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322A - 파피오페딜리움 유묘로부터 원괴체의 유도방법 및 이의 증식방법 - Google Patents

파피오페딜리움 유묘로부터 원괴체의 유도방법 및 이의 증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322A
KR20080113322A KR1020080113222A KR20080113222A KR20080113322A KR 20080113322 A KR20080113322 A KR 20080113322A KR 1020080113222 A KR1020080113222 A KR 1020080113222A KR 20080113222 A KR20080113222 A KR 20080113222A KR 20080113322 A KR20080113322 A KR 20080113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edium
protoplasts
paphiopedilum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은
Original Assignee
박노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은 filed Critical 박노은
Priority to KR1020080113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3322A/ko
Publication of KR20080113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5Methods for micropropagation; Vegetative plant propagation using cell or tissue culture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60Flowers; Ornamental plants
    • A01G22/63Orch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2Culture media for tissue 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62Orchidaceae [Orchid famil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18Culture media for cell or tissue culture
    • C12N5/0025Culture media for plant cell or plant tissue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4Plant cells or tiss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05Inorgan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12N2500/34Suga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70Undefined extracts
    • C12N2500/76Undefined extracts from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피오페딜리움(Paphiopedilum) 원괴체의 유도 및 증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피오페딜리움의 유묘(flak 묘)의 기저부의 생장점을 포함한 섬유질 부위를 절취하는 단계; 상기 절취된 부위를 젤라이트가 함유된 원괴체(PLB; protocorm like body) 유도용 배지에 치상하는 단계; 및 상기 배지에서 상기 치상된 부위로부터 원괴체(PLB)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피오페딜리움 유묘로부터 원괴체의 유도방법, 상기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를 hyponex 배지에서 증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의 증식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 유도방법 및 증식방법은 그 동안 이루어지지 않았던 파피오페딜리움의 조직배양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원괴체를 유도시킬 수 있어 농가에서도 쉽게 적용하여 파피오페딜리움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방법으로 파피오페딜리움의 조직배양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파피오페딜리움 유묘로부터 원괴체의 유도방법 및 이의 증식방법{Induction Method of Protocorm like Body from Paphiopedilum Young Plant and Prolif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파피오페딜리움(Paphiopedilum) 원괴체의 유도 및 증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피오페딜리움의 유묘(flak 묘)의 기저부의 생장점을 포함한 섬유질 부위를 절취하는 단계; 상기 절취된 부위를 젤라이트가 함유된 원괴체(PLB; protocorm like body) 유도용 배지에 치상하는 단계; 및 상기 배지에서 상기 치상된 부위로부터 원괴체(PLB)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피오페딜리움 유묘로부터 원괴체의 유도방법, 상기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를 hyponex 배지에서 증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의 증식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에 관한 것이다.
난과 식물은 단자엽 식물에 속하는 식물학적으로 가장 진화된 식물로서 전 세계적으로 725속에 25,000여 종이나 되는 대단히 많은 종이 있으며, 남ㆍ북극을 제외하고는 지구 전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열대 지방에 많다. 열대 지방이 원산인 난들은 화형, 화색이 화려해서 세계 각국의 난 애호가나 전문가들에 의해 재배되고 있으며, 한편 한국, 중국, 일본 등 온대 지방의 난들은 대개 향기가 있고, 식물의 외모에 기품이 있어 예부터 동양인들에게 애호되어 온 것들이 많다(Roberts, L. and Dressler, 1981, Orchids natural history and classification, Havard University, Press London, England, p 1-21).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난의 종류는 100여종이 넘지만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난 종류는 수종에 불과하며 그것도 지역적으로 상당히 제한되어 재배되고 있다. 특히, 열대지방이 원산인 난들은 심비디움(Cymbidium), 온시디움(Oncidium), 파피오페딜리움(Phalaenopsis) 등 몇 가지 종류만 재배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파피오페딜리움, 온시디움 등의 묘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터, 21세기를 향한 도전, 충북화훼산업, 1996; 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터, 화훼재배기술개발(Ⅰ), 1997, 충북대학교 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터). 난의 수입국은 태국, 뉴질랜드, 네덜란드, 싱가폴, 대만, 일본 순이며 파피오페딜리움은 대만과 태국에서 국내 소비량의 약 50%를 수입하였다.
파피오페딜리움(Paphiopedilum)은 난초과의 식물로 슬리퍼처럼 생겼다고 하여 Lady's Slipper orchids라고도 불리운다. 원산지는 인도, 말레이시아, 뉴기니 등으로 현재 인도, 네팔, 인도차이나, 타이, 말레이시아, 필리핀, 뉴기니 등에 분포한다. 파피오페딜리움은 시프리페듐이라고도 하며, 높이는 10∼20 ㎝이다. 잎은 가죽같이 딱딱하고 긴 혀 모양이며 4∼5장이 좌우로 퍼져 난다. 빛깔은 녹색이 지만 무늬가 있는 것도 있다. 잎의 밑동에서 늦가을부터 봄에 걸쳐 꽃대가 자라며, 그 끝에 대개 1개의 꽃이 달린다. 꽃잎은 2장이 합하여 1장의 배판을 이룬다. 뒤편에 달린 꽃받침은 곧게 서고, 입술꽃잎은 주머니처럼 생긴다. 꽃 빛깔은 짙은 갈색 계통이 많지만 흰색ㆍ노란색ㆍ분홍색도 있다. 재배하는 원종은 20종 안팎이고 교배종은 100종 이상이며 40∼50일 간 볼 수 있다. 온실에서 재배하고 반그늘 상태와 습기가 많은 것을 좋아하므로 밑으로 파내린 온실에 적합하다. 겨울에도 15℃ 이상이면 잘 자라지만, 많은 품종의 기본이 되고 있는 인시그네(P. insigne)는 겨울에도 물을 적게 주면 5℃ 정도에서도 잘 견디므로 온상에서 월동한다.
식물조직 배양은 식물체를 영양 번식시키는데 있어서 가장 급속도로 증식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절편체를 배지에 배양하면 세포 분열이 일어나 다수의 절편체를 분리할 수 있는 세포덩어리(cell cluster)를 형성하고, 이들 조직에서 식물체를 분화시키거나 또는 절편체를 계속 증식시켜 나감으로써 클론 증식이 가능하다. 실제적으로 조직 배양을 통한 클로닝(cloning)이나 미세증식(mocropropagation)은 Haberlande(1902)에 의하여 시작되었지만 1952년까지는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난에 있어서 조직배양법의 적용은 Morel(Morel, G.M., 1960, Amer. Orchid Soc. Bull., 29: 495-497)이 CMV(Cymbidium mosaic virus)에 감염된 심비디움(Cymbidium)의 생장점을 절취하여 배양하였을 때 다른 식물의 생장점 배양에서와 같이 싹과 뿌리가 생겨 개체로 발달하지 않고 생장점이 비대해지면서 기부에 가 근(rhozoid)을 가진 소구체(spherule)와 같은 것을 형성하였는데 이들은 그 형태가 난의 종자 발아시 형성되는 원시구경(protocorm)과 유사하여 PLB(protocorm like body; 원괴체)라고 부르게 되었다. 생장점 배양에서 PLB는 잎의 표피나 준표피 세포에서 생긴다(Champagnat, M. et al., 1966, Rev. Gen. Bot., 73: 706-746).
Morel(Morel, G.M., 1960, Amer. Orchid Soc. Bull., 29: 495-497)은 이 PLB를 Knudson C 배지에 치상하여 새로운 PLB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방법의 증식과정은 무한히 반복하여 난을 급속히 다량 증식시킬 수 있어 상업적으로 이용되었다. 현재 육종에서 선발된 우수한 난의 영양계 증식은 거의 이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한창열, 1982, 식물조직배양, 일조가, p 68-104).
Dilon이 생장점, 즉 분열조직(meristem)으로 증식시킨 것을 영양계 클론(clone)이라 해서 이 생장점 배양법을 메리클론(mericlone)법이라 명명했다(한창열, 1982, 식물조직배양, 일조가, p 68-104). 메리클론 배양에 의해 심비디움, 카틀레야(Cattleya)를 비롯하여 덴드로비움(Dendrobium), 라이카스테(Lycaste), 밀토니아(Miltonia), 오돈톨로섬(Odontolossum), 파이우스(Phaius) 등 여러 종류의 난에서 증식이 가능하게 되었다.
Morel(Morel, G.M., 1964, Amer. Orchid Soc. Bull., 33(6): 473-478)은 Cymbidium, Mitonia, Phaius 등 여러 가지 난과 식물을 조직배양에 의하여 번식시킬 수 있었다. Sagawa와 Shoji(1967)는 Dendrobium 생장점 배양에 성공하였고, Scully(Scully, R.M., 1965, Bull, Pacific Orchid Soc., 23: 13-16)는 Cattleya의 생장점 배양법을 확립하였다.
그 후 Morel(1970), Kunisake 등(Kunisake, J.T. et al., 1972, Amer. Orchid Soc. Bull., 41: 430-439)과 Teo 등(1973)은 Vanda, Phalaenopsis 및 Phynecostylis와 같은 단경성란(monopodial orchid)의 조직배양에 의한 번식을 시도하였다.
Vanda는 측아를 코코낫 물(coconut water)이 15% 들어있는 한천배지에 8주일간 배양하다가 비대해진 눈을 액체배지로 계대해서 2~4주가 지나면 PLB가 증식되는데, 이것을 1~2% 한천배지에 옮기면 식물체가 분화되고 증식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파피오페딜리움은 이러한 조직배양에 의한 번식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씨에 의한 실상배양을 통해서만 번식이 이루어졌다. 그것은 파피오페딜리움의 성체에서는 상기 방법에 의하여 원괴체를 유도하는데 성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파피오페딜리움의 대량생산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대량번식 기술을 확립하고자 수행하고자 노력하던 중, 파피오페딜리움의 원괴체를 유도할 수 있는 신규한 방법을 개발하고, 아울러, 상기 유도된 원괴체를 대량으로 증식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피오페딜리움의 대량증식을 위한 조직배양에 이용하는 파피오페딜리움의 원괴체 유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도된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의 증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도방법으로 제조된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피오페딜리움(Paphiopedilum)의 유묘(flak 묘)의 기저부의 생장점을 포함한 섬유질 부위를 절취하는 단계; 상기 절취된 부위를 젤라이트가 함유된 원괴체(PLB; protocorm like body) 유도용 배지에 치상하는 단계; 및 상기 배지에서 상기 치상된 부위로부터 원괴체(PLB)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피오페딜리움 유묘로부터 원괴체의 유도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를 hyponex 배지에서 증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의 증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ⅰ) 파피오페딜리움(Paphiopedilum)의 유묘(flak 묘)의 기저부의 생장점을 포함한 섬유질 부위를 절취하는 단계; ⅱ) 상기 절취된 부위를 젤라이트가 함유된 원괴체(PLB; protocorm like body) 유도용 배지에 치상하는 단계; 및 ⅲ) 상기 배지에서 상기 치상된 부위로부터 원괴체(PLB)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피오페딜리움 유묘로부터 원괴체의 유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파피오페딜리움 유묘로부터 유도된 조직을 원괴체(PLB; protocorm like body)라고 명칭하였다. 다만, 이러한 원괴체는 통상적인 난의 원괴체와는 구조를 달리한다. 통상적인 난의 원괴체는 명확히 작은 낟알과 같은 형태들이 모여있는 형태를 띠는데 반하여, 파피오페딜리움의 원괴체는 마치 생강 덩이와 같은 구근 형태로 증식되고, 일종의 가근(rhozoid) 형태를 나타낸다(도 2 참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조직의 분화에 의하여 성체 파피오페딜리움이 유도될 수 있으므로, 이를 원괴체로 명명하기로 결정하였다.
상기 파피오페딜리움의 유식물체의 원괴체 유도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취되는 부위의 원괴체 유도배치에 치상은 사면배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피오페딜리움 유식물체의 원괴체 유도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괴체 유도용 배지는 VW(Vacin and Went) 변형 배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VW 변형 배지는 VW 배지성분 이외에 코코낫, 설탕(sucrose) 및 젤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VW 변형 배지는 배지 1 ℓ에 대하여 설탕 농도가 0.1 내 지 20 g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상기 VW 변형 배지는 배지 1 ℓ에 대하여 설탕 농도가 1 내지 10 g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파피오페딜리움 유식물체의 원괴체 유도방법에 있어서, 상기 VW 배지는 VW 배지 1.63 g, 코코낫 150 g 설탕(sucrose) 1 내지 10 g 및 젤라이트 4 g을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파피오페딜리움 파피오페딜리움 유식물체의 원괴체 유도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괴체 유도는 치상된 부분에서 싹이 생성될 때마다 이것을 절단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싹을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거된 부위의 잔존 부위가 육질형태의 특성으로 전환된다.
파피오페딜리움의 대량증식을 위해서는 원괴체(protocorm like body)를 이용한 조직배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파피오페딜리움으로부터 원괴체를 유도한 경우는 없었다. 파피오페딜리움의 조직배양이 성공한다면 보다 우수한 품종을 선택하고, 이로부터 보다 다양한 원괴체 유도를 위한 유식물체의 치상 부위, 치상 부위로부터 원괴체를 유도하는 배지 등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지금까지, 다른 종의 난에서 원괴체를 유도하는데 있어서, 유식물체의 치상 부위는 잎, 뿌리, 줄기, 기저부 등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다. 또한, 유도배지에는 통상적으로 hyponex 배지 또는 MS 배지를 이용하고, 여기에 BA(benzyladenine hormone)을 첨가하여 진행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최초로 파피오페딜리움의 유묘(flask 묘)의 기저부로부터 원 괴체 유도에 성공하였다. 파피오페딜리움의 유묘는 도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경, 잎, 뿌리 및 이들을 연결하는 조직인 기저부로 구성된다. 상기 기저부의 섬유질 부위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절단된 부위에서 육질 부위가 생성되도록 유도하고, 그로부터 원괴체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섬유질 부위가 절단되면, 상기 부위가 육질 형태로 전환되어 일반 식물의 캘러스(callus)와 유사하며, 이것을 치상하며 효과적으로 원괴체로 전환된다.
상기 절단된 생장점을 포함한 기저부 부위를 사면배양 배지에 치상하고, 여기에서 원괴체를 유도한다. 이때, 싹이 생성되는 경우 계속적으로 이것을 제거하여 유식물체로 성장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원괴체 유도 배지는 통상의 널리 이용되는 hyponex 배지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변형된 VW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형된 VW 배지는 배지의 고형화를 위해 응고제로 통상 사용되는 한천(agar)이 아니라 젤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원괴체 유도를 위해 벤질아데닌(BA; benzyladenine) 호르몬을 널리 사용하는데, 상기 BA 호르몬은 파피오페딜리움으로부터 변이체를 발생하는 부작용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를 첨가하지 않아도 효율적으로 원괴체 생성이 유도되도록 BA 호르몬을 첨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를 hyponex 배지에서 증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의 증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의 증식방법에 있어서, 상기 hyponex 배지는 질소(N): 인(P): 칼륨(K)으로 구성된 성분, 사과, 감자, 설탕(sucrose), 트립톤, 차콜(charcol) 및 한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질소(N): 인(P): 칼륨(K)의 비율이 20:20:20 중량비인 성분 0.05~2 중량%, 상기 질소(N): 인(P): 칼륨(K)의 비율이 6:6.5:19 중량비인 성분 0.1~0.4 중량%, 사과 3~10 중량%, 감자 3~10 중량%, 설탕(sucrose) 1~3 중량%, 트립톤 0.1~0.4 중량%, 차콜(charcol) 0.03~0.1 중량%, 및 한천 0.4~1.5 중량%를 함유하고 나머지는 증류수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질소(N): 인(P): 칼륨(K)의 비율이 20:20:20 중량비인 성분 0.1 중량%, 상기 질소(N): 인(P): 칼륨(K)의 비율이 6:6.5:19 중량비인 성분 0.2 중량%, 사과 5 중량%, 감자 5 중량%, 설탕(sucrose) 1.5 중량%, 트립톤 0.2 중량%, 차콜(charcol) 0.06 중량%, 및 한천 0.8 중량%를 함유하고 나머지는 증류수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질소(N): 인(P): 칼륨(K)으로 구성된 성분은 N은 CO(NH2)2 또는 다양한 아미노산이나 단백질에 포함된 유기질 질소 성분으로 제공되는 질소 비료이고, P는 P2O5와 같은 성분으로 제공되는 인산 비료이고, K는 K2O와 같은 성분으로 제공될 수 있는 가리 비료로써 상기 N, P, K 성분은 다양한 유기물질에 포함된 것으로 상기 원소의 질량비가 각각 20:20:20 및 6:6.5:19라는 것으로, 여기에 기타 N, P, K 성분을 제외한 원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상기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의 증식방법에서 이용된 증식용 배지에는 무기염 농도를 상당량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립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배지에는 탄수화물은 통상적인 양을 포함시켜도 무방하다. 특히, 원괴체 증식용 배지에는 무기염 농도가 중요한데, 무기염 농도가 지나치게 높거나 낮으면, 정상적인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PLB)는 생강과 유사한 미색을 띄는데 반하여, 원괴체가 투명하거나 진한 색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원괴체는 더 이상 증식되지 않으므로 대표적인 실패예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원괴체 증식 중에 유식물체로 성장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싹이 분화하는 경우 이것을 계속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싹을 제거할 때는 비록 싹 아래의 원괴체 부분을 일부 포함되더라도 완전히 싹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싹이 제거되지 않으면, 원괴체로부터 파피오페딜리움 성체로 분화가 진행되므로, 더 이상의 원괴체의 증식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 유도방법은 유묘의 생장점을 포함한 기저부 부위만을 절취하여 원괴체의 유도와 증식 그리고 클론묘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기술을 응용함으로써 클론묘의 순환적 연속대량증식 의 체계를 구축할 수 있어 우수 개체를 희생시키지 않고 영양번식 할 때 응용될 수 있으며, 플라스크묘의 대량 연속증식 등 파피오페딜리움 조직배양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 증식방법은 원괴체 증식율이 높아 농가에서도 쉽게 적용하여 클론묘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으로 파피오페딜리움의 우수 개체를 희생시키지 않고 영양번식시키는 것으로 파피오페딜리움 조직배양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 > 유묘의 기저부의 배양을 통한 원괴체 유도
파피오페딜리움 중에서 Paphiopedilum hirsutissimum var. chiwuanum(China Yunnam)를 선발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묘에서 생장점이 손실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기저부를 절취한 뒤 다시 2∼4개의 작은 절편체를 만들었다. 이때, 섬유질로 된 기부는 육질 형태로 전환되었다. 이것을 다양한 탄수화물 농도의 원괴체 유도 배지(표 1)에 치상하여 원괴체를 유도한 결과, 탄수화물 농도, 특히 배지 내의 설탕의 농도가 10 g/ℓ 까지는 원괴체 유도 성공률이 높게 유지되었다(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또한, Paphiopedilum hirsutissimum var. esquirolei(Guizhon) 품종으로부터 상기 과정과 동일하게 다양한 탄수화물 농도의 원괴체유도 배지(표 1)에 치상하여 원괴체를 유도한 결과, 탄수화물 농도, 특히 배지 내의 설탕의 농도가 10 g/ℓ 까지는 원괴체 유도 성공률이 높게 유지되었다(실시예 5 내지 실시예 8)(도 2).
원괴체 유도용 VW 배지(배지 1 ℓ당)(품종 Paphiopedilum hirsutissimum var. chiwuanum)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VW 성분 1.63 g 1.63 g 1.63 g 1.63 g
코코낫 150 g 150 g 150 g 150 g
설탕(sucrose) 0.5 g 2.5 g 10 g 25 g
젤라이트 4 g 4 g 4 g 4 g
원괴체 유도용 VW 배지(배지 1 ℓ당)(품종 Paphiopedilum hirsutissimum var. esquirolei)
성분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VW 성분 1.63 g 1.63 g 1.63 g 1.63 g
코코낫 150 g 150 g 150 g 150 g
설탕(sucrose) 0.5 g 2.5 g 10 g 25 g
젤라이트 4 g 4 g 4 g 4 g
< 실시예 9 > 파피오페딜리움 조직별 원괴체 유도
파피오페딜리움의 다양한 조직을 상기 표 1에 기재된 배지에 치상하여 원괴체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유묘의 기저부 조직은 다른 조직을 이용한 방법에 비교해서 매우 높은 성공률을 나타내고 있다(표 3).
파피오페딜리움 조직배양에서 치상조직별 원괴체 유도 성공률
품종 치상조직 치상수 생존수 원괴체 유도수(%)
Paphiopedilum hirsutissimum var. chiwuanum 유묘 근단 40 26 0(-)
유묘 와경절간 절편 40 28 0(-)
유묘 성숙엽 절편 40 25 0(-)
유묘 기저부 40 37 31(77.5)
Paphiopedilum hirsutissimum var. esquirolei 유묘 근단 40 18 0(-)
유묘 와경절간 절편 40 21 0(-)
유묘 성숙엽 절편 40 19 0(-)
유묘 기저부 40 33 29(72.5)
< 실시예 10 > 배지에 따른 원괴체 유도
본 발명에 이용된 VW 변형 배지와 비교하여 통상적으로 널리 이용된 MS 배지와 원괴체 성공률을 비교하였다(표 4). 그 결과, 본 발명의 기저부는 변형된 VW 배지에서는 원괴체 유도가 힘든 것으로 알려진 유색계 계통에서도 높은 원괴체 성공률을 나타내었을 뿐 만 아니라 품종에 큰 구애를 받지 않고 높은 원괴체 유도율을 나타내었다(표 4).
파피오페딜리움 조직배양에서 유도 배지에 따른 원괴체 유도 성공률
품종 변형된 VW 배지(표 1 조성과 동일) MS 배지
Paphiopedilum hirsutissimum var. chiwuanum 77.5% -
Paphiopedilum hirsutissimum var. esquirolei 72.5% -
< 실시예 11 > 응고제의 배지 조성에 따른 원괴체 유도
본 발명자들은 상기 변형된 VW 배지를 기초로 응고제로 한천 또는 젤라이트를 사용한 경우의 파피오페딜리움의 원괴체 유도 성공률의 변화를 테스트 하였다(표 5).
원괴체 유도용 VW 배지의 응고제로 한천과 젤라이트에 따른 원괴체 유도 성공률(품종 Paphiopedilum hirsutissimum var. chiwuanum)(기본적 조성은 표 1과 동일하다)
응고제 원괴체 유도 성공률
한천 15 %
젤라이트 77. 5%
< 실시예 12 >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의 증식
상기 실시예들에서 유도된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를 hyponex 배지(표 6)에 옮겨서 계속적으로 원괴체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원괴체가 계속적으로 증식하였다. 그리고, 원괴체 증식 중에 유식물체로 성장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싹이 분화하는 경우 이것을 계속적으로 제거하였다. 이때, 원괴체 증식 중에 유식물체로 성장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싹이 분화하는 경우 이것을 계속적으로 제거하였다. 이러한 싹을 제거할 때는 비록 싹 아래의 원괴체 부분을 일부 포함되더라도 완전히 싹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싹이 제거되지 않으면, 원괴체로부터 파피오페딜리움 성체로 분화가 진행되므로, 더 이상의 원괴체의 증식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원괴체 증식용 hyponex 배지(배지 1 ℓ당)
성분 함유량
(N:P:K=20%:20%:20%) 1.0 g
(N:P:K=6%:6.5%:19%) 2.0 g
사과 50 g
감자 50 g
설탕(sucrose) 15 g
트립톤 2.0 g
차콜(charcol) 0.6 g
한천 8 g
도 1은 화경, 잎, 뿌리, 기저부로 구성된 파피오페딜리움의 원괴체의 유도를 위하여 사용한 유묘(flask 묘)를 나타낸 사진이고(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괴체 유도를 위하여, 파피오페딜리움의 기저부를 절단하여 이용하였다),
도 2는 상기 파피오페딜리움의 기저부로부터 유도된 원괴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Claims (2)

  1.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를 질소(N): 인(P): 칼륨(K)의 비율이 20:20:20 중량비인 성분 0.05~2 중량%, 질소(N): 인(P): 칼륨(K)의 비율이 6:6.5:19 중량비인 성분 0.1~0.4 중량%, 사과 3~10 중량%, 감자 3~10 중량%, 설탕(sucrose) 1~3 중량%, 트립톤 0.1~0.4 중량%, 차콜(charcol) 0.03~0.1 중량%, 및 한천 0.4~1.5 중량%를 함유하고 나머지는 증류수로 구성되는 hyponex 배지에서 증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의 증식방법.
  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hyponex 배지는 상기 질소(N): 인(P): 칼륨(K)의 비율이 20:20:20 중량비인 성분 0.1 중량%, 상기 질소(N): 인(P): 칼륨(K)의 비율이 6:6.5:19 중량비인 성분 0.2 중량%, 사과 5 중량%, 감자 5 중량%, 설탕(sucrose) 1.5 중량%, 트립톤 0.2 중량%, 차콜(charcol) 0.06 중량%, 및 한천 0.8 중량%를 함유하고 나머지는 증류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피오페딜리움 원괴체의 증식방법.
KR1020080113222A 2008-11-14 2008-11-14 파피오페딜리움 유묘로부터 원괴체의 유도방법 및 이의 증식방법 KR20080113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222A KR20080113322A (ko) 2008-11-14 2008-11-14 파피오페딜리움 유묘로부터 원괴체의 유도방법 및 이의 증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222A KR20080113322A (ko) 2008-11-14 2008-11-14 파피오페딜리움 유묘로부터 원괴체의 유도방법 및 이의 증식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661A Division KR20080104634A (ko) 2007-05-28 2007-05-28 파피오페딜리움 유묘로부터 원괴체의 유도방법 및 이의증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322A true KR20080113322A (ko) 2008-12-30

Family

ID=40370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222A KR20080113322A (ko) 2008-11-14 2008-11-14 파피오페딜리움 유묘로부터 원괴체의 유도방법 및 이의 증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332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19166A (zh) * 2015-03-31 2015-06-24 中国科学院昆明植物研究所 一种促进杏黄兜兰无菌苗生长及增殖的方法
CN105165622A (zh) * 2015-10-12 2015-12-23 临沂大学 一种卷萼兜兰组培快繁方法
CN106718876A (zh) * 2016-11-23 2017-05-31 中国科学院华南植物园 一种海伦兜兰原球茎的低温保存培养基及低温保存繁殖方法
CN107242138A (zh) * 2017-08-04 2017-10-13 四川省自然资源科学研究院 一种横断雅致兜兰组培快繁及栽培的方法
CN107750947A (zh) * 2017-10-23 2018-03-06 中国科学院昆明植物研究所 一种调节杏黄兜兰有性繁殖和无性繁殖效率的方法
KR20210104980A (ko) * 2020-02-18 2021-08-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위손의 기내배양을 위한 배지 조성물 및 상기 배지 조성물을 이용한 바위손의 기내배양 방법
CN116369197A (zh) * 2022-12-02 2023-07-04 广州建筑园林股份有限公司 一种紫纹兜兰优质种苗的繁育方法
CN116671438A (zh) * 2023-05-29 2023-09-01 广西壮族自治区中国科学院广西植物研究所 一种延长海伦兜兰茎干进行快速育苗的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19166A (zh) * 2015-03-31 2015-06-24 中国科学院昆明植物研究所 一种促进杏黄兜兰无菌苗生长及增殖的方法
CN105165622A (zh) * 2015-10-12 2015-12-23 临沂大学 一种卷萼兜兰组培快繁方法
CN106718876A (zh) * 2016-11-23 2017-05-31 中国科学院华南植物园 一种海伦兜兰原球茎的低温保存培养基及低温保存繁殖方法
CN107242138A (zh) * 2017-08-04 2017-10-13 四川省自然资源科学研究院 一种横断雅致兜兰组培快繁及栽培的方法
CN107750947A (zh) * 2017-10-23 2018-03-06 中国科学院昆明植物研究所 一种调节杏黄兜兰有性繁殖和无性繁殖效率的方法
KR20210104980A (ko) * 2020-02-18 2021-08-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위손의 기내배양을 위한 배지 조성물 및 상기 배지 조성물을 이용한 바위손의 기내배양 방법
CN116369197A (zh) * 2022-12-02 2023-07-04 广州建筑园林股份有限公司 一种紫纹兜兰优质种苗的繁育方法
CN116369197B (zh) * 2022-12-02 2024-04-09 广州建筑园林股份有限公司 一种紫纹兜兰优质种苗的繁育方法
CN116671438A (zh) * 2023-05-29 2023-09-01 广西壮族自治区中国科学院广西植物研究所 一种延长海伦兜兰茎干进行快速育苗的方法
CN116671438B (zh) * 2023-05-29 2024-05-21 广西壮族自治区中国科学院广西植物研究所 一种延长海伦兜兰茎干进行快速育苗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51121B (zh) 一种白及分化、壮苗培养基
KR20080113322A (ko) 파피오페딜리움 유묘로부터 원괴체의 유도방법 및 이의 증식방법
CN103651122B (zh) 一种白及原球茎诱导培养基
CN104041273A (zh) 一种中药材甜叶菊的盆栽驯化方法
CN104429965A (zh) 峨眉金线莲种子无激素快速组培繁殖的方法
CN103688854A (zh) 峨眉金线莲的组培快繁方法
CN111972288B (zh) 一种百香果离体保存及增殖再生方法
KR100883188B1 (ko) 호접란 유식물체로부터 원괴체의 유도방법
CN107079817A (zh) 兜兰新品种“优优兜兰”组培快繁方法
CN108739380B (zh) 一种白及组培苗一次性成苗的方法
CN112119913A (zh) 一种甘薯的脱毒扩繁方法
CN101406157A (zh) 一种花叶夹竹桃的组织培养方法
KR100785057B1 (ko)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양광(陽光)
CN103416302A (zh) 桂花体细胞胚再生植株的方法
KR101794973B1 (ko) 댕댕이나무의 식물체 배양 방법
KR20080104634A (ko) 파피오페딜리움 유묘로부터 원괴체의 유도방법 및 이의증식방법
CN112616675B (zh) 一种舞花姜组织培养快速繁殖方法
CN104429958A (zh) 白榆组培苗瓶内复壮的方法
CN103999774A (zh) 一种金线莲带芽茎段组织培养一步成苗的配方
KR100751950B1 (ko)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금강(金剛)
KR100751951B1 (ko)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잔묵(殘默)
CN109863998B (zh) 一种蒙椴种苗的组织培养方法
KR20080104632A (ko) 호접란 원괴체의 증식방법
CN103340155A (zh) 锦叶榄仁的离体组织培养与快速繁殖方法
KR102382531B1 (ko) 이끼와 다육이를 공생 재배하는 방법 및 이에 따라 공생 재배된 이끼와 다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