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873A -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 - Google Patents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873A
KR20230026873A KR1020210109021A KR20210109021A KR20230026873A KR 20230026873 A KR20230026873 A KR 20230026873A KR 1020210109021 A KR1020210109021 A KR 1020210109021A KR 20210109021 A KR20210109021 A KR 20210109021A KR 20230026873 A KR20230026873 A KR 20230026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nut
positioning hole
female screw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균
Original Assignee
정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균 filed Critical 정성균
Priority to KR1020210109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6873A/ko
Publication of KR20230026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1/00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 F16B31/02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for indicating the attainment of a particular tensile load or limiting tensile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본체로 구성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볼트가 삽입된 상태로 체결되는 너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너트본체의 일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 일부분의 투시를 허용하면서 상기 볼트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확인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NUT FOR CHECKING POSITION OF BOLT}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나사부에 삽입된 상태로 체결되는 볼트의 단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너트와 볼트는 기계장치의 조립, 고정 등과 같은 제반업종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체결부재이다.
여기서, 너트는 암형부재를 이루고 볼트는 수형부재를 이루면서 서로 나사결합되면서 체결된다.
그런데, 볼트는 너트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체결되므로 어느 정도 삽입되었는지 확인할 수가 없다.
따라서, 통상의 너트는 볼트가 불안정하게 체결된 경우에도 체결상태를 확인할 수 없으며, 각종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너트본체의 암나사부에 삽입된 상태로 체결되는 볼트의 체결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볼트의 체결과정에서 볼트가 소정의 길이로 삽입된 것을 물리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볼트의 가압에 의해 이동하는 부재를 통해 볼트의 위치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본체로 구성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볼트가 삽입된 상태로 체결되는 너트에 있어서, 상기 너트본체의 일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 일부분의 투시를 허용하면서 상기 볼트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확인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확인홀에 결합되어 상기 암나사부의 내부에 상기 볼트의 단부가 걸리는 걸림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볼트에 의한 가압을 허용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위치확인홀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철판으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갖는 클립본체; 상기 클립본체의 중앙부분을 이루면서 소정의 곡률로 만곡 형성되고, 상기 위치확인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암나사부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볼트 단부의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만곡부; 및 상기 클립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이루면서 상기 위치확인홀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만곡부를 상기 위치확인홀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곡부는, 상기 볼트에 의해 가압되면서 탄성 변형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만곡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위치확인홀의 길이 "?향으?* 이동하면서 상기 볼트 단부의 위치를 나타낸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고정부와 직교상태를 이루면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너트본체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너트본체에 형성된 위치확인홀을 통해 암나사부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으므로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볼트 단부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볼트를 좀 더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위치확인홀에 삽입되는 걸림부재를 통해 볼트의 걸림부위를 제공하므로 볼트의 체결과정에서 볼트의 걸림을 통해 볼트의 삽입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걸림부재를 구성하는 클립본체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볼트의 가압 시 양단부를 이루는 고정부가 이동하므로 고정부의 이동을 통해 볼트의 위치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10)는 장치의 고정이나 조립과 같은 제반장치에 적용되어 볼트(1)와 체결되면서 볼트(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본체(100), 위치확인홀(200) 및 걸림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10)는 걸림부재(300)의 구성이 생략되면서 위치확인홀(20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너트본체(100)는 암나사부를 통해 볼트와 체결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너트본체(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양쪽에 개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원형이나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면서 한 쪽만 개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너트본체(100)는 볼트(1)와 체결되는 모든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확인홀(200)은 너트본체(100)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볼트(1)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너트본체(100)의 일면에 관통형성되어 암나사부의 투시를 허용함으로써 볼트(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위치확인홀(20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장공형태를 이루면서 너트본체(100)의 가운데 부분에 관통 형성되어 암나사부의 투시를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확인홀(200)은 복수로 구성되어 너트본체(100)의 각 면에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10)는 위치확인홀(200)만으로 구성된 경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볼트(1)의 단부 위치를 위치확인홀(200)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볼트(1)를 좀 더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확인홀(200)에 결합되어 볼트(1)의 단부가 걸리는 걸림부위를 제공함으로써 볼트(1)의 체결과정에서 걸림을 통해 볼트(1)의 체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걸림부재(300)는 볼트(1)의 가압을 허용하면서 볼트(1)의 가압 시 이동하는 부재를 통해 볼트(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걸림부재(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본체(310), 만곡부(320) 및 고정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본체(310)는 걸림부재(30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요소로, 위치확인홀(20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철판으로 구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클립본체(310)는 탄성력을 갖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만곡부(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의 걸림부위를 제공하면서 볼트(1)에 의한 가압부위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만곡부(320)는 클립본체(310)의 중앙부분을 이루면서 소정의 곡률로 만곡 형성됨으로써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확인홀(200)에 삽입되면서 암나사부의 내부로 돌출됨으로써 볼트(1)의 걸림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만곡부(320)는 원형으로 만곡 형성되어 볼트(1)의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동시에 볼트(1)에 의한 가압부위를 제공하면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30)는 만곡부(320)를 위치확인홀(200)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고정부(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본체(310)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이루면서 위치확인홀(200)의 양단부에 각각 밀착됨으로써 만곡부(320)를 위치확인홀(20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만곡부(320)는 암나사부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볼트(1)의 걸림부위를 제공함으로써 볼트(1)의 걸림을 통해 볼트(1)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만곡부(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에 의해 가압되면서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고정부(330)는 만곡부(32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위치확인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볼트(1) 단부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걸림부재(300)는 도 3에 발췌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350)가 마련됨으로써 만곡부(320)를 좀 더 견고하게 위치확인홀(200)에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곡부(350)는 고정부(330)와 직교 상태를 이루면서 절곡 형성되어 너트본체(100)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립본체(310)는 고정부(330)를 통해 위치확인홀(200)의 양단부에 밀착되는 동시에 절곡부(350)를 통해 너트본체(100)의 외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좀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10)의 사용방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볼트(1)를 너트본체(100)의 암나사부에 체결할 경우, 볼트(1)는 체결과정에서 암나사부의 내부로 돌출된 만곡부(320)에 걸린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볼트(1)의 걸림을 통해 볼트(1)가 만곡부(320)의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만곡부(320)는 볼트(1)의 걸림에 의해 가압되면서 탄성변형할 수 있으며, 고정부(330)는 만곡부(320)의 탄성변형을 통해 위치확인홀(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고정부(330)의 이동을 확인하면서 볼트(1) 단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 (10)에 의하면, 위치확인홀(200)에 삽입되는 걸림부재(300)를 통해 볼트(1)의 걸림부위를 제공하므로 볼트(1)의 체결과정에서 걸림을 통해 볼트(1)의 삽입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걸림부재(300)를 구성하는 만곡부(320)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볼트(1)의 가압 시 고정부(330)가 이동하므로 고정부(330)의 이동을 통해 볼트(1)의 위치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
100 : 너트본체
200 : 위치확인홀
300 : 걸림부재
310 : 클립본체
320 : 만곡부
330 : 고정부
350 : 절곡부
1 : 볼트

Claims (5)

  1.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본체로 구성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볼트가 삽입된 상태로 체결되는 너트에 있어서,
    상기 너트본체의 일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 일부분의 투시를 허용하면서 상기 볼트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확인홀을 포함하는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홀에 결합되어 상기 암나사부의 내부에 상기 볼트의 단부가 걸리는 걸림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볼트에 의한 가압을 허용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위치확인홀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철판으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갖는 클립본체;
    상기 클립본체의 중앙부분을 이루면서 소정의 곡률로 만곡 형성되고, 상기 위치확인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암나사부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볼트 단부의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만곡부; 및
    상기 클립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이루면서 상기 위치확인홀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만곡부를 상기 위치확인홀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볼트에 의해 가압되면서 탄성 변형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만곡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위치확인홀의 길이 "?향으?* 이동하면서 상기 볼트 단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고정부와 직교상태를 이루면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너트본체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
KR1020210109021A 2021-08-18 2021-08-18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 KR20230026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021A KR20230026873A (ko) 2021-08-18 2021-08-18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021A KR20230026873A (ko) 2021-08-18 2021-08-18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873A true KR20230026873A (ko) 2023-02-27

Family

ID=8532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021A KR20230026873A (ko) 2021-08-18 2021-08-18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68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23010A1 (en) Speed nut
US20190211953A1 (en) Profiled Clamp
US8689407B2 (en) Hose clamp
TWM525431U (zh) 太陽能板的定位裝置
JP2016521324A (ja) パネルをビームに接続する耐震接続装置
US20170001298A1 (en) Display board
JP2009519413A (ja) 金属シートナット
KR20230026873A (ko) 볼트위치 확인용 너트
US9879779B2 (en) Self-retaining gasket
JP5086892B2 (ja) クロスクリップ
US10830265B2 (en) Gasket
JP6421187B2 (ja) ベルビル・ヘッドを備えたファスナー
US11680593B2 (en) Retaining clamp of a quick release fastening device, a quick release fastening device as well as a component connection with this quick release fastening device
US20170114816A1 (en) Clip Element, Method for Producing a Component Connection, and Component Connection
JP4590242B2 (ja) 金属板に設けた穴に部品を締結する方法
JP2018115714A (ja) 配線・配管材の横ずれ防止構造、横ずれ防止具、横ずれ防止装置及び横ずれ防止方法
KR20100062617A (ko) 스프링너트 장치
JP6479635B2 (ja) 配線ボックス固定装置、及び配線ボックス固定具
US2686548A (en) Nut retainer device
US20190054764A1 (en) Wheel-nut locking clamp
US10941795B2 (en) Clipping bushing device of fastener assembly
CN107683064B (zh) 卡扣结构及卡扣组件
JP6106504B2 (ja) ボルト押付具
CN109427712B (zh) 散热片固定结构
JP2020193645A (ja) 部材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