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617A - 스프링너트 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너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2617A
KR20100062617A KR1020080121336A KR20080121336A KR20100062617A KR 20100062617 A KR20100062617 A KR 20100062617A KR 1020080121336 A KR1020080121336 A KR 1020080121336A KR 20080121336 A KR20080121336 A KR 20080121336A KR 20100062617 A KR20100062617 A KR 20100062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olt
spring nut
bridge
bri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1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2617A/ko
Publication of KR20100062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2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made of thin shee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너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가 체결됨에 따라 너트가 탄성 변형되어 체결될 부재 및 볼트를 압착지지하여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한 스프링너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부;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관통공 하방에 위치되면서 그 관통공과 일직선을 이루는 제1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절곡부를 갖는 제1브릿지부;
일단은 상기 제1브릿지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부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브릿지부와 중첩되어 상기 제1볼트공과 일직선을 이루는 제2볼트공이 형성되며, 그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절곡부를 갖는 제2브릿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링너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프링너트 장치{Spring Nut}
본 발명은 스프링너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가 체결됨에 따라 너트가 탄성 변형되어 체결될 부재 및 볼트를 압착지지하여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한 스프링너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너트(Spring Nut)는, 자동차등과 같이 금속 혹은 플라스틱 패널로 된 조립구조물에 다양한 부재를 설치하는 경우에 조립구조물의 측면부분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에 볼트 혹은 나사 등과 같은 부재를 사용하여 암나사부에 체결하도록 하는 육각너트의 대용품으로 많이 사용되는 체결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너트는, 금속판재를 구부려서 패널의 측면에 삽입하면 탄성력을 지닌 상태로 고정되고, 스프링너트의 끼움공과 조립구조물의 관통공으로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고정하므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지닌 것으로서, 자주 분해 및 조립을 하여야 하는 부품이나 쉽게 파손되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구조물이 나사산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된다.
도1은 종래의 스프링너트가 조립구조물에 조립되기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 고, 도 2는 종래의 스프링너트가 조립구조물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종래 스프링너트의 조립구조의 구성은, 조립구조물(2)에 관통공(4)을 형성하고, 그 관통공(4) 주위로 안착홈(6)이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6)에 스프링너트(10)의 경사진입턱(18)을 이용하여 삽입부(16)를 안착홈(6)에 안착시켜 상기 조립구조물(2)의 관통공(6)과 스프링너트(10)의 끼움공(12)을 서로 일치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8)를 스프링너트(10)의 끼움공(12)을 통하여 삽입한 후 조립구조물(2)의 관통공(4)에 끼워서 스프링너트(10)의 반대측 암나사부(14)에 체결함으로써 조립하고자 하는 부품을 조립구조물(2)에 조립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프링너트는 상기 조립구조물에 스프링너트를 체결할 때, 스프링너트의 구속조건이 완전하지 않아서 조립구조물의 관통공과 스프링너트의 끼움공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체결부재가 스프링너트의 끼움공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조립구조물의 관통공을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스프링너트는 조립시 스프링너트가 조립구조물을 강하게 압착함에 따라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너트는 탈거 및 조립이 반복되는바, 특히 탈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서로 다른 부재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조립구조물이 파손되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탈거 및 조립이 편리하도록 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부;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관통공 하방에 위치되면서 그 관통공과 일직선을 이루는 제1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절곡부를 갖는 제1브릿지부;
일단은 상기 제1브릿지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부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브릿지부와 중첩되어 상기 제1볼트공과 일직선을 이루는 제2볼트공이 형성되며, 그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절곡부를 갖는 제2브릿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링너트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브릿지부와 상기 제2브릿지부에 각각 형성된 절곡부는 탄성 변형시 복원력이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볼트의 공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볼트공 및 제2볼트공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브릿지부 및 상기 제2브릿지부에는 상기 절곡부의 좌굴이 용 이하도록 슬롯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부재를 체결하기 위해 볼트를 체결할 때 너트 자체가 탄성변형되면서 체결될 부재 및 볼트를 압착지지하여 결합력이 증대되고 특히 체결될 부재에 전혀 손상이 없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시에 볼트의 공차가 자체적으로 흡수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너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너트 장치의 조립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너트 장치의 조립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너트 장치는 크게 베이스부(110)와, 제1브릿지부(120)와, 제2브릿지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1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직경을 갖는 관통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11)은 볼트가 단지 관통되는 구멍으로서, 설치되는 볼트의 조립오차(공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10)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으나, 상기 스프링너트가 조립될 조립구조물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브릿지부(120)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110)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관통공(111) 하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1브릿지부(120)의 타단에는 상기 관통공(111)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제1볼트공(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브릿지부(12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외력을 받을 때 좌굴 변형되는 절곡부(s)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브릿지부(130)의 일단은 상기 제1브릿지부(120)와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부(110)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브릿지부(130)의 타단은 상기 제1브릿지부(120)와 중첩되어 상기 제1볼트공(121)과 일직선을 이루는 제2볼트공(13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브릿지부(13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외력을 받을 때 좌굴 변형되는 절곡부(s)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브릿지부(120)의 타단과 상기 제2브릿지부(130)의 타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되도록 놓여지며, 그 중첩된 구조에서 상기 제1볼트공(121)과 제2볼트공(131)이 상기 관통공(111)과 일치되도록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1브릿지부(120)와 상기 제2브릿지부(130)에는 각각 소정각도로 절곡된 절곡부(s)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절곡부(s)는 탄성 변형시 복원력이 내 재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브릿지부(120) 및 상기 제2브릿지부(13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s)의 좌굴이 용이하도록 슬롯부(t)가 형성되어 상기 제1브릿지부(120) 및 제2 브릿지부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절곡부(s)가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슬롯부(t)는 상기 절곡부(s)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도록 도와주고, 탄성 변형된 후에는 상기 절곡부(s)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려는 힘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11)은 볼트의 공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볼트공(121) 및 제2볼트공(131)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너트가 설치될 수 있도록 조립구조물(a)에 안착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조립구조물(a)의 안착홈에 상기 베이스부(110)가 걸리도록 설치한 후, 상부에는 상기 조립구조물(a)에 고정되어야 할 장착부재(b)를 위치시킨다.
상기 장착부재(b)에는 볼트(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되는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재(b)의 상부에서 볼트(200)를 삽입시켜, 상기 볼트(200)가 상기 삽입공과 상기 베이스부(110)의 관통공(111)을 지나 상기 제1볼 트공(121)과 제2볼트공(131)에 닿도록 진입시킨다.
상기 볼트(200)의 끝단이 상기 제1볼트공(121)과 상기 제2볼트공(131)에 접촉되면 상기 볼트(200)를 회전시켜 볼트(200)가 상기 제1볼트공(121)과 제2볼트공(131)에 결속되도록 한다.
상기 볼트(200)를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볼트공(121)과 제2볼트공(131)에 결속된 볼트(200)의 끝단이 상기 제1브릿지부(120)의 타단과 상기 제2브릿지부(130)의 타단을 끌어당기면서 상기 볼트(200)에 복원력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조립구조물(a)과 장착부재(b)가 서로 압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브릿지부(120)와 상기 제2브릿지부(130)의 절곡부(s)가 내측으로 접혀지는 변형이 진행되면서 상기 절곡부(s)가 상기 조립구조물(a)의 하면을 상부로 눌러주거나 도면과 같이 상기 조립구조물(a)의 내측면을 외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장착부재(b)와 서로 압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한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도1은 종래의 스프링너트가 조립구조물에 조립되기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스프링너트가 조립구조물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너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너트 장치의 조립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너트 장치의 조립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베이스부 111 : 관통공
120 : 제1브릿지부 121 : 제1볼트공
130 : 제2브릿지부 131 : 제2볼트공
s : 절곡부 t : 슬롯부

Claims (5)

  1. 관통공(111)이 형성된 베이스부(110);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110)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관통공(111) 하방에 위치되면서 그 관통공(111)과 일직선을 이루는 제1볼트공(121)이 형성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절곡부(s)를 갖는 제1브릿지부(120);
    일단은 상기 제1브릿지부(120)와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부(110)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브릿지부(120)와 중첩되어 상기 제1볼트공(121)과 일직선을 이루는 제2볼트공(131)이 형성되며, 그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절곡부(s)를 갖는 제2브릿지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링너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10)는 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너트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릿지부(120)와 상기 제2브릿지부(130)에 각각 형성된 절곡부(s)는 탄성 변형시 복원력이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너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11)은 볼트의 공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볼트공(121) 및 제2볼트공(131)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너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릿지부(120) 및 상기 제2브릿지부(130)에는 상기 절곡부(s)의 좌굴이 용이하도록 슬롯부(t)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너트 장치.
KR1020080121336A 2008-12-02 2008-12-02 스프링너트 장치 KR20100062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336A KR20100062617A (ko) 2008-12-02 2008-12-02 스프링너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336A KR20100062617A (ko) 2008-12-02 2008-12-02 스프링너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617A true KR20100062617A (ko) 2010-06-10

Family

ID=4236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336A KR20100062617A (ko) 2008-12-02 2008-12-02 스프링너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26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902B1 (ko) * 2019-05-15 2020-08-0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푸시너트
KR102306910B1 (ko) * 2021-04-08 2021-09-28 손태진 탄성수단을 이용한 결속구조를 갖는 다용도 체결장치
US11569548B2 (en) 2017-11-08 2023-01-31 Lg Energy Solution, Ltd. Separator and lithium-sulfur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9548B2 (en) 2017-11-08 2023-01-31 Lg Energy Solution, Ltd. Separator and lithium-sulfur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141902B1 (ko) * 2019-05-15 2020-08-0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푸시너트
CN111946712A (zh) * 2019-05-15 2020-11-17 利富高(韩国)股份有限公司 汽车用防松螺母
CN111946712B (zh) * 2019-05-15 2022-02-08 利富高(韩国)股份有限公司 汽车用防松螺母
KR102306910B1 (ko) * 2021-04-08 2021-09-28 손태진 탄성수단을 이용한 결속구조를 갖는 다용도 체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2495B2 (en) Zero insertion force card edge connector
US7752771B2 (en) Depth checking device
KR20120050836A (ko) 풀림방지 결합체
JP2013542587A (ja) ケーブル貫通システムのためのフレーム及びフレーム部材
CN105730498B (zh) 伸缩轴和转向系统
US8474766B2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nd assembly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00062617A (ko) 스프링너트 장치
JP3149726U (ja) ハゼ用屋根上取付金具
KR101172868B1 (ko) 록크 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체결 유닛
KR100895221B1 (ko) 지붕 패널 조립체
TW201137247A (en) Locking device for bolt and nut
KR102091715B1 (ko) 판형 부재용 체결 장치
JP2014020504A (ja) ナット
KR20080113470A (ko) 볼트 풀림방지 와셔 및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구조
CN213484109U (zh) 一种机车插接件的弹性防松动连接装置
JP3222569U (ja) 連結装置
KR20150005285A (ko) 체결부재
KR20080053641A (ko) 섀시부 압착에 의한 pcb고정구조
JP4366302B2 (ja) 取着体およびビス固定部材
CN117895873A (zh) 快装压块
KR20060064770A (ko) 밧데리 터미널 결착구조
CN220015724U (zh) 一种紧固组件
JP5305990B2 (ja) 締結具およびそれを用いて締結した自動機
KR102368871B1 (ko) 스프링 와셔
JP7443824B2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