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2650A -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2650A
KR20080112650A KR1020070061310A KR20070061310A KR20080112650A KR 20080112650 A KR20080112650 A KR 20080112650A KR 1020070061310 A KR1020070061310 A KR 1020070061310A KR 20070061310 A KR20070061310 A KR 20070061310A KR 20080112650 A KR20080112650 A KR 20080112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ank
decomposition
cover
water
liquefac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마퓨어텍
노구치 켄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마퓨어텍, 노구치 켄지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마퓨어텍
Priority to KR1020070061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2650A/ko
Priority to JP2010513108A priority patent/JP2011506053A/ja
Priority to PCT/KR2008/003434 priority patent/WO2008156292A1/en
Publication of KR20080112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1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 A23L3/015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using sub- or super-atmospheric pressures, or pressure variations transmitted by a liquid or ga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5Rehydration or dissolving of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초고압으로 식품을 분해, 액화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정밀도가 높아 장시간 사용시에도 잔고장이 없고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신뢰성 및 안전성이 높은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본 발명의 한 형태에 있어서,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는 신축성있는 밀폐용 봉투에 담긴 유기물을 수납하며 그 상단 벽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처리조; 하단 벽면에 제1 나사산에 상응하여 제2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처리조를 덮을 수 있는 덮개; 상기 처리조 안으로 상기 유기물을 가압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 처리조 내에 있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 처리조를 수용하고 상부에 레일이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 상기 덮개를 하측으로부터 수용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커버블록; 및 상기 덮개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덮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상하구동 수단;을 구비한다.
초고압, 고압, 분해, 액화

Description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Apparatus for Decomposing and Liquefying Organic Substan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처리조의 형태와, 그 주변 구성요소들간의 유체 흐름 계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부스터 펌프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펌핑룸과 실린더의 접속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실린더 내에 설치되는 피스톤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장치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장치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처리조의 형태와, 그 주변 구성요소들간의 유체 흐름 계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도 9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물질 분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효소를 사용하여 물질을 분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품질의 최소가공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가 커짐에 따라 비열처리 방식으로 식품을 가공하기 위한 기술이 다양한 방식으로 모색되고 있다. 특히, 고온으로 가열되지 않은 온도에서 살균, 가공, 조리가 가능한 새로운 식품가공 기술로서 초고압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초고압을 이용한 식품가공 기법은 식품의 물리적 변화 및 생화학적 변화를 단시간내에 수행함으로써 발효식품 등을 만드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지만, 이를 구현하기 위한 초고압기기를 제작하기가 어렵고 신뢰성 및 안전성을 담보하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이 기법은 고압 기체를 이용한 단순 살균 장치 등에만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을 뿐이며, 식품의 발효 즉, 분해나 액화에는 상업적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실험실에서만 연구되고 있을 뿐이다.
한편, 이와 같은 초고압기기를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처리조를 견고한 덮개에 의하여 덮어야 하는데, 이러한 덮개는 필연적으로 중량이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덮개를 여닫기가 쉽지 않아질 뿐만 아니라, 여닫는 과정에서 처리조와의 정렬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 원활하게 동작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다른 한편으로, 위와 같은 기기에 있어서, 압력매개체인 유체를 의도하는 압력으로 충진하고 압력을 정확히 유지되도록 하기 위에서는, 정교한 펌프가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펌프에서 적지 않은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고압으로 식품을 분해, 액화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정밀도가 높아 장시간 사용시에도 잔고장이 없고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신뢰성 및 안전성이 높고, 동작과정에서 소음이 적은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있어서,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는 신축성있는 밀폐용 봉투에 담긴 유기물을 수납하며 그 상단 벽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처리조; 하단 벽면에 제1 나사산에 상응하여 제2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처리조를 덮을 수 있는 덮개; 상기 처리조 안으로 상기 유기물을 가압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 처리조 내에 있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 처리조를 수용하고 상부에 레일이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 상기 덮개를 하측으로부터 수용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커버블록; 및 상기 덮개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덮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상하구동 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급수수단은 오일 순환 서브시스템; 입구가 급수원에 접속되어 있고 출구가 상기 처리조에 접속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오일 압력에 따라 흡입 및 배출 동작을 수행하는 오일구동 펌프; 및 상기 오일 순환 서브시스템에 접속되어 상기 오일 압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다. 상기 오일구동 펌프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하구동 수단은 상기 덮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상기 커버블록을 유체압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상하구동 실린더;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하구동 실린더에 의해 변위되는 커버블록이 연직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게 가이드하는 승하강 가이드; 커버블록에 결합되어 있으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는 이동 블록; 및 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이송 레일 가이드;가 추가적으로 마련되어, 상하구동 실린더가 이송 레일 가이드를 승하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되어 있는 하우징(30)을 구비한다. 하우징(30)의 전면에는 장치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도어(32)가 마련되어 있다. 도어(32)의 상부에는 장치의 동작조건을 설정하고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3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컨트롤 패널(34)은 장치의 동작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키패드와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하우징(30)의 상부면에는 예컨대 식품재료와 같은 피가공물을 수납하기 위한 처리조(10)가 하방 내측으로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30)의 상부면에서, 처리조(10)의 양측에는 이송 가이드 서포트(40, 50)가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고, 각 이송 가이드 서포트(40, 50)의 내측으로는 이송 가이드 레일(42, 52)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송 가이드 레일(42, 52) 각각의 내측에는 이송 가이드 레일(42, 5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이동 블록(44, 54)이 설치되어 있다. 이송 가이드 레일(42, 52)의 전단부에는 이동 블록(44, 54)의 이동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스톱퍼(46, 56)가 설치되어 있다. 두 개의 이동 블록(44, 54) 모두 또는 어느 하나 상부에는 커버보디(60)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 브라켓(56)이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처리조(10)의 형태를 보여준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조(10)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되며, 상측으로 개방된 컵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그 내부에 식품재료를 수납할 공간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피가공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처리조(10)는 덮개(9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동작 과정에서 처리조(10)와 덮개(20)가 서로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처리조(10) 상단 내주면과 덮개(90) 외주면에는 각각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처리조(10) 내부에 고압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 처리조(10)와 덮개(20)의 체결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처리조(10)와 덮개(20)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사각 나사산 형상으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처리조(10)의 바닥면에는 처리조(10)에 압력매개체로써 체워지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12)가 설치되고, 히터(12) 상부에는 피가공물이 히터(12)와 접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격판(14)이 설치되어 있다. 처리조(10)의 외주면에는 처리조(10) 자체를 가열함으로써 처리조(10)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온도가 크게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16)가 부착 설치된다. 히터(16)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히터(16)가 부착된 처리조(10)의 외주면에는 단열 보온재를 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조(10)의 측면 및 저면에는 복수의 관통공(20~2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공(20)에는 히터(12)가 끼워지거나, 히터(12)에 급전하기 위한 와이어가 통과한다. 제2 관통공(22)에는 처리조(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미도시됨)가 끼워지거나, 이 온도센서에 급전하기 위한 와이어가 통과한다. 제3 관통공(24)에는 처리조(10) 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라인(120)이 접속된다. 제4 관통공(26)에는 피가공물의 분해처리가 완료된 후 처리조(10) 내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 라인(122)이 접속된다. 제5 관통공(28)에는 동작 초기 단계에서 처리조(10) 내부에 물을 채울 때 공기를 배출하고 분해처리가 진행되는 동안 압력조정을 위해 필요에 따라 물을 배출하기 위한 벤트/릴리프 라인(124)이 접속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 내부에는 처리조(10)에 대한 급수 및 배수와, 처리조(10) 내부의 압력 상승 및 유지를 원활히 하기 위하여, 부스터 펌프(100), 오일 순환 시스템(102), 오일 솔레노이드 밸브(104, 106), 드레인 밸브(108), 압력 스위치(110), 릴리프 밸브(112), 및 솔레노이드 밸브(114)를 더 구비한다.
부스터 펌프(100)는 급수 라인(120) 상에 설치되며, 유압을 동력원으로 하여 동작하여 처리조(10)가 물로 채워진 상태에서 추가적인 물을 공급하여 처리조(10) 내부를 가압한다. 부스터 펌프(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유압은 오일 솔레노이드 밸브(104)에 의해 생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오일 솔레노이드 밸브(104)는 오일 순환 시스템(102)에 의해 공급되는 오일을 주기적으로 제1 및 제2 유로(104a, 104b)에 번갈아 공급하게 된다. 부스터 펌프(100)는 제1 유로(104a)를 통해 오일이 공급될 때 흡입구를 통해 상수원으로부터 물을 흡입한 후, 제2 유로(104b)를 통해 오일이 공급될 때 물을 배출구를 통해 급수라인(120)을 경유하여 처리조(100)에 밀어넣게 된다. 부스터 펌프(100)의 흡입구 및 배출구에는 체크밸브들(미도시됨)이 설치되어 있어서, 흡입 단계에서는 배출구측 체크밸브에 의해 배출구가 차단되고 배출 단계에서는 흡입구측 체크밸브에 의해 흡입구가 차단된다.
드레인 밸브(108)는 제4 관통공(26)에 접속된 배수 라인(122) 상에 설치되어, 피가공물의 분해처리가 완료된 후 처리조(10) 내의 물이 배수 라인(122)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압력 스위치(110), 릴리프 밸브(112) 및 솔레노이드 밸브(114)는 벤트/릴리프 라인(124) 상에 설치된다. 압력 스위치(110)는 벤트/릴리프 라인(124)를 통해 전달되는 처리조(10) 내압을 측정하여 시스템 제어부(미도시됨)에 전달하여, 시스템 제어부가 이 측정된 내압을 토대로 릴리프 밸브(112) 및 솔레노이드 밸브(114)를 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동작 초기 단계에서 처리조(10)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동안에 그리고 분해 처리가 완료되어 처리조(10) 내의 물이 배수 라인(122)을 통해 배출되는 동안에는, 릴리프 밸브(112) 및 솔레노이드 밸브(114)가 모두 개방되어 처리조(10) 내부의 공기가 이 밸브들을 통해 흐를 수 있게 된다. 벤트/릴리프 라인(124) 상에는 동작 초기 단계에서 처리조(10) 내부에 물이 채워져 넘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오버플로 센서(128)가 설치된다. 한편, 동작 과정에서 처리조(10) 내압이 설정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14)가 개방된 상태에서 릴리프 밸브(112)가 동작하여 미량의 물이 누출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14)는 오일 솔레노이드 밸브(106)에 의해 생성되는 유압에 의해 동작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30)의 상부에는 처리조(10)의 덮개(90)를 수용하고 이를 지지하기 위한 커버보디(60)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보디(60) 내에 있는 상기 덮개는 핸들축(62)의 하단이 결합되어 있고, 핸들축(62)의 상단에는 핸들(64)이 부착되어 있다. 커버보디(60)의 상부에는 핸들스톱퍼(66)가 핸들축(62)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보디(60)는 접속부재(68)에 의해 이동 블록(54) 상의 접속 브라켓(56)에 결합되어 있다.
사용자가 처리조(10) 입구에 손을 넣어 피가공물을 적재하거나 빼내는 동안에 커버보디(60)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 상부(30)에는 장애물 센서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애물 센서는 입사광을 출사하고 반사광을 수신하는 신호송수신부(80)와, 상기 입사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거울(82)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송수신부(80)는 하우징 (30)의 전방 상부면에서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거울(82)은 커버보디(60)의 전면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거울(82)은 플래스틱 재질의 반사판으 로 구성된다. 그렇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거울(82)로서 별도의 반사판을 부착하는 대신에 커버보디(60)의 전면 일부를 평탄화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신호송수신부(80)에서 출사된 빛이 거울(82)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광이 수신되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는 커버보디(6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렇지만, 신호송수신부(80)에서 빛이 출사되고 있음에도 반사광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는 사용자의 손이나 그밖의 장애물이 처리조(10) 입구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커버보디(6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도 3은 커버보디(60)의 구조와 하우징(30)과의 연결 상태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하우징(30) 내부에는 장치를 기구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36)이 마련되어 있다. 프레임(36)의 상부에는 베이스블록(70)을 매개로 하여 베이스 플레이트(72)가 설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72)의 대략 중앙에는 처리조(10)를 끼우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다. 처리조(10)는 그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11)를 상기 홀 경계에 안착시킴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72)에 설치된다. 이때, 처리조(10)의 상단부 면은 하우징(30)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있게 된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상부면에는 이송 가이드 서포트(40, 50)와 이송 가이드 레일(42, 52)이 설치된다. 그리고, 커버보디(60)는 접속부재(68) 및 접속 브라켓(56)에 의해 이동 블록(54)에 결합되며, 이동 블록(44, 54)은 이송 가이드 레일(42, 5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설치된다.
커버보디(60)는 하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그 측방향 내주면에는 처리 조(10) 상단 내주면과 동일한 패턴으로 사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핸들(64) 조작에 따라 핸들축(62)에 결합된 덮개(20)가 커버보디(60) 내에서 나사 구조를 따라 승하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커버보디(60)의 상부에는 핸들축(62)이 하강할 때 덮개(70)가 완전히 하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감지부(69)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처리조(10) 상단 내주면의 나사구조 하측과 덮개(70)의 하단부 모서리에는 면과 면이 상호 긴밀히 맞닿도록 모따기에 의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처리조(10)의 경사면에는 환형 요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기밀을 유지시키는 오링과, 이 오링의 변형 및 이탈을 방지하는 백업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부스터 펌프(1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부스터 펌프(100)에 있어서, 펌핑룸(150) 상부에는 상부 매니폴드(160) 및 하부 매니폴드(170)에 의해 지지되는 실린더(155)가 설치된다. 상부 매니폴드(160)에는 네 모서리 근처에는 나사공(162)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매니폴드(170)에도 이에 대응하여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실린더(155)를 상부 매니폴드(160) 및 하부 매니폴드(170)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볼트(198) 및 너트(199)를 체결하여 실린더(155)와 상부 매니폴드(160) 및 하부 매니폴드(17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실린더(155)의 일 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내외부를 관통하는 슬롯(157)이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피스톤의 돌출봉(192)이 상기 슬롯(157)을 통해 실린더(155)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실린더(155)의 측방향에는 상부 매니폴 드(160)의 측면과 하부 매니폴드(170)의 측면에 각각 상하단이 결합되는 브라켓(180)이 부착되어 있다. 브라켓(180)의 내측 상방에는 제1 전극(182)이 설치되고, 브라켓(180)의 내측 하방에는 제2 전극(182)이 설치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펌핑룸(150)과 실린더(155)의 접속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실린더(155) 내에 설치되는 피스톤(190)의 사시도이다. 펌핑룸(150)은 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95)와, 흡입된 물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96)를 구비하며, 흡입구(195) 및 토출구(196)에는 각각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미도시됨)가 설치된다. 실린더(155)의 상측에는 제1 및 제2 오일 유출입구(158, 159)가 설치되어 있다. 펌핑룸(150)의 상부면에는 피스톤(190)의 플런저(194)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190)은 원통형 보디(191)와, 보디(19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플런저(194)와, 보디(192)의 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봉(192)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부스터 펌프(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오일 솔레노이드 밸브(104)의 작용에 의하여 오일 순환 시스템(102)의 오일 순환 압력이 실린더(155) 상부에 충진된 오일을 빼내게 되면, 유압에 의해 피스톤(191)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방으로 이동하는 피스톤 플런저(194)의 부피만큼, 물이 흡입구(195)를 통해 펌핑룸(150) 내부로 유입된다. 피스톤(191)의 이동이 계속되어 돌출봉(192)이 제1 전극(182)과 접촉하게 되면 감지신호가 시스템 제어부에 전달되며, 이에 응답하여 제어부는 오일 솔레노이드 밸브(104)를 스위칭 시켜, 오일 순환 시 스템(102)의 오일 순환 압력이 실린더(155) 상부에 오일을 충진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압에 의해 피스톤(191)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하방으로 이동하는 피스톤 플런저(194)의 부피만큼, 펌핑룸(150) 내부에 있는 물이 토출구(196)를 통해 처리조(30)에 공급된다. 피스톤(191)의 이동이 계속되어 돌출봉(192)이 제2 전극(184)과 접촉하게 되면 감지신호가 시스템 제어부에 전달되며, 이에 응답하여 제어부는 오일 솔레노이드 밸브(104)를 다시 스위칭시켜, 오일 순환 시스템(102)의 오일 순환 압력이 실린더(155) 상부에 충진된 오일을 빼내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부스터 펌프(100)는 처리조(30) 내부를 물로 가압하게 된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도 1의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분해/액화 처리 개시 이전에,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는 핸들축(62)은 상측으로 이동해있고 커버보디(60)는 후방으로 이송되어 있는 도 6과 같은 초기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피가공물, 즉 생선, 해초류, 야채류, 곡류, 과일류, 해산물, 수산물, 육류, 약초류 등과 같은 식품이나 화장품을 밀폐용 봉투에 투입한다. 여기서, 상기 밀폐용 봉투는 예컨대 비닐봉지와 같이 그 외부의 수압을 내부로 전달할 수 있을 만큼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처리조(10)에 채워진 물이 그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용 봉투는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수단(예컨대, 지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수단이 없는 경 우에는 여러번 접거나 말아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피가공물을 밀폐용 봉투에 투입할 때에는, 피가공물에 적합한 분해효소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해효소는 피가공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예컨대, 피가공물의 유효성분이 단백질인 경우에는 단백질분해효소를 사용하고, 피가공물의 유효성분이 탄수화물인 경우에는 탄수화물분해효소를 사용하게 된다. 복수의 분해효소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피가공물이 건조된 상태인 경우 피가공물 중량의 1%~10%의 물 또는 그밖의 용매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밀폐용 봉투에 피가공물을 투입한 후에는 처리조(10)의 물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조치한 후, 작업자는 밀폐용 봉투를 처리조(10) 내부 저면에 적재한다.
그 다음, 작업자는 컨트롤 패널(34)의 키패드에 있는 '시작' 버튼을 누르게 된다. 버튼 입력에 응답하여, 시스템 제어부는 모터(미도시됨)을 동작시켜, 이동 블록(44, 54)이 이송 가이드 레일(42, 52)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커버보디(60) 및 핸들(64) 조립체가 전방으로 이송된다. 커버보디(60) 내에 있는 덮개(70)의 축심이 처리조(10)의 축심에 일치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모터 및 커버보디(60)의 이송이 정지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보디(60)가 처리조(10)의 상부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핸들(64)을 돌려서, 핸들축(62)에 결합된 덮개(70)가 커버보디(60) 내에서 하강하도록 하게 된다. 핸들(64) 회전이 계속됨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70)는 계속 하강하여 처리조(10)의 상단 내측에 체결되어 처리조(10) 입구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처리조(10)의 내부에 형성된 경 사면과 덮개(70)의 하단 모서리에 형성된 경사면은 상호 긴밀히 밀착되는 동시에, 오링이 압축되면서 더욱 기밀을 유지시키게 되고, 이때 백업링은 오링의 변형 및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컨트롤 패널(34)의 키패드를 눌러서 작업시간, 압력, 온도 등 작업조건을 설정한다. 구체적인 작업조건은 피가공물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작업시간으로는 예컨대 6시간~24시간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압력은 예컨대 500 바(bar)에서 2000 바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가공온도는 예컨대 40℃~80℃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작업자가 작업조건 설정을 완료하고 '시작' 버튼을 눌러서 동작개시 명령을 인가하면, 이에 응답하여 시스템 제어부는 드레인 밸브(108)를 닫고 릴리프 밸브(112) 및 솔레노이드 밸브(114)를 개방한 상태에서, 급수 라인(120)을 통해 수돗물 압력에 의해 처리조(10) 내에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처럼 동작 초기에 수돗물이 자체 압력에 의해 급수 라인(120)을 통해 처리조(10) 내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부스터 펌프(100)를 우회한 유로를 마련하고, 밸브에 의해 유로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이 채워지는 동안 처리조 내부(30)의 공기는 릴리프 밸브(112)를 통해 배출된다.
처리조(10)에 물이 가득 차게 되면 공기와 함께 물이 벤트/릴리프 라인(124)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오버플로 센서가 물 넘침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에게 알리게 된다. 이때부터, 제어부는 릴리프 밸브(112) 및 솔레노이드 밸브(114)를 닫고, 오일 솔레노이드 밸브(104)를 동작시켜 부스터 펌프(100)가 부스터 펌 프(100)가 오일 솔레노이드 밸브(104)로부터의 유압에 의해 추가적인 물을 공급하여 처리조(10) 내부를 가압하도록 한다. 압력 스위치(114)에 의해 검출되는 처리조(10)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에 이르면, 제어부는 오일 솔레노이드 밸브(104) 및 부스터 펌프(10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히터(12, 16)를 가동시켜, 처리조(10) 내부의 물과 처리조(10) 자체를 가열한다. 처리조(10) 및 물의 가열은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설정 온도에 이를 때까지 계속된다.
이때, 물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른 물 부피 팽창으로 인하여 처리조(10)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높아지게 되면,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114)가 열려서 미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압력이 낮추어지도록 하게 된다. 한편, 설정 시간동안 압력 스위치(110)는 지속적으로 처리조(10) 내부 압력을 감지하고, 제어부는 이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즉,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기준치 이상 낮아지게 되면 오일 솔레노이드 밸브(104) 및 부스터 펌프(100)의 동작을 재개시켜 처리조(10) 내부 압력이 증가하도록 하고,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높아지게 되면 다시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114)를 열어서 미량의 물이 배출도록 하여 압력을 낮추게 된다. 한편, 온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기준치 이상 떨어지게 되면, 제어부는 히터(12, 16)를 동작시켜 물과 처리조(10)의 온도를 높이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과 처리조(10) 자체의 온도가 밸런싱 컨트롤되어 큰 변동없이 설정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설정된 작업시간이 경과하면, 릴리프 밸브(112) 및 솔레노이드 밸브(114)가 열려서 미량의 물이 배출되어 처리조(10) 내부 압력이 대기압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 다음, 드레인 밸브(108)가 열려서 처리조(10) 내부의 물이 배수 라인(124)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릴리프 밸브(112) 및 솔레노이드 밸브(114)를 통해서 공기가 처리조(10)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감압 및 배수가 완료되면, 컨트롤 패널(34)의 디스플레이에 작업완료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후, 작업자는 핸들(64)을 돌려서 덮개(70)를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덮개(70)는 도 7의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복귀한다. 작업자가 컨트롤 패널(34)의 키패드 상에 '완료' 버튼을 누르면, 커버보디(60) 및 핸들(64) 조립체는 후방으로 이송되어 도 6의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처리조(10) 내에 있는 밀폐용 봉투를 꺼내어 피가공물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작업이 완료된 피가공물은 죽과 같이 점도가 높은 액체 성상을 가진다. 이러한 성상의 변화는 기계적으로 쪼개져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고압 하에서 효소의 작용이 촉진되어 화학적으로 저분자화된데서 기인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에 따르면, 고분자 유기물이 단시간 내에 고압 하에서 분해효소의 작용에 의해 저분자 물질로 분해된다. 이에 따라, 식품이나 생약의 경우 소화흡수가 쉬운 상태로 되고, 화장품이나 기타 미용제품의 경우 피부 흡수 및 보습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230)의 전면에는 장치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도어(232)가 마련되어 있다. 도어(232)의 상부에는 장치의 동작조건을 설정하고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컨트롤 패 널(234)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30)의 상부면에는 예컨대 식품재료와 같은 피가공물을 수납하기 위한 처리조(210)가 하방 내측으로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30)의 상부면는 처리조 덮개(250)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커버보디(24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커버보디(240)는 이송 가이드 서포트(260a, 260b)에 결합된 이송 가이드 레일(270a, 270b)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하구동 에어실린더(262) 및 승하강 가이드(264)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 레일(270a, 270b)에는 커버보디(240)에 연결된 이동 블록(280a, 280b)이 끼워져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하구동 에어실린더(262)는 압축 및 신장에 의해 이송 가이드 서포트(260a, 260b)를 승하강 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승하강 가이드(264)는 이송 가이드 서포트(260a, 260b)가 정확히 연직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커버보디(240) 내에 있는 덮개(250)는 액츄에이터(252)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254)에 결합되어 있어서, 구동축(254) 회전에 따라 승하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피가공물을 대량으로 분해/액화하는데 적합한 것으로서, 피가공물을 운반하여 처리조에 적재할 수 있도록 호이스트 프레임(290)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호이스트 프레임(290)은 보디프레임(230)의 배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이어져 있는 수직바(292, 294)와, 수직바(292, 294)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바(296)와, 설치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수평바(296)의 일 지점을 설치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바(298)를 구비한다. 호이스트 프레임(290)의 수평바(296)에는 피가공물을 운반하기 위한 호이스트(299)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장치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1은 B-B선 단면도이다.
커버보디(240)는 하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그 측방향 내주면에는 처리조(210) 상단 내주면의 나사산과 동일한 패턴으로 사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구동축(254) 회전에 따라 구동축(254)에 결합된 덮개(250)가 커버보디(240) 내에서 나사 구조를 따라 승하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하우징(230) 내부에서 장치를 기구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236)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38)가 설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38)의 대략 중앙에는 처리조(210)를 끼우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다. 처리조(210)는 그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211)를 상기 홀 경계에 안착시킴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238)에 설치된다. 이때, 처리조(210)의 상단부 면은 하우징(230)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있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38) 상방에는 두 개의 이송 가이드 서포트(260)가 설치되는데, 이 이송 가이드 서포트(260)는 베이스 플레이트(238)에 설치된 상하구동 에어실린더(262)에 의해 지지되어 승하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두 개의 승하강 가이드(264)는 이송 가이드 서포트(260)가 정확히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두 개의 승하강 가이드(264)의 하단은 가이드 바(266)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가이드 바(266)에는 승하강 가이드(264)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승하강 가이드(264)를 지지하는 스톱퍼(268)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230) 상부면 하방에는 커버보디(24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구동 에어실린더(272)가 설치되어 있다. 수평구동 에어실린더(272)가 압축 또는 신장됨에 따라, 커버보디(240)는 이에 결합된 이송 블록(270a, 270b)이 이송 가이드 서포트(260)에 결합된 이송 가이드 레일(280a, 280b)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하면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작업을 위채 처리조(210)에 덮개(230)가 용이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처리조(210)의 상부면에는 가이드핀(284)이 구비되고, 커버보디(240)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핀(284)이 끼워질 수 있는 가이드핀삽입홈(286)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가공물은 밀폐용 봉투에 담긴채 별도의 포켓(미도시됨)에 탑재되어 호이스터(299)에 의해 처리조(210) 내에 투입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처리조(21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형태 및 구조를 갖는다. 처리조(210)의 바닥면에는 처리조(210)에 압력매개체로써 체워지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300)가 설치되고, 히터(300) 상부에는 피가공물이 히터(300)와 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격판(302)이 설치되어 있다. 처리조(210)의 외주면에는 처리조(210) 자체를 가열함으로써 처리조(210)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온도가 크게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304)가 부착 설치된다. 히터(304)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히터(304)가 부착된 처리조(210)의 외주면에는 단열 보온재를 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조(210)의 측면 및 저면에는 복수의 관통공(310~32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공(310)에는 히터(300)가 끼워지거나, 히터(300)에 급전하기 위한 와이어 가 통과한다. 제2 관통공(312)에는 처리조(2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미도시됨)가 끼워지거나, 이 온도센서에 급전하기 위한 와이어가 통과한다. 제3 관통공(314)에는 처리조(210) 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라인(340)이 접속된다. 제4 관통공(316)에는 피가공물의 분해처리가 완료된 후 처리조(210) 내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 라인(342)이 접속된다. 제5 관통공(318)에는 동작 초기 단계에서 처리조(210) 내부에 물을 채울 때 공기 등를 배출하기 위한 벤트 라인(344)이 접속된다. 제5 관통공(320)에는 분해처리가 진행되는 동안 압력조정을 위해 필요에 따라 물을 배출하기 위한 릴리프 라인(346)이 접속된다.
급수 라인(340)에는 부스터 펌프(360) 및 솔레노이드 밸브(362)가 설치된다. 밸브(363)는 초기에 처리조(210)에 물을 채울 때에만 열려서 단시간 내에 처리조(210)에 물이 찰 수 있게 해준다. 부스터 펌프(360)는 처리조(210)가 물로 채워진 상태에서 추가적인 물을 공급하여 처리조(210) 내부를 가압한다. 대용량 처리 용도를 감안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부스터 펌프(360)로는 에어 펌프가 사용된다.
드레인 밸브(370)는 제4 관통공(316)에 접속된 배수 라인(342) 상에 설치되어, 피가공물의 분해처리가 완료된 후 처리조(210) 내의 물이 배수 라인(342)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벤트 라인(344)에는 솔레노이드 밸브(380), 레벨 센서(382) 및 체크 밸브(384)가 설치된다. 레벨 센서(382)는 가동 초기 단계에서 처리조(210)에 물이 가득차 넘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에 알려주며, 제어부는 이를 토대로 솔레노이드 밸브(38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동작 초기 단계에서 처리조(210)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동안에 그리고 분해 처리가 완료되어 처리조(210) 내의 물이 배수 라인(342)을 통해 배출되는 동안에, 솔레노이드 밸브(380)는 개방되어 처리조(210) 내부의 공기가 이 밸브를 통해 흐를 수 있게 된다.
릴리프 라인(346)에는 압력 센서(390), 압력 게이지(392), 레귤레이터(394) 및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396)가 설치된다. 압력 센서(390)는 릴리프 라인(346)를 통해 전달되는 처리조(210) 내압을 측정하여 시스템 제어부에 전달하여, 시스템 제어부가 이 측정된 내압을 토대로 레귤레이터(394) 및 솔레노이드 밸브(396)를 통해 내압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동작 과정에서 처리조(210) 내압이 설정치보다 높은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396)가 열려서 미량의 물이 누출되고 이를 통해 내압을 낮출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분해/액화 처리 개시 이전에,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는 도 13의 점선으로 도시된 상태 즉, 커버보디(240)가 도면에서 우상측에 있는 초기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피가공물, 즉 생선, 해초류, 야채류, 곡류, 과일류, 해산물, 수산물, 육류, 약초류 등과 같은 식품이나 화장품을 밀폐용 봉투에 투입한다. 여기서, 상기 밀폐용 봉투는 예컨대 비닐봉지와 같이 그 외부의 수압을 내부로 전달할 수 있을 만큼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처리조(210)에 채워진 물이 그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용 봉투는 기밀성을 유지 할 수 있는 수단(예컨대, 지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수단이 없는 경우에는 여러번 접거나 말아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피가공물을 밀폐용 봉투에 투입할 때에는, 피가공물에 적합한 분해효소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해효소는 피가공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예컨대, 피가공물의 유효성분이 단백질인 경우에는 단백질분해효소를 사용하고, 피가공물의 유효성분이 탄수화물인 경우에는 탄수화물분해효소를 사용하게 된다. 복수의 분해효소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피가공물이 건조된 상태인 경우 피가공물 중량의 1%~10%의 물 또는 그밖의 용매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밀폐용 봉투에 피가공물을 투입한 후에는 처리조(210)의 물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조치한 후, 작업자는 밀폐용 봉투를 처리조(210) 내부 저면에 적재한다.
그 다음, 도면상 미도시된 포켓에 밀폐용 봉투를 넣고, 이후 호이스터(299)의 고리에 걸어 상방으로 들어올린 후 호이스트(299)를 조작하여 포켓을 처리조(210)의 내부에 수납한다.
그 다음, 작업자는 컨트롤 패널(234)의 키패드에 있는 '시작' 버튼을 누르게 된다. 버튼 입력에 응답하여, 시스템 제어부는 좌우구동 에어실린더(272)를 동작시켜 커버보디(240)에 결합된 이동 블록(280a, 280b)을 이송 가이드 레일(270a, 270b)을 따라 도면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커버보디(240)가 처리조(210) 상방으로 이동하여 도 13의 실선 위치 즉, 도 14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어서, 상하구동 에어실린더(262)의 구동에 의하여 이송 가이드 서포 트(260a, 260b)가 하강하게 된다. 이송 가이드 서포트(260a, 260b)의 하강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50)의 하부면이 대략 처리조(210)의 상단에 이를 때까지 계속된다. 이 상태에서, 처리조(210)의 상부면의 가이드핀(284)이 커버보디(240)의 저면에 형성된 있는 가이드핀삽입홈(286)에 끼워지면서 처리조(210)에 덮개(230)가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후에는, 액츄에이터(252)가 동작하여 구동축(254)를 회전시킨다. 구동축(254) 회전에 의해 커버보디(240) 내에 수납되어 있던 커버(250)가 회전하면서 도 13과 같이 처리조(210)에 체결되고 처리조(210)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피가공품의 분해/액화 처리가 수행되는데, 이 과정은 앞선 실시예에서의 과정과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설정된 작업시간이 경과하고, 처리조(210)의 감압 및 배수가 완료되면, 액츄에이터(252)가 동작하여 구동축(254)를 회전시킨다. 구동축(254) 회전에 의해 커버(250)가 회전하면서 도 15와 같이 커버보디(240) 내에 다시 수납되는 상태로 된다. 그 다음, 상하구동 에어실린더(262)의 구동에 의하여 이송 가이드 서포트(260a, 260b)가 상승하여 도 14와 같은 상태로 된다. 이어서, 좌우구동 에어실린더(272)가 동작하여 커버보디(240)에 결합된 이동 블록(280a, 280b)을 이송 가이드 레일(270a, 270b)을 따라 도면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커버보디(240)는 도 13의 점선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호이스터(299)를 조작하여 포켓을 처리조(10)로부터 빼낸 후, 포켓 내에 있는 밀폐용 봉투를 꺼내어 피가공물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각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구성요소는 해당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타의 실시예에서도 채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등의 도면에는 장치의 동작조건을 설정하고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이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컨트롤 패널이 리모콘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1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동작 초기 단계에서 커버보디가 자동으로 이동하여 처리조와 정렬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커버보디가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과 관련하여 피가공물을 적재하거나 빼내는 동안 커버보디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장애물 센서가 도 9의 실시예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처리조를 이용하여 예컨대 생선류, 해초류, 야채류, 곡 류, 과일류, 해산물, 수산물 등의 식품이나, 그밖에 해조류와 같은 유기물질이 포함된 화장품, 나아가 그밖에 고분자를 저분자로 분해하는 것이 바람직한 모든 종류의 유기물을 단시간 내에 분해하여 액체상태로 바꿀 수 있다.
특히 처리조에 가압을 하기 전에 처리조 덮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처리조에 체결할 수 있고, 가압이 되는 동안에 처리조와 뚜겅의 견고한 체결 구조가 구조를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정밀도가 높으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낮은 원가에 장치를 제작할 수 있고 장치의 잔고장이 크게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식품공장에서의 식품 가공 뿐만 아니라 뷰티숍이나 건강식품 가공업소는 물론 가정에서도 손쉽게 구입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초고압 가공장치의 저변이 크게 확대될 수 있다.

Claims (12)

  1. 신축성있는 밀폐용 봉투에 담긴 유기물을 수납하며, 그 상단 벽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처리조;
    하단 벽면에 상기 제1 나사산에 상응하여 제2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조를 덮을 수 있는 덮개;
    상기 처리조 안으로 상기 유기물을 가압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
    상기 처리조 내에 있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
    상기 처리조를 수용하고, 상부에 레일이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
    상기 덮개를 하측으로부터 수용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커버블록; 및
    상기 덮개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덮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상하구동 수단;
    을 구비하는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수단이
    오일 순환 서브시스템;
    입구가 급수원에 접속되어 있고, 출구가 상기 처리조에 접속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오일 압력에 따라 흡입 및 배출 동작을 수행하는 오일구동 펌프; 및
    상기 오일 순환 서브시스템에 접속되어 상기 오일 압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
    를 구비하는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구동 펌프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입구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장애물 센서;
    를 더 구비하는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센서가
    입사광을 출사하고 반사광을 수신하는 신호송수신부;
    상기 신호송수신부와 대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입사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거울;
    을 구비하는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구동 수단이
    상기 덮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상기 커버블록을 유체압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상하구동 실린더;
    를 구비하는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구동 실린더에 의해 변위되는 상기 커버블록이 연직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게 가이드하는 승하강 가이드;
    를 더 구비하는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블록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는 이동 블록; 및
    상기 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이송 레일 가이드;
    를 구비하며, 상기 상하구동 실린더가 상기 이송 레일 가이드를 승하강시키는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가이드가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승하강 가이드의 하단부들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가이드의 상승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
    더 구비하는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 상부 및 상기 커버보디의 하부 중 어느 하나에 정렬을 위한 가이드핀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가이드핀에 맞춰지는 가이드핀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 봉투를 상기 처리조 내부로 이송하기 위한 호이스터;
    를 더 구비하는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KR1020070061310A 2007-06-21 2007-06-21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KR20080112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310A KR20080112650A (ko) 2007-06-21 2007-06-21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JP2010513108A JP2011506053A (ja) 2007-06-21 2008-06-18 有機物分解・液化装置
PCT/KR2008/003434 WO2008156292A1 (en) 2007-06-21 2008-06-18 Organic substance decomposing and liquef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310A KR20080112650A (ko) 2007-06-21 2007-06-21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650A true KR20080112650A (ko) 2008-12-26

Family

ID=4015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310A KR20080112650A (ko) 2007-06-21 2007-06-21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1506053A (ko)
KR (1) KR20080112650A (ko)
WO (1) WO20081562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817B1 (ko) * 2011-08-17 2013-07-04 주식회사 이노웨이 고압 식품 액화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12759B (zh) * 2013-12-13 2017-01-25 兰州凯兰德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高压容器堵头开/闭装置
KR101644490B1 (ko) 2014-02-26 2016-08-02 주식회사 이노웨이 초임계 가수분해추출장치 및 가수분해방법
CN104324664B (zh) * 2014-11-12 2016-10-12 宁波汉商液压有限公司 一种间隙式超高压泄压阀
CN111561158A (zh) * 2020-05-06 2020-08-21 湖南响箭重工科技有限公司 泵车料斗的卸料门机构及泵车
CN114177837B (zh) * 2021-12-10 2024-02-13 辽宁新瑞碳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人造金刚石生产用加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53019C2 (de) * 1977-11-28 1986-02-2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Druckaufschlußvorrichtung
JPS58207931A (ja) * 1982-05-28 1983-12-03 Toshiba Corp 加圧溶解容器の蓋開閉装置
DE4421341C1 (de) * 1994-06-17 1995-10-26 Uhde Gmbh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zur Sterilisation herangezogenen Hochdruckes
SE525457C2 (sv) * 2002-06-24 2005-02-22 Flow Holdings Sagl Förfarande för åstadkommande av en tryckändring mellan två trycktillstånd, högtryckspressanordning samt användning av förfarande eller högtryckspressanordning
JP2007068444A (ja) * 2005-09-06 2007-03-22 Toyo Koatsu Co Ltd 食品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817B1 (ko) * 2011-08-17 2013-07-04 주식회사 이노웨이 고압 식품 액화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06053A (ja) 2011-03-03
WO2008156292A1 (en)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2650A (ko) 유기물 분해/액화 장치
US20180360271A1 (en) Cooking device
US5571476A (en) Pressure chamber for steam sterilization of articles
US6256968B1 (en) Volumetric vacuum control
WO2017133486A1 (zh) 气动式真空压榨装置
US20110256287A1 (en) Steam injection cooking device and method
CN214041434U (zh) 用于冰箱的微流控检测系统及冰箱
CA202968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am sterilization of articles
CN210375558U (zh) 一种气密性检测设备
KR101847843B1 (ko) 유압식 액체충진장치
CN208902352U (zh) 一种软接自动测压装置
CN109420187B (zh) 医用的环氧乙烷灭菌装置
CN108480147B (zh) 用于容纳涂胶单元的设备以及方法
EP3139803B1 (en) Container for delaying spoilage of a consumable product and methods for using the container
KR20080006549U (ko) 부스터 펌프
US20200087012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erform quick vacuum evacuation from universal sealable vacuum containers or wine bottles
KR20200053811A (ko) 식품 용기 밀봉장치
CN211204651U (zh) 一种防回流电热真空干燥箱
AU2020306889B2 (en) Isostatic pressing device, storage container for isostatic pressing device, and isostatic pressing treatment method
TW200701976A (en) Automatic food feeding/suction device
KR20080029900A (ko) 뚜껑을 갖는 용기
CN114324909A (zh) 用于冰箱的微流控检测系统及冰箱
CN110361141A (zh) 一种雪糕模具气密性检测装置
CN114324913A (zh) 用于冰箱的微流控检测系统及冰箱
KR20130053959A (ko) 수동 식품 액화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