 볼트의 헤드 저면에 형성된 걸림죠오에 와셔의 상향가압편이 걸려져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볼트가 풀어지는 현상을 근절하므로, 더욱 견고하게 피고정물을 연결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와셔는 단자편과 마주하는 면에 돌기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단자편 방향으로 조여줄 때, 단자편에 형성된 돌기 또는 돌 기홈과 맞물림 결합되므로, 단자편에서 풀어지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피고정물을 더욱더 견고하게 대상물에 연결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2)

  1. 대상물(3)에 체결되는 볼트(44)에 의해 피고정물을 가압 고정하도록 된 와셔(20)에 있어서, 상기 와셔(20)는 볼트공(22) 주위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압부재(24)가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24)는 일측부에 상향절곡부(26)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하향절곡부(28)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향절곡부(26)에는 상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절곡된 상향가압편(30)이 형성되며, 상기 하향절곡부(28)에는 하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절곡된 하향가압편(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방지 와셔(2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24)는 양측부에 상기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가 일체화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어느 하나의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에는 이웃한 다른 가압부재(24)의 하향절곡부(28)와 상향절곡부(26)가 각각 인접 배치되며, 상기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에는 각각 상기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방지 와셔(2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20)는 상기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의 끝부분을 각각 상향 및 하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은 끝이 뾰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의 끝에 각각 포인트 접점부(30a,3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방지 와셔(2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3)에는 단자편(10)이 설치되고, 상기 와셔(20)는 중앙의 볼트공(22)을 관통하여 상기 대상물(3)에 체결되는 볼트(44)에 의해 상기 단자편(10)과 맞닿는 방향으로 조여지며, 상기 와셔(20)와 상기 단자편(10)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는 돌기(16)와 돌기홈(36)이 형성되어, 상기 와셔(20)를 상기 볼트(44)에 의해 조여줄 때 상기 돌기(16)와 돌기홈(36)이 맞물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방지 와셔(2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20)는 중앙의 볼트공(22)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상기 가압부재(24)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에 형성된 상향가압편(30)이 상기 볼트(44)의 헤드(46) 저면부에 형성된 걸림죠오(48)에 걸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방지 와셔(2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죠오(48)는 상기 볼트(44)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경사부(48a)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44)가 풀어지는 방향으로는 직각부(48b)가 형성되어, 상기 볼트(44)를 조여줄 때에는 상기 경사부(48a)가 상기 와셔(20)의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에 형성된 상향가압편(30)을 타고 넘어가고, 상기 볼트(44)가 체결된 후에는 상기 걸림죠오(48)의 직각부(48b)가 상기 와셔(20)의 상향가압편(30)에 걸려져 상기 볼트(44)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방지 와셔(20).
  7. 단자편(10)과, 상기 단자편(10)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와셔(20)와, 상기 와셔(20)의 볼트공(22)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44)를 포함하며, 상기 와셔(20)는 볼트공(22) 주위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압부재(24)가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24)는 일측부에 상향절곡부(26)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하향절곡부(28)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향절곡부(26)에는 상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절곡된 상향가압편(30)이 형성되며, 상기 하향절곡부(28)에는 하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절곡된 하향가압편(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24)는 양측부에 상기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가 일체화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어느 하나의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에는 이웃한 다른 가압부재(24)의 하향절곡부(28)와 상향절곡부(26)가 각각 인접 배치되며, 상기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에는 각각 상기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20)는 상기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와 하향절곡부(28)의 끝부분을 각각 상향 및 하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은 끝이 뾰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향가압편(30)과 하향가압편(32)의 끝에 각각 포인트 접점부(30a,3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 구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20)는 볼트(44)에 의해 상기 단자편(10)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단자편(10)과 와셔(20)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돌기(16)와 돌기홈(36)이 형성되어, 상기 와셔(20)를 상기 볼트(44)에 의해 상기 단자편(10) 방향으로 조여줄 때 상기 돌기(16)와 돌기홈(36)이 맞물림 결 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 구조.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20)는 중앙의 볼트공(22)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상기 가압부재(24)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에 형성된 상향가압편(30)이 상기 볼트(44)의 헤드(46) 저면부에 형성된 걸림죠오(48)에 걸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 구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죠오(48)는 상기 볼트(44)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경사부(48a)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44)가 풀어지는 방향으로는 직각부(48b)가 형성되어, 상기 볼트(44)를 조여줄 때에는 상기 경사부(48a)가 상기 와셔(20)의 가압부재(24)의 상향절곡부(26)에 형성된 상향가압편(30)을 타고 넘어가고, 상기 볼트(44)가 체결된 후에는 상기 걸림죠오(48)의 직각부(48b)가 상기 와셔(20)의 상향가압편(30)에 걸려져 상기 볼트(44)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 구조.
KR1020070061982A 2007-06-25 2007-06-25 볼트 풀림방지 와셔 및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구조 KR100881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982A KR100881671B1 (ko) 2007-06-25 2007-06-25 볼트 풀림방지 와셔 및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982A KR100881671B1 (ko) 2007-06-25 2007-06-25 볼트 풀림방지 와셔 및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470A true KR20080113470A (ko) 2008-12-31
KR100881671B1 KR100881671B1 (ko) 2009-02-06

Family

ID=4037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982A KR100881671B1 (ko) 2007-06-25 2007-06-25 볼트 풀림방지 와셔 및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6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441A (ko)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케이씨텍 기판이송장치
KR20200002528U (ko) * 2019-05-13 2020-11-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볼트 회전 방지 시스템
KR102237530B1 (ko) * 2020-07-08 2021-04-07 주식회사 택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패널 지지구
CN114278660A (zh) * 2022-01-04 2022-04-05 龚作钰 设定弹舌刚度控制拆卸的防松螺栓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230B1 (ko) * 2019-04-08 2020-07-21 주식회사 스미코 통전 삽입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5208A (en) * 1976-09-20 1977-10-25 Illinois Tool Works Inc. Locking fastener device
JPS5630755Y2 (ko) 1978-11-20 1981-07-22
JPH03260411A (ja) * 1990-03-08 1991-11-20 Goto Seibiyoushiyo:Kk 電線固定用座金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441A (ko)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케이씨텍 기판이송장치
KR20200002528U (ko) * 2019-05-13 2020-11-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볼트 회전 방지 시스템
KR102237530B1 (ko) * 2020-07-08 2021-04-07 주식회사 택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패널 지지구
CN114278660A (zh) * 2022-01-04 2022-04-05 龚作钰 设定弹舌刚度控制拆卸的防松螺栓组件
CN114278660B (zh) * 2022-01-04 2023-02-07 龚作钰 设定弹舌刚度控制拆卸的防松螺栓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1671B1 (ko) 2009-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671B1 (ko) 볼트 풀림방지 와셔 및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구조
JP4242885B2 (ja) 差込みばねクランプ
JP5104827B2 (ja) 電気機器のレール取付け構造
WO2007049852A3 (en) Anchor for orthodontics
US11424556B2 (en) Spring clip for producing an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contact partners
US20110053436A1 (en) Terminal Member
JP5716803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3031293A (ja) ボルト支持構造
US8231391B2 (en) Metal protective ground conductor connection device
JP2013031291A (ja) 端子金具とバスバとの接続構造
KR100881673B1 (ko) 볼트 풀림방지 와셔 및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구조
JP2003148298A (ja) 電磁弁
RU236602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штыря прерывателя цепи
CN100584161C (zh) 散热器扣合装置
US20090151111A1 (en) Windshield wiper steel bar structure
KR102254428B1 (ko) 풀림 방지 와셔
JPH11117201A (ja) 軌条用加熱装置の取付具
JP4084904B2 (ja) 剛体電車線
KR200320759Y1 (ko) 자동차의 커넥터 고정클립
KR20100062617A (ko) 스프링너트 장치
JP3783148B2 (ja) 導体の接続構造
JP3394140B2 (ja) 端子金具
JP2005076646A (ja) 取付クリップ
CN100419284C (zh) 耐用w型基体紧固件
US5239151A (en) Leaf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